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763B1 - 일엽초 추출물 및 민들레 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일엽초 추출물 및 민들레 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763B1
KR102518763B1 KR1020200136068A KR20200136068A KR102518763B1 KR 102518763 B1 KR102518763 B1 KR 102518763B1 KR 1020200136068 A KR1020200136068 A KR 1020200136068A KR 20200136068 A KR20200136068 A KR 20200136068A KR 102518763 B1 KR102518763 B1 KR 102518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weight
extract
tot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2109A (ko
Inventor
이구연
정세희
성시권
이보희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뉴랜드올네이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뉴랜드올네이처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6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76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2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41Pteridophyta [f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일 양태로서 제공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은 일엽초 추출물 및 민들레 전초 추출물을 포함하고 있어, 피부장벽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피부장벽 강화 효과에 기인한 피부 보습효과, 피부 건조증 개선효과, 손상된 피부의 개선효과 또는 피부의 진정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일엽초 추출물 및 민들레 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trengthening skin barriers, including extracts of Lepisorus Thunbergianus and Taraxacum Platycarpum}
일엽초 추출물 및 민들레 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에서부터 순서대로 표피, 진피, 피하 조직의 3개 층으로 크게 구분되며, 체내 기관을 기온 및 습도 변화, 자외선, 기타 물리적, 화학적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이 있다. 특히, 표피에서는 인체 내부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 표피는 외부로부터 순서대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구분되며, 각질층의 세포들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고 각질세포 사이의 세포간 지질들은 모르타르와 같은 역할로 작용하여 피부 장벽을 구성한다. 또한, 건강한 사람의 각질세포에는 고농도의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ng Factor; NMF)가 존재하여 피부의 수분 보유를 돕는데, 요즘과 같이 환경의 변화나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냉/난방의 인위적인 온도 조절, 사회생활에서 발생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 오염으로 인한 피부 스트레스,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푸석거리고 촉촉함을 잃어 생기가 없어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피부장벽 강화용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의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2157970호
일엽초 추출물 및 민들레 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계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양태로서, 일엽초 추출물 및 민들레 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일엽초 추출물과 민들레 전초 추출물은 일엽초와 민들레 전초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라면 추출물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냉침 추출물, 초음파 추출물, 환류 냉각 추출물, 상온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일엽초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0.01 내지 4.5, 0.01 내지 4, 0.01 내지 3.5, 0.01 내지 3, 0.01 내지 2.5, 0.01 내지 2, 0.01 내지 1.5 또는 0.01 내지 1 중량% 포함할 수 있고, 조성물 내 적정량이 포함되어 민들레 전초 추출물과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민들레 전초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7, 0.01 내지 6.5, 0.01 내지 6, 0.01 내지 5.5, 0.01 내지 5, 0.01 내지 4.5, 0.01 내지 4, 0.01 내지 3.5, 0.01 내지 3, 0.01 내지 2.5, 0.01 내지 2, 0.01 내지 1.5 또는 0.01 내지 1 중량% 포함할 수 있고, 조성물 내 적정량이 포함되어 일엽초 추출물과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에 존재하는 각종 염증을 개선하고 항산화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는 측면에서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0.01 내지 4.5, 0.01 내지 4, 0.01 내지 3.5, 0.01 내지 3, 0.01 내지 2.5, 0.01 내지 2, 0.01 내지 1.5 또는 0.01 내지 1 중량% 포함할 수 있고, 조성물 내 적정량 포함되어 효과적인 염증 개선 및 항산화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 중량%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의 수분유지 효과를 증진시키고, 항산화, 항염증 및 항박테리아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며, 피부 장벽 회복효과를 증진시키는 측면에서 