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760B1 - 제약용 용기를 위한 패키징 구조 - Google Patents

제약용 용기를 위한 패키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760B1
KR102519760B1 KR1020177023482A KR20177023482A KR102519760B1 KR 102519760 B1 KR102519760 B1 KR 102519760B1 KR 1020177023482 A KR1020177023482 A KR 1020177023482A KR 20177023482 A KR20177023482 A KR 20177023482A KR 102519760 B1 KR102519760 B1 KR 102519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upport surface
cell
packaging structure
bottom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8757A (ko
Inventor
지안파올로 베르톨린
Original Assignee
노바 옴피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바 옴피 에스.알.엘. filed Critical 노바 옴피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70118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ampoules; for lamp bulbs; for electronic valve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70Trays provided with projections or recesses in order to assemble multiple articles, e.g. intermediate elements for st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제약용 용기를 위한 패키징 구조는 용기(3)를 위한 지지면(2), 내부에서 지지면(2)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트레이(4), 지지면(2) 상에서 연장되고 지지면(2)과 함께 복수의 셀(5)을 구획하는(delimit) 분리 요소(demarcation elements; 6)를 포함하며, 복수의 셀(5)의 각각에 용기(3)가 위치하고, 각 셀(5)은 용기(3)를 지지하기 위한 바닥벽(9) 및 용기(3)의 측방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측벽(10)을 가지며, 셀(5)의 상기 바닥벽(9)은 그의 가장자리(perimeter) 전체를 따라 용기(3)가 안착(rest on)하고 용기(3)를 핸들링하기 위한 장치(13)의 통로를 이루는 엠프티부(empty portions; 12)와 교번으로 배치되는 솔리드부(solid portions; 11)를 가진다.

Description

제약용 용기를 위한 패키징 구조
본 발명은 제약용 용기(containers for pharmaceutical use), 특히 제약적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규정에 부합하는 청결성을 갖춘 살균 용기를 위한 패키징 구조(packaging structure)에 관한 것이다.
제약용 용기를 패키징하기 위한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몇몇 구조는 트레이(tray)에 안착될 수 있고 정교하게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시트(seats)를 구비할 수 있는 용기를 위한 지지면(support surface for the containers)을 포함하고 있다.
지지면은 매트릭스 형 순서(matrix-like order)로 용기를 배열하고 상부를 단일 수평면 상에 정렬시킴으로써 특수 로봇식 조작기(robotic manipulators)에 의한 용기의 자동화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용기는 서로에 대하여 마찰하는 것과 오염 입자를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분리되어 유지된다.
지지면은 청결, 살균 용기를 충전 및 캐핑 스테이션(filling and capping station)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된 로봇식 조작기에 의해 트레이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자동화 프로세스의 일부 단계는 또한, 다시 특수 로봇식 조작기에 의해, 지지면으로부터 용기를 이동하는 것을 수반하며, 예를 들어 충전 전 칭량 단계 및 정량 체크(check the dosage)를 위한 충전 후 칭량 단계에서이다.
용기를 추출하고 칭량을 위해 용기를 안착면(rest surface)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로드셀(load cells)로 전달할 필요는 전반적인 용기 공정 라인의 전체 생산능력의 감소를 초래한다.
더욱이, 칭량이 랜덤하게 선택된 샘플 용기가 아닌 용기 전부에 대하여 수행되어야만 하는 경우, 공정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기술적 단점을 제거할 수 있는 제약용 용기를 위한 패키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기술적 과제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용기 공정 라인의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제약용 용기를 위한 패키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상으로(constructively) 단순하지만 인간공학적인 제약용 용기를 위한 패키징 구조를 제공하여, 용기의 자동화 조작을 단순화하는 것이다.
