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422B1 - 안전하게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하게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422B1
KR102517422B1 KR1020200176227A KR20200176227A KR102517422B1 KR 102517422 B1 KR102517422 B1 KR 102517422B1 KR 1020200176227 A KR1020200176227 A KR 1020200176227A KR 20200176227 A KR20200176227 A KR 20200176227A KR 102517422 B1 KR102517422 B1 KR 102517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injector device
value
output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6738A (ko
Inventor
이기세
이승하
김혜성
이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이연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이연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Priority to KR1020200176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422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66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1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oporation, e.g.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7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enhancing the absorption properties of tissue, e.g. by electro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6With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73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preventing premature release, e.g. by making use of a safety l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5Details specific display means, e.g. to indicate dose se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 주입을 위한 인젝터 장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설정 값을 수신하고, 외부로부터 동작 개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동작 개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설정 값에 기반하여 전압을 충전하고, 외부로부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충전된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전압에 기반하여 약물 주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안전하게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afely injecting drugs}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안전하게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인젝터의 이상을 감지하여 안전하게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 또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식 주사건은 약물을 정량적으로 주입하고, 인체의 피부에 빠르게 주입할 수 있는 것으로, 약물 주사건은 약물 주사기를 장착하여 구동부에 의해 약물 주시기의 니들이 피부에 미세한 구멍을 내며 피부에 직접 약물을 투입하게 된다.
일렉트로포레이션 인젝터는 인젝터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와 주기와 연관된 파형을 고려하여, 약물 주입 속도, 바늘의 주입 깊이, 주입 횟수 등이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인젝터이다. 종래 한국등록특허 제10-1903682호 (2018.09.21)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653266호 (2016.08.26) 등의 선행기술이 존재하지만, 인젝터를 이용하여 인체에 약물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작동이나, 위험 요소들을 미리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알림 시스템 구현이 미비한 실정이다.
본 개시(disclosure)는, 인젝터의 동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상을 감지하여 사용자에 적절히 알림으로써 안전하게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 주입을 위한 인젝터 장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설정 값을 수신하고, 외부로부터 동작 개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동작 개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설정 값에 기반하여 전압을 충전하고, 외부로부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충전된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전압에 기반하여 약물 주입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인젝터의 동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상을 감지하여 사용자에 적절히 알림으로써 약물 주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유닛을 포함하는 일렉트로포레이션 인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유닛을 포함하는 일렉트로포레이션 인젝터의 부분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인젝터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인젝터 장치가 제품에서 구현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들어가기 전에, 본 특허 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특정 단어 및 어구들의 정의를 기재하는 것이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용어 "커플(couple)" 및 그 파생어는 두 개 이상의 구성 요소 사이의 어떤 직접 또는 간접 통신을 나타내거나, 이들 요소가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용어 "송신(transmit)", "수신(receive)" 그리고 "통신(communicate)"뿐만 아니라 그 파생어 또한, 이들의 직/간접 통신을 포함한다. 용어 "포함한다(include)" 및 "구성한다(comprise)" 뿐만 아니라 그 파생어 또한, 제한 없이 포함을 의미한다. 용어 "또는(or)"은 포괄적 의미로써, '및/또는'을 의미한다. 