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319B1 - 전류 제한 기능이 있는 다중 스위치 디바이스 및 그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류 제한 기능이 있는 다중 스위치 디바이스 및 그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319B1
KR102518319B1 KR1020190170384A KR20190170384A KR102518319B1 KR 102518319 B1 KR102518319 B1 KR 102518319B1 KR 1020190170384 A KR1020190170384 A KR 1020190170384A KR 20190170384 A KR20190170384 A KR 20190170384A KR 102518319 B1 KR102518319 B1 KR 102518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element
switch
circuit
shutdow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8692A (ko
Inventor
이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리콘프리시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리콘프리시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리콘프리시젼
Priority to KR1020190170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3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 H02H5/041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additionally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3/087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for dc applications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스위치 디바이스는, 제 1 스위치 회로 및 제 2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는, 제 1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는,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제 1 일정 레벨 이상이고 제 1 셔멀 셧다운 회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제 1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의 오프 절환 여부를 판단한다.

Description

전류 제한 기능이 있는 다중 스위치 디바이스 및 그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MULTI SWITCH DEVICE HAVING CURRENT LIMIT FUNCTION AND WORKING METHOD OF THE DEVICE}
본 발명은 전류 제한 기능이 있는 다중 스위치 디바이스 및 그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한 스위치 디바이스에서 과전류가 해당 스위치에 흐를 경우, 각각의 스위치의 동작 방법은 크게 래치 오프(Latch Off) 형태와 지속(Continuous)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아울러, 스위치 디바이스에서 과전류 제한 기능의 역할은, 해당 스위치에 과전류가 흘러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은 종래의 래치 오프 동작을 하는 스위치 디바이스의 동작 설명도를 나타낸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래치 오프 동작을 하는 스위치 디바이스는, 해당 스위치에 대해 설정된 전류값 이상이 흐르면 해당 스위치를 오프로 절환하여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는 종래의 지속 동작을 하는 스위치 디바이스의 동작 설명도를 나타낸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지속 동작을 하는 스위치 디바이스는, 해당 스위치에 대해 설정된 전류값 이상이 흐르면 해당 스위치의 저항을 높여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종래의 셔멀 셧다운(Thermal Shutdown) 기능을 구비한 지속 동작을 하는 1 채널 스위치 디바이스(100)의 동작 설명도 및 구성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해 제 1 스위치(111)의 저항이 커질 때 발열이 생긴다. 이 발열로 인해 칩 형태로 스위치 디바이스(100)가 구현되었다고 할 때, 해당 칩이 멜트다운(Meltdown) 되지 않기 위해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셔멀 셧다운 기능이 동작되어, 해당 제 1 스위치(111)를 오프(Off)로 절환한다.
도 5는 종래의 셔멀 셧다운 기능을 구비한 지속 동작을 하는 다중 채널 스위치 디바이스(20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해 제 1 스위치(211)의 저항이 커질 때 발열이 제 2 스위치(221)로 전도된다. 즉, 제 1 스위치(211)의 발열로 인해, 제 2 스위치(221)의 셔멀 셧다운이 동작된다. 이로 인해, 원래라면 제 2 스위치(221)는 온 상태여야 하는 데, 오프가 되어 오동작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는 발명으로서, 다수의 스위치 회로 중 하나의 스위치 회로에서 과전류에 의한 발열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스위치 회로의 스위치에서의 오동작에 의한 셧다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류 제한 기능이 있는 다중 스위치 디바이스 및 그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스위치 디바이스는, 제 1 스위치 회로 및 제 2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는, 제 1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는,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의 주변 온도가 제 1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의 오프 절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는,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할 수 있는 제 1 전류 제한 회로;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의 주변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의 주변 온도가 제 1 온도 이상인 경우 제 1 셧다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는 제 1 셔멀 셧다운 회로; 상기 제 1 셧다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를 오프하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제어기; 상기 제 1 전류 제한 회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제 1 일정 레벨 이상인 시간을 측정하여, 측정된 시간이 제 1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활성화되는 제 1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타이밍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제어기는, 상기 제 1 타이밍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셧다운 활성화 신호를 생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셧다운 활성화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 1 셔멀 셧다운 회로의 동작이 활성화된다.