마누카꿀(Manuka Honey)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마누카꿀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3 내지 10, 0.03 내지 9, 0.03 내지 8, 0.03 내지 7, 0.03 내지 6, 0.03 내지 5, 0.04 내지 10, 0.04 내지 9, 0.04 내지 8, 0.04 내지 7, 0.04 내지 6, 0.04 내지 5, 0.05 내지 10, 0.05 내지 9, 0.05 내지 8, 0.05 내지 7, 0.05 내지 6 또는 0.05 내지 5 중량% 포함할 수 있고, 조성물 내 적정량 포함되어 피부의 pH를 약산성으로 유지시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6 중량%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경피수분손실을 억제하고, 피부의 수분 유지 능력을 보다 향상시키는 측면에서,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마누카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 효과를 보다 증진키며, 피부를 보다 부드럽고 촉촉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측면에서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Cetearyl Glucosid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0.01 내지 4.5, 0.01 내지 4, 0.01 내지 3.5, 0.01 내지 3, 0.01 내지 2.5, 0.01 내지 2, 0.01 내지 1.5 또는 0.01 내지 1 중량% 포함할 수 있고, 조성물 내 적정량 포함되어 피부의 건조함을 예방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내 수분 유지 효과를 증진시키고, 조성물의 피부 내 흡수성을 증진시키며, 조성물의 발림성을 증진시키고, 피부의 유연성을 강화하도록 하는 측면에서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세테아릴알코올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0.01 내지 4.5, 0.01 내지 4, 0.01 내지 3.5, 0.01 내지 3, 0.01 내지 2.5, 0.01 내지 2, 0.01 내지 1.5 또는 0.01 내지 1 중량% 포함할 수 있고, 조성물 내 적정량 포함되어 조성물의 적절한 발림성을 유지하면서도 제형상의 안정성을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 중량%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C14-22 알코올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 0.1 내지 4.5, 0.1 내지 4, 0.1 내지 3.5, 0.1 내지 3, 0.1 내지 2.5, 0.1 내지 2, 0.1 내지 1.5 또는 0.1 내지 1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C12-20 알킬글루코사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 0.1 내지 4.5, 0.1 내지 4, 0.1 내지 3.5, 0.1 내지 3, 0.1 내지 2.5, 0.1 내지 2, 0.1 내지 1.5 또는 0.1 내지 1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함유된 비타민 E를 이용하여 피부에 생기와 활력을 부여하고, 함유된 오메가 6를 이용하여 피부 보습 효과와 피부 재생 효과를 증진하는 측면에서 아르간 커넬 오일(Argania Spinosa Kernel Oi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아르간 커넬 오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8, 0.1 내지 7.5, 0.1 내지 7, 0.1 내지 6.5, 0.1 내지 6, 0.1 내지 5.5, 0.1 내지 5, 0.1 내지 4.5, 0.1 내지 4, 0.1 내지 3.5, 0.1 내지 3, 0.1 내지 2.5, 0.1 내지 2, 0.1 내지 1.5 또는 0.1 내지 1 중량% 포함할 수 있고, 조성물 내 적정량 포함되어 피부의 수분 증발을 차단하여 수분 손실을 억제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6 중량%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가 가지고 있는 본연의 성분으로 피부에 보호막을 형성하고, 항산화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는 측면에서 스쿠알란(Squalan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스쿠알란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10, 1 내지 9, 1 내지 8, 1 내지 7, 1 내지 6, 1 내지 5, 1 내지 4, 1 내지 3 또는 1 내지 2로 포함할 수 있고, 조성물 내 적정량 포함되어 피부에 보호막을 형성하면서도 모공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중량%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손상된 피부를 개선하고, 피부의 수분유지와 경피수분손실의 억제효과를 보다 높이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 하에, 프로폴리스 추출물, 마누카꿀,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세테아릴알코올, C14-22 알코올, C12-20 알킬글루코사이드, 아르간 커넬 오일 및 스쿠알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수분 유지, 피부 건조증 개선, 손상된 피부 개선 또는 피부 진정을 위한 것일 수 있는데, 상기 피부 수분 유지, 피부 건조증 개선, 손상된 피부 개선 또는 피부 진정 용도는 피부장벽 강화효과에 기인한 피부 수분 유지, 피부 건조증 개선, 손상된 피부 개선 또는 피부 진정효과로부터 도출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고, 이들은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특별한 제한없이 포함 가능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통상의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도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중량%로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양태로서 제공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은 일엽초 추출물 및 민들레 전초 추출물을 포함하고 있어, 피부장벽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피부장벽 강화 효과에 기인한 피부 보습효과, 피부 건조증 개선효과, 손상된 피부의 개선효과 또는 피부의 진정효과가 우수하다.
