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471B1 - V-클립 상호잠금부와 니들팁 캡처부를 가지는 안전 iv 카테터 - Google Patents

V-클립 상호잠금부와 니들팁 캡처부를 가지는 안전 iv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471B1
KR102520471B1 KR1020177015429A KR20177015429A KR102520471B1 KR 102520471 B1 KR102520471 B1 KR 102520471B1 KR 1020177015429 A KR1020177015429 A KR 1020177015429A KR 20177015429 A KR20177015429 A KR 20177015429A KR 102520471 B1 KR102520471 B1 KR 102520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lip
catheter
catheter assembly
needle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3081A (ko
Inventor
존 스토크스
시다쓰 케이 셰브구어
스티븐 티 본호프트
웨스턴 하딩
존 버콜즈
Original Assignee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15/026542 external-priority patent/WO2015161299A1/en
Application filed by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filed Critical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riority to KR1020237011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0484A/ko
Publication of KR20170083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18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protecting only the distal tip of the needle, e.g. a needle gua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18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protecting only the distal tip of the needle, e.g. a needle guard
    • A61M25/0625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protecting only the distal tip of the needle, e.g. a needle guard with a permanent connection to the needle hub, e.g. a guiding rail, a locking mechanism or a guard advancemen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37Butterfly or winged devices, e.g. for facilitating handling or for attachment to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45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3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8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snap lock, i.e. upon axial displacement of needle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45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47Means to impede repositioning of protection sleeve from needle covering to needle uncover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09Making of catheters or other medical or surgical tubes
    • A61M25/0014Connecting a tube to a hu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카테터 조립체(10)는 카테터(22), 날카로운 원위팁을 갖는 니들(12), 카테터(22)를 수납하는 카테터 허브(14)로서, 노치(36)를 포함하는 칼라(34)를 갖는 카테터 허브(14), 니들(12)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카테터 허브(14)에 연결된 니들 차폐부(20), 및 니들 차폐부(20) 내에 배치되어 니들(12)과 협동하는 클립(40)을 포함하고, 클립(40)은 니들(12)의 제1 위치에서 카테터 허브(14)에 결합하고, 클립(40)은 니들(12)의 적어도 일부를 덮기 위해 니들(12)이 제2 위치로 퇴피될 때 노치(36)를 거쳐 카테터 허브(14)와 결합해제된다. 클립(40)은 니들 차폐부(20)의 전체폭을 감소시키기 위해, 니들 차폐부(20)의 외부로 노출된 외부벽(70)을 갖는 스페이드(66)를 거쳐 니들 차폐부(20)의 외부 하우징(38) 내에 장착된다.

Description

V-클립 상호잠금부와 니들팁 캡처부를 가지는 안전 IV 카테터{SAFETY IV CATHETER WITH V-CLIP INTERLOCK AND NEEDLE TIP CAPTURE}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4년 11월 1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일련 번호 62/077,760, 2015년 4월 17일자로 출원된 국제 특허 출원 번호 PCT/US2015/026542, 그리고 2015년 9월 1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일련 번호 62/220,629의 이익을 주장한다. 각각의 상기 출원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분야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카테터 조립체는 환자의 혈관 계통 내로 적절하게 카테터를 위치시키는데 사용된다. 일단 위치시에, 정맥내 카테터와 같은 카테터는 생리식염수, 약용 화합물, 및/또는 영양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체를 이러한 치료의 필요시에 환자 내로 주입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카테터는 부가적으로 순환 계통으로부터 유체의 제거 및 환자의 혈관 계통 내의 상태의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양태는 개량된 클립 및 니들 차폐부가 니들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카테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량된 구성은 더 콤팩트하고, 증가된 니들 보호를 제공하고, 카테터 조립체의 크기 및 복잡성을 감소시킨다. 개선된 클립은 더욱 좁은 디자인, 증가된 강도 및 가요성, 그리고 니들 차폐부에 클립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장착 구성을 제공한다. 카테터 허브의 칼라 내의 해제 노치의 추가 및 노치를 거친 클립의 결합해제는 니들 차폐부가 종래 기술에서보다 더 콤팩트하게 한다. 종래 기술에서, 노치가 없으면, 클립은 카테터 허브와 결합해제하기 위해 더 긴 거리를 이동해야 한다. 게다가, 니들 차폐부의 폭은 클립과 니들 차폐부 사이의 향상된 부착 계면에 의해 감소된다. 구체적으로, 스페이드는 스페이드의 외부 표면이 니들 차폐부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클립을 니들 차폐부에 부착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또는 다른 양태는 카테터, 카테터 내에 배치된 날카로운 원위팁을 갖는 니들, 카테터 및 니들을 수납하고, 노치를 갖는 카테터 허브, 니들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카테터 허브에 연결된 니들 차폐부, 및 니들 차폐부 내에 배치되어 니들과 협동하는 클립을 포함하고, 클립은 니들의 제1 위치에서 칼라에 결합하고, 클립은 니들이 제2 위치로 퇴피될 때 노치를 거쳐 칼라와 결합해제되어 니들의 적어도 일부를 에워싸거나 덮는 카테터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또는 다른 양태는 카테터, 카테터 내에 배치된 날카로운 원위팁을 갖는 니들, 카테터 및 니들을 수납하는 카테터 허브, 카테터 허브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니들 차폐부, 및 니들 차폐부 내에 배치되어 니들과 협동하고, 클립을 니들 차폐부에 부착하는 스페이드를 포함하는 클립을 포함하고, 스페이드의 외부 표면은 카테터 조립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카테터 조립체를 또한 제공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 및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취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조립체의 평면 좌측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카테터 조립체의 측면 좌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카테터 조립체의 대안적인 측면 좌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카테터 조립체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카테터 조립체의 우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카테터 조립체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카테터 조립체의 조립된 카테터 허브, 니들 차폐부, 및 니들의 좌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카테터 조립체의 조립된 카테터 허브, 니들 차폐부, 및 니들의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카테터 조립체의 조립된 카테터 허브, 니들 차폐부, 및 니들의 우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카테터 조립체의 조립된 카테터 허브, 니들 차폐부, 및 니들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카테터 조립체의 조립된 카테터 허브, 니들 차폐부, 및 니들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카테터 조립체의 조립된 카테터 허브, 니들 차폐부, 및 니들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카테터 조립체의 조립된 카테터 허브, 니들 차폐부, 및 니들의 우측면 입면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카테터 조립체의 분리된 카테터 허브, 니들 차폐부, 및 니들의 좌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카테터 조립체의 분리된 카테터 허브, 니들 차폐부, 및 니들의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카테터 조립체의 분리된 카테터 허브, 니들 차폐부, 및 니들의 우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카테터 조립체의 분리된 카테터 허브, 니들 차폐부, 및 니들의 제2 우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카테터 조립체의 분리된 카테터 허브, 니들 차폐부, 및 니들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카테터 조립체의 분리된 카테터 허브, 니들 차폐부, 및 니들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카테터 조립체의 분리된 카테터 허브, 니들 차폐부, 및 니들의 우측면 입면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카테터 조립체의 카테터 허브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22는 카테터 조립체의 카테터 허브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카테터 조립체의 카테터 허브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24는 카테터 조립체의 카테터 허브의 정면도이다.
도 25는 카테터 조립체의 카테터 허브의 우측면도이다.
도 26은 카테터 조립체의 카테터 허브의 후면도이다.
도 27은 카테터 조립체의 카테터 허브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28은 카테터 조립체의 카테터 허브의 저면도이다.
