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971B1 - 플러그 커넥터 모듈을 위한 모듈식 시스템, 플러그 커넥터 유닛 및 이를 위한 모듈식 하우징 프레임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 모듈을 위한 모듈식 시스템, 플러그 커넥터 유닛 및 이를 위한 모듈식 하우징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971B1
KR102520971B1 KR1020197032268A KR20197032268A KR102520971B1 KR 102520971 B1 KR102520971 B1 KR 102520971B1 KR 1020197032268 A KR1020197032268 A KR 1020197032268A KR 20197032268 A KR20197032268 A KR 20197032268A KR 102520971 B1 KR102520971 B1 KR 102520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or
frame
housing
side walls
connecting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2681A (ko
Inventor
크리스티안 스트렘라우
틸 브린크만
세바스티안 그리펜스트로
로마노 다이멜
Original Assignee
이구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구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32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1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crew or scre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 유닛들을 제조하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을 위한 모듈식 시스템 및 하우징 프레임(211)의 내부에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18)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우징 프레임(211)에 관련되어 있다. 각각의 하우징 프레임(211)은 하우징 프레임의 프레임 폭(B)을 규정하는 2개의 평행한 길이방향 측벽들(214) 및 여기에 수직하며 하우징 프레임의 프레임 높이(H)를 규정하는 2개의 평행한 좁은 측벽들(216)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i) 프레임 폭(B)은 프레임 높이(H)의 정수배로서, 선택적으로 조인트 유격이 더해진 것이고; ii) 길이방향 측벽들(214)과 좁은 측벽들(216)은 형상 끼워맞춤 연결을 위한 연결 요소들(220A, 220B)을 구비하되, 길이방향 측벽(214)의 연결 요소(220A, 220B)는 좁은 측벽(16; 216)의 연결 요소(20, 220A, 220B)에 대응하며; iii) 복수의 연결 요소들(220A, 220B)은 각각의 길이방향 측벽(216)에서 프레임 높이(H)에 대응하는, 선택적으로 조인트 유격을 더하여 대응하는 그리드 거리(R)로 프레임 폭(B)을 따라 배치된다. EK라서 복수의 하우징 프레임들(211)이 그들의 연결 요소들(220A, 220B)에 의해 함께 모듈식으로 연결되어 플러그 커넥터 유닛(210)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 모듈을 위한 모듈식 시스템, 플러그 커넥터 유닛 및 이를 위한 모듈식 하우징 프레임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에 기초하여 플러그 커넥터, 특히 다양한 종류의 전달을 위한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한 모듈식 구성 시스템과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이를 위한 모듈식 하우징 프레임과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전기 플러그 커넥터들, 말하자면 전기 전력 및/또는 전기 신호들을 위한 플러그 커넥터들의 분야와 관련되어 있다.
매우 다양한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을 구비한 제시된 일반적인 종류의 모듈식 시스템이 예컨대 "Han-Modular® system"이라는 상표명으로 독일 Minden D-32427 소재의 HARTING Deutschland GmbH & Co. KG에 의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예컨대 카탈로그인 "HARTING Selection Guide - Han-Modular® Steckverbinder" (Version 3, 2016-211-21)에 설명되어 있다. 다른 제조자들 또한 유사한 시스템들을 제공한다. 이것들은 서로 다른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이 유닛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그것은 소위 지지 프레임, 특히 프레임 내의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동일한 수용 수단을 구비한 관절 프레임에 기초를 둔 예컨대 HARTING 시스템에 이루어져 있다. 프레임은 프레임 폭을 규정하는 2개의 평행한 길이방향 측벽들과 여기에 수직한 2개의 평행한 좁은 측벽들을 구비하는데, 이들은 하우징 프레임의 높이를 규정한다. 이 시스템에서, 좁은 측벽들은 길이방향 측벽들을 잠금 위치로부터 또는 잠금 위치로 각각 피벗 방식으로 개방하고 폐쇄하는 데에 기여하는 로터리 관절들을 구비하고 있다. 특허 DE 197 07 120 C1은 그런 관절 프레임 및 플러그 커넥터 모듈과의 그 협력을 설명하고 있다. 관절 프레임은 적절한 모듈러 고정 수단들과 함께 디자인된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의 기계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적절한 플러그 커넥터 모듈이 DE 197 07 120 C1의 도 3에 나타나 있으며, 다른 것들이 예컨대 특허 EP 1 398 853 B1에 설명되어 있다.
앞서 언급된 일반적인 종류의 시스템에서, 전류, 신호, 작동 매개체 등과 같은 다양한 전달 매개체를 위한 복수의 서로 다른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이 플러그 커넥터 유닛 내에서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하나의 유닛 내에 다양한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을 함께 도입하는 것은 설치 및 유지관리 시간을 감소시키며 필요한 공간의 크기도 감소시킨다.
위에서 언급된 카탈로그 및 EP 1 398 853 B1(도 4 참조)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전에 알려져 있는 시스템에서, 원하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과의 조립 이후에 각각의 관절 프레임에는 별도의 플러그 또는 플러그 커넥터 유닛의 실제 하우징으로 기능하며, 예컨대 케이블 지지 슬리브 또는 부착물에 대한 고정부를 구비한 부착 하우징이 제공된다.
앞서 언급된 일반적인 종류의 다른 제조자에 의한 시스템 및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이 EP 1 309 040 B1(도 5)에 설명되어 있다. EP 1 309 040 B1의 도 6 역시 많은 수의 동일한 하우징 프레임들이 상호 병치된 관계로 유닛의 형태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원리도 개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하우징 프레임들 각각은 하나의 개별적인 플러그 커넥터 모듈만을 수용한다.
또한, 예컨대 미국 특허 3 289 145 A 또는 출원 공개 DE 30 14 755 A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된 일반적인 종류의 것이 아닌 시스템들도 알려져 있는데, 여기서 전기적인 접촉을 위한 플러그 및 소켓 절연 몸체들이 열을 맞추어 배치되어 있고 플러그 및 소켓들 각각에 직접 제공된 연결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유닛을 형성한다. 이 경우, 별도의 지지 프레임이 없으며 실제 플러그 및 부착 하우징도 없다. 이와 같은 플러그 및 소켓 몸체들을 위한 이 대안적인 모듈식 원리는 약간의 기계적인 부하만을 가능하게 하며, 그것은 다양한 전달 매개체의 조합을 부분적으로만 허용하고, 오히려 수많은 산업 적용예에 대해 적합하지 않다. 이에 더하여, 산업상 요구되는 실링 수준(sealing class)이 그것들로는 거의 이행될 수 없다.
또한 US 2011/0287661 A1은 함께 연결될 수 있고 특정한 동축 관통-연결 슬리브들을 랙(rack)의 프레임 구조에 장착하도록 의도된 하우징 프레임들을 제안하고 있다. 프레임들이 실제 플러그 커넥터 유닛들의 하우징부, 바꾸어 말해 플러그 및 대응하는 플러그의 형태로 연결될 수 있는 유닛들이 아니라 랙을 제조하기 위한 조립 보조 수단에만 관련되어 있어서, 이 접근법 또한 앞서 언급된 일반적인 종류의 것이 아니거나 다른 분야에 관련되어 있다.
본 명세의 도입부에서 앞서 언급된 일반적인 종류의 모듈식 시스템은 대조적으로 실사용에서 그 가치가 입증되었으며 수많은 장점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예컨대 서로 다른 폭의 관절 프레임들 및 다양한 플러그, 소켓 또는 부착 하우징들과 같은 수많은 다양한 구성품들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시스템의 모듈성(modularity)을 증대시키는 것인데, 바람직하게는 이 목적은 동시에 모듈식 시스템의 구성품들 또는 구성 부분들의 필요한 전체 수에서의 감소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을 가지고 구축되는 플러그 커넥터 유닛은 특히 산업 적용예들에서 전기 플러그 연결에 적합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모듈식 시스템 및 이와 독립적으로 청구항 15에 제시된 모듈식 하우징 프레임에 의해 이루어진다.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에 대해, 특히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들(축약하여 직사각 커넥터들로 불리는)에 대해 앞서 언급된 일반적인 종류의 모듈식 시스템은 많은 수의 하우징 프레임들을 포함하지만, 어느 경우이든 하우징 프레임의 내부에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동일한 수용 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우징 프레임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하우징 프레임은 하우징 프레임의 프레임 폭을 규정하는 2개의 평행한 길이방향 측벽들과, 여기에 수직하게 하우징 프레임의 프레임 높이를 규정하는 2개의 평행한 좁은 측벽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 제1 타입의 하우징 프레임에서:
- 프레임 폭은 실질적으로 프레임 높이의 정수 배수이며, 보다 특정적으로 정확히는 정수 배수 더하기 제1 조인트 유격(제조 공차를 포함하여)이되, 이 유격은 미리 정해진 조인트 간극 크기에 대해 의도적으로 허용되어 있고;
- 두 길이방향 측벽들과 두 좁은 측벽들 모두는, 바꾸어 말해 모든 측벽들은 각각 특히 외측 측면에 의한 해체 가능한 연결을 위한, 바람직하게는 포지티브 잠금 연결(positively locking connection) 또는 고정을 위한 연결 요소들을 각각 구비하되, 길이방향 측벽의 각각의 연결 요소는 좁은 측벽의 연결 요소와 대응하거나, 양자 모두가 다른 하우징 프레임에서의 고정을 위한 목적을 위한 협력에 적합화된 구성의 것이며;
- 그리드 간격에서 상호 이격 관계로 된 적어도 2개의 연결 요소들이 각 길이방향 측벽에 배치되어 있되, 프레임 폭을 따라 측정된 상기 그리드 간격은 실질적으로 프레임 높이, 바꾸어 말해 정확히는 하우징 프레임의 프레임 높이 더하기 미리 결정된 제2 조인트 유격에 대응하는
것이 제공된다.