다만,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사용 후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 개선 측정 결과로서, 사용 부위의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값이 미사용 부위 대비 제품 사용 7일 후 및 14일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p<0.05).
도 2는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사용 후 외부 자극에 의한 피부(붉은기) 진정 효과 측정 결과로서, 사용 부위의 피부 붉은기 측정 값이 미사용 부위 대비 제품 사용 7일 후 및 14일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p<0.05).
도 3은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사용 후 피부 수분 함유량 측정 결과로서, 피부 수분 함유량 측정값이 사용 전에 비해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이다(p<0.05).
도 4는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사용 후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 결과로서,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값이 사용 전에 비해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이다(p<0.05).
도 5는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사용 후 가려움증 개선에 대한 시험대상자 주관 평가 결과로서, VAS 값이 사용 전에 비해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이다(p<0.05).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수상 Part와 유상 Part 각각을 75~80 ℃까지 가온하여 균일하게 용해되었음을 확인한 후, 수상 Part에 유상 Part를 투입하여 3,000 rpm으로 5분간 Homo-mixing 하였다. 냉각 후 45℃에서 착향제, 방부제, 추출물(일엽초 추출물 및 민들레 전초 추출물) 투입 후 3,000 rpm으로 5분간 Homo-mixing 후 정치하였으며, 35℃에서 탈포 후 품질검사를 진행하였다.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주요 성분표는 하기 표 1과 같으며, 이하,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시험제품'으로 명명될 수 있다.
Part 성분의 ICID명 성분의 한글명 성분함량(중량%) CAS 번호
유상 Part Squalane 스쿠알란 1.0~4.0 111-01-3
Argania Spinosa Kernel Oil 아르간커넬오일 0.1~6.0 223747-87-3
C14-22 Alcohols C14-22알코올 0.1~2.0 -
C12-20 Alkyl Glucoside C12-20알킬글루코사이드 0.1~2.0 -
Cetearyl Alcohol 세테아릴알코올 0.01~2.0 67762-27-0
Cetearyl Glucoside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0.01~1.0 -
수상 Part Taraxacum Platycarpum Extract 민들레전초추출물 0.01~5.0 -
Lepisorus Thunbergianus Extract 일엽초추출물 0.01~1.0 -
Honey 마누카꿀 0.05~6.0 8028-66-8
Propolis Extract 프로폴리스추출물 0.01~2.0 85665-41-4
D.I water 정제수 30-90 7732-18-5
실시예 1. 손상된 피부의 개선 및 진정효과 확인
1.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 개선 측정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 개선 측정은 시험대상자(만 19~59세의 성인 여성 20명)의 전박 부위에 제품 미사용 부위와 제품 사용 부위를 구획한 뒤, 1.2% SLS(Sodium Lauryl Sulfate) 용액을 IQ Chamber에 적하하여 각 부위에 24시간 동안 첩포하였다. 인위적으로 피부를 손상시킨 뒤 첩포를 제거하고 정해진 부위에만 시험제품을 2주간 사용하도록 한 후, Vapometer를 사용하여 SLS 첩포 전과 제품 사용 전(SLS 24시간 첩포 및 제거 후), 제품 사용 1일 후, 제품 사용 7일 후 및 제품 사용 14일 후 각 부위의 경표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였다. 피부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은 부위당 1회 측정하였고, 그 단위는 g/m2h이다.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 값은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 개선 정도와 반비례하므로 측정 값이 낮아질수록 외부 자극에 의해 손상된 피부가 개선됨을 의미한다.
