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002B1 - 루어 락 커넥터를 갖는 주사기 - Google Patents

루어 락 커넥터를 갖는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002B1
KR102517002B1 KR1020197027784A KR20197027784A KR102517002B1 KR 102517002 B1 KR102517002 B1 KR 102517002B1 KR 1020197027784 A KR1020197027784 A KR 1020197027784A KR 20197027784 A KR20197027784 A KR 20197027784A KR 102517002 B1 KR102517002 B1 KR 102517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er
syringe
conical portion
cone
truncated con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9114A (ko
Inventor
유디트 아우어바흐
바스티안 피셔
헬레나 데르크젠
옌스 마이스
Original Assignee
쇼트 파마 슈바이츠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트 파마 슈바이츠 아게 filed Critical 쇼트 파마 슈바이츠 아게
Publication of KR20200019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7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rotatable, e.g. bayonet or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5/3137Specially designed finger grip means, e.g. for easy manipulation of the syringe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03Leak prevention means for distal end of syringes,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43Damping means for syringe components executing relative movements, e.g. retarders or attenuators slowing down or timing syring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33Swivel nut connectors, e.g. threaded connectors, bayonet-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83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having a plurality of female connectors, e.g. Luer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88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having a plurality of male connectors, e.g. Luer conn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부분(3) 및 이에 연결되는 원뿔 형상 부분(4)을 갖는 주사기 몸체(2), 암나사(12)를 갖는 루어 칼라(11) 및 관통 채널(19)을 갖는 루어 원뿔(15)을 구비하는 루어 락 커넥터(10)를 구비하는, 주사기(1)에 관한 것이다. 주사기 몸체(2) 및 루어 락 커넥터(10)는, 단일 부품으로 설계되며 그리고 사이클릭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고, 루어 칼라(11)는, 자체의 외측 측면 상에 보강 리브들(18)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루어 락 커넥터를 갖는 주사기
본 발명은, 루어 락 커넥터를 갖는 주사기에, 그리고 주사기를 포함하는 의약품에 관한 것이다. 주사기의 주사기 몸체 및 루어 락 커넥터는,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사이클릭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다.
루어 락 커넥터를 갖는 주사기들은, 종래기술로부터 공지된다. 바늘들, 튜브들 또는 다른 부착 부품들과 같은 의학 장비의 품목들은, 루어 락 커넥터를 통해 주사기에 결합될 수 있다. 루어 락 커넥터의 요소들은, 우수한 누설 밀봉 및 강도를 동반하는 최적의 조립을 보장하기 위해, ISO 594/1, 2 및 ISO 80369-7에서 표준화된다. 루어 락 커넥터는, 주사기 측에, 약제를 위한 중앙 관통-채널을 갖는 수형 루어 원뿔(male Luer cone)을 구비하고, 그러한 루어 원뿔은, 암나사를 갖는 루어 칼라(Luer collar)에 의해 둘러싸인다. 그에 결합되는 부착물은, 루어 원뿔 내에 나사 결합되며 그리고 그에 따라 루어 원뿔에 밀접하게 연결될 때, 그의 외표면이 루어 칼라의 나사와 맞물리는, 암형 루어 부속품(female Luer fitting)을 구비한다.
많은 부착물 제조업체들이 그들 자신의 표준화되지 않은 커넥터 부품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상이한 부착물들이, 실제로, 루어 락 커넥터를 갖는 주사기에 결합된다. 따라서, 부착물의 외측면은, 예를 들어, 루어 칼라에 대응하는 연속적인 원주방향 나사를 구비할 수 있으며, 또는 그 대신에, 단지 짧은 축방향 부분에 걸쳐 루어 칼라의 나사와 맞물리는 요소들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ISO 594-1, 2 및 ISO 80369-7의 요건이 만족될 때에도, 사이클릭 올레핀 중합체들이 취성 거동을 갖기 때문에, 그리고, 부착물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너무 크고 표준이 아닌 경우, 파단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문제점들이 루어 락 연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된 바 있다. 이는, 특히 부착물이 너무 큰 토크로 나사 체결되는 경우에, 적용된다. 특히 부착물이 완전한 원주 방향 외측 나사를 갖지 않는 경우에, 매우 큰 국부적 힘이, 루어 락 커넥터 내부에 발생할 수 있다. 응력 파단이 이때, 내측의 루어 원뿔의 구역 및 외측의 루어 칼라의 구역 양자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이러한 응력 파단은, 루어 칼라의 전단으로 이어질 수 있고, 또는 이들은 심지어, 주사기 몸체의 또는 루어 연결의 누설 밀봉이 손상되도록, 주사기 몸체 내로 연장될 수 있다.
