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032B1 - 쉴드 tbm터널공사에서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장치, 안전관리시스템 및 안전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쉴드 tbm터널공사에서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장치, 안전관리시스템 및 안전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032B1
KR102517032B1 KR1020200148296A KR20200148296A KR102517032B1 KR 102517032 B1 KR102517032 B1 KR 102517032B1 KR 1020200148296 A KR1020200148296 A KR 1020200148296A KR 20200148296 A KR20200148296 A KR 20200148296A KR 102517032 B1 KR102517032 B1 KR 102517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bm
shield
segment
shield jack
alarm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2744A (ko
Inventor
유창욱
차상훈
Original Assignee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8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032B1/ko
Publication of KR20220062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1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with a rotary drilling-head cutting simultaneously the whole cross-section, i.e. full-face machines
    • E21D9/112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with a rotary drilling-head cutting simultaneously the whole cross-section, i.e. full-face machines by means of one single rotary head or of concentric rotary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 E21D11/083Methods or devices for joining adjacent concret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21D9/0621Shield advanc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21D9/08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with additional boring or cutting means other than the conventional cutting edge of the shield
    • E21D9/087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with additional boring or cutting means other than the conventional cutting edge of the shield with a rotary drilling-head cutting simultaneously the whole cross-section, i.e. full-face machines
    • E21D9/0873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with additional boring or cutting means other than the conventional cutting edge of the shield with a rotary drilling-head cutting simultaneously the whole cross-section, i.e. full-face machines the shield being provided with devices for lining the tunnel, e.g. shutt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06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with rotary cutt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8Remot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machines for driving tunnels or galler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장치는 TBM을 굴진하기 위한 쉴드잭의 피스톤 단부에 결합되는 접촉패드에 구비되고, 터널 내부에 지보재로 설치되는 세그먼트에 접촉하는 접촉패드의 접촉면보다 상기 세그먼트 방향으로 돌출되는 사전접촉인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쉴드 TBM터널공사에서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장치, 안전관리시스템 및 안전관리방법{The improved safety management device, system of shield TBM tunnel construction segment assembly work and safety manage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장치, 안전관리시스템 및 안전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작업에서 안전성이 향상되는 안전관리장치, 안전관리시스템 및 안전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TBM(Tunnel Boring Machine) 터널공사는 굴진, 세그먼트(segment) 조립, 뒤채움주입과정의 반복으로 이루어진다.
도1에 TBM 구조가 나타나 있다. 도1을 참조하여 TBM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커터헤드를 회전하여 암반을 압쇄하고 압쇄된 암반조각들은 굴착 챔버로 이동하고, 굴착 챔버에서 벌크 헤드(bulk head)에 구비된 믹싱 아암(Mixing arms)에 의해 뒤섞인 다음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후방으로 운반된다.
그리고, 세그먼트 폭만큼 굴착이 완료되면 360도 회전이 가능한 이렉터(erector)로 세그먼트를 조립한다. 세그먼트 링은 주 지보재로서 지반의 붕괴방지와 공벽 보호, 차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TBM장비가 전진하기 위한 반력을 얻는 방법으로 세그먼트를 쉴드잭(유압잭)으로 밀면서 굴진한다.
세그먼트 조립작업은 보통 다음과 같다. 먼저 미니 기차로 세그먼트를 배달한다. 세그먼트는 철근콘크리트(RC)로서 6~8개의 조각으로 구성된다. 각 조각들은 세그먼트 조립장치(이렉터)를 이용하여 세그먼트 링으로 조립된다. 이 때 소규모로 구성된 작업자가 각 조각들이 설치되면 360도로 곡볼트를 체결하여 세그먼트를 이어붙인다.
