KR102523771B1 - 반려동물 가방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771B1
KR102523771B1 KR1020210174234A KR20210174234A KR102523771B1 KR 102523771 B1 KR102523771 B1 KR 102523771B1 KR 1020210174234 A KR1020210174234 A KR 1020210174234A KR 20210174234 A KR20210174234 A KR 20210174234A KR 102523771 B1 KR102523771 B1 KR 102523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main body
sub
companion anima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룸
Priority to KR1020210174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 A01K1/029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especially adapted for carrying the animal on the body of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가방은,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양단이 결합되는 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측면은 메인 영역과 서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영역의 양측에는 상기 메인 영역과 분리되도록 제1절개 라인과 제2절개 라인이 배치되고, 상기 제1절개 라인의 하단과 상기 제2절개 라인의 하단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다.

Description

반려동물 가방{Pet bag}
본 발명은 반려동물 가방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려동물과 많은 경험을 공유하고 싶어하는 펫팸족들이 증가하면서 반려동물과의 외출빈도가 잦아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반려동물 가방은 가방 자체의 특성만을 고려하여 보관 기능만을 가질 뿐, 사람과의 교감, 동물의 안전 등과 관련하여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03/0127060호(2003.07.10.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방 내에서 반려동물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반려동물과의 교감이 용이한 반려동물 가방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가방은,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양단이 결합되는 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측면은 메인 영역과 서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영역의 양측에는 상기 메인 영역과 분리되도록 제1절개 라인과 제2절개 라인이 배치되고, 상기 제1절개 라인의 하단과 상기 제2절개 라인의 하단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가방은, 서브 영역을 통하여 개방된 개구에 의해 반려동물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이동 과정에서도 반려동물과의 교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 영역의 개방 시에는 반려동물이 본체의 외측으로 머리를 내밀 수 있고, 서브 영역의 폐쇄 시에는 본체 내 공간에서 반려동물이 앉거나 누워있는 상태로 본체 내에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절개라인의 상, 하 방향 높이를 달리하여 반려동물의 목이 서브 영역의 하단에 압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본체 내 반려동물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줄을 포함하여 가방 내에서 반려동물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가방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서브 영역을 개방시킨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가방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가방의 본체 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 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 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가방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에서 서브 영역을 개방시킨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가방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가방의 본체 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가방(10)은, 본체(100)와, 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대략 박스(box)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장방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100) 내에는 반려동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1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소정 두께를 가지며, 내부에는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충진재는 솜일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제1면(103), 상기 제1면(103)과 대향하는 제2면(104), 상기 제1면(103)과 상기 제2면(104)을 각각 연결하는 제3면(105) 및 제4면(1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면(105)과 상기 제4면(106)은 상호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면(103) 내지 제4측면(106)은 상기 본체(10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면(103)의 단면 형상은 상기 제2면(104)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면(103)과 상기 제2면(104)의 단면적은 상기 제3면(105) 또는 상기 제4면(106)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끈(200)은 사용자의 어깨 또는 손과 같은 신체에 착용될 수 있다. 상기 끈(200)은 양단이 상기 제3면(105) 및 상기 제4면(10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면(105) 또는 상기 제4면(106)의 상측에는 상기 끈(200)과의 결합을 위한 연장부(23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끈(20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트랩(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트랩(220)은 끈 본체(210)와 상기 연장부(2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30)와 상기 스트랩(220)의 사이에는, 상기 연장부(230)와 상기 스트랩(220)을 연결하는 고리(24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서브 영역(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영역(120)은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영역(120)을 통해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는 상기 공간(102)과 외부 영역을 연통되도록 개구(S, 도 2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브 영역(120)을 통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개구(S)가 개방되거나,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개구(S)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영역(120)은 상기 제1면(103) 또는 상기 제2면(104)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면(103)과 상기 제2면(104) 모두에 상기 서브 영역(120)이 형성된 것을 예로 들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면(103) 또는 상기 제2면(104)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서 상기 서브 영역(120)을 제외한 영역을 메인 영역이라 할 때, 상기 서브 영역(120)은 상기 메인 영역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S)를 폐쇄하는 위치에 배치되거나,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개구(S)를 