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569B1 - 독도새우 유래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독도새우 유래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569B1
KR102517569B1 KR1020200042492A KR20200042492A KR102517569B1 KR 102517569 B1 KR102517569 B1 KR 102517569B1 KR 1020200042492 A KR1020200042492 A KR 1020200042492A KR 20200042492 A KR20200042492 A KR 20200042492A KR 102517569 B1 KR102517569 B1 KR 102517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present
extract
lactobacillus sakei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5170A (ko
Inventor
신희재
최병규
이화선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042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569B1/ko
Publication of KR20210125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도새우 유래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 이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은 한국인 호발성 암종인 신장암, 전립선암, 위암, 유방암, 대장암, 폐암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독도새우 유래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 lactic acid bacterium from Dokdo shrimp and a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독도새우 유래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 중에는 생육하면서 젖산(유산)을 대사 산물로서 많이 생성하는 것이 있는데, 이러한 세균들을 총칭하여 유산균 (lactic acid bacteria)이라고 한다. 현대 과학이 발달하기 오래 전부터 인류는 유산균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성질들을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사용하여 왔다. 유산균은 인간이 이용할 수 있는 가장 유익한 미생물의 한 종류로서 오랜 역사를 두고 발효 유제품을 중심으로 하여 각종 발효 식품, 장류, 김치, 발효 소시지, 의약품 및 가축의 사료 첨가제에 이르기까지 인류 생활에 광범위하게 활용되어 오고 있다. 또한, 유산균은 사람이나 포유동물의 소화관, 구강, 질, 각종 발효 식품과 토양 등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이들 유산균은 인류의 생활에 직·간접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유익한 공생체의 하나이다.
유산균은 산소가 적은 곳에서 잘 증식하는 통성 혐기성균 또는 편성 혐기성균이다. 유산균은 5개 속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루코노스탁(Leuconostoc),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a), 그리고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로 나뉜다. 이 중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은 동형 또는 이형발효를 하는 유산간균으로서, 유제품이나 채소의 발효과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균이다.
최근 유산균의 효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특히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을 생균제, 식품 첨가제 등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보건복지부가 2019년 12월 24일 발표한 '2017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17년 우리나라 암 발생자 수는 남성은 122,292명, 여성은 109,963명으로 총 232,255명으로 나타나, 전년 대비 1,019명(0.4%) 증가한 수치이다.
2017년에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위암(29,7000만 명)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대장암(28,000만 명), 폐암(27,000만 명), 갑상선암(26,200만 명), 유방암(22,400만 명) 순으로 많았다. 2016년과 비교했을 때, 3위였던 폐암과 8위였던 췌장암이 전년 대비 한 순위씩 상승하였다. 1999년 이후 유방암, 전립선암, 췌장암, 신장암의 발생률은 증가 추세를 보인 반면, 위암, 대장암, 갑상선암, 간암, 자궁경부암, 페암(남성)의 발생률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위암, 폐암, 대장암, 전립선암, 간암 순으로 많이 발생했으며, 여성은 유방암, 갑상선암, 대장암, 페암, 간암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연령별 최다 암 발생률을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44세까지 갑상선암, 45~64세까지 위암, 64세 이후 폐암이 가장 많이 발생한 반면, 여성의 경우 39세까지 갑상선암, 60~69세 유방암, 69세 이후 대장암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우리나라 국민이 기대수명 83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5.5%에 달하고, 성별로 살펴보면, 남자의 경우 기대수명 80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9.6%로, 5명 중 2명꼴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기대수명 86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5.5%로, 3명 중 1명 꼴로 나타났다.
