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5633A -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5633A
KR20220075633A KR1020200163924A KR20200163924A KR20220075633A KR 20220075633 A KR20220075633 A KR 20220075633A KR 1020200163924 A KR1020200163924 A KR 1020200163924A KR 20200163924 A KR20200163924 A KR 20200163924A KR 20220075633 A KR20220075633 A KR 20220075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storage stability
excellent storage
disinfecta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동연
최형철
심상현
김영은
정다솜
김홍주
김홍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피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피앤씨
Priority to KR1020200163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5633A/ko
Publication of KR20220075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6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ingredients stabilising the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2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8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과산화물이 8 내지 20 중량%와 정제수 잔량으로 이루어진 제1조성물 및 아세틸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 0.5 내지 2 중량%와 정제수 잔량으로 이루어진 제2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은 과초산을 고농도로 발생시킬 수 있는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발생된 과초산의 농도가 오랜 기간 유지되어 우수한 살균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TWO COMPONENT DISINFECTANT COMPOSITION WITH EXCELLENT STORAGE STABILITY}
본 발명은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초산을 고농도로 발생시킬 수 있는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발생된 과초산의 농도가 오랜 기간 유지되어 우수한 살균효과를 나타내는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과초산은 다양한 적용분야에 대해 유용한 살균제 및 소독제로 사용되고 있는데, 미생물에 대해 광범위한 활성 스펙트럼을 가지기 때문에, 내시경과 같은 의료장비의 살균 세척, 냉각탑 용수, 채광 공정 용수, 식품 가공 용수, 펄프 및 제지 공장(paper mill) 용수 등을 포함하는 산업용수의 살균 세척에 유용하게 이용될 뿐만 아니라, 반도체 장비의 에칭제로도 이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의료장비의 살균 세척을 위해, 일반적으로 글루타르알데히드, 차아염소산나트륨, 포르말린 및 초산 등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글루타르알데히드는 자극적인 냄새와 함께, 피부나 눈 등의 인체 조직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고, 살균시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차아염소산나트륨과 초산은 어느 정도의 살균력과 스케일 제거력을 가지고 있으나, 스케일 제거를 목적으로 사용된 고농도의 초산은 차아염소산나트륨과 함께 기기 부식의 주된 원인이 될 뿐 아니라 그로 인한 기기의 잦은 고장을 유발하여 의료기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과초산이 의료장비의 세척에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예를 들면 내시경과 같은 의료장비 및 치과용 기구의 살균에 과초산을 이용하는 방법, 과초산, 초산, 과산화수소, 인산, 1,1-디포스폰산, 및 역삼투압수를 혼합하여 의료기기 세척제에 이용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과초산을 살균제로 사용하는 기술은 고농도의 과초산을 1% 이하의 농도로 희석시킨 후에 사용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과초산 살균제는 과초산이 빠르게 자연분해되어 사용기간이 지나치게 짧고, 보관 및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3896호(2002.11.2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6684호(2008.12.23)
본 발명의 목적은 과초산을 고농도로 발생시킬 수 있는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발생된 과초산의 농도가 오랜 기간 유지되어 우수한 살균효과를 나타내는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산화물이 8 내지 20 중량%와 정제수 잔량으로 이루어진 제1조성물 및 아세틸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 0.5 내지 2 중량%와 정제수 잔량으로 이루어진 제2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조성물과 상기 제2조성물은 1:1의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과산화물은 과탄산나트륨 및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조성물에는 금속이온봉쇄제 0.8 내지 15 중량%가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에티드론산, 에티드론산염, 에데트산, 에데트산염, 시트르산, 시트르산 수화물,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염 및 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조성물에는 반응촉매 1 내지 3 중량%가 더 함유되며, 상기 반응촉매는 인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조성물에는 부식억제제 0.025 내지 0.5 중량%가 더 함유되며, 상기 부식억제제는 안식향산나트륨 및 벤조트리아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조성물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3 중량%가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아세틸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 및 글루코오스펜타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조성물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3 중량% 및 소포제 0.5 내지 1 중량%가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조성물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0.1 내지 4 중량%가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조성물에는 과황산 화합물 1 내지 3 중량%가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과황산 화합물은 포타슘퍼옥시모노설페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조성물에는 활성화제 1 내지 2 중량%가 더 함유되며, 상기 활성화제는 황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조성물에는 가용화제 0.5 내지 1.5 중량%가 더 함유되며, 상기 가용화제는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은 과초산을 고농도로 발생시킬 수 있는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발생된 과초산의 농도가 오랜 기간 유지되어 우수한 살균효과를 나타내는 살균소독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제1조성물과 제2조성물을 1:1의 중량부로 혼합한 후에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과초산의 농도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3 내지 14를 통해 제조된 제1조성물과 제2조성물을 1:1의 중량부로 혼합한 후에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과초산의 