개방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구(S)의 개방 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공간(102) 내 반려동물(A)이 상기 개구(S)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영역과 상기 서브 영역(120)의 사이에는 제1절개 라인과 제2절개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개 라인과 상기 제2절개 라인은 상기 메인 영역과 연결되는 상기 서브 영역(12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절개 라인과 상기 제2절개 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절개 라인은 상기 본체(100)의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절개 라인에는 제1지퍼부(130)가 배치되고, 상기 제2절개 라인에는 제2지퍼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S)의 개방 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지퍼부(130)와 상기 제2지퍼부(140)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S)의 폐쇄 시에도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지퍼부(130)와 상기 제2지퍼부(140)가 폐쇄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반려동물의 머리가 상기 개구(S)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 시, 반려동물의 목이 상기 서브 영역의 하단에 의해 압박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절개 라인의 하단과 상기 제2절개 라인의 하단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절개 라인의 하단은 상기 제2절개 라인의 하단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절개 라인의 하단은 상기 제1절개 라인의 하단 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영역의 하단은 코너 영역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개라인은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2절개라인과의 수평 방향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개구(S)의 개방 시 반려동물이 불편함 없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영역(120)을 통한 상기 개구(S)의 개방 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0)는 복수의 결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부(150)는 상기 서브 영역(120)에 배치되는 제1결합부(152)와, 상기 메인 영역에 배치되는 제2결합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154)는 상기 제1결합부(152)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52)와 상기 제2결합부(154)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10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돌기가 결합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S)의 개방 시, 상기 서브 영역(120)의 외면에 배치된 상기 제1결합부(152)와 상기 메인 영역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2결합부(154)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결합부(152)와 상기 제2결합부(154)는 후크(Hook)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0)의 하면을 형성하는 바닥판에는 보강 플레이트(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170)는 소정 두께를 가지며, 상기 바닥판 내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반려동물 가방(10)이 보다 용이하게 지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본체(100) 내 공간(102)에는 반려동물의 고정을 위한 연결줄(18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줄(180)의 일단은 상기 공간(102)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줄(180)의 타단에는 상기 반려동물과의 연결을 위한 고리(1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리(182)는 상기 반려동물의 목에 감겨진 목줄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본체(100) 내 공간(102)에서 반려동물이 보다 안전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서브 영역을 통하여 개방된 개구에 의해 반려동물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이동 과정에서도 반려동물과의 교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 영역의 개방 시에는 반려동물이 본체의 외측으로 머리를 내밀 수 있고, 서브 영역의 폐쇄 시에는 본체 내 공간에서 반려동물이 앉거나 누워있는 상태로 본체 내에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절개라인의 상, 하 방향 높이를 달리하여 반려동물의 목이 서브 영역의 하단에 압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본체 내 반려동물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줄을 포함하여 가방 내에서 반려동물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인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양단이 결합되는 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측면은 메인 영역과 서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제1면,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에 이웃하는 제3면, 상기 제3면에 대향하는 제4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의 단면적은, 상기 제3면과 상기 제4면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서브 영역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서브 영역의 양측에는 상기 메인 영역과 분리되도록 제1절개 라인과 제2절개 라인이 배치되고,
    상기 제2절개 라인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3면, 상기 제2면과 상기 제3면이 이웃하는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절개 라인의 하단과 상기 제2절개 라인의 하단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고,
    상기 제1절개 라인의 하단은 상기 제2절개 라인의 하단 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영역에 대해 상기 서브 영역이 절곡되는 영역인 상기 서브 영역의 하단은 상기 모서리 영역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의 바닥면까지의 상하 방향 거리가 가까워지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반려동물 가방.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 라인에는 제1지퍼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절개 라인에는 제2지퍼부가 배치되는 반려동물 가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 라인은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2절개 라인과의 수평 방향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반려동물 가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영역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메인 영역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영역에 의해 상기 본체의 측면에 개구의 개방 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상호 결합되는 반려동물 가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면을 형성하는 바닥판 내 배치되는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가방.
  8.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본체 내 공간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고리가 형성되어 반려동물과 결합되는 연결줄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가방.
