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355B1 - 탄산 포집성을 향상시킨 홍삼 함유 탄산음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탄산 포집성을 향상시킨 홍삼 함유 탄산음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355B1
KR102517355B1 KR1020150172488A KR20150172488A KR102517355B1 KR 102517355 B1 KR102517355 B1 KR 102517355B1 KR 1020150172488 A KR1020150172488 A KR 1020150172488A KR 20150172488 A KR20150172488 A KR 20150172488A KR 102517355 B1 KR102517355 B1 KR 102517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cyclodextrin
weight
composition
ginseng concen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6006A (ko
Inventor
정승호
박병배
최창일
최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50172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355B1/ko
Publication of KR20170066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40Effervescence-generating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2Cyclodextr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산 포집성을 향상시킨 홍삼 함유 탄산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시클로덱스트린을 추가 사용하여 기존 홍삼 탄산 음료가 가지는 문제점(홍삼 특유 쓴 맛, 탄산감 저감)을 해결한 홍삼 함유 탄산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산 포집성을 향상시킨 홍삼 함유 탄산음료 조성물{Nano-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stabilized oil of high content}
본 발명은 탄산 포집성을 향상시키고 쓴맛을 감소시킨 홍삼 함유 탄산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홍삼(紅蔘)은 예로부터 한약재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인삼을 증기로 찌어 만들어진 인삼의 가공품이다. 찌는 과정에서 인삼이 붉게 변하므로 홍삼이라 명명되었고, 또한 쓴맛이 빠져서 인삼에 비해 관능적으로 거부감이 적다.
국내 시중에는 이미 홍삼을 원재료로 사용한 식품,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등이 여러 가지 제형으로 출시되었다. 소비자들 또한 홍삼이 건강에 좋다는 인식을 갖고 있고, 실제로 홍삼의 효능으로서 항암작용, 항당뇨 효과, 노화 방지 효과, 피로 회복, 운동능력 증진, 혈액순환 개선, 동맥경화 예방, 숙취 제거, 항피로 효과, 항스트레스 효과, 면역력 증진, 골다공증 예방 등이 있다.
홍삼의 효능의 대표적인 유효성분은 사포닌이다. 사포닌은 스테로이드 등과 당으로 구성된 배당체로서, 물에 녹아 비누식의 발포작용을 나타내는 천연계면활성물질의 총칭이다.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사포닌 중에서도 특히 홍삼, 인삼의 사포닌을 진세노사이드라고 한다. 이들 진세노사이드는 다른 식물의 사포닌과는 다른 화학구조와 효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인삼을 뜻하는 Ginseng과 배당체를 뜻하는 Glycoside를 합성하여 Ginsenoside라 명명되었다. 인삼으로부터 홍삼을 제조 시에는 진세노사이드의 화학구조가 변하여 새로운 성분을 생성하기도 한다. 지금까지 고려인삼(홍삼포함)으로부터 30여종 이상의 진세노사이드가 분리 동정되었고, 각 진세노사이드의 약리작용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대표적인 진세노사이드의 효능은 다음과 같다. 진세노사이드 Rb1은 항염증 작용, 기억력 개선, 혈소판 응집 억제, 간 보호효과 등이 있고, 진세노사이드 Rb2는 동맥경화 방지, 항당뇨 효과 등이 있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Rg1은 면역력 증대, 항피로 효과, 콜레스테롤 대사촉진 등의 효능이 있고, 진세노사이드 Rg2는 혈소판응집 억제, 기억력 개선 등의 효능이 있다. 법적으로 홍삼은 면역력 증진, 피로개선, 혈소판 응집억제를 통한 혈액흐름 개선, 기억력 개선, 항산화 효과를 인정받았다.
홍삼에는 사포닌 외에도 산성다당체, 폴리아세틸렌, 폴리페놀, 단백질 성분 등이 함유되어 있다. 홍삼의 효능은 사포닌뿐만 아니라 기타 성분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현된다고 볼 수 있다.
이 같은 홍삼을 함유한 액체 조성물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홍삼 특유의 쓴 맛에 소비자들이 거부감을 느끼기도 하고, 홍삼 농축액 등의 함유로 인해 제조 과정 중 후살균 과정을 거칠 때 고온 환경으로 인해 조성물 내의 탄산이 빠져나가 함량이 감소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음용 시 탄산감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특허 출원 제2012-0139029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시클로덱스트린을 일정 량 사용하여 홍삼 특유의 쓴 맛을 감소시키면서 탄산 포집성을 향상시킨 홍삼 함유 탄산음료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 농축액; 시클로덱스트린 및 탄산가스를 포함하는 탄산 포집성을 향상시킨 홍삼 함유 탄산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홍삼 농축액; 시클로덱스트린 및 탄산가스를 포함하는 탄산 포집성을 향상시킨 홍삼 함유 탄산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탄산 음료 조성물은 시클로덱스트린을 일정 량 추가 사용하여 홍삼 특유의 쓴 맛을 감소시키면서 탄산 포집성을 향상시켰다.