또한,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는, 제 2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는,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의 주변 온도가 제 2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의 오프 절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는,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할 수 있는 제 2 전류 제한 회로;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의 주변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의 주변 온도가 제 2 온도 이상인 경우 제 2 셧다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는 제 2 셔멀 셧다운 회로; 상기 제 2 셧다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를 오프하기 위한 제 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제어기; 및 상기 제 2 전류 제한 회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제 2 일정 레벨 이상인 시간을 측정하여, 측정된 시간이 제 2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활성화되는 제 2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타이밍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제어기는, 상기 제 2 타이밍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셧다운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2 셧다운 활성화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 2 셔멀 셧다운 회로의 동작이 활성화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전류 제한 기능이 있는 다중 스위치 디바이스 및 그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스위치 회로 중 하나의 스위치 회로에서 과전류에 의한 발열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스위치 회로의 스위치에서의 오동작에 의한 셧다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래치 오프 동작을 하는 스위치 디바이스의 동작 설명도.
도 2는 종래의 지속 동작을 하는 스위치 디바이스의 동작 설명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종래의 셔멀 셧다운 기능을 구비한 지속 동작을 하는 1 채널 스위치 디바이스의 동작 설명도 및 구성도.
도 5는 종래의 셔멀 셧다운 기능을 구비한 지속 동작을 하는 다중 채널 스위치 디바이스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류 제한 기능이 있는 다중 스위치 디바이스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 제한 기능이 있는 다중 스위치 디바이스 및 그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의 다중 스위치 디바이스(300)는, 하나의 반도체 칩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 구성은 반도체 칩 내부 소자로서 구성되고, 적어도 일부 구성은 반도체 칩 외부 소자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류 제한 기능이 있는 다중 스위치 디바이스(30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류 제한 기능이 있는 다중 스위치 디바이스(300)는, 각각 하나의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다수의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도 6에서는 제 1 스위치 회로(310) 및 제 2 스위치 회로(320)만을 도시하였다.
제 1 스위치 회로(310)는, 제 1 스위치 소자(311)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제 1 스위치 소자(311)의 주변 온도가 제 1 온도 이상인 경우, 제 1 스위치 소자(311)의 오프 절환 여부를 판단한다. 아울러, 제 2 스위치 회로(320)는, 제 2 스위치 소자(321)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제 2 스위치 소자(321)의 주변 온도가 제 2 온도 이상인 경우, 제 2 스위치 소자(321)의 오프 절환 여부를 판단한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스위치 회로(310)는, 제 1 스위치 소자(311), 제 1 전류 제한 회로(312), 제 1 셔멀 셧다운 회로(313), 제 1 제어기(314), 제 1 타이밍 회로(315) 및 제 1 버퍼(3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스위치 소자(311)는,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제 1 전류 제한 회로(312)는, 제 1 스위치 소자(311)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제 1 스위치 소자(311)에 흐르는 전류를 제 1 일정 레벨 이하로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전류 제한 회로(312)에 의해 측정된 제 1 스위치 소자(311)에 흐르는 전류가 제 1 일정 레벨을 초과하게 되면, 제 1 전류 제한 회로(312)는 제 1 버퍼(316)를 통해 제 1 스위치 소자(311)의 게이트와 같은 제어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스위치 소자(311)를 온 상태로부터 점진적으로 저항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제어하게 된다.
