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6620A - 직장경 - Google Patents

직장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6620A
KR20230136620A KR1020237027446A KR20237027446A KR20230136620A KR 20230136620 A KR20230136620 A KR 20230136620A KR 1020237027446 A KR1020237027446 A KR 1020237027446A KR 20237027446 A KR20237027446 A KR 20237027446A KR 20230136620 A KR20230136620 A KR 20230136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ongated
proctoscope
positioning device
rear end
longitudin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7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한 웅게르스테트
Original Assignee
디벨로퍼레이션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벨로퍼레이션 아베 filed Critical 디벨로퍼레이션 아베
Publication of KR20230136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62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2Devices for opening or enlarging the visual field, e.g. of a tub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ctum, e.g. proctoscopes, sigmoidoscopes, colon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66Proximal part of endoscope body, e.g.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 A61B2090/036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abutting on tissue or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2, 2´); 본체(2, 2')로부터 연장하는 핸들(3, 3'); 전방 단부(10) 및 후방 단부(13)를 포함하는 세장형 요소(4, 4')로서, 상기 후방 단부는 본체(2, 2')에 부착되고 세장형 요소(4, 4')의 내부가 후방 단부를 통해 접근 가능하도록 개방되며, 상기 세장형 요소는 종축(L)을 따라 연장하는, 세장형 요소(4, 4');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의 세장형 요소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5; 5'), 및/또는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의 세장형 요소에 형성된 투명 섹션; 및 적어도 하나의 개구 및/또는 투명 섹션을 따라서 배열되고 세장형 요소의 개방된 후방 단부를 통해 판독 가능한 기준 마킹(9a, 9b, 9c)을 포함하는 직장경(1, 1')에 관한 것이다. 직장경은 치료 영역에 대한 의도된 위치에 직장경(1, 1')을 지지하기 위한 위치결정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결정 장치는 전방 단부 접촉 표면(8)을 가지는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7, 7')로서, 상기 위치 조정 장치(7, 7')는 본체(2, 2')에서 종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고 본체(2, 2')로부터 세장형 요소(4, 4')와 동일한 방향으로 본체(2, 2')로부터 연장하는,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7, 7'); 및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7, 7')를 선택된 위치에 고정하도록 배열된 잠금 수단(71, 71)을 포함하며; 전방 단부 접촉 표면(8)은 치료 영역이 기준 마킹(9a, 9b, 9c)과 관련하여 의도된 위치에 배열되는 종축(L)을 따르는 위치에 직장경을 유지하고 지지하기 위해서 환자의 피부에 대해 지지하도록 의도된다.

Description

직장경
본 발명은 직장경(proctoscope)에 관한 것이다.
50세 초과 인구의 최대 25%가 치질(hemorrhoid)을 앓고 있다. 치질은 고통스러울 수 있고 영향을 받은 사람에게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모두 다양한 정도의 합병증과 관련된 여러 치료 방법이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현대 기술 중 하나는 동맥을 항문에 공급하는 것을 묶음실(ligature)로 폐색하고; 그 후 점막을 들어올리고 들어 올려진 위치에 4 내지 5번의 바느질로 고정하느 것이다.
대체 방법은 EP2163211 호에 개시된 치질 치료용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된다. 개시된 장치는 점막을 절단하고 다시 함께 스테이플링(stapling)하여 점막을 2 내지 3 cm 들어올림으로써 치질의 원하는 치료를 수행하기 위한 외과적 스테이플링용으로 의도된다. 치료는 효과적이지만 수술 후 통증, 패혈증(sepsis), 심지어 사망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과 관련이 있다. 마취의 필요성과 장치의 비용으로 인해서 비용이 많이 든다.
치질의 치료를 위한 상이한 공지된 방법은 모두 상이한 결점을 겪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수술 시간, 치료 비용을 감소시키고 치료 결과를 개선할 수 있는 개선된 기술적 해결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정의된 문제점을 적어도 어느 정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직장경에 관한 것이다.
직장경은:
본체;
본체로부터 연장하는 핸들(handle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포함하는 세장형 요소(elongated element)로서, 상기 후방 단부는 본체에 부착되고 세장형 요소의 내부가 후방 단부를 통해 접근 가능하도록 개방되며, 상기 세장형 요소는 종축(L)을 따라 연장하는, 세장형 요소;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의 세장형 요소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opening), 및/또는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의 세장형 요소에 형성된 투명 섹션;
적어도 하나의 개구 및/또는 투명 섹션을 따라서 배열되고 세장형 요소의 개방된 후방 단부를 통해 판독 가능한 기준 마킹(reference marking)을 포함한다. 직장경은 치료 영역에 대한 의도된 위치에 직장경을 지지하기 위한 위치결정 장치(positioning device)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결정 장치는:
전방 단부 접촉 표면을 가지는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로서, 상기 위치 조정 장치는 본체에서 종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고 본체로부터 세장형 요소와 동일한 방향으로 본체로부터 연장하는,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 및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를 선택된 위치에 고정하도록 배열된 잠금 수단(locking means)을 포함하며;
전방 단부 접촉 표면은 치료 영역이 기준 마킹과 관련하여 의도된 위치에 배열되는 종축을 따르는 위치에 직장경을 유지하고 지지하기 위해서 환자의 피부에 대해 지지하도록 의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치질의 외과적 치료의 원하는 결과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치료가 필요한 영역의 정확한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장경은 환자의 직장에 도입되어 수술에 의한 치질 치료 이전에 직장 내 치료 영역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고 수술 중 원하는 위치에 직장경을 유지하도록 의도된다.