세계 보건 기구에 따르면 암 발생 인구의 1/3은 예방이 가능하고, 1/3은 조기 진단만 되면 완치가 가능하며, 나머지 1/3도 적절한 치료를 통해 완화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암을 조기 예방하기 위한 방안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며, 극심한 부작용의 위험을 안고 있는 현재 시판중인 항암제의 대체재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74527호(2006.04.20.)에는, 면역활성이 높고 항암효과 및 유해 미생물 증식 억제활성이 뛰어난 신규 내산성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44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00608호(2012.09.12.)에는, 면역관련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101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독도에서 유용 균주를 분리하기 위하여 연구하던 중, 독도새우에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을 분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 그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 그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보조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 그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암은, 바람직하게 신장암, 전립선암, 위암, 유방암, 대장암, 폐암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좋고,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용매로 사용한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 그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 그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 그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보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은 염 내성이 우수한 새로운 균주이며, 상기 균주, 이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은 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에 대하여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199DD-001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199DD-001 균주 조추출물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독도에서 유용 균주를 분리하기 위하여 연구하던 중, 염 내성이 우수하고, 암을 비롯한 여러 질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뛰어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을 분리한 바,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질병은, 일 예로 감염성 질환, 혈액질환, 조혈기관질환, 면역계질환, 내분비계 질환, 영양 질환, 대사질환, 정신 및 행동장애, 신경계 질환, 눈 또는 부속기 질환, 귀 또는 유양돌기 질환, 순환계 질환, 호흡계 질환, 소화계 질환, 치과질환, 피부 및 피하조직 질환, 근육계, 골격계, 결합조직 질환, 배설계 질환, 생식계 질환, 임산, 출산, 산후 질환, 출생전후기에 기원한 질환, 기형, 선천적이상, 유전병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진 않는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써, 유산균 음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면역력 증강을 위하여 식품의 형태와 종류에 상관없이 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로써, 주름 개선, 보습, 미백, 탄력, 노폐물 제거, 각질제거, 피지억제, 탈모 개선 및 지방분해를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사료 첨가제로써, 동물의 질환 예방 및 치료, 면역력 증진, 가축의 일당증체량 증진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 그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용매로 사용한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에틸아세테이트 조추출물의 신장암, 전립선암, 위암, 유방암, 대장암, 폐암에 대한 항암효과가 우수함을 하기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신장암은 국내 암 발생률 10위 안에 들 정도로 빈번히 발생하는 암종의 하나이다. 콩팥은 다른 장기보다 우리 몸의 뒤쪽에 위치해 암이 어느 정도 진행돼도 증상을 잘 느끼지 못하고, 혈뇨, 옆구리 통증, 혹이 만져지는 증상이 나타날 확률은 1~15%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암 진단이 늦어지고 통증이 생길때면 이미 다른 장기로 전이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쉽다. 콩팥은 혈관과 요로계가 복잡한 구조로 얽혀 있는 장기여서 수술 도중 출혈, 수술 후 요누출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아주 높고, 신장암이 늦게 발견될 경우에는 이미 전이가 진행된 상태로, 전이 전의 5년 생존율은 90% 이상이나, 전이 후에는 병기에 따라 5년 생존율에 큰 차이가 나타나 항암제나 방사선 치료가 쉽지 않다.
전립선은 방광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밤톨만한 장기이다. 청·장년기에는 전립선염이 주된 골칫거리라면 중·노년기에는 호르몬의 변화로 인한 전립선비대증이 발생하여 많은 남성을 괴롭힌다. 더욱 위협적인 문제는 전립선암으로, 과거 전립선암은 서구에서나 흔한 질병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식생활 서구화 및 노령화 등의 영향으로 급격히 증가하여 남성의 5대 호발암 중 하나가 되었다. 전립선암은 흔히 진행이 느리고 예후가 좋은 '착한 암'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뼈나 다른 장기로 전이되면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치료가 어렵고 사망률 또한 높다. 전립선에 국한된 초기 암은 90% 이상 완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전립선암의 특징적인 증상이 없어 조기 진단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위암은 한국인에 가장 흔함 암으로 꼽히는데, 남녀 통틀어 갑상선암을 제외하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종이다. 하지만, 위암은 다른 암과 비교했을때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높은 암종으로, 5년 상대생존율을 1993~1995년 42.8%에서 2011~2015년에 75.4%로 생존율이 높아졌다. 그러나 위암은 위 절제술이 시행되는 만큼, 수술 후 삶의 질이 매우 떨어지는 암종이고, 그 절제범위에 따라 삶의 질의 차이가 매우 크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매우 시급한 암종의 하나이다.
