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862B1 - 저항기의 제조 방법, 그에 따른 저항기 및 그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저항기의 제조 방법, 그에 따른 저항기 및 그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862B1
KR102522862B1 KR1020187023446A KR20187023446A KR102522862B1 KR 102522862 B1 KR102522862 B1 KR 102522862B1 KR 1020187023446 A KR1020187023446 A KR 1020187023446A KR 20187023446 A KR20187023446 A KR 20187023446A KR 102522862 B1 KR102522862 B1 KR 102522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rolling
station
resistor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7154A (ko
Inventor
마르커스 에셔
파울 하르케
울리히 헤쯜러
울리히 헤?W러
얀 마리엔
Original Assignee
이자벨렌휘테 호이슬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자벨렌휘테 호이슬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이자벨렌휘테 호이슬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80107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7/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 H01C17/2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dapted for trimm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3Resistors used for electric measuring, e.g. decade resistors standards, resistors for comparators, series resistors, shu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easuring instruments, e.g. of probe t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14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 H01C1/144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the terminals or tapping points being welded or solder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7/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 H01C17/00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 ch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7/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 H01C17/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dapted for applyin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e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저 저항 전류 측정용 저항기를 위한 전기 저항기(1)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 단계들, 즉, a) 소정의 전기 부품 특성 값 (R)의 두께에 대응하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저항기(1)용 판형 기부(9)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이 때 상기 두께 의존적인 전기 부품 특성(R)은 바람직하게는 기부(9)의 전기 저항, 시트 저항 또는 횡 저항이며, b) 기부(9)를 소정의 압연의 정도(AG)로 압연하는 단계로서, 이 때 기부(9)의 두께는 압연의 정도(AG)에 따라서 감소하고 그에 다라서 전기 부품 특성(R)도 변화하며, c) 상기 압연된 기부(9)상의 두께 의존적인 전기 부품 특성(R)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측정된 전기 부품 특성(R)의 함수로서, 특히 제어 변수로서 전기 부품 특성(R) 및 제어 변수로서의 압연의 정도(AG)을 갖는 폐쇄 루프 제어 시스템의 맥락에서 압연의 정도(AG)의 적용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절히 제조된 저항기 및 대응하는 제조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항기의 제조 방법, 그에 따른 저항기 및 그 제조 장치
본 발명은 전기 저항기, 특히 저 저항 전류 측정 저항기를 위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에 따라 제조되는 저항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조 장치를 포함한다.
저 저항 전류 측정 저항기는 EP 0 605 800 A1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공지된 4- 와이어 기술에 따른 전류 측정에 사용될 수 있다. 측정할 전류는 저 저항 전류 측정 저항기를 통해 전도되므로 전류 측정 저항기 양단의 전압 강하가 측정된다. 측정된 전압 강하는 옴의 법칙에 따라 측정된 전류에 해당한다.
또한, 이러한 저 저항 전류 측정 저항기의 제조 방법은 EP 0 605 800 A1에 공지되어 있다. 도체 재료(예를 들어, 구리) 또는 저항 재료(예를 들어, 상표명 Manganin®)의 3 개의 재료 스트립은 종 방향 모서리를 따라 함께 용접되어, 중간에 저항 재료의 재료 스트립이 위치하는 복합 재료 스트립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전류 측정 저항기는 예를 들어 펀칭에 의해 복합 재료 스트립으로부터 분리되며, 이에 따라 복합 재료 스트립은 스트립의 종 방향에 횡 방향으로 분리된다. 개개의 전류 측정 저항기가 복합 재료 스트립으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복합 재료 스트립은 압연될 수 있으므로, 두께 감소로 인해 기계적 및 전기적 품질을 잃지 않고 더 길고 넓어지게 된다. 개별 전류 측정 저항기가 복합 재료 스트립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예를 들어 저항 요소에서 조정 절개를 함으로써 원하는 저항 값을 조정해야 한다.
이 공지의 제조 방법의 단점은 분리 후의 개별 전류 측정 저항기가 저항 값에 대해 불충분한 정확도를 갖기 때문에, 원하는 저항 값을 설정하기 위해 저항 요소에서 조정 컷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사실이다.