적어도 하나의 개구 및/또는 투명 섹션은 탈루된 항문 점막(prolapsed anal mucosa)의 위치를 검출하고 탈루된 항문 점막이 직장경의 기준 마킹에 대해 의도된 위치에 배열되도록 직장경을 위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단 치료를 필요로 하는 영역의 위치가 결정되면, 치료를 필요로 하는 영역이 세장형 요소에 따른 의도된 위치에 배열되도록 종축(L)에 따른 직장경의 위치가 조정되며 위치 조정 장치는 종축(L)에 따른 원하는 위치에 직장경을 지지하고 유지하기 위해서 직장 주변 영역의 어딘가에서 환자의 피부에 대해 전방 접촉 표면이 지지되는 위치에 배열된다. 또한, 핸들은 장치의 도입 및 각도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한다.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는 예를 들어,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스크류 또는 세장형 로드와 같은 여러 상이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직장경의 일 실시예에서, 기준 마킹은 의도된 치료 영역 또는 리니어 덴타타(linea dentata)와 같은 기준 위치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의도되며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는 단부 접촉 표면이 환자의 피부에 대해 지지되는 위치에 잠기게 된다. 리니어 덴타타는 외과적 치료가 환자에게 심한 통증을 유발할 위험이 적은 리니아 덴타타 내측에서 수술이 바람직하게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양호한 기준 위치이다.
직장경의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 및/또는 투명 섹션은 세장형이고 종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세장형 개구 및/또는 투명 섹션은 치료가 필요한 영역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직장의 더 큰 섹션에 대한 가시적인 접근을 제공한다.
직장경의 일 실시예에서, 세장형 요소는 투명 재료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는 투명한 세장형 요소가 투명한 세장형 요소를 둘러싸는 직장의 전체 영역을 육안으로 검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선호된다.
직장경의 일 실시예에서, 종축(L)을 따라서 직장경을 위치시키는 동안 가시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세장형 요소의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직장경의 일 실시예에서, 기준 마킹은 종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 및/또는 투명 섹션을 따라서 연장하고 개방된 후방 단부를 통해서 판독 가능하다.
직장경의 일 실시예에서, 전방 접촉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되어서 환자의 피부에 대해 안락하고 신뢰성 있는 지지를 제공한다.
직장경의 일 실시예에서,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는 연장된 단부 위치와 후퇴된 단부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하다.
직장경의 일 실시예에서,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는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가 장치 본체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제 1 각도 위치와 잠금 수단이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제 2 각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직장경의 일 실시예에서,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 및 잠금 수단은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를 원하는 위치에 잠그기 위한 수형/암형 구성을 가진다.
직장경의 일 실시예에서,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 및 장치 본체는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를 회전시킴으로써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가 이동되도록 대응하는 나사를 포함하며 잠금 수단은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 나사 위에 배열된 고마찰 재료로서 구현된다.
직장경의 일 실시예에서, 세장형 요소는 개방된 전방 단부를 가지며 직장경은 세장형 부재 내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지는 세장형 코어 부재를 더 포함한다. 세장형 코어 요소는 환자 직장 내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둥근 전방 단부를 가진다.
직장경의 일 실시예에서, 세장형 요소는 장치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지고 세장형 요소와 유사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직장경 치료 요소로 교체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직장경에 대한 원하는 위치가 본체에 끼워진 세장형 요소와 선택된 위치에 잠겨진 세장형 위치결정 장치로 결정되기 때문에 선호된다. 직장경은 직장으로부터 추출되고 세장형 요소가 치료 요소로 대체되며 직장 내의 동일한 위치에 쉽게 삽입되는데, 이는 직장경이 종축(L)을 따라 동일한 위치, 즉 전방 접촉 표면이 환자의 피부에 대해 지지되는 위치에 배열되도록 위치결정 장치가 보장하기 때문이다.
직장경을 사용하는 동안, 아래의 단계:
- 의도된 치료 영역이 기준 마킹에 대해 의도된 위치에 배열되는 위치로 환자의 직장 내에 세장형 요소를 삽입하는 단계;
- 전방 단부 접촉 표면(8)이 원하는 위치에 직장경을 유지하고 지지하기 위해서 환자의 피부에 대해 지지되는 위치로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7)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 잠금 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위치에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7)를 고정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직장경은 전체 수술 동안에 더 정확하게 배치되어 수술을 용이하게 하고 수술의 최종 결과를 개선할 것이다.
또한, 아래의 추가 단계:
- 직장으로부터 세장형 요소를 추출하는 단계;
- 본체로부터 세장형 요소를 제거하고 세장형 요소와 유사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직장경 치료 요소(20)를 본체에 끼우는 단계; 및
- 원하는 위치에서 직장경을 유지하고 지지하기 위해서 전방 단부 접촉 표면(8)이 환자의 피부에 대해 지지되는 위치까지 직장경 치료 요소를 환자의 직장에 삽입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들 추가 단계는 의도된 치료 영역에 대한 가시적 접근을 제공하는 세장형 요소에 의해서 직장경의 위치결정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선호된다. 직장경이 의도한 위치에 있을 때, 위치결정 장치는 원하는 위치에 잠겨지고 직장경이 직장으로부터 추출된다. 직장경의 세장형 요소는 수술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치료 요소로 교체되고 원하는 위치에 직장경을 유지하고 지지하기 위해서 전방 단부 접촉 표면이 환자의 피부에 대해 지지되는 위치에 삽입된다. 치료 영역에 대한 양호한 가시성을 제공하는 세장형 요소로 위치를 설정할 수 있어서 수술로부터 양호한 결과를 보장하고 수술과정을 상당히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장경의 대안적 용도에서,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에는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를 따라 연장하는 인덱싱 스케일(indexing scale)이 제공된다. 지지 장치, 즉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 및 잠금 수단의 원하는 위치가 결정되었을 때 세장형 요소를 치료 요소로 교체하는 대신에, 기준 값이 인덱싱 스케일로부터 결정된다. 그런 다음 기준 값은 수술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장경에 대응하는 지지 장치, 즉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 및 잠금 수단을 교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배열은 오염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선호될 수 있는데, 이는 하나의 직장경이 검사 및 치료 영역의 위치결정에 사용되는 반면에 별도의 소독된 직장경이 수술을 수행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별도의 직장경이 수술에 사용되면, 수술이 의도된 치료 영역에서 수행되도록 2 개의 직장경이 동일한 크기와 치수를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위의 목적, 특징 및 장점뿐만 아니라 추가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상세한 개시를 연구할 때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장경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장경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3은 도 2의 직장경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4는 제 1 구성의 위치 조정 장치를 가지는 직장경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5는 제 2 구성의 위치 조정 장치를 가지는 직장경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6은 직장경의 다른 구성을 사시도로 예시한다.
