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413B1 - 반려 동물 캐리어 - Google Patents

반려 동물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413B1
KR102386413B1 KR1020200008030A KR20200008030A KR102386413B1 KR 102386413 B1 KR102386413 B1 KR 102386413B1 KR 1020200008030 A KR1020200008030 A KR 1020200008030A KR 20200008030 A KR20200008030 A KR 20200008030A KR 102386413 B1 KR102386413 B1 KR 102386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art
companion animal
housing
carrier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4357A (ko
Inventor
강성해
허지혜
김윤아
박소연
김예솔
박승아
최은경
권보선
김가영
Original Assignee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8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413B1/ko
Publication of KR20210094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 A01K1/0254Bags or bask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 동물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반려 동물 캐리어는 내부에 반려동물이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 및 일측면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을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하우징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상측부에 배치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수용부 공간으로 인입되는 제1몸체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하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몸체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려 동물 캐리어 {A COMPANION ANIMAL CARRIER}
본 발명은 반려 동물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형태의 유지가 가능한 강성을 갖고, 외력에 의해 상측부가 하측부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는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반려 동물을 이동시키는 캐리어의 기능 뿐 아니라 반려 동물의 하우스의 기능을 겸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 동물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령화와 저출산, 독신 가구 증가 등의 다양한 사회적 변화와 더불어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국내 주요 매체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2010년대 초반에 국내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천만명을 넘어서고 있다고 한다.
반려 동물은 주인에게 정서적인 위안과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등 상호 교감의 동반자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스트레스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순기능의 역할을 해주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최근에는 반려 동물을 하나의 가족 구성원으로까지 인식되는 등 점차 그 중요성과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반려 동물이 가족의 구성원으로서 자리잡게 되면서 반려 동물을 건강하게 키우기 위한 요구에 부응하여 이들을 보호하고 이들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반려 동물용 하우스, 가방, 쿠션, 매트 등 다양한 보조기구들이 출시되고 있고, 반려 동물과 함께 나들이를 나가는 경우가 빈번해짐에 따라 반려 동물용 가방 또는 캐리어들도 점차 휴대가 편리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반려 동물 용품 중 실내에서 반려 동물을 키우기 위해 반려 동물이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하우스와, 대중교통이나 차량 이동 시 반려 동물이 수용될 수 있는 캐리어가 있다.
일반적으로 반려 동물 하우스와 캐리어는 각각의 기능만을 가지는 것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서로 기능을 대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애완견 주인은 반려 동물 하우스가 있어도 캐리어를 별도로 구입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비용 부담과 캐리어를 따로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캐리어는 이동을 고려하여 내부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장소 이동 시 장시간동안 애완견을 수용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집에서 사용되는 반려 동물용 하우스와, 외출시 사용되는 캐리어가 구분되어 있으므로, 평상시 비교적 부피가 큰 캐리어를 창고에 보관해야할 뿐 아니라 외출시 익숙하지 않은 캐리어에 반려 동물이 들어가기를 싫어하고 심리적으로 불안정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1506호는 애완동물 이동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애완동물 이동용 가방은: 애완동물을 수용하는 공간부를 갖고, 이동용 끈부재를 구비하는 가방본체와, 가방본체의 길이방향 좌우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애완동물의 외부 투시를 도와주는 투시부와, 가방본체의 전측 또는 후측에 구비되어 애완동물을 출입하도록 개폐되는 측면개폐부와,가방본체의 상측에 구비되어 가방본체에 수용된 애완동물의 머리 또는 상체를 개방시키는 상면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1506호는 가방본체의 상체가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애완 동물의 머리 또는 상체가 외부로 개방될 수 있기는 하나, 애완 동물이 이동용 가방을 장시간 하우스로 사용하기에는 개방감이 작을 뿐 아니라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반려동물을 수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캐리어의 기능뿐 아니라 간단한 외력에 의해 상기 캐리어가 반려 동물의 하우스로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캐리어와 하우스를 모두 구비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두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가변이 가능한 반려 동물 캐리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KR 10-2017-0111506호 (공개일자 2017년 10월 12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려 동물이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이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수용부 공간으로 인입되어 반려동물의 안착부를 형성하는 하우스의 구조로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반려동물을 이동시키는 캐리어의 기능 뿐 아니라 하우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가변이 가능하도록 하여 캐리어와 하우스의 기능이 겸용 가능한 반려 동물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 캐리어는 내부에 반려동물이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 및 일측면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을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하우징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상측부를 