금속 막 저항기의 제조 방법은 US 2014/0059838 A1에 공지되어 있으며, 개별 금속 막 저항기는 재료 스트립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여기서 분리된 금속층 저항기의 저항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분리된 금속층 저항기의 측정된 저항 값에 따라 절단 폭을 조정하여 분리된 금속층 저항의 원하는 저항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은 분리된 금속층 저항기에서 수행되고 재료 스트립(기본 부품: 기부)에서는 수행되지 않는다. 또한 압연의 정도(degree of rolling)가 아니라 절단 폭 만 조정해야 한다. 따라서 이 공지의 제조 방법은 아직 최적이 아니다.
또한, 칩 저항기의 제조 방법은 US 2010/0176913 A1에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도 역시, 개별 칩 저항기는 재료 스트립으로부터 분리되므로, 분리된 칩 저항기의 저항 값은 원하는 저항 값에 따라 재료 스트립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측정된 값에 따라 재료 스트립의 두께를 조정하기 위해 재료 스트립에 대한 전기적 측정을 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이 공지의 제조 방법은 아직 최적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응하여 개선된 제조 방법,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저항기 및 대응하는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기초한다.
상기 목적은 독립적인 특허 청구항의 기술적 가르침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은 복합 재료 스트립의 압연이 복합 재료 스트립의 관련 저항의 감소로 인해 스트립의 종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복합 재료 스트립의 전기 저항의 변화를 유도하는 기술적 - 물리적 지식에 기초하며, 상기 전기 저항의 변화는 각각의 전류 측정 저항기의 전기 저항의 대응하는 변화에 반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목적하는 저항 값을 설정하기 위해 목표된 방식으로 압연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폐쇄 루프 제어 또는 개방 루프 제어의 일반적인 기술 교시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먼저 현재의 기술에 따라, 판 두께의 기부(예를 들어, 복합 재료 스트립)가 저항기에 제공되고, 기부는 특정 두께를 가지며 두께에 대응하여 전기 구성 요소의 특정 값(예컨대, 전기 저항)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저항기용 판형 기부 부분은 예를 들어 EP 0 605 800 A1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 복합 재료 스트립으로, 이 선행특허출원의 내용은 복합 재료 스트립의 구조 및 제조에 관한 설명을 제공한다.
그러나, 판형 기부는 단지 몇 개의 저항기가 분리될 수 있는 오직 하나의 블랭크 (블랭크) 일 수도 있다.
적합한 기부의 다른 예는 저항기 막이다.
두께에 의존하는 전기 부품의 특성은 예를 들어 기부의 전기 저항일 수 있다. 기부인 복합재료 벽의 경우, 두께-의존적인 전기 부품의 특성은 바람직하게는 스트립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전기 저항이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두께 의존적인 전기 부품 특성이 기부의 시트 저항인 것도 또한 가능하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기부의 압연을 일정 정도의 압연으로 제공하는 방법 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기부의 두께가 압연의 정도 및 부품 특성의 값이 그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기부의 압연은 기부의 두께의 감소로 이어지며, 따라서 기부의 단면의 변화로 이어지며, 이는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전기 저항의 증가를 초래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압연의 정도"는 압연 중 부품 두께의 감소를 기술하고 보통 백분율로서 주어진다. 압연률이 50 %라고 하는 것은, 예를 들면, 압연 중의 기부의 두께가 초기 두께의 50 %로 감소한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20 %의 압연률은 압연 중 기부의 두께가 개시 두께의 80 %로 감소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압연된 기부에서, 즉 기부의 압연 후에 두께 - 의존적 전기 부품 특성(예를 들어, 전기 저항)이 측정된다는 점에서 현재의 기술 수준과 구별된다. 예를 들어 복합 재료 스트립의 전기 저항은 스트립의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압연의 정도가 피 측정 전기 부품 특성에 따라 조정되어 완성된 저항기가 가능한 한 정확하게 원하는 저항값을 갖도록 하는 점에서 종래의 기술과 구별된다. 가능하다면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조정 컷을 삽입할 수 있다.
