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898B1 -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 - Google Patents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898B1
KR102520898B1 KR1020220131051A KR20220131051A KR102520898B1 KR 102520898 B1 KR102520898 B1 KR 102520898B1 KR 1020220131051 A KR1020220131051 A KR 1020220131051A KR 20220131051 A KR20220131051 A KR 20220131051A KR 102520898 B1 KR102520898 B1 KR 102520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pack
controller
fire
storage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민
Original Assignee
허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민 filed Critical 허민
Priority to KR1020220131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21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with control for stacker crane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warehouses, storage areas or other installations for storing goo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28Liqu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92Gaseous extinguishing substances, e.g. liquefied gases, carbon dioxide sno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2Heat or fire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발생위험을 용이하게 확인하여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화재로부터 안전한 지정장소로의 운송이 가능하여 화재로 인한 폭발을 예방할 수 있는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배터리팩의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모듈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배터리모듈의 상태를 송신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된 복수의 배터리팩을 보관랙에 각각 입고 및 상기 보관랙으로부터 각각 출고시키기 위한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상기 보관랙에 입고된 복수의 배터리팩 중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으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분사부와; 상기 감지부와 상기 컨트롤러가 구비된 배터리팩이 상기 보관랙에 입고 및 상기 보관랙으로부터 출고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송신하는 상기 배터리모듈의 상태를 수신하여 상기 분사부가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으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분사하도록 상기 분사부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Battery pack automatic transfer system}
본 발명은 화재발생위험을 용이하게 확인하여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화재로부터 안전한 지정장소로의 운송이 가능하여 화재로 인한 폭발을 예방할 수 있는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는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시키는 차량으로서, 전기모터에 구동전력을 제공하는 고전압 배터리팩이 필수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고전압 배터리팩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기밀이 유지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갖춘 배터리 케이스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내에 고정 설치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상기 고전압 배터리팩에 대한 보관 장소가 없어 여분의 상기 고전압 배터리팩이 바닥에 방치되어 있었고, 또한, 상기 고전압 배터리팩의 사용 후에도 이에 대한 별도의 보관 장소가 없어 유지 및 관리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송하기 위해, 최근에는 상기 고전압 배터리팩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자동 반송 대차 배터리 보관랙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37639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37639호 등으로 제안된 배터리 보관랙의 선반에 적재된 배터리팩의 상태 특히, 상기 배터리팩에서의 화재발생 위험을 확인할 수 없어 화재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화재로 인한 복수의 상기 배터리팩의 폭발을 예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3763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화재발생위험을 용이하게 확인하여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화재로부터 안전한 지정장소로의 운송이 가능하여 화재로 인한 폭발을 예방할 수 있는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터리팩의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모듈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배터리모듈의 상태를 송신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된 복수의 배터리팩을 보관랙에 각각 입고 및 상기 보관랙으로부터 각각 출고시키기 위한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상기 보관랙에 입고된 복수의 배터리팩 중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으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분사부와; 상기 감지부와 상기 컨트롤러가 구비된 배터리팩이 상기 보관랙에 입고 및 상기 보관랙으로부터 출고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송신하는 상기 배터리모듈의 상태를 수신하여 상기 분사부가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으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분사하도록 상기 분사부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상기 보관랙에 입고된 복수의 배터리팩의 상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보관랙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는 복수의 분배관과; 복수의 상기 분배관과 연통되도록 복수의 상기 분배관의 하부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보관랙에 입고된 복수의 배터리팩 중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으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배관의 내부로 공급될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가 저장되는 저장부재와; 상기 저장부재의 내부에 저장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복수의 상기 분배관으로 공급하는 공급라인과; 복수의 상기 분배관 중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분배관의 하부에 구비된 분사노즐이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으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분사하도록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공급라인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부는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 및 인접한 다른 배터리팩으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이 침지되는 수조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을 상기 보관랙으로부터 출고하여 상기 수조로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배터리팩을 상기 보관랙으로부터 