구성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수용부 공간으로 인입되는 제1몸체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하측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몸체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 동물 캐리어는 상기 제1몸체부가 상면부재; 및 상기 상면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연결하는 측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재는 하방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몸체부가 상기 제2몸체부의 수용부로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 동물 캐리어는 상기 하우징이 일측이 오목진 타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된 반려동물의 안락감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 동물 캐리어에 의하면, 하우징을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로 구성하고, 상기 제1몸체부가 소정의 외력에 의해 상기 제2몸체부 수용부 내부로 인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몸체부 인입 전 상태에서는 캐리어의 기능을 수행하고, 인입 후 상태에서는 하우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캐리어와 하우스의 기능이 겸용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편한 동작으로도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제작이 간편하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가 슬라이딩부재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몸체부의 인입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몸체부의 측면부재가 하방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몸체부의 인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가 슬라이딩부재로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부의 인입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뿐 아니라 상기 제1몸체부가 개방되어 반려동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 동물 캐리어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 동물 캐리어가 하우스로 가변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 동물 캐리어가 캐리어 기능일 때의 하우징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 동물 캐리어가 하우스 기능일 때의 하우징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1구성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 동물 캐리어가 하우스 기능일 때의 하우징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2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 동물 캐리어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 동물 캐리어가 하우스로 가변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 동물 캐리어가 캐리어 기능일 때의 하우징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 동물 캐리어가 하우스 기능일 때의 하우징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1구성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 동물 캐리어가 하우스 기능일 때의 하우징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2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 동물 캐리어(1)는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슬라이딩부재(200) 및 손잡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에 반려 동물이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반려 동물 캐리어(1)의 외장을 구성하는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단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반려 동물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수용된 반려 동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소정의 외력으로 가변되어 내부가 오목한 안착부(113)가 형성된 하우스로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슬라이딩부재(200)가 상기 하우징(100)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할 뿐 아니라 용이하게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외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으면서도 외력에 의해 가변이 가능한 플랙서블한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징(100)은 변형이 가능하면서도 외형의 유지가 가능한 가죽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천연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반려 동물에게 안전성과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0)은 가죽으로 구성되어, 하우징(100)의 내벽면은 반려 동물에게 안락감을 줄 수 있고 이동 중 충격에 의한 완충 기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일측이 오목진 타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된 반려 동물의 안락감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저면이 일측이 오목하게 굴곡진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형상은 강아지나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이 안락함을 느끼면서 누워 있는 형상과 유사하여, 상기 하우징(100)에 수용된 반려 동물의 안락감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0)의 모양은 상기한 하우징(100) 저면의 모양이 상부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후술할 상면부재(111)가 가변되어 안착부(113)의 저면이 될 경우에도 하우스(100)에 안착된 반려 동물의 안락한 거치를 위해 상기 하우징(100) 저면의 모양과 동일한 일측이 오목하게 굴곡진 타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제1몸체부(110), 제2몸체부(120) 및 통기공(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부(110)는 상기 슬라이딩부재(200)의 상측부에 배치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수용부 공간으로 인입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110)는 상면부재(111) 및 상기 상면부재(111)와 상기 슬라이딩부재(200)를 연결하는 측면부재(112)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재(112)는 하방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몸체부(110)가 상기 제2몸체부(120)의 수용부로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몸체부(1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슬라이딩부재(200)의 상측을 구성하는 부분으로, 외력에 의해 직립되거나 외력에 의해 상기 제2몸체부 (120)내부 수용부에 인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몸체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 