제 1 셔멀 셧다운 회로(313)는, 제 1 스위치 소자(311)의 주변 온도를 측정하여, 제 1 스위치 소자(311)의 주변 온도가 제 1 온도 이상인 경우 제 1 스위치 소자(311)를 오프하기 위한 제 1 셧다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제어기(314)는, 제 1 셔멀 셧다운 회로(313)로부터 생성된 제 1 셧다운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스위치 소자(311)를 오프하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제어 신호도 제 1 버퍼(316)를 통해 제 1 스위치 소자(311)의 게이트와 같은 제어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스위치 소자(311)를 오프 상태로 절환하게 된다. 제 1 제어기(314)는 스테이트 머신과 같은 논리 회로 또는 MCU 등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제어기(314)는, 제 1 타이밍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셧다운 활성화 신호를 생성한다. 즉, 제 1 제어기(314)는, 제 1 타이밍 회로(315)로부터 제 1 타이밍 신호가 입력되면 제 1 셧다운 활성화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 1 셧다운 활성화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 1 셔멀 셧다운 회로(313)의 동작이 활성화된다. 즉, 제 1 셔멀 셧다운 회로(313)는, 제 1 셧다운 활성화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스위치 소자(311)를 오프하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를 생성에 이용되는 제 1 셧다운 신호의 생성을 활성화한다.
제 1 셧다운 활성화 신호가 활성화되어야만, 제 1 셔멀 셧다운 회로(313)에 의해 제 1 셧다운 신호가 생성되거나 출력될 수 있어, 제 1 스위치 소자(311)를 오프 상태로 절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셔멀 셧다운 회로(313)는 활성화된 제 1 셧다운 활성화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만, 제 1 스위치 소자(311)의 주변 온도가 제 1 온도 이상인 경우 제 1 셧다운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제 1 타이밍 회로(315)는, 제 1 전류 제한 회로(312)에 의해 측정된 제 1 스위치 소자(311)에 흐르는 전류가 제 1 일정 레벨 이상인 시간을 측정하여, 측정된 시간이 제 1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활성화되는 제 1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제 1 제어기(314)는, 제 1 타이밍 신호를 입력받아 제 1 셧다운 활성화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 1 일정 시간 이상 과전류가 제 1 스위치 소자(311)에 흐른 경우 이후에만, 제 1 셔멀 셧다운 회로(313)가 제 1 스위치 소자(311)를 셧다운하게 된다. 제 1 타이밍 신호에 의해, 아주 짧은 시간 과전류가 제 1 스위치 소자(311)에 흐른 경우에는 제 1 스위치 소자(311)가 셧다운 되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 스위치 소자(321)를 포함한 다른 스위치 소자의 발열에 따라 제 1 셔멀 셧다운 회로(313)가 오동작하여 제 1 스위치 소자(311)를 셧다운 시키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2 스위치 소자(321)를 포함한 다른 스위치 소자가 발열하더라도, 제 1 일정 시간 이상 과전류가 제 1 스위치 소자(311)에 흐르지 않았으므로, 제 1 스위치 소자(311)는 셧다운되지 않는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스위치 회로(320)도 제 1 스위치 회로(31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제 2 스위치 회로(320)는, 제 2 스위치 소자(321), 제 2 전류 제한 회로(322), 제 2 셔멀 셧다운 회로(323), 제 2 제어기(324), 제 2 타이밍 회로(325) 및 제 2 버퍼(3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2 스위치 소자(321), 제 2 전류 제한 회로(322), 제 2 셔멀 셧다운 회로(323), 제 2 제어기(324), 제 2 타이밍 회로(325) 및 제 2 버퍼(326)는 각각, 제 1 스위치 소자(311), 제 1 전류 제한 회로(312), 제 1 셔멀 셧다운 회로(313), 제 1 제어기(314), 제 1 타이밍 회로(315) 및 제 1 버퍼(316)에 대응하며,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고 제 1 스위치 소자(311), 제 1 전류 제한 회로(312), 제 1 셔멀 셧다운 회로(313), 제 1 제어기(314), 제 1 타이밍 회로(315) 및 제 1 버퍼(316)의 동작 특징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제 2 스위치 소자(321)는,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제 2 전류 제한 회로(322)는, 제 2 스위치 소자(321)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제 2 스위치 소자(321)에 흐르는 전류를 제 2 일정 레벨 이하로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 2 전류 제한 회로(322)에 의해 측정된 제 2 스위치 소자(321)에 흐르는 전류가 제 2 일정 레벨을 초과하게 되면, 제 2 전류 제한 회로(322)는 제 2 버퍼(326)를 통해 제 2 스위치 소자(321)의 게이트와 같은 제어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스위치 소자(321)를 온 상태로부터 점진적으로 저항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제어하게 된다.