이러한 과정에서 세그먼트 작업공간의 협소, 기계소음, 굴착소음, 작업자의 피로도 증가 등 어려운 여건에서 세그먼트 조립작업시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이 유발될 수 있고, 지하공간이라는 열악한 작업환경에서 24시간 연속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안전사고(협착)의 위험이 상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쉴드잭 작동시 작업자가 사전에 위험을 인지하고 주위를 환기하여 작업자의 재해를 방지할 수 있는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시 안전관리장치, 안전관리시스템 및 안전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장치는 TBM(Tunnel Boring Machine)을 굴진하기 위한 쉴드잭의 피스톤 단부에 결합되는 접촉패드에 구비되고, 터널 내부에 지보재로 설치되는 세그먼트에 접촉하는 접촉패드의 접촉면보다 상기 세그먼트 방향으로 돌출되는 사전접촉인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장치는 TBM(Tunnel Boring Machine)을 굴진하기 위한 쉴드잭의 피스톤 단부에 결합되는 접촉패드에 구비되고, 터널 내부에 지보재로 설치되는 세그먼트에 접촉하는 접촉패드의 접촉면보다 상기 세그먼트 방향으로 돌출되는 사전접촉인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전접촉인지부재는 상기 접촉패드가 상기 세그먼트에 접촉시 상기 세그먼트의 내주면 일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전접촉인지부재는 고무(rubber)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전접촉인지부재는 판(plate) 형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시스템은 TBM(Tunnel Boring Machine)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경광등; 상기 경광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경광등 컨트롤러; 상기 TBM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경보음 스피커; 상기 경보음 스피커의 작동을 제어하는 경보음 컨트롤러; 및 쉴드잭 작동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그 작동신호를 상기 경광등 컨트롤러 및 경보음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TBM 종합운영판넬부;를 포함하여 상기 TBM 종합운영판넬부로부터 신호가 상기 경광등 컨트롤러 및 경보음 컨트롤러에 전달되면 상기 경광등 및 상기 경보음 스피커가 각각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쉴드잭을 조작하기 위한 쉴드잭 조작판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쉴드잭 작동 스위치는 상기 쉴드잭 조작판넬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TBM을 굴진하기 위한 다수의 쉴드잭은 상기 TBM의 외측 가장자리에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경광등 및 상기 경보음 스피커는 외측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쉴드잭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구조물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광등은 5개가 배치되고, 상기 경보음 스피커는 3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TBM을 굴진하기 위한 상기 쉴드잭의 피스톤 단부에 결합되는 접촉패드에 구비되고, 터널 내부에 지보재로 설치되는 세그먼트에 접촉하는 접촉패드의 접촉면보다 상기 세그먼트 방향으로 돌출되는 사전접촉인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방법은 TBM(Tunnel Boring Machine)에서 쉴드잭을 작동시키기 위한 쉴드잭 작동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작동신호가 TBM 종합운영판넬부로 전달되는 단계; 상기 TBM 종합운영판넬부로부터 상기 작동신호가 경광등 컨트롤러로 전달되는 단계; 상기 TBM 종합운영판넬부로부터 상기 작동신호가 경보음 컨트롤러로 전달되는 단계; 상기 경광등 컨트롤러가 상기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경광등을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경보음 컨트롤러가 상기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경보음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쉴드 TBM 터널공사에서 쉴드잭 작동시 작업자가 사전에 위험을 인지하고 주위를 환기하여 작업자의 재해를 방지할 수 있는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시 안전관리장치, 안전관리시스템 및 안전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TBM장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세그먼트 조립시 세그먼트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세그먼트 삽입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곡볼트를 체결하여 세그먼트를 이어붙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세그먼트 조립작업시 작업자의 작업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경광등 및 경보음 스피커의 설치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서 TBM의 측면에서 경광등 및 경보음 스피커의 설치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전접촉인지부재가 쉴드잭의 접촉패드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종래 쉴드잭의 접촉패드가 세그먼트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사전접촉인지부재가 결합된 쉴드잭의 접촉패드가 세그먼트에 접촉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사전접촉인지부재가 결합된 쉴드잭의 접촉패드가 세그먼트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사전접촉인지부재가 결합된 쉴드잭의 접촉패드가 세그먼트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사전접촉인지부재가 결합된 쉴드잭의 접촉패드가 세그먼트에 완전히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장치, 안전관리시스템 및 안전관리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경광등 및 경보음 스피커의 설치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서 TBM의 측면에서 경광등 및 경보음 스피커의 설치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전접촉인지부재가 쉴드잭의 접촉패드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종래 쉴드잭의 접촉패드가 세그먼트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사전접촉인지부재가 결합된 쉴드잭의 접촉패드가 세그먼트에 접촉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사전접촉인지부재가 결합된 쉴드잭의 접촉패드가 세그먼트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사전접촉인지부재가 결합된 쉴드잭의 접촉패드가 세그먼트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사전접촉인지부재가 결합된 쉴드잭의 접촉패드가 세그먼트에 완전히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쉴드 TBM터널공사에서 TBM의 작동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커터헤드를 회전하여 암반을 압쇄하고 압쇄된 암반조각들은 굴착 챔버로 이동하며, 굴착 챔버에서 벌크 헤드(bulk head)에 구비된 믹싱 아암(Mixing arms)에 의해 뒤섞인 다음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후방으로 운반된다.