특히 높은 점성의 약제와 더불어, 높은 내부 압력이 또한, 주사기의 토출 도중에 주사기 몸체 및 루어 락 커넥터 상에 변형(strain)을 발생시킨다. 연결의 안정성은, 부가적인 처리에, 예를 들어 고압살균에 의해, 부가적으로 약화될 수 있다.
US 8,038,132는 마찬가지로, 루어 락 커넥터의 강도의 부족의 기술적 문제점을 해소한다. 루어 원뿔의 외측면이, 부착물이 그에 나사 체결될 수 있는 깊이를 제한하는, 기계적 받침대(abutment)를 갖도록 제공되는 것이, 제안된다. 더불어, 루어 나사와 맞물리는 부착물의 외측 부분이 그 내부로 연장될 수 있는, 부착물 아래의 캐비티가, 제안된다. 단점은, 루어 칼라가 여전히 파단의 위험에 놓이며, 그리고 도시된 기하형상의 루어 락 커넥터가 단지 어려움을 동반하는 경우에만 생성될 수 있다는 점이다.
EP 0838229는, 부착물이, 예를 들어 EP 0838229의 도 3에 따른 부착물이, 너무 멀게 나사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대를 갖는, 루어 칼라의 암나사를 제공하는 것을 제안한다. 대안적으로, 루어 락 커넥터 및 주사기 몸체 사이의 벽 두께가 상당히 증가되는 것이, 제안된다. 추가로, 환형 상승부 또는 단차부가 루어 칼라의 발부분에 제공되고, 그러한 상승부 또는 단차부는, 도 4B에 따른 암형 부착물의 측방 외향 편향을 방지하도록 의도되는 것이, 제안된다. 첫번째 방책이, 탄성중합체 커넥터 부품이 너무 멀게 나사 체결되는 것을 신뢰할 수 있게 방지할 수 없으며 그리고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없는 가운데, 두번째 제안된 해법은, 사출 성형에 의한 제조 시에, 문제점 또는 증가된 비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세번째 제안된 해법은 명백하게, 도 4B에 따른 특정 유형의 암형 커넥터에 밀접하게 연관되며 그리고, 탄성중합체 부착물 또는 상이하게 구성되는 부착물과 함께, 루어 칼라의 부하가 신뢰할 수 있게 배치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함께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되는 루어 락 커넥터를 갖는 주사기로서, 그러한 주사기는, 실무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부착물들과 조합으로, 영속적인 누출 밀봉 및 안정적인 루어 연결을 보장하며 그리고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는 것인, 주사기를 이용 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목적은, 독립 청구항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종속 청구항들에 기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는, 원통형 부분 및 원통형 부분에 인접한 절두 원뿔형 부분을 구비하는, 주사기 몸체 및, 암나사를 갖는 루어 칼라 및 관통-채널을 갖는 루어 원뿔을 구비하는, 루어 락 커넥터를 포함하고, 바닥 표면이 루어 칼라와 루어 원뿔 사이에 형성되며, 그리고 주사기 몸체 및 루어 락 커넥터는,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사이클릭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고, 루어 칼라는, 그의 외측면 상에 보강 리브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놀랍게도, 루어 칼라 상의 보강 리브들은, 루어 칼라의 강성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뿐만 아니라, 주사기 몸체로부터의 응력 파단의 전파가 또한 보강 리브들에 의해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보강 리브들을 갖지 않는 종래기술에 따른 원통형 루어 칼라들에서, 파단의 전파는, 비교적 방해받지 않아서, 전체 루어 원뿔이, 전단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반면, 보강 리브들을 갖는 루어 칼라들에서의 파단은 놀랍게도, 보강 리브들에서 정지한다. 더불어, 루어 칼라의 벽 두께의 증가가, 보강 리브들과 비교할 수 있는 효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파단의 형성이 리브들에 의해 지연된다는 가정과는 대조적으로, 파단의 개수가 또한 보강 리브들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관찰되었다.
주사기 몸체는, 약제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그리고, 스토퍼와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된다. 이는, 적어도 대부분 그리고 바람직하게 완전히, 사이클릭 올레핀 공중합체(COC) 또는 사이클릭 올레핀 중합체(COP)와 같은 사이클릭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사이클릭 올레핀 수지들의 상표명들은, 예를 들어, Zeonorⓒ, Zeonexⓒ 및 ARTONⓒ이다.
주사기 몸체의 원통형 부분은, 약제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그리고, 스토퍼와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된다. 주사기 몸체의 원통형 부분의 내측면은, 스토퍼와 관련한 낮은 정지 마찰 및 슬라이딩 마찰을 보장하는, 슬라이딩 층을 구비할 수 있다. 외측면 및/또는 내측면은 또한, 예를 들어 산소의 확산을 감소시키는 장벽 층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주사기 몸체의 벽 두께는 일반적으로, 0.7 mm 내지 2.5 mm의 범위 이내이다.
