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395B1 - Voc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Voc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395B1
KR102518395B1 KR1020180031627A KR20180031627A KR102518395B1 KR 102518395 B1 KR102518395 B1 KR 102518395B1 KR 1020180031627 A KR1020180031627 A KR 1020180031627A KR 20180031627 A KR20180031627 A KR 20180031627A KR 102518395 B1 KR102518395 B1 KR 102518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c
gas
processor
pipe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9922A (ko
Inventor
김정래
윤원준
김도윤
Original Assignee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1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39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78Thermal treatment, e.g. calcining or pyroli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도장공장으로부터 VOC를 함유한 기체가 유입되어 VOC를 흡착하는 적어도 두 개의 VOC 처리기와, 상기 VOC 처리기의 전단 또는 후단에 배치되어 VOC가 제거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송풍팬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VOC 처리기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VOC 처리기로부터의 VOC를 탈착시키기 위한 VOC 탈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VOC 탈착유닛은 상기 VOC 처리기로부터의 VOC 탈착이 완료된 후 상기 VOC의 냉각을 위한 냉각용 공기가 유동되는 바이패스관을 구비하는 VOC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VOC 처리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VOCs}
본 발명은 VOC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이하, VOC로 약칭한다)은 10-2kPa 이상의 증기압을 가지는 탄화수소화합물의 총칭으로 방향족 탄화수소와 지방족 탄화수소(파라핀계와 올레핀계) 등의 일반 탄화수소와 질소, 수소 및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비균질탄화수소(Heterogeneous Hydrocarbon. 예를 들어 알데히드, 케톤류 등)로 분류된다. 이들 대부분은 그 자체로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도심 스모그의 원인 물질로서 대기오염, 수질오염, 악취, 환경호르몬 등의 여러가지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최근 들어 배출규제가 더욱 엄격해지고 있다.
도장공장 등에서 페인트 분사시 배출되는 VOC를 처리하는 시스템에서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흡착제의 VOC 흡수 한계 용량이 초과되면 성능이 급격히 저하한다. 이런 현상이 발생되면 고온의 가스를 흡착제에 공급하여 흡착된 물질을 탈착하여 흡착제를 재생한다. 이후, 가스에 포함된 탈착된 VOC는 산화과정을 통하여 제거한 후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이와 같이, VOC의 탈착을 위해서 다수개(즉, 히터, 산화기, 열교환기 등)의 부대설비가 필요하며, VOC의 탈착이 진행되는 동안 VOC의 흡착 공정을 진행할 수 없어 VOC의 탈착이 진행되는 동안 도장공장의 가동을 중단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VOC를 처리하는 시스템에서 온도가 낮을수록 VOC의 흡착 효율이 높으며, 반대로 온도가 높을수록 VOC의 탈착 효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VOC를 처리하는 시스템에서 흡착은 상온에서 진행되고 탈착은 고온(대략 180℃)에서 진행된다.
그런데, 탈착과장에서 고온으로 유지된 설비는 대략 40℃ 이하로 냉각되기 전까지 흡착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탈착 후 흡착으로 곧바로 전환하면 높은 온도에 의해 많은 양의 VOC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문제가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17535호
도장공장의 가동 중단 없이 도장공장을 운전할 수 있는 동시에 VOC 처리기를 빠른 시간내에 냉각할 수 있는 VOC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C 처리 장치는 도장공장으로부터 VOC를 함유한 기체가 유입되어 VOC를 흡착하는 적어도 두 개의 VOC 처리기와, 상기 VOC 처리기의 후단에 배치되어 VOC가 제거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송풍팬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VOC 처리기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VOC 처리기로부터의 VOC를 탈착시키기 위한 VOC 탈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VOC 탈착유닛은 상기 VOC 처리기로부터의 VOC 탈착이 완료된 후 흡착제의 냉각을 위한 냉각용 공기가 유동되는 바이패스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VOC 탈착유닛은 고온의 기체를 상기 VOC 처리기에 제공하기 위해 기체를 가열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VOC 처리기로부터 분리된 VOC가 함유된 기체를 탈착시키기 위한 촉매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를 통과한 VOC가 함유된 기체와의 산화반응을 통해 VOC를 제거하는 산화반응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며 열교환기로부터 가열된 기체를 상기 VOC 처리기로 이송시키기 위한 VOC 탈착용 팬 및 상기 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냉각용 공기가 상기 VOC 처리기로 유동되도록 하는 상기 바이패스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VOC 