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989B1 - 반려동물용 안전시트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안전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989B1
KR102178989B1 KR1020190008450A KR20190008450A KR102178989B1 KR 102178989 B1 KR102178989 B1 KR 102178989B1 KR 1020190008450 A KR1020190008450 A KR 1020190008450A KR 20190008450 A KR20190008450 A KR 20190008450A KR 102178989 B1 KR102178989 B1 KR 102178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ase member
edge
frame member
supporting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1565A (ko
Inventor
서동욱
Original Assignee
서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욱 filed Critical 서동욱
Priority to KR1020190008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989B1/ko
Publication of KR20200091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 A01K1/0272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e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in or on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안전시트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부재, 테두리부재의 일부에서 연장되고 베이스부재의 개방측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커버, 테두리부재의 가장자리와 커버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베이스부재에 들어가 있는 반려동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메쉬타입의 망부재, 및 망부재의 가장자리 또는 커버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커버가 베이스부재의 개방측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서포팅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반려동물의 차량용 안전시트의 베이스부재에 햇빛 가리개 역할과 덮개 역할을 하는 커버를 구비하여, 플렉시블한 재질의 서포팅폴을 통해 커버가 햇빛을 가리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커버로써 베이스부재의 개방측을 막은 상태로 유지하도록 함에 따라 보관이나 이동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안전시트{SAFETY PET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안전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차량용 안전시트의 베이스부재에 햇빛 가리개 역할과 덮개 역할을 하는 커버를 구비하여, 플렉시블한 재질의 서포팅폴을 통해 커버가 햇빛을 가리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커버로써 베이스부재의 개방측을 막은 상태로 유지하도록 함에 따라 보관이나 이동시 편의성을 제공하며, 베이스부재에 손잡이와 어깨근을 구비하여 미사용 또는 사용 상태(케이지)로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반려동물용 안전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강아지,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늘고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은 급속한 산업발전으로 인한 핵가족화와 개인주의적 성향으로 인해 심신이 허약한 사람들의 마음을 달래주고, 사랑하며 함께 생활 및 공존하는 반려동물이라는 개념이 정립되면서 인간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제품과 같은 다양한 반려동물용 제품이 속속 개발되어 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반려동물은 인간과 함께 생활하고, 함께 즐기며, 함께 먹고, 함께 살아가는 가족과 같은 존재로 인식되고 있고, 이와 같은 인간의 인식의 변화로 인해 반려동물은 인간이 이동시, 함께 한다. 이러한, 인간의 이동에 따른 수단은 현재 차량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이동을 반려동물과 함께 하기 위한 제품으로 차량용 시트가 개시되고 있다.
관련 기술로는 국내특허등록공보 제10-1344237호(등록일: 2013.12.17., 발명의 명칭: 이탈방지벨트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차량안전시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반려동물용 차량안전시트는 바구니 형태 또는 내부 공간을 갖는 입방체로 이루어지지만, 차량의 시트에 고정 및 분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반려동물용 차량안전시트는 차량 전용으로 제작됨으로써 비용 대비 반려동물과 외출시 사용 등의 활용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 반려동물용 차량안전시트는 미사용시에도 바구니 또는 입방체 형태 그대로 보관해야 함에 따라 보관에 따른 공간 차지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반려동물의 차량용 안전시트의 베이스부재에 햇빛 가리개 역할과 덮개 역할을 하는 커버를 구비하여, 플렉시블한 재질의 서포팅폴을 통해 커버가 햇빛을 가리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서포팅폴을 접은 후 커버로써 베이스부재의 개방측을 막은 상태로 유지하도록 함에 따라 보관이나 이동시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반려동물용 안전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에 손잡이와 어깨근을 구비하여 미사용 또는 사용 상태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안전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안전시트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부재; 상기 테두리부재의 일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개방측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커버; 상기 테두리부재의 가장자리와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에 들어가 있는 반려동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메쉬타입의 망부재; 및 상기 망부재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베이스부재의 개방측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서포팅폴을 포함한다.
