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389B1 -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 - Google Patents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389B1
KR102516389B1 KR1020220092974A KR20220092974A KR102516389B1 KR 102516389 B1 KR102516389 B1 KR 102516389B1 KR 1020220092974 A KR1020220092974 A KR 1020220092974A KR 20220092974 A KR20220092974 A KR 20220092974A KR 102516389 B1 KR102516389 B1 KR 102516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magnetic
adsorption
foreign matter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진에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진에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진에코텍
Priority to KR1020220092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389B1/ko
Priority to KR1020220177123A priority patent/KR20240016157A/ko
Priority to US18/105,216 priority patent/US11865584B2/en
Priority to JP2023014360A priority patent/JP7498320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03B9/065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the refuse being building rub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025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s
    • B03C1/031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 B03C1/033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0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cylindrical material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을 중간처리하여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공정에서 철사, 못, 철근조각 등의 철재 이물질과 나무조각, 플라스틱 조각, 비닐, 스티로폼, 단열재 등의 경량 이물질을 함께 선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U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콘베이어 벨트에 효율적으로 자력 및 흡인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착드럼 및 흡착드럼을 설치하여 이물질 제거 성능을 향상시킨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베이어 벨트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이송되는 재생골재로부터 철재 및 경량 이물질을 연속적으로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드럼형 프레임을 분리막이 둘러감아 내부에 장착된 자력선별부에서 제공되는 자력에 의해 철재 이물질을 선별하는 자착드럼; 드럼형 프레임을 분리망이 둘러감아 내부 장착된 후드를 통해 제공되고 상기 분리망을 통과하는 흡인력에 의해 경량 이물질을 선별하는 흡착드럼; 및 양 단에 각각 상기 자착드럼과 흡착드럼이 결합되고, 외부 인가 동력에 의해 상기 자착드럼 및 흡착드럼을 동시에 축회전 시키는 회전축; 을 포함하고, 상기 자착드럼은 상기 자력선별부에서 제공된 자력이 상기 분리막을 통해, 콘베이어 벨트로 이송되는 철재 이물질에 가해져, 상기 철재 이물질이 상기 분리막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자착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송되어, 상기 자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착드럼은 상기 후드를 통해 제공된 흡인력이 상기 분리망을 통해, 콘베이어 벨트로 이송되는 경량 이물질에 가해져, 상기 경량 이물질이 상기 분리망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흡착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송되어, 상기 흡인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Dual-drum type magnetic-adsorption equipment for screening complex foreign substances in aggregate}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을 중간처리하여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공정에서 철사, 못, 철근조각 등의 철재 이물질과 나무조각, 플라스틱 조각, 비닐, 스티로폼, 단열재 등의 경량 이물질을 함께 선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U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콘베이어 벨트에 효율적으로 자력 및 흡인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착드럼 및 흡착드럼을 설치하여 이물질 제거 성능을 향상시킨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에서 발생되는 폐콘크리트, 폐아스콘, 폐목재, 철근류, 토사와 이외에 재개발 현장 등에서 작업여건상 분리 불가능한 종류의 폐기물, 즉, 건축폐기물과 폐비닐, 생활쓰레기 등 국내의 건설폐기물 발생량은 연간 4천만톤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전처리작업으로 폐기물 선별작업을 거쳐야 한다.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사업장에서는 건설폐기물이 다단계의 파쇄공정을 거치도록 하면서, 재질에 따른 자력선별, 입도에 따른 스크린선별, 중량에 따른 송풍 선별, 비중에 따른 원심 분리 선별이나 습식 선별 등의 방식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순환골재에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다.
다만, 자력선별 과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못, 철사 등의 작은 철재 이물질과 나무조각, 스티로폼, 비닐, 플라스틱 조각 등의 다양한 경량 비철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어려워 여전히 많은 수작업이 소요된다.