압연된 복합 재료 스트립상에서 측정된 저항 값이 너무 낮으면, 이것은 압연의 정도가 너무 낮다는 것을 나타내며, 즉 압연된 복합 재료 스트립이 너무 두꺼운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압연의 정도는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해 약간 증가되어 그에 따라 압연된 복합 스트립의 저항을 증가시킨다.
반면에, 압연된 복합 재료 스트립의 저항이 너무 높게 측정되면, 이는 압연된 복합 재료 스트립의 두께가 너무 낮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압연의 정도는 그에 따라 압연 후 더 두꺼운 복합 스트립을 얻고 그에 대응하여 더 낮은 저항을 얻도록 감소된다.
압연된 기부에 대한 두께 - 의존적인 전기 부품 특성의 측정 및 그에 따른 압연 정도의 조정은 진행하는 제조 방법 중에 연속적으로 바람직하게 수행되어, 측정된 부품 특성의 실제 값은 직경 의존적인 전기 부품 특성에 대한 소정의 목표 값 주변의 좁은 허용 오차 범위로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압연 정도의 조정은 제어 변수로서의 전기 성분 특성 및 조작 변수로서의 압연 정도를 갖는 폐쇄 루프 제어 시스템(즉, 피드백 루프)의 프레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는 압연 스테이션에서 압연되고 압연 된 기부의 부품 특성은 측정 스테이션에서 측정된다. 이 경우, 기부는 바람직하게 이송 장치에 의해 압연 스테이션을 통해 그리고 나서 측정 스테이션을 통해 운반된다.
여기서, 기부(예를 들어, 복합 재료 스트립)는 바람직하게는 압연 스테이션을 통해 그리고 측정 스테이션을 통해, 즉 정지 및 가압 작동을 통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것이 언급되어야 한다. 기부는 측정 스테이션을 통해 이송되는 동안 측정 스테이션에서 기부의 반송 이동을 정지시키지 않고 기부의 두께 의존 전기 부품 특성이 바람직하게 측정된다.
기부인 복합 재료 스트립의 경우, 압연된 복합 재료 스트립의 전기적 횡방향 저항은 예를 들어 반대편 측면의 복합 재료 스트립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 슬라이더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저항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기적 횡방향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원리에 관한 이 간단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측정 원리로도 실현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기부는 바람직하게는 EP 0 605 800 A1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 복합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길이 방향의 에지를 따라 특히 용접 이음(예 : 전자빔 용접 이음)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여러 개의 재료 스트립으로 구성된 복합 재료 스트립으로 구성된다. 복합 스트립을 압연하면 두께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상대적인 연신율도 감소한다. 이것은 스트립의 종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짧은 용접이 압연된 상태의 비교적 긴 복합 스트립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용접 이음새의 생산이 복합 재료 스트립의 압연보다 상당히 비싸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원하는 길이를 얻기 위해 복합 재료 스트립을 길이 방향으로 압연하기 위해 비교적 두껍고 상응하는 짧은 재료 스트립 상에 용접을 형성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따라서, 압연 중에 얻어지는 복합 재료 스트립의 상대 신장은 적어도 20%, 50%, 100%, 200%, 300% 또는 심지어 적어도 400%이다.
복합 재료 스트립에 덧붙여서, 예를 들어, 트라이 밴드(tri-band), 즉 종 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함께 결합된 3 개의 재료 스트립으로 구성된 복합 재료 스트립 일 수 있으며, 외부 재료 스트립은 중간 재료 스트립이 저항 재료(예를 들어, 상표명 Manganin®)로 구성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복합 재료 스트립은 길이 방향 모서리를 따라 함께 결합된 2 개의 재료 스트립, 하나의 도체 재료(예를 들어, 구리)로 구성된 하나의 재료 스트립으로 구성되는 바이-밴드 (bi-band) 일 수 있으며, 다른 재료 스트립(예를 들어, 상표명 Manganin®)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에 따르면, 기부는 반드시 복합 소재 스트립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기부는 저항 재료(예를 들어, 망간 )로 이루어진 저항 막일 수도 있다.
