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779B1 -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 - Google Patents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779B1
KR102521779B1 KR1020210150569A KR20210150569A KR102521779B1 KR 102521779 B1 KR102521779 B1 KR 102521779B1 KR 1020210150569 A KR1020210150569 A KR 1020210150569A KR 20210150569 A KR20210150569 A KR 20210150569A KR 102521779 B1 KR102521779 B1 KR 102521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ap
ring
open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인수
양수현
김도완
김민재
문제민
곽민정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50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6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flanged caps, e.g. crown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캡 접합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 한 쌍의 고정부의 외주면에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링부를 포함하고, 페트병의 캡을 상기 캡 접합부의 내부에 삽입한 뒤, 한 손으로 링부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페트병 캡의 외면에 캡 접합부를 간단한 방법으로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효과가 있는 오프너에 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ONE HANDED OPENER THAT CAN BE FIXED TO THE PET BOTTLE CAP USING THE RING PART}
본 발명은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캡 접합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 한 쌍의 고정부의 외주면에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링부를 포함하고, 페트병의 캡을 상기 캡 접합부의 내부에 삽입한 뒤, 한 손으로 링부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페트병 캡의 외면에 캡 접합부를 간단한 방법으로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효과가 있는 오프너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유리병 페트병 캔 용기에 음료 내용물을 담아 뚜껑으로 밀봉한 제품은 소비자에게 공급되고 소비자는 제품 용기의 밀봉된 뚜껑을 개봉하는 데에서 뚜껑구조가 나선형이면 뚜껑을 돌려서 개봉하고 압착형이면 뚜껑을 오프너 병따개로 개봉하고 원터치 캔 뚜껑이면 고정된 탭의 손잡이를 올려 탭 끝부분이 절단금 안을 눌림으로 개봉되고 있다.
도 1의 (가)(나)(다)는 이런 유리병, 페트병 및 캔 뚜껑을 개봉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병(10), 페트병(10) 및 캔(20) 용기류 제품의 뚜껑이 개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 1의 (가)에서와 같이 뚜껑구조가 나선형 뚜껑(30)이면 뚜껑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려서 개봉한다.
그 다음 도 1의 (나)에서와 같이 뚜껑구조가 압착형 뚜껑(40)이면 뚜껑을 오프너(60) 병따개로 따서 개봉한다.
그 다음 도 1의 (다)에서와 같이 캔 뚜껑(50)의 윗면에 고정 탭(100)의 밀착된 탭 손잡이(110)를 올리면 도 2의 (다)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탭 끝부분(120)이 개봉구(70)의 절단금(80) 안을 눌림으로 캔 용기의 뚜껑이 개봉되 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병 캔 용기의 나선형 뚜껑 압착형 뚜껑 원터치 캔 뚜껑의 개봉은 생활 속의 편리함이 있지만 병 뚜껑을 돌려서 개봉되는 나선형 뚜껑 구조와 오프너 병따개로 따서 개봉되는 압착형 뚜껑 구조 그리고 캔 뚜껑 윗면에 고정 밀착된 탭의 손잡이를 잡으려면 손톱이 짧을 경우에는 키 등의 사용으로 인해 잡기에 불편을 주는 원터치 캔 구조 등으로 인해 제품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불편함을 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손이 미끄럽거나, 한 손이 불편한 환자, 충분한 근력을 갖지 못한 노인 또는 어린이는 이를 쉽게 열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른 개선안으로 현재 시중에 유통되는 페트병 오프너가 출현하게 되었다.
일반적인 페트병 오프너는 톱니와 같이 마찰계수가 높은 성질을 갖는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뚜껑을 고정시킨 후, 사용자가 직접 병과 장치의 몸체를 잡고 돌리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는 뚜껑을 열 때 미끄러지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에 중점을 둔 것이 다.