등록특허 10-2049250에서는 "골재 내 이물질의 진동-자착-흡입 선별 장치"에서는 자력선별부와 흡입선별부가 나란히 배치된 선별기를 제공하여 콘베이어 벨트를 통하여 이송되는 철재 및 비철재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선별해 낼 수 있다.
그러나, 순환궤도로 형성되는 이송 벨트의 하단이 수평하게 구성되어 U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컨베이어 벨트의 경우에는 균일하게 자력 및 흡인력을 전달하기 어렵다.
또한, 순환궤도를 형성하기 위하여 복수 개 회전축 및 이송 벨트와의 결합부재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면서 지속적으로 분류망을 이송시킬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리고, 골재의 하단에 깔린 이물질은 골재의 중량에 의하여 선별작업이 곤란하여 골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이물질의 제거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1. 등록특허 10-2029736 "골재 내 이물질의 진동-흡입 선별 장치" 2. 등록특허 10-2049250 "골재 내 이물질의 진동-자착-흡착 선별 장치" 3. 등록특허 10-0759932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기" 4. 등록특허 10-0756420 "건설폐기물에서 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효율적으로 건설폐기물로부터 철사, 못, 철근조각 등의 철재 이물질과 종이, 나무조각, 플라스틱 조각, 비닐, 스티로폼, 단열재 등의 경량 이물질을 함께 선별해 낼 수 있는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콘베이어 벨트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이송되는 재생골재로부터 철재 및 경량 이물질을 연속적으로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드럼형 프레임을 분리막이 둘러감아 내부에 장착된 자력선별부에서 제공되는 자력에 의해 철재 이물질을 선별하는 자착드럼; 드럼형 프레임을 분리망이 둘러감아 내부 장착된 후드를 통해 제공되고 상기 분리망을 통과하는 흡인력에 의해 경량 이물질을 선별하는 흡착드럼; 및 양 단에 각각 상기 자착드럼과 흡착드럼이 결합되고, 외부 인가 동력에 의해 상기 자착드럼 및 흡착드럼을 동시에 축회전 시키는 회전축; 을 포함하고, 상기 자착드럼은 상기 자력선별부에서 제공된 자력이 상기 분리막을 통해, 콘베이어 벨트로 이송되는 철재 이물질에 가해져, 상기 철재 이물질이 상기 분리막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자착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송되어, 상기 자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착드럼은 상기 후드를 통해 제공된 흡인력이 상기 분리망을 통해, 콘베이어 벨트로 이송되는 경량 이물질에 가해져, 상기 경량 이물질이 상기 분리망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흡착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송되어, 상기 흡인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를 제공한다.
상기 드럼형 프레임은 원판형의 제1,2 측판과 상기 제1,2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력선별부는 전자석 및 영구자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구자석은 복수개의 영구자석 블록이 하방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적층블록이 폭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배치된 것으로, 상기 복수개의 적층블록은 동일한 높이에서 각각 하방으로 형성되고, 자착드럼의 원형 단면형태에 대응하여 중앙부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영구자석 블록의 적층수가 적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석은 복수개의 철심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포크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복수개의 철심 중 중앙부의 철심에 코일이 권취되고, 상기 복수개의 철심은 동일한 높이에서 각각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자착드럼의 원형 단면형태에 대응하여 중앙부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철심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하방향의 길이부재로서, 하단이 상기 콘베이어 벨트에 근접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반전자(反轉子);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전자는 상기 콘베이어 벨트 상면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콘베이어 벨트의 이동에 따라 하단부가 골재와 충돌함으로써 골재의 위상을 반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간단한 장치 구성에 의해 철재 이물질, 경량 이물질과 같은 다양한 종류와 성상의 이물질을 재생골재로부터 효율적으로 선별해낼 수 있다.
2. 반전자가 재생골재를 뒤집거나 혼합하여, 이물질의 분리 효율을 증가시키고 중량물의 하단에 눌린 이물질도 선별가능하다.
