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787B1 - 회전식 항문경 - Google Patents

회전식 항문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787B1
KR102521787B1 KR1020187001422A KR20187001422A KR102521787B1 KR 102521787 B1 KR102521787 B1 KR 102521787B1 KR 1020187001422 A KR1020187001422 A KR 1020187001422A KR 20187001422 A KR20187001422 A KR 20187001422A KR 102521787 B1 KR102521787 B1 KR 102521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dilator
anal
stop
mov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1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8772A (ko
Inventor
프란체스코 시아스
안토니오 만카
Original Assignee
프란체스코 시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란체스코 시아스 filed Critical 프란체스코 시아스
Publication of KR2018001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ctum, e.g. proctoscopes, sigmoidoscopes, colon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66Proximal part of endoscope body, e.g.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818Treatment of the gastro-intestinal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5Cannulas for introduction into a natural body opening
    • A61B2017/3452Cannulas for introduction into a natural body opening for the rectum, e.g. for hemorrhoid 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doscop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항문경(1)은 중공형이고 대향 단부에서 개방하는 고정부(2); 중공형이고 대향 단부에서 개방하여 상기 고정부(2)에 성형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2) 내에 동축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이동부(3); 상기 이동부(3) 내에 존재하며 직장점막(rectal mucosa)의 일부에 접근가능하게 제조하도록 배치된 윈도우(8); 및 상기 항문경(1)의 종방향 캐비티(13) 내에 택일적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종방향 캐비티(13)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확장기(dilator)(4)를 포함하며, 상기 종방향 캐비티(13)는 상기 이동부(3) 내에 포함된다. 상기 항문경(1)은 상기 확장기(4)가 상기 종방향 캐비티(13) 내에 삽입되지 않을 때 상기 이동부(3)가 상기 고정부(2) 내에서 동축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된 위치설정 및 로킹 수단(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식 항문경
본 발명은 진단 및/또는 수술 도구로서 항문과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는 항문경(anoscope)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타입의 항문경은 일반적으로 핸들을 통해 작업자에 의해 취급되어 (항문을 통해) 환자의 직장의 최종 부위에 도입될 수 있는 원통형 또는 원통-원뿔형 부분, 소위 스페큘럼(speculum)을 포함한다. 중공형이고 대향 단부에서 개방하는 전술한 스페큘럼에서, 원통형인 스페큘럽보다 긴 확장기가 삽입되고, 실질적으로 둥근 단부를 갖고, 매끄러운 표면을 구비한다. 확장기가 스페큘럼 내에 위치설정되고 스페큘럼이 직장 내에 삽입될 때, 확장기는 직장의 점막을 손상시키지 않고서 직장의 근육벽을 신장하여 작용한다. 항문경을 삽입한 후에, 확장기는 스페큘럼이 안착부 내에 유지되는 동안에 추출된다. 이로써, 직장의 최종 부위의 루멘이 일시적으로 확장되므로, 다른 도구를 쉽게 도입시키고 진단 및/또는 수술 조작을 쉽게 수행하게 한다.
치질(hemorrhoids)을 수술적으로 치료하는 공지된 방법 중 하나가 치질에 구심성(afferent)인 동맥을 폐색하는 것, 즉 루멘을 좁히고 치질로 지향된 혈류를 정지시키도록 봉합에 의해 전술한 혈관의 벽을 묶기 때문에, 스페큘럼의 측벽 내에 존재하는 압입부(indentation)가 존재하는 항문경이 제조되어 왔다. 이로써, 작동 윈도우가 유용하게 제조되고, 그에서 직장점막이 스페큘럼 내로 돌출할 수 있고, 그를 통해 (플라이어 및 슈처 니들 홀더와 같은) 적절한 수술 도구가 사전 설정된 수술 부위 근방, 예컨대 동맥(그 말단에서 치질이 형성됨) 근방에서 점막과 접촉할 수 있다. 단일의 환자에서 그리고 단일의 개입 동안에 직장점막의 일부 지대를 수술적으로 치료할 필요가 있다면, 외과의사는 치료될 점막의 지대 근방에 작동 윈도우를 위치시키기 위해 스페큘럼을 회전시켜야 한다. 우선, 외과의사는 확장기를 삽입하여, 작동 윈도우에서 직장점막을 신장하여, 윈도우가 이동될 때 점막이 윈도우 내에 핀치(pinch)되는 것을 회피한다. 그 후, 외과의사는 스페큘럼을 보유하여 작동 윈도우를 소정 위치에 가져가는 회전 각도에 따라서 그 종축 둘레에서 스페큘럼을 회전시킨다. 작동 윈도우가 적절하게 위치설정된 후에는, 외과의사는 확장기를 추출하여 작동 윈도우를 통해 돌출하는 직장점막의 일부를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절차는 시간 개입을 실질적으로 연장하므로, 외과 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상당한 불편함을 야기한다.