도 7은 직장경의 선택된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도를 예시한다.
도 8은 바늘 도입 후 도 6에서 선택된 직장경의 부분을 예시한다.
도 9는 위치결정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예시한다.
모든 도면은 개략적이고 축척에 따를 필요는 없으며, 일반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선택된 부분만을 예시하며, 여기서 다른 부분은 생략되거나 단순히 제안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치질의 치료를 용이하게 하도록 의도된 직장경에 관한 것이다.
직장경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여러 상이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장경(1)의 제 1 실시예가 도 1에 예시되고 직장경(1)의 상이한 구성요소를 지지하도록 배열된 본체(2)를 포함한다. 본체(2)는 본체(2)를 통해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원형 통로(6)를 가지는 환형 부재로서 형상화된다. 원형 통로(6)는 직장경의 종축(L)을 가로지르는 평면에 배열된다.
직장경은 종축(L)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본체(2)로부터 연장하는 곡선 핸들(3)을 더 포함한다. 그러나 핸들의 디자인은 상이한 크기/치수의 환자에게 직장경을 적응시키도록 상이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 핸들은 직장경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의도된다.
직장경의 하나의 필수 부분은 종축(L)을 따라서 본체(2)로부터 연장하는 세장형 요소(4)이다. 세장형 요소(4)는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전방 둥근 단부(10) 및 후방 단부(11)를 포함한다. 후방 단부는 세장형 요소의 내부가 후방 단부 및 본체의 통로를 통해 접근 가능하도록 개방된다. 세장형 요소(5)는 전체 세장형 요소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경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개구(5)가 전방 및 후방 단부 사이의 세장형 요소에 형성되고/되거나 투명 섹션이 전방 및 후방 단부 사이의 세장형 요소에 형성되어서 세장형 요소가 환자의 직장에 배열될 때 세장형 요소의 개방된 후방 단부 및 본체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항문 점막 및 치질을 육안으로 검사할 수 있게 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전체 세장형 요소는 조직을 육안으로 검사할 가능성을 추가로 개선하기 위해서 투명 재료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는 또한, 세장형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세장형 요소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 및/또는 투명 섹션을 따라서 배열된 기준 마킹(reference marking)(9a, 9b, 9c)이 제공된다. 기준 마킹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라인,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따라서 또는 투명 섹션 내에 배열된 눈금일 수 있어서, 기준 마킹이 세장형 요소의 개방된 후방 단부를 통해 판독할 수 있게 한다.
직장경은 식별된 치료 영역에 대한 의도된 위치에서 직장경(1, 1')을 지지하기 위한 위치결정 장치를 더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8에 예시된 위치결정 장치의 실시예는 세장형 요소(4)와 동일한 방향으로 세장형 요소(4)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즉 축(L)에 평행하게 본체로부터 연장하는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7)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는 스크류로서 설계된다. 스크류는 외부 나사를 가지며 장치 본체(2)에 내부 나사를 가지는 대응하는 구멍에 배열되어서 축(L)을 따르는 위치가 스크류를 돌림으로써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 사이에서 조정된다. 위치 조정 장치는 종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된 전방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전방 단부 접촉 표면(8)을 포함한다. 평평한 전방 단부 접촉 표면(8)은 환자의 직장을 둘러싸는 영역에서 환자의 피부에 대해 지지하도록 의도된다. 위치결정 장치는 선택된 위치에서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를 고정하도록 배열된 잠금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잠금 수단은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 즉 나사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서 각각의 나사산 상의 고-마찰 재료의 표면 구조 또는 층으로 구현된다.
위치결정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 9에 예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7')는 본체(2')의 대응 통로에 미끄럼 가능하게 배열된 세장형 로드로서 구현된다. 세장형 로드는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가 장치 본체(2')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제 1 각도 위치와 잠금 수단(71, 72)이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를 원하는 축 방향 위치에 고정하는 제 2 각도 위치 사이의 그의 종축 주위에서, 도 9에 화살표로 예시된 바와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잠금 수단은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7')를 따라서 배열된 노치(71) 및 본체(2')에 배열된 대응하는 잠금 요소(72)를 가지는 수형/암형 구성을 가진다.
또한,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에는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7')를 따라서 연장하는 인덱싱 스케일(indexing scale)이 제공된다. 인덱싱 스케일은 직장경의 원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 값을 결정하게 한다.
다른 대안은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가 원하는 위치에 잠기도록 예를 들어, 클램프(clamp)에 고정되고 종 방향으로부터 외측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탄성 부재를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의 후방 단부에 제공하는 것이다.