3. 상기 회전축의 중단을 중심으로 양측에 동일한 중량으로 구성된 드럼형 프레임이 결합되어 양측에 하중이 균일하게 배분되므로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 등 별도의 중량 배분을 위한 부재가 필요치 않다.
4. 본 발명의 드럼형 프레임은 순환궤도형의 스크린에 비하여 구조가 단순하여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고장의 위험이 낮아 유지보수 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5. 타 설비와 간섭이 없고 설치면적을 적게 차지하며 장비 구성이 간단하고 타 설비와의 간섭이 없으므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시설 중 원하는 지점에 필요한 수량만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6. 단일의 회전축으로 자착드럼과 흡착드럼을 동시에 회전시켜 선별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설비면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자착드럼 및 흡착드럼의 순서로 순환골재가 연속적으로 통과할 경우 철재 이물질과 경량 이물질의 선별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자착드럼의 자력선별부가 영구자석으로 구성된 것으로, 자착드럼의 회전에 따라 철재 이물질이 선별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자착드럼의 자력선별부가 전자석으로 구성된 것으로, 자착드럼의 회전에 따라 철재 이물질이 선별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흡착드럼의 후드에서 제공되는 흡인력에 의하여 이물질이 드럼형 프레임의 분리망에 흡착된 상태로 이동하여, 흡인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원심력에 의하여 이탈되는 과정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 6]은 반전자의 종류에 따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는 본 발명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의 동력 전달부 및 베어링 하우징를 확대한 실시예이다.
[도 8]은 회전축을 서포트 프레임이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분리망이 모듈구조로 설치되어 탈착되는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콘베이어 벨트(10)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이송되는 순환골재로부터 철재 및 경량 이물질(2, 3)을 연속적으로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드럼형 프레임(400)을 분리막(110)이 둘러감아 내부에 장착된 자력선별부(120)에서 제공되는 자력에 의해 철재 이물질(2)을 선별하는 자착드럼(100); 드럼형 프레임(400)을 분리망(210)이 둘러감아 내부 장착된 후드(220)를 통해 제공되고 상기 분리망(210)을 통과하는 흡인력에 의해 경량 이물질(3)을 선별하는 흡착드럼(200); 및 양 단에 각각 상기 자착드럼(100)과 흡착드럼(200)이 결합되고, 외부 인가 동력에 의해 상기 자착드럼(100) 및 흡착드럼(200)을 동시에 축회전 시키는 회전축(300); 을 포함하고, 상기 자착드럼(100)은 상기 자력선별부(120)에서 제공된 자력이 상기 분리막(110)을 통해, 콘베이어 벨트(10)로 이송되는 철재 이물질(2)에 가해져, 상기 철재 이물질(2)이 상기 분리막(110)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자착드럼(100)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송되어, 상기 자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착드럼(200)은 상기 후드(220)를 통해 제공된 흡인력이 상기 분리망(210)을 통해, 콘베이어 벨트(10)로 이송되는 경량 이물질(3)에 가해져, 상기 경량 이물질(3)이 상기 분리망(210)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흡착드럼(200)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송되어, 상기 흡인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드럼형 프레임(400)은 원판형의 제1,2 측판(410, 420)과 상기 제1,2 측판(410, 420)을 연결하는 연결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콘베이어 벨트(10)의 운송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축(300)의 축방향을 자착드럼(100) 및 흡착드럼(200)의 축방향으로 칭하고, 평면상 상기 축방향과 직교한 방향을 폭방향으로 칭한다. 또한, 드럼형 프레임(400)에서 제1,2 측판(410, 420)이 위치하는 방향을 측방 또는 측면으로 칭한다.