기부로서 복합 재료 스트립의 경우에, 스트립의 종 방향을 가로지르는 전기 저항은 바람직하게는 위에서 간략하게 언급된 바와 같이 두께 - 의존적인 전기 부품 특성으로서 측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있어서도, 개개의 저항기는 복합 재료 스트립이 압연된 후에 분리 스테이션에서 기부로부터 바람직하게 분리된다. 이 분리는 예를 들어 펀칭 스테이션에서 펀칭(punching)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분리된 저항기는 구부러지거나 다른 성형 공정을 거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제조 방법에 대한 보호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전기 저항기에 대한 보호를 요구하며, 또한 완성된 저항기에서 표현되고 인식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원하는 저항 값을 설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저항기가 조정 절개부를 가질 필요는 일반적으로 없다. 제조시에 압연의 정도를 연속적으로 조정하여 새로운 저항에 원하는 저항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저항기는 통상적으로 복합 재료 스트립의 펀치 아웃 (punching out)으로부터 유래하는 전류 흐름의 방향에 평행한 그 측연부 상에 펀칭된 에지를 갖는다는 것을 언급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항기는 일반적으로 전류를 저항기로 도입하거나 또는 저항기로부터 방전시키기 위해 하나의 도체 재료(예를 들어, 구리)로 만들어진 두 개의 연결부를 갖는다. 측정 대상의 전류가 저항 요소를 통해 흐르도록, 이들 2 개의 접속부 사이에 저항 재료(예를 들어, 상표명 Manganin®)로 만들어진 저항 요소가 전류 흐름 방향으로 배치된다. 저항 요소는 용접부(예를 들어, 전자 용접부)에 의해 두 개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용접부가 압연된다.
여기서, 연결부의 도체 재료는 저항 재료보다 낮은 특정 전기 저항을 갖는다는 것을 언급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항 재료의 관점에서 상표명 Manganin®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언급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저항 재료는 니켈-크롬-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다른 구리-망간 합금 또는 크롬-니켈 합금일 수 있다. 저항 재료의 다른 예는 구리-니켈 합금 또는 구리-크롬 합금이다.
그러나, 저항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고온 불활성을 갖는 저항률을 가지므로, 전기 저항의 온도 계수는 바람직하게는 5·10-4 K-1, 2·10-4 K-1 , 1·10-4 K-1 또는 5·10-5 K-1 보다 낮다.
본 발명에 따른 저항기의 저항 값은 바람직하게는 극도로 낮고, 1 Ω, 500 mΩ, 250 mΩ, 125 mΩ, 50 mΩ, 25 mΩ, 10 mΩ, 5 mΩ, 2 mΩ 또는 심지어 예를 들면, 1 mΩ 보다 작을 수 있다.
대조적으로, 도체 재료는 특정 전기 저항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10-5 mΩ, 10-6 mΩ 또는 10-7 mΩ 보다 작다.
그러나, 저항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2·10-4 Ωm, 2·10-5 Ωm 또는 2·10-6 Ωm 미만의 특정 전기 저항을 갖는다.
또한, 연결부 및/또는 저항 요소는 편평하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압연 공정에서 압연된 표면의 저항기는 Rz<10μm, Rz<5μm, Rz<3μm, Rz<2μm 또는 Rz<1μm 인 거친 표면 조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또한 전기 저항기의 제조를 위한, 특히 전술한 제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대응하는 제조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는 처음에 저항기를 위한 플레이트 형상의 기부(예를 들어, 복합 재료 웨브)를 공급하기 위한 재료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부는 특정 두께를 가지며 두께에 상응하는 두께 - 의존적인 전기적 부품 특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장치는,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판 형상의 기부를 어느 정도의 압연 량으로 압연하는 압연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기부의 두께는, 두께 의존적인 전기 부품의 특성 값이 변하게 된다.