앞서의 특징들의 조합은, 플러그 커넥터 유닛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하우징 프레임들이 - 잠정적으로 제1 타입의 동일한 것들이 - 그 연결 요소들에 의해 모듈식 기계적 관계로 함께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이와 관련하여, 베이스 유닛으로 선택된 프레임 높이에 대한 관계에서 N배에 준하는 프레임 폭을 가진 제1 타입의 하우징 프레임은 다른 제2 스테이지에 의해 하우징 레벨 상에서 커넥터 시스템의 모듈성을 확장하는 베이스 구성품 또는 하우징 베이스 모듈을 나타낸다. 한편으로 이 경우에 하우징 프레임들 자체는 개별적으로 또는 추가 하우징 프레임들과 함께 말하자면 제1 모듈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그 자체로 알려져 있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을 수용하기 위한 실제 하우징으로서 기능한다. 이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은 실질적으로 모듈식 절연 몸체와 전기 접촉부들 또는 절연 몸체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지지하는 다른 매개체 커넥터들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하우징들, 특히 직사각형 커넥터 하우징들을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품들의 수는 모듈식 구조 내에서(모듈식 구성품들의 형태로 된) 협력하는 적은 수의 하우징 프레임들에 의해 감소된다. 그 중에서도, 많은 수의 커넥터 크기들을 가지기 위해, 대응되게 적당한 크기로 된 지지 프레임들, 플러그 하우징들, 소켓 하우징들, 부착 하우징들 등을 보유하는 것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이런 관점에서, 핵심적인 양상은 하우징 프레임의 구조 깊이에 수직한 범위의 2개의 방향들, 즉 폭 및 높이에 대한 관계로 그리드형 관계로 맞추어진 크기 결정이다. 연결 또는 조립 평면의 2개의 수직한 방향들로 길이방향 측면 및 좁은 측면의 크기들이 모듈성에 적합한 모듈로 N 측면비(modulo N side ratio)이도록 선택된다. 바꾸어 말해, 길이방향 측면이 연장되는 방향으로의 크기가 - 약간의 조인트 유격이 무시된다면 - 항상 좁은 측면이 연장되는 방향으로의 크기의 N배인데, 여기서 N은 특히 1과 4 사이, 바람직하게는 2 ≤ N ≤ 4인 정수이다.
다른 핵심적인 양상은 그리드 크기인데, 이에 따라 커넥터들이 복수의 하우징 프레임들이 모듈식 시스템의 구성품들과 같이 선택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모듈식으로 맞춰지는 관계로 배치된다. 이런 관계에서, 좁은 측벽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 또는 단 하나의 연결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한편, 긴 측벽들에서 그리드 관계의 간격에 항상 적어도 2개의 연결 요소들이 제공된다.
복수의 하우징 프레임들을 조립함으로써, 플러그로서 다른 플러그 커넥터 유닛, 특히 복수의 하우징 프레임들로부터 유사하게 함께 끼워맞춰지는 대응하는 플러그로서의 플러그 커넥터 유닛에 원스텝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로부터 해체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유닛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측벽들의 크기 결정 및 연결 요소들의 그리드 크기의 결정과 관련하여, 개별적인 적합한 조인트 유격이 허용되어야 하는데, 이것은 임의의 방향으로 손쉬운 조립을 가능하게 하며 하우징 프레임들의 제조 공차 및 약간의 변형도 감안한다. 이것은 개별적인 하우징 프레임들로부터 플러그 커넥터 유닛들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길이방향 측면들의 N배의 크기 결정에 대한 제1 조인트 유격은 그리드 관계에서 제2 조인트 유격과 동일할 수 있다. 이 둘은 각각 좁은 측면이 연장되는(깊이에 수직하게) 방향에서의 크기 결정의 매우 작은 비율, 특히 <<5%, 바람직하게는 <3%에 지나지 않는다. 제1 및 제2 조인트 유격들은 조립 평면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좁은 측면의 각각의 크기 결정에 따라 예컨대 십분의 몇 밀리미터에서 몇 밀리미터일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조인트 유격은 각각 상호 연결된 하우징 프레임들의 확고한 끼워맞춤 또는 연결을 보장하기에 충분히 작게 설정된다. 하우징 프레임들을 고정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상대적인 유격 없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하우징 프레임들은 그 경우에 플러그, 소켓 또는 이를 수용하는 부착 하우징들의 기능을 가진, 이전에 알려져 있는 관절 프레임들의 기능을 모듈식 구성으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조합한다.
상기 하우징 프레임 또는 각 하우징 프레임은 단일 부품 구조의 것일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다중 부품 구조 또는 구성의 것일 수 있다. 하우징 프레임은 2개의 메인 부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하우징 프레임은 3개의 메인 부품들을 구비하고, 특히 자체로 또는 지지 프레임의 덕택으로 개별적인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을 위한 수용 수단을 형성하는 프레임형 전방 부분과, 특히 깊이 방향으로 전방 부분에 연결되고 거기에 수직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는 2개의 협력하는 쉘형 후방 부분들을 구비한다. 따라서 그 중에서도 케이블 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탄성 스트레인 릴리프 수단(elastic strain relief means) 상에서 클램핑 작용이 얻어질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특히 탄성 스트레인 릴리프 장치가 케이블 관통 개구들과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을 위한 수용 수단 사이에서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스트레인 릴리프 수단은 대안적으로 하나의 후방측 메인 부품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언급할 만한 다른 양상은 하우징 프레임의 4개의 모든 외측 측면들에서, 즉 각각의 측벽에서 커넥터들을 구비한 구성이다. 이것은 프레임 깊이에 수직한 범위의 두 방향들 또는 플러그 연결 방향(조립 평면 내에서)으로의 모듈식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전반적인 크기 정립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모듈식 구조의 플러그 커넥터 유닛에 대한 관계에서 두 방향 모두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제1 베이스 구성품의 경우 또는 제1 타입의 하우징 프레임의 경우, 프레임 폭은 특히 프레임 높이 더하기 조인트 유격의 정확히 2배(2배 크기)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2 구성품으로서, 프레임 모듈식 시스템의 가장 작은 유닛 또는 가장 작은 구성품을 나타내는 제2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프레임이 제공될 수 있다. 이 하우징 프레임은 예컨대 포지티브 잠금 고정(positively locking fixing)에 의해 하우징 프레임의 내부에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을 끼워맞추기 위한 적어도 2개의 동일한 수용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타입과 유사하게 제2 타입의 하우징 프레임의 경우에 있어서도:
- 프레임 폭은 프레임 높이와 동일하며, 바꾸어 말해 N = 1인 N배이고;
- 모든 측벽들은 각각 특히 포지티브 잠금 연결을 위해 적어도 하나, 잠정적으로 복수의 연결 요소들을 구비하되, 측벽의 연결 요소는 인접하는 측벽의 연결 요소에 대응하고, 특히 각각 제1 하우징 프레임의 길이방향 또는 좁은 측벽의 연결 요소에 대응하기도 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복수의 제2 하우징 프레임들은 그 연결 요소들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제1 타입인 추가 하우징 프레임에 모듈식으로 연결되어 플러그 커넥터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 요소들의 관련성이 이 예에서 전반적으로 해석될 것이다. 상호 대응되는 연결 요소들은 상호 매칭되는 관계로 직접적으로 협력할 수 있거나, 2개의 대응하는 연결 요소들과 매칭되는 관계로 디자인된 별도의 다른 연결 요소에 의해 고정 목적을 위해 구현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 유닛들을 위해 모듈식으로 확장된 시스템의 특히 단순한 실시예는 위에서 언급된 제1 타입의 하우징 프레임만을 포함하거나, 위에서 언급된 두 가지 타입의 하우징 프레임만을 포함하며, 이들과 호환되며 그 자체가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을 수용하지 않는 추가적인 구성품들, 특히 적절한 커버 또는 후방측 폐쇄구들과 예컨대 장착 플레이트들, 장착 요소들, 플러그 잠금 수단 등을 포함한다. 모듈식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별도의 연결 요소가 또한 모듈식 시스템에 속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것과 같은 하우징 프레임 타입만을 가지고도 그 범위의 두 방향 모두로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는 전반적인 크기 정립과 관련된 일원화된 플러그 커넥터들을 구축하는 것이 이미 가능하다.
