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698B1 - 디버링 툴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버링 툴 조립체 - Google Patents
디버링 툴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버링 툴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7698B1 KR102517698B1 KR1020210105630A KR20210105630A KR102517698B1 KR 102517698 B1 KR102517698 B1 KR 102517698B1 KR 1020210105630 A KR1020210105630 A KR 1020210105630A KR 20210105630 A KR20210105630 A KR 20210105630A KR 102517698 B1 KR102517698 B1 KR 1025176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burring tool
- floating
- fixing
- tool holder
- float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12—Special arrangements on tool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10—Bits for countersinking
- B23B51/101—Deburring to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23C3/126—Portable devices or machines for chamfering e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processes
- B23B2220/08—Debur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20—Debur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Broaching, Filing, Reaming,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버링 툴을 고정하기 위한 디버링 툴 홀더는 일 단부에서 디버링 툴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부재, 고정 부재의 타 단부와 연결되는 플로팅 부재, 일 단부가 플로팅 부재의 외주에 고정되어 플로팅 부재를 고정 부재를 향하여 가압하고,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 부재, 복수의 탄성 부재가 관통하는 본체부 및 본체부에 결합되어 본체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탄성 부재의 타 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플로팅 부재는 본체부와 이격하여 배치되고, 본체부와 이격된 공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금속 재료를 절삭 가공 후에 발생하는 버(burr)를 제거하는 디버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버링 툴을 고정하면서 디버링 툴의 자연스러운 플로팅이 가능한 디버링 툴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버링 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금속 재료를 절삭 가공(선반, 밀링 등)시에는 원치는 않지만 그 가공의 특성 등에 따라 크고 작은 불규칙한 버(burr)가 필연적으로 발생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버는 일반적으로 생산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 중의 하나일 뿐만 아니라, 조립되는 완성품에 대한 성능 저하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절삭 가공 과정에서 발생된 버는 디버링 작업을 통해 깔끔하게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디버링 장치의 경우 플로팅 기구가 부가되어 압압력을 제공하나, 디버링 장치의 자연스러운 동작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디버링 작업 시에는 불필요한 버만 제거되어야 하나, 손상되면 안되는 가공물까지 절삭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공물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디버링 툴의 자연스러운 플로팅을 가능하게 하는 디버링 툴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버링 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버링 툴을 고정하기 위한 디버링 툴 홀더는 일 단부에서 디버링 툴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부재, 고정 부재의 타 단부와 연결되는 플로팅 부재, 일 단부가 플로팅 부재의 외주에 고정되어 플로팅 부재를 고정 부재를 향하여 가압하고,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 부재, 복수의 탄성 부재가 관통하는 본체부 및 본체부에 결합되어 본체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탄성 부재의 타 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플로팅 부재는 본체부와 이격하여 배치되고, 본체부와 이격된 공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디버링 툴 홀더는 고정 부재가 관통하는 관통 공간을 형성하고, 플로팅 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고, 조절 부재는 본체부의 외주에서 고정 부재가 배치된 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플로팅 부재는 고정 부재의 일부를 감싸며 고정 부재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테이퍼부를 포함하고, 조절 부재는 테이퍼부의 테이퍼 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오목면을 포함하고, 오목면에는 테이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테이퍼 면의 단면 형상은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조절 부재는 플로팅 부재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경사면은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할수록 플로팅 부재와 멀어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조절 부재는 본체부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고, 조절 부재의 이동에 따라 탄성 부재가 플로팅 부재에 가하는 가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조절 부재와 상기 연장부는 나사 결합을 형성하고, 조절 부재는 연장부와 형성된 나사 결합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에 따라 본체부와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도록 이동 가능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버링 툴 조립체는 전술한 디버링 툴 홀더 및 디버링 툴 홀더의 고정 부재에 결합되는 디버링 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버링 툴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버링 툴 조립체는 가공물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디버링 툴의 자연스러운 플로팅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디버링 툴 홀더는 디버링 툴의 전후 방향의 플로팅 및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플로팅이 모두 가능하므로 디버링 툴의 자연스러운 플로팅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디버링 툴 홀더는 가공물의 곡선 부분에 발생된 버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버링 툴 홀더는 가공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디버링 툴의 플로팅 세기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버링 툴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버링 툴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버링 툴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버링 툴 조립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버링 툴 조립체에서 플로팅 세기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버링 툴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버링 툴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버링 툴 조립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버링 툴 조립체에서 플로팅 세기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구비한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른 디버링 툴에 대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버링 툴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버링 툴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버링 툴 조립체(100)는 디버링 툴 홀더(1)와 디버링 툴 홀더(1)에 결합되는 디버링 툴(2)을 포함한다.