순환골재는 건설폐기물을 파쇄, 마쇄, 진동 선별 등의 과정을 통하여 재생골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파쇄 등의 과정을 거친 순환골재는 골재(1)와 함께 철사, 못, 철근조각 등의 철재 이물질(2)과 종이, 나무조각, 플라스틱 조각, 비닐, 스티로폼, 단열재 등의 경량 이물질(3)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콘베이어 벨트(10)는 상기 철재 및 경량 이물질(2, 3)과 골재(1)가 혼합된 순환골재를 일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일반적인 순환골재 처리 공장에 설치된 콘베이어 벨트(10)는 운반과정 중 진동, 바람 등에 의하여 순환골재가 콘베이어 벨트(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베이어 벨트(10)의 상면은 평활면이 아닌 U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의 단면을 가진 콘베이어 벨트(10)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의 단면을 가진 자착드럼(100) 및 흡착드럼(200)의 하단이 콘베이어 벨트(10)의 상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므로, 콘베이어 벨트(10)의 상면과 상기 자착드럼(100) 및 흡착드럼(200)의 하단이 전체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의 자착드럼(100) 및 흡착드럼(200)과 같이 선별부가 드럼형으로 형성된 경우, 선별부가 평활면으로 형성된 경우에 비하여 콘베이어 벨트(10)의 상면에 균일하게 자력 또는 흡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자착드럼(100)은 드럼형 프레임(400)에 분리망(210)을 둘러감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드럼형의 부재이고, 흡착드럼(200)은 드럼형 프레임(400)에 분리망(210)을 둘러감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드럼형의 부재이다.
상기 드럼형 프레임(400)은 원판형의 제1,2 측판(410, 420)과 상기 제1,2 측판(410, 420)을 연결하는 연결재(430)를 포함하여 원통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제1,2 측판(410, 420)이 서로 마주보게 비치되고 상기 제1,2 측판(410, 420)의 둘레부를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연결재(430)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재(430)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재(430) 사이에 일정한 크기의 분리막(110) 또는 분리망(210)이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재(430)의 단면은 원형, 사각형, 채널형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재(430) 사이에 분리막(110) 또는 분리망(210)을 삽입할 경우 연결재(430)는 ㄷ자형의 채널로 형성하여 상기 분리막(110) 또는 분리망(210)이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재(430)는 상기 제1,2 측판(410, 420)의 둘레부에서 회전축(300) 방향을 향하여 일정간격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복귀차단망(450)을 이격된 길이와 동일한 높이로 제작하여 설치할 경우, 상기 복귀차단망(450)이 제1,2 측판(410, 4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외형적으로 정리되어 보이고, 상기 복귀차단망(450)의 측면을 커버하여 이물질이 측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복귀차단망(450)의 걸림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2 측판(410, 420)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드럼형 프레임(400)의 양 측단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2 측판(410, 420)은 연결재(430)로 결합되고 회전축(300)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제1,2 측판(410, 420) 및 연결재(430)는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변형과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강성이 높은 강재 및 합금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측판(420)은 상기 드럼형 프레임(400)의 내부와 통공된 개방홀(440)이 형성되며, 제1 측판(410)은 개방구가 형성되지 않은 단일의 원판형 몸체로 형성되거나, 바퀴살의 사이로 개방된 바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판(410)이 바퀴형태로 형성될 경우 방사상으로 뻗은 바퀴의 중심부에 회전축(30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판(410)은 회전축(300)에 연결되어 회전축(300)의 회전력이 전달되므로 상기 제1 측판(410)과 회전축(300)이 결합되는 중앙부는 보강용 부재를 덧대어 보강하거나 상기 제1 측판(410)의 외측 또는 내측에 보강판을 추가로 적층 결합하여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분리막(110)은 고무, 합성수지 및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막(110)은 고무, 합성수지 및 합성섬유 등과 같이 자화되지 않으면서 자력을 통과시키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막(110)은 연질의 막형태로 강성이 높지 않으므로 상기 연결재(430)의 사이에 상기 분리막(1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미도시)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분리막(110)의 테두리를 따라서 구비되는 테두리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분리막을 모듈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격자형, 사선형, 복층형 등 지지부재의 배치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나, 분리막(110)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일정간격으로 균일하게 배치되어 변형이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스테인리스강 등 자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망(210)은 메쉬망 또는 타공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쉬망은 금속사를 능형망이나, 격자망 등의 형태로 엮어서 구성될 수 있다. 