특히 위에서 언급된 두 가지 모두의 타입들의 하우징 프레임들을 가지고, 그 범위의 두 방향 모두로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전체적인 크기를 가진 일원화된 플러그 커넥터들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타입의 하우징 프레임 위에, 특히 제1 타입의 하우징 프레임과 제2 타입 둘 모두의 위에, 각각 쌍 관계(pair-wise relationship)로 대응하거나, 바람직하게는 포지티브 잠금 연결을 만들어내기 위한 상호 협력에 적합한 연결 요소들이 제공된다. 이런 관계에서, 기본적으로 임의의 종류의 포지티브 잠금 및/또는 강제-잠금 커넥터가 적합한데, 이것은 측벽들의 메인 평면에서 기계적으로 고정된 연결을 제공하며, 거기에 수직하게 인장력에 대한 관계에서 최소의 힘을 제공한다. 플러그인 방향으로의 힘은 플러그 연결의 작동을 위해 중요하다. 인장력과 관련하여 최소의 힘은, 요구되는 고정과 관련하여 예컨대 장착 플레이트들, 커버들 등과 같은 다른 구성품들에 의해 보충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발전형에서, 연결 요소들 모두 또는 그 적어도 일부가 포지티브 잠금 연결을 위해 디자인되는 것이 제공된다. 대응하는 연결 요소들은 특히 동일할 수 있거나 쌍 보완(pair-wise complementary) 또는 변형 구성(conjugate configuration)의 것일 수도 있다.
연결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측벽들 상에서 외측에 또는 측벽들 내에서 외측에 제공된다. 이론적으로, 포지티브 잠금 및/또는 강제-잠금을 위한, 특히 예컨대 개구들 또는 구멍들을 가진 핀들과 상보적인 방식으로 플러그 관계로 협력하는 노브(knob)들, 언더컷 구성을 가진 누름-단추 커넥터들, 래칭 후크(latching hook)와 래칭 에지를 가진 클립 커넥터들 등과 같은, 해체 가능한 강제-잠금 연결을 위한 모든 적절한 종류의 연결 요소들이 고려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프레임의 구성품 부분은 측벽들에 외측으로 된 리세스들의 형태로 된 연결 요소들인데, 이는 모듈성을 증대시키고 노출된 외측 측면에서 문제되는 에지들, 돌기들 등을 회피한다.
따라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측벽들의 리세스형 연결 요소들과 협력하는 추가적인 별도의 연결 요소들이 제공된다. 이것은 모듈성을 증대시키고, 말하자면 수리 또는 유지관리를 위해 이미 조립되었거나 최종적으로 끼워맞춰진 플러그 커넥터 유닛으로부터 개별적인 하우징 프레임의 해체를 용이하게 한다.
간단한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일부의 또는 바람직하게는 모든 연결 요소들이 하우징 프레임의 깊이의 방향으로, 또는 조립 평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며, 측벽들에서 도브테일(dovetail) 형상의 예컨대 T-형상인 텅-앤-그루브 연결(tongue-and-groove connection)에 적합한 단면을 가진 그루브의 형태로 되어 있다.
특히 모든 연결 요소들이 그루브의 형태라면, 그루브에 의해 하우징 프레임들을 연결하기 위해 말하자면 텅(tongue)으로서 연결 텅의 형태로 된 별도의 추가 연결 요소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 요소들은 특히 도브테일 연결을 위한 단면의 것일 수 있는데, 여기서 특히 연결 텅들은 반대로 배향된 V-형상 쐐기 구성을 가진 더블 도브테일(double dovetail)의 구성으로 된 단면의 것이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하우징 프레임들의 연결 요소들과의 협력을 위해, 텅-앤-그루브 연결을 만들어내기 위한 적절한 별도의 연결 텅들이 제공된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도브테일 연결을 위한 단면의 것들이다.
이와 무관하게, 하우징 프레임들의 연결 요소들과 포지티브 잠금식으로 협력하는 별도의 커넥터들이 선호된다.
커넥터들 또는 연결 텅들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프레임들과 래칭되기 위한 거울 대칭 구성의 2개의 래칭 텅(latching tongue)들을 구비하여 이들이 두 방향 모두에서 래칭될 수 있다. 외측 구성품들에 고정하기 위해, 메인 바디에서 별도의 커넥터들 또는 연결 텅들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나사 구멍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측면에서 접시머리 나사의 머리를 가진 나사 구멍들을 구비한다.
텅-앤-그루브 연결을 만들어내기 위해 그루브들을 이용할 때, 이들이 하우징 프레임의 깊이의 방향으로 또는 조립 평면에 수직하게 막힌, 그 중에서도 텅을 원하는 위치에 구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멍형 구성인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안정적인 연결을 만들어내기 위해 그루브들, 바람직하게는 후방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그루브들은 하우징 프레임의 깊이의 적어도 33%를 넘어 연장되어야 한다.
그 자체로 알려져 있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의 설치를 위해, 그 자체로 알려져 있는 지지 프레임이 하우징 프레임들에 장착될 수 있다. 그 자체로 알려져 있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의 설치를 위해, 제1 및 제2 포지티브 잠금 리세스들이 각각 길이방향 측벽들의 두 내측 측면들 모두에서 각각 수용 수단의 관계에서 반대되는 관계로 제공되는 것이 대안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 리세스들은 플러그 커넥터 모듈의 대응 수단과 래칭 목적을 위해 협력한다. 따라서 그 자체로 알려져 있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은 하우징 프레임에 직접 구속될 수 있고, 예컨대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관절 프레임과 같은 추가적인 매개 프레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그 안에서 배향될 수 있다.
폐쇄를 위해서, 그리고 또한 라인들의 실링된 통과를 위해서도, 2개의 후방 부분들에 대한 대안으로서, 하우징 프레임의 후방측에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으로 적합하게 크기 결정된 커버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 케이블 통과 지지 슬리브들을 가진 케이블 아웃렛이 선호된다. 바람직하게는 후방 부분들 또는 커버는 동시에 별도의 또는 통합된 연결 요소들을 깊이의 방향으로 또는 플러그-인 연결로 고정한다.
본 발명은 특히 실질적으로 하우징 프레임들(및 통상적인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로 구성된, 바꾸어 말해 하우징 프레임들을 둘러싸는 각각의 추가적인 플러그 하우징 등이 없이 구성된 2개의 플러그 커넥터 유닛들이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의 플러그 연결을 위해 협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플러그 및 대응하는 플러그로서 기능하는 2개의 플러그 커넥터 유닛들은 이런 관계에서 특히 동일한 하우징 프레임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 프레임들은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을 이용한 플라스틱,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로써 부가적인 전기 절연이 동시에 얻어진다. 플러그 커넥터 유닛의 EMV 차폐가 필요하다면, 이는 예컨대 적절한 코팅 공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자연스럽게도, 하우징 프레임들은 각각의 요구 조건에 따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금속 하우징 프레임의 경우, 하우징 프레임들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성형된 부분들로 만들어지므로, 예컨대 알루미늄, 아연 또는 적절한 합금, 특히 알루미늄 및/또는 아연을 가진 합금을 이용한 압력 다이 캐스팅 공정을 이용하는 것이 특히 고려될 수 있다. 금속 하우징 프레임들은 보호 접지 또는 고유의 보다 우수한 차폐로 인한 보다 우수한 신호 완전성을 가능하게 한다. 금속 하우징 프레임의 내부에 PE 보호 컨덕터로의 하우징 프레임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 또는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인 구성품으로서, 특히 기기 부분, 스위치 캐비닛 등과 같은 각각의 연결 위치로 플러그 커넥터 유닛을 고정하기 위해 측벽들의 연결 요소들과 협력하는 별도의 조립 부분들, 특히 조립 앵글 부재들 및/또는 조립 플레이트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인 구성품들은 이론적으로 하우징 프레임들 또는 적절한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이 자체로 이행할 수 없는 기능들을 위해서만 필요하다.
