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676B1 - 배수 암거의 지중 설치를 위한 추진 공법용 장치 - Google Patents

배수 암거의 지중 설치를 위한 추진 공법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676B1
KR102517676B1 KR1020220093901A KR20220093901A KR102517676B1 KR 102517676 B1 KR102517676 B1 KR 102517676B1 KR 1020220093901 A KR1020220093901 A KR 1020220093901A KR 20220093901 A KR20220093901 A KR 20220093901A KR 102517676 B1 KR102517676 B1 KR 102517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ulsion
composition
drainage culvert
drainag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인
Original Assignee
윤석인
주식회사 서우전문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인, 주식회사 서우전문건설 filed Critical 윤석인
Priority to KR1020220093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5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by forcing prefabricated elements through the ground, e.g. by pushing lining from an access pi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1Improving soil or rock, e.g. by freezing; Inj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21D9/0621Shield advanc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추진 가이드를 먼저 압입 설치한 후 그 추진 가이드를 따라 선도체를 진입시키는 방식의 추진 공법을 이용하여 배수 암거의 설치 공간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추진 공법용 장치에 관한 것이며,
배수 암거를 설치할 지중 사전 경로의 하부 측에 먼저 압입 설치되는 추진 가이드, 외부면에 후방 토출 구조의 토출구가 다수개 형성된 상태에서 선순위로 추진하여 전방으로 일정거리 돌출되는 내부체와 후순위로 추진하여 내부체를 따라가는 외부체를 포함하는 2중 구조로 구성되어, 추진 가이드를 따라 지중으로 진입하여 배수 암거를 설치할 공간을 형성하는 선도체, 토출구로 토출되는 그라우팅용의 혼합액을 공급하는 공급 장치 및, 선도체의 후방에 하나씩 순서대로 설치되며 유압잭에 의한 외력으로 외부체를 추진시키는 다수의 배수 암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 암거의 지중 설치를 위한 추진 공법용 장치{Device for propulsion method for underground installation of drainage culvert}
본 발명은 배수 암거를 지중에 설치하는 추진 공법에 이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추진 가이드를 먼저 압입 설치한 후 그 추진 가이드를 따라 선도체를 진입시키는 방식의 추진 공법을 이용하여 배수 암거의 설치 공간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추진 공법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관로나 배수 암거 등의 매설 공사에는 모든 매설 구간의 지면을 개착하고, 관로나 배수 암거 등을 매설한 후 다시 원상태로 복구하는 개착 공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한 개착 공법은 지상에 건물 등의 구조물이 존재하거나 강이 흐르고 있는 등의 상황에서는 실시가 어려운 공법이며, 실시가 가능한 상황에서도 공사로 인한 교통체증을 유발하게 되거나 복구를 위한 상당한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사실상 매우 제한적인 상황에서만 실시될 수 있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최근에는 지면을 비개착한 상태로 관로나 배수 암거 등을 매설하는 강관 압입식 추진 공법 등의 추진 공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과 관련하여 추진 공법 자체나 그 추진 공법에 이용되는 각종 장치들에 대한 개선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61936호의 “추진 가이드를 갖는 우수 암거용 선도체 유닛”을 통해서는, 우수(배수) 암거가 시공될 경로의 하부 측에 서로 나란하게 압입 설치되는 다수의 추진 가이드와 그 추진 가이드를 따라 안내되며 추진하는 선도체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정확한 위치로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선도체의 전단 형상을 이중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굴착을 위한 추진이 용이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 발명을 실제의 시공 현장에 적용하여 굴착할 때에는 선도체의 추진은 이전보다 용이할 수 있으나 그 선도체의 전단 형상에 의한 지반 지지력의 불균형이 발생하여 그에 따른 문제가 발생하게 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선도체는 