문구 "~와 관련되다(associated with)" 뿐만 아니라 그 파생어 또한 ~을 포함한다(include), ~에 포함된다(be included within), ~와 결합하다(interconnect with), ~을 함유하다(contain), ~에 함유되어 있다(be contained within), ~에 연결한다(connect to or with), ~와 결합하다(couple to or with), ~ 전달한다(be communicable with), 와 협력하다(cooperate with), ~를 끼우다(interleave), ~을 나란히 놓다(juxtapose), ~에 인접하다(be proximate to), 구속하다/구속되다(be bound to or with), 소유하다(have), 속성을 가지다(have a property of), ~와 관계를 가지다(have a relationship to or with)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제어기(controller)"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어떤 장치, 시스템 또는 그 일부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어기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및/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제어기와 관련된 기능은 로컬 또는 원격으로 중앙 집중식으로(centralized) 또는 분산(distributed)처리될 수 있다. 문구 "적어도 하나"가 나열된 항목과 사용될 때, 나열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의 상이한 조합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 B,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와 B, A와 C, B와 C, 그리고 A와 B와 C 결합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거나 지원 될 수 있으며, 각각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로 형성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구현된다.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이라는 용어는 적절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에서 구현하기 위해 적응 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명령어 세트, 절차, 기능, 객체, 클래스, 인스턴스, 관련 데이터 또는 그 일부를 나타낸다.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라는 문구는 소스 코드, 오브젝트 코드 및 실행 가능 코드를 포함하여 모든 유형의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라는 문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디지털 등의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매체를 포함한다.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메모리 일 수 있다. "일시적이지 않은(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일시적인 전기적 또는 다른 신호를 전송하는 유선, 무선, 광학 또는 다른 통신 링크를 배제한다. 비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매체 및 재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 또는 소거 가능 메모리 장치와 같이 데이터가 저장되고 나중에 겹쳐 쓰기 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의 정의가 본 개시 전반에 걸쳐서 제공되고, 통상의 기술자는 대부분의 경우에, 이러한 정의들이 정의된 단어들 및 구문들로 미래뿐 아니라 이전의 사용들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아래에 논의된 도 1 내지 도 4 및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으로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개시의 원리가 적절하게 배치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유닛을 포함하는 일렉트로포레이션 인젝터의 사시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유닛(1)을 포함하는 일렉트로포레이션 인젝터(100)는 니들에 의한 약액의 주입과 동시에 전극에 의한 전기장 인가를 통해 약액이 체내로 용이하게 침투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용자 또는 시술자가 파지가능한 건 형태의 바디(110)를 가진다. 이러한 바디(110)의 후방 상측에는 내부에 장착된 시린지의 수동 전진 또는 수동 후진 등의 설정을 위한 제어버튼(111)이 구비되며, 바디(110)의 후방 상측 내부에는 제어버튼(111)에 연계되는 별도의 제어기판이 배열 가능하다. 또한 바디(110)의 하측에는 파지손잡이(120)가 구비되고, 파지손잡이(120) 내에는 제어기판이 배열 가능하며, 파지손잡이(120)의 전방에는 작동을 ON 또는 OFF하기 위한 트리거유닛(1)이 구비된다.
또한 바디(110)의 상부에는 카트리지(1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카트리지(130)의 전방에는 약액 주입을 위한 니들과 전류 인가를 위한 전극의 동시출납을 안내하는 니들전극출납가이드유닛(140)이 구비된다.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유닛을 포함하는 일렉트로포레이션 인젝터의 부분분해사시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유닛(1)을 포함하는 일렉트로포레이션 인젝터(100)의 카트리지(130) 내에는 니들을 포함하고 내부에 약액이 충진된 시린지가 교체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130)의 하측에는 시린지가 안착지지되는 시린지안착대(150)가 예를 들어 자력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바디(110)에는 시린지안착대(150)를 전후왕복 이동시키는 예를 들어 리드스크류 형태의 시린지이송기구(160)가 구비된다. 또한 시린지의 플런저를 전방으로 미는 플런저가압대(170)도 예를 들어 리드스크류 형태의 플런저이송기구(180)에 의해 전후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카트리지(130)의 전방측에는 전류 인가를 위한 전극(191)이 구비되고 니들(미도시)의 관통을 안내하는 니들가이드유닛(190)을 포함한다. 또한 카트리지(130)의 전방 하측에는 니들가이드유닛(190)의 전후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형성하는 전후이동가이드(193)가 구비되고 전후이동가이드(193)의 후방 하부면에는 전극(191)으로의 전기 인가를 위한 전원접속플러그(미도시)가 구비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인젝터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인젝터 장치에 포함된 구성들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어부로부터 구동 명령을 수신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각 동작들은 인젝터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일 수 있다.
단계(301s)에서 인젝터 장치는 설정 값을 수신한다.