예컨대, 2개의 연결된 플러그 커넥터 유닛들을 고정하기 위해 잠금 루프(loop) 등과 같이 하우징 프레임들에 고정될 수 있는 잠금 부분들 또는 잠금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러그 연결의 기계적인 잠금을 위해, 예컨대 Han-Easy Lock® 원리(위에 언급된 카탈로그 참조)에 따른 토글 레버 잠금 장치들 또는 임의의 나사 잠금 장치들, 바요넷 잠금 장치들 등과 같은 1-루프 또는 2-루프 잠금 장치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협력하는 잠금 구성품들이 부착 또는 조립 부분들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적절하게 적합화된 잠금 구성품들, 예컨대 잠금 루프들이 또한 하우징 프레임들의 연결 요소들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 임의의 가능한 원하는 잠금 수단 역시 모듈식 관계로 하우징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유닛에 장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구성품 또는 제1 타입의 하우징 프레임으로서 제공되는 각각의 하우징 프레임은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을 고정하기 위해 2n개까지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에 대해 짝수(2 × n, n은 정수)의, 특히 4개, 6개 또는 8개의 동일한 수용 수단을 구비한다. 이 경우, 수용 수단은 특히 다양한 전달 매개체에 대해 50가지 서로 다른 모듈들을 제공하며 서로 다른 연결 절차와 관련되는 위에서 언급된 "Han-Modular® system"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에 대해 매칭되는 구성의 것일 수 있다.
옵션인 제2 타입의 하우징 프레임은, 특히 제1 타입의 하우징 프레임과 비교하여 절반의 수로서, 특히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에 대해 정확히 2개의 수용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수용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끼워맞춰진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이 하우징 프레임의 길이방향 측면들에 대해 그 주된 범위가 가로방향으로 놓이도록 배치된다. 폭 또는 길이방향 측면들이 연장되는 방향으로의 크기는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의 좁은 측면들의 크기로 된다. 바꾸어 말해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은 바람직하게는 그 길이방향 측면이 하우징 프레임의 좁은 측면과 평행하게 놓인다.
모듈식 시스템 이외에도 본 발명은 자연스럽게 이 제1 스테이지가 이미 모듈식인 시스템 내에서 제2 스테이지를 모듈식으로(말하자면 "하우징 레벨" 상에서)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개별적인 하우징 프레임과도 관련된다. 이 경우 각 하우징 프레임은 하우징 프레임의 내부에서 각각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에 대한 2개의 동일한 수용 수단을 구비하는데, 2개의 평행한 측벽들은 프레임 폭을 규정하며 2개의 평행한 측벽들은 이에 수직하게 프레임 높이를 규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모듈식 하우징 프레임은:
- 프레임 폭이 실질적으로 잠정적으로 조인트 유격을 더한 프레임 높이의 N배이되, N은 정수, 특히 1과 8사이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1 ≤ N ≤ 4,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N ≤ 4이고;
- 모든 측벽들은 특히 포지티브 잠금 연결을 위한 연결 요소들을 구비하되, 측벽의 각각의 연결 요소는 거기에 수직한 측벽의 연결 요소에 대응하며;
- 연결 요소들은, 복수의 하우징 프레임들이 그 연결 요소들에 의해 모듈식 관계로 함께 연결되어 플러그 커넥터 유닛을 형성할 수 있는 식으로 그리드 거리에 따라 서로에 대해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구별된다.
그리드 거리는 인접한 측벽의 경계 표면에 대한 거리의 두 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특정적으로, 이것은 단 하나의 연결 요소가 프레임 높이를 규정하는 측벽 내에서 중앙에 배치되어 있을 때 적용된다. 이것은 특히 가장 작은 하우징 프레임 및/또는 베이스 유닛이나 베이스 모듈로서 제공된 하우징 프레임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더 큰 프레임 구성품의 경우 또는 2개의 연결 요소들을 가진 길이방향 측벽의 경우, 그리드 간격은 길이방향 측벽에서 2개의 인접하는 연결 요소들 사이의 거리에 대응한다.
본 발명은 잠정적으로 서로 다른 전달 매개체를 위한 케이블, 호스 등과 같은 라인들, 특히 전기 라인들을 위한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유닛과도 관련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유닛은 앞선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적어도 2개의 하우징 프레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모듈 또는 모든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은 하우징 프레임들 중 하나에 각각 수용되고, 하우징 프레임들은 그 연결 요소들에 의해 서로 고정되고 결합되어 유닛을 형성한다. 이 경우 각각의 플러그 커넥터 유닛은 설치된 플러그 커넥터 모듈의 각 선택에 따라 플러그 또는 대응하는 플러그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라인들, 특히 전기 라인들을 위한, 그리고 광학, 액상, 기체상 또는 다른 전달 매개체를 위한 플러그 커넥터 유닛들, 특히 직사각 커넥터들의 제조를 위한 앞선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하우징 프레임들의 사용과도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특징들 및 작용들이 첨부의 도면들을 참조로 예시적인 방식으로 2개의 실시예들에 의해 이하에서 앞선 설명의 일반성의 관점에서 제한 없이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제1 및 제2 타입의 복수의 하우징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예시적인 플러그 커넥터 유닛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 및 도 3b는 2개의 하우징 프레임들을 텅-앤-그루브 연결 요소들에 의해 서로 고정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도 3a) 및 동일한 것에 적합한 연결 텅의 사시도(도 3b)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제1 타입의 하우징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제1 또는 제2 타입의 하우징 프레임의 깊이를 따른 길이방향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도 7a, 도 7b는 각각 사시도로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로서의 하우징 프레임의 분해도(도 6) 및 조립도(도 7 a), 대응하는 플러그로서의 하우징 프레임의 조립도(도 7b)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도 6, 도 7a,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우징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플러그 커넥터 유닛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도 6, 도 7a,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우징 프레임들의 텅-앤-그루브 연결을 만들기 위한 연결 텅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모든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특징들 또는 동등한 속성이나 효과를 가진 특징들을 나타낸다. 간단함을 위하여 동일한 많은 특징들이 반복하여 식별되어 있지는 않다.
도 1 및 도 2는 순수히 예시적으로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타입으로 구성된 플러그 커넥터 유닛(10)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제1 하우징 프레임들(11)과 제2 하우징 프레임들(12)은 물론 2개의 측방향 장착 플랜지들(13)로 이루어져 있다. 단 두 가지 타입의 하우징 프레임들(11, 12)이 플러그 커넥터 유닛(10)의 구조에서 이미 높은 수준은 모듈성을 가능하게 한다.
하우징 프레임들(11, 12) 각각은 정사각 구성으로 배치되고 서로에 대해 직각으로 되어 있으며 전방측과 후방측에서 개방된 4개의 측벽들(14, 16)을 구비한 중공 프레임의 형태로 되어 있다. 플러깅 연결(plugging connection)은 조립 평면(도 5에 수직한 평면)에 있는 전방측에서 다른 플러그 커넥터 유닛(미도시)에 대해 이루어진다. 2개의 평행한 측벽들(14)은 하우징 프레임(11, 12) 각각의 프레임 폭 (B1, B2)을 규정하고, 나머지 2개의 평행한 측벽들(16)은 하우징 프레임의 프레임 높이(H)를 규정한다. 프레임 폭(B)과 프레임 높이(H)가 연장되는 수직한 방향들은 하우징 프레임(11, 12)의 깊이(T)에 수직한 조립 평면을 형성한다.
두 하우징 프레임들(11, 12) 모두에서, 프레임 폭(B1, B2)은 실질적으로 프레임 높이(H)의 N배이며, 여기서 N은 정수이다. 수학적인 관점에서, B1, B2 및 H는 선택된 가장 작은 크기 유닛, 여기서는 H에 대한 관계에서 합동(congruent)이다. 제1 하우징 프레임(11)에서 프레임 폭(B1)은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술적으로 프레임 높이(H)에 십분의 몇 밀리미터인 약간의 미리 정해진 조인트 유격을 더한 것의 정확히 2배이다. 제2 하우징 프레임(12)에서 프레임 폭(B2)은 프레임 높이(H)와 기술적으로 동일한데(제조 공차를 제외하고), 여기서는 조인트 유격이 제공되지 않는다. 이 경우 프레임 높이(H)는 크기 결정에 대한 관계에서 베이스 유닛 또는 가장 작은 유닛을 나타내며, 두 하우징 프레임들(11, 12) 모두에서 동일하다.
도 1 내지 도 5는 예시적으로 각각의 하우징 프레임(11, 12)에 대한 관계에서, 모듈식 조립에 적합하며 4개의 측벽들(12) 모두에서 바깥쪽에 제공되는 연결 요소들(20)을 더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연결 요소들(20)로서 포지티브 잠금 연결을 만들기 위한 그루브들이 제공된다. 이론적으로 각각의 측벽(14 또는 16)의 각각의 연결 요소(20)는 여기에 수직한 측벽(16 또는 14)의 관련된 연결 요소에 대응하여 이 둘이 별도의 커넥터 부분을 이용하여 함께 끼워맞춰지거나 협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의 예에서, 연결 요소로서의 모든 그루브들은 동일하다.
