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527B1 -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 - Google Patents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527B1
KR102520527B1 KR1020200183395A KR20200183395A KR102520527B1 KR 102520527 B1 KR102520527 B1 KR 102520527B1 KR 1020200183395 A KR1020200183395 A KR 1020200183395A KR 20200183395 A KR20200183395 A KR 20200183395A KR 102520527 B1 KR102520527 B1 KR 102520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acetic acid
low
concentration
aci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2038A (ko
Inventor
김석준
주남진
주성연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앤제이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앤제이컴퍼니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83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527B1/ko
Publication of KR20220092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5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Thio analogu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ingredients stabilising the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Abstract

본 발명은 여름철이나 고온 환경에서 분해가 빨리 일어나는 과초산(peracetic acid)을 안정화시켜 살균력의 유효기간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고, 자연분해 시 물과 식초로 변하는 등 친환경적이고,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과초산, 과산화수소, 초산 및 물을 포함하는 저농도 과초산조성물, 인산염 및 씀바귀 에탄올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Stability Enhanced Low Concentration Peracetic Acid Disinfectant Compositions}
본 발명은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름철이나 고온 환경에서 분해가 빨리 일어나는 과초산(peracetic acid)을 안정화시켜 살균력의 유효기간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과초산의 살균기전은 두 가지로 첫째는 활성산소의 방출로 세포막의 단백질 및 효소의 씨올(-SH) 및 황 결합(-S-)을 파괴하여 세포막의 전달 과정을 막는 것이고 둘째는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을 발생시켜 미생물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실제 항균시험에서는 과초산이 아주 낮은 농도(100ppm)에서 5분 이하의 접촉에도 박테리아, 효모 및 곰팡이를 비활성화시키나 유기물 존재하에서는 200 내지 500ppm이 요구된다.
기존 식품살균용 식품 첨가물 6종(차아염소산 나트륨 등)은 유기물이 존재하면 살균력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축산물에는 살균효과가 거의 없으나 과초산은 유기물 존재하에서도 살모넬라 균과 같은 식중독 균에 대해서 차아염소산 나트륨과 비교하여 기온에 따라 10 내지 1000배 이상을 나타내어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등의 축산물 가공 시설이나 도구 등의 살균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과초산계 소독제는 사용자 및 환자의 안전도가 높고 바이오필름의 생성을 억제하며 유기물 존재 시에도 탁월한 소독 효과가 있어 반복 재사용하는 내시경에서도 환자간 교차감염을 막기 위해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과초산계 소독제는 과초산 농도가 반으로 줄어드는 반감기가 제품 종류에 따라 상온에서 2 내지 3일 또는 길어야 10일 정도로 짧은 문제가 있다. 기존의 연구 결과들에 따르면 과초산의 분해속도는 사용된 노출 온도, 희석수의 종류, 과초산 농도, 과산화수소 및 아세트산의 농도, 황산 촉매의 유무 등에 의존한다. 이중에서 아세트산의 농도 증가 및 황산의 존재는 소독제의 pH를 낮춰 금속의 부식성을 높이는 문제가 추가로 발생한다.
과산화수소 함량이 높을수록 과초산 분해가 억제되고 오히려 생성될 수 있는데 과산화수소 농도는 규제 대상으로 허용치 이상으로 첨가할 수는 없다. 보관 온도는 가급적 낮을수록 과초산 분해가 억제되며 어는점이 각 성분의 함량에 따라 다르지만 얼릴 경우에는 거의 분해가 일어나지 않는다. 희석수로는 이온교환수(3차 증류수), 역삼투압수(2차 증류수), 1차 증류수, 수돗물, 지하수 순으로 초순수에 가까울수록 과초산 분해가 적다.
한편, 기존에 적용된 과초산 안정제는 금속 양이온을 캡쳐하는 킬레이터(chelator)로 과산화수소 안정제로 사용된 1-Hydroxyethylidene-1,1-diphosphonic acid(HEDP 혹은 editronic acid), cyclohexane-1,2-diamino tetra(methylene phosphonic acid)(CDTMP) 등이 사용된다.