타공망은 금속판에 다수개의 타공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력선별부(120)는 전자석 및 영구자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자석과 영구자석은 단일의 구조로 사용될 수도 있고 상호보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자착드럼(100)의 자력선별부(120)가 영구자석으로 구성된 것으로, 자착드럼(100)의 회전에 따라 철재 이물질(2)이 선별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자착드럼(100)의 자력선별부(120)가 전자석으로 구성된 것으로, 자착드럼(100)의 회전에 따라 철재 이물질(2)이 선별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기 영구자석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영구자석 블록(121)이 하방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적층블록이 폭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배치된 것으로, 상기 복수개의 적층블록은 동일한 높이에서 각각 하방으로 형성되고, 자착드럼(100)의 원형 단면형태에 대응하여 중앙부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영구자석 블록(121)의 적층수가 적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영구자석 블록(121)은 일정한 형태와 크기로 모듈화 된 것으로, 상기 영구자석 블록(121)을 적층하는 높이와 자력은 서로 정비례관계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영구자석 블록(121)의 적층수가 적어지도록 구성할 경우, 중앙부에서 가장 강한 자력이 제공되고 양측으로 갈수록 자력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U자형 콘베이어 벨트(10)의 가장 하부에 적재된 순환골재에 가장 강한 자력이 제공되어 선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철재 이물질(2)은 상기 자력선별부(120)에서 제공된 자력이 상기 분리막(110)을 통해, 콘베이어 벨트(10)로 이송되는 철재 이물질(2)에 가해져, 상기 철재 이물질(2)이 상기 분리막(110)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자착드럼(100)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송되어, 상기 자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회전에 의하여 측방으로 이송되는 철재 이물질(2)은 점차 자력이 약해지는 측방까지 안정적으로 이송되어 배출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자력선별부(120)가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중앙부의 자력이 가장 강하고, 측방으로 갈수록 자력이 줄어들도록 구성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동일한 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경우 자착드럼(100)의 측면에서 철재 이물질(2)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측면에서 제공되는 강한 자력에 의하여 배출도중 다시 복귀하여 분리막(110)에 재부착되어 선별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력선별부(120)는 중앙부에서 측방으로 갈수록 자력이 줄어들도록 구성하여 철재 이물질(2)이 안정적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상기 자력선별부(120)의 영구자석은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자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켜 철재 이물질(2)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철심(122)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포크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복수개의 철심(122) 중 중앙부의 철심(122)에 코일이 권취되고, 상기 복수개의 철심(122)은 동일한 높이에서 각각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자착드럼(100)의 원형 단면형태에 대응하여 중앙부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철심(122)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석은 전력공급선를 통해 발전기 등의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코일에 공급함으로써 수직방향의 자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써 철재 이물질(2)을 자착시킨다. 상기 전자석은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필요에 따라 자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전자석도 영구자석과 동일하게 자착드럼(100)의 중앙부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철심(122)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하여 철재 이물질(2)의 배출을 원할하게 할 수 있다. 전자석 철심(122)의 높이가 낮을수록 자력이 감소하므로, 본 발명의 자착드럼(100)은 중앙부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전자석 철심(122)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하여 자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상기 자력선별부(120)의 전자석은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자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켜 철재 이물질(2)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흡착드럼(200)의 후드(220)에서 제공되는 흡인력에 의하여 이물질이 드럼형 프레임(400)의 분리망(210)에 흡착된 상태로 이동하여, 흡인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원심력에 의하여 이탈되는 과정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상기 후드(220)는 하단이 호형(弧形)으로 형성되어, U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콘베이어 벨트(10)의 상면에 균일하게 흡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석션팬(230)은 팬의 회전에 의하여 흡인력을 생성하는 장치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드(220)와 직결되어 상기 흡착드럼(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석션팬(230)과 후드(220)가 직결되도록 구성될 경우 석션팬(230)에서 흡입한 공기를 배출하는 별도의 유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상기 흡착드럼(200)의 내부에서 직접 흡입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어, 유로 등으로 인한 타 설비와 간섭이 없고. 