치질의 외과적 치료가 개시되기 전에, 본 발명에 따른 직장경(1), 즉 세장형 요소(4)가 환자의 직장에 배열된다.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는 치핵(hemorrhoid)이 세장형 요소(4)를 따라서 의도된 위치에 위치되는 축(L)을 따르는 위치에 세장형 요소가 유지되도록 축(L)을 따라 조정된다.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가 축(L)을 따르는 원하는 위치에 직장경을 유지하기 위해서 원하는 위치에 잠기면, 직장경은 직장으로부터 추출되어 원하는 설정 위치로 쉽게 되돌아갈 수 있는데, 이는 직장경이 결정된 원하는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위치결정 장치가 보장하기 때문이다. 위치결정 장치는 세장형 요소가 환자의 직장으로 전방 방향으로 길게 도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직장경의 기준 마킹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하나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참조 부호 9c로 도면에 예시된 하나의 기준 마킹은 환자의 직장에서 리니어 덴타타(linea dentata)와 일직선으로 위치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기준 마킹, 즉 참조 부호(9c)의 위치는 세장형 요소를 따라서 더 후방에 있으므로 기준 마킹(9c)이 리니어 덴타타와 정렬될 때 인간이 통증에 대해 제한된 감각을 가지는 직장 내측에 치료 영역이 위치된다.
가시성을 더욱 개선시키기 위해서, 위치결정 장치는 세장형 요소의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수단은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요소의 내부가 조명되도록 본체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 또는 램프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 또는 램프는 본체에 배열된 배터리에 의해 또는 본체에 연결된 외부 전원, 즉 전력에 의해 전원이 공급된다. 다른 대안은 외부 광원을 사용하고 광섬유에 의해 빛을 원하는 위치로 지향시키는 것이다.
직장경(1')의 제 2 실시예는 도 2 및 도 3에 2 개의 상이한 구성으로 예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2)는 이전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세장형 요소(4')는 개방된 전방 단부(10)를 가지는 튜브와 같은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후방 단부(11)로부터 개방된 전방 단부까지 내내 연장하는 세장형 슬롯(5')으로서 형성된다. 직장경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5')를 폐쇄하기 위해서 튜브 형상의 세장형 부재 내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지는 세장형 코어 부재(12)를 포함한다. 코어 부재(12)는 코어 부재의 둥근 전방 단부가 세장형 요소의 둥근 전방 단부를 제공하고 전방 단부를 폐쇄하도록 세장형 요소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다.
일단 직장경이 환자의 직장에 도입되면, 적어도 하나의 개구(5')를 개방하고 가시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코어 부재(12)가 세장형 요소의 개방된 후방 단부 및 본체의 통로를 통해 제거된다. 본 실시예는 환자에게 세장형 요소의 도입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선호되는데, 이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매끄러운 표면에 의해서 폐쇄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상당한 크기를 가질 때 특히 유리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투명 섹션은 항문 점막 및 치질의 육안 검사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진 세장형 요소 또는 전체 세장형 요소에 형성될 수 있다.
직장경의 두 실시예 모두에서, 세장형 요소는 바람직하게,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진다. 리니어 덴타타가 기준 마킹 및 종축을 따라서 원하는 위치에 배열된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7)와 정렬될 때, 직장경은 직장에서 제거되고 세장형 요소는 치료 요소(20)로 대체된다. 치료 요소는 세장형 요소와 동일한 위치에서 본체(2)에 끼워지도록 설계된 관형 요소(21)를 포함하고 세장형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 및 치수를 가진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관형 요소의 후방 단부는 본체에 끼워지도록 의도된 연결 소켓(2')을 형성하기 위해서 외측으로 플레어링된다(flared).
치료 요소(20)는 치질 치료용으로 의도되며 상기 지지 장치가 관형 요소의 개구(23)에 노출되도록 관형 부재(21) 내에 제거 가능하게 배열된 항문 점막 지지 장치(22, 22a, 22b, 22c)를 포함한다. 치료 요소는 또한, 관형 요소의 주변 주위에 배열된 2 개 이상의 유사한 개구로 설계될 수 있으며, 하나의 항문 점막 지지 장치가 각각의 개구에 배열된다.
세장형 관형 요소(21)는 처리 요소(20)의 외부 케이싱(casing)을 구성한다. 관형 요소(21)는 환자의 직장에 배열되도록 의도되는 둥근 전방 단부(24)를 포함한다. 관형 요소(21)는 관형 요소의 내부가 본체(2)의 통로를 통해 접근 가능하도록 본체(2p)의 중앙 개방 통로에 배열되도록 의도된 개방된 후방 단부(25)를 더 포함한다. 관형 요소(21)는 실질적으로 직선이고 종축(L)을 따라 연장한다. 관형 요소는 상이한 길이로 만들어질 수 있고 종축(L)을 가로지르는 관형 요소의 단면 형상은 치료가 시작될 때 장치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실질적으로 원형이다. 대안적인 단면 형상은 코너가 둥근 타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 등일 수도 있다. 관형 요소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종축(L) 주위의 관형 요소에서 개구(23)의 각도 위치는 세장형 요소 및 치료 요소가 정확한 위치에서 장치 본체에 끼워질 때 세장형 요소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의 각도 위치에 대응한다.
항문 점막 지지 장치(22)의 예시된 실시예는 종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배열된 제 1(22a), 중간(22b) 및 제 2 세장형 부분(22c)을 포함한다. 제 1, 중간 및 제 2 세장형 부분은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고 관형 요소 내에 제거 가능하게 배열된다.
항문 점막 지지 장치는 세장형 요소의 기준 마킹의 위치에 대응하는 의도된 치료 영역과 종축(L)을 따르는 동일한 위치에 배열된 항문 점막을 위한 적어도 2 개의 공동(26)을 포함하여 위치결정 장치에 의해 정의된 위치는 치료 요소가 수술을 시작하도록 삽입할 때 식별된 치료 영역이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보장한다.