출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컨트롤러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컨트롤러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컨트롤러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의 냄새를 감지하는 냄새센서와, 상기 컨트롤러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의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센서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모듈에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의 냄새를 감지하는 냄새센서와,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의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에 상기 컨트롤러를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외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컨트롤러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공기토출구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상부 외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에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배터리모듈의 상태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재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발광하는 발광부재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알림음을 출력하는 알림음출력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컨트롤러에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센싱부와; 상기 전압센싱부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배터리의 전압을 표시하는 전압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컨트롤러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충전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통해 보관랙의 선반에 적재된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에서의 화재발생위험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보관랙에 구비된 분배관과 연통되는 분사노즐을 통해 화재위험이 확인된 해당 배터리팩 및 인접한 다른 배터리팩으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분사하여 화재발생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고, 나아가, 이송장치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을 수조로 이송 및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배터리팩을 상기 보관랙으로부터 출고한 후 화재로부터 안전한 지정장소로 운송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상기 배터리팩의 폭발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에 의해 자동이송되는 배터리팩에 구비되는 컨트롤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감지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3은 컨트롤러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4는 컨트롤러가 배터리케이스의 공기토출구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배터리케이스의 상부 외부에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감지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컨트롤러가 배터리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컨트롤러와 감지부가 각각 배터리케이스의 외부와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6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컨트롤러를 배터리케이스의 외부에 부착시키기 위한 일예의 부착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의 이송장치에 의해 배터리팩이 보관랙에 입고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일예의 분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4는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으로 분사부가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분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5는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이 침지되는 수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6은 보관랙으로부터 출고된 배터리팩을 지정장소로 이송하기 위한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에 의해 자동이송되는 배터리팩에 구비되는 컨트롤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감지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은 크게, 이송장치, 분사부 및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이송장치는 보관랙으로 복수의 배터리팩을 입고 및 출고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팩에는 감지부(11)와 컨트롤러(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는 전기자동차용 새배터리팩 또는 폐배터리팩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배터리팩의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모듈의 상태, 특히, 배터리모듈에서의 화재발생위험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기 컨트롤러(12)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컨트롤러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기 감지부(11)는 일예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온도센서(111), 압력센서(112), 냄새센서(113) 및 연기센서(114) 중 어느 하나으로 이루어져 상기 컨트롤러(12)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11)는 상기 컨트롤러(1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112)는 상기 온도센서(111)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컨트롤러(1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냄새센서(113)는 상기 압력센서(112)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컨트롤러(12)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냄새센서(113)는 상기 배터리모듈에서의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유해가스의 냄새를 감지하는 냄새 감지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기센서(114)는 상기 냄새센서(113)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컨트롤러(1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의 연기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는 컨트롤러가 배터리케이스의 공기토출구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배터리케이스의 상부 외부에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컨트롤러(12)는 상기 감지부(11)가 감지한 상기 배터리모듈(23)의 상태, 특히, 상기 배터리모듈(23)에서의 화재발생위험을 무선송신 또는 유선송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케이스(21)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팩(2)의 배터리케이스(21)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는 각각 공기흡입구와 공기토출구(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가 상기 배터리모듈(23)의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12)는 일예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팩(2)의 배터리케이스(21)의 공기토출구(24)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타측 