농도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존안전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은 2액형으로 제조되는데, 과산화물이 8 내지 20 중량%와 정제수 잔량으로 이루어진 제1조성물 및 아세틸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 0.5 내지 2 중량%와 정제수 잔량으로 이루어진 제2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사용 전에 상기 제1조성물과 상기 제2조성물을 1:1의 중량부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성물은 과산화물이 8 내지 20 중량% 함유되는데, 상기 과산화물은 과탄산나트륨 및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과탄산나트륨 및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지는 과산화물은 상기 제2조성물에 함유된 아세틸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과 반응하여 과초산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과탄산나트륨이 수용액 상태로 보관될 때, 상기 과산화수소가 분해되면서 산소의 발생을 억제하여 상기 과탄산나트륨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성물에는 금속이온봉쇄제 0.8 내지 15 중량%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의 금속이온봉쇄제는 상기 과탄산나트륨을 안정화시켜 과탄산나트륨이 상기 제2조성물의 아세틸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과 반응하여 과초산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금속이온 봉쇄제는 에티드론산, 에티드론산염, 에데트산, 에데트산염, 시트르산, 시트르산 수화물,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염 및 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과황산 화합물은 포타슘퍼옥시모노설페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조성물에는 반응촉매 1 내지 3 중량%가 더 함유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반응촉매는 인산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과탄산나트륨과 상기 제2조성물의 아세틸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의 반응을 촉진시켜 과초산이 빠르게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조성물에는 부식억제제 0.025 내지 0.5 중량%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 부식억제제는 안식향산나트륨 및 벤조트리아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부식억제제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살균소독제 조성물을 의료기기 등에 적용했을 때,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조성물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3 중량%가 더 함유될 수도 있으며,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제1조성물에 함유된 과탄산 나트륨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플록사머 계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조성물은 아세틸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 0.5 내지 2 중량% 함유되는데, 상기 아세틸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 Tetraacetylethylenediamine) 및 글루코오스펜타아세테이트(PAG, pentaacetylglucose)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이나 글루코오스펜타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아세틸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상기 제1조성물에 과탄산나트륨과 반응하여 과초산을 고농도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조성물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3 중량% 및 소포제 0.5 내지 1 중량%가 더 함유될 수 있는데,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제1조성물에 함유된 과탄산나트륨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소포제는 살균소독제의 거품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생성된 과초산이 자연분해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과초산의 안정화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3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과탄산나트륨의 안정화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거품이 지나치게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플록사머 계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소포제는 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조성물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0.1 내지 4 중량%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은 과초산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조성물에는 과황산 화합물 1 내지 3 중량%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 과황산 화합물은 포타슘퍼옥시모노설페이트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포타슘퍼옥시모노설페이트로 이루어지는 과황산 화합물은 상기 제1조성물에 함유된 과산화물과 상기 제2조성물에 함유된 아세틸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 반응하여 생성된 과초산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자연분해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조성물에는 활성화제 1 내지 2 중량%가 더 함유될 수 있으며, 상기 활성화제는 황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조성물에 함유된 과산화물을 구성하는 과탄산나트륨과 상기 제2조성물에 함유되는 아세틸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의 반응을 활성화하여 과초산의 생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조성물에는 가용화제 0.5 내지 1.5 중량%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 가용화제는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지며, 상기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이나 글루코오스펜타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아세틸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 물에 녹는 속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과산화물(과산화수소 9 중량%, 과탄산나트륨 5.5 중량%)이 14.5 중량%, 금속이온봉쇄제(시트르산 2.2 중량%, 에티드론산 0.8 중량%) 3 중량%, 부식억제제(젠조트리아졸) 0.25 중량% 및 정제수 잔량으로 이루어진 제1조성물과,
아세틸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TAED) 0.8 중량부, 활성화제(황산나트륨) 1.5 중량%, 비이온 계면활성제(플록사머 184) 0.5 중량%, 소포제(디메치콘) 0.8 중량% 및 정제수 잔량으로 이루어진 제2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아세틸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PAG)을 사용하여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제1조성물과 제2조성물을 1:1의 중량부로 혼합한 후에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과초산의 농도변화를 측정하여 아래 도 1에 나타내었다.