치료 영역, 및 결과적으로 또한 2 개의 공동(26)은 바람직하게, 리니어 덴타타와 치료 영역의 외부 단부, 즉 리니어 덴타타에 가깝게 배열된 공동의 에지 사이에서 종축(L)을 따라 10 내지 15 mm 범위 내의 거리가 존재하도록 배열된다.
치료 요소는 전방 단부 접촉 표면이 환자의 피부에 대해 지지되는 위치까지 환자의 직장 내로 진입될 때 의도된 원하는 위치에 이르게 될 것이다.
공동(26)은 관형 요소의 개구(23)의 실질적으로 중심에 종축(L)을 따라 배열된다. 각각의 공동(26)은 항문 점막이 각각의 공동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관형 요소의 개구(23)를 향하는 개방 측을 가진다.
제 1(22a), 중간(22b) 및 제 2 세장형 부분(22c)은 실질적으로 개구(23)의 중심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도록 설계되고 각각의 공동(26)은 제 1(22a), 중간(22b) 및 제 2 세장형 부분(22c) 사이에서 접촉 표면을 따라 배열되어 공동은 제 1, 중간 및 인접한 제 2 세장형 부분의 공동에 의해서 형성된다. 즉, 공동은 3 개의 세장형 부분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한, 바늘 통로(27)는 제 1 부분과 중간 부분 사이, 및 중간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접촉 표면을 따라서 형성된다. 직장경의 예시된 실시예는 4 개의 바늘 통로(27)를 포함한다. 즉, 하나의 바늘 통로(27)는 항문 점막 지지 장치(22)의 각각의 공동(26) 사이에 위치된다. 바늘 통로(27)는 바늘 통로(27)를 통해 연장하는 바늘(50) 또는 봉합사, 스테이플 또는 고정 수단을 해제하기 위해서 제 1, 중간 및 제 2 세장형 부분이 서로 분리될 때 개방된다.
바늘 통로(27)는 바늘이 항문 점막 지지 장치(22)의 공동(26)을 통해 세장형 관형 요소(21)의 개구(23) 외부에 배열되는 추출 위치로부터 바늘(50)이 관형 요소의 개구(23)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위치로 바늘(50)이 관형 요소 내에서 이동하는 동안 안내되도록 세장형 관형요소와 항문 점막 지지 장치에 형성된 바늘 안내 구조를 구성한다. 각각의 바늘 통로(27)는 바늘이 후퇴 위치로부터 추출 위치로 이동될 때 바늘이 각각의 바늘 통로(27)를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바늘(50)의 단면 치수 및 형상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장치의 후방 단부를 향하는 바늘 통로의 측면은 바늘을 바늘 통로의 중심으로 안내하도록 약간 넓어진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2 개의 바늘(50)이 인접한 바늘 통로에서 동시에 이동되도록 바늘의 후방 단부에 있는 연결 구조(52)에 의해서 2 개의 바늘이 하나의 단일 요소로서 형성된다. 연결 구조는 바늘이 또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약간 탄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문 점막 지지 장치(20)의 각각의 공동(26)은 바닥 구조를 포함하고 바늘 통로의 중심과 바닥 구조 사이의 종축(L)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거리는 2 내지 12 mm이다. 항문 점막이 항문 점막 지지 장치의 공동(26)에 정확하게 배열되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각각의 공동의 바닥 구조는 각각의 공동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는 예를 들어, 수동 또는 전기 구동식 펌프 또는 외부에 배열된 흡인 작용 원과 같이 주변 압력 미만의 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몇몇 종류의 수단에 연결되어 항문 점막이 공동(26) 내로 흡인된다.
항문 점막 지지 장치(22)는 관형 요소(21) 내에 제거 가능하게 배열되고 제거 가능한 잠금 요소에 의해서 관형 요소 내의 의도된 위치에 유지된다. 잠금 요소는 종축(L)을 따르는 길이를 가지고 세장형 관형 요소의 내부 치수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세장형 평판과 같은 형상이다. 관형 요소 내에 잠금 요소의 위치설정 및 고정은 잠금 요소가 종축(L)에 평행하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관형 요소의 개구의 각각의 측면에서 관형 요소의 내부 원주 벽을 따라서 배열된 안내 레일(32)에 의해 제공된다. 항문 점막 지지 장치의 제 1, 중간 및 제 2 세장형 요소는 관형 요소의 개구(23)를 향하는 잠금 요소 측면의 오목부 내에 끼워져서 제 1, 중간 및 제 2 요소가 의도된 위치에 유지된다. 잠금 요소는 관형 요소 내에 배열되어 항문 점막 지지 장치를 의도된 위치로 강제하고 관형 요소의 개구에서 공동이 노출된 의도된 위치에 항문 점막 지지 장치를 유지한다.
치료 요소(20)에 대한 위의 설명에서 관형 요소(21)에 하나의 개구(23), 하나의 항문 점막 지지 장치(22) 및 하나의 잠금 요소(30)를 포함하는 단지 하나의 배열이 설명되었지만, 바람직하게 치료 요소(20)는 2 개를 포함하지만, 대안적으로 유사하고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3 개 또는 최대 6 개를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치료 요소(20)는 외과 의사가 수술에 의해 치질을 치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환자의 직장에 도입된다. 직장경이 의도된 위치에 있으면, 탈루된 항문 점막이 항문 점막 지지 장치의 공동(26)에 배열된다. 세장형 관형 요소 및 항문 점막 지지 장치에 형성된 바늘 안내 구조물(27)은 추출된 시작 위치로부터 공동(26)을 통해, 즉, 공동 내에 배열된 항문 점막을 통해, 바늘(50)이 관형 요소(21)의 전체 개구(23)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위치까지 그리고 항문 점막에 접힘이 생성되는 상이한 공동(26) 내에 배열된 항문 점막을 통해 관형 요소(21) 내에서 이동하는 동안 바늘(50) 또는 바늘들에 대한 안내를 제공한다.