그러나 이는 장치가 커질수록 사용자가 돌리는데 불편함이 따르고, 또한 회전시킬 만한 충분한 근력이 없는 노약자, 여성 및 수부에 외상을 입은 환자 또는 장애인이 페트병 캡을 열 때 여전히 불편함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부에 외상을 입은 환자 또는 장애인, 노약자 등 혼자 힘으로 음료수 뚜껑을 개봉하기 어려운 인원들이 스스로 페트병 캡과 페트병 보조캡을 분리할 수 있는 오프너가 필요한 실정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9-210045호
본 발명은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캡 접합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 한 쌍의 고정부의 외주면에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링부를 포함하고, 페트병의 캡을 상기 캡 접합부의 내부에 삽입한 뒤, 한 손으로 링부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페트병 캡의 외면에 캡 접합부를 간단한 방법으로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효과가 있는 오프너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맞닿아 결합되는 유성기어부; 상기 유성기어부의 하부에 맞닿아 결합되는 홈부; 상기 홈부의 하부에 맞닿아 결합되는 캡 접합부; 및 상기 유성기어부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조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 접합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외주면에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일측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사이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고, 페트병의 캡을 상기 캡 접합부의 내부에 삽입한 뒤, 상기 보조 손잡이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페트병을 파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페트병의 캡과 상기 페트병의 보조 캡이 분리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캡 접합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하부에 맞닿아 형성되는 한 쌍의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받침부는 상기 링부가 상기 캡 접합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링부를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하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사이가 폭 방향으로 가까워지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와 상기 받침부가 수직을 이룬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성기어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링 기어; 및 상기 링 기어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제1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상기 제1 기어의 상부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성기어부는, 상기 제1 기어와 상호 치합되는 복수 개의 제2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 기어가 회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수 개의 제2 기어는 상기 제1 기어의 외주면에 상호 치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링 기어는 상기 복수 개의 제2 기어의 외주면에 상호 치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성기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제2 기어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제2 기어 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홈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축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 축의 하부에 상기 축 홈부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기어가 회전하면 상기 제2 기어 축이 회전하고, 상기 제2 기어 축이 회전하여 상기 홈부가 회전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캡 접합부가 회전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회전부를 회전시켜 패트병 캡을 개방할 때 캡 접합부가 페트병 캡의 외면에서 헛도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 손으로 링부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페트병 캡의 외면에 캡 접합부를 간단한 방법으로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효과가 있다.
덧붙여, 제1 받침부 및 제2 받침부의 구성으로 링부가 캡 접합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캡 접합부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링부의 이탈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가)(나)(다)는 이런 유리병, 페트병 및 캔 뚜껑을 개봉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의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성기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홈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부와 홈부가 결합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을 개방하기 전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을 개방한 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캡 접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캡 접합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링부를 하부로 이동시킨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페트병 캡과 페트병 보조캡을 분리한 후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 4를 기준으로 X축 방향이고, '폭 방’'이라 함은 도 4를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수직 방향'이라 함은 도 4를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또한, 같은 부호를 사용하지만 종래 기술과 차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면에서 다른 용어를 기재했다. 예를 들어 고정 탭(100), 회전부(100)와 같이 같은 도면 부호이지만 다른 용어가 기재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는 회전부(100), 유성기어부(200), 홈부(300), 캡 접합부(400) 및 보조 손잡이부(500)로 구성된다.
회전부(100)의 하부에 유성기어부(200)가 맞닿아 결합되고, 유성기어부(200)의 하부의 일 지점에는 보조 손잡이부(500)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보조 손잡이부(500)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편하게 끼울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끼움부(510)가 형성된다.
즉, 끼움부(510)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이 위치되며,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은 회전부(100)의 일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유성기어부(200)의 내부에는 홈부(300)가 삽입되어 있고, 홈부(300)의 하부에는 캡 접합부(400)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 2 및 도 4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00)는 날개부(110), 결합부(120) 및 돌출부(130)로 구성되어 있고, 결합부(120)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날개부(11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복수 개의 날개부(110)의 개수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날개부(110)의 일단의 하부에는 각각 돌출부(130)가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돌출부(130)의 외면에는 마찰방지부(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130)가 회전할 경우 후술할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맞닿아 위치되므로, 마찰방지부(131)에 의해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돌출부(130)의 외면에서 미끄러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은 마찰방지부(131)의 외면에 위치될 수도 있고, 돌출부(130)의 일단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이는 국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큰 힘을 주지 않아도 회전부(10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부(100)를 사용자가 회전부(100)를 회전시킨 후의 작동 과정은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5를 참고하여 유성기어부(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유성기어부(200)는 기어부 홈(210), 링 기어(220), 제1 기어(230), 제2 기어(240), 제2-1 기어(250), 제2-2 기어(260), 제2-3 기어(270) 및 제2 기어 축(280)을 포함한다.