상기 및 기타 목적 뿐만 아니라 이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제약용 용기를 위한 패키징 구조에 있어서, 용기를 위한 지지면, 내부에서 지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트레이, 지지면 상에서 연장되고 지지면과 함께 복수의 셀을 구획(delimit)하는 분리 요소(demarcation elements)를 포함하며, 복수의 셀의 각각에 용기가 위치하고, 각 셀은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바닥벽(bottom walls) 및 용기의 측방 이동을 방지(containing)하기 위한 측벽(side walls)을 가지며, 셀의 상기 바닥벽은 그의 가장자리(perimeter) 전체를 따라 용기가 안착(rest on)하고 용기를 핸들링하기 위한 장치의 통로를 이루는 엠프티부(empty portions)와 교번으로 배치되는 솔리드부(solid portions)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제약용 용기를 칭량하는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징 구조의 셀 내로, 용기의 베이스(base)의 가장자리 에지(perimeter edge)가 솔리드부에 안착하고 셀의 바닥벽의 엠프티부 위에 놓인 방식을 따르는 용기를 도입하는 단계, 핸들링 장치에 적어도 하나의 로드셀을 구비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셀의 바닥벽의 상기 엠프티부를 통과하기에 적어도 충분한 움직임으로 핸들링 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용기의 베이스의 가장자리 에지와 맞닿고(engaging), 용기를 셀의 바닥벽으로부터 인상하고, 로드셀에 의해, 인상된 위치에서 용기를 칭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공개하고 있다.
유리하게는, 인상된 위치에서 용기는 그 바닥벽으로부터 거리를 둔 채 여전히 해당 셀 내부에서 맞닿을 수 있다.
솔리드부는 용기가 셀의 바닥벽 상 안정적 위치에 있게 하기 위해 수, 모양, 크기(extent)에서 알맞은, 용기의 베이스의 가장자리 에지가 안착하는 영역(zones)을 생성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어 있고; 이와 마찬가지로, 엠프티부는 또한 용기가 인상되는 동안 핸들링 장치 상 안정적 위치에 있게 하기 위해 수, 모양, 크기에서 알맞은, 핸들링 장치가 통과하는 영역을 생성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엠프티부는 셀의 바닥벽의 중앙 통로 개구(central through opening)에 의해 규정된다.
셀의 특수 구조(construction)는 복수의 개별 영역(discrete zones)에서 용기의 베이스의 가장자리 에지가 셀의 바닥벽에 안착하고, 용기가 인상되는 동안에는, 복수의 개별 영역에서 용기의 베이스의 가장자리 에지가 핸들링 장치에 안착하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셀의 이 특수 구조로, 용기는 셀의 바닥벽과 인상시 핸들링 장치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또한 용기의 베이스가 편평하지 않고 되려 외부을 향한 오목형(concavity)을 갖는 예측 가능한 상황에도, 셀의 바닥벽 또는 핸들링 장치와 접촉하는 면적(area)이 용기의 베이스의 가장자리 에지에 국한된다.
용기를 인상하기 위해 개구의 하나 또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방사형 분지(radial branches)와 맞물릴 수 있는 상이한 모양을 가진 다른 핸들링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또한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구는 지지면에 수직인 중앙 축에 대하여 45°, 30° 또는 60° 및 그의 배수의 회전에 대칭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셀의 분포는 지지면 자체를 중앙 수직으로(centrally and perpendicularly) 통과하는 축에 대하여 지지면의 90° 또는 180° 회전에 대칭형이다.
지지면에서의 용기가 지지면의 일 위치 및 90° 또는 180° 회전된 다른 위치에서 동일 방식으로 핸들링 장치 및 다른 로봇식 조작기에 의해 자동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지면의 이 특수 구조는 용기의 조작에 있어서 상당한 유연성(flexibility)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도 정의되어 있다.
다른 특징들과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비제한적인 예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약용 용기를 위한 패키징 구조의 바람직하지만 배타적이 아닌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여기서:
도 1은 지지면을 위치시키기 전의 패키징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지지면을 트레이에 대하여 지지면에 수직인 중앙 축을 중심으로 180° 회전시켜 얻어질 수 있는 두 개의 지지 위치에 놓여진 지지면을 가진 패키징 구조의 측단면도이며, 두 개의 지지 위치는 패키징 구조가 높이는 다르나 상부(top)는 트레이 바닥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위치한 용기를 수용할 수 있게끔 하여 그들의 자동화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지지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지지면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용기를 인상시키기 위해 셀 아래 위치 가능한 핸들링 장치의 두 변형된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셀의 바닥벽에 안착한 위치 및 핸들링 장치의 작동 후 인상된 위치에서의 용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는 용기를 위치시킨 셀의 바닥벽에서의 개구를 평면에서 본 프로파일의 확대도이다.