처리기는 도장공장으로부터 연장되는 VOC 유입관에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기는 고온가스 공급관을 통해 상기 VOC 유입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에는 외부 공기 유입관에 연결되며, 상기 바이패스관은 일단이 상기 외부 공기 유입관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고온가스 공급관에 연결되며, 상기 외부 공기 유입관에는 제1 차단밸브과 설치되며, 상기 바이패스관에는 제2 차단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온가스 공급관에는 적어도 두 개의 VOC 처리기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고온의 기체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탈착 가스용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VOC 처리기에는 VOC가 제거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메인 배출관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배출관에는 VOC가 제거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메인 배출관을 개폐하는 메인 배관용 개폐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배출관에 상기 히터로 탈착된 VOC가 함유된 기체가 유동되는 VOC 산화용 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VOC 산화용 배관에는 적어도 두 개의 VOC 처리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적으로 탈착된 VOC가 함유된 기체가 상기 히터로 제공되도록 하는 산화용 밸브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VOC 처리기의 냉각 시간을 단축하여 VOC 저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장공장의 가동 중단 없이 도장공장을 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비에 대한 설치공간 및 설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VOC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VOC 처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VOC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VOC 처리 장치(100)는 일예로서, VOC 처리기(120), 송풍팬(130) 및 VOC 탈착유닛(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VOC 처리기(120)는 도장공장(미도시)으로부터 VOC를 함유한 기체가 유입되어 VOC를 흡착하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VOC 처리기(120)에는 도장공장(미도시)으로부터 연장되는 VOC 유입관(10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VOC 처리기(120)에는 VOC가 제거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메인 배출관(104)에 연결될 수 있다. 즉, VOC 유입관(120)을 통해 유입된 VOC가 함유된 기체는 VOC 처리기(120)를 통과하면서 VOC가 제거된 후 메인 배출관(104)을 통해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예로서, VOC 처리기(120)에는 탈착 영역, 퍼지 영역 및 흡착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흡착 영역은 퍼지 영역의 냉각 작용으로 냉각되는 영역으로, 저농도의 VOC를 흡착하고 VOC를 농축한다. 그리고, 탈착 영역은 VOC를 탈착하는 영역으로, 탈착된 VOC는 VOC 탈착유닛(140)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VOC 처리기(120)는 예를 들어, 실리카 겔(Silica Gel), 제오라이트(Zeolite) 및 활성탄 등의 흡착제를 분산 구비하고, 탈착 영역, 퍼지 영역 및 흡착 영역에 따라 함량 차이를 갖고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서, VOC 처리기(120)는 제1 VOC 처리기(122)와, 제1 VOC 처리기(122)와 이격 배치되는 제2 VOC 처리기(124)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VOC 처리기(122)에는 제1 VOC 유입관(102a)와, 제1 메인 배출관(104a)이 연결되며, 제2 VOC 처리기(124)에는 제2 VOC 유입관(102b)와, 제2 메인 배출관(104b)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VOC 유입관(102)에는 도장공장으로부터 VOC가 함유된 공기의 유입을 조절하기 위한 유입용 개폐밸브(103)가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서, 유입용 개폐밸브(103)는 제1 제1 VOC 유입관(102a)에 설치되는 제1 유입용 개폐밸브(103a)와, 제2 VOC 유입관(102b)에 설치되는 제1 유입용 개폐밸브(103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배출관(104)에는 VOC 처리기(120)를 거쳐 VOC가 제거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메인 배출관(104)을 개폐하는 메인 배관용 개폐밸브(105)가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서, 메인 배관용 개폐밸브(105)는 제1 메인 배출관(104a)에 설치되는 제1 메인 배관용 개폐밸브(105a)와, 제2 메인 배출관(104b)에 설치되는 제2 메인 배관용 개폐밸브(105b)를 구비할 수 있다.
송풍팬(130)은 VOC 처리기(120)의 전단 또는 후단에 배치되어 VOC가 제거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한다. 일예로서, 송풍팬(130)은 VOC 유입관(102) 또는 메인 배출관(104)에 설치되어 VOC를 함유한 기체가 VOC 처리기(120)로 유입되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로 VOC가 제거된 기체가 유동되도록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송풍팬(130)은 제1 VOC 유입관(102a) 또는 제1 메인 배출관(104a)에 연결되는 제1 송풍팬(132)과, 제2 VOC 유입관(102b) 또는 제2 메인 배출관(104b)에 연결되는 제2 송풍팬(134)을 구비할 수 있다.