디버링 툴(2)은 가공물의 버를 제거하기 위한 공구이다. 디버링 툴(2)은 디버링 툴 홀더(1)의 고정 부재(10)에 결합될 수 있다.
디버링 툴 홀더(1)는 일 단부에서 디버링 툴(2)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부재(10)와 고정 부재(10)에 체결되어 디버링 툴(2)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10)에 디버링 툴(2)이 삽입된 후에 너트(12)가 고정 부재(10)에 체결됨으로써, 고정 부재(10)가 디버링 툴(2)의 외면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디버링 툴(2)이 고정 부재(1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디버링 툴(2)의 고정 방식은 상술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디버링 툴(2)이 고정 부재(10)에 고정될 수 있는 다른 구성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디버링 툴 홀더(1)는 공작 기계(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 전달 부재(81)는 공작 기계(예를 들어, 머시닝센터(MCT))에 연결될 수 있으며, 공작 기계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아 디버링 툴(2)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디버링 툴(2)의 회전 속도 및 위치의 제어는 디버링 툴 홀더(1)가 장착된 공작 기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디버링 툴 홀더(1)는 머신 장착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 장착부(80)는 도시되지 않은 공작 기계의 홀더에 장착되는 부재이다. 예를 들어, 머신 장착부(80)는 공작 기계의 스핀들(spindle)에 장착되어 공작 기계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디버링 툴 홀더(1)는 커버(7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70)는 디버링 툴(2)을 고정하기 위한 부재들(고정 부재(10), 플로팅 부재(20), 본체부(40), 조절 부재(60) 등)을 머신 장착부(80)와 결합시킨다. 따라서, 디버링 툴 홀더 조립체(100)는 공작 기계로부터 디버링 툴 홀더(1)의 머신 장착부(80)를 통해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일체로 회전하여 가공물의 버를 제거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디버링 툴(2)이 디버링 툴 홀더(1)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디버링 툴(2)이 아닌 다른 작업 공구가 툴 홀더(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공물의 드릴링, 보링, 밀링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툴이 본 개시의 툴 홀더(1)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버링 툴 조립체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버링 툴 조립체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버링 툴 조립체에서 플로팅 세기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디버링 툴 홀더(1)의 플로팅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디버링 툴 홀더(1)는 고정 부재(10), 플로팅 부재(20), 복수의 탄성 부재(30), 본체부(40), 고정 플레이트(50) 및 조절 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팅 부재(20)는 그 중심에서 고정 부재(10)와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0)의 일 단부에는 디버링 툴(2)이 결합되고, 고정 부재(10)의 타 단부가 플로팅 부재(20)와 연결된다.
플로팅 부재(20)는 본체부(40)와 이격하여 배치되며, 이에 따라 플로팅 부재(20)와 본체부(4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플로팅 부재(20)는 이러한 이격된 공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30)는 일 단부가 플로팅 부재(20)의 외주에 고정된다. 복수의 탄성 부재(30)는 플로팅 부재(20)에 고정 부재(10)가 연결된 면과 반대 방향의 면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복수의 탄성 부재(30)는 플로팅 부재(20)를 고정 부재(10)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탄성 부재(30)는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플로팅 부재(20)의 외주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의 단면도에서는 2개의 탄성 부재(30)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탄성 부재(30)의 개수는 3개, 4개, 6개, 8개 등일 수 있으며, 각각의 개수에 따른 복수의 탄성 부재(30)는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탄성 부재(30)는 8개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버링 툴(2)이 어떠한 방향으로의 외력을 받더라도 디버링 툴 홀더(1)는 자연스러운 플로팅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부(40)는 복수의 탄성 부재(30)의 타 단부측에 배치된다. 본체부(40)에는 복수의 탄성 부재(30)가 배치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관통홀(41)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30)는 복수의 관통홀(41)을 통해 본체부(40)를 관통하고 있다.