(출원인 Dr. Francesco Sias의) 국제출원공개 WO2004/021874호는 고정부로서, 그의 하나의 근위 단부는 작업자에 의해 취급될 수 있는 핸들을 구비하는 고정부과, 고정부와 성형식으로(shapingly) 결합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회전식으로 작동하는 항문경을 기술한다. 상기 이동부는 고정부 내에서 회전할 수 있고, 사용시에 확장기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이동부의 말단부는 사전 설정된 길이만큼 고정부의 대응하는 말단 개구로부터 돌출하고, 압입부, 즉 작동 윈도우가 이러한 말단부에 존재한다.
전술한 항문경은, 항문경의 일부에만 작용하여 전체 도구를 회전시키지 않고서 작동 윈도우가 직장점막의 상이한 지대에 연속적으로 위치설정되게 한다. 더욱이, 작동 윈도우의 치수는 수술 도구에 의해 실제로 관심사인 직장점막의 지대에만 접근가능하게 하므로, 직장의 과도한 부분이 작동 윈도우를 통해 돌출하여 수술 영역을 방해하는 것을 회피한다. WO2004/021874호의 항문경은 사전 설정된 왕복 각도 위치에서 고정부 내에 이동부의 상대 각도 위치를 조절하도록 배치된 각도 위치설정 수단을 더 구비한다. 특히, 상기 각도 위치설정 수단은 이동부의 360°회전을 제어하여 이동부를 6개의 선택가능한 위치에서 차단하게 하는 조절 링을 포함한다. 상기 6개의 선택가능한 위치는 직장의 내벽에 대한 동일한 개수의 작동 윈도우의 위치에 대응하고, 더욱 정확하게 이는 항문 자동봉합술에 의한 치질 정맥혈화(hemorrhoidal dearterialization)에 의해 치료가능한 6개 동맥의 위치에 대응한다. 항문 자동봉합술은 (본 출원인에 의해 고안된) 특히 효과적인 수술기술이며, 이는 상부의 치질 동맥(일반적으로, 그 말단에서 치질이 형성됨)으로부터 나오는 6개의 말단 동맥의 (직장벽을 따르는) 일정한 존재에 근거한다. 환자를 엎드린 자세로 위치시키고, 항문 개구를 전방으로 위치시킴으로써, 6개의 동맥이 가상의 시계면, 즉 1, 3, 5, 7, 9 및 11시에 각각 위치설정된다. 따라서, WO2004/021874호의 항문경을 이용함으로써, 외과의사는 동맥(그 말단에서 치질이 형성됨)에서 윈도우를 쉽게 위치시킬 수 있고, 치질의 상류에 작용함으로써 전술한 동맥을 묶는다.
WO2004/021874호에 개시된 항문경의 결점은 링을 회전시키므로, 확장기가 이동부 내에 삽입되지 않을 때에도 작동 윈도우를 회전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직장점막의 지대를 수술적으로 치료한 후에 링 및 그에 따른 작동 윈도우가 확장기 없이 우연하게 회전되면, 그리고 그에 따라 직장점막의 전술한 지대가 작동 윈도우를 통해 항문경 내로 돌출하는 단계에서는, 환자에 대한 결과적인 손상으로 작동 윈도우에 의해 스티치가 끌려가는 실질적인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 및 진단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는 항문경을 개선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고정부 내에서 회전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 내에 존재하는 윈도우를 구비한 타입의 항문경으로서, 확장기가 항문경 내에 삽입되지 않을 때 이동부 및 그에 따른 윈도우를 회전가능하지 않은, 항문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항문경이 제공된다.
본 발명으로 인해, 고정부 내에서 회전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 내에 존재하는 윈도우를 구비한 타입의 항문경으로서, 확장기가 항문경 내에 삽입되지 않을 때 이동부 및 그에 따른 윈도우를 회전가능하지 않은, 항문경이 유용하게 제조된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동부에 의해 형성되는 항문경의 내측 캐비티가 확장기에 의해 점유되지 않을 때 이동부가 고정부 내에서 동축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위치설정 및 로킹 수단의 존재로 인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몇 가지의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고정부, 이동부 및 확장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항문경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동부에 대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이동부의 근위 단부에 대한 정면도,
도 4는 도 1의 고정부의 근위 단부에 대한 정면도,
도 5는 도 1의 항문경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로서, 고정부 내에 수용된 이동부와, 이동부 내에 삽입된 확장기를 도시한 도면.