유성기어부(200)는 회전부(100)의 하부에 맞닿아 결합되되, 유성기어부(200)의 상부에는 기어부 홈(210)이 형성되어 있어 제1 기어(230)의 상부가 기어부 홈(210)의 내부에 삽입된다.
유성기어부(200)의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중공부에 링 기어(220)가 삽입된다.
또한, 링 기어(22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링 기어(220)의 내주면에 제1 기어(230)가 삽입되어 형성되되, 제1 기어(230)를 중심으로 제2 기어(240), 제2-1 기어(250), 제2-2 기어(260) 및 제2-3 기어(270)가 상호 치합 된다.
즉, 제2 기어(240), 제2-1 기어(250), 제2-2 기어(260), 제2-3 기어(270)는 제1 기어(230)와 링 기어(220) 둘 다 동시에 상호 치합되고, 제2 기어(240), 제2-1 기어(250), 제2-2 기어(260) 및 제2-3 기어(270)도 각각 상호 치합된다.
또한, 제2 기어(240), 제2-1 기어(250), 제2-2 기어(260) 및 제2-3 기어(270)에는 각각 제2 기어 축(280)이 삽입된다.
복수 개의 제2 기어 축(280)은 각각 후술할 제2 기어 축 홈부(32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유성기어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토크 컨버터와 함께 사용되는 자동 변속기, 레인지 기어 박스에 확장되는 변속기구, 휠 허브에 설치된 액슬 감속기어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성기어는 회전토크의 전달은 다수의 기어 세트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종래의 수동변속기에 사용되는 기어 장치에 비해 개별 기어가 받는 부하가 적고, 항상 상호 치합되어 있으므로 동기화가 되지 않아도 변속할 수 있어 기관으로부터의 동력을 차단하지 않고도 변속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같은 토크를 전달할 경우 다른 변속기구에 비해 차지하는 공간이 적고, 작동 소음이 작다는 장점이 있다.
유성기어부(200)의 하부의 일 지점에 보조 손잡이부(500)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보조 손잡이부(500)에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끼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조 손잡이부(5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우기 편하도록 손가락이 위치되는 부분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조 손잡이부(500)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위치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6을 참고하여 홈부(3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홈부(300)는 연결 홈부(310), 연결부(미도시), 복수 개의 제2 기어 축 홈부(320)로 구성되어 있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연결 홈부(310)의 내부에는 연결부가 삽입되어 있다.
연결부는 홈부(300)와 후술할 캡 접합부(400)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즉 홈부(300)와 후술할 캡 접합부(400)는 연결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이고 회전이 불가능하다.
복수 개의 제2 기어 축 홈부(320)에는 전술한 제2 기어 축(280)의 하부가 삽입되고, 제2 기어 축 홈부(320)의 일단은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홈부(300)의 하부에는 캡 접합부(400)가 맞닿아 결합되고, 캡 접합부(400)의 내부에는 페트병 캡이 삽입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캡 접합부(400)의 내주면은 탄성이 있는 고무나 실리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페트병 캡을 캡 접합부(400)의 내부에 삽입할 때, 캡 접합부(400)가 페트병 캡에 고정된 채로 마찰력이 생겨 캡 접합부(400)가 페트병 캡의 외면에서 헛도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의 작동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페트병 캡의 상부에 본 발명의 캡 접합부(400)를 결합시키고, 사용자가 보조 손잡이부(500)에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위치시킨다.