본체부(40)는 그 외주로부터 고정 부재(10)가 배치된 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42)를 포함한다. 연장부(42)는 원통 형상이며, 그 내부면에는 후술하는 조절 부재(60)의 나사면(64)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면(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42)의 외부면에는 커버(70)의 나사면(71)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면(44)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플레이트(50)는 본체부(40)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41)을 덮도록 본체부(4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50)는 본체부(40)를 관통하는 복수의 탄성 부재(30)의 타 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30)가 고정 플레이트(50)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복수의 탄성 부재(30)는 플로팅 부재(20)를 고정 부재(10)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조절 부재(60)는 플로팅 부재(20)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플로팅 부재(20)에서 복수의 탄성 부재(30)가 고정되는 면과 반대 방향의 면에서 조절 부재(60)가 플로팅 부재(20)와 접촉하고 있다. 플로팅 부재(20)와 연결된 고정 부재(10)는 조절 부재(60)의 중심을 관통하고 있다. 이를 위해, 조절 부재(60)에는 고정 부재(10)가 관통하는 관통 공간(63)이 형성된다.
관통 공간(63)은 후술하는 플로팅 부재(20)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고정 부재(1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고정 부재(10)와 충분히 이격된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 공간(63)은 고정 부재(10)가 연장하는 방향(도면을 기준으로 아래 방향)을 향할수록 그 폭이 증가할 수 있다.
조절 부재(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40)의 연장부(42)와 결합되므로, 조절 부재(60)는 본체부(40)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30)는 일 단부가 플로팅 부재(20)에 고정되며, 타 단부가 실질적으로 고정 플레이트(50)에 의해 본체부(40)에 고정된다. 또한, 플로팅 부재(20)는 본체부(40)와 조절 부재(60) 사이에 배치되며, 조절 부재(60)는 연장부(42)에 의해 본체부(40)에 고정된다. 따라서, 플로팅 부재(20)는 복수의 탄성 부재(30)가 가하는 탄성력에 의해 조절 부재(60)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만약 플로팅 부재(20)가 복수의 탄성 부재(30)가 가하는 탄성력보다 큰 외력을 받을 경우에, 플로팅 부재(20)는 본체부(40)와 이격된 공간 내에서 복수의 탄성 부재(30)가 가하는 탄성력과 평형을 이루도록 움직일 수 있다. 이후에 플로팅 부재(20)에 가해지는 외력이 사라지면, 플로팅 부재(20)는 복수의 탄성 부재(30)가 가하는 탄성력에 의해 조절 부재(60)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디버링 툴(2)이 버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순간적으로 충격을 받게 되더라도 디버링 툴 홀더(1)는 고정 부재(10)와 연결된 플로팅 부재(20)를 통해 디버링 툴(2)에 적당한 가공력이 작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디버링 툴 홀더(1)는 복수의 탄성 부재(30), 예를 들어 8개의 탄성 부재(30)가 플로팅 부재(20)의 외주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플로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플로팅 부재(20)의 복원력이 뛰어나다. 또한, 본 개시의 디버링 툴 홀더(1)는 단일의 탄성 부재에 의해 플로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해 내구성이 뛰어나다.
한편, 플로팅 부재(20)가 이격된 공간 내에서 과도하게 움직이는 경우에는 가공물에 가공력이 일정하게 작용하기 힘들 수 있다. 따라서, 플로팅 부재(20)와 본체부(40)의 대향면 사이의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mm일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간격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디버링 툴 홀더(1)의 크기 및 가공물의 가공 조건 등에 따라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로팅 부재(20)는 고정 부재(1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테이퍼부(21)를 포함한다. 테이퍼부(21)는 고정 부재(10)의 외측에서 고정 부재(10)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조절 부재(60)는 테이퍼부(21)의 테이퍼 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오목면(61)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조절 부재(60)의 오목면(61)은 플로팅 부재(20)의 테이퍼부(21)를 수용할 수 있다. 테이퍼부(21)가 오목면(61)에 수용됨에 따라, 플로팅 부재(20)가 이격된 공간 내에서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테이퍼부(21)는 플로팅 부재(20)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그 폭이 감소하도록 테이퍼 면이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부(21)의 테이퍼 면의 단면 형상은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이퍼부(21)가 오목면(61)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으며, 플로팅 부재(20)는 소정의 각도(α) 내에서 기울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플로팅 부재(20)가 기울어지는 각도(α)의 범위는 테이퍼부(21)의 테이퍼 면의 각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디버링 툴(2)은 고정 부재(10)를 통해 플로팅 부재(20)와 연결되기 때문에, 디버링 툴(2)은 플로팅 부재(20)를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기울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조절 부재(60)는 플로팅 부재(20)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경사면(62)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62)은 조절 부재(6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할수록 플로팅 부재(20)와 멀어지도록 경사진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62)은 소정의 각도(α)로 하향 경사진다. 이에 따라 플로팅 부재(20)가 기울어지는 것이 조절 부재(60)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디버링 툴 홀더(1)는 디버링 툴(2)의 길이 방향으로 플로팅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디버링 툴(2)이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플로팅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디버링 툴 홀더(1)는 디버링 툴(2)의 자연스러운 플로팅을 가능하게 한다.