여기서 HEDP(Monsanto사의 Dequest 2010)는 제지 표백에 사용되는 알칼리 조건의 과산화수소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또는 부식방지제 등으로 적용된 것으로 산성 조건인 과초산 소독제에서도 과초산 안정화 효과가 있어 현재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HEDP의 경우 국내에서 30ppm 이하로 사용량이 제한되어 있고 이 농도에서 과초산 안정화 효과는 비교적 작은 편이다. 물론,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에서 안정화제 농도에 비례하여 반드시 과초산의 안정성이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이온 킬레이팅 약품들은 경수(또는 지하수) 사용 시 전이금속에 의한 과산화수소 또는 과초산의 분해가 촉진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이온교환수나 역삼투압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
특허문헌 0001에는 퍼옥시컴파운드에 대한 안정화제로 피로인산(pyrophosphorus acid) 또는 염, 과붕산 나트륨(sodium perborate), 포타슘 퍼옥시모노설페이트(potassium monopersulfate), 아세토포스폰산 나트륨(sodium acetophospnonate)등이 사용되고 요소 화합물, 과붕산 화합물, 과황산 화합물 및 과산류(peracids) 등과 이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에탄올아민과 같은 유기아민의 염이 사용된다. 그러나, pH가 10 이상인 알칼리 조건에서 고농도의 과산화수소에 대한 안정화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아세토포스폰산 나트륨(sodium acetophospnonate)과 1-Hydroxyethylidene-1,1-diphosphonic acid(HEDP 혹은 editronic acid)가 가장 우수한 과산화수소 안정화 효과를 보였다.
특허문헌 0002에는 퍼옥시컴파운드에 대한 안정화제로 아크릴산계 고분자를 증점제(thickenig agent)로 0.05 내지 10% 첨가하는 방법과 특허문헌 0003에는 중성세제인 지방족 알콜 에톡실레이트(EO 부가수 >4)를 0.1 내지 5중량%를 첨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아크릴산 고분자나 지방족 알콜 에톡실레이트의 경우에도 낮은 함량에서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에서 과초산에 대한 안정화 효과가 있으나 그리 크지 않거나 고함량에서는 오히려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나쁠 수 있다.
특허문헌 0004에는 과산화수소 및 과초산 안정제로 탄소수가 2 내지 9인 저급 지방족 퍼애시드(C2∼C9 aliphatic peracid)를 기존 안정제에 추가하여 첨가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고 과초산 안정제로 dipicolinic acid(DPA)와 포스폰산(phosphonic acid) 또는 그 염화합물들(Monsanto사의 Dequest 제품들로 hydroxyethylenediphosphonate, diethylenetriaminepentamethylene phosphonate, ethylenediaminetetramethylene phosphonate 등)을 사용하였고, 부식방지제로 알칼리 금속의 인산염인 dipotassium hydrogen orthophosphate(K2HPO4)를 첨가하였다. 또한, 특허문헌 0005에는 합성촉매인 황산을 NaOH로 중화하고 Dequest 2010(HEDP) 200ppm과 DPA 50ppm을 사용하였다.
특허문헌 0006에는 과초산, 초산, 인산, 1,1-디포스폰산 및 역삼투압수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0007에는 과초산 1 내지 25중량%, 초산 0.5 내지 15중량%, 과산화수소 1 내지 25중량%, 유기산 1 내지 15중량%, 킬레이트제 1 내지 5중량%와 나머지는 물인 과초산 수용액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유기산은 평형반응(과산화수소+초산->과초산+물)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산 촉매로 시트릭산, 말릭산, 글리콜릭산, 옥살산, 숙신산, 포름산이며 상기 킬레이트제는 HEDP, [(카르복시메틸)이미노]비스(에틸렌니트릴로)테트라아세트산, EDTA 소듐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특허문헌 0008에는 과산화초산(0.1 내지 10중량%), 과산화수소(1 내지 30중량%) 및 살리실계 화합물(0.01 내지 2 중량%)을 포함하는 살균 소독조성물로서 상기 살리실계 화합물은 N,N'-디살리실리덴-에틸렌디아민, N,N'-디살리실리덴-1,2-프로필렌디아민, N,N'-디살리실리덴-N-메틸-디프로필렌트리아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소개되어 있다. 과산화초산 6.5중량%와 과산화수소 29중량%로 된 수용액에서 N,N'-디살리실리덴-1,2-프로필렌디아민 0.2g을 첨가하여 24℃에서 360일 보관 시 단지 과산화초산 농도가 2.3%의 농도변화를 보여 ±5% 이내의 기준치를 만족하였다. 다만 상기 살리실계 화합물들은 주로 연료첨가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인체에 해롭고 환경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현재까지의 과초산 안정화 기술은 그 효과가 적거나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물질들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식품첨가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 중에서 과초산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것을 찾아 과초산을 최대로 안정화시키는 치적 함량 및 조합을 구하고자 하였다.