몸체의 길이가 어느 부분이나 동일하여 전단면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그와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양측방으로의 토사 유입이 제한되나 상기한 선행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선도체는 전단의 형상이 이중으로 급격하게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추진시 양측방으로의 토사 유입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에 의해 지중에 설치되는 배수 암거 주변의 지반이 약해질 수 있으며, 선도체의 내부로 계속 유입되는 토사의 제거와 보강 작업 등으로 인한 전체 작업 시간의 상당한 지연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선행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선도체를 현장에서 계속 이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므로 상기한 문제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중에서의 추진을 용이하게 하되 그 과정에서 지반의 안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형태의 선도체에 대한 발명이 요구되고 있다 하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61936호(2022. 02. 08)
본 발명에 의한 배수 암거의 지중 설치를 위한 추진 공법용 장치는 상기한 선행 발명의 대안으로 제안된 발명으로써,
상기한 선행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선도체는 전단의 형상이 이중으로 급격하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추진시 양측방으로의 토사 유입이 발생하게 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주변의 지반이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토사의 제거와 보강 작업 등으로 작업 시간이 상당히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배수 암거를 설치할 지중 사전 경로의 하부 측에 먼저 압입 설치되는 추진 가이드; 외부면에 후방 토출 구조의 토출구가 다수개 형성된 상태에서 선순위로 추진하여 전방으로 일정거리 돌출되는 내부체와 후순위로 추진하여 내부체를 따라가는 외부체를 포함하는 2중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추진 가이드를 따라 지중으로 진입하여 배수 암거를 설치할 공간을 형성하는 선도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그라우팅용의 혼합액을 공급하는 공급 장치; 및, 상기 선도체의 후방에 하나씩 순서대로 설치되며 유압잭에 의한 외력으로 외부체를 추진시키는 다수의 배수 암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암거의 지중 설치를 위한 추진 공법용 장치를 제시한다.
이때, 상기 내부체는 전방측 말단부의 내측면에 다수의 고정날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후방측 말단부의 내측 방향으로 걸림턱이 형성되는 사각관 또는 원형관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체는 후방측 말단부의 내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턱이 형성되고, 그 돌출턱에 다수의 실린더 장치가 전방으로 길이를 연장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며, 외부면에 후방 토출 구조의 토출구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사각관 또는 원형관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실린더 장치 각각의 전방측 말단면이 걸림턱에 밀착되거나 연결되는 형태로 내부 공간에 내부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수 암거의 지중 설치를 위한 추진 공법용 장치는,
전방측 말단부의 내측면에 다수의 고정날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선순위로 추진하여 전방으로 일정거리 돌출되는 내부체와 후순위로 추진하여 내부체를 따라가는 외부체를 포함하는 2중 구조로 구성되는 선도체의 구성을 제안하고 있고, 그라우팅용 혼합액의 토출을 위한 다수의 토출구의 구성과 공급 장치의 구성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들에 따라 지중에서의 추진을 용이하게 하되 그 과정에서 지반의 안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추진 가이드가 배수 암거를 설치할 지중 사전 경로의 하부 측에 압입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2a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선도체 중 내부체가 사각관의 형상으로 구성된 상태에서의 정면도와 배면도.
도 2b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선도체 중 외부체가 사각관의 형상으로 구성된 상태에서의 정면도와 배면도.
도 3a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선도체 중 내부체가 원형관의 형상으로 구성된 상태에서의 정면도와 배면도.