본 설명 및 첨부한 도면에서, 용어 "근위(proximal)"는 사용시에 항문경을 보유 및/또는 사용하는 작업자(예컨대, 외과의사)에 면하는 항문경(1)의 일부, 세그먼트 또는 단부를 정의한다. 그 결과, 용어 "말단(distal)"은 사용시에 항문경을 보유 및/또는 사용하는 작업자에 대향된 방향에 면하는 항문경(1)의 일부, 세그먼트 또는 단부를 정의한다.
도 1 내지 5는 고정부(2), 이동부(3) 및 확장기(4)를 포함하는 항문경(1)을 도시한다. 고정부(2), 이동부(3) 및 확장기(4)는 살균가능한 중합체 물질,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또는 의료 용도에 적합한 또 다른 재료로 제조된다.
성형식으로 결합되는 고정부(2)와 이동부(3)는 중공형이며 대향 단부에서 개방한다. 사용시에, 즉 항문경(1)이 조립(도 5)되면, 이동부(3)가 고정부(2) 내에 수용되는 한편, 확장기(4)는 이동부(3) 내에 택일적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이동부(3)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위치설정 및 로킹 수단(그 구조 및 작동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기술됨)으로 인해, 이동부(3)는 확장기(4)가 이동부(3) 내에 삽입될 때에만 고정부(2)에 대해 360°만큼 동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고정부(2)(도 1; 도 4; 도 5)는 근위 단부(2a)와 말단부(2b)를 포함하며, 말단부(2b)는 에지(2f)에 의해 경계를 이룬다. 2개의 단부(2a, 2b)는 개방형이며 왕복식으로 대향된다. 근위 단부(2a)는 사용시에 고정부(2) 및 그에 따른 항문경(1)의 말단이고, 항문경을 사용하는 작업자를 향해 면한다. 근위 단부(2a)로부터 말단부(2b)로 가는 고정부(2)는 대략 절두 원뿔체로 형성된 근위 세그먼트(2c)와, 대략 원통형인 말단 세그먼트(2d)를 포함한다. 근위 세그먼트(2c)와 말단 세그먼트(2d)는 모두 중공형이며 왕복식으로 연결되어, 이동부(2)를 수용하도록 배치되어 항문경(1)의 종축(X)(도 2)에 평행하게 연장된 하우징(2e)을 전체로서 형성한다.
고정부(2)는 실질적으로 인체공학적이며 작업자가 항문경(1)의 보유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에 적합한 형상을 구비한 핸들(5)을 포함한다. 특히, 핸들(5)은 실질적으로 세그먼트화된 형상(도 1; 도 4; 도 5)을 갖고, 복수의 대략 원반 형상의 돌출부(5b)가 안내하는 중앙 요소(5a)를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은 일 실시예에서, 핸들(5)은 도면에 도시한 세그먼트화된 구조를 가지지 않고, 내부가 중공형이다. 이로써, 핸들(5) 내에는 동축 광학 가이드가 제조될 수 있고, 이는 사용시에 수술 영역(즉, 항문경(1)의 내측 캐비티)을 비추기 위해 (공지된 타입의) 조명 장치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동부(3)(도 1; 도 2; 도 3; 도 5)는 중공형이며 왕복식으로 연결된 회전 세그먼트(3a)와 작동 세그먼트(3b)를 포함한다. 회전 세그먼트(3a)와 작동 세그먼트(3b)는 전체로서 항문경(1)의 종방향 캐비티(13), 즉 내측 캐비티를 형성하여, 종방향 캐비티(13)의 종축(X)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확장기(4)는 종방향 캐비티(13) 내에 택일적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종방향 캐비티(13)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회전 세그먼트(3a)가 대향 원뿔-원통형인 한편, 작동 세그먼트(3b)는 말단이 테이퍼지고 대략 절두 원뿔체로 형성된다. 회전 세그먼트(3a)가 이동부(2)의 근위부에 대응하는 한편, 작동 세그먼트(3b)는 이동부(3)의 말단부에 대응한다.
회전 세그먼트(3a)에 대향된 작동 세그먼트(3b)의 일단부에는, U-자형의 압입부(7)가 존재하며, 그 오목한 형태는 회전 세그먼트(3a)에 대향된 방향에 면한다. 압입부(7)는 작업자가 수술적으로 치료되거나 진단을 받을 직장점막의 일부에 접근가능하게 하는 윈도우(8)를 형성한다. 회전 세그먼트(3a)의 외경이 실질적으로 작동 세그먼트(3b)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2개의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지대에는, 링 형상의 받침 지대(14)가 형성된다(도 2).