상부 외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2)는 상기 컨트롤러(12)에 설정된 기준온도값 및 기준압력값과 상기 온도센서(111)의 온도측정값 및 상기 압력센서(112)의 압력측정값을 각각 비교 및 상기 냄새센서(113)의 냄새감지여부와 상기 연기센서(114)의 연기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모듈(23)의 상태를 진단, 특히, 상기 배터리모듈(23)에서의 화재발생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11)의 온도측정값이 기준온도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12)는 배터리모듈(23)에서의 화재발생으로 인해 상기 배터리모듈(23)이 수용된 상기 배터리케이스(21)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한 것으로 판단 및 상기 배터리모듈(23)에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11)의 온도측정값이 기준온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12)는 상기 배터리모듈(23)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112)의 압력측정값이 기준압력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12)는 배터리모듈(23)에서의 화재발생으로 인해 상기 배터리모듈(23)이 수용된 상기 배터리케이스(21) 내부의 압력이 급격히 상승한 것으로 판단 및 상기 배터리모듈(23)에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112)의 압력측정값이 기준압력값 이하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12)는 상기 배터리모듈(23)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냄새센서(113)가 냄새를 감지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12)는 상기 배터리모듈(23)에서의 화재발생으로 인해 상기 배터리모듈(23)이 수용된 상기 배터리케이스(21)의 내부에 유해가스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 및 상기 배터리모듈(23)에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냄새센서(113)가 냄새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12)는 상기 배터리모듈(23)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연기센서(114)가 연기를 감지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12)는 상기 배터리모듈(23)에서의 화재발생으로 인해 상기 배터리모듈(23)이 수용된 상기 배터리케이스(21)의 내부에 연기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 및 상기 배터리모듈(23)에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연기센서(114)가 연기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12)는 상기 배터리모듈(23)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감지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감지부(11)는 다른예로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온도센서(111), 상기 압력센서(112), 상기 냄새센서(113) 및 상기 연기센서(114)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센서모듈(1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컨트롤러가 배터리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컨트롤러와 감지부가 각각 배터리케이스의 외부와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6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2)는 다른예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팩(2)의 배터리케이스(21)의 외부, 일예로, 상기 배터리케이스(21)의 공기토출구(24)와 인접한 상기 배터리케이스(21)의 상부 타측 외주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110)은 상기 배터리케이스(21)의 공기토출구(24)와 인접한 상기 배터리케이스(21)의 상부 타측 내주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센서모듈(110)이 상기 배터리케이스(21)의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모듈(23)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배터리케이스(21)의 내부 바닥면, 내주면 전측, 내주면 후측, 내주면 일측, 내주면 타측 중 어느 한 부위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컨트롤러를 배터리케이스의 외부에 부착시키기 위한 일예의 부착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컨트롤러(12)의 원활한 교체보수를 위해 상기 컨트롤러(12)에는 상기 컨트롤러(12)를 상기 배터리케이스(21)의 외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부재(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재(13)는 상기 컨트롤러(12)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재(13)는 양면테이프 또는 상기 컨트롤러(12)의 하부에 볼트고정,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는 자석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트롤러(12)가 금속재질의 상기 배터리케이스(21)의 외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분리가능하게 부착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센서모듈(110)의 하부에도 상기 센서모듈(110)을 상기 배터리케이스(21)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분리가능하게 부착고정시키기 위한 상기 부착부재(13), 특히, 상기 센서모듈(110)의 하부에 볼트고정,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부착부재(13)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12)에는 디스플레이부재(121), 발광부재(122), 알림음출력부재(12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21)는 일예로, 도 1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12)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부(11)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컨트롤러(12)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터리모듈(23)의 상태를 화면출력할 수 있는 LED 디스플레이 또는 LCD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컨트롤러(12)가 상기 배터리모듈(23)의 상태가 화재발생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21)는 상기 컨트롤러(1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12)에 내장될 수 있는 배터리(12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화재발생' 등의 문자, 'O' 등의 기호를 화면출력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2)가 상기 배터리모듈(23)의 상태가 화재발생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21)는 상기 컨트롤러(12)의 제어에 의해 작동중지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122)는 상기 감지부(11)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컨트롤러(12)의 제어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LED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122)는 일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21)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컨트롤러(12)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컨트롤러(12)가 상기 배터리모듈(23)의 상태가 화재발생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발광부재(122)는 상기 컨트롤러(12)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터리(12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2)가 상기 배터리모듈(23)의 상태가 화재발생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발광부재(122)는 상기 컨트롤러(12)의 제어에 의해 작동중지될 수 있다.