타 설비와의 간섭이 없으므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시설 중 원하는 지점에 필요한 수량만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흡입한 공기는 분리망(210) 또는 개방홀(44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제1 측판(410) 중심에 결합되어 외부 인가 동력에 의해 축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드럼형 프레임(400)을 축회전 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300)은 비틀림 모멘트를 억제하고 내구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봉형태의 강재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300)의 말단은 상기 드럼형 프레임(400)의 제1 측판(410)의 중심에 결합되거나, 상기 드럼형 프레임(400)의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300)이 상기 드럼형 프레임(400)의 내부에 일정 길이 삽입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00)에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된 자착드럼(100)과 흡착드럼(200)이 각각 양단에 결합하되므로, 본 발명의 선별기는 양측에 하중이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처짐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양측에 하중이 균일하게 분배되므로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 등 별도의 중량 배분을 위한 부재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선별기는 상기 회전축(30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서포트 프레임(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양측의 드럼형 프레임(400)은 각각 상기 회전축(300)에 결합되고 하중을 지지하므로, 대부분의 하중이 회전축(300)에 전달된다. 또한, 드럼형 프레임(400)의 제1 측판(410)에만 회전축(300)이 연결되므로 드럼형 프레임(400)은 캔틸레버 구조로 회전축(300)에 결합된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500)은 상기 회전축(30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3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5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00)의 축방향을 따라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ㅁ'자, 'ㄷ'자 등 다면체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포트 프레임(500)에는 상기 회전축(300)이 관통 삽입되되, 상기 서포트 프레임(500)의 상단에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5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510)은 상기 회전축(300)의 회전을 원할하게 하고 부하를 지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장착된 베어링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은 상기 회전축(300)의 외주연을 따라서 접하여 상기 회전축(300)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회전축(300)에 걸리는 부하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510)은 상기 회전축(300)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상기 서포트 프레임(500)의 상단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510)은 [그림 7] 및 [그림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00)의 양측에 하나씩 구비될 경우 상기 회전축(300)의 처짐 및 휨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양측을 모두 지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300)의 길이가 장스팬(span)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회전축(300)의 양측 및 중단에 베어링 하우징(510)을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300)을 축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00)에는 외부 인가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동력 전달부(310)를 통하여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한 쌍의 드럼형 프레임(400)에 전달하여 한 쌍의 드럼형 프레임(400)을 동시에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310)는 회전 모터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을 체인식, 벨트식, 기어식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체인식의 동력 전달부(31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00)의 외연을 따라 형성된 동력 전달 스프로킷과 외부에서 인가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벨트식의 동력 전달부(3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00)의 외연을 따라 형성된 풀리와 동력 전달 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동력 전달 벨트의 미끄럼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풀리와 동력 전달 벨트의 접촉면은 마찰력을 높이거나 홈을 형성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기어식의 동력 전달부(310)는 상기 회전축(300)의 외연을 따라 형성된 기어날과 외부에서 인가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310)는 상기 회전축(300)의 축방향 중 어디에 설치되도 