상기 망부재는 착탈부재에 의해 상기 테두리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망부재가 상기 테두리부재를 따라 일부 또는 전체 분리된 후, 개폐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의 개방측을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재, 상기 테두리부재 또는 상기 커버는 시트벨트(seat belt)에 의해 차량의 시트에 놓여진 상태로 구속되도록 걸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두리부재 또는 상기 커버는 들 수 있도록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멜 수 있도록 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테두리부재에서 연장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측부덮개; 및 상기 측부덮개에서 절곡되게 연장되어 햇빛 가리개 역할을 하는 상부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측부덮개와 상기 상부덮개는 외력 미작용시 상기 서포팅폴에 의해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안전시트는 종래 기술과 달리 반려동물의 차량용 안전시트의 베이스부재에 햇빛 가리개 역할과 덮개 역할을 하는 커버를 구비하여, 플렉시블한 재질의 서포팅폴을 통해 커버가 햇빛을 가리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서포팅폴을 접은 후 커버로써 베이스부재의 개방측을 막은 상태로 유지하도록 함에 따라 보관이나 이동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에 손잡이와 어깨근을 구비하여 미사용 또는 사용 상태로 이동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안전시트의 초기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안전시트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안전시트의 사용 상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안전시트를 이동시키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안전시트를 보관 상태로 접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안전시트를 접은 상태로 들고 이동 가능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안전시트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안전시트의 초기 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안전시트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안전시트의 사용 상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안전시트를 이동시키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안전시트를 보관 상태로 접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안전시트를 접은 상태로 들고 이동 가능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안전시트(100)는 베이스부재(110), 테두리부재(120), 커버(130), 망부재(140) 및 서포팅폴(150)을 포함한다.
베이스부재(110)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안전시트(100)를 차량 내부에 사용시, 시트(seat,10)에 놓여지고, 반려동물이 들어가 앉는 등 생활하는 공간이 된다.
이때, 베이스부재(110)는 자중을 줄이고 세탁이 가능하도록 텍스타일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테두리부재(120)는 베이스부재(110)에 앉는 반려동물에게 공간을 마련해 주기 위해 베이스부재(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테두리를 형성한다. 물론, 베이스부재(110)와 테두리부재(120)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부재(110)가 내측에 홈을 형성할 경우, 테두리부재(120)는 별도로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테두리부재(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반려동물의 다리가 부딪히더라도 상처를 입지 않는 재질이나 두께로 이루어진다.
커버(130)는 테두리부재(120)의 일부에서 연장된다. 이때, 베이스부재(110)가 세워질 경우, 커버(130)는 하측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재(110)의 해당 부위에서 연장된다.
그리고, 커버(130)는, 베이스부재(110)와 마찬가지로, 자중을 줄이고 세탁이 가능하도록 텍스타일이나 원단 재질로 이루어지고, 베이스부재(110)의 개방측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커버(130)는 사용시 베이스부재(110)의 개방측을 개방하고, 미사용시 베이스부재(110)의 개방측을 닫는 역할을 한다. 물론, 커버(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망부재(140)는 테두리부재(120)의 가장자리와 커버(130)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베이스부재(110)에 들어가 있는 반려동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망부재(140)는 반려동물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고, 베이스부재(110)의 반려동물에게 개방감을 주기 위해 메쉬 타입으로 형성된다.
물론, 망부재(1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서포팅폴(150)은 망부재(140)의 가장자리 또는 커버(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커버(130)가 베이스부재(110)의 개방측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서포팅폴(150)은 망부재(140)의 가장자리를 따라 삽입된다. 아울러, 서포팅폴(150)은 반려동물이 부딪히더라도 상해를 입지 않도록 완충 가능한 수지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그래서, 서포팅폴(150)은 완충 가능한 경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서포팅폴(150)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망부재(140)는, 커버(130)가 베이스부재(110)의 개방측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테두리부재(120)에 대해 서포팅폴(150)을 지지하는 다른 서포팅폴(150)을 구비한다. 편의상, 서포팅폴(150)은 모두 동일한 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망부재(140)는 착탈부재(142)에 의해 테두리부재(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하게 된다. 즉, 망부재(140)가 착탈부재(142)에 의해 테두리부재(120)로부터 일부 또는 전체가 제거될 수 있음에 따라 반려동물을 베이스부재(110) 안으로 넣거나 베이스부재(110)에서 꺼낼 수 있고, 착탈부재(142)에 의해 테두리부재(120)와 연결됨으로써 반려동물의 임의적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착탈부재(142)는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지퍼로 적용하지만,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서포팅폴(150)이 커버(130)를 지지하고 있음에 따라 커버(130)는 베이스부재(110)의 상측을 개방한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착탈부재(142)에 의해, 망부재(140)는 테두리부재(120)로부터 일부 또는 전체가 분리시, 망부재(140)와 서포팅폴(150)은 테두리부재(120)에 의해 에워싸인 내부 공간으로 수용되고, 커버(130)는 개폐부재(132)에 의해 테두리부재(120)의 개방측을 닫게 된다.