그리고, 세그먼트 폭만큼 굴착이 완료되면 360도 회전이 가능한 이렉터(erector)로 세그먼트를 조립한다. 세그먼트 조립 후에는 세그먼트를 쉴드잭(유압잭)으로 밀면서 그 반력으로 TBM장비가 굴진하게 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쉴드잭(400)(유압잭)(400)은 피스톤 로드(410)에 접촉패드(420)가 결합된다(도8 참조).
접촉패드(420)는 피스톤 로드(410)의 단부에 결합되어 세그먼트(50)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것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접촉패드(420)의 전면부가 피스톤 로드(410)의 단부에 결합되고, 접촉패드(420)의 후면부인 접촉면이 세그먼트(50)의 지지면(51)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접촉패드(420)가 피스톤 로드(410)의 단부에 결합되어 세그먼트(50)의 지지면(51)에 접촉됨으로써 쉴드잭(400)의 작동에 의해 세그먼트(50)를 조립하는 역할을 한다.
세그먼트(50)의 구성에 대해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세그먼트(50)는 굴착방향을 향하는 전방 지지면부(51)와 그 반대쪽 후방 결합면부(52), 쉴드의 중심을 향하는 내주면부(53), 내주면의 반대쪽 외주면부(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다수의 세그먼트(50)가 조립되어 터널의 지보재로서 쉴드(60)를 형성하게 된다.
TBM장비의 전진(굴진)은 쉴드잭(400)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쉴드잭(400)의 피스톤 로드(410)가 쉴드잭(400)으로부터 세그먼트(50)방향으로 인출되고, 피스톤 로드(410)에 결합된 접촉패드(420)가 세그먼트(50)의 지지면부(51)에 접촉하게 된다.
이 때, 피스톤 로드(410)의 접촉패드(420)와 세그먼트(50)의 지지면부(51) 사이에 작업자 또는 작업자의 손 등이 끼이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장치에서는 피스톤 로드(410)의 접촉패드(420)에 사전접촉인지부재(500)가 결합된다.
사전접촉인지부재(500)는 도8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패드(420)의 측면에 결합되고, 접촉패드(420)에서 세그먼트(50)의 지지면(51)에 접촉하는 접촉면(421)보다 돌출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패드(420)의 접촉면(421)보다 약 50mm~150mm 돌출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100mm정도 돌출된다.
사전접촉인지부재(500)는 잔넬(520)(channel)에 의해 접촉패드(420)에 결합되는데, 접촉패드(420)에 잔넬(520)이 결합되고, 이 잔넬(520)에 결합부재(510)에 의해 사전접촉인지부재(500)가 결합된다.
따라서, 쉴드잭(400)에서 피스톤 로드(410)의 접촉패드(420)가 세그먼트(50)의 지지면부(51)에 접촉할 때, 사전접촉인지부재(500)는 세그먼트(50)의 내주면부(53)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쉴드잭(400)의 작동과정은 도11 내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잭(400)에서 피스톤 로드(410)의 접촉패드(420)가 세그먼트(50)와 이격된 상태(도11 참조)에서 피스톤 로드(410)가 세그먼트(50) 쪽으로 인출되어 사전접촉인지부재(500)가 세그먼트(50)와 인접하고(도12 참조) 그 다음 피스톤 로드(410)의 접촉패드(420)가 세그먼트(50)에 완전히 접촉된 상태가 된다(도13 참조).