시험제품 사용 부위와 미사용 부위 간의 피부 측정 변화 값의 유의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통계 분석 프로그램인 SPSS 23.0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유의확률은 95% 신뢰구간에서 p<0.05일 때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 시험제품 사용 후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 개선 측정 결과, 시험제품 사용 부위의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값이 시험제품 미사용 부위 대비 제품 사용 7일 후 및 14일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평균±표준편차).
2. 외부 자극에 의한 피부(붉은기) 진정 효과 측정
외부 자극에 의한 피부(붉은기) 진정 효과 측정은 시험대상자(만 19~59세의 성인 여성 20명)의 전박 부위에 제품 미사용 부위와 제품 사용 부위를 구획한 뒤, 1.2% SLS(Sodium Lauryl Sulfate) 용액을 IQ Chamber에 적하하여 각 부위에 24시간 동안 첩포하였다. 인위적으로 피부를 손상시킨 뒤 첩포를 제거하고 정해진 부위에만 시험제품을 2주간 사용하도록 한 후, Chromameter CR400을 사용하여 SLS 첩포 전과 제품 사용 전(SLS 24시간 첩포 및 제거 후), 제품 사용 1일 후, 제품 사용 7일 후 및 제품 사용 14일 후 각 부위의 각 부위의 피부 붉은기를 측정하였다. 피부 붉은기 측정은 3회 측정한 평균 값을 사용하였고, 측정 변수는 a value이다. 측정 값과 피부 붉은기 정도는 비례하므로 측정 값이 낮아질수록 외부 자극에 의한 피부(붉은기) 진정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통계적 유의성은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 시험제품 사용 후 외부 자극에 의한 피부(붉은기) 진정 효과 측정 결과, 시험제품 사용 부위의 피부 붉은기 측정 값이 시험제품 미사용 부위 대비 제품 사용 7일 후 및 14일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평균±표준편차).
실시예 2. 피부 건조증의 개선 효과 확인
1. 피부 수분 함유량 측정
피부 수분 함유량 측정은 Corneometer를 사용하여 시험제품 사용 전 건조증에 기인한 가려움증이 있는 부위를 확인한 후 피부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여 선정 기준(수분 함유량 29미만) 적합 여부를 판단하였다. 선정 기준에 적합한 시험대상자(만 19~60세의 건조한 피부를 가진 성인여성 20명)의 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2주 후, 제품 사용 4주 후 피부 수분 함유량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였고, 3회 측정한 평균값을 피부 수분 함유량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측정된 피부 수분 함유량의 단위는 A.U.(Arbitrary Unit)이며, 측정값과 피부 수분 함유량은 비례한다.