즉, 커버(130)는 개폐부재(132)에 의해 테두리부재(120)에 착탈 가능하게 되고, 개폐부재(132)에 의해 일부만 테두리부재(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부재(132)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지만, 저가이면서 유지보수가 용이한 지퍼로 적용한다.
또한, 베이스부재(110), 테두리부재(120) 또는 커버(130)는 시트벨트(seat belt,20)에 의해 차량의 시트(10)에 놓여진 상태로 구속되도록 걸이부재(112)를 구비할 수 있다.
걸이부재(112)는 상하 방향으로 양측이 테두리부재(120)에 박음질 처리되어, 시트벨트(20)가 걸이부재(112)와 테두리부재(120) 사이로 삽입된 후, 잠금 처리된다.
이때, 걸이부재(112)는 개수 및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테두리부재(120) 또는 커버(130)는 손으로 들 수 있도록 손잡이(114)를 구비할 수 있다. 그래서, 개폐부재(132)가 잠금 처리될 경우, 커버(130)가 베이스부재(110)의 개방측을 닫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잡이(114)를 잡고 용이하게 들고 다닐 수 있게 된다.
편의상, 손잡이(114)는 테두리부재(120)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손잡이(114)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고, 테두리부재(120)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고, 구비되는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커버(130)는 측부덮개(133) 및 상부덮개(135)를 포함한다.
측부덮개(133)는 테두리부재(120)에서 연장되어 사용 상태를 유지할 경우 측벽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부덮개(135)는 측부덮개(133)에서 절곡되게 연장되어 햇빛 가리개 역할을 한다.
이때, 상부덮개(135)는 측부덮개(133)에 의해 베이스부재(110)로부터 설정거리만큼 유격됨으로써, 반려동물은 안전시트(100) 내부에서 적어도 최소한의 활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측부덮개(133)와 상부덮개(135)는 외력 미작용시 서포팅폴(150)에 의해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측부덮개(133)가 바닥을 향하도록, 베이스부재(110)가 세워진 상태에서, 손잡이(114)가 테두리부재(120) 중 상측에 위치한 테두리부재(120)에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안전시트(100)가 세워진 상태로 커버(130)를 개방하여 사용할 경우, 안전시트(100)는 케이지(cage)로 활용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측부덮개(133)가 바닥이 된다. 이때, 안전시트(100)가 케이지로 활용시, 측부덮개(133)와 테두리부재(120)로 인해, 바닥 면적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부재(110) 또는 테두리부재(120)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시트(100)를 멜 수 있도록 끈부재(116)를 구비할 수 있다. 그래서, 안전시트(100)는 미사용 상태로 이동이 용이하다. 물론, 끈부재(116)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부재(110)로부터 탈거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130)는 애완동물용 간식 등 물품 보관을 위해 개폐 가능한 포켓(137)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안전시트 110: 베이스부재
112: 걸이부재 114: 손잡이
116: 끈부재 120: 테두리부재
130: 커버 132: 개폐부재
133: 측부덮개 135: 상부덮개
140: 망부재 142: 착탈부재
150: 서포팅폴

Claims (6)

  1.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부재; 상기 테두리부재의 일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개방측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커버; 상기 테두리부재의 가장자리와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에 들어가 있는 반려동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메쉬타입의 망부재; 및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커버의 형상을 서포팅폴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테두리부재에서 연장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측부덮개; 및 상기 측부덮개에서 절곡되게 연장되어 햇빛 가리개 역할을 하는 상부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망부재는 상기 커버가 상기 베이스부재의 개방측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테두리부재에 대해 상기 커버 측 서포팅폴을 지지하는 다른 서포팅폴을 구비하여, 상기 측부덮개와 상기 상부덮개는 외력 미작용시 상기 망부재 측 서포팅폴에 의해 상기 테두리부재에 대해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망부재 측 서포팅폴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망부재가 상기 테두리부재를 따라 일부 또는 전체 분리된 후, 개폐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의 개방측을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안전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부재는 착탈부재에 의해 상기 테두리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안전시트.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 상기 테두리부재 또는 상기 커버는 시트벨트(seat belt)에 의해 차량의 시트에 놓여진 상태로 구속되도록 걸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안전시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 또는 상기 커버는 들 수 있도록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멜 수 있도록 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안전시트.