이와 같이 쉴드잭(400)의 피스톤 로드(410)가 세그먼트(50) 쪽으로 인출될 때 도12 및 도13에서와 같이 피스톤 로드(410)의 접촉패드(420)가 세그먼트(50)에 접촉하기 전에 사전접촉인지부재(500)가 세그먼트(50)에 접근하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이를 인지하여 위험을 회피함으로써 협착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인지시간을 살펴보면, 쉴드잭(400)에서 피스톤 로드(410)의 확장 길이를 2200mm, 확장 소요기간은 204초일 때, 확장 속도는 2200mm/204sec = 10.78mm/sec이 된다.
사전접촉인지부재(500)에서 접촉패드(420)로부터 돌출길이가 100mm인 경우 인지 후 회피시간은 100mm/10.78mm/sec = 9.27sec이 된다.
따라서, 약 9초동안 충분히 작업자가 위험으로부터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시스템은 TBM(Tunnel Boring Machine) 내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경광등(100); 상기 경광등(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경광등 컨트롤러(110); 상기 TBM 내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경보음 스피커(200); 상기 경보음 스피커(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경보음 컨트롤러(210); 및 쉴드잭(400) 작동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그 작동신호를 상기 경광등 컨트롤러(110) 및 경보음 컨트롤러(210)에 전달하는 TBM 종합운영판넬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경광등(100)은 쉴드잭(400)이 세그먼트(50)로 인출되거나 인입될 때 작동하여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경광등(100)이 TBM 내부에서 쉴드잭(400)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구조물(80) 상에 배치된다.
도6,7은 경광등(100) 및 경보음 스피커(200)의 배치를 나타낸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경광등(100)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경광등(100)은 쉴드잭(400) 내측의 내부구조물에서 쉴드잭(400) 주변 3m~7m간격으로 상하좌우에 배치한다.
상기 경광등 컨트롤러(110)는 경광등(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TBM 종합운영판넬부(300)로부터 쉴드잭(400) 작동신호가 전달되면 경광등(100)을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위험을 알리게 된다.
상기 경보음 스피커(200)는 쉴드잭(400)이 세그먼트(50)로 인출되거나 인입될 때 경보음을 작동하여 작업자에게 청각적으로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경보음 스피커(200)가 TBM에서 쉴드잭(400)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구조물(80) 상에 배치된다.
도6,7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경보음 스피커(200)가 배치되고, 경보음 스피커(200)는 쉴드잭(400) 내측의 내부구조물(80)에 배치되는데, 경광등(100)보다 세그먼트(50)가 형성하는 쉴드(60)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경보음 컨트롤러(210)는 경보음 스피커(2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TBM 종합운영판넬부(300)로부터 쉴드잭(400) 작동신호가 전달되면 경보음 스피커(200)를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위험을 알리게 된다.
상기 TBM 종합운영판넬부(300)는 TBM장비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쉴드잭 작동신호를 경광등 컨트롤러(110) 및 경보음 컨트롤러(210)에 전달하여 경광등(100) 및 경보음 스피커(200)가 작동되도록 한다.
쉴드잭 작동신호는 쉴드잭 작동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고 쉴드잭(400) 작동은 쉴드잭 조작판넬부(350)에 구비되는 쉴드잭 작동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쉴드잭 조작판넬부(350)는 전반적인 쉴드잭(400) 작동을 위한 것으로, 쉴드잭(400)에서 피스톤 로드(410)를 인출하거나 쉴드잭(400)으로 피스톤 로드(410)를 인입할 경우 세그먼트(50) 조립 운전원이 쉴드잭 조작판넬부(350)의 쉴드잭 작동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게 되고, 쉴드잭 작동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그 작동신호가 TBM 종합운영판넬부(300)로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은 안전관리장치로서 쉴드잭(400)에 사전접촉인지부재(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전접촉인지부재(500)는 상술하여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안전관리시스템에서의 안전관리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방법은 TBM(Tunnel Boring Machine)에서 쉴드잭 작동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쉴드잭 조작판넬부(350)로부터 쉴드잭 작동신호가 TBM 종합운영판넬부(300)로 전달되는 단계; 상기 TBM 종합운영판넬부(300)로부터 상기 작동신호가 경광등 컨트롤러(110)로 전달되는 단계; 상기 TBM 종합운영판넬부(300)로부터 상기 작동신호가 경보음 컨트롤러(210)로 전달되는 단계; 상기 경광등 컨트롤러(110)가 상기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경광등(100)을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경보음 컨트롤러(210)가 상기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경보음 스피커(200)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쉴드잭(400)에서 피스톤 로드(410)를 인출하거나 쉴드잭(400)으로 피스톤 로드(410)를 인입할 경우 세그먼트(50) 조립 운전원이 쉴드잭(400)을 작동시키기 위해 쉴드잭 조작판넬부(350)의 쉴드잭 작동스위치를 조작하면, 쉴드잭 작동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쉴드잭 조작판넬부(350)로부터 쉴드잭 작동신호가 TBM 종합운영판넬부(300)로 전달된다.