주사기 몸체의 절두 원뿔형 부분은, 주사기 몸체의 원통형 부분을 루어 락 커넥터 및 관통 개구에 연결하는, 주사기 몸체의 구역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원뿔 형상이지만, 이는 또한, 평면형일 수도 있다. 루어 칼라 및 루어 원뿔은, 주사기 몸체의 절두 원뿔형 부분 상에 형성된다.
루어 칼라는, 그의 내측면 상의 암나사 및 외측면 상의 보강 리브들을 갖는, 튜브형 부분으로 구성된다. 루어 칼라의 외측면 및/또는 내측면은, 벽 두께가 자유단을 향해 약간 감소하도록, 주사기의 종방향 축에 대해 0°-2°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출 성형에 의한 제조 도중의 주사기 몸체의 우수한 이형성(demoldablity)을 달성할 수 있고, 즉 주사기 몸체는, 사출 성형 도구가 개방된 이후에,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해방될 수 있다.
루어 칼라의 암나사는, 표준들 ISO 594/2 및 ISO 80369-7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나사는, 엇갈린 오른손 나사일 수 있다. 나사 피치는, ISO 594/2에 따라, 5 mm이거나, 또는 2 mm 내지 5 mm 사이일 수 있다.
루어 원뿔은 바람직하게, ISO 594/1에 따라 구성된다.
주사기 몸체 및 루어 락 커넥터는,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하나의 부품이라 함은, 주사기 몸체와 루어 락 커넥터가 재료적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본 재료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주사기를 생성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루어 락 커넥터가 주사기 몸체 상에 용접되거나 또는 형성되는 것이, 마찬가지로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루어 칼라는, 4 내지 24개 사이의, 바람직하게 8 내지 16개 사이의 보강 리브를 구비한다. 보강 리브들의 개수는 일반적으로, 비록 개별적인 보강 리브가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지만, 루어 칼라의 균일한 강도가 모든 방향에서 획득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바람직하게, 루어 칼라는, 루어 칼라 둘레에 균일한 각도 간격으로 배열되는, 동일한 치수의 12개의 보강 리브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보강 리브들은, 모두 동일한 크기의 것이며, 그리고 루어 칼라 둘레에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상이한 설계를 갖는 여러 유형의 보강 리브들을 제공하는 것이, 동등하게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강 리브들은, 그들의 베이스부에서 0.5 mm 내지 2.5 mm 사이의 반경 방향 폭을 가지며 그리고 0.5 mm 내지 2.0 mm 사이의 횡방향 폭을 갖는다. 보강 리브의 베이스부는 여기에서, 절두 원뿔형 부분을 향해 지향되는 보강 리브의 구역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보강 리브들은, 루어 칼라의 자유단을 향해 좁아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강 리브들은, 절두 원뿔형 부분으로부터 시작하여, 축방향으로 루어 칼라의 높이의 적어도 절반까지 그리고 바람직하게 루어 칼라의 상측 에지까지 연장된다. 보강 리브들은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 루어 칼라의 길이의 50% 내지 100%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강 리브들의 루어 칼라로의 및/또는 절두 원뿔형 부분으로의 전이부는, 적어도 0.3 mm의, 바람직하게 0.5 내지 1.5 mm의 반경을 갖도록, 라운드형으로 형성된다. 라운드형 전이부들 덕분에, 피크 부하가 방지될 수 있으며, 그리고 발생하는 힘이, 더욱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환형 상승부가 루어 칼라와 루어 원뿔 사이의 바닥 표면 상에 그리고 루어 원뿔의 외측면 상에 배열되며, 그리고 나사 결합 부착물을 위한 받침대로서 작용하도록 설계된다. 바닥 표면의 최저 지점으로부터 측정될 때, 환형 상승부는, 0.3 mm 내지 2 mm의 높이 및 0.3 mm 내지 1.5 mm의 반경 방향 폭을 가질 수 있다. 루어 원뿔 상에 지탱되는 부착물이 나사 체결될 때, 부착물은, 환형 상승부에 대해 충돌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환형 상승부는, 평면형 표면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사기는, 반경 방향으로 절두 원뿔형 부분에 연속되게 그리고 축 방향으로 루어 원뿔의 벽 아래에 놓여, 원통형 캐비티가 관통-채널과 절두 원뿔형 부분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는, 환형 리세스를 구비하고, 그러한 원통형 캐비티의 직경은, 대략 루어 원뿔의 직경에 대응하며, 및/또는 그러한 원통형 캐비티의 축방향 폭은, 대략 절두 원뿔형 부분의 벽 두께에 대응한다. 