도 1은 홍삼 함유 탄산음료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홍삼 농축액; 시클로덱스트린 및 탄산가스를 포함하는 탄산 포집성을 향상시킨 홍삼 함유 탄산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홍삼 농축액의 원료인 홍삼은 일반 시중에 판매되는 홍삼을 사용하여도 좋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홍삼 농축액은 홍삼 원료를 선별하여 세척, 세절한 뒤에 물과 주정혼합액으로 홍삼 내 성분을 침출하고, 여과 후, 여액을 한번 더 침출한 뒤에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홍삼 농축액은 상기와 같은 홍삼을 원료로 하여 홍삼액 추출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고형분이 60% 이상(60-70%), 진세노사이드(Rg3) 1.0 ㎎/g 이상(1.0~5.0 ㎎/g)이 함유된 홍삼 농축액을 사용하며, 시중에 판매되는 홍삼 농축액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시클로덱스트린은 환형(環形)이라는 뜻의 '시클로'와 올리고당을 의미하는 '덱스트린'의 합성어로 수 개의 글루코오스 잔기가 α-1,4-결합으로 연결된 비환원성 환상 덱스트린이다. 환형올리고당으로도 불리며 머리글자만 따서 CD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시클로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란스페라아제(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가 전분에 작용하였을 때 생성된다.
시클로덱스트린은 포도당이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진 올리고당의 양끝이 결합한 구조이다. 포도당이 6개 결합하여 고리가 된 것을 α-cyclodextrin, 7개 결합한 것을 β-cyclodextrin, 8개 결합한 것을 γ-cyclodextrin이라 한다.
시클로덱스트린의 용도는 향료, 향신료 등의 휘발성 물질의 휘발성의 억제, 비타민 등의 불안정 물질의 안정화, 생선 냄새, 짐승 냄새 등 불쾌취의 가리움, 난용성, 불용성 물질의 가용화, 조해성 물질, 점착성 물질의 분체화 등에 이용되고 식품뿐만 아니라 의약품, 화장품, 농약의 각 분야에서도 점차로 용도가 열리고 있다.
시클로덱스트린은 구조적으로 겉은 친수성, 고리 내부는 친유성이다. 이로 인해 수용액 상에서 친유성 물질을 고리 내부에 결합시켜서, 친유성 물질을 친수성 용매 내에 분산시킬 수 있다. 시클로덱스트린 내부에 결합된 성분은 산화, 가수분해 등의 반응이 덜 일어나 안정화되는 경향이 있다. 조성물 내의 불쾌하거나 쓴맛 성분을 시클로덱스트린 고리 내부로 결합시켜서, 섭취 시 불쾌한 맛 혹은 쓴맛을 느끼지 않게 하는 효과도 있다.
이처럼 시클로덱스트린은 1nm 이하의 분자를 내부에 포접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그 같은 구조적 틈새에 이산화탄소가 결합하여, 조성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이를 적용하였다.
이러한 시클로덱스트린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홍삼 농축액 1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 또는 15 내지 4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너무 적게 사용하게 되면 탄산감을 향상시키기에 양이 충분하지 못하고, 홍삼의 쓴 맛을 감소시키기 어려우며, 너무 많이 사용하면 시클로덱스트린 특유의 맛이 강하게 느껴져 오히려 탄산감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탄산 가스는 홍삼 농축액 1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5 중량부 또는 5 내지 13 중량부를 포함함으로써 최종 제품의 CO2 volume이 저탄산(2.2~2.6 volume)에서 중탄산(3.0~ 3.5 volume) 범위로 일반 용기에서 후 살균을 할 수 있는 기준으로 2.2~3.0의 범위가 되도록 주입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조성 성분 외에 감미료, 산도 조절제, 생약 성분, 자양강장제, 색소, 향료, 보존료 및 pH 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 및 정제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홍삼 농축액 1 중량부에 대하여 300 내지 7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관능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하는 감미료로서 설탕, 과당, 포도당, 올리고당의 당류 혹은 합성감미료인 아세설팜K, 수크랄로스, 스테비오사이드, 아스파탐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산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산도 조절제로 구연산, 사과산, 말산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약리 효과를 증진할 목적으로 홍삼 외의 생약 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생약 성분으로 음양곽, 구기자, 당귀, 감초 등의 농축액을 홍삼 농축액 1 중량부에 대하여 0.1 ~ 2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자양강장 효능을 증진하기 위해 염산피리독신, 니코틴산아미드, 리보플라빈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의 관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요 시 색소, 향료, 보존료, pH 조절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3: 홍삼 탄산 음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배합을 바탕으로 도 1의 공정을 통해 홍삼 탄산 음료 조성물을 100 ml 병으로 제조하였다. 홍삼 농축액은 보락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고형분 60% 이상이고, 진세노사이드(Rg3) 1.4mg/g 이상인 것이다.