또한, 엄지손가락을 돌출부(130)의 일단에 위치시키고,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으로 돌출부(130)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부(100)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후, 회전부(100)의 하부에 결합된 제1 기어(230)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기어(230)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2 기어(240), 제2-1 기어(250), 제2-2 기어(260) 및 제2-3 기어(27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링 기어(220)는 제2 기어(240), 제2-1 기어(250), 제2-2 기어(260) 및 제2-3 기어(270)의 회전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링 기어(220)는 제1 기어(230)와 복수 개의 제2 기어(240)가 회전 시, 제1 기어(230)와 복수 개의 제2 기어(240)가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지지할 수 있고, 제1 기어(230)와 복수 개의 제2 기어(240)가 회전하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기어(240), 제2-1 기어(250), 제2-2 기어(260) 및 제2-3 기어(27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복수 개의 제2 기어 축(280)도 마찬가지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복수 개의 제2 기어 축(280)과 결합된 홈부(300) 및 캡 접합부(40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캡 접합부(400)의 내부에 삽입된 페트병 캡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개방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을 개방하기 전을 도시한 것이다.
보조 손잡이부(500)의 라운드진 부분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위치시키고 엄지손가락을 돌출부(130)의 일단에 위치시킨다.
이 때, 보조 손잡이부(500)에 손가락을 위치시키고, 보조 손잡이부(500)와 페트병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손바닥과 손가락으로 페트병과 보조 손잡이부(500)를 함께 파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트병 캡의 상부는 캡 접합부(4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으로 돌출부(130)를 회전시키기 전에는 페트병 캡과 페트병 보조캡(11)이 맞닿아 있어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을 개방한 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과 동일하게 보조 손잡이부(500)에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위치시키고, 엄지손가락을 돌출부(130)의 일단에 위치시킨다.
엄지손가락으로 돌출부(130)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부(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제1 기어(230) 또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후, 제1 기어(230)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제2 기어(240), 제2-1 기어(250), 제2-2 기어(260) 및 제2-3 기어(27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복수 개의 제2 기어 축(280)도 마찬가지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2 기어 축(280)의 회전에 따라 홈부(300) 및 캡 접합부(4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캡 접합부(400)의 내부에 삽입된 페트병 캡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페트병 캡이 페트병 보조캡(11)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수부를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는 사람들을 대신하여 이러한 일들을 수행해 주기 위해서 유성기어부(200)를 활용하여 더욱 적은 힘으로 회전력을 증가 시키고 큰 토크를 발생시켜 페트병 캡을 보다 쉽게 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수부에 외상을 입은 환자, 장애인, 노약자 등의 경우 혼자 힘으로 음료의 뚜껑을 개봉하는 것이 쉽지 않은 사람들이 사용하기에 안성맞춤이다.
또한, 이러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도움을 받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나, 남에게 보이는 모습에 민감한 어린아이들이 역시 본 제품을 통해 타인의 도움 없이 페트병 캡을 개봉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중일 경우 운전자가 한 손으로 페트병 캡을 쉽게 개봉할 수 있고,
평소 인력이 많이 부족한 요양원, 장애인 복지회관 등의 사회복지 시설에 구비하여 부족한 인력 문제를 덜어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양 수부를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을 위해서 부품 수가 적고, 크기나 무게도 한 손으로 들기 적합하며 본 발명이 차지하는 공간도 적다.
그러므로 사회 복지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이러한 페트병 캡을 분리시키는 일들은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이들에게 기계적 요소를 설명해 주는 교구의 역할로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부품 수가 적기 때문에 아이들도 어렵지 않게 만들 수 있고, 같은 이유로 부품을 제작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도 적다.
또한, 유성 기어의 시스템이라는 기계적 요소를 아이들에게 간단하게 구동 원리 등을 설명해 주어 교구의 역할을 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사용하지 않는 신체 부위는 운동 수행 능력이 떨어지거나, 심한 경우 퇴화하는 경우도 발생하는 경우, 수부 외상에 대한 재활 도구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페트병과 보조 손잡이를 한 번에 잡아 고정시킨 다음 엄지로 회전을 주어 병뚜껑을 여는 구조이므로, 수부의 여러 소근육이 한 번에 작용을 해야지만 병뚜껑을 열 수 있다.
따라서, 병원 등에서 받는 치료 외에 일상생활에서도 이러한 소근육들을 운동시켜 강화하여 주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재활 도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캡 접합부(4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먼저 도 10에 도시된 캡 접합부(400)가 본 발명의 초기 형상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캡 접합부(400)는 링부(410), 제1 고정부(420), 제2 고정부(430), 제1 받침부(421) 및 제2 받침부(431)로 구성된다.