동물 캐리어(1)가 용도에 따라 가변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직립하면 캐리어로, 제2몸체부(120)로 인입되면 하우스로 기능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몸체부(110)와 상기 제2몸체부(120)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제1몸체부(110)가 절곡되어 상기 제2몸체부(12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절곡이 용이한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캐리어(1)는 상기 제1몸체부(110)와 상기 제2몸체부(120)를 연결하는 부분이 상기 슬라이딩부재(200)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몸체부(110)가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110)는 상면부재(111) 및 측면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재(111)는 상기 제1몸체부(110)의 상단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덮개면에 해당하면서 상기 제1몸체부(110)가 상기 제2몸체부(120) 내부로 인입될 경우에는 하우스 바닥면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면부재(111)는 일측이 오목하게 굴곡진 타원형으로 구성됨으로써, 반려 동물이 상기 상면부재(111)에 누워 있을 때 안락감을 극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면부재(111)는 상기 제2몸체부(120)의 저면과 모양은 동일하나 면적이 더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재(112)는 상기 상면부재(111)와 상기 슬라이딩부재(200)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부재(112)는 상기 제1몸체부(110)의 측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상면부재(111)와 상기 제2몸체부(120)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1몸체부(110)가 상기 제2몸체부(120)로 인입되어 하우스 구조로 변경될 때 하우스 내측면을 구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112)는 상기 제1몸체부(110)가 상기 제2몸체부(120) 수용부 내부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112)와 상면부재(111)를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죽끈이나 굵은 실을 이용하여 듬성하게 박음질된 스티치(130) 형태로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1몸체부(110)가 인입될 때 측면부재(112)에 대한 상면부재(111)의 방향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몸체부(120)는 상기 슬라이딩부재(200)의 하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몸체부(110)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몸체부(120)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측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몸체부(110)가 인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몸체부(120)의 둘레가 상기 제1몸체부(110)의 상면부재(111) 둘레보다 넓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몸체부(120)는 상기 하우징(100)이 직립한 상태로 형체가 유지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강성을 갖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몸체부(120)는 상기 하우징(100)이 캐리어로 사용될 경우 반려 동물이 수용되는 부분으로, 반려동물이 편안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기울어짐 없는 기둥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몸체부(120)는 일측에 통기공(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기공(122)은 상기 제2몸체부(120) 일측에 구비되어 캐리어의 내부 공기와 외기가 순환하여 환기될 수 있도록 하여 반려 동물의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통기공(122)은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의 크기와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완전히 개방될 수도 있으나 매쉬망이 설치되어 공기의 순환이 매쉬망의 통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내부에 수용된 반려 동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머무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기공(12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몸체부(120) 일측에 통공되어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캐리어(1)는 상기 하우징(100)을 구성하는 가죽들이 듬성하게 박음질된 스티치(130) 형태로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스티치(130)부분에서 생성될 수 있는 통공으로 상기 통기공(122)을 대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가죽을 박음질하는 스티치(130) 사이 사이로 상기 통기공(1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몸체부(12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부 일측에 투명창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투명창(미도시)은 내부에 수용된 반려 동물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된 반려 동물이 외부를 볼 수 있을 정도의 투명도를 갖으면서 반려동물에게 안전한 재질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200)는 일측면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결합부재(210)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면 상기 하우징(100)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부재(200)는 상기 제1몸체부(110) 및 상기 제2몸체부(120)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1몸체부(110)가 상기 제2몸체부(120)에서 개방되어 반려 동물을 출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소정의 외력에 의해 맞물림 수단이 결합 또는 이탈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2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실링테이프, 실링레일, 슬라이더 및 연결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테이프(미도시)는 일측면이 상기 제1몸체부(110) 및 상기 제2몸체부(120)에 각각 부착되는 것으로,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링테이프(미도시)는 직물재질 또는 PVC(Polyvinyl Chloride)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실링테이프(미도시)의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실링레일(미도시)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실링테이프(미도시)는 상기 제1몸체부(110)가 절곡되어 인입될 경우 상기 제1몸체부(110)의 절곡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링레일(미도시)은 상기 실링테이프(미도시)의 타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맞물림수단을 구비한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맞물림수단(미도시)은 요홈부(미도시) 및 돌기부(미도시)로 구성된 