상술한 도면들에서, 제약용 용기를 위한 패키징 구조는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1로 표시된다.
패키징 구조(1)는 용기(3)를 위한 지지면(2)과 내부에서 지지면(2)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트레이(4)를 포함한다.
용기(3)는, 일반적으로 유리로 만들어지며, 바람직하게 원통형 측벽(3a), 입구(mouth; 3b) 및 외부를 향한 얕은 오목형의 베이스(3c)를 가지지만, 용기(3)의 다른 실시예도 동일하게 구상될 수 있다.
지지면(2)은 트레이(4)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고 복수의 셀(5)을 가지는데, 복수의 셀(5)의 각각에 용기(3)가 위치할 수 있다.
셀(5)의 분포는 지지면(2) 자체를 중앙 수직으로 통과하는 축(L)에 대하여 지지면(2)의 180° 회전(도 1에서 화살표로 표시)에 대칭형이다.
셀(5)은, 특히, 일렬(one row)의 셀(5)이 인접열(adjacent row)의 셀(5)에 대하여 오프셋(offset)되는 이차원 매트릭스(two-dimensional matrix)에 따라 나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인접행의 셀(5)은 또한 서로 정렬된다(aligned).
각각의 셀(5)은 용기(3)를 지지하기 위한 바닥벽(9) 및 용기(3)의 측방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측벽(10)을 가진다.
특정 분리 요소(6)가 지지면(2)과 협력하여 셀(5)을 구획하기 위해 지지면(2) 상에서 연장된다.
셀(5)의 바닥벽(9)은 지지면(2)에 의해 제공되는 반면, 셀(5)의 측벽(10)은 분리 요소(6)에 의해 제공된다.
지지면(2)의 내측 셀(5)의 분리 요소(6)는 특정 보강 리브(stiffening ribs; 20)에 의해 서로 연결된 핀(pins; 19)의 정렬된 분포를 포함한다.
핀(19)은, 예를 들어 육각형일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는, 정다각형 격자(grid)의 교점(nodes)에 위치하는 반면, 리브(20)는 격자의 교점을 연결하는 세그먼트(segment)를 따라 연장된다. 지지면(2)의 내측 셀(5)의 바닥벽(9)은 따라서 정다각형 모양의, 특히 육각형이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는, 가장자리를 가진다. 격자의 모든 교점은 세 개의 인접 육각형이 공유하는 꼭짓점을 나타낸다. 각각의 핀(19)은, 특히, 격자의 세 인접 육각형 내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세 개의 벽(19a)을 가진 별모양의 단면을 갖는다. 동일 육각형 내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핀(19) 그룹의 벽(19a)은 용기(3)의 원통형 공간에 외접하여 용기(3)가 최소한의 측방 움직임을 가지며 셀(5)에서 위치하게 한다.
지지면(2)의 가장자리 셀(5)의 분리 요소(6)는 부분적으로 핀(19)과 부분적으로 지지면(2)의 외곽인 벽(21)을 포함한다.
벽(21)은 핀(19)의 지지면으로부터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트레이(4)와 체결될 수 있는 플랜지(flange; 22)는 벽(21)의 가장자리로부터 지지면(2)의 외부을 향해 연장된다.
지지면(2), 분리 요소(6), 및 플랜지(22)는 바람직하게 일체형(one piece of)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유리하게는, 셀(5)의 바닥벽(9)은 그의 가장자리 전체를 따라 용기(3)가 안착하고, 용기(3)를 핸들링(handling)하기 위한 장치(device; 13)의 통로를 이루는 엠프티부(12)와 교번으로 배치되는 솔리드부(11)를 갖는다.