항문경(1)이 조립되면, 이동부(3)는 작동 세그먼트(3b)가 고정부(2)의 근위 단부(2a)에 면하는 방식으로 위치설정된다. 그 다음, 이동부(3)는 작동 세그먼트(3b)와 회전 세그먼트(3a)를 하우징(2e) 내에 삽입하고 작동 세그먼트(3b)가 고정부(2)의 말단부(2b)에서 나올 때까지 계속함으로써, 화살표(F1)(도 1)로 나타낸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이는 이동부(3)를 제조하는 재료가 고정부(2) 내로의 삽입 단계 동안에 이동부(3)가 실질적으로 가역적으로 변형가능한 점에 의해 가능해진다. 작동 세그먼트(3b)가 말단부(2b)에서 나온 후에, 받침 지대(14)는 고정부(2)의 인접한 에지(2f)에 대해 인접한다.
이동부(3) 내에는, 복수의 그루브(10)가 존재한다. 각각의 그루브(10)는 회전 세그먼트(3a)의 측방향 벽의 두께 내에 존재하며, 대략 U-자형이고 작동 세그먼트(3b)에 대향하는 방향에 면하는 오목한 형태를 갖는 근위 세그먼트(10a)와, 직선형이고 근위 세그먼트(10a)의 오목한 형태로부터 이어지는 말단 세그먼트(10b)를 포함한다.
각각의 그루브의 근위 세그먼트(10a)는 회전 세그먼트(3a)의 자유(근위) 단부로부터 외주로 돌출하며 회전 세그먼트(3a)에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플랜지부(12) 내에 존재하는 노치(15)로 계속한다. 그루브(10)의 말단 세그먼트(10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부(3)가 고정부(2) 내에 삽입될 때, 작업자가 이동부(3)의 횡방향 직경(및 특히 회전 세그먼트(3a)의 횡방향 직경)을 일시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이동부(3)를 하우징(2e) 내에 적절하게 위치설정하게 한다.
2개의 연속적인 노치(15)들 사이에 포함된 플랜지부(12)의 위치에서, 플랜지(12)에 슬라이더(16)가 고정된다. 슬라이더(16)는 윈도우(8)(도 1; 도 2)와 정렬되므로, 이동부(3)가 고정부(2) 내에서 회전될 때(즉, 확장기(4)가 종방향 캐비티(13) 내에 삽입될 때), 사용시에 윈도우(8)의 위치를 표시한다. 조립된 항문경(1)에서, 슬라이더(16)는 근위 단부(2a)(도 5)에 위치설정되어 근위 단부(2a)를 따라 슬라이딩한 후에, 확장기(4)가 종방향 캐비티(13) 내에 삽입될 때 이동부(3)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항문경(1)은 위치설정 및 로킹 수단(9)을 구비하여, 이동부(3)가 고정부(2)에 대해 사전 설정된 각도 위치에 위치되어, 확장기(4)가 종방향 캐비티(13) 내에 삽입되지 않을 때 상술한 각도 위치 내에서 차단되게 한다. 위치설정 및 로킹 수단(9)은 복수의 리세스(6a)와 스톱(11)을 포함한다.
리세스(6a)는 6개(도 4)이고, 고정부(2)의 근위 단부(2a)의 내부에 존재하는 숄더(6)(도 5)에 형성된다. 각각의 리세스(6a)는 대략 반구형이며 스톱(11)과 성형식으로 결합된다.
스톱(11)은 대략 반구형이며 슬라이더(16) 근방의 이동부(3) 내에 형성된다. 더욱 정확하게, 스톱(1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16)가 고정되며, 조립된 항문경(1)에서 고정부(2)의 근위 단부(2a)에 면하는 플랜지부(12)의 지대 내에 형성된다.
도 5에서, 리세스(6a)는 있어야 할 정확한 위치에 도시된 것이 아니라, 리세스(6a)가 (도 5 중 하나와 같이) 측단면도에 개략적으로 나타내기에 적합한 위치에 도시된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항문경(1)에서, 가상의 시계면의 (원형) 윤곽에 근위 단부(2a)를 매칭함으로써, 6개의 리스세(6a)의 위치는 1, 3, 5, 7, 9, 11시(도 4), 즉 상부의 치질 동맥의 6개의 말단 동맥의 위치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따라서, 리세스(6a)는 근위 단부(2a)의 사전 설정된 위치에 존재한다. 이러한 리세스(6a)의 구성은 항문경(1)이 WO2004/021874호에 개시된 회전식 작동 항문경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용되게 하는, 즉 출원인에 의해 고안된 수술 기술(항문 자동봉합술에 의한 치질 정맥혈화)을 이용함으로써 전술한 동맥의 단부에 형성할 수 있는 치질을 수술적으로 치료하게 한다.