아래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실시예 2의 경우 실시예 1에 비해 초기 과초산의 생성도는 높았으나, 15분이 경과한 시점에서는 실시예 1의 과초산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글루코오스펜타아세테이트(PAG)는 과산화물과의 반응 초기에 우수한 과초산 발생효과를 나타내며,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과초산 발생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내지 14>
과산화물(과산화수소 7 중량%, 과탄산나트륨 6.5 중량%)이 13.5 중량%, 금속이온봉쇄제(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염) 2 중량%, 반응촉매(인산) 2 중량%, 비이온 계면활성제(플록사머 184) 2 중량% 및 정제수 잔량으로 하여 제1조성물을 제조하고,
제2조성물은 아래 표 1을 통해 제조된 성분으로 하여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실시예 3 내지 14를 통해 제조된 제1조성물과 제2조성물을 1:1의 중량부로 혼합한 후에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과초산의 농도변화를 측정하여 아래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단, 아래 도 2에서 A는 실시예 3, B는 실시예 4, C는 실시예 5, D는 실시예 6, E는 실시예 7, F는 실시예 8, G는 실시예 9, H는 실시예 10, I는 실시예 11, J는 실시예 12, K는 실시예 13, L은 실시예 14이다.
<표 2>
Figure pat00002
상기 표 2 및 아래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3 내지 14를 통해 제조된 살균소독제 조성물은 상기 제1조성물의 과탄산나트륨과 제2조성물의 글루코오스펜타아세테이트(PAG)나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이 반응하여 과초산을 생성하는데, 초기와 1시간 경과 후에 과초산 함량이 모두 400ppm을 초과하여 우수한 살균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래 도 2를 보면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을 사용하여 제조된 B(실시예 4), C(실시예 5)는 과초산의 함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고, 글루코오스펜타아세테이트(PAG)를 사용하여 제조된 D(실시예 6), E(실시예 7), F(실시예 8)는 초기에는 과초산의 발생이 빠르게 진행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과초산의 함량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글루코오스펜타아세테이트(PAG) 및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ED)이 모두 사용된 실시예 G(실시예 9), H(실시예 10), I(실시예 11)는 과초산의 함량이 D, E, F와 유사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이 함유된 J(실시예 12), K(실시예 13), L(실시예 14)은 초기 생성되는 과초산의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과초산의 함량이 더욱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5>
과산화물(과산화수소 7 중량%, 과탄산나트륨 7.5 중량%)이 14.5 중량%, 금속이온봉쇄제(에테트산 2 나트륨 2.5 중량%, 시트르산 7.5 중량%) 10 중량% 및 정제수 잔량으로 이루어진 제1조성물과,
아세틸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TAED) 0.5 중량부, 과황산 화합물(포타슘퍼옥시모노설페이트) 2 중량% 및 정제수 잔량으로 이루어진 제2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상기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아세틸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PAG)를 사용하여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5 내지 16을 통해 제조된 제1조성물과 제2조성물을 1:1의 중량부로 혼합한 후에 시간의 경과에 따른 과초산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 값을 상기 실시예 3 및 실시예 6과 비교하여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에 나타낸 것처럼, 실시예 15 내지 16을 통해 제조되는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은 동일한 성분과 함량의 아세틸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 함유되었으나, 과황산 화합물이 함유되지 않은 실시예 3 및 실시예 6에 비해 과초산의 농도가 월등하게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5 내지 16를 통해 제조된 살균소독제 조성물의 pH를 측정하여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pat00004
상기 표 4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5 내지 16을 통해 제조된 살균소독제 조성물은 pH가 6.5 이하를 나타내어, 우수한 안정성과 살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은 보존안정성이 우수하여 과초산의 농도가 오랜 기간 유지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살균효과를 나타내는 살균소독제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5)

  1. 과산화물이 8 내지 20 중량%와 정제수 잔량으로 이루어진 제1조성물 및 아세틸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 0.5 내지 2 중량%와 정제수 잔량으로 이루어진 제2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조성물과 상기 제2조성물은 1:1의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은 과탄산나트륨 및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조성물에는 금속이온봉쇄제 0.8 내지 15 중량%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에티드론산, 에티드론산염, 에데트산, 에데트산염, 시트르산, 시트르산 수화물,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염 및 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조성물에는 반응촉매 1 내지 3 중량%가 더 함유되며,