발명자들은, 아마도 주사기 몸체의 루어 원뿔로부터 절두 원뿔형 부분으로의 축방향 힘 전달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주사기의 파괴 저항성이 환형 리세스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루어 원뿔 상의 큰 축방향 힘이, 시장에서 사용되는 일부 부착물들의 경우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절두 원뿔형 부분에서의 파괴로 이어질 수 있는 반면, 그러한 파괴는, 원통형 캐비티 덕분에 상당히 덜 빈번하게 일어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주사기는, 루어 원뿔이 실질적으로 환형 상승부를 통해 절두 원뿔형 부분에 연결되도록 서로 관련되어 배열되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환형 상승부 및 환형 리세스 양자 모두를 구비한다. 한편으로, 주사기 몸체의 절두 원뿔형 부분 상에서의 루어 원뿔로부터의 축방향 힘은, 그에 따라, 더욱 감소될 수 있으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주사기는, 루어 원뿔 및 환형 상승부로 형성되는 구역에서, 비교적 일정한 벽 두께를 갖는다. 이는, 국부적으로 더 큰 벽 두께를 갖는 개소들이, 주사기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싱크 마크(sink mark) 및 내부 응력과 같은 문제점들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출 성형 거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갖는다. 더불어, 국부적으로 더 큰 벽 두께를 방지함에 의해, 짧은 냉각 시간 및 그에 따른 짧은 이형 시간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환형 상승부로 그리고 인접한 원뿔로 형성되는 몸체 구역에서의 벽 두께는, 루어 원뿔의 벽 두께의 50% 내지 200%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 75% 내지 125% 사이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 몸체를 향해 약간 증가하는, 루어 원뿔의 벽 두께는, 벽 두께이다. 주사기 몸체 근처의 루어 원뿔의 부분에서의 벽 두께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절두 원뿔형 부분의 루어 원뿔로의 전이부에서, 루어 원뿔에서, 루어 원뿔로부터 환형 상승부로의 전이부에서, 및/또는 환형 상승부에서의, 에지들의 전이부들은, 적어도 0.1 mm의 그리고 바람직하게 0.15 mm 내지 1.0 mm의 반경을 갖도록, 라운드형으로 형성된다. 전이 구역들에서의 응력 집중은, 그에 따라 감소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전이 에지들 내로 연장되는 파괴들은, 방지되거나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루어 칼라의 암나사는, 바닥 표면까지 연장된다. 바닥 표면 위에서 종결되는 암나사와 대조적으로, 바닥 표면까지 계속되는 암나사는, 사출 성형 절차 이후에 이형을 위해 나사 결합 해제되는, 스크루 코어의 도움으로, 사출 성형 도중에 생성될 수 있다. 사출 성형에 의한 제조는 그에 따라 용이하게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루어 칼라 위의 루어 원뿔의 축방향 돌출부는, 적어도 2.2 mm 그리고 바람직하게 2.3 mm이다. 부착물이 너무 멀게 나사 결합될 위험이, 그에 따라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주사기 몸체는 더불어, 바람직하게 주사기 몸체와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플랜지를 구비한다. 플랜지는, 다양한 회전 가능한 또는 또한 회전 고정된 핑거 플랜지들 또는 안전 장치들(backstop devices)을 고정하기 위해, 원통형 대칭 또는 비원통형 대칭일 수 있다. 안전 장치들은, 스토퍼 및/또는 피스톤 로드가 주사기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주사기는 더불어, 종래기술에 따라 구성될 수 있는, 스토퍼 및/또는 피스톤 로드를 포함한다. 피스톤 로드를 스토퍼에 고정하기 위해, 스토퍼는 통상적으로, 스토퍼가 그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는, 리세스를 구비한다.
더불어, 의약품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이는,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은, 주사기의 실시예를 포함한다. 주사기는, 바람직하게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의료용 액체로 채워진다. 의료용 액체는, 예를 들어, 정맥 주사로 투여되어야 할 액체이다. 정맥 주사로 투여되어야 할 액체의 예들은, 식염수 용액, 포도당 용액, 비경구 영양을 위한 영양 용액, 유제(emulsion),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다. 활성 물질들은, 의료용 액체 내에 용해 및/또는 분산될 수 있다. 유제의 예가, 프로포폴을 함유하는 유제이다. 프로포폴은, 화학명 2,6-디이소프로필페놀(IUPAC)로 기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는, 특히 프로포폴을 함유하는 유제들을 위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주사기는 그에 따라, 심지어 하류 고압살균 도중에도, 안정성을 개선시켰다.