제 2 셔멀 셧다운 회로(323)는, 제 2 스위치 소자(321)의 주변 온도를 측정하여, 제 2 스위치 소자(321)의 주변 온도가 제 2 온도 이상인 경우 제 2 스위치 소자(321)를 오프하기 위한 제 2 셧다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제어기(324)는, 제 2 셔멀 셧다운 회로(323)로부터 생성된 제 2 셧다운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스위치 소자(321)를 오프하기 위한 제 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제어 신호도 제 2 버퍼(326)를 통해 제 2 스위치 소자(321)의 게이트와 같은 제어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스위치 소자(321)를 오프 상태로 절환하게 된다. 제 2 제어기(324)는 스테이트 머신과 같은 논리 회로 또는 MCU 등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제어기(324)는, 제 2 타이밍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셧다운 활성화 신호를 생성한다. 즉, 제 2 제어기(324)는, 제 2 타이밍 신호가 입력되면 제 2 셧다운 활성화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 2 셧다운 활성화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 2 셔멀 셧다운 회로(323)의 동작이 활성화된다. 즉, 제 2 셔멀 셧다운 회로(323)는, 제 2 셧다운 활성화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스위치 소자(321)를 오프하기 위한 제 2 제어 신호를 생성에 이용되는 제 2 셧다운 신호의 생성을 활성화한다.
제 2 셧다운 활성화 신호가 활성화되어야만, 제 2 셔멀 셧다운 회로(323)에 의해 제 2 셧다운 신호가 생성되거나 출력될 수 있어, 제 2 스위치 소자(321)를 오프 상태로 절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2 셔멀 셧다운 회로(323)는 활성화된 제 2 셧다운 활성화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만, 제 2 스위치 소자(321)의 주변 온도가 제 2 온도 이상인 경우 제 2 셧다운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제 2 타이밍 회로(325)는, 제 2 전류 제한 회로(322)에 의해 측정된 제 2 스위치 소자(321)에 흐르는 전류가 제 2 일정 레벨 이상인 시간을 측정하여, 측정된 시간이 제 2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활성화되는 제 2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제 2 제어기(324)는, 제 2 타이밍 신호를 입력받아 제 2 셧다운 활성화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 2 일정 시간 이상 과전류가 제 2 스위치 소자(321)에 흐른 경우 이후에만, 제 2 셔멀 셧다운 회로(323)가 제 2 스위치 소자(321)를 셧다운하게 된다. 제 2 타이밍 신호에 의해, 아주 짧은 시간 과전류가 제 2 스위치 소자(321)에 흐른 경우에는 제 2 스위치 소자(321)가 셧다운 되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1 스위치 소자(311)를 포함한 다른 스위치 소자의 발열에 따라 제 2 셔멀 셧다운 회로(323)가 오동작하여 제 2 스위치 소자(321)를 셧다운 시키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1 스위치 소자(311)를 포함한 다른 스위치 소자가 발열하더라도, 제 2 일정 시간 이상 과전류가 제 2 스위치 소자(321)에 흐르지 않았으므로, 제 2 스위치 소자(321)는 셧다운되지 않는다.