엠프티부(12)는 셀(5)의 바닥벽(9)의 중앙 통로 개구(central through opening; 14)에 의해 규정된다.
개구(14)는 주요 중앙부(central portion) 및 중앙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분지(branches; 15, 16, 17)를 갖는다.
특히, 제1, 제2, 제3 분지(15, 16, 17)는, 각각, 개구(14)가 셀(5)의 바닥벽(9)의 제1, 제2, 제3 직경(D1, D2, D3) 각각의 적어도 대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extent)로 연장되어 제공된다.
제1, 제2, 제3 분지(15, 16, 17)는 특히 셀(5)의 바닥벽(9)의 동일 각도로 이격된 제1, 제2, 제3 직경(D1, D2, D3) 각각을 따라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개구(14)는 지지면(2)에 수직인 중앙 축을 중심으로 60° 및 30°의 다른 배수로의 회전에 대칭형이다.
패키징 구조(1)은 또한 트레이(4) 내부에서 지지면(2)의 지지 위치를 다변화(diversifying)하기 위한 특정 수단(means)을 포함한다.
다변화 수단은, 셀(5)에서 매 시간마다 위치하는 용기(3)의 높이의 변화에도 용기(3) 입구(3b)가 변화없이 위치하는 지점(points)들을 트레이(4) 내부에 유지하는 방식으로, 트레이(4)에 대하여 안착면(30)에 수직인 방향(Z)을 따라 트레이(4)에서의 지지면(2)의 체결 위치를 수정하기에 적합하다.
도 3a와 도 3b를 비교로부터, 다른 높이의 용기(3)를 수용하기 위해 지지면(2)의 위치가 트레이(4)에 대하여 회전한다면, 안착면(30)으로부터의 용기(3) 말단(3a)의 거리(S)는 더 긴 용기(3) 말단(3a)의 안착면(30)으로부터의 거리(S')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다변화 수단은 각각 트레이(4)의 안쪽 측벽과 플랜지(22)의 가장자리 에지를 따라 상호 체결가능한 매칭부(7', 7'')를 포함한다.
그들이 정렬되어 있을 때, 매칭부(7', 7'')는 플랜지(22)가 트레이(4)의 측벽의 내측 가장자리 턱(ledge; 7)에 안착할 수 있게끔 상호 체결 가능하다. 반면, 지지면(2)이 트레이(4)에 대하여 축(L)을 중심으로 180° 회전한 결과 그들이 정렬이 아닐 때, 매칭부(7', 7'')는 상호 체결 가능하지 않으며: 플랜지(22)는 매칭부(7')에 간섭 받는데, 앞서 기술된 상황에서보다 트레이(4)의 바닥으로부터 더 먼거리에서 지지면(2)을 떠받친다.
끝으로, 패키징 구조(1)는 지지면(2)이 도입되고 추출되는 트레이(4)의 개방측(open side)에 적용될 수 있는, 트레이(4)의 밀폐 또는 여과 폐쇄(filtering closure)를 위한 커버(8)를 포함한다.
커버(8)는 용기(3)의 살균에 적합한 살균제를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층(layer of material), 특히 트레이(4)에, 예를 들면 열 접착(heat-sealed)같은, 박리형 방식으로 연관된 층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트레이(4)는, 예를 들면 RFID 기술을 사용하여 디코딩되는 코드같은, 식별 및 추적 부재(identification and traceability element; 미도시)를 그와 함께 연관시킬 수 있다.
만약 패키징 구조에 있는 용기가 이미 세척 및 살균되어 제약 회사에 도착한다면, 제약 회사에서 수행될, 이후 단계는 충전 전 용기를 칭량(weighing), 용기 충전(filling), 충전 후 정량 체크를 위한 용기 칭량 및 용기 캐핑(capping)으로 구성된다.
칭량은 용기 전부 또는 그들의 샘플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다.
칭량은 독립식 또는 연동식으로 작업하는 하나 이상의 핸들링 장치(13)의 도움을 받아 수행될 수 있다.