도 3b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선도체 중 외부체가 원형관의 형상으로 구성된 상태에서의 정면도와 배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선도체의 내부체가 선순위로 추진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공급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지중에 배수 암거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배수 암거를 지중에 설치하는 추진 공법에 이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배수 암거(400)를 설치할 지중 사전 경로의 하부 측에 먼저 압입 설치되는 추진 가이드(100); 선순위로 추진하여 전방으로 일정거리 돌출되는 내부체(210)와 외부면에 후방 토출 구조의 토출구(223)가 다수개 형성된 상태에서 후순위로 추진하여 내부체(210)를 따라가는 외부체(220)를 포함하는 2중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추진 가이드(100)를 따라 지중으로 진입하여 배수 암거(400)를 설치할 공간을 형성하는 선도체(200); 상기 토출구(223)로 토출되는 그라우팅용의 혼합액을 공급하는 공급 장치(300); 및, 상기 선도체(200)의 후방에 하나씩 순서대로 설치되며 유압잭에 의한 외력으로 외부체(220)를 추진시키는 다수의 배수 암거(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 추진 가이드(100)는 배수 암거(400)를 설치할 지중 사전 경로의 하부 측에 먼저 압입 설치되는 강관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개체가 서로 나란하게 설치됨으로써 이후 지중으로 진입하는 선도체(200)의 추진 경로를 안내한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여 지중에 배수 암거(400)를 설치하고자 하는 현장의 관리자는 배수 암거(400)를 설치할 사전 경로를 미리 설정하거나 확인하고 추진구로 이용할 수직갱과 도달구로 이용할 다른 수직갱을 확보하여야 한다.
그리고 철근 설치와 콘크리트 타설 등의 작업을 마친 후 추진구로 이용할 수직갱에 유압잭과 같은 추진용의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추진 가이드(100)의 압입 설치를 위한 준비를 완료할 수 있다.
이후, 설치된 유압잭을 이용하여 상기 추진 가이드(100)를 수평 또는 경사 방향으로 추진시킬 수 있으며, 압입에 의한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작업을 마치고 선도체(200)의 추진을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진 가이드(100)는 수직갱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는 여러 개체를 서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길이가 연장될 수 있으며, 압입 설치하는 과정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고려하여 2열로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직경에 따라서는 3열의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선도체(200)는 지중에 배수 암거(400)를 설치할 공간을 형성하는 굴착용의 장치이며, 먼저 설치된 상태인 2열 또는 그 이상의 추진 가이드(100)를 따라 지중으로 일정 거리씩 진입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사전 경로와 동일한 경로의 공간이 계속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선도체(200)는 이후에 설치될 배수 암거(400)와 동일한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목적에 부합하도록 전방측 말단부가 굴착에 유리한 구조로 구성되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도체(200)는 선순위로 추진하여 전방으로 일정거리 돌출되는 내부체(210)와 후순위로 추진하여 내부체(210)를 따라가는 외부체(220)를 포함하는 2중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체(210)는 전방측 말단부의 내측면에 다수의 고정날(21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후방측 말단부의 내측 방향으로 걸림턱(212)이 형성되는 사각관 또는 원형관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내부체(210)의 전방측 말단부의 내측면에 직삼각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경사면이 내부체(210)의 중심을 향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날(211)을 형성함으로써 지중에서의 추진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하고 있다.
다만, 상기 다수의 고정날(211) 각각의 형상이 반드시 직삼각의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곡선의 경사면을 가진 형태 등으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지중에서의 추진에 보다 유리하도록 내부체(210)의 전방으로 몸체의 일부인 첨단이 1 내지 2cm의 길이로 돌출되는 형태로도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고정날(211)은 내부체(210)의 전방측 말단부에 지지 기반이 없는 형태로 단독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그 전방측 말단부까지 길이가 연장되는 걸림턱(212)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는 다수의 고정날(211) 각각의 사이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체(210)의 