캡 접합부(400)의 일측에는 제1 고정부(420)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 고정부(430)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고정부(420)와 제2 고정부(430)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링부(410)는 제1 고정부(420)와 제2 고정부(430)의 외주면에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링부(410)의 내부에 제1 고정부(420) 및 제2 고정부(430)가 맞닿아 삽입되어 있는 형상이다.
이때, 페트병 캡은 캡 접합부(4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페트병 캡과 페트병 보조캡(11)은 맞닿아 있다.
후술하겠지만 링부(410)는 상방 및 하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링부(41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은 링부(410)의 상측에 걸쳐져 있는 상태이다.
또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은 유성기어부(200)의 하부에 형성된 보조 손잡이부(500)에 삽입되어 있다.
도 11을 참고하여 캡 접합부(400)의 단면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링부(410)는 캡 접합부(400)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캡 접합부(400)의 일단과 타단에 가상의 선이 링부(410)와 수직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부(420)는 캡 접합부(400)의 일측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고정부(430)는 캡 접합부(400)의 타측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고정부(420)의 일단과 제2 고정부(430)의 일단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된다.
캡 접합부에 가상의 선(a)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고정부(420)의 일단과 제2 고정부(430)의 타단은 가상의 선(a)과 수평을 이루지 않으며 즉, 링부(410)와 수직을 이루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캡 접합부(400)의 단면을 살펴보았을 때, 캡 접합부(400)의 상부 지름의 길이보다 캡 접합부(400)의 하부 지름의 길이가 더 길다.
도 12는 사용자가 링부(410)를 하부로 이동시킨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링부(410)를 제1 고정부(420) 및 제2 고정부(430)의 외주면에 결합된 채로 하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고정부(420)의 하부에는 제1 받침부(421)가 형성되고, 제2 고정부(430)의 하부에는 제2 받침부(431)가 형성되어 있다.
링부(41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1 받침부(421), 제2 받침부(431)와 맞닿고, 제1 받침부(421) 및 제2 받침부(431)는 링부(410)가 캡 접합부(4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캡 접합부(400)의 단면을 참고하면, 링부(410)가 하부로 이동한 후, 제1 고정부(420)의 일단과 제2 고정부(430)의 타단은 가상의 선(a)과 수평을 이루게 되며 링부(410)와 수직을 이루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링부(410)를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고정부(420)와 제2 고정부(430)의 폭 방향으로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페트병 캡에 캡 접합부(400)를 결합시키고 사용자가 링부(41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제1 고정부(420)와 제2 고정부(430)의 사이의 거리가 좁아져 캡 접합부(400)가 페트병 캡에 더욱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캡 접합부(400)와 페트병 캡이 맞닿을 때 페트병 캡과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캡 접합부(400)의 내주면은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이 접착력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사용자가 페트병 캡과 페트병 보조캡(11)을 분리한 후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보조 손잡이부(500)에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삽입하여 페트병을 파지한 후, 엄지손가락을 링부(410)의 일 지점과 맞닿게 위치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링부(410)가 제1 받침부(421) 및 제2 받침부(431)에 맞닿도록 링부(410)를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캡 접합부(400)를 페트병 캡에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돌출부의 일측에 위치시킨 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캡 접합부(400)와 접착된 페트병 캡이 페트병 보조캡(11)으로부터 분리된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여 회전부를 회전시켜 패트병 캡을 개방할 때 캡 접합부(400)가 페트병 캡의 외면에서 헛도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 손으로 링부(41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페트병 캡의 외면에 캡 접합부(400)를 간단한 방법으로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효과가 있다.
덧붙여, 제1 받침부(421) 및 제2 받침부(431)의 구성으로 링부(410)가 캡 접합부(4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캡 접합부(400)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링부(410)의 이탈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1 : 페트병 보조캡,
100 : 회전부,
110 : 날개부,
120 : 결합부,
130 : 돌출부,
131 : 마찰방지부,
200 : 유성기어부,
210 : 기어부 홈,
220 : 링 기어,
230 : 제1 기어,
240 : 제2 기어,
250 : 제2-1 기어,
260 : 제2-2 기어,
270 : 제2-3 기어,
280 ; 제2 기어 축,
300 : 홈부,
310 : 연결 홈부,
320 : 제2 기어 축 홈부,
400 : 캡 접합부,
410 : 링부,
420 : 제1 고정부,
421 : 제1 받침부,
430 : 제2 고정부,
431 : 제2 받침부,
500 : 보조손잡이부,
510 : 끼움부.