즉, 본 개시의 디버링 툴 홀더(1)는 가공물의 곡선 부분을 따라 이동하여 버를 제거하는 경우에 있어서, 곡선 부분에서도 디버링 툴(2)의 자연스러운 플로팅이 가능하기 때문에, 곡선 부분에 존재하는 버를 제거하기 용이하다.한편, 플로팅 부재(20)의 테이퍼부(21)와 조절 부재(60)의 오목면(61)은 서로 접촉하여 미끄러지기 때문에 테이퍼부(21)와 오목면(61)이 접촉하는 계면에서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모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테이퍼부(21)와 오목면(61)은 각각 고강도 및 내마모성 처리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퍼부(21)와 오목면(61)은 각각 일반적인 베어링 면에서 이루어지는 처리와 같은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조절 부재(60)는 본체부(40)와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도록 이동 가능하다. 조절 부재(60)가 본체부(40)와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도록 이동함에 따라 탄성 부재(30)가 플로팅 부재(20)에 가하는 가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 부재(60)가 본체부(4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조절 부재(60)의 이동에 따라 플로팅 부재(20)도 본체부(4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플로팅 부재(20)의 이동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50)에 의해 본체부(40)에 대해 고정된 복수의 탄성 부재(30)는 압축되면서 플로팅 부재(20)에 가하는 가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조절 부재(60)가 본체부(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복수의 탄성 부재(30)가 플로팅 부재(20)에 가하는 가압력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디버링 툴 홀더(1)는 조절 부재(60)가 본체부(40)와 이격된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플로팅의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30)가 플로팅 부재(20)에 가하는 가압력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플로팅 부재(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외력의 크기는 커지게 되므로, 디버링 툴 홀더(1)에서는 플로팅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반대로, 탄성 부재(30)가 플로팅 부재(20)에 가하는 가압력을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플로팅 부재(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외력의 크기는 작아지게 되므로, 디버링 툴 홀더(1)에서는 플로팅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디버링 툴 홀더(1)는 조절 부재(60)가 본체부(40)와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는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플로팅의 민감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가공물의 버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탄성 부재(30)의 텐션을 강하게(즉, 조절 부재(60)가 본체부(40)와 이격된 거리를 감소시킴) 조절하고, 버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탄성 부재(30)의 텐션을 약하게(즉, 조절 부재(60)가 본체부(40)와 이격된 거리를 증가시킴) 조절 할 수 있다.