바늘(50)은 항문 점막의 상이한 주름을 통해 봉합사, 스테이플 또는 고정 수단을 도입하는데 사용된다. 봉합사, 스테이플 또는 고정 수단에 진입하기 위한 다른 대안이 사용될 수 있다.
봉합사, 스테이플 또는 고정 수단이 바늘과 함께 도입되거나, 바늘이 후퇴 위치로부터 바늘 선단이 치료 요소의 전방 단부 내에 배열된 봉합사, 스테이플 또는 고정 수단 단부에 있는 대응하는 도킹 요소(docking element)에 고정되는 추출 위치로 먼저 이동된다. 봉합사, 스테이플 또는 고정 수단은 바늘(50)이 추출 위치로부터 후퇴되고 봉합사, 스테이플 또는 고정 수단이 항문 점막을 통해 당겨지는 동시에 항문 점막 내에 도입된다.
봉합사, 스테이플 또는 고정 수단이 정확하게 위치되자마자, 제거 가능한 잠금 요소는 제거되고 항문 점막 지지 장치(22a, 22b, 22c)는 잠금 위치로부터 해제되어서 이들이 개방된 후방 단부(25)를 통해 개구(23)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치료 요소로부터 항문 점막 및 봉합사, 스테이플 또는 고정 수단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이는 봉합사, 스테이플 또는 고정 수단의 원하는 조임을 허용하고 들어 올려진 위치에 항문 점막을 영구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 봉합사, 스테이플 또는 고정 수단이 항문 점막을 통해 연장하도록 배열된 후에 직장으로부터 치료 요소를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필수적이다.
치료 요소는 외과적 치료를 용이하게 하는데, 이는 바늘(50) 그리고 결국 봉합사, 스테이플 또는 고정 수단이 원하는 결과가 달성되는 것을 보장하는 공동(26)의 각각에 배열된 항문 점막의 의도된 영역을 통해 연장하도록 바늘 안내 구조물 및 항문 점막 지지 장치가 보장하기 때문이다.
심각한 치질 문제의 경우에, 직장 점막이 더 들어 올려질 필요가 있다. 기준 마킹들 사이의 거리가 연장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항문 점막 지지 장치의 공동 수가 증가되어 항문 점막에 추가 주름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리프팅 효과가 크게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치료 요소(20)는 관형 요소(21)의 각각의 개구(23)에 대해 하나의 폐쇄 요소(40)를 더 포함한다. 폐쇄 요소(40)는 관형 요소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서 치료 요소의 매끄러운 외형을 제공하고 개구(23)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져서 장치 내부에 배열 시 개구를 완전히 폐쇄한다. 폐쇄 요소는 관형 요소에 제거 가능하게 배열되고 환자의 직장에 장치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관형 요소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의도된다. 장치가 직장에서 원하는 위치에 있을 때, 후방 단부까지 내내 연장하는 폐쇄 요소는 관형 요소의 후방 단부를 통해 제거되어 관형 요소의 개구를 노출시키고 항문 점막이 공동으로 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폐쇄 요소(40)는 종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형 요소의 개구의 세장형 측면을 따라서 형성된 실질적으로 직선형 오목부에서 미끄러지도록 배열된다.
직장경이 환자의 직장 내 의도된 위치에 끼워지고 폐쇄 요소가 제거될 때, 관형 요소(12)의 개방된 후방 단부는 밀봉 플러그(54)에 의해 폐쇄된다. 밀봉 플러그(54)는 개략적으로 예시되지만, 펌핑 또는 흡입 수단이 상기 밀봉 플러그(54)의 연결부를 통해서 관형 요소(21)의 내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장치 본체(2)의 통로 및 개방된 후방 단부를 폐쇄하고 밀봉하도록 설계된다. 밀봉 플러그에는 또한, 펌핑 또는 흡입 수단에 대한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플러그로부터 연장하는 탄성 튜브가 제공될 수 있다. 관형 요소의 내부에 대한 펌핑 또는 흡입 수단의 원하는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대안적인 실시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펌핑 또는 흡입 수단은 장치 본체(2) 또는 핸들(3)에 배열된 연결부 및 장치에 통합되고 관형 요소(21)의 내부에 연결된 채널을 통해서 직장경의 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되지 않은 펌핑 또는 흡입 수단이 활성화될 때, 관형 요소(21) 내의 압력은 감소되고 항문 점막이 공동 내로 흡입된다.
항문 점막이 공동(26) 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있으면, 바늘(50)은 바늘 통로(27)를 통해 후퇴된 위치로부터 공동(26)과 공동 내에 배열된 항문 점막을 가로질러 관형 요소(21)에서 개구(23)의 반대 쪽으로 내내 밀린다.