VOC 탈착유닛(140)은 적어도 두개의 VOC 처리기(120)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VOC 처리기(120)로부터 VOC를 탈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VOC 탈착유닛(140)은 일예로서, 열교환기(142), 히터(144), 산화반응기(146), VOC 탈착용 팬(148) 및 바이패스관(150)을 구비할 수 있다.
열교환기(142)는 고온의 기체를 VOC 처리기(120)에 제공하기 위해 기체를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열교환기(142)는 고온가스 공급관(106)을 통해 VOC 유입관(102)에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서, 고온가스 공급관(106)의 일단에는 제1 VOC 유입관(102a)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106a)와, 제2 VOC 유입관(102b)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106b)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고온가스 공급관(106)에는 적어도 두 개의 VOC 처리기(120)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고온의 기체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탈착 가스용 밸브부재(107)가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서, 탈착 가스용 밸브부재(107)는 제1 연결부(106a)에 설치되는 제1 탈착 가스용 밸브부재(107a)와, 제2 연결부(106b)에 설치되는 제2 탈착 가스용 밸브부재(107b)를 구비할 수 있다.
히터(144)는 VOC 처리기(120)로부터 분리된 VOC가 함유된 기체를 탈착시키기 위한 산화반응기(146) 내의 촉매를 가열한다. 한편, 일에로서 히터(144)는 VOC 산화용 배관(108)을 통해 VOC 처리기(1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VOC 산화용 배관(108)에는 적어도 두 개의 VOC 처리기(1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적으로 탈착된 VOC가 함유된 기체가 히터(144)로 제공되도록 하는 산화용 밸브부재(109)를 구비할 수 있다. 산화용 밸브부재(109)는 제1 VOC 처리기(122)로부터 배출되는 탈착된 VOC가 함유된 기체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산화용 밸브부재(109a)와, 제2 VOC 처리기(124)로부터 배출되는 탈착된 VOC가 함유된 기체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2 산화용 밸브부재(109b)를 구비할 수 있다.
산화반응기(146)는 히터(144)를 통과한 VOC가 함유된 기체와의 산화반응을 통해 VOC를 제거한다. 일예로서, 산화반응기(146)에는 Pt, Pd, Cu, Co, Cr, Mn, Fe, Ag, Ni의 금속들 중 어느 하나 또는 합금, 그리고 고분자 물질 등으로 이루어진 촉매를 내부에 포함하고, VOC의 분해를 수행한다. 이때, 촉매는 자기 자신은 직접 반응에 참여하지 않고 VOC의 활성화 에너지를 낮춰 반응을 촉진시켜, VOC의 연소산화온도 600 ∼ 800℃보다 훨씬 낮은 150 ∼350℃에서 연소산화를 발생시키는 물질이다. 즉, 산화반응기(146)는 촉매연소방식으로 VOC를 연소분해하여 제거한다.
다만, 산화반응기(146)의 VOC의 제거방식은 상기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VOC 탈착용 팬(148)은 열교환기(142)에 연결되며 열교환기로부터 가열된 기체를 상기 VOC 처리기(12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VOC 탈착용 팬(148) 열교환기(142)에 연결되는 외부 공기 유입관(110)에 설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관(150)은 VOC 처리기(120)로부터의 VOC 탈착이 완료된 후 VOC 처리기(120)의 냉각을 위한 냉각용 공기가 유동되도록 구비된다. 즉, 바이패스관(150)은 열교환기(142)를 거치지 않고 냉각용 공기가 VOC 처리기(120)로 유동되도록 한다. 한편, 바이패스관(150)은 일단이 외부 공기 유입관(110)에 연결되며, 타단이 고온 가스 공급관(106)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공기 유입관(110)에는 제1 차단밸브(111)가 설치되며, 바이패스관(150)에는 제2 차단밸브(112)가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서, VOC 처리기(120)로부터 VOC의 탈착 공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차단밸브(111)는 개방되고 제2 차단밸브(112)가 바이패스관(150)을 차단하여 외부 공기가 열교환기(142)를 통과한 후 고온 가스 공급관(106)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VOC 처리기(120)로부터 VOC의 탈착 공정이 완료된 후 제1 차단밸브(111)는 폐쇄되고 제2 차단밸브(112)가 개방되어 바이패스관(150)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고온 가스 공급관(106)에는 열교환기(142)를 통과하지 않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외부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낮은 온도의 외부 공기가 VOC 처리기(120)로 제공되어 VOC 처리기(120)의 냉각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VOC 처리기(120)의 냉각 시, 즉 VOC 처리기(120)로부터 VOC 탈착 공정이 완료된 후 VOC 처리기(120)의 냉각 시 바이패스관(150)을 통해 열교환기(142)를 통과하지 않고 외부 공기가 VOC 처리기(120)로 제공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VOC 처리기(120)의 냉각 시간을 단축하여 VOC 저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VOC 탈착유닛(140)이 제1,2 VOC 처리기(122,124)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제1,2 VOC 처리기(122,124) 중 어느 하나에서 VOC를 탈착시킬 수 있으므로, 도장공장의 가동 중단 없이 도장공장을 운전할 수 있다.