조절 부재(60)와 본체부(40)의 연장부(42)는 조절 부재(60)의 나사면(64)과 연장부(42)의 나사면(43)이 서로 나사 결합을 형성하고, 조절 부재(60)는 연장부(42)와 형성된 나사 결합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에 따라 본체부(40)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 부재(60)와 연장부(42) 사이의 나사 결합의 잠금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절 부재(60)와 본체부(40) 사이의 이격된 거리가 감소될 수 있다. 반대로, 조절 부재(60)와 연장부(42) 사이의 나사 결합의 잠금이 해제됨에 따라 조절 부재(60)와 본체부(40) 사이의 이격된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 부재(60)와 본체부(40) 사이의 이격된 거리에 따라 플로팅의 민감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디버링 툴 홀더(1)는 조절 부재(60)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플로팅의 민감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디버링 툴 홀더
2: 디버링 툴
10: 고정 부재
12: 너트
20: 플로팅 부재
21: 테이퍼부
30: 탄성 부재
40: 본체부
41: 연장부
50: 고정 플레이트
60: 조절 부재
61: 오목면
62: 경사면
63: 관통 공간
70: 커버
80: 머신 장착부
2: 디버링 툴
10: 고정 부재
12: 너트
20: 플로팅 부재
21: 테이퍼부
30: 탄성 부재
40: 본체부
41: 연장부
50: 고정 플레이트
60: 조절 부재
61: 오목면
62: 경사면
63: 관통 공간
70: 커버
80: 머신 장착부
Claims (8)
- 디버링 툴을 고정하기 위한 디버링 툴 홀더로서,
일 단부에서 상기 디버링 툴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타 단부와 연결되는 플로팅 부재;
일 단부가 상기 플로팅 부재의 외주에 고정되어 상기 플로팅 부재를 상기 고정 부재를 향하여 가압하고,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 부재;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가 관통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는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의 타 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 부재는 상기 본체부와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와 이격된 공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이고,
상기 고정 부재가 관통하는 관통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플로팅 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에서 상기 고정 부재가 배치된 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결합되며,
상기 플로팅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의 일부를 감싸며 상기 고정 부재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테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테이퍼부의 테이퍼 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오목면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면에는 상기 테이퍼부가 수용되는, 디버링 툴 홀더.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면의 단면 형상은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인, 디버링 툴 홀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플로팅 부재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은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할수록 상기 플로팅 부재와 멀어지도록 경사진, 디버링 툴 홀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본체부와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도록 이동 가능하고,
상기 조절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플로팅 부재에 가하는 가압력이 조절되는, 디버링 툴 홀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와 상기 연장부는 나사 결합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연장부와 형성된 상기 나사 결합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에 따라 상기 본체부와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이동 가능한, 디버링 툴 홀더.
- 제1항에 따른 디버링 툴 홀더; 및
상기 디버링 툴 홀더의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되는 디버링 툴을 포함하는, 디버링 툴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5630A KR102517698B1 (ko) | 2021-08-10 | 2021-08-10 | 디버링 툴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버링 툴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5630A KR102517698B1 (ko) | 2021-08-10 | 2021-08-10 | 디버링 툴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버링 툴 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23474A KR20230023474A (ko) | 2023-02-17 |
KR102517698B1 true KR102517698B1 (ko) | 2023-04-05 |
Family
ID=85327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5630A KR102517698B1 (ko) | 2021-08-10 | 2021-08-10 | 디버링 툴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버링 툴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7698B1 (ko)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0731B1 (ko) * | 2007-12-28 | 2012-12-10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3차원 반력장치 |
-
2021
- 2021-08-10 KR KR1020210105630A patent/KR102517698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23474A (ko) | 2023-0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98123B1 (ko) | 클램핑 장치 | |
US7396196B2 (en) | Cutting machining tool | |
KR102517698B1 (ko) | 디버링 툴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버링 툴 조립체 | |
KR200472903Y1 (ko) | 링 가공용 소프트조 | |
KR101638653B1 (ko) | 양방향 조정 기구를 가진 절삭 공구 | |
JP2014522736A (ja) | 機械部品の保持装置 | |
JP5050492B2 (ja) | 刃振れ調整機構および刃振れ調整機構を備えた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 |
CN210756615U (zh) | 一种汽车单向器定套外圆倒角加工设备 | |
JP2006263828A (ja) | 切削工具 | |
US4975002A (en) | Boring tool for coarse and fine machining | |
JP4153401B2 (ja) | 研磨機および研磨方法 | |
JP5150194B2 (ja) | 研磨工具および加工方法 | |
CN116829286A (zh) | 加工刀具 | |
KR101545313B1 (ko) | 다이아몬드 버니싱 공구 | |
JP4614921B2 (ja) | 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工具 | |
KR101092924B1 (ko) | 호닝툴 | |
JPH01103217A (ja) | 正面フライス | |
KR20110015927A (ko) | 밀링 커터 | |
JP5287120B2 (ja) | 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工具、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工具用の工具本体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のクランプ機構 | |
KR101912009B1 (ko) | 다이아몬드 버니싱공구 | |
KR200496341Y1 (ko) | 선반용 홈 가공 바이트 | |
JP2019177443A (ja) | 切削工具用カートリッジ、切削工具 | |
KR102623881B1 (ko) | 디버링 툴 | |
JP2009125842A (ja) | 切削工具 | |
JPH11254222A (ja) | 切削工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