항문경(1)이 조립되면, 이동부(3)는 (방향(F1)을 따라) 고정부(2)의 하우징(2e)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스톱(11)이 6개의 리세스(6a) 중 어느 것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항문경(1)의) 종축(X)에 대해 회전된다. 이는 이동부(3)가 회전하는 동안에 (윈도우(8)와 정렬되는) 슬라이더(16)의 위치를 봄으로써 그리고 슬라이더(16)가 1, 3, 5, 7, 9 또는 11시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 이동부(3)의 회전을 중지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때, 이동부(3)는 하우징(2e) 내에 전체적으로 삽입되어, 대응하는 리세스(6a) 내에 스톱(11)을 삽입한다. 리세스(6a)와 스톱(11)이 성형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스톱(11)과 대응하는 리세스(6a)는 고정부(2) 내에서 이동부(3)의 동축 회전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왕복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위치설정 및 로킹 수단(9)은 이동부(3)가 위치되게 할 뿐만 아니라, 고정부(2)에 대해 사전 설정된 각도 위치에서 차단되게 한다. 이동부(3)가 차단되면, 윈도우(8)는 가상의 시계면의 대응하는 시간(1, 3, 5, 7, 9 또는 11)에 유사하게 위치설정된다. 슬라이더(16)가 윈도우(8)와 정렬되기 때문에, 윈도우(8)가 위치설정되는 시간(즉, 위치)은 고정부(2)의 근위 단부(2a)에 대한 슬라이더(16)의 위치에 의해 명확하게 도시된다.
이동부(3)를 언로킹하여 이동부(3)가 하우징(2e) 내에서 360°만큼 회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종방향 캐비티(13) 내에 확장기(4)를 삽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방향 캐비티(13)(도 1; 도 5)는 근위부(4a), 중간부(4b), 말단부(4c), 연결부(4d) 및 텅부(4e)를 포함한다. 중간부(4b)는 기다란 원통형이며 확장기(4)의 바디를 형성한다. 중간부(4b)는 연결부(4d)와 말단부(4c) 사이에 개재되어, 확장기(4)의 팁부에 대응하며 테이퍼지거나/지고 라운드진다. 근위부(4a)는 원통형이고 내부가 중공형이며 중간부(4b)에 대향된 근위부(4a)의 지대로부터 경사지게 돌출하는 텅부(4e)를 형성하도록 측방향으로 기다랗다. 텅부(4e)는 곡선 프로파일을 갖고, 작업자에 의해 그 취급을 허용하기에 적합한 인체공학적 형상을 구비한다. 근위부(4a)와 중간부(4b) 사이에는, 대략 절두 원뿔형인 연결부(4d)가 개재되며, 그 주요 베이스는 근위부(4a)에 인접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4d)와 중간부(4b)는 이동부(3) 내에 형성된 종방향 캐비티(13)와 성형식으로 결합된다. 더욱이, 연결부(4d)와 중간부(4b)의 총 길이는 말단부(4c)만이 작동 세그먼트(3b) 외부로 종방향으로 돌출하게 하는 정도이다.
연결부(4d)의 외부면 상에는, 그루브(10)와 성형식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돌출 요소(jutting elements)(17)가 존재한다. 더욱 정확하게, 돌출 요소(17)는 그루브(10)의 근위 세그먼트(10a)와 성형식으로 결합되므로, (말단부(4c)를 향해 면하는 오목한 형태를 갖는) 대략 U-자형 프로파일을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한 항문경(1)의 버전에서, 돌출부(17)는 3개(그 중 2개만이 도 1에 도시함)이고, 120°만큼 왕복으로 지그재그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은 실시예에서, 돌출 요소(17)는 3개 미만 또는 3개 초과(최대 6개까지)의 개수일 수 있다.