상기 알림음출력부재(123)는 상기 감지부(11)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컨트롤러(12)의 제어에 의해 부저소리, 사이렌 소리 등 다양한 종류의 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알림음출력부재(123)는 상기 컨트롤러(12)에 내장될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컨트롤러(12)가 상기 배터리모듈(23)의 상태가 화재발생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알림음출력부재(123)는 상기 컨트롤러(12)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터리(12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2)가 상기 배터리모듈(23)의 상태가 화재발생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알림음출력부재(123)는 상기 컨트롤러(12)의 제어에 의해 작동중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컨트롤러(12)에는 상기 배터리(126)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센싱부(14) 및 상기 전압센싱부(14)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컨트롤러(12)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터리(126)의 전압을 표시하는 전압표시부(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압센싱부(14)는 상기 컨트롤러(12)에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전압표시부(15)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21)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컨트롤러(12)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는 LED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2)는 기준전압값과 상기 전압센싱부(14)가 감지한 전압값을 비교하여 상기 전압표시부(15)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압센싱부(14)가 감지한 전압값이 기준전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1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압표시부(15)는 점멸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전압센싱부(14)가 감지한 전압값이 기준전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1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압표시부(15)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컨트롤러(1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압표시부(15)가 점멸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발광할 경우, 작업자는 상기 컨트롤러(12)의 배터리(126)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케이스(21)로부터 상기 컨트롤러(12)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배터리케이스(21)로부터 분리된 상기 컨트롤러(12)는 무선충전패드(16)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컨트롤러(12)의 배터리(126)를 용이하게 무선충전하기 위한 무선충전부(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부(17)는 상기 무선충전패드(16)로 전류를 송신하는 무선충전송신부와, 상기 무선충전송신부가 송신하는 전류를 수신하는 무선충전수신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부(17)의 무선충전수신부가 수신한 전류는 상기 컨트롤러(12)의 배터리(126)에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2)에는 상기 컨트롤러(12)의 배터리(126)로 전원을 유선충전하기 위한 USB포트 등 다양한 종류의 충전포트(124)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충전포트(124)에 USB 충전케이블 등 다양한 종류의 충전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2)의 배터리(126)는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일예로, 배터리팩(2)의 배터리모듈과 상기 컨트롤러(12)의 충전포트(124)는 USB 충전케이블 등 다양한 종류의 충전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의 이송장치에 의해 배터리팩이 보관랙에 입고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이다.
상기 이송장치(10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배터리팩(2)을 각각 안착지지하는 파렛트(7)와 함께 보관랙(3)의 선반(31)에 각각 제조사별로 입고 및 상기 보관랙(3)으로부터 각각 출고시키기 위한 지게차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송장치(100)는 다른예로서,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관랙(3)의 전측 지면과 후측 지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설치된 레일(9)을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의 상기 배터리팩(2)을 각각 안착지지하는 파렛트(7)와 함께 상기 보관랙(3)의 선반(31)에 각각 제조사별로 입고 및 상기 보관랙(3)으로부터 각각 출고하도록 제작된 셔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는 도 10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일예의 분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분사부(200)는 상기 이송장치(100)에 의해 상기 보관랙(3)에 입고된 복수의 배터리팩(2) 중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2)으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사노즐(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220)이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2)으로 분사할 수 있는 소화액은 액상의 소화수 또는 액상의 소화약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220)이 분사할 수 있는 소화성 기체는 일예로, 다른 원소와 화학 반응을 일으키기 어려운 기체 원소임과 더불어 넓은 뜻으로는 화학 반응성이 낮은 질소 따위를 포함하기도 하는 헬륨, 네온, 아르곤, 크립톤, 제논, 라돈,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지는 불활성 기체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사부(200)는 일예로,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분배관(210), 분사노즐(220), 저장부재(230), 공급라인(240) 및 개폐밸브(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배관(210)은 상기 이송장치(100)에 의해 상기 보관랙(3)에 입고된 복수의 상기 배터리팩(2)의 상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보관랙(3)의 선반(31)의 하부면과 천장(32)의 하부면에 수평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배관(2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상기 분배관(210)과 연통되는 연결관(2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220)은 복수의 상기 분배관(210)과 연통되도록 복수의 상기 분배관(210)의 하부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보관랙(3)에 입고된 복수의 상기 배터리팩(2) 중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2)으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재(230)는 상기 분배관(210)의 내부로 공급될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장부재(230)는 상기 보관랙(3)과 인접하도록 상기 보관랙(3)의 일측 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240)은 상기 저장부재(230)의 내부에 저장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복수의 상기 분배관(210)으로 공급하는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240)은 일예로, 크게, 제 1공급라인(241), 제 2공급라인(242) 및 제 3공급라인(24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공급라인(241)이 상기 저장부재(230)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 