본 발명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종래기술의, 나사 결합 부착물을 동반하는 루어 락 커넥터의 사시 단면도,
도 2: 종래기술의 ISO 594-2에 따른 부착물들,
도 3: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를 통한 종단면도,
도 4: 나사 결합 부착물을 동반하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의 루어 락 커넥터의 사시 단면도,
도 5: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의 루어 락 커넥터를 통한 수평 단면도,
도 6: 보강 리브를 통한 수평 단면도.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나사 결합 부착물을 동반하는 루어 락 커넥터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관통-채널(19)을 갖는 루어 원뿔(15)이, 주사기 몸체의 절두 원뿔형 부분(4) 상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암나사(12)를 갖는 루어 칼라(11)가, 루어 원뿔(15) 둘레에 배열된다. 평면인 바닥 표면(17)이, 루어 원뿔(15)과 루어 칼라(19) 사이에 배열된다. 바닥 표면(17)의 구역에서의 주사기 몸체의 벽 두께는, 대략, 절두 원뿔형 부분(4)에서의 주사기 몸체의 벽 두께에 대응한다.
도 2는, 루어 락 커넥터에 결합하기 위한, ISO 594-2에 따른 부착물들의 2개의 상이한 변형예 A 및 변형예 B를 도시한다. 변형예 A에 대해, 도면은, 종단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다. 부착물은, 연속적인 수나사를 구비하지 않는 대신, 부착물의 아래쪽 부분에 배열되는 그리고 도 1에 따른 루어 칼라의 암나사(12)와 맞물릴 수 있는, 단지 2개의 반대편에 놓이는 수나사 부분을 구비한다. 변형예 B에 대해, 도면은, 및 평면도를 도시한다. 다시, 부착물은, 연속적인 수나사를 구비하지 않는 대신, 부착물의 아래쪽 부분에 배열되는 그리고 도 1에 따른 루어 칼라의 암나사(12)와 맞물릴 수 있는, 단지 4개의 수나사 부분을 구비한다.
도 3은, 원통형 부분(3)을 갖는 그리고, 주사기 몸체(1)가 관통-채널(19)을 향해 원뿔형으로 좁아지는 부분인, 절두 원뿔형 부분(4)을 갖는, 주사기 몸체(2)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1)를 통한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플랜지(5)가, 기단부에 배열된다. 루어 락 커넥터(10)는, 루어 원뿔(15) 및 루어 칼라(11)를 포함한다. 주사기는, COC 재료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주사기 몸체는, 원통형 구역에서 대략 1.5 mm의 벽 두께를 갖는다. 주사기 몸체의 내측면은, 실리콘 오일을 동반하는 윤활 코팅을 구비한다.
도 4는, 단면이 루어 칼라(11)의 외측면 상에 배열되는 보강 리브들(18)을 통해 연장되는, 나사 결합 부착물을 동반하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의 루어 락 커넥터(10)의 사시 단면도이다.
보강 리브들(18)은, 절두 원뿔형 부분(4)으로부터 시작하여, 루어 칼라(11)의 외벽을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루어 칼라(11)의 자유단 아래에서 종결된다. 보강 리브들(18)과 절두 원뿔형 부분(4) 사이의 전이 구역들은, 대략 1.0 mm의 반경을 갖도록, 강하게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루어 칼라(11)의 원통형 부분과 보강 리브들(18) 사이의 전이 구역들은, 대략 0.5 mm의 반경을 갖도록, 마찬가지로 라운드형으로 형성된다.
루어 락 커넥터(10)는 더불어, 관통-채널(19)을 갖는 루어 원뿔(15)을 구비한다. 바닥 표면(17)이, 루어 원뿔(15)과 루어 칼라(11) 사이에 형성된다. 루어 칼라(11)의 암나사(12)는, 바닥 표면(17)까지 연장된다. 루어 원뿔(15)의 아래쪽 단부에, 단면도에서 단차 형상인, 환형 상승부(20)가, 바닥 표면(17) 상에 형성된다. 바닥 표면(17)의 최저 지점으로부터 측정될 때, 환형 상승부(20)는, 대략 1.2 mm의 축방향 높이를 가지며, 그리고 0.7 mm의 반경 방향 폭을 갖는다. 주사기 몸체(2) 내부에, 대략 하방으로 연속되는 루어 원뿔(15)의 그리고 내향으로 연속되는 절두 원뿔형 부분(4)의 교차 구역에 배열되는, 환형 리세스(21)가, 형성된다. 루어 원뿔(15)은, 실질적으로 환형 상승부(20)를 통해 주사기 몸체의 절두 원뿔형 부분(4)에 연결된다. 환형 상승부(20) 및 루어 원뿔(15)로 구성되는 몸체 구역에서의 벽 두께는, 비교적 일정하다. 환형 리세스(21)를 고려하면, 대략 원통형 캐비티(23)가, 관통-채널의 하부 구역 내에 획득되며, 그리고 관통-채널(19)의 확장부를 관통-채널의 하부 구역에 형성한다. 루어 원뿔(15), 환형 상승부(20), 바닥 표면(17) 및 루어 칼라 사이의 주사기 몸체의 외측면 상의 전이 구역들은, 0.15 mm 내지 0.5 mm의 범위 내의 반경을 갖도록, 라운드형으로 형성된다. 루어 원뿔(15), 환형 리세스(21) 및 절두 원뿔형 부분(4) 사이의 주사기 몸체의 내측면 상의 전이 구역들은 마찬가지로, 대략 0.2 mm의 반경을 갖도록, 라운드형으로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의 루어 락 커넥터를 통한 수평 단면도를 도시한다. 루어 칼라(11)의 외측면 상에, 12개의 보강 리브(18)가, 루어 칼라 둘레에 30°의 각도 간격으로 배열된다. 그들의 베이스부에서, 보강 리브들은, 대략 0.8 mm의 폭 및 대략 0.6 mm의 반경 방향 치수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 단면을 구비한다. 베이스부는, 여기에서, 전이 반경이 그 내부로 절두 원뿔형 부분까지 연장되지만 더 멀게 연장되지 않는, 그리고 주사기의 종방향에서, 대략 환형 상승부(20)의 높이에 놓이는, 보강 리브들의 아래쪽 부분으로서 이해된다.