항문경(1)의 조립을 완료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2) 내에 이동부(3)를 삽입 및 차단한 후에, 확장기(4)는 각각의 돌출 요소(17)가 도달하여 대응하는 그루브(10)의 근위 세그먼트(10a)와 완전히 결합하는 방식으로 방향(F1)을 따라 종방향 캐비티(13) 내에 삽입된다. 이로써, 텅부(4e)에 작용함으로써 이동부(3)를 언로킹하여, 확장기(4)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실제로, 각각의 돌출 요소(17)는 확장기(4)를 회전시킴으로써 대응하는 근위 세그먼트(10a)와 결합하기 때문에, 스톱(11)이 대응하는 리세스(6a)를 분리하도록 강제하여 리세스(6a)에서 나온다. 그 다음, 이동부(3)는 회전한 다음, 확장기(4)를 회전하고, 스톱(11)은 다음의 리세스(6a)(및 그에 따른 윈도우(8)의 이후 위치)에 도달하여 리세스(6a)와 결합할 때까지 근위 단부(2a)의 숄더(6)와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에서, 작업자가 확장기(4)(및 그에 따른 이동부(3))의 회전을 중지하고, 방향(F1)에 평행하고 대향된 방향(미도시)을 따라 확장기(4)를 이동함으로써 종방향 캐비티(13)로부터 확장기(4)를 추출하면, 이동부는 리세스(6a)와 결합하는 스톱(11)으로 인해 차단될 것이고, 그 결과 윈도우(8)는 소정의 개입 지점에 위치설정(및 차단)될 것이다. 그 반대로, 작업자가 확장기(4)(및 그에 따른 이동부(3))와 계속하여 회전하면, 스톱(11)은 리세스(6a)를 분리하고, 리세스(6a)에서 나올 것이며, 이후의 리세스(6a)에 도달할 때까지 숄더(6)와 계속하여 슬라이딩 접촉할 것이다.
돌출 요소(17)와 그루브(10), 및 특히 이들의 근위 세그먼트(10a)는 이동부(3)와 확장기(4) 내에 형성된 언로킹 수단(18)을 전체적으로 구성한다. 사용시에, 언로킹 수단(18)은 위치설정 및 로킹 수단과 상호 보완적인 방식으로 작용하여, 항문경(1)이 효율적인 방식으로 작동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문경(1)의 사용에 대한 가능한 모드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하기에 기술된다.
핸들(5)을 통해 (종방향 채널(13) 내에 삽입된) 확장기(4)를 완비한 항문경(1)을 보유함으로써 작업자는, 치료될 환자의 볼기사이틈새(intergluteal cleft)에 핸들(5)이 평행하고, 작동 세그먼트(3b)가 환자의 항문 개구 근방에 위치설정되는 방식으로 항문경(1)을 배향한다. 그 다음, 항문경(1)은 장내 루멘을 확장하여 장내 점막을 신장하는 확장기(4)로 인해 직장의 최종 부위에 삽입되어, 이동부(3)와 고정부(2)의 접근을 진행하여 용이하게 한다. 직장의 최종 부위에 항문경(1)을 위치설정하기만 하면, 작업자는 텅부(4e)를 파지하고, 텅부(4e)에 작용함으로써, 이동부(3)를 언로킹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는 언로킹 수단(18)에 의해, 즉 확장기(4)의 돌출 요소(17)에 의해 그리고 그루브(10)의 근위 세그먼트(10a)에 의해 가능해지므로, 스톱(11)이 각각의 리세스(6a)와 왕복으로 결합하고 그 리세스(6a)로부터 해제되게 한다. 작업자는 윈도우(8)를 (슬라이더(16)의 위치에 의해 도시된) 소정 위치에 가져갈 때까지 이동부(3)를 회전시키고, 확장기(4)를 종방향 캐비티(13)로부터 추출한다. 이로써, 수술적으로 치료될(또는 진단 목적을 위해 검사될) 직장점막의 일부가 작업자에 접근가능해지고, 고정부(2)에 대해 이동부(3)를 더 이상 회전가능해지지 않는데, 그 이유는 스톱(11)이 대응하는 리세스(6a)와 결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동부(3)를 회전시켜서 윈도우(8)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윈도우(8)에 위치설정된 직장점막의 일부를 수술적으로 치료(또는 검사)한 후에, 작업자는 종방향 캐비티(13) 내에 확장기(4)를 필연적으로 삽입해야 함으로써, 리세스(6a)로부터 스톱(11)을 분리하여 이동부(3)를 언로킹할 것이다. 이로써, 이동부(3)가 확장기(4) 없이 우연하게 회전되고, 환자에 대한 결과적인 손상으로 봉합 스티치가 윈도우(8)에 의해 끌려가는 위험이 실질적으로 회피된다.