설정 값이란, 인젝터 장치를 통해 약물을 인체에 주입할 때,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을 의미한다. 인젝터 장치가 사용되는 환경, 주입되는 약물, 주입 대상이 되는 인체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설정 값은, 최대 값과 최소 값을 가질 수 있고, 각 설정 값들에 대응되는 기능이 수행되는 주기 또는 간격(interval)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젝터 장치에 구비된 바늘(needle)이 인체 내에 주입되는 깊이에 관한 값일 수 있다.
인젝터 장치에 포함된 약물이 인체로 주입되는 속도에 관한 값일 수 있다.
인젝터 장치를 통해 약물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의 량, 전압의 크기에 관한 값일 수 있다.
인젝터 장치를 통해 1회의 약물을 주입할 때 출력하는 전압의 횟수에 관한 값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압은 펄스 파 형태로 출력될 수 있고, 횟수는 펄스 파가 몇 번 출력되는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펄스의 간격이나 길이에 관한 값일 수 있다.
설정 값을 수신한다는 것은, 설정 값과 관련된 정보를 외부 서버를 통해 송신 받거나, 인젝터 장치에 포함된 입력 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하는 과정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입력은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UI를 통한 입력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포괄적으로, 설정 값에 관한 정보를 인젝터 장치의 제어부가 획득하기 위한 모든 동작이 단계(301s)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303s)에서 인젝터 장치는 동작 개시 메시지를 수신한다.
동작 개시 메시지는, 인젝터 장치가 약물 주입을 시작하기 전에 대기 상태 또는 준비 상태에 돌입하기 위한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인젝터 장치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에서 ready 또는 standby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동작 개시 메시지를 인젝터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동작 개시 메시지는, 사용자가 인젝터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에, 약물 주입을 위한 준비 과정에 돌입하거나 약물 주입을 시작하기 위한 모든 물리적이거나 전자적인 구동 명령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동작 개시 메시지가 수신되면, 기 입력된 설정 값은 고정되고, 해당 설정 값에 기반하여 후속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305s)에서 인젝터 장치는 설정 값에 기반하여 전압을 충전한다.
전압의 충전은, 인젝터 장치가 약물 주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압을 획득하는 동작일 수 있다.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의 전력원이나, 인젝터 장치에 구비된 배터리를 통해 필요한 전압을 획득할 수 있다. 전압의 충전은 미리 정해진 임계 값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307s)에서 인젝터 장치는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한다.
인젝터 장치는, 약물 주입에 필요한 전압이 충전되는 것에 대응하여, 약물 주입을 시작하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트리거링 메시지는 약물 주입을 개시하기 위한 것으로, 물리적이거나 전자적인 모든 구동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링 메시지는 동작 개시 메시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수신될 수 있다.
단계(309s)에서 인젝터 장치는 충전된 전압을 출력한다.
인젝터 장치는,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충전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되는 전압은, 인젝터 장치에 포함된 바늘이나 기타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으로 이용될 수 있다. 출력되는 전압과 충전되는 전압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주입하고자 하는 약물의 주입 량, 주입 속도, 주기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단계(311s)에서 인젝터 장치는 약물 주입을 수행한다. 인젝터 장치는, 출력되는 전압에 기반하여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할 때, 인젝터 장치는, 추가적인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인젝터 장치는 과전류 보호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인젝터 장치가 전압을 출력하는 경우, 출력되는 전압이 일정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차단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의 전송은, 인젝터 장치와 연결된 외부 서버 또는 외부 출력 장치로 수행되거나, 인젝터 장치 자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수단에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전압이 임계 치 이상이라 함은, 인젝터 장치에서 출력되는 전압으로 인하여, 약물 주입의 대상이 되는 인체에 흐르게 되는 전류가 설정 전류 이상으로 흐르게 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설정 전류는 인체에 유해한 정도에 따라 미리 지정된 값일 수 있다.
알림 메시지는, 경고를 의미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부저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부저음 출력 메시지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장비의 전원을 끄거나, 미리 정해진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알림 메시지를 해제할 수 있다.