TBM 종합운영판넬부(300)에서 쉴드잭 조작판넬부(350)로부터 상기 작동신호를 수신하면 TBM 종합운영판넬부(300)에서는 그 작동신호를 각각 경광등 컨트롤러(110)와 경보음 컨트롤러(21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경광등 컨트롤러(110) 및 경보음 컨트롤러(210)가 그 작동신호를 수신하면 각각 경광등 컨트롤러(110)는 경광등(100)을 작동시키고, 경보음 컨트롤러(210)는 경보음 스피커(200)를 작동시켜 경광등(100) 및 경보음이 동시에 작동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세그먼트(50) 체결 및 TBM 전진을 위해 쉴드잭(400) 작동시 경광등(100) 및 경보음이 동시에 작동하여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으로 위험을 인지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 TBM 30 : 쉴드잭
50 : 세그먼트 60 : 쉴드
80 : TBM 내부구조물 100 : 경광등
110 : 경광등 컨트롤러 200 : 경보음 스피커
210 : 경보음 컨트롤러 300 : TBM 종합운영판넬부
350 : 쉴드잭 조작판넬부 400 : 쉴드잭
410 : 피스톤 로드 420 : 접촉패드
500 : 사전접촉인지부재 520 : 잔넬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TBM(Tunnel Boring Machine)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경광등(100);
    상기 경광등(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경광등 컨트롤러(110);
    상기 TBM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경보음 스피커(200);
    상기 경보음 스피커(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경보음 컨트롤러(210); 및
    쉴드잭 작동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쉴드잭 작동신호를 상기 경광등 컨트롤러(110) 및 경보음 컨트롤러(210)에 전달하는 TBM 종합운영판넬부(300);
    를 포함하여 상기 TBM 종합운영판넬부(300)로부터 작동신호가 상기 경광등 컨트롤러(110) 및 경보음 컨트롤러(210)에 전달되면 상기 경광등(100) 및 상기 경보음 스피커(200)가 각각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쉴드잭(400)을 조작하기 위한 쉴드잭 조작판넬부(3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쉴드잭 작동 스위치는 상기 쉴드잭 조작판넬부(350)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TBM을 굴진하기 위한 다수의 쉴드잭(400)은 상기 TBM의 외측 가장자리에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경광등(100) 및 상기 경보음 스피커(200)는 외측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쉴드잭(400)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구조물(80)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광등(100)은 5개가 배치되고, 상기 경보음 스피커(200)는 3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TBM을 굴진하기 위한 상기 쉴드잭(400)의 피스톤 단부에 결합되는 접촉패드(420)에 구비되고, 터널 내부에 지보재로 설치되는 세그먼트(50)에 접촉하는 접촉패드(420)의 접촉면보다 상기 세그먼트(50) 방향으로 돌출되는 사전접촉인지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시스템.
  11. TBM(Tunnel Boring Machine)에서 쉴드잭(400)을 작동시키기 위한 쉴드잭 작동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작동신호가 TBM 종합운영판넬부(300)로 전달되는 단계;
    상기 TBM 종합운영판넬부(300)로부터 상기 작동신호가 경광등 컨트롤러(110)로 전달되는 단계;
    상기 TBM 종합운영판넬부(300)로부터 상기 작동신호가 경보음 컨트롤러(210)로 전달되는 단계;
    상기 경광등 컨트롤러(110)가 상기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TBM 내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경광등(100)을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경보음 컨트롤러(210)가 상기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TBM 내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경보음 스피커(200)를 작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TBM을 굴진하기 위한 다수의 상기 쉴드잭(400)은 상기 TBM의 외측 가장자리에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경광등(100) 및 상기 경보음 스피커(200)는 외측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쉴드잭(400)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구조물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TBM을 굴진하기 위한 상기 쉴드잭(400)의 피스톤 단부에 결합되는 접촉패드(420)에 구비되고, 터널 내부에 지보재로 설치되는 세그먼트(50)에 접촉하는 접촉패드(420)의 접촉면보다 상기 세그먼트(50) 방향으로 돌출되는 사전접촉인지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TBM터널공사의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방법.