추진과 내부체(210)로 유입된 토사의 후방으로의 배출에 방해가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b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체(220)는 후방측 말단부의 내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턱(221)이 형성되고, 그 돌출턱(221)에 다수의 실린더 장치(222)가 전방으로 길이를 연장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며, 외부면에 후방 토출 구조의 토출구(223)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사각관 또는 원형관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체(220)는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실린더 장치(222) 각각의 전방측 말단면이 걸림턱(212)에 밀착되거나 연결되는 형태로 그 내부 공간에 내부체(210)를 수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도체(200)는 외부체(220)의 내부에 구비된 다수의 실린더 장치(222)를 이용하여 내부체(210)가 선순위로 추진하고, 수직갱에 설치된 유압잭에 의해 외부체(220)가 후순위로 추진하는 방식으로 배수 암거(400)가 설치될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관리자는 상기 실린더 장치(222)의 제어를 위한 목적으로 구비되는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내부체(210)를 선순위로 추진시키고, 수직갱에 설치된 유압잭의 제어를 위한 목적으로 구비되는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체(220)를 후순위로 추진시키는 과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지중에 다수의 배수 암거(400)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체(210)가 한번에 추진하는 거리는 40 내지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로 형성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외부체(220)가 한번에 추진하는 거리도 내부체(210)가 추진하는 거리와 동일하게 40 내지 60㎝의 범위로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체(220)의 후방측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동시에 전방으로 길이가 연장되며 내부체(210)를 추진시키는 다수의 실린더 장치(222)는 최대로 연장 가능한 길이가 40 내지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실린더 장치(222)는 선도체(200)의 내부로 유입된 토사의 후방으로의 배출에 방해가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외부체(220)의 바닥측은 제외하고 천장측과 양측 내벽을 따라서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작업의 편의성을 목적으로 본 발명은 다수의 실린더 장치(222)와 수직갱에 설치된 유압잭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통합 제어 장치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통합 제어 장치는 실린더 장치(222)의 제어 기능과 유압잭의 제어 기능이 교대로 활성화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단순 반복되는 작업 과정에서의 관리자의 착오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관리자는 상기 통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실린더 장치(222)와 유압잭을 제한없이 제어할 수 있으나 자신의 착오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린더 장치(222)의 제어 기능과 유압잭의 제어 기능이 교대로 활성화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언제든지 설정을 해제하여 다시 실린더 장치(222)와 유압잭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체(220)가 추진할 때에는 그 외부체(220)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토출구(223)로부터 그라우팅용의 혼합액이 토출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외부체(220)의 내측으로는 공급 장치(300)와의 호스 연결을 위한 연결 구조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때, 본 발명의 관리자는 상기 통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체(220)를 추진시키는 과정에서 공급 장치(300)에 의한 그라우팅용 혼합액의 공급이 발생하도록 수동 제어할 수 있으나 실린더 장치(222)를 제어할 때 공급 장치(300)도 자동 제어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착오 등에 의한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종합하자면, 본 발명의 관리자는 상기 통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실린더 장치와 유압잭을 교대로 제어하되 실린더 장치(222)의 연속 제어와 유압잭의 연속 제어가 제한되도록 설정하여 내부체(210)와 외부체(220)가 교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외부체(220)가 추진하는 과정에서 공급 장치(300)에 의한 그라우팅용 혼합액의 공급이 자동으로 발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 장치(300)는 그라우팅용의 혼합액을 공급하는 