도 29는 카테터 조립체의 카테터 허브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30은 카테터 조립체의 니들 차폐부 외부 하우징의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1은 카테터 조립체의 니들 차폐부 외부 하우징의 좌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2는 카테터 조립체의 니들 차폐부 외부 하우징의 제2 좌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3은 카테터 조립체의 니들 차폐부 외부 하우징의 제2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4는 카테터 조립체의 니들 차폐부 외부 하우징의 정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35는 카테터 조립체의 니들 차폐부 외부 하우징의 후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36은 카테터 조립체의 니들 차폐부 외부 하우징의 우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37은 카테터 조립체의 니들 차폐부 외부 하우징의 우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38은 카테터 조립체의 니들 차폐부 외부 하우징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9는 카테터 조립체의 니들 차폐부 외부 하우징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40은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좌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1은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2는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제2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3은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정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44는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후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45는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좌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46은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우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47은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8은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49는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0은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1은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좌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2는 니들 차폐부 내로 삽입된 도 51의 V형 금속 클립의 좌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3은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4는 니들 차폐부 내로 삽입된 도 53의 V형 금속 클립의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5는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좌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6은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7은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8은 니들 차폐부 내로 삽입된 도 57의 V형 금속 클립의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9는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0은 니들 차폐부 내로 삽입된 도 59의 V형 금속 클립의 좌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1은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좌측,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2는 카테터 조립체의 도 61의 V형 금속 클립의 좌측,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3은 카테터 조립체의 도 61의 V형 금속 클립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4는 니들 차폐부에 배치된 제1 및 제2 상태에서 도 61의 V형 금속 클립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5는 니들 차폐부 내로 삽입된 도 61의 V형 금속 클립의 좌측,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6은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7은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8은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9는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정면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0은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1은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2는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3은 카테터 조립체의 도 72의 V형 금속 클립의 다른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4는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좌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5는 카테터 조립체의 V형 금속 클립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우측,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6은 카테터 조립체의 와셔의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7은 카테터 조립체의 와셔의 좌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8은 카테터 조립체의 와셔의 정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79는 카테터 조립체의 와셔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80은 카테터 조립체의 와셔의 좌측면 입면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1은 날개부를 갖는 대안적인 카테터 허브의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2는 날개부를 갖는 카테터 허브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83은 날개부를 갖는 카테터 허브의 좌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4는 날개부를 갖는 카테터 허브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85는 날개부를 갖는 카테터 허브의 좌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86은 날개부를 갖는 카테터 허브의 후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87은 날개부를 갖는 카테터 허브의 좌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8은 날개부를 갖는 카테터 허브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89는 날개부를 갖는 카테터 허브의 제2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0은 대안적인 측면 포트 카테터 허브의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1은 측면 포트 카테터 허브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92는 측면 포트 카테터 허브의 좌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3은 측면 포트 카테터 허브의 정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94는 측면 포트 카테터 허브의 우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95는 측면 포트 카테터 허브의 후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96은 측면 포트 카테터 허브의 제2 좌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7은 측면 포트 카테터 허브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98은 측면 포트 카테터 허브의 제2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9는 니들 차폐부 및 니들 허브를 갖는 대안적인 측면 포트 카테터 허브 조립체의 좌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0은 니들 차폐부 및 니들 허브를 갖는 대안적인 측면 포트 카테터 허브 조립체의 우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1은 니들 차폐부 및 니들 허브를 갖는 대안적인 측면 포트 카테터 허브 조립체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02는 니들 차폐부 및 니들 허브를 갖는 대안적인 측면 포트 카테터 허브 조립체의 우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3은 니들 차폐부 및 니들 허브를 갖는 대안적인 측면 포트 카테터 허브 조립체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104는 도입기 니들이 후퇴될 때 도 1 내지 도 12의 카테터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5는 도입기 니들이 후퇴될 때 도 1 내지 도 12의 카테터 조립체의 제2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6은 도입기 니들이 V형 금속 클립을 지나 이동하고 니들 차폐부가 카테터 허브로부터 분리될 때 도 1 내지 도 16의 카테터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7은 도입기 니들이 V형 금속 클립을 지나 이동하고 니들 차폐부가 카테터 허브로부터 분리될 때 도 1 내지 도 16의 카테터 조립체의 제2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8은 카테터 허브와 결합된 V형 금속 클립의 래치를 도시한다.
도 109는 카테터 허브로부터 결합해제된 V형 금속 클립의 래치를 도시한다.
도 110은 카테터 허브로부터 결합해제되어 분리된 V형 금속 클립의 래치를 도시한다.
도 111은 니들을 차단하는 V형 금속 클립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12는 폐쇄 위치에서 V형 금속 클립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13은 노치가 없는 카테터 허브 칼라 및 V형 금속 클립의 작업 공간(working envelope)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14는 노치가 없는 카테터 허브 칼라 및 V형 금속 클립의 작업 공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15는 노치가 있는 카테터 허브 칼라 및 V형 금속 클립의 작업 공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16은 노치가 있는 카테터 허브 칼라 및 V형 금속 클립의 작업 공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17은 자유 상태에서 카테터 허브 밸브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도시한다.
도 118은 압축 상태에서 카테터 허브 밸브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도시한다.
도 119는 자유 상태에서 카테터 허브 밸브 액추에이터의 제2 실시예의 작동을 도시한다.
도 120은 압축 상태에서 카테터 허브 밸브 액추에이터의 제2 실시예의 작동을 도시한다.
도 121은 카테터 허브 밸브 액추에이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2는 카테터 조립체의 예시적인 혈액 플래시백 특징을 도시한다.
도 123은 도 122의 카테터 조립체의 혈액 플래시백 특징의 니들을 도시한다.
도 124는 카테터 조립체의 제2 예시적인 혈액 플래시백 특징을 도시한다.
도 125는 2개의 장소에서 혈액 플래시백을 갖는 도 124의 카테터 조립체의 제2 예시적인 혈액 플래시백 특징을 도시한다.
도 126은 3개의 장소에서 혈액 플래시백을 갖는 카테터 조립체의 제3 예시적인 혈액 플래시백 특징을 도시한다.
도 127은 도 121의 액추에이터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우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28은 카테터 허브 조립체 내의 도 127의 액추에이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9는 격막을 관통할 때 도 128의 카테터 허브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0은 격막을 관통할 때 도 128의 카테터 허브 조립체의 좌측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1은 카테터 허브 조립체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2는 격막을 관통할 때 도 131의 카테터 허브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3은 격막을 관통할 때 도 131의 카테터 허브 조립체의 좌측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카테터 조립체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공동 소유의 미국 특허 출원 번호 2014/0364809에 개시된 것의 개량이다.
도 1 내지 도 12는 중공 금속 도입기 니들(12), 카테터 허브(14), 니들 허브(16), 및 니들 차폐부(20)를 포함하는 카테터 조립체(10)를 도시한다. 니들(12)은 날카로운 경사진 원위 단부(distal end)를 갖고, 초기에 니들 차폐부(20)와 카테터 허브(14)를 통해 연장한다. 가요성 카테터 튜브(22)가 카테터 허브(14)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도입기 니들(12)이 카테터 튜브(22)를 통해 통과한다. 초기에, 니들(12)은 환자의 정맥 내로 삽입된다. 카테터 튜브(22)는 니들(12)에 의해 정맥 내로 운반된다. 카테터 튜브(22)가 삽입된 후에, 니들(12)은 환자의 정맥 및 카테터 허브(14)로부터 제거된다. 니들 차폐부(20)는 니들(12)의 팁을 에워싸거나 덮고, 카테터 허브(14)로부터 니들의 퇴피 중 및 후에 니들(12)에 의한 찔림으로부터의 보호를 제공한다. 니들 차폐부(20)는 다양한 상이한 카테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 조립체는 카테터 허브(14) 및 카테터 허브(14)로부터 연장하는 가요성 카테터 튜브(22)를 포함한다. 금속 웨지(24)가 카테터 튜브(22)를 보유하기 위해 카테터 허브(14) 내에 위치된다. 탄성 격막(26)이 카테터 허브(14)를 통한 유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위치된다. 액추에이터(28)가 카테터 허브(14)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격막(26)에 결합한다. 편향 부재(30)가 액추에이터(28)에 결합하여 액추에이터(28)를 근위 방향(proximal direction)으로 편향한다.
탄성 격막(26)은 격막(26)을 통한 원하지 않는 유체 유동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통상시 폐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예비형성된 슬릿을 갖는다. 예를 들어, 격막(26)은 액추에이터(28)에 의해 결합될 때 개방하는 3개의 삼각형 플랩을 형성하는 3개의 슬릿을 가질 수 있다. 격막(26)은 슬릿을 위한 탄성 폐쇄력을 제공하는 탄성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로부터 만들어진다.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격막(26) 구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28) 및 편향 부재(30), 예를 들어 금속 또는 플라스틱 압축 스프링이 카테터 허브(14) 내에 위치된다. 액추에이터(28)는 격막(26)에 결합하여 슬릿을 개방하고 카테터 허브(14)를 통한 유체 유동을 허용한다. 편향 부재(30)는 슬릿이 폐쇄되게 하여, 카테터 허브(14)를 통한 유체 유동을 방지하는 위치로 액추에이터(28)를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21 내지 도 29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 허브(14)는 외부 루어 스레드(Luer thread)(32) 및 노치형성된 칼라(34)를 갖는 근위 단부를 포함한다. 칼라(34)는 카테터 허브(14)의 적어도 일부 주위로 연장하고, 바람직하게는 카테터 허브(14)의 근위 단부에 배치된다. 칼라(34)는 칼라(34)의 제1 및 제2 단부를 분리하는 파열부(break), 개구 또는 노치(36)를 갖는다.
칼라(34)의 부분은 칼라(34)에 인접한 카테터 허브(14)의 외경의 일부보다 큰 외경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칼라(34)의 외경의 일부는 카테터 허브(14)의 인접 외경 표면에 대해 상승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칼라(34)의 개구(36)는 칼라(34)에 인접한 카테터 허브(14)의 외경의 일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큰 외경을 갖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니들 차폐부(20)는 외부 하우징(38), 탄성 클립(40), 및 와셔(42)를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38)은 니들(12)을 수용하기 위한 원위 개구(44) 및 근위 개구(46)를 갖는 구멍을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38)은 카테터 허브(14)에 연결되고, 클립(40) 및 와셔(42)를 둘러싼다. 도 30 내지 도 39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38)의 원위 단부는 노즈(48), 상부 플랜지(50), 및 기부(52)를 포함한다. 니들 차폐부(20)가 카테터 허브(14)에 연결될 때, 노즈(48)는 카테터 허브(14)의 내부 내로 연장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노즈(48)는 느슨한 공차를 갖고 끼워지기 위해 카테터 허브(14)의 내부보다 약간 작도록 치수설정된다. 상부 플랜지(50)는, 루어 스레드(32)를 수용하고 조립될 때 니들 차폐부(20)에 대한 카테터 허브(14)의 회전을 방지하는 한 쌍의 측면 리세스에 의해 기부(52)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기부(52)는 만곡된 상부면 및 만곡된 절결부(56)를 갖는 돌출부(54)를 포함한다. 돌출부(54)는 칼라(34)의 개구(36) 내에 끼워지도록 치수설정되고, 절결부(56)는 칼라(34)가 그를 통해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치수설정된다.