최신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는 압연된 기부 상의 전기 부품 특성의 값을 측정하는 부가적인 측정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측정 스테이션의 기부인 복합 재료 스트립의 경우, 압연된 복합 재료 스트립의 전기 저항기가 스트립의 종 방향과 횡 방향으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는 측정된 전기 부품 특성의 함수로서 압연의 정도를 적용시키는 적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적용 장치는 예를 들어, 측정된 변수로서의 전기 부품 특성을 측정하고 그리고 상기 측정된 목표/실제 편차의 함수로서 제어 변수로서의 상기 압연의 정도를 조정하는 폐쇄 루프형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기부로 작용하는 복합 재료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해 종 방향 에지를 따라 여러 개의 재료 스트립을 함께 용접하기 위한 용접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는 압연형 기부로부터 개별 저항기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분리 스테이션은 복합 재료 스트립으로부터 개별 저항기를 펀칭하는 펀칭 스테이션 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는 압연 스테이션, 측정 스테이션 및/또는 분리 스테이션을 통해 기부(예컨대, 복합 재료 스트립)를 운반하는 컨베이어 장치를 또한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변형은 종속항에서 특징지어 지거나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과 함께 이하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압연된 기부에서, 즉 기부의 압연 후에 두께 - 의존적 전기 부품 특성(예를 들어, 전기 저항)이 측정된다는 점에서 현재의 기술 수준과 구별된다. 예를 들어 복합 재료 스트립의 전기 저항은 스트립의 길이 방향을 가로 질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압연의 정도가 피 측정 전기 부품 특성에 따라 조정되어 완성된 저항기가 가능한 한 정확하게 원하는 저항값을 갖도록 하는 점에서 종래의 기술과 구별된다. 가능하다면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조정 컷을 삽입할 수 있다.
도 1은 저 저항 전류 측정 저항기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플로우 차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류 측정 저항기의 사시도.
도 1은 저 저항 전류 측정 저항기(1)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EP 0 605 800 A1과 유사한 형태로 이미 알려져 있다. 전류 측정 저항기(1)는 구리 또는 다른 도체 재료로 제조된 두 개의 판형 연결부(2, 3)와 상표명 Manganin® 제품과 같은 저항 재료로 만들어진 저항 요소(4)로 구성된다. 저항 요소(4)는 2 개의 연결부(2, 3)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연결부(2, 3)는 측정하고자 하는 전류를 전류 측정 저항기(1)에 도입하거나 또는 전류 측정 저항기로부터 전류를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류 측정 저항기(1)를 제조하기 위해, 두 개의 구리 스트립(6, 7) 및 저항 스트립 (8)이 용접 스테이션(5)에 공급되고, 용접 스테이션(5)에서 이들의 종 방향 에지를 따라 함께 용접되어 복합 재료 스트립(9)을 형성하게 되는 데, 이는 예를 들어 EP 0 605 800 A1에서 공지되어 있다.
복합 재료 스트립(9)은 이어서 압연 스테이션(10)에 공급되고, 압연 스테이션(10)은 조절 가능한 압연의 정도(AG)로 복합 재료 스트립(9)을 압연한다. 압연 스테이션(10)에서 복합 재료 스트립(9)을 압연하는 것은 복합 재료 스트립(9)의 대응하는 두께 감소를 유도하여 단면의 변화를 가져오고, 따라서 스트립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저항 R의 변화를 초래한다.
압연된 복합 스트립(9)은 이어서 스트립의 종 방향에서 횡방향으로 복합 스트립(9)의 전기 저항(R)을 측정하고 이를 폐쇄 루프 제어기(12)로 전달하는 측정 스테이션(11)에 공급된다. 제어기는 그 다음 측정된 저항(R)을 소정의 설정 값으로 조정하기 위해, 측정된 저항(R)의 함수로서 압연의 정도(AG)를 제어한다.
복합 재료 스트립(9)은 최종적으로 개별 전류 측정 저항기(1)가 복합 재료 스트립(9)으로부터 분리되는 펀칭 스테이션(punching station)(13)에 공급된다.
복합 재료 스트립(9)의 제어된 압연은 개별적인 전류 측정 저항기(1)의 저항 값이 특정 설정 값에 매우 정확히 일치함을 의미하며, 그렇지 않으면 필요한 조정 절개 부들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을 흐름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제 1 단계(S1)에서, 두 개의 구리 스트립(6, 7)은 우선 저항 스트립(8)과 함께 용접되어 복합 재료 스트립(9)을 형성한다.
제 2 단계(S2)에서, 복합 재료 스트립(9)은 규정된 압연의 정도(AG)로 압연된다.
다음 제3단계(S)에서, 압연된 복합 스트립(9)의 저항(R)이 스트립의 종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측정된다.
이후의 제4단계 (S4)에서, 압연의 정도(AG)는 측정된 저항(R)의 함수로서 조정된다.