1공급라인(241)의 하부는 상기 저장부재(230)의 일측면 하부 또는 타측면 하부에 수밀 또는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 1공급라인(241)의 하부에는 상기 저장부재(230)의 내부에 저장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펌핑하는 펌프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공급라인(241)의 상부는 상기 보관랙(3)의 천장(32)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공급라인(242)은 복수의 상기 분배관(210)과 인접하도록 상기 제 1공급라인(241)에서 상기 보관랙(3)의 내측으로 분기된 상태로 상기 제 1공급라인(241)의 상하방향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공급라인(242)의 일측은 상기 제 1공급라인(241)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 1공급라인(241)에 수밀 또는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2공급라인(241)의 타측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제 3공급라인(243)은 상기 제 2공급라인(242)에서 복수의 상기 분배관(210)의 연결관(211) 방향으로 분기된 상태로 상기 제 2공급라인(242)에 상기 제 2공급라인(242)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공급라인(243)의 후측은 상기 제 2공급라인(242)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 2공급라인(242)에 수밀 또는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공급라인(243)의 전측은 복수의 상기 분배관(210)의 연결관(211)과 연통되도록 복수의 상기 분배관(210)의 연결관(211)에 수밀 또는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250)는 복수의 상기 분배관(20) 중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2)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분배관(210)의 하부에 구비된 분사노즐(220)이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2)으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분사하도록 상기 공급라인(240)의 제 3공급라인(243)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메인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공급라인(240)의 제 3공급라인(243)을 각각 개폐하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는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으로 분사부가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분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 제어부(300)는 상기 이송장치(100)와 상기 분사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예로, 상기 레일(9)과 인접하도록 상기 보관랙(3)의 타측 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300)에는 상기 보관랙(3)에 입고 및 출고될 복수의 상기 배터리팩(2)의 위치좌표값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가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를 근거로 상기 배터리팩(2)이 상기 보관랙(3)에 입고 및 상기 보관랙(3)으로부터 출고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위치좌표값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관랙(3)에 입고된 복수의 상기 배터리팩(2)에 구비된 상기 컨트롤러(12)가 송신하는 상기 배터리모듈(23)의 상태를 수신하여 상기 분사부(200)의 분사노즐(220)이 화재가 발생한 해당 위치좌표값의 해당 배터리팩(2)으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분사하도록 상기 분사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2)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2)과 인접한 다른 배터리팩(2)에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사부(200)의 분사노즐(220)은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2) 및 인접한 다른 상기 배터리팩(2)으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분사하는 것이 더욱 좋다.
일예로,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2)의 전측방향, 후측방향, 상부방향, 하부방향, 일측방향, 타측 방향의 다른 상기 배터리팩(2)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복수의 상기 분사노즐(220)이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2)의 상부 각 모서리부위 및 하부 각 모서리부위와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다른 상기 배터리팩(2)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복수의 상기 분사노즐(220)이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분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배터리모듈(23)의 상태를 감지하는 상기 감지부(11)를 통해 상기 보관랙(3)의 선반(31)에 적재된 배터리팩(2)의 배터리모듈(23)에서의 화재발생위험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보관랙(3)에 구비된 상기 분배관(210)과 연통되는 상기 분사노즐(220)을 통해 화재위험이 확인된 해당 배터리팩(2) 및 인접한 다른 배터리팩(2)으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분사하여 화재발생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5는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이 침지되는 수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2)이 침지되는 수조(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조(400)는 일예로,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관랙(3)의 일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레일(9)의 일측 지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조(400)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수조(400)의 내부에는 물 또는 소화액이 일정높이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200)의 분사노즐(220)을 통해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2)으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가 일정시간 동안 분사된 후 상기 이송장치(100)는 상기 메인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2)을 상기 보관랙(3)으로부터 출고하여 상기 수조(400)로 이송 및 상기 수조(400)에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2)을 침지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보관랙으로부터 출고된 배터리팩을 지정장소로 이송하기 위한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2)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2)과 인접한 다른 배터리팩(2)에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송장치(100)는 상기 메인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2)을 제외한 나머지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다른 배터리팩(2)을 상기 보관랙(3)으로부터 출고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보관랙(3)의 후측 지면에 설치된 상기 레일(9)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이송장치(100)는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2)을 상기 보관랙(3)으로부터 출고하여 상기 수조(400)로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관랙(3)의 전측 지면에 설치된 상기 레일(9)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이송장치(100)는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다른 복수의 배터리팩(2)을 상기 보관랙(3)으로부터 출고하여 상기 보관랙(3)의 타측 방향의 지면으로 각각 이송할 수 있다.