원료 원료기준 배합비 (단위: 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홍삼추출농축액 0.04 0.04 0.04
감초추출액 0.03 0.03 0.03
시클로덱스트린 0.95 0 3
리보플라빈 0.0038 0.0038 0.0038
염산피리독신 0.019 0.019 0.019
니코틴산아미드 0.019 0.019 0.019
설탕 7.8 7.8 7.8
액상과당 8.4 8.4 8.4
결정구연산 0.2 0.2 0.2
구연산나트륨 0.03 0.03 0.03
카라멜색소 0.1 0.1 0.1
향료 2.12 2.12 2.12
이산화탄소 0.403 0.403 0.403
정제수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총합 100
실험예 1: 시클로덱스트린 함유에 따른 탄산감 향상 평가
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함으로써 실제로 탄산감이 향상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 검사는 경력 15년 이상의 숙련된 패널의 5점 척도법(5: 매우 우수, 4: 우수,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패널1 4.1 3.9 3.8
패널2 4.5 3.8 3.9
패널3 4.4 4.3 4
패널4 4.2 4.3 4.2
패널5 3.9 4 3.7
평균값 4.22 4.06 3.92
상기 표 2의 결과에 따라, 실시예 1의 배합비율로 제조한 조성물이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하며 탄산의 상쾌감을 가장 강하게 느낄 수 있었다. 이는 시클로덱스트린을 적정량 함유하여, 조성물 내 이산화탄소의 포집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하였다. 반면 실시예 3과 같이 시클로덱스트린을 과량 투입하면 시클로덱스트린 특유의 맛이 강하게 느껴져 관능적으로 좋지 않았다.
실험예 2: 시클로덱스트린 함유에 따른 쓴맛 감소 평가
추가적으로 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함으로써 조성물의 쓴맛이 감소하는지 평가하였다.
실험방법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고, 관능패널이 쓴맛의 정도만을 5점 척도법(5: 아주 강한 쓴맛, 4: 강한 쓴맛, 3: 보통 쓴맛, 2: 약한 쓴맛, 1: 쓴맛 없음)으로 수치화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패널1 3.5 4 3.3
패널2 3.7 4.3 3.5
패널3 3.3 3.8 3.3
패널4 3.4 3.8 3
패널5 3.4 3.7 3.5
평균값 3.46 3.92 3.32
상기 표 3의 결과에 따라 시클로덱스트린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쓴맛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시클로덱스트린의 고리구조 내부로 쓴맛 성분이 결합하여, 음용 시 미각수용체에 직접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해석하였다.
실험예 3: 조성물의 시클로덱스트린 함유량에 따른 CO 2 볼륨 측정
본 조성물의 시클로덱스트린 함유량과 보관 온도 조건에 따라서, 실제 탄산의 잔존량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기 위해 CO2 Volume을 측정하였다. 측정 시료는 상기 표 1의 배합을 바탕으로 도 1의 공정을 통해 100ml 병으로 제조하였다.