이러한 방법 단계들 (S1 내지 S)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틀 내에서 연속적으로 반복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많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며, 또한 발명의 아이디어를 사용하는 것도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 특히, 본 발명은 각각의 경우에 언급된 청구 범위에 관계없이, 특히 주요 청구범위의 특징을 제외하고는, 대상에 대한 보호 및 종속 청구항의 특성도 주장한다.
1 : 전류 측정 저항기
2 : 연결부
3 : 연결부
4 : 저항 요소
5 : 용접 스테이션
6 : 구리 스트립
7 : 구리 스트립
8 : 저항 스트립
9 : 복합 재료 스트립
10 : 압연 스테이션
11 : 측정 스테이션
12 : 폐쇄 루프 제어기
13 : 분리 또는 펀칭 스테이션
AG : 압연의 정도
R : 복합 스트립의 스트립 길이 방향을 가로 지르는 저항

Claims (13)

  1. 전기 저항기(1)를 제조하는 방법이 다음의 단계들(a)-(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저항기 제조 방법:
    a) 소정의 전기 부품 특성 값(R)의 두께에 대응하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전기 저항기(1)용 판형 기부(9)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기부(9)는 적어도 2 개의 재료 스트립(6, 7, 8)이 재료 스트립(6, 7, 8)의 종 방향의 에지를 따라, 용접 이음(weld seam)에 의해 함께 결합된 복합 재료 스트립(9)을 포함하고,
    이 때 두께 의존적인 전기 부품 특성(R)은 기부(9)의 전기 저항, 시트 저항 또는 횡 저항이며,
    b) 기부(9)를 소정의 압연의 정도(AG)로 압연하는 단계로서,
    복합 재료 스트립(9)은 복합 재료 스트립의 종 방향으로 압연되어 압연을 통해 복합 재료 스트립을 연장시키도록 하고,
    이 때 기부(9)의 두께는 압연의 정도(AG)에 따라서 감소하고 그에 따라서 전기 부품 특성(R)도 변화하며,
    c) 상기 압연된 기부(9)상의 두께 의존적인 전기 부품 특성(R)을 측정하는 단계,
    d) 측정된 전기 부품 특성(R)의 함수로서, 제어 변수로서 전기 부품 특성(R) 및 제어 변수로서의 압연의 정도(AG)을 갖는 폐쇄 루프 제어 시스템의 맥락에서 압연의 정도(AG)의 적용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a) 상기 기부(9)는 압연 스테이션 (10)에서 압연되고,
    b) 압연된 기부(9)의 전기 부품 특성(R)이 측정 스테이션(11)에서 측정되고,
    c) 기부(9)는 먼저 이송 장치에 의해 압연 스테이션(10)을 통과한 다음 측정 스테이션(11)을 통해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저항기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a) 상기 기부(9)는 압연 스테이션(10)을 통해 연속적으로 운반된 다음 측정 스테이션(11)을 통해 연속적으로 운반되고,
    b) 기부(9)가 측정 스테이션(11)을 통해 운반되는 동안, 측정 스테이션(11)에서 기부(9)의 이송 이동을 정지시키지 않고 기부(9)의 두께 - 의존적인 전기 부품 특성(R)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저항기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c) 상기 복합 재료 스트립 (9)은 적어도 20 %, 50 %, 100 %, 200 %, 300 % 또는 400 %의 상대 연신율로 복합 재료 스트립의 종 방향으로 압연함으로써 연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저항기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a) 복합 재료 스트립(9)은 그 종 방향 모서리를 따라 함께 결합된 3 개의 재료 스트립(6, 7, 8)으로 구성되는 3 중 밴드(tri-band)이고, 외측 재료 스트립(6, 7)은 도체 재료로 구성되며, 중간 재료 스트립(8)은 저항 재료로 구성되고, 또는,
    b) 복합 재료 스트립(9)은 그 종 방향의 모서리를 따라 결합되는 2 개의 재료 스트립으로 구성되는 바이 밴드(bi-band)이고, 하나의 재료 스트립은 도체 재료로 구성되고, 다른 재료 스트립은 저항 재료로 구성되고, 또는
    c) 기부(9)는 저항 재료로 구성된 저항 포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저항기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a) 복합 재료 스트립(9)은 압연 스테이션(10)을 통해 그런 다음 측정 스테이션(11)을 통해 복합 재료 스트립의 종 방향으로 운반되고,
    b) 전기 저항(1)은 측정 스테이션(11)에서 스트립의 종 방향을 가로 질러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저항기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압연 후 다음의 추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저항기 제조 방법:
    분리 스테이션(13)에서 펀칭에 의해 기부(9)로부터 전기 저항기(1)를 분리시키는 단계.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가,
    a) 전기 저항기(1)를 위한 판형 기부(9)를 이송시키기 위한 재료 공급부로서, 상기 기부(9)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두께에 대응하여 두께 - 의존적 인 전기 부품 특성 R)을 가지는 상기 재료 공급부, 및