시험제품 사용 전, 후 피부 측정 변화 값의 유의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통계 분석 프로그램인 SPSS 23.0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유의확률은 95% 신뢰구간에서 p<0.05일 때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 시험제품 사용 후 피부 수분 함유량 측정 결과, 피부 수분 함유량 측정값이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제품 사용 2주 후, 제품 사용 4주 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2.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은 Vapometer를 사용하여 시험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2주 후, 제품 사용 4주 후 건조증에 기인한 가려움증이 있는 부위의 경표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였다(시험대상자: 만 19~60세의 건조한 피부를 가진 성인여성 20명). 1회 측정한 값을 경표피수분손실량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고, 그 단위는 g/m2 h이다. 측정값은 경표피수분손실량 정도와 비례하므로 측정값이 낮아질수록 경표피수분손실량이 개선됨을 의미한다. 통계적 유의성은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 시험제품 사용 후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 결과,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값이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제품 사용 2주 후, 제품 사용 4주 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3. Visual Analog Scale (VAS) 평가
Visual Analog Scale(VAS) 평가는 시험대상자의 주관적 설문평가에 의해 평가하였다. 시험대상자(시험대상자: 만 19~60세의 건조한 피부를 가진 성인여성 20명)는 시험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2주 후, 제품 사용 4주 후에 각각 건조증에 기인한 피부 가려움증 정도를 0 ~ 10 사이에 표시하도록 하였고, 그 부분을 점수화 하여 피부 가려움증 개선 평가 지수로 사용하였다(0: 전혀 가렵지 않다; 10: 참을 수 없이 가렵다). 통계적 유의성은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 시험제품 사용 후 가려움증 개선에 대한 시험대상자 주관 평가 결과, VAS 값이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제품 사용 2주 후, 제품 사용 4주 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전술한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당업계 통상의 기술자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일엽초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 중량%로 포함하고,
    민들레 전초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하고,
    마누카꿀(Manuka Honey)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6 중량%,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2 중량%,
    스쿠알란(Squalane)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4 중량%,
    아르간 커넬 오일(Argania Spinosa Kernel Oil)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6 중량%,
    C14-22 알코올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2 중량%,
    C12-20 알킬글루코사이드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2 중량%,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2 중량%,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Cetearyl Glucoside)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 중량%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수분 유지, 피부 건조증 개선, 손상된 피부 개선 또는 피부 진정을 위한 것인 조성물.
KR1020200136068A 2020-10-20 2020-10-20 일엽초 추출물 및 민들레 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18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068A KR102518763B1 (ko) 2020-10-20 2020-10-20 일엽초 추출물 및 민들레 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068A KR102518763B1 (ko) 2020-10-20 2020-10-20 일엽초 추출물 및 민들레 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109A KR20220052109A (ko) 2022-04-27
KR102518763B1 true KR102518763B1 (ko) 2023-04-06

Family

ID=81390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068A KR102518763B1 (ko) 2020-10-20 2020-10-20 일엽초 추출물 및 민들레 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7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012B1 (ko) * 2016-06-14 2016-12-28 주식회사 메디컬오 일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668A (ko) * 2014-11-06 2016-05-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포공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KR102157970B1 (ko) 2019-11-14 2020-09-21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발아 새싹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012B1 (ko) * 2016-06-14 2016-12-28 주식회사 메디컬오 일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엘리샤코이 허니 모이스처 너리싱 크림 사용후기, 발광크림!!"(2013.03.28.) 1부.*
식품의약품안전청 "화장품 전성분표시제 설명자료",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109A (ko) 202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3242B2 (en) Skin care formulations
JP6766047B2 (ja) 加齢皮膚およびしわの処置用および予防用のγ−ジケトン
JPWO2004016236A1 (ja) 化粧料
US9610232B2 (en) Use of sphinganine to improve the visual appearance of skin and hair
JP6872673B2 (ja) 安定性が改善された新規な類似セラミド化合物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US20100173027A1 (en) O/w emulsion for hand care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20129602A (ko) 진달래꽃, 사과꽃 및 함박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및 진정 화장용 조성물
JPH11139956A (ja) 脂質小胞に基づく分散物の抗炎症組成物としての使用
KR100702327B1 (ko) 자극완화 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60114794A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20057020A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18763B1 (ko) 일엽초 추출물 및 민들레 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55807B1 (ko)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JP5455292B2 (ja) 皮膚外用組成物
KR102040490B1 (ko) 피부 쿨링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JPH07277920A (ja) レモングラスの水蒸気蒸留水又は/及び抽出物含有化粧 料
KR20220001161A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20200071334A (ko)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블랙커런트)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
KR102599093B1 (ko) 편백나무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56382B1 (ko)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20898B1 (ko) 지실 추출물 및 hpc를 함유한 모공 수렴 화장료 조성물
BRPI0905586A2 (pt) composição e uso de composto cosmético para aplicação dermatológica
KR101621009B1 (ko) 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83424A (ko) 에리오딕티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