유방암은 한국인에게 자주 발병되는 5대 호발암 중 여성에서만 주로 발생하는 암종으로, 해마다 2만명 남짓한 환자들이 새로 발생한다. 2007년 이후 증가세가 다소 주춤하긴 했지만 매년 4%씩 늘고 있다. 유방암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이상 이외에는 아직 뚜렷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유방암은 초기에는 아무 증상이 없다. 가장 흔한 증상은 통증 없이 고정된 멍울이나 유방의 비대가 느껴지는 것으로, 정기적인 검진과 관리가 필수적이다. 특히, 한국인에서 유방암은 서양에서보다 그 연령대가 젊은 40~50대에 70~80%의 환자가 몰려있고, 35세 미만의 환자 발생률도 적지않은 편이다. 젊은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유방조직이 치밀해 진단이 어렵고, 암의 진행속도가 빨라 각종 치료에 반응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다.
대장암은 갑상선암을 제외하면 유방암에 이어 여성들에게서 가장 흔한 암으로 꼽힌다. 국가암정보센터의 최근 자료를 살펴보면 매년 1만여명의 환자가 새로 발생한다. 우리나라 인구 10만 명당 42.7명이 대장암을 진단받는 셈이다. 특히 65세 이상 여성에게는 모든 암 중 제일 많이 발생하는 암으로 꼽힌다. 그러나 대장암은 다른 소화기암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생존율도 좋은 편이고 조기 발견해 적절히 치료를 받으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암종이다. 다만, 대장암은 초기에 특별한 증상이 없다가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이미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아,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최선이다.
폐암은 국내 5대 호발암 중 하나로, 2019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17년에 우리나라에서는 232,255건의 암이 새로 발생하였는데, 그 중 폐암(C33-C34)은 남녀를 합쳐서 26,985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3위(11.6%)를 차지하였다. 폐암은 편평상피세포암, 선암, 대세포암, 소세포폐암으로 구분된다. 암종 중에서는 선암이 46.7%로 가장 많았고, 편평상피세포암이 21.6%, 소세포암이 11.0%를 차지했다. 편평상피세포암은 주로 폐 중심부에서 발견되며, 남자에게 흔하고 흡연과 관련이 많다. 선암은 주로 기관지의 말단부에 생기므로 흉부 단순 X-선 촬영에서 조그마한 폐결절이나 폐렴 같은 경화 소견을 보이기도 한다. 폐암의 4~10% 정도를 차지하는 대세포암은 폐 표면 근처(폐 말초)에서 주로 발생하며, 절반 정도는 큰 기관지에 주로 생긴다. 암세포가 대체적으로 크며, 일부는 빠르게 증식·전이하는 경향이 있어 다른 비소세포폐암들보다 예후가 나쁜 편이다. 소세포폐암은 급속히 성장하고 대체로 암 덩이(종괴)가 크며, 회백색을 띠고, 기관지 벽을 따라 증식하는 경우가 많다. 소세포폐암 환자의 대부분은 흡연량이 많다. 폐암은 사망률이 높고, 진단 당시에 이미 병기가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암세포를 억제하거나 암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암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 그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상기 성분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 그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말토덱스트린,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필요한 경우, 부형제, 희석제, 항산화제, 완충액 또는 정균제 등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들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충진제, 증량제, 습윤제, 붕해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또는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 그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는 약학적 조성물의 전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중량% 내지 99.99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9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7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5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투여 대상의 상태, 구체적인 병증의 종류, 진행 정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약학적 조성물의 전체 함량으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적합하고 다양한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이용한 경구 투여용 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트로키제(troches), 로젠지(lozenge), 정제, 수용성 현탁액, 유성 현탁액, 조제 분말, 과립, 에멀젼, 하드 캡슐,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경구 투여용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 셀룰로오스 또는 젤라틴 등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 등과 같은 붕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릴 푸마르산 나트륨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 등과 같은 윤활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감미제, 방향제, 시럽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캡슐제의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물질 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 등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이용한 비경구용 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주사액, 좌제, 호흡기 흡입용 분말, 스프레이용 에어로졸제, 연고, 도포용 파우더, 오일, 크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비경구 투여용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 건조 제제, 외용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주사액으로 제제화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ampoule) 또는 바이알(vial)의 단위 투여용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에어로졸제로 제제화하는 경우, 수분산된 농축물 또는 습윤 분말이 분산되도록 추진제 등이 첨가제와 함께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연고, 크림, 도포용 파우더, 오일, 피부 외용제 등으로 제제화하는 경우에는,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을 담체로 사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약학적 유효량, 유효 투여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및/또는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으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투여 대상이 되는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질병의 증세나 정도, 성별, 식이, 배설, 해당 개체에 동시 또는 이시에 함께 사용되는 약물 기타 조성물의 성분 등을 비롯한 여러 인자 및 의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약 0.01 내지 1,000mg/kg이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mg/kg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회 투여될 수 있고,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은 각각 독립적일 수 있으며, 목적하는 해당 부위에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도달할 수 있는 한, 특별한 제한 없이 임의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비경구 투여 방법으로는, 정맥 내 투여, 복강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경피 투여 또는 피하 투여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을 질환 부위에 도포하거나 분무, 흡입하는 방법 또한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암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호르몬 치료, 약물치료 등의 다양한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 그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디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 그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투여 대상의 상태, 구체적인 병증의 종류, 진행 정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식품의 전체 함량으로도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 그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기능 보조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개선"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암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 또는 실험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1: 본 발명 독도 유산균의 분리 및 배양]
대한민국의 독도에서 채집한 독도새우에서 유용균주를 분리하기 위해 독도새우의 몸체 1g을 9㎖의 멸균해수에 넣어서 희석한 다음, 3종의 배지(BN, AIA, HV)를 이용하여 균주를 분리하였다. 일주일간 BOD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자란 다양한 콜로니들을 각각 BN 배지에 옮겨 분리하였다.