연결 요소들(20)은, 복수의 하우징 프레임들(11, 12)이 그들의 연결 요소들에 의해 함께 모듈식 구조로, 그리고 4개의 공간적인 배향들 각각으로 또는 각 측벽(14, 16)에서 함께 연결될 수 있는 식으로 폭(B1, B2) 및 높이의 양방향 모두 또는 둘레를 따라 그리드 크기(R)에 따라 서로에 대해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우징 프레임들(11, 12)을 가상적으로 임의의 구성으로 된 플러그 커넥터 유닛을 형성하도록 모듈식 시스템의 구성품들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장착 플랜지들(13)과 같은 추가적인 부착 부분들에 모듈식 구조를 위한 커넥터들(23)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프레임(11)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연결 요소들(20)이 그리드 거리(R)로 길이방향 측벽들(14)에 각각 제공되어 있다. 각각의 연결 요소(20)는 좁은 측면(16)에 정확히 중앙에 끼워맞춰지거나 통합되어 있다. 이 경우 연결 요소들(20)은 수직으로 인접하는 측벽(14, 16)의 경계면에 대해 각각 그리드 거리의 절반의 거리, 바꾸어 말해 1/2 R의 거리에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컨대 보다 작은 그리드 거리를 가지거나 보다 큰 하우징 프레임들(11, 12)의 경우 각 측벽(14, 16)에서 모듈식으로 배치된 많은 수의 연결 요소들(20)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길이방향 측벽들은 m × n개의 연결 요소들(20)을 가지는데, 바람직하게는 m은 짝수이며, n은 좁은 측벽에서 연결 요소들(20)의 수에 대응한다. 정수값 m은 이 예에서 크기비 B1:H 또는 B1:B2에 각각 대응한다(B1=H이므로).
모듈형 또는 그리드형으로 배치된 연결 요소들(20)과 조합되어 크기들 B1, B2, 모듈로 H(잠정적으로 유격을 더한)를 가진 측벽들(14, 16)의 적합하게 맞춰진 크기 결정에 의해, 모듈 속성(modular principle) 또는 모듈성이 도 2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우징 프레임들(11, 12)의 조립을 위해 얻어진다. 이 경우, 4개의 측벽들(14, 16) 모두가 각각 연결 또는 조립을 위해 이용될 수 있어서, 임의의 전체 폭인 모듈로 H와 임의의 전체 높이인 모듈로 H를 가지고(가장 작은 유닛으로서 H 또는 B2를 가지고) 조립 평면의 범위의 두 방향 모두에서의 구조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상세히 나타내지 않은 연결 절차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연결 요소(20)는 항상 깊이(T)의 방향으로 또는 플러그 커넥터 유닛(10)의 플러깅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도브테일 연결 또는 텅-앤-그루브 조인트를 위한 그루브들의 형태로 되어 있다. 2개의 하우징 프레임들(11, 12)을 고정하기 위해, 단면 상에서 측벽들(14, 16)에 있는 그루브형 연결 요소들(20)로 절반이 포지티브 잠금 관계로 각각 끼워맞춰지는 적절한 수의 연결 텅(22)이 있어서, 다른 절반이 연결될 하우징 프레임(11, 12)의 반대로 배치된 그루브 또는 연결 요소(20)에 수용된다. 연결 텅(22)들은 따라서 길쭉한 형상의 핀들 또는 대략 |><| 형상 단면의 조립 핀들의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 텅(22)들은 양측 모두에서 반대로 배치된 평행한 대략 V 형상 수축부들(24)을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며, 포지티브 잠금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그 뒤에서 연결 요소들(20)(미도시)의 단면의 도브테일 형상이 맞물린다.
연결 텅(22)들은 깊이 방향으로의 변위를 방지하도록 고정된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후방측 커버(40) 또는 폐쇄구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그루브들의 막힌 구멍의 방식으로 된 구성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 그루브들은 연결 요소들(20)로서 기능하며, 후방 단부로부터 각각의 측벽(14, 16) 내의 깊이 및 단부의 약 40% 넘게 연장된다. 바꾸어 말해, 그것들은 전체 깊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되지는 않는다. 커버(40)에 의한 잠금 목적을 위해, 커버 내에서 유격을 가지고 대응하는 수용 수단(42) 내에 고정되는 구속 돌기(25)가 연결 텅(22)의 한 측면에 제공된다. 커버의 고정은 예컨대 하우징 프레임들(11, 12)의 에지들과 함께 대응하는 구멍들(44)에 의해 나사 연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둘레방향으로 연장된 실(seal)(미도시)이 측벽들(14, 16)의 단부 에지들에 대해 커버(40)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가장 폭넓게 변화하는 케이블 인입 수단(미도시)이 커버(40)의 벽체에 제공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그리고 실제 라인들을 위해, 적절한 자유 공간(46)이 하우징 프레임들(11, 12)의 내부에 제공된다.
도 3 내지 도 5는 하우징 프레임(11)의 내부에 있는 각각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18)을 위해 제1 하우징 프레임(11)에 있는 복수의 동일한 수용 수단, 예컨대 4개의 수용 수단(30a, 30b, 30c, 30d)을 나타내고 있다(도 1 내지 도 5는 도면에 도시하기 위한 이유로 동일한 플러그 커넥터 모듈(18)만을 계속하여 보여주고 있는데, 이런 관계에서 자연스럽게 실제로는 그 자체로 알려져 있는 다양한 서로 다른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18)이 사용된다). 이 예에서 모든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18)은 예컨대 플라스틱 절연체 상의 외측에서 그들의 좁은 측면들에서 동일하게 배치된 고정 인터페이스들을 가지고 있다. 모듈식 고정 인터페이스들은 이전의 알려져 있는 지지 프레임들(미도시)과의 래칭을 위해 의도되어 있으며, 예컨대 복수의 래칭 돌기들(19A, 19B), 래칭 후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하우징 프레임들(11, 12)의 각각의 수용 수단(30a, 30b, 30c, 30d)에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18)의 고정 인터페이스와 각각 호환되는 포지티브 잠금 고정 작용을 만들어내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도 5는 예컨대 중간 래칭 돌기(33)를 가진 제1 및 제2 포지티브 잠금 리세스들(31, 32)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는 직사각형인 포지티브 잠금 리세스들(31, 32)은 평행하게 마주보는 관계로 배치되며, 측벽들(14, 16)의 내부 벽체에서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된다. 제1 포지티브 잠금 리세스들(31)은 후방에서 외측으로 개방되어 플러그 커넥터 모듈(18)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데, 플러그 커넥터 모듈의 전방측 래칭 후크들(19B)이 제2 포지티브 잠금 리세스(32)와 맞물리며 래칭 돌기(33)에 의해 고정되어 플러깅 방향으로의 변위가 방지된다.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18)은 하우징 프레임(11, 12)에 직접 구속되어 포지티브 잠금 리세스들(31, 32)에 의해 플러깅 방향과 반대되는 관계로의 변위가 방지되며, 이들은 적절히 배향되어 있고 하우징 프레임에 해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수용 수단(30a, 30b, 30c, 30d)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두 하우징 프레임들(11, 12) 모두에서 짝수이다.
모듈식 시스템의 모든 구성품들, 특히 하우징 프레임들(11, 12)은 플라스틱으로 값싸게 제조될 수 있는데, 이런 관점에서 높은 수준의 굴곡 강도를 가진 테크니컬 플라스틱, 특히 섬유 보강 플라스틱이 비틀림에 대한 강성의 목적을 위해 선호된다. 플러그 커넥터 유닛(10)에 대한 다양한 잠금 수단을 가진 조립 부분들, 장비 또는 기기의 아이템들로의 부착을 위한 조립 플레이트 등과 같은 시스템의 다른 구성품들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예는 두 가지 기본 타입의 하우징 프레임들(11, 12)만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하우징은 예컨대 높이의 두 배(2H)와 동일한 폭(B1)을 가진 정사각 단면의 것 등과 같이 제1 하우징 프레임에 비해 "두배로 커진" 제3 타입의 하우징 프레임으로 당연히 더 큰 크기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하우징 프레임들은 모듈식으로 서로 호환될 수 있으며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추가적인 레벨의 모듈성에 의해 확장되는 모듈식 시스템에 의해, 몇몇 타입들의 하우징 프레임들(11, 12)을 가지고 변화할 수 있는 모든 인지 가능한 기하구조들을 신속하고 용이하며 값싸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식으로 구축되는 플러그 커넥터 유닛들(10)은 모든 분야들, 특히 예컨대 기기의 공급 및 제어를 위한 중앙 플러그 유닛으로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부분들 사이의 분리 수단으로서, 예컨대 에너지 가이드 체인을 위한 연결 요소들에 대한, 장비의 스위치 캐비닛들 및 다른 아이템들에 대한 산업 적용예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플러그 커넥터 유닛들(210) 또는 플러그 조립체(도 8)의 구축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프레임(211)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실시예에 대한 관계에서 본질적인 차이는 하우징 프레임(211)이 예컨대 금속 압력 다이 캐스팅 또는 플라스틱 다이 캐스팅을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3개의 분리되어 제조된 성형된 부분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도 6은 세 가지 주요 구성품들, 즉 하우징 프레임(211)의 플러그측을 형성하는 프레임형 전방 부분(211A)와 플러깅 방향 또는 깊이(T) 방향에 수직하게 조립되며 완성된 하우징 프레임(211)의 부분, 말하자면 플러그측으로부터 먼 부분을 형성하는 2개의 후방 부분들(211B, 211C)을 보여주고 있다(도 7a 및 도 7b 참조).