도 6은 도 5로부터의 확대 상세도를 도시한다. 보강 리브들(18)이, 그들의 발 부분에, 절두 원뿔형 부분(4)에 대한 라운드형 전이 구역들을 구비하는 것이, 그리고 이들이 또한, 그들의 상측 단부에, 대략 0.2 mm의 반경을 갖는 라운드형 에지 구비하는 것이, 확인될 것이다.
1: 주사기 2: 주사기 몸체
3: 원통형 부분 4: 절두 원뿔형 부분
5: 핑거 플랜지 10: 루어 락 커넥터
11: 루어 칼라 12: 암나사
13: 루어 칼라의 상측 에지 15: 루어 원뿔
17: 바닥 표면 18: 보강 리브들
19: 관통-채널 20: 환형 상승부
21: 환형 리세스 23: 원통형 캐비티
30: 부착물

Claims (15)

  1. 주사기(1)로서:
    - 원통형 부분(3) 및 상기 원통형 부분에 인접한 절두 원뿔형 부분(4)을 구비하는 주사기 몸체(2),
    - 암나사(12)를 갖는 루어 칼라(11) 및 관통-채널(19)을 갖는 루어 원뿔(15)을 구비하고, 바닥 표면(17)이 상기 루어 칼라(11) 및 상기 루어 원뿔(15) 사이에 형성되는 루어 락 커넥터(10)
    를 포함하고,
    - 상기 주사기 몸체(2) 및 상기 루어 락 커넥터(10)는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사이클릭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루어 칼라(11)는 그 외측면 상에 보강 리브들(18)을 구비하고,
    상기 보강 리브들(18)은 그 베이스부에서 0.5 mm 내지 2.5 mm 사이의 반경 방향 폭을 가지며 그리고 0.5 mm 내지 2.0 mm 사이의 횡방향 폭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보강 리브들(18)의 상기 루어 칼라(11) 또는 상기 절두 원뿔형 부분(4) 중의 적어도 하나로의 전이부는 적어도 0.3 mm의 반경을 가진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루어 칼라(11)는 4 내지 24개 사이의 보강 리브들(18)을 구비하는 것인, 주사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루어 칼라(11)는 8 내지 16개 사이의 보강 리브들(18)을 구비하는 것인, 주사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들(18)은, 상기 절두 원뿔형 부분(4)으로부터 시작하여, 축방향으로 상기 루어 칼라(11)의 높이의 적어도 절반까지 연장되는 것인, 주사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들(18)의 상기 루어 칼라(11) 또는 상기 절두 원뿔형 부분(4) 중의 적어도 하나로의 전이부는 0.5 내지 1.5 mm의 반경을 가진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주사기.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형 상승부(20)가, 상기 바닥 표면(17) 상에 그리고 상기 루어 원뿔(15)의 외측면 상에 배열되며, 그리고 나사 결합 부착물(50)을 위한 받침대로서 작용하도록 설계되는 것인, 주사기.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는 환형 리세스(21)를 구비하고, 상기 환형 리세스는 반경 방향으로 상기 절두 원뿔형 부분(4)에 연속되게 그리고 축 방향으로 상기 루어 원뿔(15)의 벽 아래에 놓여, 원통형 캐비티(23)가 상기 관통-채널(19)과 상기 절두 원뿔형 부분(4)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캐비티(23)의 직경이 상기 루어 원뿔(15)의 직경에 대응하거나, 상기 원통형 캐비티의 축방향 폭이 상기 절두 원뿔형 부분(4)의 벽 두께에 대응하거나, 또는 상기 원통형 캐비티(23)의 직경이 상기 루어 원뿔(15)의 직경에 대응하며 그리고 상기 원통형 캐비티의 축방향 폭이 상기 절두 원뿔형 부분(4)의 벽 두께에 대응하는 것인, 주사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는 환형 리세스(21)를 구비하고, 상기 환형 리세스는 반경 방향으로 상기 절두 원뿔형 부분(4)에 연속되게 그리고 축 방향으로 상기 루어 원뿔(15)의 벽 아래에 놓여, 원통형 캐비티(23)가 상기 관통-채널(19)과 상기 절두 원뿔형 부분(4)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캐비티(23)의 직경이 상기 루어 원뿔(15)의 직경에 대응하거나, 상기 원통형 캐비티의 축방향 폭이 상기 절두 원뿔형 부분(4)의 벽 두께에 대응하거나, 또는 상기 원통형 캐비티(23)의 직경이 상기 루어 원뿔(15)의 직경에 대응하며 그리고 상기 원통형 캐비티의 축방향 폭이 상기 절두 원뿔형 부분(4)의 벽 두께에 대응하고;
    상기 환형 상승부(20) 및 상기 환형 리세스(21)는, 상기 루어 원뿔(15)이 상기 환형 상승부(20)를 통해 상기 절두 원뿔형 부분(4)에 연결되도록, 서로 관련되어 배열되는 것인, 주사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상승부 및 인접한 원뿔로 형성되는 몸체 구역에서의 벽 두께는, 상기 루어 원뿔(15)의 벽 두께의 50% 내지 200% 사이인 것인, 주사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절두 원뿔형 부분(4)의 상기 루어 원뿔(15)로의 전이부, 상기 루어 원뿔(15), 상기 루어 원뿔(15)로부터 상기 환형 상승부(20)로의 전이부, 또는 상기 환형 상승부(20)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의 에지들의 전이부들은 적어도 0.1 mm의 반경을 가진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주사기.
  11.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어 칼라(11)의 상기 암나사(12)는 상기 바닥 표면(17)까지 연장되는 것인, 주사기.
  12.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어 칼라(11) 위의 상기 루어 원뿔(15)의 축방향 돌출부는 적어도 2.2 mm인 것인, 주사기.
  13.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몸체(2)는 더불어, 핑거 플랜지(5)를 구비하는 것인, 주사기.