인젝터 장치는 카트리지 미 장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젝터 장치는, 인젝터 장치에 장착되는 카트리지가 존재하지 않거나, 부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가 인젝터 장치에 구비된 트리거를 조작할 때 출력될 수 있다. 보다 포괄적으로, 인젝터 장치가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알림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는, 경고를 의미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부저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부저음 출력 메시지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장비의 전원을 끄거나, 카트리지를 바르게 장착함으로써 알림 메시지를 해제할 수 있다.
인젝터 장치는, 전압 출력 방지를 위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한 임계 전압까지 전압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전압이 출력되는 경우, 인젝터 장치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는, 경고를 의미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부저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부저음 출력 메시지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임계 전압까지 전압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임에도, 트리거링 메시지가 반복적으로 수신되는 경우에는 반복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인젝터 장치가 제품에서 구현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인젝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외부 서버로부터 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설정 값을 인젝터 장치에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입력된 방식은, 인젝터 장치에 구비된 통신부를 통해 설정 값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인젝터 장치에 구비된 입력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인젝터 장치에 출력 및 입력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는 UI에서 인젝터 장치의 구동 준비를 알리는 ready 또는 standby 버튼을 입력할 수 있다.
인젝터 장치는 구동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해, 안전 레버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UI 버튼 입력에 후속하여, 사용자는 인젝터 장치에 구비된 안전 레버를 해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UI에 표현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수신한 설정 값에 기반하여 미리 정해진 전압을 충전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사용자는 트리거를 조작하여 트리거링을 수행하거나, 트리거링 메시지를 인젝터 장치로 송신함으로써 트리거링을 개시할 수 있다. 트리거는 도 1에 도시된 트리거유닛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트리거링에 따라 충전된 전압에 대응되는 전압이 출력될 수 있고 출력된 전압은 샷(shot)을 출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applicator)로 표현되는 인젝터 장치는, 인젝터 장치에 구비된 바늘을 구동시키고, 약물을 인체로 주입할 수 있다. 약물 주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인젝터 장치에 구비된 안전 레버를 다시 안전 상태로 옮길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 주입을 위한 인젝터 장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설정 값을 수신하고, 외부로부터 동작 개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동작 개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설정 값에 기반하여 전압을 충전하고, 외부로부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충전된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전압에 기반하여 약물 주입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출력되는 전압이, 제1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출력되는 전압이 제1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1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출력되는 전압이 제1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인젝터 장치가 접촉하는 인체에 미리 정해진 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충전된 전압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인젝터 장치에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2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충전된 전압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전압이 제2 임계 값 이상으로 충전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전압이 제2 임계 값 이상으로 충전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3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알림 메시지는, 상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출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 값은, 상기 인젝터 장치에 구비된 바늘의 주입 깊이, 약물 주입 속도, 충전되는 전압, 1회 약물 주입 시 전압 출력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 주입을 위한 인젝터 장치의 동작 방법은, 외부로부터 설정 값을 수신하는 과정과, 외부로부터 동작 개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 개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설정 값에 기반하여 전압을 충전하는 과정과, 외부로부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충전된 전압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되는 전압에 기반하여 약물 주입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되는 전압이, 제1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되는 전압이 