측정방법으로써 zahmnagel사 CO2 Volume 측정기를 사용하여 물리적 힘을 이용한 시험법으로 측정하였다. 평가하고자 하는 시료를 40 ℃ incubator에 넣어 2일 간격으로 6차례, 총 10일간 5 ℃, 15 ℃, 25 ℃ 조건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각 조건별 CO2 Volume값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온도 시료 40℃
0일
40℃
2일
40℃
4일
40℃
6일
40℃
8일
40℃
10일
CO2 Volume 25℃ 실시예 1 2.50 2.42 2.27 2.09 1.85 1.63
실시예 2 2.49 2.42 2.24 2.05 1.80 1.60
실시예 3 2.50 2.43 2.30 2.10 1.89 1.70
15℃ 실시예 1 2.48 2.39 2.29 2.04 1.84 1.65
실시예 2 2.50 2.39 2.20 1.95 1.76 1.59
실시예 3 2.49 2.40 2.29 2.10 1.90 1.71
5℃ 실시예 1 2.50 2.38 2.25 2.05 1.84 1.63
실시예 2 2.51 2.30 2.15 1.95 1.76 1.55
실시예 3 2.50 2.40 2.30 2.10 1.89 1.73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5℃에서 측정 시 실시예 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으나, 시료의 온도가 내려갈수록 두 시료간 CO2 Volume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특히, 5℃에서는 그 유의적 차이가 발생하며, 시클로덱스트린의 함량이 높을수록 CO2 Volume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홍삼 농축액, 시클로덱스트린 및 탄산가스를 포함하되,
    상기 시클로덱스트린은 홍삼 농축액 1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산 가스는 홍삼 농축액 1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탄산 포집성을 향상시킨 홍삼 함유 탄산음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농축액은 고형분이 60% 이상, 진세노사이드(Rg3)가 1.0 ㎎/g 이상이 함유된 것인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감미료, 산도 조절제, 생약 성분, 자양강장제, 색소, 향료, 보존료 및 pH 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홍삼 농축액 1 중량부에 대하여 300 내지 7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50172488A 2015-12-04 2015-12-04 탄산 포집성을 향상시킨 홍삼 함유 탄산음료 조성물 KR102517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488A KR102517355B1 (ko) 2015-12-04 2015-12-04 탄산 포집성을 향상시킨 홍삼 함유 탄산음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488A KR102517355B1 (ko) 2015-12-04 2015-12-04 탄산 포집성을 향상시킨 홍삼 함유 탄산음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006A KR20170066006A (ko) 2017-06-14
KR102517355B1 true KR102517355B1 (ko) 2023-04-03

Family

ID=5921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488A KR102517355B1 (ko) 2015-12-04 2015-12-04 탄산 포집성을 향상시킨 홍삼 함유 탄산음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3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5246A (ja) 2010-12-03 2012-06-21 Sanei Gen Ffi Inc 炭酸及び/又はアルコール含有飲料
KR101411195B1 (ko) 2006-07-04 2014-06-23 카오카부시키가이샤 발포성 용기에 담은 음료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66196C (zh) * 2002-09-10 2008-02-06 百事可乐公司 表面活性剂溶解饮料中水不溶性固体的用途
KR100865047B1 (ko) * 2007-04-16 2008-10-23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인삼추출물의 포접물을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271741B1 (ko) 2011-06-16 2013-06-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작업용 선박 및 그 선박의 설치방법
KR101591319B1 (ko) * 2013-12-03 2016-02-18 에프엔바이오 주식회사 홍삼 발포정의 제조방법
KR20160009732A (ko) * 2014-07-16 2016-01-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홍삼 농축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홍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195B1 (ko) 2006-07-04 2014-06-23 카오카부시키가이샤 발포성 용기에 담은 음료
JP2012115246A (ja) 2010-12-03 2012-06-21 Sanei Gen Ffi Inc 炭酸及び/又はアルコール含有飲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006A (ko)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0081B2 (en) Rebaudioside sweetener compositions and food products sweetened with same
KR101852555B1 (ko) 알룰로스 함유 시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AU2014265910C1 (en) Compositions and comestibles
JP6998884B2 (ja) 経口摂取または経口使用のためのステビオール配糖体組成物
JP6271338B2 (ja) 非発酵ビールテイスト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4726269B2 (ja) 内服液剤
CN101686721A (zh) 增甜组合物
JP6378513B2 (ja) ヘスペリジン含有飲料、苦味改善剤及び苦味改善方法
JP2019134714A (ja) フラボノイド包接化合物の製造方法
BR112018076294B1 (pt) Bebida ou composição, método para modificar as características sensoriais de uma composição, e, produto alimentício
Balaswamy et al. Production of low calorie ready-to-serve fruit beverages using a natural sweetener, stevia (Stevia rebaudiana L.)
EP2236043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xtraktionssubstanz aus Blättern der süßen Brombeere
JP2017527309A (ja) 風味改良組成物、その使用及びそれを含む製品
KR102517355B1 (ko) 탄산 포집성을 향상시킨 홍삼 함유 탄산음료 조성물
JP2018007641A (ja) ノンアルコール飲料
JP6385484B2 (ja) 非発酵ビールテイスト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95717B1 (ko) 흑마늘홍삼 음료 베이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혼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6116620A1 (de) Cellobiosehaltiges getränk
JP7062499B2 (ja) いちょう葉エキス含有飲食品組成物
JP2005073588A (ja) サポニン含有経口製品およびサポニンの不快味低減方法
JPH03160977A (ja) 健康飲料
WO2019021485A1 (ja) グネチンc高含有メリンジョエキ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6895762B2 (ja) ヘスペリジンと高甘味度甘味料を併用することによって増強されたヘスペリジンの異臭が抑制された容器詰ヘスペリジン含有飲料
JP6280665B1 (ja) カラメル色素を含有する飲料
KR100405133B1 (ko) 다시마 올리고당 함유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