장치이며,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되어 선도체(200) 중 후순위로 추진되는 외부체(220)의 토출구(223)로 그라우팅용의 혼합액이 일정량씩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토사의 붕괴 방지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여 지중에 배수 암거(400)를 설치하고자 하는 관리자는 상기 공급 장치(300)를 수동으로 제어하여 선도체(200) 중 외부체(220)가 후순위로 추진하는 상태에서 혼합액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리자는 상기 공급 장치(300)가 자동으로 제어되게 함으로써 선도체(200) 중 외부체(220)가 후순위로 추진하는 상태에서 혼합액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관리자는 전용의 제어 장치나 상기 통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공급 장치(300)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나, 통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공급 장치가 자동으로 제어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 장치(300)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식으로는 통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실린더 장치(222)의 제어 감지 방식이나 외부체(220)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실린더 장치(222) 중 어느 한 쌍의 사이에 구비되는 거리 센서를 이용한 거리 감지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급 장치(300)는 외부체(2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실린더 장치(222)가 통합 제어 장치에 의해 먼저 제어된 후 제어가 중단되는 즉시 그라우팅용 혼합액을 공급하되, 다시 실린더 장치(222)가 통합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될 때에는 즉시 그라우팅용 혼합액의 공급을 중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 장치(300)는 거리 센서에서 감지되는 걸림턱(212)과 돌출턱(221) 사이의 거리가 45㎝ 이상으로 증가한 상태에서 거리가 감소하는 즉시 그라우팅용 혼합액이 공급되도록 하되 거리의 감소가 중단되거나 다시 거리가 증가하는 즉시 혼합액의 공급을 중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 장치(300)에 의한 그라우팅용 혼합액의 공급은 외부체(220)가 추진하는 상태에서만 발생하고, 내부체(210)가 추진하는 상태에서는 중단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 장치(300)는 물과 규산을 혼합하여 제1 조성물을 형성하는 제1 교반기(310), 카보네이트 화합물 및 폴리아크릴 화합물 그리고 물을 혼합하여 제2 조성물을 형성하는 제2 교반기(320) 그리고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 각각의 이송에 필요한 압력을 생성하는 펌프부(330)를 포함하고, 제1 교반기(310) 내부의 제1 조성물을 배출하는 제1 배출관(340), 제2 교반기(320) 내부의 제2 조성물을 배출하는 제2 배출관(350), 제1 배출관(340)에 연결되고, 제어 밸브(361)에 의하여 제1 조성물의 유입량이 조절되는 제1 공급관(360), 제2 배출관(350)에 연결되고, 제어 밸브(371)에 의하여 제2 조성물의 유입량이 조절되는 제2 공급관(370) 및, 제1 공급관(360)으로부터 공급되는 제1 조성물과 제2 공급관(370)으로부터 공급되는 제2 조성물이 혼합되고, 혼합에 의해 생성된 혼합액을 내부체(210)의 토출구(223)로 공급하는 혼합부(38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조성물은 규산 100㎏과 물 127L를 2 내지 3분간 혼합하여 생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조성물은 카보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아크릴 화합물을 총량 20㎏으로 혼합하여 생성된 중간 조성물에 물 187 내지 190L를 2 내지 3분간 혼합하여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조성물은 총량 20㎏ 중 카보네이트 화합물이 60 중량 퍼센트 이하로 구성되고, 폴리아크릴 화합물이 최소 40 중량 퍼센트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생성되는 혼합액은 점도가 물과 비슷하여 지중 공극으로의 침투가 용이하고, 수중에서도 빠른 경화가 가능하므로 지중의 수분량이 상당한 경우에도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아니한다.
즉, 상기 혼합부(380)의 내부에서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의 혼합에 의하여 생성되는 혼합액은 20℃의 상온에서 약 7초 후에 경화가 완료될 정도로 빠른 경화 속도를 가지게 됨으로써 굴착에 의한 토사 붕괴 방지의 효과가 충분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공급 장치(300)에서 혼합액이 생성되는 시간이 필요하며, 이로 인한 혼합액 토출 시간의 지연이 수초 정도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 암거(400)는 선도체(200)가 추진하며 형성하는 공간에 설치되는 배수용의 구조물이며, 내부의 유로가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다수의 개체가 하나씩 설치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지중에 견고한 구조의 배수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수 암거(400)는 