각각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18)(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음)을 위한 많은 수의 수용 영역들(230a 내지 230d)이 프레임형 전방 부분(211A)의 내부에 제공되어 있어서, 그 자체로 알려져 있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18)이 전방 부분(211A)에 장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낸 예에서,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18)을 위한 별도의 지지 프레임(미도시)이 전방 부분(211A)에 장착되어 있다. 예컨대 지지 프레임을, 그 교시가 여기에 통합되어 있는 EP 2 537 212 B1의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지지 프레임은 수용 영역들(230a 내지 230d) 각각에 각각의 수용 수단을 형성한다. 중심 맞춤 돌기(250) 및 대응하는 중심 맞춤 수용 수단(252)을 포함하는 각각의 쌍이 프레임 높이(H)를 미리 결정하는 측벽들(216)의 단부 및 내측에 거울 대칭된 관계로 제공된다. 중심 맞춤 돌기들(250) 및 관련된 중심 맞춤 수용 수단(252)은 각각 플러그들 및 대응하는 플러그들을 형성하는 2개의 플러그 커넥터 유닛들(210)(도 7a 및 도 7b)을 포함하는 플러그 연결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라벨 플레이트(256)를 위한 수용 수단(254)이 중앙 위치에서 전방 부분(211)의 넓은 측벽들(214) 상의 양측면에 각각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깊이(T) 방향으로 그리드 크기(R)에 따라 연장되는 제1 연결 그루브들(220A)이 전방 부분(211A)의 모든 측벽들(214, 216) 상에서 외측에 제공된다. 따라서 여기서 또한 복수의 하우징 프레임들(211)이 그들의 연결 요소들에 의해 모듈식 관계로, 그리고 4개의 공간적인 배향들 각각으로 또는 각각의 측벽(214, 216)에서 함께 연결될 수 있다(도 8 참조).
제1 연결 그루브들(220A)은 연결 텅(도 9)을 가지고 두 후방 부분들(211B, 211C) 모두에서 정렬된 제2 연결 그루브들(220B)과 통합적으로 협력하여, 둘 또는 그 이상의 하우징 프레임들(211) 사이에서 텅-앤-그루브 연결을 만들어낸다.
또한, 플러깅 방향 또는 깊이(T)의 방향으로 연결 텅들(도 9 참조)의 2개의 래칭 텅들(25) 중 각 하나의 거울 대칭 관계의 래칭 맞물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후방 래칭 에지를 형성하는 래칭 리세스(221)가 적어도 후방 부분들(211B, 211C)의 제2 연결 그루브들(220B)에 제공된다. 연결 텅(222)이 도 9에 더욱 상세히 나타내어져 있다. 한 단부에서 이것은 거울 대칭 구성의 2개의 래칭 텅들(225)을 포함하고 있다. 래칭 텅들(225)은 각각 외측 중앙에, 조립된 배치 상태에서 후방 부분들(211B, 211C)에 있는 대응하는 리세스(217)와 정렬되며 예컨대 일자 스크류 드라이버에 의해 래칭 텅들의 해체를 가능하게 하는 리세스(22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적어도 한 측면에서 접시머리 자리(229)를 가질 수 있는 2개의 연속적인 나사 구멍들(228)이 연결 텅들(222)의 메인 바디에 제공된다. 나사 구멍들(228)은 예컨대 스위치 캐비닛에 있거나 장착 플레이트 상에 있는 임의의 원하는 표면들로의 플러그 커넥터 유닛(210)의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텅-앤-그루브 연결을 만들기 위해, 연결 텅(222)은 양 측면 모두에서 반대되는 관계로 배치되고 대략 V 형상 단면으로 된 수축부들(224)을 구비한다. 수축부들(224)은 그루브들(220A, 220B)의 길이방향 에지들과 협력하며 2개의 마주보게 배치된 하우징 프레임들(211)의 견실한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도 8 참조).
후방 부분(211B, 211C)을 전방 부분(211A)에 고정하기 위해, 각각의 나사 구멍들이 후방 부분들(211B, 211C)의 코너에 있고 나사산(미도시)이 전방 부분(211A) 상에 있다. 플러깅 방향에 수직하게 2개의 후방 부분들(211B, 211C)이 또한 나사 연결 또는 기타 적절한 고정적인 연결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스트레인 릴리프 장치가 후방 부분들(211B, 211C) 사이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예에서, 스트레인 릴리프 장치는 동일한 구조의 것일 수 있는 상측 스트레인 릴리프 부분(270A)과 하측 스트레인 릴리프 부분(270B)을 포함한다. 스트레인 릴리프 부분들(270A, 270B)은 실용신안 DE 20 2017 101 483 U1의 원리에 기초하여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허니콤형 영역들을 가질 수 있다. 상측 후방 부분(211B)을 하측 후방 부분(211C)에 연결한 후, 스트레인 릴리프 부분들(270A, 270B)이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에 각각 연결될 케이블들 상에 클램핑하는 힘을 만들어낸다(미도시). 그러나 스트레인 릴리프 부분들(270A, 270B)의 적절한 구성으로 충분한 스트레인 릴리프가 플라스틱 소재의 적절한 짝맞춤에서의 표면 부착에 의해 이미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큰 클램핑력은 필요하지 않다.
또한, 라인들 또는 케이블들(미도시)의 통과를 위해 케이블 통과 지지 슬리브들(280)에 맞추어진 리세스들이 후방 부분들(211B, 211C)의 후방측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롯이 형성된 대략 장사방형 단면의 케이블 통과 지지 슬리브들(280)은 후방 부분들(211B, 211C)의 연결시에 실링 효과 이외에도, 케이블 통과 지지 슬리브들(280)의 서로에 대해 예각으로 되어 있는 측면 부분들의 형상 덕분으로 적절한 경사 연장면들(282)에 의해 추가적인 클램핑 작용이 라인 상에서 얻어질 수 있도록 사용된다. 여기서 예시로서 나타낸 것은 라인들을 위한 4개의 출구인데, 4개의 케이블 출구보다 더 적거나 및/또는 다른 출구 직경들도 가능하다.
케이블 통과 지지 슬리브들(280) 이외에도 적절한 실(seal)들이 각각 하우징 프레임(211)의 메인 부분들, 즉 전방 부분(211A) 및 2개의 후방 부분들(211B) 사이에 제공된다. 여기서 나타낸 예에서(도 6), 실들은 예컨대 스트레인 릴리프 부분들(270A, 270B)과 일체로 만들어져 있다. 별도의 실들을 전방 부분(211A)과 2개의 후방 부분들(211B, 211C) 사이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플러그 커넥터 유닛(210)은 실들에 의해 적어도 물방울 및 잠정적으로 분무에 대한 관계에서 실링된다.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커넥터 유닛들(210)은 분무 및 잠정적으로 제트류에 대해 대항할 수 있다. 둘레 실(미도시) 또한 전방 부분(211A)의 전방에서 플러그측에 제공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플러그 및 대응하는 플러그의 형태로 된 2개의 플러그 커넥터 유닛들(210)의 협력을 도시하고 있다(여기서 예시적으로 플러그 커넥터 없이, 그리고 하나의 연결 텅(222)만을 가지고).