제1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1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되는 전압이 제1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인젝터 장치가 접촉하는 인체에 미리 정해진 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충전된 전압을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인젝터 장치에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2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충전된 전압을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전압이 제2 임계 값 이상으로 충전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압이 제2 임계 값 이상으로 충전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3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알림 메시지는, 상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출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 값은, 상기 인젝터 장치에 구비된 바늘의 주입 깊이, 약물 주입 속도, 충전되는 전압, 1회 약물 주입 시 전압 출력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장치(machine)(예: 전자 장치)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예: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장치가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EM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장치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장치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통합 이전에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 : 트리거유닛
100 : 일렉트로포레이션 인젝터
110 : 바디
111 : 제어버튼
120 : 파지손잡이
130 : 카트리지
140 : 전극니들출납가이드유닛
150 : 시린지안착대
160 : 시린지이송기구
170 : 플런저가압대
180 : 플런저이송기구
190 : 니들가이드유닛
191 : 전극
193 : 전후이동가이드

Claims (14)

  1. 약물 주입을 위한 인젝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설정 값을 수신하고,
    외부로부터 동작 개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동작 개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설정 값에 기반하여 전압을 충전하고,
    외부로부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충전된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전압에 기반하여 약물 주입을 수행하고
    상기 설정 값은, 인젝터 장치를 통해 약물을 인체에 주입할 때,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이고,
    상기 설정 값은, 최대 값과 최소 값을 가지고, 각 설정 값들에 대응되는 기능이 수행되는 주기 또는 간격(interval)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설정 값들에 대응되는 기능이 수행되는 주기 또는 간격(interval)에 관한 정보는
    인젝터 장치에 구비된 바늘(needle)이 인체 내에 주입되는 깊이 값,
    인젝터 장치에 포함된 약물이 인체로 주입되는 속도에 관한 값,
    인젝터 장치를 통해 약물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의 량, 전압의 크기에 관한 값, 인젝터 장치를 통해 1회의 약물을 주입할 때 출력하는 전압의 횟수에 관한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전압은 펄스 파 형태로 출력되고, 상기 횟수는 펄스 파가 몇 번 출력되는지에 대한 정보 및 또한 펄스의 간격이나 길이에 관한 값을 포함하고,
    상기 인젝터 장치는 니들에 의한 약액의 주입과 동시에 전극에 의한 전기장 인가를 통해 약액이 체내로 침투되도록 하고,
    상기 인젝터 장치는
    사용자 또는 시술자가 파지가능한 건 형태의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후방 상측에는 내부에 장착된 시린지의 수동 전진 또는 수동 후진의 설정을 위한 제어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의 후방 상측 내부에는 제어버튼에 연계되는 별도의 제어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하측에는 파지손잡이가 구비되고, 파지손잡이 내에는 제어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손잡이의 전방에는 작동을 온(ON) 또는 오프(OFF)하기 위한 트리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상부에는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카트리지의 전방에는 약액 주입을 위한 니들과 전류 인가를 위한 전극의 동시출납을 안내하는 니들전극출납가이드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는 니들을 포함하고 내부에 약액이 충진된 시린지가 교체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카트리지의 하측에는 시린지가 안착지지되는 시린지안착대가 자력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바디에는 시린지안착대를 전후왕복 이동시키는 리드스크류 형태의 시린지이송기구가 구비되고,
    시린지의 플런저를 전방으로 미는 플런저가압대도 리드스크류 형태의 플런저이송기구에 의해 전후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출력되는 전압이, 제1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출력되는 전압이 제1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1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출력되는 전압이 제1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인젝터 장치가 접촉하는 인체에 미리 정해진 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충전된 전압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인젝터 장치에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2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충전된 전압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전압이 제2 임계 값 이상으로 충전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전압이 제2 임계 값 이상으로 충전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3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 알림 메시지는,
    상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장치.