도 40 내지 도 48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40)은 각형성된 또는 만곡된 V 섹션(64)에 의해 연결된 제1 레그(60) 및 제2 레그(62)를 갖는 실질적으로 V형 탄성 클립(40)이다. 제1 레그(60)는 각형성된 인입부(lead-in portion)(68)를 갖는 실질적으로 U형 스페이드(spade)(66)를 포함한다. 스페이드(66)는 저부(74)에 의해 연결된 외부벽(70) 및 내부벽(72)을 포함한다. 한 쌍의 미늘부(barb)(76)가 스페이드(66)의 내부벽(72)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한다. 제1 플래그(78)가 제2 레그(62)로부터 제1 레그(60)를 향해 연장하고, 제2 플래그(80)가 제1 레그(60)로부터 제2 레그(62)를 향해 연장한다. 푸트(foot)(82)가 제1 및 제2 레그(60, 62)로부터 이격하여 제1 플래그(78)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고, 래치(84)가 푸트(82)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고, 제1 및 제2 레그(60, 62) 사이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래치(84)는 제1 레그(60)를 표현하는 평면과 제2 레그(62)를 표현하는 평면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더 콤팩트한 클립(40)을 생성하는데 바람직하다. 선택적 보강재(86)가 푸트(82)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 49 내지 도 75는 전술된 바와 같이 도 40 내지 도 48의 클립(40)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는 클립(71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클립(710)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세부사항, 구체적으로는 도 40 내지 도 48의 클립(40)과 구별되는 특징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간략함을 위해, 도 40 내지 도 75의 클립의 유사한 특징의 설명이 반복되지 않으며, 대신 본원의 이전의 설명에 기초하여 종래 기술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된다. 도 49-75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부는 적절하게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부와 조합될 수도 있다.
도 49는 만곡된 섹션(716)에 의해 연결된 제1 레그(712)와 제2 레그(714)를 갖는 실질적으로 V 형상을 가지는 클립(71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 레그(714)는 스페이드(spade)(718)를 포함한다. 스페이드(718)는 저부 부분(724)에 의해 제2 레그(714)에 연결된 외부벽(720)을 포함한다. 제2 레그(714)가 스페이드(718)의 상부까지 완전히 연장되었기 때문에, 스페이드(718)의 내부벽은 본 실시예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스페이드(718)는 실질적으로 U 형상을 가지지 않는다. 한 쌍의 미늘부(726)(하나 만이 가시적으로 도시됨)가 스페이드(718)의 외부벽(720)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한다.
도 49는 제1 및 제2 레그(712, 714)로부터 외향으로 이격하여 연장하는 푸트(732)와, 푸트(732)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래치(734)를 추가로 도시한다. 래치(734)는 제1 및 제2 레그(712, 714) 사이의 영역의 외부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래치(734)는 제1 레그(712)를 표현하는 평면과 제2 레그(714)를 표현하는 평면 사이의 영역의 외부에 배치된다. 리브(736)는 클립(710)을 보강하고 강화시키기 위해 푸트(732)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한다.
도 50은 외부벽(720)과 내부벽(722)을 가지는 U형 스페이드(718)를 포함하는 클립(71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페이드(718)는 외부 및 내부벽(720, 722)의 저부 부분에 위치된다. 내부벽(722)은 제2 레그(714)의 길이를 감소시키지만, 내부벽(722)은 클립(710)을 니들 차폐부에 고정시키는 미늘부(726)를 포함한다. 외부벽(720)으로부터 내부벽(722)까지 미늘부(726)를 이동시키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클립(710)을 더 좁게 만든다. 특히, 니들 차폐부의 외부벽은 클립(710)을 여전히 적절하게 고정하면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클립(710)은 제1 및 제2 레그(712, 714) 사이에 배치된 푸트(732)와 래치(734)를 포함한다. 즉, 푸트(732)와 래치(734)는 제1 레그(712)를 표현하는 평면과 제2 레그(714)를 표현하는 평면 사이에 위치된다.
도 51 및 도 52는 니들 차폐부(750)의 외부에 노출된 더 긴 제2 레그(714)를 가지는 클립(71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클립(710)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고 단지 니들 차폐부(750)의 외부까지만 노출되도록, 니들 차폐부(750)는 니들 허브에 의해 덮힌다. 스페이드(718)는 제1 레그(712)를 표현하는 평면과 제2 레그(714)를 표현하는 평면 사이에 배치되어 클립(710)을 더 좁아지게 한다. 미늘부(미도시)는 클립(710)을 고정시키기 위해 스페이드(718)의 내부벽(722)에 존재할 수 있다.
도 51의 클립(710)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레그(712, 714) 사이의 만곡된 섹션(716)이 평평한 표면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페이드(718)는 평평한 표면과 저부 부분(724)을 함께 핀칭하거나 끌어당길 수 있다. 그러한 디자인은 클립(710)의 증가된 체류를 제공할 수 있다.
더 긴 제2 레그(714)는 몇몇의 이점을 가진다. 더 긴 스프링 레그는 스프링 힘이 제2 레그(714)의 길이에 걸쳐 더 균일하게 적용되는, 더욱 가요성인 V형 스프링을 생성한다. 또한, 더 가요성인 클립(710)은 스프링의 전체적인 수명을 개선시키면서 강성도와 내부 응력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이 경우에, 조립 액세스 및 작동을 위한 클립(710)을 위한 니들 차폐부(750)의 개구(752)는 니들 차폐부(750)의 강성도와 전체적인 강도를 감소시킨다.
도 53 및 도 54는 전술된 이점을 갖는 더 긴 제2 레그(714)를 가지는 클립(71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힌다. 스페이드(718)의 외부벽(720)은 조립 시에 니들 차폐부(750)의 변경된 개구(752)를 덮기 위해 더욱 상향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그러한 디자인은 파편이나 혈액이 클립(710) 및 니들 차폐부(750)에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카테터 조립체를 보호한다.
클립(710)은 제1 플래그(728)와 제2 플래그(730)를 포함한다. 제1 플래그(728)는 후속하는 이점을 위해서 제1 레그(712)와 푸트(732)에 직접 연결된다. 플래그 디자인은 클립(710)의 전체적인 강도를 개선시키고, 제조성을 용이하게 하며, 더욱 콤팩트한 디자인을 생성하고, 금속 폐기물을 감소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제2 플래그(730)는 제2 레그(714)에만 직접 연결된다. 두 개의 플래그(728, 730)는 니들이 니들 차폐부 내부에서 퇴피 위치에 있을 때 니들 차폐부의 개구를 차단하기 위해 함께 협동한다.
스페이드(718)는 U 형상이 아니다. 오히려, 외부벽(720)은 제2 레그(714)의 양 측면에서 내향으로 굴곡되며 이어서 제2 레그(714)의 각 측면으로부터 이격하여 외향으로 굴곡된다. 그러므로, 내부벽(722)은 실질적으로 외부벽(720)에 평행하지만, 내부벽(722)은 제2 레그(714)의 폭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내부벽(722)은 제2 레그(714)의 전방 및 후방 평면에 인접하게 존재한다. 니들 차폐부(750)의 슬롯(754)은 클립(710)을 고정시키기 위해 미늘부(726)와 내부벽(722)에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니들 차폐부(750)는 도 52의 실시예에서의 니들 차폐부에 비해 강하지만, 변경된 개구(752)는 여전히 니들 차폐부(750)를 약화시킨다. 또한, 클립(710)은 제조 중 도전을 제기하는 증가된 복잡성 및 추가적인 굴곡부를 포함한다.
도 55는 외부벽(720) 상의 리브(736)와 푸트(732) 상의 리브(736)를 포함하는 클립(71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페이드(718)의 외부벽(720)의 미늘부(726)가 니들 차폐부의 외부벽에 결합할 때, 반작용 저항력이 클립(710)에 적용된다. 적용된 반작용력의 양에 따라, 스페이드(718)에서의 클립(710)은 소성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도 있다. 스페이드(718)에서의 클립(710)이 적절한 스프링 수명을 유지시키기 위해 소성 변형만을 경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736)는 클립(710)을 영구적으로 굴곡시키거나 좌굴시킬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클립(710)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보강재로서 작용한다. 또한 클립(710)은 플래그(728)를 포함한다. 플래그(728)는 제1 레그(712)에만 직접 연결된다. 그러므로, 제조성의 툴링, 형성 및 조립의 목적에 대해 바람직하게 보조하기 위해 플래그(728)와 푸트(732) 사이에 틈새가 있다.
도 56은 내부벽(722)만을 가지는 스페이드(718)를 포함하는 클립(71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페이드(718)는 니들 차폐부의 벽 주위에서 진행하는 외부벽을 가지지 않는다. 내부벽(722)은 클립(710)이 조립될 때 니들 차폐부와 결합하는 미늘부(726)를 포함한다. 단일 미늘부(726)만이 도시되었지만, 다른 미늘부가 제2 레그(714)의 다른 측면 상에서 고려된다. 클립(710)에서의 스프링 힘은 니들 차폐부에 스페이드(718)의 미늘부(726)를 고정시키기 위한 힘을 적용시킨다. 클립(710)이 니들 차폐부의 외부 주위를 감싸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클립(710) 구성은 바람직하게는 더 좁은 디자인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디자인은 또한 조립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클립(710)은 플래그(728)를 포함한다. 플래그(728)는 제1 레그(712)와 푸트(732)에 직접 연결된다. 이러한 클립(710) 디자인은 바람직하게는 더욱 콤팩트한 디자인을 생성하고 폐기물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제조 중 스탬핑 가공을 개선시킨다.