상기 보관랙(3)의 타측 방향의 지면으로 이송된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다른 복수의 상기 배터리팩(2)은 상기 보관랙(3)의 타측방향의 지면에서 주행가능한 지게차 등의 운송수단(500)을 통해 트럭 등 다양한 종류의 차량(600)의 적재함내로 각각 적재된 후 화재위험이 없는 창고 등의 안전한 지정장소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장치(100)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2)을 상기 수조(400)로 이송 및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2)를 제외한 나머지 다른 배터리팩(2)을 상기 보관랙(3)으로부터 출고한 후 화재로부터 안전한 지정장소로 운송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상기 배터리팩(2)의 폭발을 보다 용이하게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보관랙(3)은 건축물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관랙(3)이 내부에 배치된 건축물과 인접한 다른 건축물에서 발생된 화재로 인해 상기 배터리팩(2)이 폭발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예로, 상기 보관랙(3)이 배치된 건축물의 내부에는 건축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건축물 온도감지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300)는 상기 메인 제어부(300)에 설정된 기준 건축물 온도값과 상기 건축물 온도감지센서가 감지한 온도감지값을 비교하여 상기 이송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건축물 온도감지센서가 감지한 건축물의 온도값이 기준 건축물 온도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300)는 상기 보관랙(3)이 내부에 배치된 건축물과 인접한 다른 건축물에서 발생된 화재로 인해 상기 보관랙(3)이 내부에 배치된 건축물의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한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이때, 상기 이송장치(100)는 상기 보관랙(3)으로부터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모든 상기 배터리팩(2)이 화재로부터 안전한 지정장소로 운송될 수 있도록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모든 상기 배터리팩(2)을 상기 보관랙(3)으로부터 출고할 수 있다.
상기 건축물 온도감지센서가 감지한 건축물의 온도값이 기준 건축물 온도값 이하 인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300)는 상기 보관랙(3)이 내부에 배치된 건축물과 인접한 다른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함과 더불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위치좌표값에 따라 복수의 상기 배터리팩(2)을 상기 보관랙(3)에 입고 및 출고할 수 있다.
11; 감지부, 12; 컨트롤러,
100; 이송장치, 200; 분사부,
300; 메인 제어부.

Claims (12)

  1. 배터리팩의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모듈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배터리모듈의 상태를 송신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된 복수의 배터리팩을 보관랙에 각각 입고 및 상기 보관랙으로부터 각각 출고시키기 위한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상기 보관랙에 입고된 복수의 배터리팩 중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 및 인접한 다른 배터리팩으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분사하여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 및 인접한 다른 배터리팩에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분사부와;
    상기 감지부와 상기 컨트롤러가 구비된 배터리팩이 상기 보관랙에 입고 및 상기 보관랙으로부터 출고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송신하는 상기 배터리모듈의 상태를 수신하여 상기 분사부가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 및 인접한 다른 배터리팩으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분사하도록 상기 분사부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상기 보관랙에 입고된 복수의 배터리팩의 상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보관랙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는 복수의 분배관과;
    복수의 상기 분배관과 연통되도록 복수의 상기 분배관의 하부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보관랙에 입고된 복수의 배터리팩 중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 및 인접한 다른 배터리팩으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배관의 내부로 공급될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가 저장되는 저장부재와;
    상기 저장부재의 내부에 저장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복수의 상기 분배관으로 공급하는 공급라인과;
    복수의 상기 분배관 중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분배관의 하부에 구비된 분사노즐이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 및 인접한 다른 배터리팩으로 소화액 또는 소화성 기체를 분사하도록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공급라인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이 침지되는 수조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을 상기 보관랙으로부터 출고하여 상기 수조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해당 배터리팩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배터리팩을 상기 보관랙으로부터 출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컨트롤러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컨트롤러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컨트롤러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의 냄새를 감지하는 냄새센서와, 상기 컨트롤러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의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트롤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러를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외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부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센서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모듈에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의 냄새를 감지하는 냄새센서와,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의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상기 센서모듈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모듈을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부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컨트롤러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가 상기 배터리모듈의 상태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공기토출구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상부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배터리모듈의 상태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재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발광하는 발광부재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알림음을 출력하는 알림음출력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센싱부와;