도 8은 에시적으로 함께 연결되어 플러그 조립체를 형성하는 3개의 플러그 커넥터 유닛들(210)을 가진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 유닛들(210)을 포함하는 플러그 조립체를 사용할 때, 통상적인 플러그 커넥터들과 관련하여 교체 가능성이 없던 것이 본질적으로 개선된다. 플러그 커넥터 유닛들(210)로 적절히 구성된 플러그 조립체의 경우, 플러그들 및 대응하는 플러그들은 본질적으로 회전 불가능하며 및/또는 교체 불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
B1, B2 폭
H 높이
R 그리드 크기 또는 그리드 거리
T 깊이
10 플러그 커넥터 유닛
11 하우징 프레임(제1 타입)
12 하우징 프레임(제2 타입)
13 장착 부분들
14 측벽들(폭)
16 측벽들(높이)
18 플러그 커넥터 모듈
19A, 19B 래칭 돌기들
20 연결 요소
22 연결 텅
23 연결 텅
24 수축부
25 구속 돌기
30a,30b, 30c, 30d 수용 수단(플러그 커넥터 모듈에 대한)
31, 32 포지티브 잠금 리세스들
33 래칭 돌기
도 4 및 도 5:
40 커버
42 수용 수단(구속 돌기에 대한)
44 구멍들(나사들에 대한)
46 자유 공간
도 6 내지 도 9:
B 폭
H 높이
R 그리드 크기 또는 그리드 거리
T 깊이
210 플러그 커넥터 유닛
211 하우징 프레임
211A 전방 부분(하우징 프레임의)
211B, 211C 후방 부분들(하우징 프레임의)
214 측벽(폭)
216 측벽(높이)
217 리세스
220A 제1 연결 그루브
220B 제2 연결 그루브
221 래칭 리세스
222 연결 텅
224 수축부
225 래칭 텅들
227 리세스
228 나사 구멍들
229 나사 접시머리 자리
230a, 230b, 230c, 230d 수용 수단(플러그 커넥터 모듈에 대한)
250 중심 맞춤 돌기
252 중심 맞춤 수용 수단
254 수용 수단(라벨 플레이트에 대한)
256 라벨 플레이트
260 나사 구멍들(후방 부분들의)
270A, 270B 탄성 스트레인 릴리프 부분
280 케이블 통과 지지 슬리브들
282 경사 연장면들

Claims (23)

  1. 모듈식 시스템으로 제조된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10;210)로서,
    라인을 위한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18);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우징 프레임(11, 211)로서,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18)을 상기 하우징 프레임(11, 211)의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동일한 수용 수단들(30a,...30d; 230a,...230d)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우징 프레임(11, 211)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18)은 각각 상기 하우징 프레임(11, 12, 211)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 프레임은 하우징 프레임의 프레임 폭(B1, B)을 규정하는 2개의 평행한 길이방향 측벽들(14, 214) 및 여기에 수직하며 하우징 프레임의 프레임 높이(H)를 규정하는 2개의 평행한 좁은 측벽들(16, 216)을 구비하고,
    - 프레임 폭(B1, B)은 프레임 높이(H)의 실질적으로 N배이고(N은 정수);
    - 길이방향 측벽들(14, 214)과 좁은 측벽들(16, 216)은 연결 요소들(20, 220A, 220B)을 구비하되, 길이방향 측벽(14, 214)의 각각의 연결 요소(20, 220A, 220B)는 좁은 측벽(16, 216)의 연결 요소(20, 220A, 220B)에 대응하며;
    - 복수의 연결 요소들(20, 220A, 220B)은 각각의 길이방향 측벽(16, 216)에서 프레임 높이(H)에 대응하는 그리드 거리(R)로 프레임 폭(B1, B)을 따라 배치되어서, 복수의 하우징 프레임들(11, 12, 211)이 그들의 연결 요소들(20, 220A, 220B)에 의해 함께 모듈식으로 연결되어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10;21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모든 연결 요소들(20, 220A, 220B)은 길이방향 및 좁은 측벽들(14, 16) 각각에서 외측으로 포지티브 잠금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들(20, 220A, 220B)의 적어도 일부는 텅-앤-그루브 연결을 위해 하우징 프레임(11, 21, 210)의 깊이의 방향으로 연장된 그루브들의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하우징 프레임들의 연결 요소들(20, 220A, 220B)과 상호 결합되는 별도의 연결 요소들(22, 222)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별도의 연결 요소들(222)은 하우징 프레임들의 연결 요소들(220A, 220B)과 적어도 포지티브 잠금 관계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하우징 프레임(211)은 다중 부품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 프레임(211)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18)을 위한 수용 수단(230a,...230d)을 구비한 지지 프레임이 배치되어 있고; 또는
    각 수용 수단(30a,...30d)에서 길이방향 측벽들(16)의 내부 양측면들 모두에는 각각 마주보게 배치된 제1 및 제2 포지티브 잠금 리세스들(31, 32)이 제공되며, 제1 및 제2 포지티브 잠금 리세스들은 래칭 목적을 위해 플러그 커넥터 모듈(18)의 대응하는 수단(19A, 19B)과 상호 결합되어 하우징 프레임(11, 12)에 구속되고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케이블 통과 개구들이 하우징 프레임의 후방측에 제공되되, 탄성 스트레인 릴리프 장치(270a, 270B)가 케이블 통과 개구들 및 수용 수단(30a,...30d) 사이에서 깊이(T) 방향으로 하우징 프레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는 하우징 프레임들(11, 12, 211)로 구성되고, 하우징 프레임들을 둘러싸는 추가적인 하우징이 없는 각각의 경우에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18)의 플러깅 연결을 위해 하우징 프레임들(11, 12, 211)로 구성되는 추가의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는 복수의 하우징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적어도 몇몇의 하우징 프레임들(11, 12)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10)를 기기 부분, 스위치 캐비닛 등과 같은 각각의 연결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연결 요소들(20)과 상호 결합되는 별도의 장착 부분들이 제공되고, 상기 장착 부분들은 장착 플랜지(13), 앵글 부재들 및 장착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2개의 연결된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들(10; 2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가능한 잠금 부분들이 하우징 프레임들(11, 12) 상에 제공되고,
    상기 잠금 부분들은 측벽들의 연결 요소들(20) 중 적어도 하나 위 및 장착 부분들(13)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하우징 프레임(11, 211)은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18)을 고정하기 위해 짝수인 2n개의 동일한 수용 수단(30a,...30d; 230a,...230d)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 유닛들(10, 211) 각각에는 하우징 프레임(12)의 내부에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18)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동일한 수용 수단(30a, 30b)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하우징 프레임(12)이 제공되되, 상기 하우징 프레임은 하우징 프레임의 폭을 규정하는 2개의 평행한 측벽들(14)과, 여기에 수직하고 하우징 프레임의 프레임 높이를 규정하는 2개의 평행한 측벽들(16)을 구비하며;
    - 프레임 폭(B2)은 프레임 높이(H)와 동일하고;
    - 측벽들(14, 16)은 연결 요소들(20)을 구비하되, 한 측벽(14, 16)의 한 연결 요소(20)는 각각 인접한 측벽(14,1 6)의 연결 요소에 대응하여서 복수의 제2 하우징 프레임들(12)이 그들의 연결 요소들에 의해 서로 또는 제1 하우징 프레임(11)에 모듈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10)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15.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하우징 프레임은 단일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1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양한 전달 매개체를 위한 복수의 서로 다른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이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내에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17. 각각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제1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10; 210) 및 추가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10, 210)를 갖는 플러그 조립체로서,
    상기 제1 및 추가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는 복수의 하우징 프레임(11, 12; 211)으로 구성되고, 제1 및 추가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18)의 플러깅 연결을 위한 플러그 및 대응 플러그로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18. 제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들(20, 220A, 220B)은 포지티브 잠금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든 연결 요소들(20, 220A, 220B)은 동일하거나 상보적인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20. 제4항에 있어서,
    별도의 연결 요소들(22, 222)은 텅-앤-그루브 연결을 위한 별도의 연결 텅들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21. 제5항에 있어서,
    별도의 연결 요소들(22, 222)은
    - 하우징 프레임들(221)과의 래칭 맞물림을 위해 거울 대칭 구성으로 된 2개의 래칭 텅들(225) 및
    - 나사 접시머리 자리(229)를 구비한 2개의 나사 구멍들(228)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22. 제6항에 있어서,
    하우징 프레임(211)은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18)이 수용되는 프레임-형상 전방 부분(211A)과, 함께 전방 부분에 연결될 수 있는 2개의 상호 결합되는 쉘형 후방 부분들(211B, 211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23. 제14항에 있어서,
    제2 하우징 프레임(12)의 프레임 높이(H)는 제1 하우징 프레임(11)의 프레임 높이(H)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
KR1020197032268A 2017-03-31 2018-04-03 플러그 커넥터 모듈을 위한 모듈식 시스템, 플러그 커넥터 유닛 및 이를 위한 모듈식 하우징 프레임 KR102520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7101914.4 2017-03-31
DE202017101914.4U DE202017101914U1 (de) 2017-03-31 2017-03-31 Baukastensystem für Steckverbindermodule, Steckverbindereinheit und modulare Gehäuserahmen hierfür
PCT/EP2018/058502 WO2018178401A1 (de) 2017-03-31 2018-04-03 Baukastensystem für steckverbindermodule, steckverbindereinheit und modulare gehäuserahmen hierfü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681A KR20190132681A (ko) 2019-11-28
KR102520971B1 true KR102520971B1 (ko) 2023-04-12

Family

ID=61911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268A KR102520971B1 (ko) 2017-03-31 2018-04-03 플러그 커넥터 모듈을 위한 모듈식 시스템, 플러그 커넥터 유닛 및 이를 위한 모듈식 하우징 프레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200044381A1 (ko)
EP (1) EP3593415B1 (ko)
JP (1) JP7071996B2 (ko)
KR (1) KR102520971B1 (ko)
CN (1) CN110637397B (ko)
BR (1) BR112019020113B1 (ko)
CA (1) CA3058274A1 (ko)
DE (1) DE202017101914U1 (ko)