US3122417A (1964.02.25) US5296239A (1994.03.22) US5489706A (1996.02.06) US5624634A (1997.04.29) US6677477B2 (2004.01.13) KR10-0363896B1 (2002.11.25) KR10-0597092B1 (2006.06.28) KR10-2034095B1 (2019.10.14)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여름철이나 고온 환경에서 분해가 빨리 일어나는 과초산(peracetic acid)을 안정화시켜 살균력의 유효기간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과초산, 과산화수소, 초산 및 물을 포함하는 저농도 과초산조성물, 인산염 및 씀바귀 에탄올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인산염은 상기 저농도 과초산조성물에 25 내지 500ppm이 포함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인산염은 트리폴리인산나트륨, 육메타인산나트륨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씀바귀 에탄올추출물은 상기 저농도 과초산조성물에 100 내지 1000ppm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씀바귀 에탄올추출물은 꽃씀바귀, 불꽃씀바귀, 선씀바귀, 노랑선씀바귀, 좀씀바귀, 흰씀바귀, 벋음씀바귀, 벌씀바귀, 갯씀바귀, 냇씀바귀, 애기벋줄씀바귀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에탄올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씀바귀 에탄올추출물은 벌씀바귀 잎, 뿌리 또는 전초를 건조한 것을 에탄올추출하여 얻은 것이 좋다.
또한, 부식방지제, 완충제, 금속 봉쇄제, 재부착 방지제 및 계면활성제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가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첨가제는 상기 저농도 과초산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0.001 내지 0.5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조성물은 여름철이나 고온 환경에서 분해가 빨리 일어나는 과초산(peracetic acid)을 씀바귀 에탄올추출물 및 인산염에 의해 안정화시켜 살균력의 유효기간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고, 자연분해 시 물과 식초로 변하는 등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조성물은 과초산, 과산화수소, 초산 및 물을 포함하는 저농도 과초산조성물, 인산염 및 씀바귀 에탄올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저농도 과초산조성물은 과초산 원액을 저농도로 희석한 조성물로서, 과초산원액을 역삼투압수, 이온교환수, 1차 증류수, 수돗물, 지하수 등의 물을 이용하여 20 배 내지 1500배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과초산 원액은 과초산 합성방법에 따라 조성이 달라지고, 황산 촉매를 미량 포함할 수 있다. 과초산 합성방법은 황산촉매로 합성하는 방법과, 무촉매로 합성하는 방법이 있다.
황산 촉매를 적용한 과초산 원액의 경우 반응물인 초산과 과산화수소의 몰비를 1:2 내지 1:15 사이로 사용가능하며 황산은 반응물의 중량 대비 1%를 첨가하여 50℃에서 4시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황산 촉매를 사용하지 않은 과초산 원액의 경우에는 반응물의 몰비는 동일하나, 80℃에서 12시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과초산과 과산화수소는 살균 성분으로 함량이 높을수록 살균효과는 크나 인체에 유해할 수 있으며, 과초산 함량이 0.008중량%이하의 경우 살균효과가 작아 접촉시간을 길게 유지하여 대장균 및/또는 식중독균을 죽일 수가 있고 과일 및 채소류의 세척 등에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산염은 육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Na6[(PO4)6]) 또는 트리폴리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Na5P3O10)으로 단독 또는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둘 다 식품첨가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섭취할 경우에도 인체에 무해한 수용성 무기화합물이다.