나아가, 하나의 VOC 탈착유닛(140)을 제1,2 VOC 처리기(122,124)에 연결되므로 설비에 대한 설치공간 및 설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VOC 처리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VOC 처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유입용 개폐밸브(103a)가 개방되고 제2 유입용 개폐밸브(103b)가 폐쇄되면 도장공장으로부터 제1 VOC 유입관(102a)을 통해 제1 VOC 처리기(122)로 VOC가 함유된 기체가 유입된다. 이때, 송풍팬(130) 중 제1 송풍팬(132)은 구동되며 제2 송풍팬(134)은 구동을 정지한다.
그리고, 유입된 VOC가 함유된 기체에 함유된 VOC는 제1 VOC 처리기(122)의 흡착 영역에서 흡착되고 VOC가 제거된 기체가 제1 메인 배출관(104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제1 VOC 처리기(122)를 통해 VOC가 함유된 기체로부터 VOC를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동안 VOC 탈착유닛(140)을 통해 제2 VOC 처리기(124)에 농축된 VOC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VOC 탈착용 팬(148)이 구동되어 기체가 열교환기(142)를 통과하면서 고온의 기체가 된다. 이때, 제1 차단밸브(111)가 개방되고 제2 차단밸브(112)는 폐쇄되어 외부 공기가 열교환기(142)를 통과한 후 고온 가스 공급관(106)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142)를 통과한 고온의 기체는 제2 VOC 처리기(124)로 제공된다. 이때, 고온의 기체는 고온가스 공급관(106) 및 제2 VOC 유입관(102b)를 통해 제2 VOC 처리기(124)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탈착 가스용 밸브부재(107a)는 제1 연결부(106a)를 폐쇄하고, 제2 탈착 가스용 밸브부재(107b)는 제2 연결부(106b)를 폐쇄한다.
그리고, 고온의 기체가 제2 VOC 처리기(124)로 제공되면 탈착 영역에서 VOC가 분리된다. 이후, 탈착된 VOC를 함유한 기체가 제2 메인 배출관(104b) 및 VOC 산화용 배관(108)을 통해 히터(144)로 제공된다. 이때, 제1 산화용 밸브부재(109a)는 폐쇄되고 제2 산화용 밸브부재(109b)가 개방된다.
이후, 탈착된 VOC를 함유한 기체가 히터(144), 산화반응기(146) 및 열교환기(142)를 통과하면서 VOC가 제거된 후 외부로 기체가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VOC 처리기(124)로부터 VOC의 탈착 공정이 완료되어 제2 VOC 처리기(124)의 냉각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외부 공기 유입관(110)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142)를 통과하지 않고 유동되도록 한다. 이때, 제1 차단밸브(111)는 폐쇄되고 제2 차단밸브(112)가 개방되어 바이패스관(150)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고온 가스 공급관(106)에는 열교환기(142)를 통과하지 않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낮은 온도(예를 들어, 상온)의 외부 공기가 VOC 처리기(120)로 제공되어 VOC 처리기(120)의 냉각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제1 유입용 개폐밸브(103a)가 폐쇄되고 제2 유입용 개폐밸브(103b)가 개방되면 도장공장으로부터 제2 VOC 유입관(102b)을 통해 제2 VOC 처리기(124)로 VOC가 함유된 기체가 유입된다. 이때, 송풍팬(130) 중 제1 송풍팬(132)은 구동 정지되며 제2 송풍팬(134)은 구동된다.