용기(3)를 칭량하기 위해, 핸들링 장치(13)는 로드셀을 구비하며 용기(3)를 수용하는 셀(5)과 수직 정렬된 위치에서 지지면(2) 밑에 위치한다.
용기(3)는 처음에는 그의 베이스의 가장자리 에지(3d)가 솔리드부(11)에 안착하고 셀(5)의 바닥벽(9)의 엠프티부(12) 위에 놓인 채로 해당 셀에서 동축으로 위치한다.
핸들링 장치(13)는 적어도 엠프티부(12)를 통과하고 용기(3)의 베이스(3c)의 가장자리 에지(3d)에 맞닿아 셀(5)의 바닥벽(9)으로부터 용기(3)를 들어올리기 충분한 움직임을 완성하게끔 지지면(2)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방으로 수직하게 이동하게 된다.
용기(3)를 인상하기 위해, 개구(14)의 하나 또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방사형 분지와 맞물릴 수 있는 상이한 모양을 가진 다른 핸들링 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
도 6b의 핸들링 장치(13)는, 핸들링 장치(13) 자체의 이동 중앙축(H)에 대하여 서로로부터 120° 연장된 세개의 동일한 날개를 가진다.
도 6b에 도시된 구조에서, 핸들링 장치(13)는 동일 각도로 이격된 최소 세 개의 구분된 영역에서 용기(3) 베이스(3c)의 가장자리 에지(3d)를 터치하며, 그 결과 용기(3)는 핸들링 장치(13)에서 안정적으로 균형잡혀 유지된다. 게다가 이동 중앙축(H)을 중심으로 연속적인 60° 회전을 통해 얻어지는 최소 여섯 개의 다른 각 방향(angular orientation)이 있으며, 그로 인해 핸들링 장치(13)는 개구(14)내로 도입될 수 있어 동일 각도로 이격된 최소 세 개의 구분된 영역에서 용기(3) 베이스(3c)의 가장자리 에지(3d)를 터치한다.
유리하게는, 만약 개구(14)가 지지면(2)에 수직인 중앙 축을 중심으로 30°의 배수로의 회전에 대칭형이라면, 지지면(2)이 트레이(4)에 대하여 Z축에서 180° 회전할 때, 개구(14)의 배치(layout)는 다르지 않다: 도 3b에 도시된 핸들링 장치(13)가 용기를 칭량하기 위해 사용될 때는, 따라서 트레이(4)에 대한 지지면(2)의 방향을 연역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다.
도 6a의 핸들링 장치(13)는, 핸들링 장치(13) 자체의 이동 중앙축(H)에 대하여 서로로부터 180° 연장된 두 개의 동일한 날개를 가진다.
도 7에 도시된 구조에서, 핸들링 장치(13)는 정 반대에 위치한 두 개의 개별 영역에서 용기(3) 베이스(3c)의 가장자리 에지(3d)를 터치하며, 그 결과 이 경우에도 용기(3)는 핸들링 장치(13)에서 안정적으로 균형잡혀 유지된다. 이 경우에도, 또한 이동 중앙축(H)을 중심으로 연속하는 60° 회전을 통해 얻어지는 최소 여섯 개의 다른 각 방향이 있으며, 그로 인해 핸들링 장치(13)는 동일 각도로 이격된 두 개의 구분된 영역에서 용기(3) 베이스(3c)의 가장자리 에지(3d)를 터치하도록 개구(14)내로 도입될 수 있다.
셀(5)의 바닥벽(9)로부터 인상된 위치에서, 용기(3)는 로드셀에 의해 칭량된다.
칭량 후, 핸들링 장치(13)는 선행한 것과 반대의 움직임으로 하방으로 수직하게 이동하게 되며, 이는 용기(3)가 셀(5)의 바닥벽(9)에 다시 안착하도록 가져온다.
핸들링 장치(13)는 또한 용기(3)를 보유(retaining)하기 위한 시스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핸들링 장치가 칭량을 위해 용기(3)를 셀(5)로부터 완전히 추출하는 때 특히 유용하다.