  1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토퍼 또는 피스톤 로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사기.
  1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주사기를 포함하는 의약품으로서,
    상기 주사기는 의료용 액체로 채워지는 것인, 의약품.
KR1020197027784A 2017-06-12 2018-05-24 루어 락 커넥터를 갖는 주사기 KR102517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12823.9 2017-06-12
DE102017112823.9A DE102017112823A1 (de) 2017-06-12 2017-06-12 Spritze mit Luer-Lock-Anschluss
PCT/EP2018/063643 WO2018228788A1 (de) 2017-06-12 2018-05-24 Spritze mit luer-lock-anschlu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114A KR20200019114A (ko) 2020-02-21
KR102517002B1 true KR102517002B1 (ko) 2023-03-31

Family

ID=62386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784A KR102517002B1 (ko) 2017-06-12 2018-05-24 루어 락 커넥터를 갖는 주사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101238A1 (ko)
EP (1) EP3638357B1 (ko)
JP (1) JP7065879B2 (ko)
KR (1) KR102517002B1 (ko)
CN (1) CN110740775B (ko)
DE (1) DE102017112823A1 (ko)
WO (1) WO20182287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609B1 (ko) 2023-06-30 2023-10-23 엔지오텍 주식회사 공기 배출부가 구비된 루어 커넥터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77929B1 (en) 2019-08-12 2021-10-06 Schott AG Glass syringe barrel with increased cone breaking force
EP3777928B1 (en) 2019-08-12 2021-10-06 Schott AG Glass syringe barrel with increased cone breaking force
US20230073902A1 (en) 2020-04-24 2023-03-09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Syringe and syringe body
CN115443165A (zh) 2020-04-24 2022-12-06 费森尤斯卡比德国有限公司 注射器、注射器主体和制造注射器主体的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16930U1 (de) 2003-11-04 2005-03-17 Braun Melsungen Ag Vorrichtung zum Verbinden und/oder Abdecken bzw. Verschließen von Schläuchen, Behältern o.dgl. Gegenständen
JP2009543662A (ja) * 2006-07-18 2009-12-10 マリンクロッ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耐破損性ルアー取付具
JP2013521093A (ja) * 2010-03-10 2013-06-10 ベクトン ディキンソン フランス 安全な接続手段を有する薬剤送出装置
US20140243797A1 (en) 2013-02-27 2014-08-28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Fluid line connectors
DE102014002650A1 (de) 2014-02-27 2015-08-27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Schraubverbinder für medizinische Schlauchsysteme und medizinisches Schlauchsystem mit Schraubverbinder
JP2016520388A (ja) * 2013-05-16 2016-07-14 ベクトン ディキンソン アンド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押しつぶし可能なリブを組み込んだネジ接続のための機械的摩擦の増強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1621B1 (fr) * 1995-03-13 1997-09-05 Clintec Nutrition Co Dispositif de perforation et ensemble de raccordement pour systeme d'alimentation par voie enterale et procede de raccordement
US5810792A (en) * 1996-04-03 1998-09-22 Icu Medical, Inc. Locking blunt cannula
EP0838229B1 (en) 1996-10-28 2003-07-02 Daikyo Seiko, Ltd. Syringe with a luer-lock portion
US7998134B2 (en) * 2007-05-16 2011-08-16 Icu Medical, Inc. Medical connector
US9295790B2 (en) * 2006-05-05 2016-03-29 Retractable Technologies, Inc. Syringe with recessed nose and protective guard for use with frontal attachments
JP5957380B2 (ja) 2009-06-24 2016-07-27 ベクトン ディキンソン フランス 改善されたルアーコネクタ
DE202009013409U1 (de) * 2009-10-23 2011-03-03 Hopf, Hans-Jürgen Verschlusskappen für Fluidverbindungssysteme