도 57 및 도 58은 외부벽(720)의 상부 표면 상에 배치된 스페이드(718)를 포함하는 클립(71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페이드(718)는 니들 차폐부(750)에 클립(710)을 고정시키기 위해 미늘부(726)와 외부벽(720)을 포함한다. 외부벽(720)은 스페이드(718)의 저부 부분(724)을 통해 제2 레그(714)에 연결된다. 클립(710)의 이러한 구성은 제1 및 제2 레그(712, 714) 둘 모두에 대해 긴 스프링 레그를 포함한다. 긴 스프링 레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증가된 가요성과 감소된 응력의 이점을 제공한다.
도 59 및 도 60은 니들 차폐부(50)에 장착하기 위한 스페이드를 갖지 않는 클립(71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대신, 제2 레그(714)는 제2 레그(714)의 양 측면 상의 렛지(723), 내부벽(722) 및 미늘부(726)(양 측면, 미도시)를 형성하기 위해 저부 표면에서 대략 180도(접혀진 표면에 대응함)로 굴곡된다.
클립(710)이 조립될 때, 렛지(723)는 니들 차폐부(750)의 저부 표면 상에 배치된다. 내부벽(722) 및 미늘부(726)는 클립(710)을 고정시키기 위해 니들 차폐부(750)의 내부 공동부에 결합한다. 이러한 구성은, 전술된 이점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2 레그가(714) 더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나, 180도 굴곡부는 제조 중 및 작동 시에 높은 응력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1 내지 도 65는 니들 차폐부(750)에서의 클립(71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1은 렛지(723)를 형성하기 위해 굴곡부가 최저 부분에 있는 상태에서 긴 제2 레그(714)를 포함하는 클립(710)을 도시한다. 제2 레그(714)는 그의 연장된 길이에 대해 전술된 바와 유사한 이점을 포함한다. 또한, 클립(710)은 니들 차폐부에 클립(710)을 고정시키고 결합시키기 위해 장착 공동부(738)를 포함한다(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됨).
도 61 및 도 62는 클립(710)의 저부 부분 상의 래치(734)와 푸트(732)를 도시한다. 플래그(728)는 제2 레그(714)에 직접 연결된다. 클립(710)은 대략 90도 각도에서 렛지(723)에 부착된 미늘부(726)를 추가로 포함한다. 미늘부(726)는 니들 차폐부(750)에 클립(710)을 고정시킨다(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됨).
도 63은 클립(710)이 니들 차폐부 내로 조립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클립(71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1 및 제2 레그(712, 714)의 외부 표면에 압력을 적용시키고, 이는 서로를 향해 이들을 압축하기 위해서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푸트(732)의 외부 표면과 렛지(723)의 외부 표면에서 클립(710)을 보유할 수 있고(파지 장소를 나타내는 화살표 참조), 조립을 개시하기 위해서 이러한 두 표면을 당긴다. 그러한 구성은 니들 차폐부 내로의 클립(710)의 조립을 보조한다.
도 64는 니들 차폐부(750) 내로 장착된 클립(710)을 도시한다. 클립(710)은 두 가지 상태로 도시된다. 제1 상태는 압축된 상태이며, 여기서 클립(710)은 니들 차폐부(750) 내로의 조립을 보조하기 위해 압축된다. 또한, 제1 상태는 니들 차폐부(750)의 니들이 작동중인 조건을 도시한다. 작동 중에, 제1 레그(712)는 니들(미도시)에 접촉한다. 제1 상태에서, 장착 공동부(738)는 니들 차폐부(750)의 장착 돌출부(756)에 결합되지 않는다.
제2 상태에서, 니들이 퇴피되고 니들팁이 니들 차폐부(750) 내로 진입할 때, 니들은 더이상 제1 레그(712)에 접촉하지 않으며(미도시) 클립(710)이 해제된다. 결과적으로, 클립(710)의 장착 공동부(738)는 니들 차폐부(750)의 장착 돌출부(756)에 결합한다. 또한, 플래그(728)는 니들이 니들 차폐부(750)를 나오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장착 공동부(738)와 장착 돌출부(756) 사이의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클립(710)이 니들 차폐부(750)로부터 우연히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무허가 사용자에 의한 클립(710)의 조정 및 니들 차폐부(750)에서의 클립(710)의 원하지 않은 이동을 방지한다.
도 65는 니들 차폐부(750) 내에 조립된 클립(710)을 도시한다. 니들 차폐부(750)는 클립(710)의 미늘부(726)를 수용하는 하우징 슬롯(754)을 포함한다. 렛지(723)는 니들 차폐부(750)의 저부 표면 상에 배치된다. 하우징 슬롯(754)에서의 미늘부(726)의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클립(710)이 상향으로 이동하고 니들 차폐부(750)를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클립(710)의 미늘부(726)는 클립(710)을 고정하기 위해 니들 차폐부(750)의 외부벽 주변에서 진행하는 스페이드에 대한 필요성을 대체한다. 따라서, 클립(710) 및 니들 차폐부 조립체의 폭은 감소한다.
도 66은 전방 벽(742)과 후방 벽(740)을 포함하는 클립(71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방 및 후방 벽(742, 740)은 니들 차폐부(미도시)의 니들의 종방향 축에 수직한다. 구체적으로, 스페이드(718)의 외부벽(720)은 제2 레그(714)의 각 측면 상에서 내향으로 니들의 종방향 축을 향해 대략 90도로 굴곡된다. 전방 및 후방 벽(742, 740)은, 니들이 작동 중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구멍(743)을 포함한다. 미늘부(726)는 니들 차폐부 내로의 적절한 장착을 위해 각각 전방 및 후방 벽(740, 742) 상에 배치된다.
도 67은 도 66의 실시예와 유사한 클립(71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클립(710)은 후방 벽(740)을 포함하지만, 전방 벽(742)은 포함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2 레그(714)의 상부 부분이 상부 벽(744)으로 대략 80도로 내향으로 굴곡된다. 상부 벽(744)의 후방 단부는 후방 벽(740)을 형성하기 위해 대략 90도로 하향으로 굴곡된다. 미늘부(726)는 니들 차폐부에 대해 견고하게 장착하기 위해 후방 벽(740) 상에 배치된다.
도 68은 압축 스프링 대신에 인장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클립(71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원에 설명된 클립의 모든 다른 실세예에서, 니들은 작동 중 (압축 스프링처럼)클립을 압축한다. 니들이 제거되고 니들 차폐부로 진입할 때, 클립은 해제되고 니들이 나오는 것을 차단한다(압축 스프링의 해제).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710)은 제1 레그(712)와 제2 레그(714) 사이에 배치된 제1 중간 레그(746)와 제2 중간 레그(748)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레그(712, 714)는 니들 차폐부의 대향하는 표면들에 부착된다.
니들이 작동중일 때, 니들은 제2 중간 레그(748)와 접촉하여 클립(710)이 연장된 위치에 있게 한다. 그러한 위치는 제2 중간 레그(748)가 인장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유발한다. 구체적으로, 제2 중간 레그(748)는 자연스럽게 제1 레그(712)를 향해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지만, 니들은 이것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니들이 니들 차폐부 내로 퇴피되었을 때, 제2 중간 레그(748)가 해제되고 제1 레그(712)를 향해 이동한다(인장 스프링은 정상 위치로 복귀함). 따라서, 플래그(728)는 니들의 앞으로 이동하고, 니들이 니들 차폐부를 나오는 것을 차단한다.
도 69는 개구(727)를 가지는 스페이드(718)의 외부벽(720)을 포함하는 클립(71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개구(727)는 클립(710)이 조립될 때 니들 차폐부(750)의 장착 돌출부(756)를 수용한다. 그러한 구성은 바람직하게는 니들 차폐부(750)에 클립(710)을 장착시키고 고정시키기 위한 다른 간단한 방식을 제공한다.
도 69의 클립(710)의 대안적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벽(720)은 외부벽(720)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그로부터 이격하여 연장하는 두 개의 미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미늘부는 니들 차폐부의 내부벽 또는 내부 리브 상으로 핀칭하거나 래칭한다. 그러한 특징은 바람직하게는 클립(710)의 전체 폭을 최소화하면서 클립(710)이 신뢰가능하게 보유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70은 변경된 스페이드(718)를 포함하는 클립(71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스페이드(718)는 미늘부(726)를 갖는 외부벽(720)과 플랩(725)을 갖는 내부벽(722)을 포함한다. 미늘부(726)와 플랩(725) 또한 뒤바뀌어서 각각 스페이드(718)의 대향하는 벽들(720, 7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클립(710)이 니들 차폐부 내로 장착될 때, 미늘부(726) 및 플랩(725)은 클립(710)을 고정시키기 위해 니들 차폐부의 벽의 측면에 각각 접촉한다. 즉, 미늘부(726)와 플랩(725) 사이의 접촉은 클립(710)을 핀칭하고 이를 니들 차폐부에 고정시킨다.
도 71은 도 70과 유사한 클립(71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외부 및 내부벽(720, 722)은 클립(7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외부 및 내부벽(720, 722)은 바람직하게는 클립(710)을 고정시키기 위해 더 큰 표면을 제공하도록 양 측면에서 제2 레그(714)의 폭을 넘어 연장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부 및 내부벽(720, 722)은 도 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늘부(726)와 플랩(72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2 및 도 73은 더 짧은 제2 레그(714)를 포함하는 클립(71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굴곡부는 스페이드(718)의 내부벽(722)과 제2 레그(714) 사이에 배치되어 제2 레그(714)가 더 짧아지게 한다. 그 결과, 제2 레그(714)는 바람직하게는 더 강성이며 강한 클립(710)을 제공한다.