그리고, 유입된 VOC가 함유된 기체에 함유된 VOC는 제2 VOC 처리기(124)의 흡착 영역에서 흡착되고 VOC가 제거된 기체가 제2 메인 배출관(104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제2 VOC 처리기(124)를 통해 VOC가 함유된 기체로부터 VOC를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동안 VOC 탈착유닛(140)을 통해 제1 VOC 처리기(122)에 농축된 VOC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VOC 탈착용 팬(148)이 구동되어 기체가 열교환기(142)를 통과하면서 고온의 기체가 된다. 이때, 제1 차단밸브(111)가 개방되고 제2 차단밸브(112)는 폐쇄되어 외부 공기가 열교환기(142)를 통과한 후 고온 가스 공급관(106)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142)를 통과한 고온의 기체는 제1 VOC 처리기(122)로 제공된다. 이때, 고온의 기체는 고온가스 공급관(106) 및 제1 VOC 유입관(102a)를 통해 제1 VOC 처리기(122)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탈착 가스용 밸브부재(107a)는 제1 연결부(106a)를 개방하고, 제2 탈착 가스용 밸브부재(107b)는 제2 연결부(106b)를 개방한다.
그리고, 고온의 기체가 제1 VOC 처리기(122)로 제공되면 탈착 영역에서 VOC가 분리된다. 이후, 탈착된 VOC를 함유한 기체가 제1 메인 배출관(104a) 및 VOC 산화용 배관(108)을 통해 히터(144)로 제공된다. 이때, 제1 산화용 밸브부재(109a)은 개방되고 제2 산화용 밸브부재(109b)가 폐쇄된다.
이후, 탈착된 VOC를 함유한 기체가 히터(144), 산화반응기(146) 및 열교환기(142)를 통과하면서 VOC가 제거된 후 외부로 기체가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VOC 처리기(122)로부터 VOC의 탈착 공정이 완료되어 제1 VOC 처리기(122)의 냉각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외부 공기 유입관(110)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142)를 통과하지 않고 유동되도록 한다. 이때, 제1 차단밸브(111)는 폐쇄되고 제2 차단밸브(112)가 개방되어 바이패스관(150)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고온 가스 공급관(106)에는 열교환기(142)를 통과하지 않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낮은 온도(예를 들어, 상온)의 외부 공기가 VOC 처리기(120)로 제공되어 VOC 처리기(120)의 냉각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VOC 처리기(120)의 냉각 시, 즉 VOC 처리기(120)로부터 VOC 탈착 공정이 완료된 후 VOC 처리기(120)의 냉각 시 바이패스관(150)을 통해 열교환기(142)를 통과하지 않고 외부 공기가 VOC 처리기(120)로 제공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VOC 처리기(120)의 냉각 시간을 단축하여 VOC 저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VOC 탈착유닛(140)이 제1,2 VOC 처리기(122,124)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제1,2 VOC 처리기(122,124) 중 어느 하나에서 VOC를 탈착시킬 수 있으므로, 도장공장의 가동 중단 없이 도장공장을 운전할 수 있다.
나아가, 하나의 VOC 탈착유닛(140)을 제1,2 VOC 처리기(122,124)에 연결되므로 설비에 대한 설치공간 및 설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VOC 처리 장치
120 : VOC 처리기
130 : 송풍팬
140 : VOC 탈착 유닛

Claims (9)

  1. 도장공장으로부터 VOC를 함유한 기체가 유입되어 VOC를 흡착하는 적어도 두 개의 VOC 처리기;
    상기 VOC 처리기의 전단 또는 후단에 배치되어 VOC가 제거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송풍팬;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VOC 처리기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VOC 처리기로부터의 VOC를 탈착시키기 위한 VOC 탈착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VOC 탈착유닛은 상기 VOC 처리기로부터의 VOC 탈착이 완료된 후 상기 VOC 처리기의 냉각을 위한 냉각용 공기가 유동되는 바이패스관을 구비하며,
    상기 VOC 탈착유닛은
    고온의 기체를 상기 VOC 처리기에 제공하기 위해 기체를 가열하는 열교환기;
    상기 VOC 처리기로부터 분리된 VOC가 함유된 기체를 탈착시키기 위한 촉매제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를 통과한 VOC가 함유된 기체와의 산화반응을 통해 VOC를 제거하는 산화반응기;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며 열교환기로부터 가열된 기체를 상기 VOC 처리기로 이송시키기 위한 VOC 탈착용 팬; 및
    상기 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냉각용 공기가 상기 VOC 처리기로 유동되도록 하는 상기 바이패스관;
    을 구비하는 VOC 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VOC 처리기는 도장공장으로부터 연장되는 VOC 유입관에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기는 고온가스 공급관을 통해 상기 VOC 유입관에 연결되는 VOC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에는 외부 공기 유입관에 연결되며, 상기 바이패스관은 일단이 상기 외부 공기 유입관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고온가스 공급관에 연결되며,
    상기 외부 공기 유입관에는 제1 차단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바이패스관에는 제2 차단밸브가 설치되는 VOC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가스 공급관에는 적어도 두 개의 VOC 처리기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고온의 기체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탈착 가스용 밸브부재가 설치되는 VOC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VOC 처리기에는 VOC가 제거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메인 배출관이 연결되는 VOC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배출관에는 VOC가 제거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메인 배출관을 개폐하는 메인 배관용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VOC 처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배출관에 상기 히터로 탈착된 VOC가 함유된 기체가 유동되는 VOC 산화용 배관이 연결되는 VOC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VOC 산화용 배관에는 적어도 두 개의 VOC 처리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적으로 탈착된 VOC가 함유된 기체가 상기 히터로 제공되도록 하는 산화용 밸브부재가 설치되는 VOC 처리 장치.