    상기 반응촉매는 인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조성물에는 부식억제제 0.025 내지 0.5 중량%가 더 함유되며,
    상기 부식억제제는 안식향산나트륨 및 벤조트리아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조성물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3 중량%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9.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아세틸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 및 글루코오스펜타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조성물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3 중량% 및 소포제 0.5 내지 1 중량%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조성물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0.1 내지 4 중량%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조성물에는 과황산 화합물 1 내지 3 중량%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과황산 화합물은 포타슘퍼옥시모노설페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조성물에는 활성화제 1 내지 2 중량%가 더 함유되며,
    상기 활성화제는 황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조성물에는 가용화제 0.5 내지 1.5 중량%가 더 함유되며,
    상기 가용화제는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KR1020200163924A 2020-11-30 2020-11-30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KR202200756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924A KR20220075633A (ko) 2020-11-30 2020-11-30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924A KR20220075633A (ko) 2020-11-30 2020-11-30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633A true KR20220075633A (ko) 2022-06-08

Family

ID=81980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924A KR20220075633A (ko) 2020-11-30 2020-11-30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56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919A (ko) * 2021-01-14 2022-07-21 주식회사 에이치피앤씨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살균소독제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896B1 (ko) 2000-04-21 2002-12-16 이진식 과초산을 이용한 의료기기 세척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876684B1 (ko) 2007-10-31 2009-01-07 이진식 과초산 및 아세틸살리실산을 함유하는 산성의 살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896B1 (ko) 2000-04-21 2002-12-16 이진식 과초산을 이용한 의료기기 세척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876684B1 (ko) 2007-10-31 2009-01-07 이진식 과초산 및 아세틸살리실산을 함유하는 산성의 살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919A (ko) * 2021-01-14 2022-07-21 주식회사 에이치피앤씨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살균소독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3618B2 (ja) 除菌洗浄剤組成物
EP0609266B1 (en)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EP0708598B1 (en) Cold sterilant with extended active life
KR960700079A (ko) 조성물과 이의 용도
JPWO2007013324A1 (ja) 有機過酸ポリ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32679B2 (ja) 安定性に優れる過酢酸水溶液
JP6118915B2 (ja) 二酸化塩素吸着による亜塩素酸水製造法
KR20220075633A (ko)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살균소독제 조성물
CN111449067A (zh) 一种弱碱性过氧乙酸溶液
JP2010095448A (ja) 医療器具用消毒液及び医療器具消毒方法
WO2009037505A2 (en) Tooth-bleaching preparations
EP1117294B1 (en) Multi-part anti-microbial steriliz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JP4834307B2 (ja) 過酢酸および非イオン界面活性剤を含む消毒洗浄組成物
KR102573619B1 (ko)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살균소독제 조성물
US4804685A (en) Buffered glutaraldehyde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compositions
KR102353182B1 (ko) 과구연산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
WO2021225090A1 (ja) タンパク質除去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59954B2 (ja) 低濃度過酢酸の製造方法
AU2015203851A1 (en) Process for producing aqueous chlorous acid solution for use as disinfectant
KR102353181B1 (ko) 과초산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
JP2021176415A (ja) 洗浄方法
CN110088258A (zh) 制造适用于物理发泡的水性组合物的方法
JPWO2007102389A1 (ja) 過グルタル酸希釈液の製造方法
JP2009062286A (ja) ホスホン酸系過カルボン酸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1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11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