특히, 보유 장치는 개구(14)의 중앙부를 통해 이동가능하며, 용기(3)를 핸들링 장치(13)에 단단히 구속되는 움직임으로 유지하기 위해 용기(3) 베이스에 적용가능한, 예를 들어 석션 컵(suction cup)과 같은, 감압 흡인 시스템(decompression suction system)일 수 있다.
지지면의 셀의 특별 디자인은 지지면의 셀로부터 용기를 완전히 추출해내지 않고 충전 전 칭량, 충전, 충전 후 칭량 및 캐핑 동작들이 자동화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는 용기를 제약 회사에 제공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구상되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용기가 처리되기 위해 패키징 구조로부터 완전히 추출되는 전통적인 공정 라인에 비교하여 용기 공정 라인의 생산능력이 월등히 증가한다.
이렇게 구상된 제약용 용기를 위한 패키징 구조는 여러 가지 변경과 변형이 가능한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적 개념 범위 내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든 상세는 기술적 등가 요소로 대체 가능하다.
치수 뿐 아니라 사용된 재질도 요구 조건과 최신 기술(state of the art)에 따른 임의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3)

  1. 용기(3)를 위한 지지면(2), 내부에서 지지면(2)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트레이(4), 지지면(2) 상에서 연장되고 지지면(2)과 함께 복수의 셀(5)을 구획하는(delimit) 분리 요소(demarcation elements; 6)를 포함하며, 복수의 셀(5)의 각각에 용기(3)가 위치하고, 각 셀(5)은 용기(3)를 지지하기 위한 바닥벽(9) 및 용기(3)의 측방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측벽(10)을 가지며, 셀(5)의 상기 바닥벽(9)은 그의 가장자리(perimeter) 전체를 따라 용기(3)가 안착(rest on)하고 용기(3)를 핸들링하기 위한 장치(13)의 통로를 이루는 엠프티부(empty portions; 12)와 교번으로 배치되는 솔리드부(solid portions; 11)를 가지고, 용기(3)가 최소한의 측방 움직임을 가지며 셀(5)에서 위치하게 되는, 제약용 용기(3)를 위한 패키징 구조(1)에 있어서,
    상기 엠프티부(12)는 셀(5)의 바닥벽(9)의 중앙 통로 개구(central through opening; 14)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개구(14)는 주요 중앙부(central portion) 및 중앙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분지(branches; 15, 16, 17)를 가지며,
    상기 개구(14)는 제1, 제2, 제3 분지들(15, 16, 17) 각각에서 셀(5)의 바닥벽(9)의 제1, 제2, 제3 직경(D1, D2, D3) 각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제2, 제3 직경(D1, D2, D3)은 동일 각도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구조(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9)은 지지면(2)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측벽(10)은 분리 요소(6)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용 용기(3)를 위한 패키징 구조(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4)는 지지면(2)에 수직인 중앙 축에 대하여 45°, 30° 또는 60°의 각도의 회전 및 이들 각도의 배수의 회전에 대칭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용 용기(3)를 위한 패키징 구조(1).
  4. 제1항에 있어서,
    셀(5)의 분포는 지지면(2) 자체를 중앙 수직으로 통과하는 축(L)에 대하여 지지면(2)의 90° 또는 180° 회전에 대칭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용 용기(3)를 위한 패키징 구조(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5)은 일렬(one row)의 셀(5)이 인접열(adjacent row)의 셀(5)에 대하여 오프셋(offset)되는 이차원 매트릭스(two-dimensional matrix)에 따라 나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용 용기(3)를 위한 패키징 구조(1).
  6. 제1항에 있어서,
    트레이(4) 내부에서 지지면(2)의 높이를 다변화(diversifying)하기 위한 특정 수단(mean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용 용기(3)를 위한 패키징 구조(1).
  7. 제1항에 있어서,
    지지면(2)이 도입되는 트레이(4)의 개방측(open side)에 적용되는 트레이(4)의 밀폐 또는 여과 폐쇄(filtering closure)를 위한 커버(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용 용기(3)를 위한 패키징 구조(1).