KR1020210174234A 2021-12-07 2021-12-07 반려동물 가방 KR102523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234A KR102523771B1 (ko) 2021-12-07 2021-12-07 반려동물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234A KR102523771B1 (ko) 2021-12-07 2021-12-07 반려동물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771B1 true KR102523771B1 (ko) 2023-04-21

Family

ID=86098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234A KR102523771B1 (ko) 2021-12-07 2021-12-07 반려동물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771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0144A (en) * 1973-08-17 1974-11-26 M Springer Pet carrier
KR880005647U (ko) * 1986-09-10 1988-05-30 슬라윈스키 노라이본느 애완동물 운반용 가방
JP3035097U (ja) * 1996-08-26 1997-03-11 憲三 加藤 車内用動物バッグ
US20030127060A1 (en) 2002-01-10 2003-07-10 Angie Yeung Compressible pet carrier
JP2005137758A (ja) * 2003-11-10 2005-06-02 Sankei:Kk ソフトバッグ
KR200398002Y1 (ko) * 2005-07-04 2005-10-12 이인숙 애완 동물 운반용 가방
KR100827203B1 (ko) * 2007-10-04 2008-05-02 김정언 휴대용 애완동물 가방
US20100313824A1 (en) * 2009-06-12 2010-12-16 Melaney Northrop Portable Pet Housing with Zip Out Structure
JP4833189B2 (ja) * 2007-12-10 2011-12-07 株式会社ヤマヒサ ペット運搬用バッグ
KR101888114B1 (ko) * 2016-03-28 2018-08-14 (주)다솜코퍼레이션 애완동물 이동용 가방
KR102295626B1 (ko) * 2020-07-24 2021-08-31 이원엽 휴대용 애완동물 가방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0144A (en) * 1973-08-17 1974-11-26 M Springer Pet carrier
KR880005647U (ko) * 1986-09-10 1988-05-30 슬라윈스키 노라이본느 애완동물 운반용 가방
JP3035097U (ja) * 1996-08-26 1997-03-11 憲三 加藤 車内用動物バッグ
US20030127060A1 (en) 2002-01-10 2003-07-10 Angie Yeung Compressible pet carrier
JP2005137758A (ja) * 2003-11-10 2005-06-02 Sankei:Kk ソフトバッグ
KR200398002Y1 (ko) * 2005-07-04 2005-10-12 이인숙 애완 동물 운반용 가방
KR100827203B1 (ko) * 2007-10-04 2008-05-02 김정언 휴대용 애완동물 가방
JP4833189B2 (ja) * 2007-12-10 2011-12-07 株式会社ヤマヒサ ペット運搬用バッグ
US20100313824A1 (en) * 2009-06-12 2010-12-16 Melaney Northrop Portable Pet Housing with Zip Out Structure
KR101888114B1 (ko) * 2016-03-28 2018-08-14 (주)다솜코퍼레이션 애완동물 이동용 가방
KR102295626B1 (ko) * 2020-07-24 2021-08-31 이원엽 휴대용 애완동물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4867B1 (en) Portable waterproof equipment
KR200398002Y1 (ko) 애완 동물 운반용 가방
KR102014520B1 (ko) 웨이스트 백 겸용 폴딩 형 반려동물 가방
US9955805B2 (en) Dual compartment zipper adjustable pillow
KR102103110B1 (ko) 애완동물 운반용 가방
KR102523771B1 (ko) 반려동물 가방
CN205554919U (zh) 可变容量的收纳箱
US20020108578A1 (en) Pet housing pad with bolsters
KR200494420Y1 (ko) 애완견용 형태 변형 매트
KR200455081Y1 (ko) 아기용 놀이 매트
KR102439927B1 (ko) 생존튜브 기능을 구비한 방수가방
KR200488154Y1 (ko)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
KR20070096499A (ko) 노트북 컴퓨터용 가방
KR102386413B1 (ko) 반려 동물 캐리어
KR102021740B1 (ko) 가방형 목베개
KR200490562Y1 (ko) 휴지 인출용 가방
KR200487141Y1 (ko) 후드용 에어쿠션
KR200492261Y1 (ko) 접이식 반려동물 이동가방
JP3207459U (ja) バッグ
US20210161097A1 (en) Storage apparatus for companion animal
KR200467914Y1 (ko) 마스크넥워머
KR102254502B1 (ko) 베개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베개
KR100931357B1 (ko) 휴대용 침구시트
KR101761174B1 (ko) 유아용 쿠션침대
KR20210053655A (ko) 확장형 영유아용 침구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