파스너형태이거나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톱니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맞물림수단(미도시)이 톱니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실링테이프(미도시)가 직물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맞물림수단이 요홈부(미도시) 및 돌기부(미도시)로 구성된 파스너 형태인 경우에는 상기 실링테이프(미도시)가 PVC(Polyvinyl Chloride)재질로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효과를 내는 다른 재질로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레일(미도시)은 양측 끝단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스톱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톱퍼(미도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퍼 및 지퍼락에 구비된 공지의 것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상기한 슬라이딩부재(2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퍼 및 지퍼락일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210)는 상기 제1몸체부(110)와 상기 제2몸체부(120)의 일정 부분을 결합시켜 상기 제1몸체부(110)가 상방향으로 개방될 경우에도 상기 제1몸체부(110)가 상기 제2몸체부(120)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210)는 상기 슬라이딩부재(200)가 완전히 개방되어도 상기 제1몸체부(110)와 상기 제2몸체부(12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캐리어(1)를 들고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제1몸체부(110) 및 제2몸체부(120)에 결합되어 상기 캐리어(1)의 일정 높이로 이어져 사용자가 편리하게 캐리어(1)를 들고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손잡이(300)의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제2몸체부(120)와 고정버클(310)로 연결되고, 상기 고정버클(310)은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몸체부(110)를 제2몸체부(120)에 인입시키기 위해서 직립되어 있는 손잡이(3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바닥에 늘어 뜨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제1몸체부(110)와 탈착버클(320)로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300)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00)를 사용할 경우 즉, 캐리어로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탈착버클(320)을 결합시켜 상기 손잡이(300)가 상기 제1몸체부(110) 및 제2몸체부(12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본 발명을 하우스로 사용할 경우에는 직립한 손잡이(300)를 바닥에 내려두기 위하여 상기 탈착버클(320)을 개방시키고 상기 고정버클(310)을 회전하여 손잡이(300)를 바닥에 늘어 뜨릴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캐리어(1)를 캐리어의 기능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손잡이(300)가 직립할 수 있도록 탈착버클(320)을 제1몸체부(110)에 고정시켜 캐리어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 동물 캐리어(1)를 하우스의 기능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손잡이(300)의 탈착버클(320)을 개방시켜 상기 손잡이(300)를 일측의 바닥으로 늘어뜨리게 한 후 상기 제1몸체부(110)에 외력을 작용하여 상기 제1몸체부(110)가 상기 제2몸체부(120)에 인입되어 반려동물의 안착부(113)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버클(310)은 상기 손잡이(300)가 상기 제2몸체부(120)에 고정된 상태로 좌우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버클을 적용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버클(320)은 외력에 의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공지의 버클을 적용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 동물 캐리어에 의하면, 하우징을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로 구성하고, 상기 제1몸체부가 소정의 외력에 의해 상기 제2몸체부 수용부 내부로 인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몸체부 인입 전 상태에서는 캐리어의 기능을 수행하고, 인입 후 상태에서는 하우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캐리어와 하우스의 기능이 겸용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간편한 동작으로도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제작이 간편하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가 슬라이딩부재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몸체부의 인입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몸체부의 측면부재가 하방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몸체부의 인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가 슬라이딩부재로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부의 인입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뿐 아니라 상기 제1몸체부가 개방되어 반려동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반려 동물 캐리어
100 : 하우징 110 : 제1몸체부
111 : 상면부재 112 : 측면부재
113 : 안착부 120 : 제2몸체부
122 : 통기공 130 : 스티치
200 : 슬라이딩부재 210 : 결합부재
300 : 손잡이 310 : 고정버클
320 : 탈착버클

Claims (3)

  1. 내부에 반려동물이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 및
    일측면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을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하우징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상측부를 구성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수용부 공간으로 인입되어 상단에 반려동물이 안착하는 하우스 기능을 수행하는 제1몸체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하측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몸체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부는,
    상면부재; 및
    상기 상면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연결하는 측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재는,
    상기 제1몸체부가 상기 제2몸체부 내부로 인입될 경우, 반려동물이 안착하거나 누워 있는 하우스 바닥면 기능을 수행하며, 일측이 오목하게 굴곡진 타원형으로 구성되어 안착하거나 누워있는 반려동물에게 안락감을 주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재는,
    하방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몸체부가 상기 제2몸체부의 수용부로 인입되어 하우스 구조로 변경될 때 상기 하우스의 내측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 캐리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측이 오목진 타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된 반려동물의 안락감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 캐리어.