    상기 전압센싱부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배터리의 전압을 표시하는 전압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충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배터리케이스로부터 분리된 상기 컨트롤러가 안착된 무선충전패드로 전류를 송신하는 무선충전송신부와;
    상기 무선충전송신부가 송신하는 전류를 수신하는 무선충전수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랙이 배치된 건축물과 인접한 다른 건축물에서 발생된 화재로 인해 상기 배터리팩이 폭발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관랙이 배치된 건축물의 내부에 상기 건축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건축물 온도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건축물 온도감지센서가 감지한 온도감지값과 기준 건축물 온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이송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
KR1020220131051A 2022-08-19 2022-10-13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 KR102520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051A KR102520898B1 (ko) 2022-08-19 2022-10-13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722A KR102482799B1 (ko) 2022-08-19 2022-08-19 배터리팩 상태 진단장치
KR1020220131051A KR102520898B1 (ko) 2022-08-19 2022-10-13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722A Division KR102482799B1 (ko) 2022-08-19 2022-08-19 배터리팩 상태 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898B1 true KR102520898B1 (ko) 2023-04-12

Family

ID=845395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722A KR102482799B1 (ko) 2022-08-19 2022-08-19 배터리팩 상태 진단장치
KR1020220131051A KR102520898B1 (ko) 2022-08-19 2022-10-13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722A KR102482799B1 (ko) 2022-08-19 2022-08-19 배터리팩 상태 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827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39B1 (ko) 2001-12-06 2008-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자동 반송 대차 배터리 보관랙
KR20120063066A (ko) * 2010-12-07 2012-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온도 센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KR20200065729A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일신에너지 배터리 팩 이송레일 제공을 위한 설치지그
KR20210076261A (ko) * 2019-12-13 2021-06-24 정대원 배터리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소화시스템 및 그 소화방법
KR20220075032A (ko) * 2020-11-26 2022-06-07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배터리 모듈의 화재 확산 방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31069B2 (ja) * 2013-12-27 2018-05-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蓄電池検査装置、蓄電池検査方法、蓄電池検査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39B1 (ko) 2001-12-06 2008-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자동 반송 대차 배터리 보관랙
KR20120063066A (ko) * 2010-12-07 2012-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온도 센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KR20200065729A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일신에너지 배터리 팩 이송레일 제공을 위한 설치지그
KR20210076261A (ko) * 2019-12-13 2021-06-24 정대원 배터리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소화시스템 및 그 소화방법
KR20220075032A (ko) * 2020-11-26 2022-06-07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배터리 모듈의 화재 확산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799B1 (ko)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13491A (en) Fire protection apparatus
US20160107710A1 (en) Mobile power supply trailer apparatus
US11534639B2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US20120265333A1 (en) Automated Storage System
US11241599B2 (en) Fire suppression system
KR101838057B1 (ko) 이동형 소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72121B1 (ko) 배터리팩 상태 진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
KR102495227B1 (ko) 전기자동차 화재시 배터리 안정화 작업용 냉각조 및 화재진압로봇 연동에 의한 배터리 자동안정화 시스템
KR102520898B1 (ko)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
KR20170022444A (ko) 휴대용 자동 소화기
CN213734652U (zh) 换电站
JP2023179441A (ja) 車両、及び船舶
IT202000011245A1 (it) Veicolo provvisto di sistema antincendio
CN218485035U (zh) 充电站、仓储系统和搬运系统
KR101925911B1 (ko) 휴대용 자동 소화기
JPH09150911A (ja) 自動倉庫
CN210992715U (zh) 一种罐箱消防安全装置
JP2012154111A (ja) 充電機能を備えた立体駐車装置
US20220252223A1 (en) Device for measuring residual amounts in high-pressure container in which liquefied gas is stored, and high-pressure container management system in which same is mounted
JP4901259B2 (ja) 消火設備
CN220322435U (zh) 高压构件安全测试箱和高压构件测试系统
JPH09173496A (ja) 消火装置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貨物収納倉庫
KR102190155B1 (ko)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
CN219162787U (zh) 一种火灾报警装置
CN212262199U (zh) 一种多功能油品运输车灭火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