  8. 제약용 용기(3)를 칭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패키징 구조(1)의 셀(5) 내로, 용기의 베이스(3c)의 가장자리 에지(perimeter edge)가 솔리드부(11)에 안착하고 셀(5)의 바닥벽(9)의 엠프티부(12) 위에 놓이도록 용기(3)를 도입하는 단계; 핸들링 장치(13)에 로드셀을 구비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셀(5)의 바닥벽(9)의 상기 엠프티부(12)를 통과하기에 적어도 충분한 움직임으로 핸들링 장치(13)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핸들링 장치(13)가 상기 용기(3)의 베이스(3c)의 가장자리 에지(3d)와 맞닿아 용기(3)를 셀(5)의 바닥벽(9)으로부터 인상하고, 로드셀에 의해, 인상된 위치에서 용기(3)를 칭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77023482A 2015-02-23 2016-02-19 제약용 용기를 위한 패키징 구조 KR102519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20150269 2015-02-23
ITMI2015A000269 2015-02-23
PCT/EP2016/053531 WO2016135051A1 (en) 2015-02-23 2016-02-19 Packaging structure for containers for pharmaceutical 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757A KR20170118757A (ko) 2017-10-25
KR102519760B1 true KR102519760B1 (ko) 2023-04-10

Family

ID=52781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482A KR102519760B1 (ko) 2015-02-23 2016-02-19 제약용 용기를 위한 패키징 구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399768B2 (ko)
EP (1) EP3261951B1 (ko)
JP (1) JP6738822B2 (ko)
KR (1) KR102519760B1 (ko)
CN (1) CN107249999B (ko)
BR (1) BR112017017976B1 (ko)
CA (1) CA2977087C (ko)
DK (1) DK3261951T3 (ko)
ES (1) ES2774421T3 (ko)
HU (1) HUE047653T2 (ko)
MX (1) MX2017010535A (ko)
PL (1) PL3261951T3 (ko)
PT (1) PT3261951T (ko)
WO (1) WO20161350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9296B2 (en) * 2015-09-04 2021-11-23 Daikyo Seiko, Ltd. Container holding member and medical container set
DE202016107209U1 (de) 2016-12-21 2018-03-22 Schott Schweiz Ag Haltestruktur zum gleichzeitigen Halten einer Mehrzahl von Behältern für Substanzen für pharmazeutische, medizinische oder kosmetische Anwendungen, Transportgebilde und Transport- oder Verpackungsbehälter mit selbiger
DE102017101398A1 (de) 2017-01-25 2018-07-26 Schott Schweiz Ag Haltestruktur zum gleichzeitigen Halten einer Mehrzahl von Behältern für Substanzen für pharmazeutische, medizinische oder kosmetische Anwendungen, Transportgebilde und Transport- oder Verpackungsbehälter mit selbiger
DE102017124908A1 (de) * 2017-10-24 2019-04-25 Schot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lexiblen Behandlung von Pharma-Packmitteln
IT201800003376A1 (it) * 2018-03-08 2019-09-08 Nuova Ompi Srl Struttura per il confezionamento di contenitori ad uso farmaceutico
CN111498271A (zh) * 2020-04-07 2020-08-07 海宁市万里照明电器有限公司 用于批量式物流运输的节能灯的容纳器
CN112830068B (zh) * 2020-12-30 2022-06-07 湖南爱世为民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干细胞储存保护提取装置
CA3159082A1 (en) * 2021-05-18 2022-11-18 Gerresheimer Glas Gmbh Transport tray for packaging units
BR102023014611A2 (pt) * 2022-07-25 2024-01-30 Nuova Ompi S.R.L. Unipersonale Dispositivo de suporte para suportar uma pluralidade de recipientes para uso farmacêutico a serem manuseados em uma linha de processamento
US20240024195A1 (en) * 2022-07-25 2024-01-25 Nuova Ompi S.R.L. Unipersonale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containers for pharmaceutical use to be handled in a processing lin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9005277A1 (en) 1987-12-04 1989-06-15 Kabivitrum Ab Bottle filling and sealing apparatus
JP2003160247A (ja) 2002-10-07 2003-06-03 Origin Electric Co Ltd 薄板状チップ部品の取出方法
WO2011135085A1 (en) * 2010-04-30 2011-11-03 Stevanato Group International A.S. Packaging structure for containers for pharmaceutical use
US20120181285A1 (en) * 2009-07-03 2012-07-19 Robert Bosch Gmbh Receptacle for pharmaceutical containers
WO2014130349A1 (en) 2013-02-21 2014-08-28 Capitol Medical Devices, Inc. Vial, tray, and vial processing assembly
WO2014128133A1 (de) 2013-02-19 2014-08-28 Tahsin Dag Tablett zur aufnahme und verpackung von gleichförmigen behälter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02317B1 (it) * 2007-08-02 2011-06-15 Stevanato Group Internat As Struttura di confezione di flaconi in vetro ad uso farmaceutico.