KR1020200148296A 2020-11-09 2020-11-09 쉴드 tbm터널공사에서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장치, 안전관리시스템 및 안전관리방법 KR102517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296A KR102517032B1 (ko) 2020-11-09 2020-11-09 쉴드 tbm터널공사에서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장치, 안전관리시스템 및 안전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296A KR102517032B1 (ko) 2020-11-09 2020-11-09 쉴드 tbm터널공사에서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장치, 안전관리시스템 및 안전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744A KR20220062744A (ko) 2022-05-17
KR102517032B1 true KR102517032B1 (ko) 2023-04-03

Family

ID=81803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296A KR102517032B1 (ko) 2020-11-09 2020-11-09 쉴드 tbm터널공사에서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장치, 안전관리시스템 및 안전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0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7247B2 (ja) * 1989-10-02 1999-01-13 大成建設株式会社 シールドマシンにおけるテールクリアランスの測定装置
KR100192752B1 (ko) * 1995-06-24 1999-06-15 카타다 테쯔야 실드굴진기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CN110513116A (zh) 2019-09-30 2019-11-29 西南石油大学 一种隧道顶进施工导向的监测装置及监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8904B2 (ja) * 1993-03-22 1999-11-02 東京瓦斯株式会社 掘削機の方向修正装置
JPH11159282A (ja) * 1997-11-26 1999-06-15 Mitsubishi Heavy Ind Ltd トンネル掘削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7247B2 (ja) * 1989-10-02 1999-01-13 大成建設株式会社 シールドマシンにおけるテールクリアランスの測定装置
KR100192752B1 (ko) * 1995-06-24 1999-06-15 카타다 테쯔야 실드굴진기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CN110513116A (zh) 2019-09-30 2019-11-29 西南石油大学 一种隧道顶进施工导向的监测装置及监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744A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8023A (ko) 자유면을 이용한 무진동 암반 굴착 방법
KR101838663B1 (ko) 암반 tbm 터널의 단층파쇄구간 보강방법
US39959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of bolting and transferring mined material
KR102517032B1 (ko) 쉴드 tbm터널공사에서 세그먼트 조립 안전관리장치, 안전관리시스템 및 안전관리방법
JP6405768B2 (ja) トンネルの断面拡大工法
CN209976545U (zh) 一种用于隧道联络通道的施工装备
JP4543130B2 (ja) トンネル拡幅装置
JP6217095B2 (ja) トンネル掘進機の掘進再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トンネル掘進機
CN114086979A (zh) 一种子母结构的硬岩tbm
KR101636720B1 (ko) 전후진 이동가능 굴착장치
KR101482590B1 (ko) 열차 운용을 고려하여 굴착장비와 작업차량을 연결하는 철도터널의 확폭 장비 및 그 방법
JP2000226996A (ja) 移動式吹付け作業架台およびこれを用いたトンネル施工方法並びに吹付け作業の遠隔操作方法
KR101170011B1 (ko) 터널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속 터널시공방법
JP3512012B2 (ja) 掘進機の掘進方法
JP6746483B2 (ja) トンネル掘進機
JP3987982B2 (ja) トンネル掘削機のコンクリート吹付け装置
JP3631842B2 (ja) トンネル掘削機及び掘削方法
JP3330210B2 (ja) 岩盤トンネルの掘削工法および岩盤トンネル掘削機
CN216767396U (zh) 一种子母结构的硬岩tbm
JP2001082072A (ja) トンネル拡幅装置
JP2668634B2 (ja) 導管路の施工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エントランスパッキン装置
JP3670753B2 (ja) トンネル掘削機及び掘削方法
JPH06129195A (ja) 移動覆工型枠
KR20230173338A (ko) 작업 자유도가 향상된 커터를 이용한 터널 굴착방법
CN113266383A (zh) 一种夯管式掘进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