상기 인산염은 상기 저농도 과초산조성물에 25 내지 500ppm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산염을 25ppm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 과초산을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크게 감소한다.
그리고 상기 씀바귀 에탄올추출물은 과초산을 안정화시키고 살균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씀바귀 에탄올추출물은 건조된 씀바귀 잎, 뿌리 또는 전초를 에탄올에 냉침하여 추출할 수 있고, 특히 더욱 과초산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씀바귀 잎만을 사용하여 에탄올 추출하는 것이 좋다.
씀바귀(Ixreis dentata NAKAI)는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로 국내에서 흔히 자라는 것으로 식용이 가능하며 해열, 건위, 폐렴, 간염, 종기의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고, 이에 씀바귀 에탄올추출물은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천연 유래 물질이다.
상기 씀바귀는 그 종류에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꽃씀바귀, 불꽃씀바귀, 선씀바귀, 노랑선씀바귀, 좀씀바귀, 흰씀바귀, 벋음씀바귀, 벌씀바귀, 갯씀바귀, 냇씀바귀, 애기벋줄씀바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씀바귀 함유성분으로는 80여종 이상이 밝혀져 있고 풍미성분으로 헥세놀(hexenol), 플라본 중 하나인 시나로사이드(cynaroside)가 있고 지방산들(tridecanoic acid, hexadecanoic acid 등)과 그 에스터, 테르펜류로 알파- 및 베타-피넨(α- and β-pinene) 트리테르페노이드인 아미린(α- and β- amyrin), 올레아놀산(oleanoilc acid), 우르솔산(ursolic acid), 다당류로 이눌린(inulin), 이당류로 설탕(sucrose) 등이 있다.
상기 씀바귀 에탄올추출물은 건조된 씀바귀 잎, 뿌리 또는 전초를 에탄올에 냉침하여 추출할 수 있고, 특히 더욱 과초산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씀바귀 잎만을 사용하여 에탄올 추출하는 것이 좋다.
상기 씀바귀 에탄올추출물은 상기 저농도 과초산조성물에 100 내지 1000ppm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씀바귀 에탄올 추출물이 100ppm 미만에서는 살균 및 안정화 효과가 작고, 1000ppm 초과에서는 살균 효과는 크나 안정화 효과가 좋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부식방지제, 완충제, 금속 봉쇄제, 재부착 방지제 및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되는 단일 또는 두 가지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그 함량이 0.001 내지 0.5 중량%로 포함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2]
초산 200g과 35% 과산화수소 800g 및 97% 황산(촉매) 10g을 반응기에 넣고 50℃에서 5시간 동안 300rpm으로 교반 가열하여 과초산 원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과초산 원액은 과초산 7.3%, 과산화수소 21.3%, 초산 14.0%로 이루어지고 밀도는 1.1이다. 과초산 원액을 역삼투압수를 이용하여 36배 희석하여 1L의 저농도 과초산조성물을 얻었다.
저농도 과초산조성물 1L에 트리폴리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0.5g(500ppm) 및 벌씀바귀 잎 에탄올 추출물 0.5g(500ppm) 또는 1.0g(1000ppm)을 가하여 실시예 1 및 2의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저농도 과초산조성물에 표 1과 같이 안정제를 변화시켜 비교예 1 내지 5의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간경과에 따른 과산화수소 및 과초산 농도의 측정]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 내지 5의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에 대하여 30℃ 또는 20℃오븐에 넣고 시간 경과에 따른 과산화수소 농도와 과초산 농도를 각각 아래에 주어진 적정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냈다.
과초산 및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수용액상의 각 조성물에서 10ml을 취하여 250ml 비이커에 담고 황산 10% 수용액 약 40ml을 가한 다음 0.05N 과망간산나트륨(KMnO4) 수용액으로 투명한 액이 핑크색으로 변하기 직전을 적정점으로 잡아 과산화수소 농도를 구하였고 바로 이어서 10% 아이오딘화칼륨(KI, potassium ioddide) 수용액 10ml을 가하여 적황색 용액으로 변한 것을 0.05N 싸이오황산나트륨(Na2S2O3, sodium thiosulfate) 적정액을 가하여 투명해지는 시점까지 적정하여 과초산 농도를 구하였다. 과산화수소 적정은 황산세륨(IV)(cerium sulfate)을 이용한 과산화수소 적정결과와 잘 일치하였고 과초산 농도는 과초산 측정지(Merck사) 결과와 거의 일치하였다.