    b) 판형 기부(9)를 일정한 압연의 정도(AG)로 압연하기 위한 압연 스테이션 (10)으로서, 상기 기부(9)의 두께는 상기 압연의 정도(AG)에 따라서 감소되는 것으로 된 상기 압연 스테이션(10),
    c) 압연된 출력 기부(9) 상의 전기 부품 특성(R)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스테이션(11), 및
    d) 측정된 전기 부품 특성(R)의 함수로서 압연의 정도(AG)를 조정하는 조정 기구(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저항기 제조 장치.
  13. 제 12 항에 따른 제조 장치에 있어서,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저항기 제조 장치:
    a) 기부(9) 역할을 하는 복합 재료 스트립(9)을 형성하기 위해 종 방향 에지를 따라 여러 개의 재료 스트립(6, 7, 8)을 함께 용접하기 위한 용접 스테이션(5),
    b) 기부(9)로부터 개별 저항기 요소를 펀칭 아웃하기 위한 펀칭 스테이션(13)의 형태인, 개별 전기 저항기(1)를 압연된 기부(9)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 스테이션(13),
    c) 압연 스테이션(10), 측정 스테이션(11) 및/또는 분리 스테이션(13)을 통해 기부(9)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수단.
















KR1020187023446A 2016-01-25 2017-01-25 저항기의 제조 방법, 그에 따른 저항기 및 그 제조 장치 KR102522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000751.6A DE102016000751B4 (de) 2016-01-25 2016-01-25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n Widerstand und entsprechende Herstellungsanlage
DE102016000751.6 2016-01-25
PCT/EP2017/000085 WO2017129361A1 (de) 2016-01-25 2017-01-25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n widerstand, widerstand und entsprechende herstellungs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154A KR20180107154A (ko) 2018-10-01
KR102522862B1 true KR102522862B1 (ko) 2023-04-18

Family

ID=5796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446A KR102522862B1 (ko) 2016-01-25 2017-01-25 저항기의 제조 방법, 그에 따른 저항기 및 그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964462B2 (ko)
EP (1) EP3408854B1 (ko)
JP (1) JP6793754B2 (ko)
KR (1) KR102522862B1 (ko)
CN (1) CN109074924B (ko)
DE (1) DE102016000751B4 (ko)
ES (1) ES2807958T3 (ko)
WO (1) WO20171293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6571A (ja) * 2017-08-10 2019-03-07 Koa株式会社 抵抗器の製造方法
JP7273469B2 (ja) * 2018-08-07 2023-05-15 Koa株式会社 シャント抵抗器の製造方法
CN117716452A (zh) * 2021-07-14 2024-03-15 Koa株式会社 基板内置用的芯片型电阻器、电阻器内置模块及其制造方法、修剪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43349A1 (de) * 1992-12-21 1994-06-30 Heusler Isabellenhuette Herstellung von Widerständen aus Verbund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39397B (de) * 1974-11-19 1977-10-10 Evg Entwicklung Verwert Ge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lektrischer leiter mit konstantem ohmschen widerstand pro langeneinheit
US4906968A (en) 1988-10-04 1990-03-06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Percolating cermet thin film thermistor
JPH0688350B2 (ja) 1990-01-12 1994-11-09 出光興産株式会社 正温度係数特性成形体の製造方法
DE4029107A1 (de) 1990-09-13 1992-03-19 Siemens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zno-hochleistungsvaristors mit einem radialen widerstandsprofil
FR2851943B1 (fr) * 2003-03-07 2005-04-08 Dispositif et procede de calibrage d'une planeuse a rouleaux par barre instrumentee
TWI430293B (zh) * 2006-08-10 2014-03-11 Kamaya Electric Co Ltd Production method of corner plate type chip resistor and corner plate type chip resistor
DE102006060387A1 (de) * 2006-12-20 2008-06-26 Isabellenhütte Heusler Gmbh & Co. Kg Widerstand, insbesondere SMD-Widerstand, und zugehöriges Herstellungsverfahren