항문경(1)은 치질을 수술적으로 치료하는 것과 더불어, 일반적으로 탄성 결찰(elastic ligations), 저온요법(cryotherapy), 장폴립(intestinal polyps)의 절제술을 수행하고, 낭종주사(sclerosing injections), 항문경유 진단(trans-anal diagnosis) 및 치료(therapy)를 수행하는데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것 그리고/또는 첨부한 도면에 도시한 것에는 변경 및/또는 추가가 가능하다.

Claims (11)

  1. 고정부(2), 이동부(3), 윈도우(8) 및 확장기(dilator)(4)를 포함하는 항문경(anoscope)(1)으로서, 상기 고정부(2)는 중공형이고 대향 단부에서 개방하고, 상기 이동부(3)는 중공형이고 대향 단부에서 개방하고, 상기 이동부(3)는 상기 고정부(2)에 형상맞춤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2) 내에 동축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8)는 상기 이동부(3) 내에 존재하며 직장점막(rectal mucosa)의 일부에 접근가능하게 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확장기(4)는 선택적으로 상기 항문경(1)의 종방향 캐비티(13) 내에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종방향 캐비티(13)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상기 종방향 캐비티(13)는 상기 이동부(3) 내에 포함되고,
    상기 항문경(1)은 상기 확장기(4)가 상기 종방향 캐비티(13) 내에 삽입되지 않을 때 상기 이동부(3)가 상기 고정부(2) 내에서 동축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된 위치설정 및 로킹 수단(9)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 및 로킹 수단(9)은 스톱(11)과 복수의 리세스(6a)를 포함하고, 상기 스톱(11)은 상기 이동부(3)가 상기 고정부(2) 내에서 동축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시에 상기 리세스(6a) 중 하나와 결합하고,
    상기 항문경(1)은 상기 이동부(3) 내에 그리고 상기 상기 확장기(4) 내에 형성된 언로킹 수단(18)을 포함하며, 상기 언로킹 수단(18)은 상기 확장기(4)가 상기 종방향 캐비티(13) 내에 삽입될 때 사용시에 상기 리세스(6a)로부터 상기 스톱(11)을 분리하게 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항문경(1)은, 상기 언로킹 수단(18)이 상기 확장기(4) 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 요소(17)와, 상기 이동부(3)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그루브(10)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 요소(17)는 상기 그루브(10)와 형상맞춤 결합되며 상기 확장기(4)가 상기 종방향 캐비티(13) 내에 삽입될 때 상기 그루브(10)와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돌출 요소(17)가 상기 그루브(10)와 결합할 때, 상기 확장기(4)는 상기 리세스(6a)를 분리하도록 상기 스톱(11)을 강제하며 상기 이동부(3)가 상기 고정부(2) 내에 동축으로 회전하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종방향 캐비티(13) 내에서 회전될 수 있는,
    항문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11)은 상기 이동부(3) 내에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6a)는 상기 고정부(2) 내에 존재하는,
    항문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11)은 상기 이동부(3)의 근위부에 고정된 슬라이더(16) 근방에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6a)는 상기 고정부(2)의 근위 단부(2a) 내에 존재하는,
    항문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11)은 상기 이동부(3)의 상기 근위부 내에 포함된 플랜지부(12) 내에 형성되는,
    항문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11)은 사용시에 상기 고정부(2)의 상기 근위 단부(2a)에 면하는 상기 플랜지부(12)의 지대 내에 형성되는,
    항문경.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요소(17)는 상기 그루브(10)의 대응하는 근위 세그먼트(10a)와 형상맞춤 결합되는,
    항문경.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6a)는 상기 근위 단부(2a)의 사전 설정된 위치에 존재함으로써, 상기 이동부(3)와 상기 윈도우(8)가 상기 고정부(2)에 대해 복수의 사전 설정되고 대체적인 각도 위치에 위치설정 및 로킹되게 하는,
    항문경.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7001422A 2015-06-17 2016-06-15 회전식 항문경 KR102521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5000024709 2015-06-17
ITUB20151475 2015-06-17
PCT/IB2016/053538 WO2016203395A1 (en) 2015-06-17 2016-06-15 Rotating anosco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772A KR20180018772A (ko) 2018-02-21
KR102521787B1 true KR102521787B1 (ko) 2023-04-14

Family

ID=55358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1422A KR102521787B1 (ko) 2015-06-17 2016-06-15 회전식 항문경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3310246B1 (ko)
JP (1) JP6843847B2 (ko)
KR (1) KR102521787B1 (ko)
CN (1) CN107949417B (ko)
BR (1) BR112017027156B1 (ko)
ES (1) ES2767686T3 (ko)
HK (1) HK1249872A1 (ko)
MY (1) MY198356A (ko)
RU (1) RU2715448C2 (ko)