항문 점막이 의도된 대로 공동에 배열되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개방된 후방 단부(25)는 개방된 후방 단부에 대응하는 형상 및 치수를 가지는 플러그(54)에 의해서 밀봉된다. 플러그(54)의 선호하는 일 실시예에서, 탄성 막(55)은 플러그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배열된다. 탄성 막(55)은 외과 의사 또는 조작자가 치료 요소 내에 원하는 감소된 압력이 설정되고 항문 점막이 공동 내로 정확하게 흡입되는 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장치 외부로부터 볼 수 있다. 탄성 막은 또한, 일단 플러그가 개방된 후방 단부(25)를 폐쇄하도록 배열되면 직장경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또한, 장치 내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작은 버튼과 같은 직장경 내에서 원하는 낮은 압력에 도달되고 원하는 낮은 압력이 달성될 때 스프링으로부터의 힘이 낮은 압력만큼 초과되고 버튼이 그의 시작 위치로부터 후퇴되는 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이한 유형의 봉합 와이어, 스탬프 또는 고정 장치가 직장경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바늘 및 봉합사, 스테이플 또는 고정 수단이 항문 점막을 통해 연장하도록 배열될 때 바늘이 제거되고 봉합사, 스테이플 또는 고정 수단이 조여지고 영구적으로 고정되어 탈루된 항문 점막의 원하는 리프팅이 달성된다.
치료 요소는 들어 올려진 위치에 항문 점막을 고정하기 위해서 다른 대안과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 관형 요소의 전방 단부 내에서 치료가 개시되기 전에 봉합사가 관형 요소 내부에 배열될 수 있다. 봉합사의 일 단부에 전방 정지 요소가 영구적으로 고정되고 봉합사 도킹 수단의 반대쪽 단부에 예를 들어, 루프 또는 수형/암형 피팅이 배열된다. 도킹 수단은 바늘 선단의 의도된 전방 위치에 위치된다. 치료 요소(20)가 환자의 직장 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있을 때, 바늘(50)은 후퇴 위치로부터 공동을 통해, 바늘이 도킹 수단에 연결되도록 바늘 선단이 도킹 수단에 연결되는 도킹 수단으로 이동된다. 그런 다음 전방 정지 요소가 항문 점막의 전방 주름에 대해 놓이는 위치까지 바늘은 봉합사와 함께 후퇴된다. 바늘(50), 밀봉 플러그(54), 잠금 요소 및 항문 점막 지지 장치(20)는 항문 점막 지지 장치로부터 봉합사 및 항문 점막을 자유롭게 하도록 제거된다. 항문 점막의 원하는 리프트를 달성하기 위해서, 후방 정지 요소는 봉합사를 따라 전방으로 밀려 항문 점막 주름이 전방 정지 요소를 향하도록 강제한다. 후방 정지 요소 및 봉합사에는 후방 정지 요소가 봉합사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예를 들어, 매듭(knot)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대응하는 고정 구조물이 제공된다. 바늘 및 바늘 슬리브(sleeve)가 봉합사로부터 제거되면 후방 정지 요소는 봉합사에 배열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아이디어에 기초한 매우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실시예는 수술이 개시되기 전에 치료 요소 내에 배열된 세장형 봉합사를 포함한다. 봉합사의 일 단부는 개구(23)의 전방 단부에서 바늘 선단의 위치에 배열된 도킹 요소를 포함한다. 바늘이 도입되면 바늘 선단이 도킹 요소에 연결되고 바늘이 후퇴될 때 봉합사가 항문 점막을 통해 도입된다. 봉합사의 길이는 적어도, 봉합사의 양 단부가 장치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내내 연장하여 외과 의사가 하나 이상의 매듭으로 봉합사의 단부를 고정하고 항문 점막을 들어 올리는 것을 보장하도록 충분히 길다.
본 실시예는 또한, 예를 들어 도 6에 예시된 2 개의 평행 바늘(50)을 포함하는 직장경의 실시예와 함께 매우 유리한데, 이는 장치의 전방 단부에 하나의 단일 봉합사가 배열될 수 있기 때문이며, 여기서 하나의 단부에는 하나의 바늘의 전방 단부에 위치된 도킹 수단이 제공되고, 봉합사의 제 2 단부에는 다른 바늘의 전방 단부에 위치된 유사한 도킹 수단이 제공된다. 2 개의 바늘이 대응하는 도킹 수단에 도킹되면, 봉합사의 양 단부는 항문 점막의 주름을 통해 후퇴되어서 양 단부가 직장경의 후방 단부 밖으로 연장된다. 봉합사가 조여지고 항문 점막의 원하는 리프트가 달성된 후에 양 단부는 하나 이상의 신뢰할 수 있는 매듭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도면 및 이전의 설명에서 상세히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예시 및 설명은 제한적이지 않고 예시적이거나 모범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범주 내에서 많은 수정, 변경 및 대안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한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변경은 도면, 개시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연구로부터 청구된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되고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용어 "포함하는"은 다른 요소나 단계를 배제하지 않으며, 부정관사("a" 또는 "an")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어떤 수단이 서로 상이한 종속항에 인용되어 있다는 단순한 사실은 이들 수단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는다. 청구범위의 참조 부호는 청구범위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3)

  1. 본체(2, 2´);
    본체(2, 2')로부터 연장하는 핸들(3, 3');
    전방 단부(10) 및 후방 단부(13)를 포함하는 세장형 요소(elongated element; 4, 4')로서, 상기 후방 단부는 본체(2, 2')에 부착되고 세장형 요소(4, 4')의 내부가 후방 단부를 통해 접근 가능하도록 개방되며, 상기 세장형 요소는 종축(L)을 따라 연장하는, 세장형 요소(4, 4');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의 세장형 요소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opening; 5; 5'), 및/또는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의 세장형 요소에 형성된 투명 섹션(transparent section); 및
    적어도 하나의 개구 및/또는 투명 섹션을 따라서 배열되고 세장형 요소의 개방된 후방 단부를 통해 판독 가능한 기준 마킹(reference marking; 9a, 9b, 9c)을 포함하는; 직장경(1, 1')에 있어서,
    직장경은 치료 영역에 대한 의도된 위치에 직장경(1, 1')을 지지하기 위한 위치결정 장치(positioning device)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결정 장치는:
    전방 단부 접촉 표면(8)을 가지는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7, 7')로서, 상기 위치 조정 장치(7, 7')는 본체(2, 2')에서 종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고 본체(2, 2')로부터 세장형 요소(4, 4')와 동일한 방향으로 본체(2, 2')로부터 연장하는,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7, 7'); 및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7, 7')를 선택된 위치에 고정하도록 배열된 잠금 수단(locking means; 71, 71)을 포함하며;
    전방 단부 접촉 표면(8)은 치료 영역이 기준 마킹(9a, 9b, 9c)과 관련하여 의도된 위치에 배열되는 종축(L)을 따르는 위치에 직장경을 유지하고 지지하기 위해서 환자의 피부에 대해 지지하도록 의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장경(1).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준 마킹(9a, 9b, 9c)은 의도된 치료 영역, 또는 리니어 덴타타(linea dentata)와 같은 기준 위치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의도되며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는 단부 접촉 표면이 환자의 피부에 대해 지지되는 위치에 잠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장경(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5, 5') 및/또는 투명 섹션은 세장형이고 종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장경(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장형 요소는 투명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장경(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장형 요소의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장경(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준 마킹(9a, 9b, 9c)은 종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 및/또는 투명 섹션을 따라서 연장하고 세장형 요소의 개방된 후방 단부를 통해서 판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장경(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부 접촉 표면(8)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상기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7, 7')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되며, 상기 단부 접촉 표면(8)은 환자의 피부에 대해 지지하도록 의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장경(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7, 7')는 연장된 단부 위치와 후퇴된 단부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장경(1).