KR1020180031627A 2018-03-19 2018-03-19 Voc 처리 장치 KR102518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627A KR102518395B1 (ko) 2018-03-19 2018-03-19 Voc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627A KR102518395B1 (ko) 2018-03-19 2018-03-19 Voc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922A KR20190109922A (ko) 2019-09-27
KR102518395B1 true KR102518395B1 (ko) 2023-04-05

Family

ID=68097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627A KR102518395B1 (ko) 2018-03-19 2018-03-19 Voc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3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866B1 (ko) * 2021-02-03 2021-06-02 홍은표 제오라이트 로터를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정화처리설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253B1 (ko) 2004-11-03 2006-03-15 희성엥겔하드주식회사 휘발성유기화합물 촉매산화분해처리 시스템
KR101483631B1 (ko) * 2014-09-03 2015-01-16 주식회사 신성엔지니어링 Voc저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96242B1 (ko) 2016-08-10 2017-12-0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배기가스 청정설비 제어방법 및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649B1 (ko) * 2006-09-14 2008-03-27 주식회사 카엘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장치
KR20110074335A (ko) * 2009-12-24 2011-06-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농도 제어식 활성탄 흡탈착 장치
KR101717535B1 (ko) 2016-08-29 2017-03-17 김흥석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253B1 (ko) 2004-11-03 2006-03-15 희성엥겔하드주식회사 휘발성유기화합물 촉매산화분해처리 시스템
KR101483631B1 (ko) * 2014-09-03 2015-01-16 주식회사 신성엔지니어링 Voc저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96242B1 (ko) 2016-08-10 2017-12-0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배기가스 청정설비 제어방법 및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922A (ko)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824192U (zh) 一种VOCs废气高效吸附脱附催化燃烧处理系统
JP4234496B2 (ja) 活性炭を再生する方法と装置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空気浄化システム
KR101717535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WO2006019131A1 (ja) ガスタービンを用いた揮発性有機化合物処理方法及び揮発性有機化合物処理システム
KR101887478B1 (ko) Voc 제거 시스템
KR20090082949A (ko) 무빙베드식 휘발성유기물질 연속농축시스템 및연속농축방법
KR20050107323A (ko) 흡착농축 및 역기류식, 열풍식 탈착 촉매 산화장치
KR102518395B1 (ko) Voc 처리 장치
CN212881731U (zh) 耦合分子筛吸附与催化燃烧的一体化有机废气处理系统
KR20180056357A (ko) 촉매를 이용한 유해물질 처리구조를 갖는 유해물질제거장치
JPH1190177A (ja) バッファを備えた有害ガスの浄化装置及び浄化方法
KR20190109923A (ko) Voc 처리 장치
CN112237824B (zh) 一种内置加热一体化连续吸附脱附有机废气的装置
CN214914693U (zh) 一种内置加热一体化连续吸附脱附有机废气的装置
KR100561253B1 (ko) 휘발성유기화합물 촉매산화분해처리 시스템
JP5262239B2 (ja) 揮発性有機化合物処理システム
TWM619713U (zh) 高效能廢氣淨化系統
KR20220049549A (ko) 휘발성 유기 화합물 저감 장치
JP7241217B1 (ja) Voc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3117339A (ja) 吸着剤再生装置
KR102571184B1 (ko) 대기 오염물질 저감 장치
JPH0975666A (ja) 排オゾン分解装置
KR100410893B1 (ko) 연속적 흡착 및 재생 장치
CN212081260U (zh) 一种VOCs废气催化燃烧处理系统
JP2001310110A (ja) ガス濃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