  7. 삭제
  8. 약물 주입을 위한 인젝터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외부로부터 설정 값을 수신하는 과정과,
    외부로부터 동작 개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 개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설정 값에 기반하여 전압을 충전하는 과정과,
    외부로부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충전된 전압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되는 전압에 기반하여 약물 주입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 값은, 인젝터 장치를 통해 약물을 인체에 주입할 때,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이고,
    상기 설정 값은, 최대 값과 최소 값을 가지고, 각 설정 값들에 대응되는 기능이 수행되는 주기 또는 간격(interval)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설정 값들에 대응되는 기능이 수행되는 주기 또는 간격(interval)에 관한 정보는
    인젝터 장치에 구비된 바늘(needle)이 인체 내에 주입되는 깊이 값,
    인젝터 장치에 포함된 약물이 인체로 주입되는 속도에 관한 값,
    인젝터 장치를 통해 약물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의 량, 전압의 크기에 관한 값, 인젝터 장치를 통해 1회의 약물을 주입할 때 출력하는 전압의 횟수에 관한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전압은 펄스 파 형태로 출력될 수 있고, 상기 횟수는 펄스 파가 몇 번 출력되는지에 대한 정보 및 또한 펄스의 간격이나 길이에 관한 값을 포함하고,
    상기 인젝터 장치는
    니들에 의한 약액의 주입과 동시에 전극에 의한 전기장 인가를 통해 약액이 체내로 침투되도록 하고,
    사용자 또는 시술자가 파지가능한 건 형태의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후방 상측에는 내부에 장착된 시린지의 수동 전진 또는 수동 후진의 설정을 위한 제어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의 후방 상측 내부에는 제어버튼에 연계되는 별도의 제어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하측에는 파지손잡이가 구비되고, 파지손잡이 내에는 제어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손잡이의 전방에는 작동을 온(ON) 또는 오프(OFF)하기 위한 트리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상부에는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카트리지의 전방에는 약액 주입을 위한 니들과 전류 인가를 위한 전극의 동시출납을 안내하는 니들전극출납가이드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는 니들을 포함하고 내부에 약액이 충진된 시린지가 교체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카트리지의 하측에는 시린지가 안착지지되는 시린지안착대가 자력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바디에는 시린지안착대를 전후왕복 이동시키는 리드스크류 형태의 시린지이송기구가 구비되고,
    시린지의 플런저를 전방으로 미는 플런저가압대도 리드스크류 형태의 플런저이송기구에 의해 전후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출력되는 전압이, 제1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출력되는 전압이 제1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1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되는 전압이 제1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인젝터 장치가 접촉하는 인체에 미리 정해진 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충전된 전압을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인젝터 장치에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2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충전된 전압을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전압이 제2 임계 값 이상으로 충전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압이 제2 임계 값 이상으로 충전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3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3 알림 메시지는,
    상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방법.
  14. 삭제
KR1020200176227A 2020-12-16 2020-12-16 안전하게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17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227A KR102517422B1 (ko) 2020-12-16 2020-12-16 안전하게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227A KR102517422B1 (ko) 2020-12-16 2020-12-16 안전하게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738A KR20220086738A (ko) 2022-06-24
KR102517422B1 true KR102517422B1 (ko) 2023-04-05

Family

ID=82216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227A KR102517422B1 (ko) 2020-12-16 2020-12-16 안전하게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42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9440A (en) * 1993-04-01 1995-08-08 Genetronics, Inc. Electroporation system with voltage control feedback for clinical applications
US8428708B1 (en) * 2012-05-21 2013-04-23 Incline Therapeutics, Inc. Self-test for analgesic product
KR20200056509A (ko) * 2018-11-14 2020-05-25 메디허브 주식회사 자동주사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738A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11736B2 (ja) 使用済みカートリッジの検出を備える自動注射器および関連の方法
JP7068184B2 (ja) 調整可能な空気排出機構を備える自動注射器
US20230270945A1 (en) Front loaded auto injector for administering a medicament
EP3116566B1 (en) Injection device
AU2016273900B2 (en) Charg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N110809484B (zh) 具有重构处理支承件的自动注射器
US2019022441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pharmaceutical injection device
KR102517422B1 (ko) 안전하게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60305740A1 (en) Gun Control Unit with Computerized Multi-Function Display
WO2011045611A3 (en) Injector apparatus having a clutch to inhibit forward movement of the plunger
JP2005514119A (ja) 薬剤注入装置及びその改良
KR20210060618A (ko) 전도성 전기 무기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20190129043A (ko) 주입기 장치
RU2017105279A (ru) Способ генерирования контрольного сигнал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контролирующего средства или модуля безопасности
WO2014153341A1 (en) Code sequence control of infrared blaster
JP2021087342A5 (ko)
CN109918009B (zh) 一种交互式控制方法及系统
WO2018166699A1 (en) Injector device
KR20150062470A (ko) 박격포 시스템의 자동장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6363451B2 (ja) 送液ポンプ
JP2023035682A (ja) 操作制御装置、操作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326146B2 (ja) パチンコ発射機の駆動方法及び装置
WO2024083868A1 (en) Injection device
JP2021132358A5 (ko)
EP2711871A3 (en) IC card and IC card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