이후, 여러 번의 순화 과정을 거쳐 새로운 유산균들을 순수하게 분리하였으며, 이 균주를 "199DD-001"이라 명명하고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와 99%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따라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199DD-001 균주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생물자원센터)에 2020년 04월 01일자로 기탁하여 기탁번호 KCTC14160BP를 부여받았다.
한편,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199DD-001 균주 배양액의 성분분석을 수행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199DD-001 균주는 리놀레산(linoleic acid), 루멘산(rumenic acid)과 디케토피페라진(diketopiperazines)을 생성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 독도 유산균 조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사케이 199DD-001 균주를 BN(bennett) 한천 배지에서 28℃ 온도 조건으로 7일 동안 배양하였고, 이후, 균주를 50㎖의 BN 액체 배지 (증류수 1L 중에 글루코오스 10g, 효모 추출물 1g, 트립톤 2g, 쇠고기 추출물 1g, 글리세롤 5g 및NaCl 32g 포함)가 들어 있는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130rpm으로 교반하면서 28℃ 온도조건으로 7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상온에서 에틸아세테이트(EtOAc)로 상등액을 추출하고 건조시켜 조추출물을 얻었고, 이 과정을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인간 암 세포주 6종에 대한 본 발명 독도 유산균 조추출물의 항암활성 확인]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조추출물의 한국인 호발암 6종에 대한 항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 암 세포주인 HCT-15 (결장암), NUGC-3 (위암), NCI-H23 (폐암), ACHN (신장암), PC-3 (전립선암) 및 MDA-MB-231 (유방암)을 사용하였다. 상기 암 세포주를 10% FBS가 보충된 RPMI 1640에서, 37℃, 5% CO2의 습한 조건 하에 배양하였다.
이후, SRB(Sulforhodamine B) 방법을 통해 인간 암세포주에 대한 성장 억제력 평가를 수행하기 위하여, 96-웰 플레이트에 8,000 cell/well 밀도로 분주하였다. 그 후, 다음날 세포에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조추출물을 0.3 내지 30㎍/㎖로 처리하였다. 비히클 대조군(vehicle control)으로는 0.1% DMSO를 처리하였다.
상기 조추출물 및 대조군 처리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배양액을 50% 트리클로로아세트산(50㎍/㎖)으로 고정하고, 1% 아세트산에 포함된 0.4% 술포로다민 B(sulforhodamine B)를 이용하여 염색하였다. 결합되지 않은 염료는 1% 아세트산으로 세척해내고, 단백질에 결합된 염료는 10mM Tris 염기 (pH10.5)로 추출하여 광학 밀도를 결정하였다. 540nm에서의 흡광도는 VersaMax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LLC, Sunnyvale, CA, USA)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GI50(Half maximal growth inhibition concentration)값은 GraphPad Prism 4.0 소프트웨어 (GraphPad Software, Inc.,San Diego, CA, USA)를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 락토바실러스사케이 199DD-001 균주 조추출물은 6종의 암세포주에 대하여 4.3 내지 9.3㎍/㎖의 GI50을 나타내었고, 특히 전립선암세포주(PC-3)에 우수한 항암 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락토바실러스사케이 199DD-001 균주 조추출물의 항암 활성 평가
ACNH PC-3 NUGC MDA-MB-231 HCT-15 NCI-H23
Conc.