제 1 일정 레벨와 제 2 일정 레벨, 제 1 온도와 제 2 온도, 제 1 일정 시간 과 제 2 일정 시간은 각각, 설정에 따라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류 제한 기능이 있는 다중 스위치 디바이스(300)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중 스위치 디바이스(300)의 동작 방법은, 상술한 다중 스위치 디바이스(300)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다중 스위치 디바이스(300)의 모든 특징을 포함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류 제한 기능이 있는 다중 스위치 디바이스(300)의 동작 방법은, 제 1 스위치 소자(311)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제 1 스위치 소자(311)의 주변 온도가 제 1 온도 이상인 경우, 제 1 스위치 소자(311)의 오프 절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 및 제 2 스위치 소자(321)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제 2 스위치 소자(321)의 주변 온도가 제 2 온도 이상인 경우, 제 2 스위치 소자(321)의 오프 절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S10 단계는, 제 1 스위치 소자(311)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제 1 스위치 소자(311)에 흐르는 전류가 제 1 일정 레벨 이상인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S11); S11 단계에서 측정된 시간이 제 1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활성화되는 제 1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2); S12 단계에서 활성화된 제 1 타이밍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셧다운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3); S13 단계에서 생성된 제 1 셧다운 활성화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스위치 소자(311)를 오프하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를 생성에 이용되는 제 1 셧다운 신호의 생성을 활성화하는 단계(S14); 및 제 1 셧다운 신호의 생성이 활성화된 경우, 제 1 스위치 소자(311)의 주변 온도를 측정하여, 제 1 스위치 소자(311)의 주변 온도가 제 1 온도 이상인 경우 제 1 셧다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5);를 포함한다.
아울러, S20 단계는, 제 2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제 2 스위치 소자(321)에 흐르는 전류가 제 2 일정 레벨 이상인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S21); S21 단계에서 측정된 시간이 제 2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활성화되는 제 2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22); S22 단계에서 활성화된 제 2 타이밍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셧다운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23); S23 단계에서 생성된 제 2 셧다운 활성화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스위치 소자(321)를 오프하기 위한 제 2 제어 신호를 생성에 이용되는 제 2 셧다운 신호의 생성을 활성화하는 단계(S24); 및 제 2 셧다운 신호의 생성이 활성화된 경우, 제 2 스위치 소자(321)의 주변 온도를 측정하여, 제 2 스위치 소자(321)의 주변 온도가 제 2 온도 이상인 경우 제 2 셧다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25);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류 제한 기능이 있는 다중 스위치 디바이스(300) 및 그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스위치 회로 중 하나의 스위치 회로에서 과전류에 의한 발열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스위치 회로의 스위치에서의 오동작에 의한 셧다운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200, 300 : 스위치 디바이스
210, 310 : 제 1 스위치 회로 220, 320 : 제 2 스위치 회로
111, 211, 311 : 제 1 스위치 소자 112, 212, 312 : 제 1 전류 제한 회로
113, 213, 313 : 제 1 셔멀 셧다운 회로 114, 214, 314 : 제 1 제어기
315 : 제 1 타이밍 회로 116, 216, 316 : 제 1 버퍼
221, 321 : 제 2 스위치 소자 222, 322 : 제 2 전류 제한 회로
223, 323 : 제 2 셔멀 셧다운 회로 224, 324 : 제 2 제어기
325 : 제 2 타이밍 회로 226, 326 : 제 2 버퍼

Claims (12)

  1. 스위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 1 스위치 회로 및 제 2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는,
    제 1 스위치 소자;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할 수 있는 제 1 전류 제한 회로; 제 1 셧다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는 제 1 셔멀 셧다운 회로; 상기 제 1 셧다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를 오프하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제어기; 상기 제 1 전류 제한 회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제 1 일정 레벨 이상인 시간을 측정하여, 측정된 시간이 제 1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활성화되는 제 1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타이밍 회로; 및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와 출력이 연결된 제 1 버퍼;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제어기는, 상기 제 1 타이밍 신호가 입력되면 제 1 셧다운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셔멀 셧다운 회로는, 활성화된 상기 제 1 셧다운 활성화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의 주변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의 주변 온도가 제 1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셧다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제 1 제어기는, 상기 제 1 버퍼를 통해 상기 제 1 셧다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를 오프로 절환하고,