KR101758957B1 (ko) * 2010-12-16 2017-07-17 벡톤 디킨슨 프랑스 어댑터 및 약물 전달 장치
US9433768B2 (en) * 2011-03-25 2016-09-0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rug delivery connectors
US20140194850A1 (en) * 2011-07-04 2014-07-10 Anteis Sa Accessory for a syringe
DE102012214718A1 (de) * 2012-08-20 2014-02-20 Transcoject Gmbh Spritze
DE102014116396A1 (de) 2014-11-11 2016-05-12 Schott Schweiz Ag Spritze mit Fingerflansch sowie Fingerflansch
CN205504271U (zh) * 2016-04-18 2016-08-24 浙江志达管业有限公司 对焊法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16930U1 (de) 2003-11-04 2005-03-17 Braun Melsungen Ag Vorrichtung zum Verbinden und/oder Abdecken bzw. Verschließen von Schläuchen, Behältern o.dgl. Gegenständen
JP2009543662A (ja) * 2006-07-18 2009-12-10 マリンクロッ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耐破損性ルアー取付具
JP2013521093A (ja) * 2010-03-10 2013-06-10 ベクトン ディキンソン フランス 安全な接続手段を有する薬剤送出装置
US20140243797A1 (en) 2013-02-27 2014-08-28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Fluid line connectors
JP2016520388A (ja) * 2013-05-16 2016-07-14 ベクトン ディキンソン アンド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押しつぶし可能なリブを組み込んだネジ接続のための機械的摩擦の増強
DE102014002650A1 (de) 2014-02-27 2015-08-27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Schraubverbinder für medizinische Schlauchsysteme und medizinisches Schlauchsystem mit Schraubverbin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609B1 (ko) 2023-06-30 2023-10-23 엔지오텍 주식회사 공기 배출부가 구비된 루어 커넥터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65879B2 (ja) 2022-05-12
JP2020523044A (ja) 2020-08-06
WO2018228788A1 (de) 2018-12-20
CN110740775A (zh) 2020-01-31
EP3638357A1 (de) 2020-04-22
US20200101238A1 (en) 2020-04-02
DE102017112823A1 (de) 2018-12-13
EP3638357B1 (de) 2023-07-05
CN110740775B (zh) 2022-04-26
KR20200019114A (ko) 2020-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7002B1 (ko) 루어 락 커넥터를 갖는 주사기
US8172823B2 (en) Port assembly for use with needleless connector
JP5770857B2 (ja) 薬剤送達デバイス
US11278664B2 (en) Infusion adapter
CN102089030B (zh) 具有通用端部构件的注射器
US9017291B2 (en) Luer connector
JP2009006164A (ja) ニードルレスコネクタ
AU2001249714A1 (en) Housing capable of connecting a container to a medical device
WO2001074292A2 (en) Housing capable of connecting a container to a medical device
RU2636197C2 (ru) Переходник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безыгольного доступа и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указа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 указанным переходником
EP0838229A2 (en) Syringe with a luer-lock portion
CN102834140A (zh) 用于肠内管饲应用的三向关闭旋塞
JP5437510B1 (ja) 二室式容器兼用注射器
KR101639328B1 (ko) 약병 교체 방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접속구 및 이 접속구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JP6240313B2 (ja) 対向するかえしを備えたねじ連結のための機械的摩擦強化構造
EP3342441A1 (de) Spritze mit unterschiedlichen materialien
CN104822413B (zh) 用于将产品给予至患者的医学用途的组件
US20230040207A1 (en) Syringe, syringe body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6872490B2 (ja) 少なくとも3つの環状要素を備える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用プランジャーロッド
US10814075B2 (en) Plug for placing on a connection element of a medical syringe
WO2023154718A1 (en) Syringe with minimal internal dead volume
JP6768267B2 (ja) 医療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