KR1020200008030A 2020-01-21 2020-01-21 반려 동물 캐리어 KR102386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030A KR102386413B1 (ko) 2020-01-21 2020-01-21 반려 동물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030A KR102386413B1 (ko) 2020-01-21 2020-01-21 반려 동물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357A KR20210094357A (ko) 2021-07-29
KR102386413B1 true KR102386413B1 (ko) 2022-04-14

Family

ID=77127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030A KR102386413B1 (ko) 2020-01-21 2020-01-21 반려 동물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4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512A (ko) 2021-07-19 2023-01-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활성화 트레이 정체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56441A1 (en) * 2009-09-08 2011-03-10 Yu Lien Chang Structure of pet bag
JP2012050457A (ja) 2011-10-30 2012-03-15 Akie Uchida ペット用の運搬器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159U (ko) * 2009-12-14 2011-06-22 최봉락 수유 쿠션
KR101525981B1 (ko) * 2013-11-15 2015-06-10 유지영 분리형 가방
KR101888114B1 (ko) 2016-03-28 2018-08-14 (주)다솜코퍼레이션 애완동물 이동용 가방
KR20200000116U (ko) * 2018-07-06 2020-01-15 (주)아베크인터내셔널 반려동물 이송용 가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56441A1 (en) * 2009-09-08 2011-03-10 Yu Lien Chang Structure of pet bag
JP2012050457A (ja) 2011-10-30 2012-03-15 Akie Uchida ペット用の運搬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357A (ko)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29393A1 (en) Pet Carrying Backpack
US8347815B2 (en) Mobile pet bed/carrier
US20190021275A1 (en) Expandable Pet Carrier
US6715446B2 (en) Pet tent
US7665421B2 (en) Dual animal carrier
US9107519B2 (en) Portable sleeping assembly
US3156213A (en) Mobile container for carrying and accommodating domestic animals
US20100313824A1 (en) Portable Pet Housing with Zip Out Structure
US20220361440A1 (en) Petcruising pet carrier-backpack
US20080163430A1 (en) Diaper changing station having a collapsible frame
KR102386413B1 (ko) 반려 동물 캐리어
CN115399600A (zh) 婴儿床
US6546574B1 (en) Baby boat
US20170071148A1 (en) Pet Carrier Bag With Interchangeable Shell
CN203353366U (zh) 一种宠物包
KR101277160B1 (ko) 낚시좌대 전용 텐트
KR102178989B1 (ko) 반려동물용 안전시트
US20050211175A1 (en) Traveling pet bed
US20210161097A1 (en) Storage apparatus for companion animal
CN202287336U (zh) 便携式婴儿床
KR200309850Y1 (ko) 애완동물용 가방
US20220151408A1 (en) Elastic gusset sleeping bag
CN218977647U (zh) 一种宠物背包
GB2480710A (en) Enclosure for a cot
JPH023936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