    상기 제 1 전류 제한 회로는, 상기 제 1 전류 제한 회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 1 일정 레벨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제 1 버퍼를 통해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를 온 상태로부터 점진적으로 저항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제어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고,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는,
    제 2 스위치 소자;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할 수 있는 제 2 전류 제한 회로; 제 2 셧다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는 제 2 셔멀 셧다운 회로; 상기 제 2 셧다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를 오프하기 위한 제 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제어기; 상기 제 2 전류 제한 회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제 2 일정 레벨 이상인 시간을 측정하여, 측정된 시간이 제 2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활성화되는 제 2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타이밍 회로; 및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와 출력이 연결된 제 2 버퍼;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제어기는, 상기 제 2 타이밍 신호가 입력되면 제 2 셧다운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셔멀 셧다운 회로는, 활성화된 상기 제 2 셧다운 활성화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의 주변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의 주변 온도가 제 2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 2 셧다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제 2 제어기는, 상기 제 2 버퍼를 통해 상기 제 2 셧다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를 오프로 절환하고,
    상기 제 2 전류 제한 회로는, 상기 제 2 전류 제한 회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 2 일정 레벨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제 2 버퍼를 통해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를 온 상태로부터 점진적으로 저항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제어하여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170384A 2019-12-19 2019-12-19 전류 제한 기능이 있는 다중 스위치 디바이스 및 그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KR102518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384A KR102518319B1 (ko) 2019-12-19 2019-12-19 전류 제한 기능이 있는 다중 스위치 디바이스 및 그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384A KR102518319B1 (ko) 2019-12-19 2019-12-19 전류 제한 기능이 있는 다중 스위치 디바이스 및 그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692A KR20210078692A (ko) 2021-06-29
KR102518319B1 true KR102518319B1 (ko) 2023-04-05

Family

ID=7662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384A KR102518319B1 (ko) 2019-12-19 2019-12-19 전류 제한 기능이 있는 다중 스위치 디바이스 및 그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31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062Y1 (ko) * 1992-02-22 1994-04-02 김용재 치솔걸이를 겸한 치약통
KR101490230B1 (ko) * 2013-05-20 2015-02-10 주식회사 루멘스 전류제어를 통해 스위치회로부를 보호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692A (ko)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096525A5 (ko)
JP4591571B2 (ja) 電源装置
JP2007174490A5 (ko)
JP2010529548A5 (ko)
WO2011065536A1 (ja) 保護継電器
JP2015019361A (ja) 入力ノードから出力ノードに結合される負荷に電力を供給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8045310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overcurrent protection
JP5541219B2 (ja) 半導体スイッチング素子駆動装置
JP2011061966A (ja)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2013236297A (ja) 半導体スイッチの制御装置
JP2007328683A (ja) 負荷駆動装置
US8466710B2 (en) Circuit for restraining shoot through current
KR102518319B1 (ko) 전류 제한 기능이 있는 다중 스위치 디바이스 및 그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TWI566492B (zh) 電源供應器之過電流保護晶片及其設定方法
JP5806972B2 (ja) 出力ドライバ回路
JP2009201347A (ja) 自動化装置の負論理出力の制御保護システム
JP2015053761A (ja) 制御装置
JPWO2008114342A1 (ja) 電源スイッチ回路及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TWI680303B (zh) 電流感測器
CN112783250B (zh) 控制流入电路模块之电流量的方法及相关的芯片
JP5171979B2 (ja) 電子制御装置
US10218279B2 (en) Methods and circuitry for operating switching power supplies based on switching frequency comparison
JP6426851B2 (ja) 電子機器
JP2017108244A (ja) 半導体素子の制御回路
TW201436436A (zh) 保護電路及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