Figure 112023033248559-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과초산 0.2 중량%(2000ppm)를 갖는 조성물에 안정제로 트리폴리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0.5g(500ppm) 및 벌씀바귀 잎 에탄올 추출물 0.5g(500ppm)을 가한 실시예 1과 트리폴리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0.5g(500ppm) 및 벌씀바귀 잎 에탄올 추출물 1.0g을 가한 실시예 2가 가장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30℃에서 실시예 1과 2는 반감기가 15일 정도이지만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은 반감기가 10일로 5일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에서 실시예 1과 2는 반감기가 40일 이상으로 HEDP 30ppm과 카프릴산(octanoic acid) 100ppm을 첨가한 비교예 5의 반감기가 35일로 7일 이상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및 4]
초산 200g과 35% 과산화수소 800g을 반응기에 넣고 80℃에서 12시간 동안 300rpm으로 교반 가열하여 과초산 원액을 제조하였다. 과초산 원액은 과초산 6.9%, 과산화수소 22.7%, 초산 14.6%로 이루어지고 밀도는 약 1.1이다.
과초산 원액을 역삼투압수를 이용하여 222배 희석하여 저농도 과초산조성물 1L 용액을 제조하였다.
저농도 과초산조성물 1L에 육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및 벌씀바귀 잎 에탄올 추출물을 가하여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육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0.5g(500ppm) 및 벌씀바귀 잎 에탄올 추출물 0.25g(250ppm)을 가하여 실시예 3의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육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0.25g(250ppm) 및 벌씀바귀 잎 에탄올 추출물 0.5g(500ppm)을 가하여 실시예 4의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내지 10]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저농도 과초산조성물에 표 2와 같이 안정제를 변화시켜 비교예 6 내지 10의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간경과에 따른 과산화수소 및 과초산 농도의 측정]
실시예 3 및 4, 비교예 6 내지 10의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에 대하여 30℃ 또는 20℃ 오븐에 넣고 시간 경과에 따른 과산화수소 농도와 과초산 농도를 각각 아래에 주어진 적정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2로 나타냈다.
과초산 및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수용액상의 각 조성물에서 10ml을 취하여 250ml 비이커에 담고 황산 10% 수용액 약 40ml을 가한 다음 0.01N 과망간산나트륨(KMnO4) 수용액으로 투명한 액이 핑크색으로 변하기 직전을 적정점으로 잡아 과산화수소 농도를 구하였고 바로 이어서 10% 아이오딘화칼륨(KI, potassium ioddide) 수용액 10ml을 가하여 적황색 용액으로 변한 것을 0.01N 싸이오황산나트륨(Na2S2O3, sodium thiosulfate) 적정액을 가하여 투명해지는 시점까지 적정하여 과초산 농도를 구하였다.
Figure 112023033248559-pat00002
표 2에는 과초산 0.03 중량%(300ppm)을 갖는 조성물에 안정제로 육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0.5g(500ppm) 및 벌씀바귀 잎 에탄올 추출물 0.25g(250ppm)을 가한 실시예 3과 육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0.25g(250ppm) 및 벌씀바귀 잎 에탄올 추출물 0.5g(500ppm)을 가한 실시예 4가 가장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30℃에서 실시예 3과 4는 반감기가 각각 16일 및 18일 정도인데 HEDP 30ppm과 카프릴산(octanoic acid) 100ppm을 첨가한 비교예 10의 13일에 비해 3일 내지 5일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에서 실시예 3과 4는 반감기가 120일 이상으로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6의 반감기 62일 보다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및 6]
초산 200g과 35% 과산화수소 800g을 반응기에 넣고 80℃에서 12시간 동안 300rpm으로 교반 가열하여 과초산 원액을 제조하였다. 과초산 원액은 과초산 6.9%, 과산화수소 22.7%, 초산 14.6%로 이루어지고, 밀도는 약 1.1이다. 과초산 원액을 역삼투압수를 이용하여 1333배 희석(원액 0.75ml+역삼투압수 999.25ml)하여 1L의 저농도 과초산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저농도 과초산조성물 1L에 육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및 벌씀바귀 잎 에탄올 추출물을 가하여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육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0.05g(50ppm) 및 벌씀바귀 잎 에탄올 추출물 0.1g(100ppm)을 가하여 실시예 5의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육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0.025g(25ppm) 및 벌씀바귀 잎 에탄올 추출물 0.2g(200ppm)을 가하여 실시예 6의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내지 15]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저농도 과초산조성물에 표 3과 같이 안정제를 변화시켜 비교예 11 내지 15의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간경과에 따른 과산화수소 및 과초산 농도의 측정은 실시예 3 등의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의 측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으로 나타냈다.