Claims (8)

  1.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맞닿아 결합되는 유성기어부;
    상기 유성기어부의 하부에 맞닿아 결합되는 홈부;
    상기 홈부의 하부에 맞닿아 결합되는 캡 접합부; 및
    상기 유성기어부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조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 접합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외주면에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일측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사이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고,
    페트병의 캡을 상기 캡 접합부의 내부에 삽입한 뒤, 상기 보조 손잡이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페트병을 파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페트병의 캡과 상기 페트병의 보조 캡이 분리되는 것인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접합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하부에 맞닿아 형성되는 한 쌍의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받침부는 상기 링부가 상기 캡 접합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를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하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사이가 폭 방향으로 가까워지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와 상기 받침부가 수직을 이루는 것인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링 기어; 및
    상기 링 기어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제1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상기 제1 기어의 상부가 결합되는 것인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부는,
    상기 제1 기어와 상호 치합되는 복수 개의 제2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 기어가 회전하는 것인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기어는 상기 제1 기어의 외주면에 상호 치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링 기어는 상기 복수 개의 제2 기어의 외주면에 상호 치합되는 것인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제2 기어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제2 기어 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홈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축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 축의 하부에 상기 축 홈부가 결합되는 것인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가 회전하면 상기 제2 기어 축이 회전하고,
    상기 제2 기어 축이 회전하여 상기 홈부가 회전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캡 접합부가 회전하는 것인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
KR1020210150569A 2021-11-04 2021-11-04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 KR102521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569A KR102521779B1 (ko) 2021-11-04 2021-11-04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569A KR102521779B1 (ko) 2021-11-04 2021-11-04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779B1 true KR102521779B1 (ko) 2023-04-13

Family

ID=8597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569A KR102521779B1 (ko) 2021-11-04 2021-11-04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7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191Y1 (ko) * 1995-12-19 1999-12-01 정몽규 드럼통 오프너
JP2019210045A (ja) 2018-05-31 2019-12-12 田中 佐知子 ワンハンドペットボトルオープナ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191Y1 (ko) * 1995-12-19 1999-12-01 정몽규 드럼통 오프너
JP2019210045A (ja) 2018-05-31 2019-12-12 田中 佐知子 ワンハンドペットボトルオープナ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65076C (en) Portable insulating receptacle
CA2983871C (en) Bottle with open loop handle
JP3141324U (ja) 瓶用開蓋装置
US7748293B2 (en) Pill container opener
MX2007008523A (es) Tapa roscada para botella con anillo no deslizante.
CA2826898A1 (en) Tilted grooved beverage drinking container
KR102521779B1 (ko) 링부를 이용하여 페트병 캡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손 오프너
KR102605950B1 (ko) 한 손으로 페트병 캡과 페트병 보조캡을 분리할 수 있는 오프너
US20100263492A1 (en) Bottle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2550956B1 (ko) 가이드부가 렉 기어의 이탈을 방지해주는 한 손 오프너
JP2019210045A (ja) ワンハンドペットボトルオープナー
US5165310A (en) Tool for rotating intravenous infusion bag medication bottle
KR102548580B1 (ko) 피니언 기어에 한 쌍의 렉 기어가 결합되는 한 손 오프너
JP6735057B1 (ja) 自助具
JP2003137393A (ja) 容器の蓋開閉補助具
CN113924023A (zh) 饮用瓶和饮用方法
JP2012081975A (ja) 飲料容器用オープナー
CN216135628U (zh) 一种手动榨汁杯及榨汁装置
JP3242638U (ja) 回転部材
KR102174993B1 (ko) 페트병용 쥐기 보조 장치
JP2004041543A (ja) 乳首付きキャップ
JP2007050929A (ja) オープナー
CN207511813U (zh) 安瓿启瓶器
JP4183144B1 (ja) ペットボトルキャップ開閉リング
JPH09183491A (ja) ネジ蓋開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