  6. 삭제
KR1020190008450A 2019-01-23 2019-01-23 반려동물용 안전시트 KR102178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450A KR102178989B1 (ko) 2019-01-23 2019-01-23 반려동물용 안전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450A KR102178989B1 (ko) 2019-01-23 2019-01-23 반려동물용 안전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565A KR20200091565A (ko) 2020-07-31
KR102178989B1 true KR102178989B1 (ko) 2020-11-16

Family

ID=71834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450A KR102178989B1 (ko) 2019-01-23 2019-01-23 반려동물용 안전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9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73531B (zh) * 2021-09-16 2022-08-01 楊永權 寵物用乘車安全裝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992B1 (ko) 2010-07-28 2011-03-24 김인휘 차량용 접이식 애견시트
CN201995432U (zh) * 2011-04-28 2011-10-05 厦门吉信德宠物用品有限公司 一种可扩展宠物活动空间的折叠宠物包
JP2015168324A (ja) 2014-03-06 2015-09-28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車載用ペットキャリーバッグ保持具
JP2018023324A (ja) * 2016-08-10 2018-02-15 コンビ株式会社 ペット飼育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992B1 (ko) 2010-07-28 2011-03-24 김인휘 차량용 접이식 애견시트
CN201995432U (zh) * 2011-04-28 2011-10-05 厦门吉信德宠物用品有限公司 一种可扩展宠物活动空间的折叠宠物包
JP2015168324A (ja) 2014-03-06 2015-09-28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車載用ペットキャリーバッグ保持具
JP2018023324A (ja) * 2016-08-10 2018-02-15 コンビ株式会社 ペット飼育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565A (ko) 202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240B1 (ko) 반려동물 운반 배낭
US8042869B2 (en) Child seat liner
US7712437B2 (en) Mobile pet bed/carrier
US20080216760A1 (en) Pet carrier
US20100313824A1 (en) Portable Pet Housing with Zip Out Structure
US20200029526A1 (en) Collapsible Pet Carrier
KR102178989B1 (ko) 반려동물용 안전시트
EP4068949B1 (en) Waste receptacle for animal excreta
AU2009100632A4 (en) Rigid soft enclosure for pet
KR101752053B1 (ko) 조립식 애완동물용 캐리어
KR102044542B1 (ko) 애완동물용 카시트
KR102386413B1 (ko) 반려 동물 캐리어
EP4068950B1 (en) Waste receptacle for animal excreta
US20050039702A1 (en) Animal care garment
JP2017086732A (ja) 猫用キャリー
KR200488154Y1 (ko) 애완동물 배변 봉투 수납 소지구
KR20190119888A (ko) 반려동물용 보관장치
KR200309850Y1 (ko) 애완동물용 가방
WO2006022492A1 (en) Security cradle for infant
JP3245657U (ja) ペット携行用バッグ
KR200372580Y1 (ko) 침낭 형 텐트
JPH0239369Y2 (ko)
BE1016712A3 (nl) Hoes voor het beschermen van een kind tegen wind, regen en/of dergelijke.
JP2022096938A (ja) 非常時猫運搬装置
JP2021090480A (ja) ペット用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