ES (1) ES2846799T3 (ko)
WO (1) WO20181784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7101914U1 (de) * 2017-03-31 2018-05-02 Igus Gmbh Baukastensystem für Steckverbindermodule, Steckverbindereinheit und modulare Gehäuserahmen hierfür
US10530597B1 (en) 2017-04-01 2020-01-07 Smart Power Partners LLC System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power switches configured to apply power to devices
US10727731B1 (en) 2017-04-01 2020-07-28 Smart Power Partners, LLC Power adapters adapted to receive a module and methods of implementing power adapters with modules
US10996645B1 (en) 2017-04-01 2021-05-04 Smart Power Partners LLC Modular power adapters and methods of implementing modular power adapters
DE102019109471A1 (de) * 2019-04-10 2020-10-15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Anordnung von modularen Leiterplattensteckverbindern
US11579640B1 (en) 2019-06-30 2023-02-14 Smart Power Partners LLC Control attachment for an in-wall power adapter
US11990718B1 (en) 2019-06-30 2024-05-21 Smart Power Partners LLC Power adapter having a plurality of interfaces and methods of implementing a power adapter
US10958020B1 (en) 2019-06-30 2021-03-23 Smart Power Partners LLC Control attachment for an in-wall power adap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in-wall power adapter
US11201444B1 (en) 2019-06-30 2021-12-14 Smart Power Partners LLC Power adapter having contact elements in a recess and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adapter
US10938168B2 (en) 2019-06-30 2021-03-02 Smart Power Partners LLC In-wall power adap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power to a load
US11231730B1 (en) 2019-06-30 2022-01-25 Smart Power Power LLC Control attachment for a power adapter configured to control power applied to a load
US11460874B1 (en) 2019-06-30 2022-10-04 Smart Power Partners LLC In-wall power adapter configured to control the application of power to a load
US11043768B1 (en) 2019-06-30 2021-06-22 Smart Power Partners LLC Power adapter configured to provide power to a load and method of implementing a power adapter
US10965068B1 (en) 2019-06-30 2021-03-30 Smart Power Partners LLC In-wall power adapter having an outlet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in-wall power adapter
US11264769B1 (en) 2019-06-30 2022-03-01 Smart Power Partners LLC Power adapter having contact elements in a recess and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adapter
US10917956B1 (en) 2019-06-30 2021-02-09 Smart Power Partners LLC Control attachment configured to provide power to a load and method of configuring a control attachment
US10958026B1 (en) 2019-06-30 2021-03-23 Smart Power Partners LLC Contactless thermometer for an in-wall power adapter
US11189948B1 (en) 2019-06-30 2021-11-30 Smart Power Partners LLC Power adapter and method of implementing a power adapter to provide power to a load
EP4088150A4 (en) * 2020-01-10 2024-02-21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ION INTERFACE
CN113258341A (zh) * 2020-02-13 2021-08-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器组件、单板和通信设备
CN112703643B (zh) * 2020-03-23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模块化车门连接器、模块化车门连接器制造方法和模块化车门连接器的安装方法
DE102020123188A1 (de) * 2020-09-04 2022-03-10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Modularer Steckverbinder zum Kontaktieren eines Gegensteckverbinders, insbesondere eines Leiterplattensteckverbind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4795A (ja) 2006-04-21 2009-09-24 エーディーシー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高密度同軸ジャ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2340A (en) * 1960-09-16 1963-01-08 Cannon Electric Co Electrical connector insulator block construction
US3289145A (en) 1964-04-09 1966-11-29 Elco Corp Appliance connector
DE3014755A1 (de) * 1980-04-17 1981-10-22 C.A. Weidmüller KG, 4930 Detmold Aus einzelelementen zusammensteckbarer block fuer elektrische steckverbindungen
US4611879A (en) * 1984-07-31 1986-09-16 Dill Products Incorporated Modular block and electrical interface assemblies employing same
US5295870A (en) * 1992-12-11 1994-03-22 Electro-Wire Products, Inc. Modular electrical assembly and removable wedge therefor
WO1996028861A1 (en) * 1995-03-16 1996-09-19 The Whitaker Corporation Modular frame assembly
DE19707120C1 (de) 1997-02-22 1998-06-25 Harting Kgaa Halterahmen
US6962511B2 (en) * 2001-03-16 2005-11-08 Pulse Engineering, Inc. Advanced microelectronic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E20117856U1 (de) 2001-11-02 2003-03-13 Weidmueller Interface Modulares Steckverbindersystem
US6905367B2 (en) * 2002-07-16 2005-06-14 Silicon Bandwidth, Inc. Modular coaxial electrical interconnect system having a modular frame and electrically shielded signal paths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DE20214132U1 (de) 2002-09-12 2002-12-05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Steckverbindermodul
DE202010002396U1 (de) 2010-02-16 2010-05-20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Verriegelungsbügel
DE202012010735U1 (de) * 2012-11-12 2012-12-03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Modularer Steckverbinder
US20140357095A1 (en) * 2013-06-03 2014-12-0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Block connector holder
DE102013111867A1 (de) * 2013-10-28 2015-04-3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zeile für eine Anschlussvorrichtung
DE102014215809A1 (de) * 2014-08-08 2016-02-11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alterahm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202017101483U1 (de) 2017-03-14 2017-03-31 Igus Gmbh Zugentlastung und Endbefestigungsteil mit Zugentlastung
DE202017101914U1 (de) * 2017-03-31 2018-05-02 Igus Gmbh Baukastensystem für Steckverbindermodule, Steckverbindereinheit und modulare Gehäuserahmen hierfü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4795A (ja) 2006-04-21 2009-09-24 エーディーシー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高密度同軸ジャ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16030A (ja) 2020-05-28
CA3058274A1 (en) 2018-10-04
ES2846799T3 (es) 2021-07-29
BR112019020113B1 (pt) 2024-02-06
EP3593415B1 (de) 2020-10-21
DE202017101914U1 (de) 2018-05-02
JP7071996B2 (ja) 2022-05-19
BR112019020113A2 (pt) 2020-05-05
US20200044381A1 (en) 2020-02-06
WO2018178401A1 (de) 2018-10-04
CN110637397B (zh) 2021-12-07
KR20190132681A (ko) 2019-11-28
US11374348B2 (en) 2022-06-28
US20210119372A1 (en) 2021-04-22
EP3593415A1 (de) 2020-01-15
CN110637397A (zh) 201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0971B1 (ko) 플러그 커넥터 모듈을 위한 모듈식 시스템, 플러그 커넥터 유닛 및 이를 위한 모듈식 하우징 프레임
US6516955B1 (en) Modular cabinet frame
US7189921B2 (en) Housing arrangement with at least two junction boxes
CN107925189B (zh) 由插接器模块框架和适配器元件构成的系统
US8319106B2 (en) Carrying device for busbars
JP2016501419A (ja) モジュラープラグインコネクタ
KR101984419B1 (ko) 플러그 커넥터를 위한 고정 프레임
JP2020184520A (ja) 電気コネクタ機構のコネクタ、およびそれによって形成される電気コネクタ機構
RU2325784C2 (ru) Коммутационная панель для монтажа на стене или в каркасе для модулей
US20140044474A1 (en) Mounting frame for an electrical enclosure or a rack
US9160110B2 (en) Flexible electrical power connection
KR101864020B1 (ko)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
CN110945729B (zh) 用于壁装模块化电气设备的盖致动元件和盖板
CN110959236B (zh) 用于壁装模块化电气设备的盖元件和盖板
CN113196573A (zh) 用于固定在安装轨上的用于触头插件的适配器壳体
CN101282015B (zh) 用于壁式安装的插塞连接器系统
KR20170077230A (ko) 플러그 커넥터용 벽 부싱
JP2023007492A (ja) 接続ストリップ及び該接続ストリップの製造方法
CN110959237B (zh) 用于壁装模块化电气设备的盖板和部件组
CN112952411A (zh) 适配连接器组件、电连接器插头及电连接器套件
CN216289608U (zh) 一种分层配电柜
EP1389816B2 (en) Installation box for electric appliances
CN216450569U (zh) 一种断路器外壳及断路器
CN114069171A (zh) 移相器固定装置
KR20090072417A (ko)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