도 74는 제1 및 제2 레그(712, 714) 사이에 배치된 래치(734)와 푸트(732)를 포함하는 클립(71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푸트(732)는 개선된 강성도와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리브(736)를 포함한다. 또한, 플래그(728)는 제1 레그(712)에 직접 연결된다. 플래그(28)는 푸트(732)와 래치(734)에 직접 연결되지는 않는다. 플래그(728)가 제1 레그(712)에만 부착되는 클립(710)의 디자인은 바람직하게는 제조 중의 툴링을 위한 여분의 공간과 개선된 조립체를 제공한다.
도 75는 제2 레그(714)의 상부 부분에 렛지(723)를 갖는 제2 레그(714)를 포함하는 클립(71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 레그(714)는 렛지(723)의 아래에 배치된 후방 벽(740)을 추가로 포함한다. 후방 벽(740)은 제1 레그(712)를 향해 내향으로 대략 90도로 굴곡한다. 후방 벽(740)은 클립(710)을 고정시키기 위해 니들 차폐부 상으로 장착되는 미늘부(726)를 포함한다.
이전의 도면을 참조하면, 도 40 내지 도 48의 클립(40)은 스페이드(66)가 외부 하우징(38)의 외부벽 주위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 외부 하우징(38)에 연결된다. 스페이드(66)는 스페이드(66)의 외부벽(70)이 니들 차폐부(2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외부 하우징(38)의 외부벽에 부착된다. 이 구성은 유리하게는, 외부벽(70)이 외부 하우징(38)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스페이드(66)가 외부 하우징(38)의 내부 공동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배열에 비교하여, 니들 차폐부(20)의 폭을 감소시킨다. 도 106 내지 도 112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페이드(66)의 내부벽(72)은 리세스 내에 위치되고, 2개의 미늘부(76)는 내부벽(72)으로부터 이격하여 연장하여 니들 차폐부(20) 내에 한 쌍의 돌출부(89)를 결합한다. 2개의 미늘부(76)는 클립(40)을 니들 차폐부(20)의 내부면에 견고하게 체결하는 것을 보조한다. 클립(40)은 금속, 엘라스토머, 폴리머, 또는 복합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클립(40)은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탄성 금속의 얇은 단편으로부터 형성된다.
도 76 내지 도 80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42)는 실질적으로 L형으로 함께 연결된 기부(88) 및 측벽(90)을 포함한다. 측벽(90)은 깔때기(funnel)(92) 및 개구(94)를 포함한다. 니들(12)은 변형부(96), 예를 들어 니들(12)의 원위 단부 부근에 형성된 주름부(crimp) 또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와셔(42) 내의 개구(94)는 니들 샤프트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변형부(96)는 허용하지 않도록 치수설정된다. 깔때기(92)는 니들(12)의 근위 단부가 조립 중에 와셔(42)를 통해 초기에 삽입되게 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한다.
도 81 내지 도 89는 한 쌍의 안정화 날개부(216)를 갖는 대안적인 예시적인 카테터 허브(214)를 도시한다. 도 90 내지 도 103은 한 쌍의 안정화 날개부(316) 및 측면 포트(318)를 갖는 다른 대안적인 예시적인 측면 포트 카테터 허브(314)를 도시한다. 측면 포트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미국 특허 번호 4,231,367에 설명된 바와 같은 내부 관형 밸브(미도시)와 연통한다. 대안적인 카테터 허브(214, 314)는 니들 차폐부(20)의 래치(84)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236, 336)를 갖는 칼라(234, 334)를 각각 갖는다.
카테터 조립체는 니들 허브(16)에 초기에 부착되는 플러그(320)를 포함할 수 있다. 니들 허브(16) 및 니들 차폐부(20)가 카테터 허브로부터 제거된 후에, 플러그(320)는 니들 허브(16)로부터 제거되어 카테터 허브의 개방된 근위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단지 측면 포트 카테터(314)와 함께 도시되어 있지만, 플러그(320)는 카테터 허브(14, 214, 314) 중 임의의 하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104 내지 도 112는 작동 중의 도 1 내지 도 12의 카테터 조립체(10)를 도시한다. 초기에, 니들 차폐부(20)는 카테터 허브(14)에 연결되고, 도입기 니들(12)은 카테터 허브(14) 및 니들 차폐부(20)를 통해 통과한다. 니들 차폐부(20)의 노즈(48)(도 30에 표기되어 있음)는 니들(12)이 사용중일 때(제1 위치) 카테터 허브(14) 내로 연장할 수도 있고 또는 연장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니들(12)은 제1 및 제2 아암(60, 62)을 서로를 향해 가압하는 것을 통해 클립(40)을 잠금 위치로 편향함으로써 클립(40)과 협동한다. 잠금 위치에서, 도 108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치(84)는 칼라(34)에 결합하여, 카테터 허브(14)로부터 니들 차폐부(20)의 제거를 방지한다. 동시에, 잠금 위치에서, 래치(84)는 칼라 개구(36)로부터 오프셋된다. 래치(84)의 위치는 니들(12)과 관련하여 편심된다. 클립(40)은 또한 개방 위치에 있어, 니들(12)이 클립(40)을 통해 횡단하게 한다.
니들(12)이 카테터 허브(14)로부터 니들 차폐부(20) 내로 후퇴됨에 따라, 니들(12)의 팁은 클립(40)을 제거하고, 클립(40)은 탄성적으로 팽창하게 되어, 제2 아암(62)을 제1 아암(60)으로부터 이격하여 이동시킨다. 클립(40)이 측방향으로 팽창함에 따라, 1차 및 2차 플래그(78, 80)는 외부 하우징(38) 구멍의 원위 개구(44)를 차단하여, 니들(12)의 팁이 외부 하우징(38)의 원위 단부를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레그(62)의 이동은 칼라(34)와의 결합으로부터 칼라 개구(36)와 정렬된 위치로 래치(84)를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니들 차폐부(20)가 카테터 허브(14)로부터 결합해제되거나 잠금해제되게 한다. 래치(84)가 이동하는 방향은 니들(12)의 중심선에 대해 측방향이다. 래치(84) 이동은 니들(12)을 향해 또는 이격하여 반경방향은 아니다. 더욱이, 래치(84)가 조정됨에 따라, 래치(84)는 중심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고, 이어서 최종적으로 니들(12)에 대해 편심하여 이동한다. 니들(12)의 제1 및 제2 위치에서 래치(84)의 편심 위치는 서로 대칭적으로 대향한다.
플래그(78, 80)가 니들(12)을 차폐할 때의 위치에서, 클립(40)은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 동시에, 니들(12)은 제1 니들 위치로부터 퇴피되는 제2 위치에 진입하는데, 이는 니들(12)의 추가의 사용을 방지한다. 제1 위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2 위치에 진입하기 전의 니들(12)의 모든 위치로서 이해된다.
니들(12)이 근위 방향으로 더 견인됨에 따라, 도 1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12)의 샤프트는 니들(12)의 원위 단부 부근에 형성된 변형부(96)가 와셔(42)와 협동하여 결합할 때까지 니들 차폐부(20)를 통해 슬라이드한다. 와셔(42) 내의 개구는 니들 샤프트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변형부(96)는 허용하지 않도록 치수설정된다. 따라서, 와셔(42)는 니들(12)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니들(12)의 원위팁과 변형부(96)가 니들 차폐부(20)를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와셔(42)와 니들 차폐부(20)의 조합은 이 제2 위치에서 니들(12)의 원위팁을 에워싸거나 덮는다. 니들(12)의 추가의 근위측 이동은 니들 차폐부(20)가 카테터 허브(14)로부터 이격하여 견인되게 한다.
클립(40)과 와셔(42)의 조합은 예시적인 니들팁 보호 기구로서 작용한다. 이 니들팁 보호 기구는 원위 니들팁 및 변형부(96)를 에워싸거나 덮고, 니들(12)의 이들 부분이 니들 차폐부(20)를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유형의 니들팁 보호 기구에 관한 더 많은 정보는 그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미국 특허 번호 6,749,588 및 7,604,616와, 미국 특허 출원 공보 번호 2014/0364809에서 발견될 수 있다. 니들 보호 특징부를 포함하여, 본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부는 본 전체에 걸쳐 설명된 특징부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13 내지 도 1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립(40) 및 노치 형성된 칼라(34)의 사용은 더 소형의 더 콤팩트한 디자인을 허용한다. 칼라 개구(36)가 없으면, 래치(84)는 칼라를 제거하고 니들 차폐부(20)의 결합해제를 허용하기 위해 거리(B1)만큼 이동해야 할 것이다. 칼라 개구(36)가 있으면, 래치(84)는 전체 카테터 허브(14)를 제거해야 할 필요가 없고, 단지 B1 보다 작은 거리(B2)만큼 이동하기만 하면 된다.
도 117 및 도 118는 카테터 밸브 액추에이터(28)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입기 니들(12)은 초기에 액추에이터(28), 격막(26), 웨지(24), 및 카테터 튜브(22)를 통해 연장한다. 도입기 니들(12) 및 카테터 튜브(22)가 환자 내로 삽입된 후에, 니들(12)은 후퇴되어, 격막(26)을 폐쇄한다. 수형 루어 커넥터(98)가 카테터 허브(14) 내로 삽입됨에 따라, 루어 커넥터(98)는 액추에이터(28)에 맞접하고 이를 원위 방향으로 이동시켜, 편향 부재(30)를 압축한다. 루어 커넥터(98)의 추가의 삽입은 액추에이터(28)를 격막(26)을 통해 이동시켜, 슬릿을 개방하고 유체가 카테터 허브(14)를 통해 유동하게 한다.