선도체(200) 중 외부체(220)의 후방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수직갱에 설치된 유압잭에 의한 외력으로 그 외부체(220)를 밀어 추진시킴과 동시에 선도체(200)가 형성한 공간을 즉시 채움으로써 토사의 붕괴 방지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여 지중에 배수 암거(400)를 설치하고자 하는 관리자는 하나의 배수 암거(400)를 선도체(200) 중 외부체(220)의 후방측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유압잭을 이용하여 그 배수 암거(400)를 밀어 선도체(200)를 추진시키고, 배수 암거(400)의 몸체 전부나 상당 부분이 지중으로 진입한 상태에서 후방측에 다른 하나의 배수 암거(400)를 밀착시킨 후 다시 유압잭을 이용하여 선도체(200)를 추진시키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배수 암거(40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추진 가이드
200 : 선도체 → 210 : 내부체 → 211 : 고정날
→ 212 : 걸림턱
→ 213 : 토출구
→ 220 : 외부체 → 221 : 돌출턱
→ 222 : 실린더 장치
→ 223 : 토출구
300 : 공급 장치 → 310 : 제1 교반기
→ 320 : 제2 교반기
→ 330 : 펌프부
→ 340 : 제1 배출관
→ 350 : 제2 배출관
→ 360 : 제1 공급관 → 361 : 제어 밸브
→ 370 : 제2 공급관 → 371 : 제어 밸브
→ 380 : 혼합부
400 : 배수 암거

Claims (5)

  1. 배수 암거(400)를 설치할 지중 사전 경로의 하부 측에 먼저 압입 설치되는 추진 가이드(100);
    선순위로 추진하여 전방으로 일정거리 돌출되는 내부체(210)와 외부면에 후방 토출 구조의 토출구(223)가 다수개 형성된 상태에서 후순위로 추진하여 내부체(210)를 따라가는 외부체(220)를 포함하는 2중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추진 가이드(100)를 따라 지중으로 진입하여 배수 암거(400)를 설치할 공간을 형성하는 선도체(200);
    상기 토출구(223)로 토출되는 그라우팅용의 혼합액을 공급하는 공급 장치(300); 및,
    상기 선도체(200)의 후방에 하나씩 순서대로 설치되며 유압잭에 의한 외력으로 외부체(220)를 추진시키는 다수의 배수 암거(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내부체(210)는,
    전방측 말단부의 내측면에 다수의 고정날(21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후방측 말단부의 내측 방향으로 걸림턱(212)이 형성되는 사각관 또는 원형관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체(220)는,
    후방측 말단부의 내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턱(221)이 형성되고, 그 돌출턱(221)에 다수의 실린더 장치(222)가 전방으로 길이를 연장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며, 외부면에 후방 토출 구조의 토출구(223)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사각관 또는 원형관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실린더 장치(222) 각각의 전방측 말단면이 걸림턱(212)에 밀착되거나 연결되는 형태로 내부 공간에 내부체(2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고정날(211)은,
    상기 내부체(210)의 전방측 말단부까지 길이가 연장되는 걸림턱(212)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각각의 고정날(211) 사이에는 토사의 후방 배출을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암거의 지중 설치를 위한 추진 공법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체(210)를 추진시키는 다수의 실린더 장치(222)와 상기 외부체(220)를 추진시키는 유압잭 그리고 공급 장치(300)를 각각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실린더 장치(222)의 제어 기능과 유압잭의 제어 기능을 교대로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실린더 장치(222)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공급 장치(300)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통합 제어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암거의 지중 설치를 위한 추진 공법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300)는,
    물과 규산을 혼합하여 제1 조성물을 형성하는 제1 교반기(310);
    카보네이트 화합물 및 폴리아크릴 화합물 그리고 물을 혼합하여 제2 조성물을 형성하는 제2 교반기(320);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 각각의 이송에 필요한 압력을 생성하는 펌프부(330);
    상기 제1 교반기(310) 내부의 제1 조성물을 배출하는 제1 배출관(340);
    상기 제2 교반기(320) 내부의 제2 조성물을 배출하는 제2 배출관(350);
    상기 제1 배출관(340)에 연결되고, 제어 밸브(361)에 의하여 제1 조성물의 유입량이 조절되는 제1 공급관(360);
    상기 제2 배출관(350)에 연결되고, 제어 밸브(371)에 의하여 제2 조성물의 유입량이 조절되는 제2 공급관(370); 및,
    상기 제1 공급관(360)으로부터 공급되는 제1 조성물과 상기 제2 공급관(370)으로부터 공급되는 제2 조성물이 혼합되고, 혼합에 의해 생성된 혼합액을 내부체(210)의 토출구(223)로 공급하는 혼합부(3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암거의 지중 설치를 위한 추진 공법용 장치.