CN101542643B (zh) * 2007-08-30 2011-09-28 釜屋电机株式会社 金属板芯片电阻器的制造方法以及制造装置
TW200947474A (en) * 2008-05-05 2009-11-16 Ren-Huan Pan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ethod of quadratic arc alignment dua-turret formation center, and miniature milliohm current sensors manufactured thereof
DE102009031408A1 (de) * 2009-07-01 2011-01-05 Isabellenhütte Heusler Gmbh & Co. Kg 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entsprechendes Herstellungsverfahren
CN103165254A (zh) * 2011-12-16 2013-06-19 深圳市业展电子有限公司 精密合金采样电阻器的制作方法
DE102012013036B4 (de) * 2012-06-29 2015-04-02 Isabellenhütte Heusler Gmbh & Co. Kg Widerstand, insbesondere niederohmiger Strommesswiderstand, sowie Beschichtungsverfahren hierzu
DE102014015805B3 (de) * 2014-10-24 2016-02-18 Isabellenhütte Heusler Gmbh & Co. Kg Widersta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und Verbundmaterialband zum Herstellen des Widerstan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43349A1 (de) * 1992-12-21 1994-06-30 Heusler Isabellenhuette Herstellung von Widerständen aus Verbund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08854A1 (de) 2018-12-05
DE102016000751A1 (de) 2017-07-27
DE102016000751B4 (de) 2019-01-17
WO2017129361A1 (de) 2017-08-03
CN109074924B (zh) 2021-01-08
KR20180107154A (ko) 2018-10-01
CN109074924A (zh) 2018-12-21
US20190066890A1 (en) 2019-02-28
JP2019506757A (ja) 2019-03-07
US10964462B2 (en) 2021-03-30
JP6793754B2 (ja) 2020-12-02
EP3408854B1 (de) 2020-06-17
ES2807958T3 (es)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2862B1 (ko) 저항기의 제조 방법, 그에 따른 저항기 및 그 제조 장치
CN107710349B (zh) 电阻器及其制造方法
EP3290146B1 (en) Resistance spot welding method
CN107112124A (zh) 层叠铁芯用材料及层叠铁芯的制造方法
EP3515693B1 (de) Siegelorgan
EP3030373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iderstandsschweissen von sandwichblechen
CN103180916A (zh) 电流检测电阻器
JP2009218552A (ja) チップ抵抗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2204822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auerhaften flächigen Verbinden von zwei Werkstoffplatten aus aufgeschäumtem Material
EP3152050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bundwerkstoffherstellung mit direkter kaschierspalterwärmung
WO2009109260A1 (de) Elektrischer heizkeil
US2020024322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esistor
EP3168032A1 (de) Fügevorrichtung und fügeverfahren
WO2010095256A1 (ja) 金属板低抵抗チップ抵抗器及びその製造方法
TWI490889B (zh) 合金晶片電阻器製造方法
TWI737734B (zh) 電阻器的製造方法及電阻器之製造設備
DE102004042719A1 (de) Stromsensor mit einem Messwiderstand
US20160114421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optimized resistance welding of metal sheets
JP2009111308A (ja) 金属板低抵抗チップ抵抗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13076817A1 (ja) 抵抗器および抵抗器の製造方法
JP2020102475A (ja) チップ抵抗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05964A (ja) 電流検出用チップ抵抗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4669A1 (de) Herstellung niederohmiger Widerstände
JP2006100209A (ja) 面状発熱体の製造方法
JP2009016472A (ja) チップ型抵抗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