루어 커넥터(98)가 제거될 때, 편향 부재(30)는 액추에이터(28)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를 격막(26)으로부터 제거하고, 슬릿을 폐쇄하고, 유체가 그를 통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루어 커넥터(98)가 제거된 후에 액추에이터가 격막 내에 남아 있을 것인 1회용 카테터에 대조적으로, 환자의 정맥 내에 있는 동안 카테터가 재사용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1회용 카테터는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니들 차폐부(2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28)는 내부 통로를 둘러싸는 액추에이터 배럴(100)을 갖는다. 액추에이터 배럴(100)은 실질적으로 관형 부재이고, 내부 통로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액추에이터 배럴(100)의 제1 단부는 격막(26)에 결합하기 위한 모따기된 외부 표면을 갖는 노즈를 갖는다. 관형 부재는 액추에이터 배럴(100)을 통한 그리고 그 주위의 유체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102)를 갖는다. 액추에이터(28)는 수형 루어 커넥터를 결합하기 위한 후방부를 포함한다.
도 117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28)는 노즈 부근의 제1 세트의 개구를 갖는 배럴 내의 개구(102)의 제1 및 제2 세트를 포함한다. 개구는 또한 도 106 내지 107의 액추에이터(28)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7의 액추에이터(28)의 후방부는 배럴로부터 연장하여 링(106)에 연결된 레그(104)의 세트를 또한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부는 본 전체에 걸쳐 설명된 특징부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19 내지 도 121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28A)는 홈(101A)의 세트 및 개구(102A)의 세트를 포함한다. 홈(101A)은 노즈로부터 액추에이터 배럴(100A)의 후방을 향해 연장한다. 개구(102A)는 배럴(100A)의 후방부를 향해 위치된다. 액추에이터(28A)가 격막(26)을 통해 연장할 때, 홈(101A)은 격막(26)의 근위측에 남아 있는 개구(102A)로 유체를 채널링한다. 홈(101A)은 개구(102A)의 측면에 또는 개구(102A)에 직접 정렬하여 위치될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의 후방부는 배럴로부터 연장하는 레그(104A)의 세트를 포함한다. 도 12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링(106A)은 루어 커넥터(98)에 결합하도록 레그(104A)에 연결될 수도 있고 또는 루어 커넥터(98)는 도 119 및 도 1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104A)에 직접 결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부는 본 전체에 걸쳐 설명된 특징부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편향 부재(30)는 스프링, 예를 들어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갖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이다. 스프링은 금속,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또는 다른 적합한 탄성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스프링의 원위 단부는 카테터 허브(14)의 내부면과 간섭 끼워맞춤을 형성한다. 간섭 끼워맞춤은 심지어 로딩(loading) 중에도 스프링을 보유하는데 충분할 수도 있다. 스프링의 근위 단부는 액추에이터(28)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부는 본 전체에 걸쳐 설명된 특징부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22 내지 도 126은 카테터 조립체의 다양한 예시적인 혈액 플래시백 특징을 도시한다. 플래시백은 정맥 내로의 니들팁의 진입을 확인하는 혈액의 가시성이다. 1차 플래시백(400)은, 혈액이 중공 니들(12)의 개방 원위 단부 내로 이동하고, 니들팁 부근의 니들(12) 내의 노치 또는 개구(402)(도 13에 또한 가시화됨)를 나오고, 니들(12)과 카테터 튜빙(22)의 내부 사이의 내부 환형 공간을 통해 상승함에 따라 카테터 튜빙을 통해 보여진다. 2차 플래시백(404)은 니들(12)의 후방으로부터 나와서 니들 허브/파지부 내의 플래시 챔버에 진입할 때 니들 허브/파지부(16) 내에서 보여진다. 공기가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미세 홈에 의해 니들 허브/파지부(16)의 후방에서 플러그에 의해 통기된다. 3차 플래시백(406)은 1차 플래시백(400)으로부터의 혈액이 그 내로 유동하고 혈액 제어 격막(26)에서 정지할 때 카테터 허브(14) 내에 있다. 공기는 혈액 제어 격막(26)의 주연부 내의 미세 홈에 의해 통기된다. 본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부는 본 전체에 걸쳐 설명된 특징부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27은 도 121의 액추에이터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다. 액추에이터(554)는 도 117 내지 도 120에 도시된 카테터 조립체에 사용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554)는 액추에이터(554)가 카테터 허브 조립체의 격막(538) 내로 관통할 때 마찰을 감소시키는 노즈(558)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554)는 액추에이터(554)의 중심선에 수직인 방향에서 액추에이터(554)를 통해 연장하는 개구(555)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554)는 2개의 직사각형 개구(555)를 포함할 수 있지만, 더 많거나 적은 것도 고려된다.
액추에이터(554)는 액추에이터(554)의 중심선에 평행한 평면 내의 액추에이터(554)의 외부 표면의 원위부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홈(557)을 또한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서로로부터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4개의 홈(557)이 액추에이터(554)의 원위부의 외부 표면을 따라 존재할 수 있지만, 더 많거나 적은 홈(557)도 고려된다. 홈(557)은 액추에이터(554) 내로 다양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홈(557)은 액추에이터(554)를 통해 연장하지 않기 때문에, 홈(557)은 개구(555)와는 상이하다.
개구(555) 및 홈(557)은 유리하게는 유체가 카테터 허브 조립체 내부에서 이동하게 하기 위한 증가된 영역을 제공한다. 증가된 영역은 유리하게는 유체 플러싱(flushing)을 허용하고 격막의 근위 및 원위 단부에서 유체의 응고를 방지한다. 부가적으로, 개구(555) 및 복수의 홈(557)은 유리하게는 유체의 정체를 최소화하고 더 큰 혼합을 허용한다. 홈(57)은 작동 중에 격막이 액추에이터의 외부 표면 상에 밀봉하는 것을 또한 방지한다. 밀봉 계면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유체는 홈(57)을 거쳐 격막을 통해 누설하도록 허용되고 부가의 플러싱을 제공한다.
도 128은 카테터 허브 조립체에서의 도 127의 액추에이터(554)를 도시한다. 전술된 실시예에 유사하게, 카테터 허브 조립체는 카테터 허브(514), 격막(538) 및 편향 부재(556)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554)의 개구(555) 및 홈(557)은 카테터 허브(514) 내부의 유체 유동을 위한 더 많은 영역을 제공하여, 따라서 전술된 장점을 성취한다.
도 129 및 도 130은 편향 부재(556)가 압축되고 액추에이터(554)가 격막(538)을 관통할 때 카테터 허브 조립체를 도시한다. 카테터 허브 조립체는 액추에이터(554)의 개구(555) 및/또는 홈(557)이 선택적으로 격막(538)을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554) 내의 개구(555)는 격막(538)을 관통하지 않는다. 그러나, 액추에이터(554) 내의 홈(557)은 격막(538)을 관통한다. 이 구성은 전술된 장점에 추가하여, 근위 단부로부터 홈(557)을 통해 격막(38)의 원위 단부로의 증가된 유체 유동을 허용한다. 카테터 조립체의 작동이 완료된 후에, 액추에이터(554)는 편향 부재(556)에 의해 인가된 힘을 거쳐 격막(538)으로부터 퇴피된다. 카테터 조립체는 액추에이터(554)의 압하(depression)시에 다회용을 위해 구성된다.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본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부는 본 전체에 걸쳐 설명된 특징부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31은 카테터 허브 조립체 내의 액추에이터(66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카테터 허브 조립체는 측면 포트(668)를 갖는 카테터 허브(662)를 포함한다. 측면 포트(668)는 카테터 허브(662) 내의 유체 유동으로의 2차 액세스를 제공한다. 카테터 허브(662)의 메인 보어와 측면 포트(668)의 교점은 슬리브(672)를 포함한다. 슬리브(672)는 측면 포트(668)와 카테터 허브(662) 사이의 선택적 유체 연통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충분한 유체 압력이 측면 포트(168)를 통해 인가될 때, 슬리브(672)는 압축된다. 슬리브(672)의 압축은 유체가 카테터 허브(662)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카테터 허브 조립체는 격막(670)과, 액추에이터(664)에 장력을 제공하는 편향 부재(666)를 더 포함한다.
액추에이터(664)는 전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액추에이터(664)를 통해 연장하는 복수의 개구(665)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664)는 상이한 크기 및 유사한 간격을 갖는 4개의 개구(665)의 2개의 열을 포함하지만, 다양한 양, 크기 및 간격의 개구(665)가 고려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665)는 카테터 허브(662) 내부의 유체 유동을 위한 더 많은 영역을 제공하여, 따라서 도 127 내지 도 130과 관련하여 전술된 것과 유사한 장점을 성취한다.
도 132 및 도 133은 액추에이터(664)가 격막(670)을 관통하여 편향 부재(666)를 압축할 때 카테터 허브 조립체를 도시한다. 카테터 허브 조립체는 액추에이터(664)의 개구(665)가 선택적으로 격막(670)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664) 내의 개구(665)는 격막(670)을 관통하지 않는다. 이 구성은 전술된 장점에 추가하여, 격막(670)의 근위 단부에서 측면 포트(668)와 카테터 허브(662) 사이의 증가된 유체 유동을 허용한다. 액추에이터(664) 내의 개구(665)가 격막(670)을 관통하면, 유체의 증가된 혼합이 격막(670)의 원위 단부에서 또한 발생할 것이다.