WO (1) WO20162033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600112850A1 (it) 2016-11-09 2018-05-09 Francesco Sias Anoscopio
US20210378491A1 (en) * 2017-09-12 2021-12-0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lonoscopy pressure retention device
CN108634921A (zh) * 2018-05-02 2018-10-12 太仓市中医医院 一种带窗口便于缝扎止血的肛门镜
CN108498063A (zh) * 2018-05-02 2018-09-07 太仓市中医医院 一种可拆卸式肛门镜
GB2580407B (en) * 2019-01-10 2022-05-25 Haemoband Surgical Ltd A rectal insertion device
DE102022002849A1 (de) 2022-08-05 2024-02-08 Primed Halberstadt Medizintechnik Gmbh Proktoskop und Verfahren zum Einsatz eines Proktoskop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5306A1 (en) * 2005-10-26 2008-11-06 Carlo Rebuffat Anoscope for Ano-Rectal Diagnostic and Surgery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4142A (en) * 1992-08-04 1994-04-19 Medamicus, Inc. Dilator - Introducer locking hub and sheath valve apparatus
US5464412A (en) * 1994-07-12 1995-11-07 Budding; Jacobus Solo operated hemorrhoid ligator rectoscope
US6126594A (en) * 1998-07-21 2000-10-03 Bayer; Izhack Anoscope for internal hemorrhoidectomy
EP1234539A3 (de) * 2001-02-15 2002-09-11 AMI (Agency for medical innovations GmbH) Einrichtung zur Verwendung bei der Ligatur von intramuralen Arterien in Hohlorganen
RU38567U1 (ru) * 2004-02-12 2004-07-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чреждение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Свердловская областная клиническая больница № 1" Аноскоп
WO2006033122A1 (en) * 2004-09-21 2006-03-30 Sapi Med S.P.A. Medical device for precision surgery
US8430814B2 (en) * 2006-04-11 2013-04-30 Ali Dogan Bozdag Anoscope
EP2269516B1 (en) * 2009-06-29 2013-01-02 National Cancer Center Surgical apparatus for transanal endoscopic microsurgery
CN201505124U (zh) * 2009-08-21 2010-06-16 黄鸿翔 一次性肛门镜
CN202568433U (zh) * 2012-05-18 2012-12-05 何海荣 一种单孔腹腔镜用的扩张器
ITMI20121377A1 (it) * 2012-08-02 2014-02-03 Angiologica B M S R L Anoscopio
JP5628261B2 (ja) * 2012-09-28 2014-11-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医療用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5306A1 (en) * 2005-10-26 2008-11-06 Carlo Rebuffat Anoscope for Ano-Rectal Diagnostic and Surg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49417A (zh) 2018-04-20
JP2018521817A (ja) 2018-08-09
RU2018101319A (ru) 2019-07-17
WO2016203395A1 (en) 2016-12-22
RU2018101319A3 (ko) 2019-09-04
JP6843847B2 (ja) 2021-03-17
RU2715448C2 (ru) 2020-02-28
EP3310246A1 (en) 2018-04-25
HK1249872A1 (zh) 2018-11-16
KR20180018772A (ko) 2018-02-21
EP3310246B1 (en) 2019-10-23
ES2767686T3 (es) 2020-06-18
MY198356A (en) 2023-08-28
CN107949417B (zh) 2020-11-03
BR112017027156A2 (ko) 2018-08-21
BR112017027156B1 (pt)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1787B1 (ko) 회전식 항문경
CA2630015C (en) A process and a device for surgical treatment of rectal and haemorrhoidal prolapse
US7118528B1 (en) Hemorrhoids treatment method and associated instrument assembly including anoscope and cofunctioning tissue occlusion device
EP1929959B1 (en) A surgical device for transanally accessing the rectum of a patient
JP4242491B2 (ja) 内視鏡治療装置
KR102219533B1 (ko) 가요성 내시경 지원 시스템
RU248013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пролапса
JP7064024B2 (ja) 多機能の高周波電気メス
US20080249544A1 (en) Medical Device for Applying Purse String Sutures
KR102566128B1 (ko)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
CN111542255B (zh) 用于在治疗痔疮时使用的设备
WO2020136504A1 (en) Surgical needle guiding rod and kit
US10856883B2 (en) Medical clip cartridge
KR101585019B1 (ko) 조직 제거장치
KR20230136620A (ko) 직장경
JP2007068858A (ja) 鉗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