KR1020220093901A 2022-07-28 2022-07-28 배수 암거의 지중 설치를 위한 추진 공법용 장치 KR102517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901A KR102517676B1 (ko) 2022-07-28 2022-07-28 배수 암거의 지중 설치를 위한 추진 공법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901A KR102517676B1 (ko) 2022-07-28 2022-07-28 배수 암거의 지중 설치를 위한 추진 공법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676B1 true KR102517676B1 (ko) 2023-04-04

Family

ID=85929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901A KR102517676B1 (ko) 2022-07-28 2022-07-28 배수 암거의 지중 설치를 위한 추진 공법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6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7906A (ko) * 2011-05-16 2012-11-26 위준복 비개착식 터널굴착공법
KR101888006B1 (ko) * 2017-01-13 2018-09-06 주식회사 미광이엔씨 지반상태를 고려한 약액분사와 방향제어가 가능한 압입공법용 추진장치
KR102103556B1 (ko) * 2019-08-27 2020-04-22 윤여헌 강관 압입식 추진공법 및 장거리 마이크로 터널링 공법에 사용되는 추진용 강관체
KR102361936B1 (ko) 2021-11-19 2022-02-14 박영배 추진 가이드를 갖는 우수 암거용 선도체 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7906A (ko) * 2011-05-16 2012-11-26 위준복 비개착식 터널굴착공법
KR101888006B1 (ko) * 2017-01-13 2018-09-06 주식회사 미광이엔씨 지반상태를 고려한 약액분사와 방향제어가 가능한 압입공법용 추진장치
KR102103556B1 (ko) * 2019-08-27 2020-04-22 윤여헌 강관 압입식 추진공법 및 장거리 마이크로 터널링 공법에 사용되는 추진용 강관체
KR102361936B1 (ko) 2021-11-19 2022-02-14 박영배 추진 가이드를 갖는 우수 암거용 선도체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31695A1 (en) Method for installing a screw pile
CN109798140B (zh) 千米深井软岩劈裂注浆加固支护方法
KR100790547B1 (ko) 강관 추진 공법을 위한 추진기지 구축방법
KR102517676B1 (ko) 배수 암거의 지중 설치를 위한 추진 공법용 장치
KR102103556B1 (ko) 강관 압입식 추진공법 및 장거리 마이크로 터널링 공법에 사용되는 추진용 강관체
JP4230386B2 (ja) 筒体ユニット
KR101507598B1 (ko) 유압추진식 굴착장치
JP3889750B2 (ja) 地下構造物構築方法における切羽安定方法
JP3834571B2 (ja) 地下構造物の施工法
JP3860143B2 (ja) パイプルーフ用掘削装置およびそれらを用いるパイプルーフ工法
JP3363099B2 (ja) 既設構造物の支持地盤改良工法
JP5284168B2 (ja) 土留部材建込用掘削部材および土留部材建込工法
CN210127858U (zh) 用于泥质地层的衬砌背后导向管注浆堵水装置
KR200481009Y1 (ko) 강관 파일의 회전 관입 및 인발용 커플러
KR101147612B1 (ko) 소일 네일링 장치
JPH0949388A (ja) 土留め用パイプの雄・雌継ぎ手並びに連結装置及び土留め用パイプを用いた山留め壁体の形成方法
CN214145514U (zh) 一种隧道用超前支护加固系统
KR102305266B1 (ko) 그라우트 배출부재를 구비한 강관 및 이를 이용한 강관추진공법
KR20060101734A (ko) 비개착 지향성 관로 시공방법
JP7389698B2 (ja) 発進口の形成方法および発進口構造
KR102489906B1 (ko)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
CN220621852U (zh) 小断面隧洞超前支护结构
JP5068678B2 (ja) 土留め工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土留め部材立て込み工事用掘削部材
KR102191503B1 (ko) 상부 및 하부 사각관을 이용한 비개착식 터널굴착공법
CN210684723U (zh) 结合式淤泥基坑支护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