카테터 조립체의 작동이 완료될 때, 액추에이터(664)는 편향 부재(666)에 의해 인가된 힘을 거쳐 격막(670)으로부터 퇴피된다. 카테터 조립체는 액추에이터(664)의 압하시에 다회용을 위해 구성된다. 액추에이터와 같이 본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부는 본 출원 전체에 걸쳐 설명된 특징부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술된 바와 같은 카테터 허브의 칼라는 노치를 형성하는 임의의 다른 구조체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칼라는 카테터 허브 내의 홈 또는 리세스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카테터 허브 내의 홈은 전술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클립을 결합하고 결합해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부는 본 전체에 걸쳐 설명된 특징부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기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 및 그 실용적인 용례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고, 이에 의해 다른 통상의 기술자가 고려되는 특정 사용에 적합한 것으로서 다양한 실시예 및 다양한 수정을 갖고 본 발명을 이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설명은 반드시 철저한 것으로 또는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본 발명을 한정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실시예 및/또는 요소는 서로 조합되어 구체적으로 개시되지 않은 다양한 부가의 실시예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부가의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는 다른 방식으로 성취될 수도 있는 더 일반적인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특정 예를 설명하였다.
본 출원에 사용될 때, 용어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상향으로", "하향으로", 및 다른 배향 기술자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도록 의도된 것이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구조를 임의의 특정 위치 또는 배향에 한정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실질적으로" 또는 "대략"과 같은 정도의 용어는 주어진 값의 외부의 적당한 범위, 예를 들어 설명된 실시예의 제조, 조립, 및 사용과 연계된 일반적인 공차를 칭하는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된다.

Claims (39)

  1. 카테터 조립체이며,
    카테터;
    원위팁을 가지는 니들;
    카테터에 연결되는 카테터 허브;
    니들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카테터 허브에 연결되는 니들 차폐부; 그리고
    니들 차폐부 내에 배치되어 니들과 협동하는 클립으로서, 렛지를 포함하는 클립을 포함하고,
    클립은 니들의 제1 위치에서 카테터 허브에 결합하며;
    클립은 니들의 적어도 일부를 덮기 위해서 니들이 제2 위치로 퇴피될 때 카테터 허브와 결합해제되고;
    렛지는 클립을 니들 차폐부에 부착하기 위해 니들 차폐부의 저부 표면 상에 배치되고 렛지의 외부 표면은 작동 중에 니들 차폐부의 외부에 노출되는 카테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카테터 허브가 노치를 가지는 칼라를 포함하고;
    노치가 칼라 상에 배치되는 카테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칼라의 일부는 칼라에 인접한 카테터 허브의 외경의 일부보다 큰 외경을 갖는 카테터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칼라의 노치는 칼라에 인접한 카테터 허브의 외경의 일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큰 외경을 갖는 카테터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칼라는 외부 루어 스레드를 포함하는 카테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니들의 제1 위치는 니들 사용 중에 클립을 개방 위치 내로 편향하는 카테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니들의 제2 위치는 니들 사용 후에 니들이 퇴피될 때 니들의 원위팁을 차단하도록 클립이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카테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클립은 제2 위치에서 니들의 원위팁을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플래그를 포함하는 카테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니들 차폐부에 배치되어 니들과 협동하는 와셔를 추가로 포함하고,
    니들은 변형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그리고
    와셔는 니들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니들의 원위팁과 변형부가 니들 차폐부를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카테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클립과 와셔는, 니들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니들의 원위팁을 에워싸는 카테터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렛지가 하나 이상의 미늘부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미늘부는 니들 차폐부의 내부 표면에 결합하는 카테터 조립체.
  12. 제2항에 있어서,
    칼라는 카테터 허브의 근위 단부 상에 배치되고,
    클립은 칼라와 니들 차폐부를 결합하고 결합해제하도록 구성된 래치를 포함하는 카테터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클립은 두 개의 레그를 포함하고;
    래치는 두 레그 사이에 배치되는 카테터 조립체.
  14. 제12항에 있어서, 래치는 니들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칼라에 결합하도록 노치로부터 오프셋되는 카테터 조립체.
  15. 제12항에 있어서, 래치는 니들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칼라와 결합해제되도록 노치와 정렬되는 카테터 조립체.
  16. 제12항에 있어서, 래치는 칼라와 결합해제되도록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카테터 조립체.
  17. 제12항에 있어서, 래치는 결합된 및 결합해제된 위치의 각각에서 니들에 대해 편심되는 카테터 조립체.
  18. 제1항에 있어서, 외부 벽은 클립을 보강하고 강화하기 위해 리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카테터 조립체.
  19. 제1항에 있어서, 렛지는 클립의 내부 벽에 연결되고, 내부 벽은 니들 차폐부에 고정되는 카테터 조립체.
  20. 제1항에 있어서,
    클립은 니들 차폐부에 클립을 부착하는 스페이드를 포함하고, 스페이드는 개구를 갖고;
    니들 차폐부는 미늘부를 포함하며;
    미늘부는 니들 차폐부에 클립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스페이드의 개구와 결합하는 카테터 조립체.
  21. 제1항에 있어서,
    클립은 하나 이상의 미늘부를 갖는 내부 벽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미늘부는 니들 차폐부의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하는 카테터 조립체.
  22. 제1항에 있어서,
    클립은 두 개의 레그를 포함하고;
    렛지는 두 레그 사이에 배치되는 카테터 조립체.
  23. 제1항에 있어서,
    클립은 두 개의 레그를 포함하고;
    렛지는 두 레그의 외부의 영역에 배치되는 카테터 조립체.
  24. 제1항에 있어서,
    클립은 두 개의 레그를 포함하고;
    렛지는 두 개의 레그 중 하나의 저부 표면에 배치되는 카테터 조립체.
  25. 제1항에 있어서, 클립은 제2 위치에서 니들의 원위팁을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플래그를 포함하는 카테터 조립체.
  26. 카테터 조립체이며,
    카테터;
    원위 팁을 가지는 니들;
    카테터에 연결되는 카테터 허브;
    니들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카테터 허브에 연결되는 니들 차폐부; 및
    니들 차폐부 내에 배치되어 니들과 협동하는 클립을 포함하고,
    클립은:
    니들 차폐부를 결합하고 결합해제하도록 구성된 래치; 그리고
    두 개의 레그를 포함하며,
    래치는 두 개의 레그 사이에 배치되고;
    클립은 니들의 제1 위치에서 카테터 허브에 결합하며;
    클립은 니들의 적어도 일부를 덮기 위해 니들이 제2 위치로 퇴피될 때 카테터 허브와 결합해제하고;
    제2 레그의 외부 표면은 니들 차폐부의 외부에 노출되는,
    카테터 조립체.
  27. 카테터 조립체이며,
    카테터;
    원위 팁을 가지는 니들;
    카테터에 연결되는 카테터 허브;
    카테터 허브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니들 차폐부; 그리고
    니들 차폐부 내에 배치되어 니들과 협동하는 클립을 포함하고;
    클립은:
    니들 차폐부를 결합하고 결합해제하도록 구성된 렛지; 그리고
    두 개의 레그를 포함하며;
    렛지는 두 레그 사이의 영역의 외부에 배치되고;
    렛지는 니들 차폐부에 클립을 부착하며; 그리고
    렛지의 외부 표면은 작동 중에 카테터 조립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카테터 조립체.
  28. 제1항에 있어서, 렛지가 클립을 보강하고 강화하기 위해 리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카테터 조립체.
  29. 제27항에 있어서, 렛지가 클립을 보강하고 강화하기 위해 리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카테터 조립체.
  30. 인간을 제외한 동물을 위해 카테터 조립체를 작동하는 방법이며,
    카테터 내에 원위팁을 갖는 니들을 배치하는 단계;
    카테터 조립체에 클립을 부착하는 단계로서, 클립은 렛지를 갖는 부착 단계;
    작동 중에 카테터 조립체의 외부에 렛지의 외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단계;
    니들이 제1 위치에서 사용될 때 클립을 편향시키는 단계;
    카테터 허브로부터 니들을 제거하는 단계;
    니들의 적어도 일부를 에워싸기 위해 니들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클립을 해제하는 단계; 그리고
    니들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카테터 허브로부터 클립을 결합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니들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클립을 카테터 허브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클립이 카테터 허브에 결합될 때 카테터 허브와 니들 차폐부를 연결하는 단계; 그리고
    클립이 카테터 허브와 결합해제될 때 카테터 허브와 니들 차폐부를 연결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클립은 니들 차폐부 내에 배치되는 방법.
  33. 제1항에 있어서, 클립은 전방 표면 및 후방 표면을 갖는 레그를 포함하고,
    렛지는 레그의 전방 표면 및 후방 표면 각각에 배치되는 카테터 조립체.