(㎍/㎖)
Mean SD Mean SD Mean SD Mean SD Mean SD Mean SD
30 23.11 6.68 15.45 1.01 26.58 2.99 16.21 4.08 27.37 5.43 17.99 2.99
10 39.52 7.66 29.97 3.45 29.77 5.18 47.54 4.77 43.58 5.20 41.53 4.81
3 71.94 7.98 55.25 6.79 77.91 3.93 79.75 3.37 81.04 8.84 73.37 5.01
1 88.86 9.31 85.27 5.79 84.58 2.76 80.90 8.38 83.64 5.62 81.87 2.96
0.3 93.84 5.21 94.72 2.80 95.60 3.23 91.54 4.95 96.84 3.08 94.45 5.69
GI50 7.401 4.331 6.870 8.227 9.345 6.99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4160BP 20200401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 그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암은 신장암, 전립선암, 유방암, 및 폐암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용매로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6.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 그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암은 신장암, 전립선암, 유방암, 및 폐암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 그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상기 암은 신장암, 전립선암, 유방암, 및 폐암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199DD-001 (KCTC14160BP), 그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보조제로서,
    상기 암은 신장암, 전립선암, 유방암, 및 폐암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보조제.
KR1020200042492A 2020-04-08 2020-04-08 독도새우 유래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17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492A KR102517569B1 (ko) 2020-04-08 2020-04-08 독도새우 유래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492A KR102517569B1 (ko) 2020-04-08 2020-04-08 독도새우 유래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170A KR20210125170A (ko) 2021-10-18
KR102517569B1 true KR102517569B1 (ko) 2023-04-03

Family

ID=7827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492A KR102517569B1 (ko) 2020-04-08 2020-04-08 독도새우 유래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5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527B1 (ko) 2003-02-24 2006-04-27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면역활성이 높고 항암효과 및 유해 미생물 증식 억제활성이 뛰어난 신규 내산성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44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608A (ko) 2011-03-04 2012-09-12 주식회사 알엔에이 면역관련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K101
KR101287120B1 (ko) * 2011-10-28 2013-07-17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ck10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m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527B1 (ko) 2003-02-24 2006-04-27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면역활성이 높고 항암효과 및 유해 미생물 증식 억제활성이 뛰어난 신규 내산성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4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170A (ko) 202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020B1 (ko)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균주 및 그 용도
JP6608047B2 (ja) 多様な機能性を有する新規乳酸菌およびその用途
JP5031249B2 (ja) 炎症抑制作用のある菌体含有組成物
EP2123168B1 (en) Lactobacillus paracasei and weight control
US9763988B2 (en) Nano-sized kimchi lactic acid bacteria
KR102623045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gb10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2668B1 (ko)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cvl-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골 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4960B1 (ko) 탈모 예방, 발모 촉진 또는 성기능 개선능이 있는 류코노스톡 홀잡펠리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2008179601A (ja) ラクトバチルス属菌を含む美容組成物
HUE027565T2 (en) New procedure for the production of Lactobacillus reuteri strain for medical and veterinary prevention and treatment
JP2002522393A (ja) 共生乳酸産生細菌を使用する、栄養材料の溶解度を増大するための方法
JPWO2019045037A1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用組成物
KR101831932B1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원인성 질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활성을 보이는 김치
KR101770035B1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1β에 의한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20022488A (ja) 多様な機能性を有する新規乳酸菌およびその用途
US20090311227A1 (en) Composition
KR102517569B1 (ko) 독도새우 유래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20220095636A1 (en) Kimchi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licobacter pylori-associated diseases
KR101941183B1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52148A (ko) 리모실락토바실러스 루테리 va102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TWI734333B (zh) 減少體脂肪之益生菌株及其組合物與用途
JP2018197229A (ja) 体調維持用、体調増進用、又は体調調節用の組成物
JP2019131475A (ja) がん転移抑制剤
US20230414684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lorectal cancer comprising mixed strain of probiotics
EP4289438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sleep disorders,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gut microbiota or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theref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