Figure 112023033248559-pat00003
표 3에는 과초산 0.008 중량%(80ppm)을 갖는 조성물에 안정제로 육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0.05g(50ppm) 및 벌씀바귀 잎 에탄올 추출물 0.1g(100ppm)을 첨가한 실시예 5와 육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0.025g(25ppm) 및 벌씀바귀 잎 에탄올 추출물 0.2g(200ppm)을 가한 실시예 6이 가장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30℃에서의 과초산 농도의 반감기가 실시예 5는 35일, 실시예 6은 39일로 가장 길었으며 20℃에서도 둘 다 80일 이상으로 안정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6월 및 9월의 평균기온이 20±2℃ 부근이며 5월과 10월은 15±3℃ 부근으로 본 발명의 20℃ 결과와 유사하고, 3월과 11월은 5±3℃, 1월, 2월 및 12월은 0℃ 부근(서울 경기 등 북쪽은 영하로 -2℃ 정도이며, 남해안 쪽은 1 내지 4℃)으로 겨울에는 과초산 농도의 경시변화가 크지 않아 과초산이 2000ppm의 높은 농도에서도 반감기가 120일 이상으로 예상되므로 안정제의 효능이 중요하지 않으나, 4월부터 10월까지는 본 발명의 안정화 기술이 매우 필요하다 할 수 있다.
pH의 경우 과초산 함량이 높을수록 낮게 나타났으나 과초산 함량이 2000ppm 부근인 실시예 1과 2도 인산염 첨가로 pH가 3.00 이상으로 증가되어 산성도가 다른 안정제를 첨가한 것에 비해 낮아 금속 부식성이 가장 낮을 것으로 사료된다. 과초산 함량이 가장 적은 실시예 5와 6은 pH가 4이상으로 나타났다.

Claims (8)

  1. 과초산, 과산화수소, 초산 및 물을 포함하는 저농도 과초산조성물, 인산염 및 씀바귀 에탄올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인산염은 상기 저농도 과초산조성물에 25 내지 500ppm이 포함되고,
    상기 씀바귀 에탄올추출물은 상기 저농도 과초산조성물에 100 내지 1000ppm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염은 트리폴리인산나트륨, 육메타인산나트륨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씀바귀 에탄올추출물은 꽃씀바귀, 불꽃씀바귀, 선씀바귀, 노랑선씀바귀, 좀씀바귀, 흰씀바귀, 벋음씀바귀, 벌씀바귀, 갯씀바귀, 냇씀바귀, 애기벋줄씀바귀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에탄올추출하여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씀바귀 에탄올추출물은 벌씀바귀 잎, 뿌리 또는 전초를 건조한 것을 에탄올추출하여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식방지제, 완충제, 금속 봉쇄제, 재부착 방지제 및 계면활성제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상기 저농도 과초산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0.001 내지 0.5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
  7. 삭제
  8. 삭제
KR1020200183395A 2020-12-24 2020-12-24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 KR102520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395A KR102520527B1 (ko) 2020-12-24 2020-12-24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395A KR102520527B1 (ko) 2020-12-24 2020-12-24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038A KR20220092038A (ko) 2022-07-01
KR102520527B1 true KR102520527B1 (ko) 2023-04-11

Family

ID=82397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395A KR102520527B1 (ko) 2020-12-24 2020-12-24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5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79156A (zh) * 2022-12-16 2023-03-14 振德医疗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脱碘粘胶组合物及其手术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092B1 (ko) 2005-01-27 2006-07-04 이승훈 과초산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
KR100876684B1 (ko) 2007-10-31 2009-01-07 이진식 과초산 및 아세틸살리실산을 함유하는 산성의 살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94972B1 (ko) 2019-07-26 2020-03-30 주식회사 소프트아쿠아 내동성 및 산화성을 갖는 액상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0828C (ko) 1959-06-03
BE1003515A3 (fr) 1989-10-05 1992-04-14 Interox Sa Compositions d'acide peracetique et procede pour obtenir ces compositions.