  34. 제33항에 있어서, 클립의 전방 표면은 클립의 후방 표면과 대향하는 카테터 조립체.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KR1020177015429A 2014-11-10 2015-11-09 V-클립 상호잠금부와 니들팁 캡처부를 가지는 안전 iv 카테터 KR102520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11827A KR20230050484A (ko) 2014-11-10 2015-11-09 V-클립 상호잠금부와 니들팁 캡처부를 가지는 안전 iv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77760P 2014-11-10 2014-11-10
US62/077,760 2014-11-10
PCT/US2015/026542 WO2015161299A1 (en) 2014-04-18 2015-04-17 Needle capture safety interlock for catheter
USPCT/US2015/026542 2015-04-17
US201562220629P 2015-09-18 2015-09-18
US62/220,629 2015-09-18
PCT/US2015/059748 WO2016077234A1 (en) 2014-11-10 2015-11-09 Safety iv catheter with v-clip interlock and needle tip captur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827A Division KR20230050484A (ko) 2014-11-10 2015-11-09 V-클립 상호잠금부와 니들팁 캡처부를 가지는 안전 iv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081A KR20170083081A (ko) 2017-07-17
KR102520471B1 true KR102520471B1 (ko) 2023-04-12

Family

ID=559548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827A KR20230050484A (ko) 2014-11-10 2015-11-09 V-클립 상호잠금부와 니들팁 캡처부를 가지는 안전 iv 카테터
KR1020177015429A KR102520471B1 (ko) 2014-11-10 2015-11-09 V-클립 상호잠금부와 니들팁 캡처부를 가지는 안전 iv 카테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827A KR20230050484A (ko) 2014-11-10 2015-11-09 V-클립 상호잠금부와 니들팁 캡처부를 가지는 안전 iv 카테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30039751A1 (ko)
EP (2) EP4309711A2 (ko)
JP (4) JP7154009B2 (ko)
KR (2) KR20230050484A (ko)
CN (3) CN116328086A (ko)
AU (3) AU2015346659B2 (ko)
BR (1) BR112017009777B1 (ko)
CA (2) CA2967319C (ko)
MX (2) MX2017006092A (ko)
NZ (1) NZ769536A (ko)
SG (2) SG10202007101VA (ko)
WO (1) WO20160772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0376B2 (en) 2013-06-07 2019-12-1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V catheter having external needle shield and internal blood control septum
WO2015161296A1 (en) 2014-04-18 2015-10-2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Needle capture safety interlock for catheter
MX2017006092A (es) * 2014-11-10 2017-12-15 Becton Dickinson Co Catéter iv de seguridad con interbloqueo de clip en v y captura de punta de aguja.
US11511052B2 (en) 2014-11-10 2022-11-2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afety IV catheter with V-clip interlock and needle tip capture
US10173035B2 (en) 2016-12-27 2019-01-08 Vasonics, Llc Catheter housing
NZ755952A (en) * 2017-02-24 2022-05-27 Becton Dickinson Co Catheter assembly
CN113365688A (zh) * 2019-03-28 2021-09-07 泰尔茂株式会社 导管组装体
US11464943B2 (en) 2019-11-12 2022-10-1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ssisted catheter advancement
BR112022023119A2 (pt) * 2020-07-07 2023-01-17 Vigmed Ab Instrumento de cateter compreendendo um conjunto de cateter com um cubo de cateter, compreendendo um grampo de alta pressão, um dispositivo de proteção da agulha e um método para montagem de tal instrumento de cate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0754A1 (en) * 2006-05-22 2007-11-22 Soderholm Karl J M Catheter assembly with tip shield closure
JP2010510038A (ja) * 2006-11-22 2010-04-02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ニードルシールディングのフラグ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01785B (sv) 1976-10-26 1978-05-29 Viggo Ab Anordning vid ett infusionskanylaggregat
US5662610A (en) * 1989-02-01 1997-09-02 Sircom; Richard C. Automatic needle guard tip protection
US5215525A (en) * 1992-09-29 1993-06-01 Sturman Warren M Safety casing for intravenous catheter needle
US5300045A (en) * 1993-04-14 1994-04-05 Plassche Jr Walter M Interventional needle having an automatically capping stylet
JP2001502191A (ja) * 1996-02-27 2001-02-20 インジェクタイムド・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皮下注射針の針先ガード
US8382721B2 (en) * 1997-08-20 2013-02-26 B. Braun Melsungen Ag Spring clip safety IV catheter
US8211070B2 (en) * 1997-08-20 2012-07-03 B. Braun Melsungen Ag Spring clip safety IV catheter
US6749588B1 (en) 1998-04-09 2004-06-1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theter and introducer needle assembly with needle shield
US6689102B2 (en) * 1998-07-31 2004-02-10 Albany Medical College Safety intravenous catheter assembly
US6623458B2 (en) * 2001-09-26 2003-09-23 B. Braun Melsungen, Ag Spring launched needle safety clip
US8282609B2 (en) * 2003-02-11 2012-10-09 Salvus Technology Limited Safety needle
US7651476B2 (en) * 2004-09-28 2010-01-26 B. Braun Medical Inc. Protective clips
CN101862498A (zh) * 2005-03-07 2010-10-20 厄斯金医学有限公司 制造导管引入器组件的方法
US7798994B2 (en) * 2005-11-15 2010-09-2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Needle shield to septum interconnect
CN101112638B (zh) * 2006-07-27 2011-06-08 贝克顿·迪金森公司 带有安全装置的导管和引入针组件
CN101112639B (zh) * 2006-07-27 2012-07-18 贝克顿·迪金森公司 带有安全装置的导管和引入针组件
CN101843947A (zh) * 2006-07-27 2010-09-29 贝克顿·迪金森公司 带有安全装置的导管和引入针组件
US8764710B2 (en) * 2007-03-29 2014-07-0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Blood exposure prevention in vascular access devices
US7828774B2 (en) * 2008-05-12 2010-11-09 Harding Weston F Sleeved clip safety
JP5321957B2 (ja) * 2008-10-03 2013-10-23 ニプロ株式会社 留置針組立体
US8523828B2 (en) * 2008-12-30 2013-09-03 Covidien Lp Clamping assembly for use with a catheter
SE534021C2 (sv) * 2009-08-13 2011-04-05 Vigmed Ab Skyddsanordning för en kateternålspets
JP2011045544A (ja) * 2009-08-27 2011-03-10 Terumo Corp 留置針組立体
UA110794C2 (uk) * 2010-05-05 2016-02-25 Полі Медікьюе Лімітед Захисний пристрій голки для медичних інструментів та вузол iv катетера, що містить зазначений захисний пристрій голки
SG189009A1 (en) * 2010-09-21 2013-05-31 Poly Medicure Ltd Catheter assembly with improved safety means
CN202005932U (zh) * 2011-01-19 2011-10-12 张大元 针头安全防护装置
ES2662356T3 (es) 2011-04-27 2018-04-06 Kpr U.S., Llc Conjuntos de catéter IV de seguridad
US8591467B2 (en) * 2011-07-25 2013-11-26 Covidien Lp Vascular access assembly and safety device
JP2013192868A (ja) * 2012-03-22 2013-09-30 Terumo Corp カテーテル組立体
SE537334C2 (sv) * 2012-04-27 2015-04-07 Vigmed Ab Skyddsanordning för nålspets och monteringsanordning
US9623210B2 (en) * 2013-03-15 2017-04-18 B. Braun Melsungen Ag Catheter assemblies with wipeable bloodstop and related methods
JP6138921B2 (ja) * 2013-04-01 2017-05-31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組立体
US10500376B2 (en) 2013-06-07 2019-12-1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V catheter having external needle shield and internal blood control septum
WO2015161296A1 (en) * 2014-04-18 2015-10-2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Needle capture safety interlock for catheter
MX2017006092A (es) * 2014-11-10 2017-12-15 Becton Dickinson Co Catéter iv de seguridad con interbloqueo de clip en v y captura de punta de aguj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0754A1 (en) * 2006-05-22 2007-11-22 Soderholm Karl J M Catheter assembly with tip shield closure
JP2010510038A (ja) * 2006-11-22 2010-04-02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ニードルシールディングのフラグ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09711A2 (en) 2024-01-24
AU2020201828B2 (en) 2022-10-20
CA2967319C (en) 2023-09-26
JP2022095899A (ja) 2022-06-28
EP3218031A1 (en) 2017-09-20
SG11201703770QA (en) 2017-06-29
CN107249673B (zh) 2021-02-26
EP3218031C0 (en) 2024-02-07
JP2024003232A (ja) 2024-01-11
JP7154009B2 (ja) 2022-10-17
CN112972824A (zh) 2021-06-18
EP3218031A4 (en) 2018-09-05
NZ732644A (en) 2022-03-25
MX2022014127A (es) 2022-11-30
MX2017006092A (es) 2017-12-15
EP3218031B1 (en) 2024-02-07
CA3208226A1 (en) 2016-05-19
CA2967319A1 (en) 2016-05-19
AU2015346659A1 (en) 2017-06-29
CN116328086A (zh) 2023-06-27
JP7389167B2 (ja) 2023-11-29
KR20170083081A (ko) 2017-07-17
AU2015346659B2 (en) 2019-12-19
JP2020203162A (ja) 2020-12-24
CN107249673A (zh) 2017-10-13
JP7060660B2 (ja) 2022-04-26
CN112972824B (zh) 2023-02-28
JP2017533770A (ja) 2017-11-16
AU2023200280A1 (en) 2023-02-23
SG10202007101VA (en) 2020-08-28
US20230039751A1 (en) 2023-02-09
AU2020201828A1 (en) 2020-04-02
KR20230050484A (ko) 2023-04-14
BR112017009777A2 (pt) 2018-01-02
NZ769536A (en) 2022-04-29
BR112017009777B1 (pt) 2022-09-06
WO2016077234A1 (en) 2016-05-19
JP7389167B6 (ja) 202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0471B1 (ko) V-클립 상호잠금부와 니들팁 캡처부를 가지는 안전 iv 카테터
US20200376235A1 (en) Needle capture safety interlock for catheter
US11511052B2 (en) Safety IV catheter with V-clip interlock and needle tip capture
NZ732644B2 (en) Safety iv catheter with v-clip interlock and needle tip cap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