  9. 제 8 항에 있어서,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7')는,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가 장치 본체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제 1 각도 위치와 잠금 수단(71, 72)이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7´)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제 2 각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장경(1).
  10. 제 9 항에 있어서,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7') 및 잠금 수단(71, 72)은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를 원하는 위치에 잠그기 위한 수형/암형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장경(1).
  11. 제 8 항에 있어서,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7) 및 본체(2)는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7)를 회전시킴으로써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7)가 이동되도록 대응하는 나사를 포함하며 잠금 수단은 세장형 위치 조정 장치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서 나사 위에 배열된 고마찰 재료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장경(1).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장형 요소(4')는 개방된 전방 단부를 가지며 장치는 세장형 부재 내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지는 세장형 코어(12)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장경(1).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장형 요소(4, 4')는 본체(2, 2')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지고 세장형 요소(4, 4')와 유사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직장경 치료 요소(20)로 교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장경(1).
KR1020237027446A 2021-02-04 2022-02-04 직장경 KR202301366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55308.6 2021-02-04
EP21155308.6A EP4039165A1 (en) 2021-02-04 2021-02-04 Proctoscope
PCT/EP2022/052760 WO2022167606A1 (en) 2021-02-04 2022-02-04 Proctosco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620A true KR20230136620A (ko) 2023-09-26

Family

ID=7455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7446A KR20230136620A (ko) 2021-02-04 2022-02-04 직장경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40115124A1 (ko)
EP (2) EP4039165A1 (ko)
JP (1) JP2024508381A (ko)
KR (1) KR20230136620A (ko)
CN (1) CN116782814A (ko)
AU (1) AU2022216448A1 (ko)
CA (1) CA3203790A1 (ko)
IL (1) IL304694A (ko)
WO (1) WO202216760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9254B2 (en) * 1998-02-19 2008-02-12 Curon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dysfunctions in the intestines and rectum that adapt to the anatomic form and structure of different individuals
EP2116178B1 (en) * 2008-05-09 2012-07-04 Sapi Med S.p.A. Medical device for anorectal diagnostic analyses
US8181838B2 (en) 2008-09-10 2012-05-22 Tyco Healthcare Group Lp Surgical stapling device
ITUB20169976A1 (it) * 2016-01-14 2017-07-14 Comau Spa Sistema per il controllo assistito da robot di una sonda transrettale, ad esempio per impiego nell'esecuzione di una ecografia prostatica
CN110123256A (zh) * 2019-06-10 2019-08-16 王文斌 一种可调节式肛门镜配套安装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304694A (en) 2023-09-01
CA3203790A1 (en) 2022-08-11
EP4287924A1 (en) 2023-12-13
WO2022167606A1 (en) 2022-08-11
AU2022216448A1 (en) 2023-07-13
JP2024508381A (ja) 2024-02-27
EP4039165A1 (en) 2022-08-10
US20240115124A1 (en) 2024-04-11
CN116782814A (zh)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338436B2 (en) A process and a device for surgical treatment of rectal and haemorrhoidal prolapse
US20070173687A1 (en) External forceps channel device for endoscope
US20140121679A1 (en) Elastic band l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treatment of hemorrhoids
US20170325844A1 (en) Uterine manipulator
JP2004511264A (ja) 例えば緊張性尿失禁を治療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16530941A (ja) 一体化した閉塞具を備えた弾性バンド結紮装置および痔核の治療方法
BR112017012242B1 (pt) Módulo de sucção ginecológico e aparelho para uso médico
KR20180018772A (ko) 회전식 항문경
JP2016530943A (ja) 挟み込み防止機能を備えた弾性バンド結紮装置および痔核の治療方法
KR20230136620A (ko) 직장경
CN111542255B (zh) 用于在治疗痔疮时使用的设备
CN216294160U (zh) 一种腹腔镜穿刺口一体式辅助缝合器
US20210153734A1 (en) Improved medical device
KR20170066068A (ko) 의료기 삽입 보조장치
WO2010123040A1 (ja) カテーテル、カテーテル固定具、カテーテルキットおよびカテーテル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