US8701926B2 (en) 2008-06-23 2014-04-22 The Boeing Company Tank having integral restraining elements and associated fabrication method
DE102013112167A1 (de) * 2013-11-05 2015-05-07 Schott Ag Haltestruktur zum gleichzeitigen Halten einer Mehrzahl von Behältern für Substanzen für medizinische, pharmazeutische oder kosmetische Anwendungen sowie Transport- und Verpackungsbehälter mit Selbiger sowie Verfahre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9005277A1 (en) 1987-12-04 1989-06-15 Kabivitrum Ab Bottle filling and sealing apparatus
JP2003160247A (ja) 2002-10-07 2003-06-03 Origin Electric Co Ltd 薄板状チップ部品の取出方法
US20120181285A1 (en) * 2009-07-03 2012-07-19 Robert Bosch Gmbh Receptacle for pharmaceutical containers
WO2011135085A1 (en) * 2010-04-30 2011-11-03 Stevanato Group International A.S. Packaging structure for containers for pharmaceutical use
WO2014128133A1 (de) 2013-02-19 2014-08-28 Tahsin Dag Tablett zur aufnahme und verpackung von gleichförmigen behältern
WO2014130349A1 (en) 2013-02-21 2014-08-28 Capitol Medical Devices, Inc. Vial, tray, and vial processing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57249A1 (en) 2018-03-01
CN107249999B (zh) 2020-04-07
BR112017017976A2 (pt) 2018-04-10
HUE047653T2 (hu) 2020-05-28
JP6738822B2 (ja) 2020-08-12
JP2018507146A (ja) 2018-03-15
BR112017017976B1 (pt) 2022-07-12
DK3261951T3 (da) 2020-02-17
EP3261951A1 (en) 2018-01-03
CN107249999A (zh) 2017-10-13
US10399768B2 (en) 2019-09-03
CA2977087A1 (en) 2016-09-01
PT3261951T (pt) 2020-02-06
WO2016135051A1 (en) 2016-09-01
ES2774421T3 (es) 2020-07-21
PL3261951T3 (pl) 2020-06-01
CA2977087C (en) 2023-03-21
KR20170118757A (ko) 2017-10-25
MX2017010535A (es) 2018-06-18
EP3261951B1 (en)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9760B1 (ko) 제약용 용기를 위한 패키징 구조
US20230018492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filling pharmaceutical containers
CN102470207B (zh) 用于药用容器的包装结构
CN110177665B (zh) 用于自动化生产药物或生物技术制品的密闭结构的结构组件
EP3307629B1 (en) Method and machine for filling and sealing bottles, cartridges, syringes and the like
EP3484775B1 (en) Method device for handling primary containers for pharmaceutical use
JP2012532725A (ja) 細長い物体、特にシリンジ本体あるいはシリンジを位置決めするためのトレイ
US20170088407A1 (en) Method of handling and transferring containers lined up in a sorting machine to an underlying filler and apparatus thus obtained
MX2012003692A (es) Estructura de empaque mejorada de contenedores para uso farmaceutico, metodo para procesar los mismos, maquina de proceso para los mismos y uso de los mism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