GB9122048D0 (en) 1991-10-17 1991-11-27 Interox Chemicals Ltd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GB9124160D0 (en) 1991-11-14 1992-01-08 Interox Chemicals Ltd Stabilised peracid solutions
DE69831816T2 (de) * 1998-10-19 2006-07-06 Saraya Co., Ltd. Bakterizide desinfizierende peressigsäure-zusammensetzung
KR100363896B1 (ko) 2000-04-21 2002-12-16 이진식 과초산을 이용한 의료기기 세척제 및 그 제조방법
FI111459B (fi) 2001-04-04 2003-07-31 Kemira Chemicals Oy Menetelmä stabiilin peretikkahappotuotteen valmistamiseksi
KR101503503B1 (ko) * 2011-12-29 2015-03-19 대한민국 벌씀바귀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034095B1 (ko) 2018-07-02 2019-10-18 남일 과산화초산 및 과산화수소 살균 소독조성물, 그의 제조방법과 그의 금속부식방지 및 안정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092B1 (ko) 2005-01-27 2006-07-04 이승훈 과초산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
KR100876684B1 (ko) 2007-10-31 2009-01-07 이진식 과초산 및 아세틸살리실산을 함유하는 산성의 살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94972B1 (ko) 2019-07-26 2020-03-30 주식회사 소프트아쿠아 내동성 및 산화성을 갖는 액상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038A (ko)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19581C (en) Aqueous solution of aromatic percarboxylic acids
US4404040A (en) Short chain fatty acid sanitizing composition and methods
KR101290547B1 (ko) 유기 과산 중합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6195595A (zh) 活化的过氧化氢消毒组合物
CA2572189A1 (en) Stable oxidizing bromine composition,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for biofouling control
BR112012021933B1 (pt) método para tratar uma solução de peroxigênio
JP2004502437A (ja) 食物の輸送及び加工用水流中の微生物増殖の抑制方法及び組成物
KR102520527B1 (ko) 안정성이 향상된 저농도 과초산계 소독제조성물
EP1192130B1 (en) Peroxy-carboxylic acid and aqueous compositions thereof
AU7870687A (en) Stable, shippable, peroxy-containing microbicide
EP1618786A1 (en) Composition for bactericide produc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organic peracid
CN103118538A (zh) 消毒和杀菌的溶液
KR102034095B1 (ko) 과산화초산 및 과산화수소 살균 소독조성물, 그의 제조방법과 그의 금속부식방지 및 안정화 방법
US20070212424A1 (en) Method of disinfecting food and food preparation areas
KR101732257B1 (ko) 환경친화적 살균·소독 및 악취저감용 옥시젠 라디칼 조성물
FR2761080A1 (fr) Composition a base de peracides pour le nettoyage, la desinfection et la decontamination de surfaces souillees par des agents toxiques
KR102353182B1 (ko) 과구연산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
CN113439757A (zh) 用于饮料、乳制品无菌生产设备的过氧化氢银离子消毒液及其制备方法
KR20220075633A (ko)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WO2014138568A1 (en) Activated peroxide compositions for anti-microbial applications
JPS61134303A (ja) 安定化した殺菌消毒用濃厚液
KR102573619B1 (ko)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살균소독제 조성물
US20100221361A1 (en) Stable oxidizing bromine composition,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for biofouling control
EP1393629A1 (en) Aqueous disinfecting compositions based on quaternary ammonium monomers
KR102353181B1 (ko) 과초산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