무방하나 회전력을 균일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중앙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선별기는 단일의 동력 전달부(310)를 통하여 한 쌍의 드럼형 프레임(400)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자착드럼(100) 및 흡착드럼(200)에서 상기 이물질은 자력선별부(120)에 직접 자착되거나 후드(220)의 안쪽으로 직접 빨려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자착드럼(100)의 분리막(110) 또는 흡착드럼(200)의 분리망(210)에 흡착된 상태로 일정 구간 이동한 후 상기 자기력 또는 흡인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낙하하여 배출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자착드럼(100)은 상기 자력선별부(120)에서 제공된 자력이 상기 분리막(110)을 통해, 콘베이어 벨트(10)로 이송되는 철재 이물질(2)에 가해져, 상기 철재 이물질(2)이 상기 분리막(110)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자착드럼(100)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송되어, 상기 자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착드럼(200)은 상기 후드(220)에 제공된 흡인력이 상기 분리망(210)을 통해, 콘베이어 벨트(10)로 이송되는 순환골재 내 이물질에 가해져, 상기 이물질이 상기 분리망(210)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흡착드럼(200)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송되어, 상기 흡인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철재 및 경량 이물질(2, 3)이 자력 또는 흡인력의 여력이나 정전기 등으로 인하여 분리막(110) 또는 분리망(210)에서 이탈되지 않고 부착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착드럼(100) 및 흡착드럼(200)은 지속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철재 및 경량 이물질(2, 3)은 상기 자착드럼(100) 및 흡착드럼(20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하여 배출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철재 및 경량 이물질(2, 3)이 자유낙하 하는 경우 이물질 배출구(미도시)에 정확하게 안착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자착드럼(100) 및 흡착드럼(20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철재 및 경량 이물질(2, 3)이 배출과 동시에 일정 높이 비산하여 이물질 배출구에 안착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후드(220)의 하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량 이물질(3)의 배출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도록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정 높이까지 경량 이물질(3)을 유도하여 이물질 배출구까지 안정적으로 경량 이물질(3)을 유도해야 할 경우, 위와 같이 상기 후드(220)의 하단부를 일정길이 연장 형성하여 추가 적으로 연장된 구간에도 흡인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의 배출구간에 도달할 경우 경량 이물질(3)이 안정적으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후드(220)의 연장부에서는 배출구간으로 갈수록 흡인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켜 경량 이물질(3)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단이 상기 드럼형 프레임(400)의 외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측판(420)의 개방홀(440)을 통하여 상기 드럼형 프레임(4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자력선별부(120) 또는 후드(220)를 지지하는 캔틸레버암(Cantilever Arm, 60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력선별부(120)와 후드(220)는 각각 드럼형 프레임(400)의 내부공간에서 공중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자력선별부(120) 및 후드(220)는 각각 상기 캔틸레버암(600)에 의하여 드럼형 프레임(400)의 회전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드럼형 프레임(400)의 내부공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흡착드럼(200)의 석션팬(230)은 상기 후드(220)의 상단에 적재되므로, 상기 캔틸레버암(600)이 상기 후드(220)를 지지할 경우 상기 석션팬(230)도 동시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자력선별부(120)와 후드(22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캔틸레버암(600)의 일단은 외부의 고정 프레임, 포스트, 벽 등 안정적이고 내구성이 높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막(110) 또는 분리망(210)의 외연에는, 상단이 상기 분리막(110) 또는 분리망(210)에 축 방향으로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콘베이어 벨트(10)에 닿지 않도록 구성된 복귀차단망(450)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귀 차단망은 상기 분리막(110) 또는 분리망(210)과 연결된 상단부가 축 방향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흔들림에 의한 이물질의 분리를 가속화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착드럼(100)의 복귀차단망(450)은 자화되지 않는 스테인리스강, 합성수지, 합성섬유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드럼(200)의 복귀차단망(450)은 분리망(210)과 동일한 재질과 구조의 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귀차단망(450)은 테두리부가 철심(122)프레임으로 보강되어 형성되거나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귀차단망(450)을 추가 구성함으로써, 자력 또는 흡인력에 의하여 이물질이 상기 자착드럼(100) 및 흡착드럼(200)의 외측으로 무질서하게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의 배출구간에서 원심력과 관성 및 중력에 의한 복귀차단망(450)의 흔들림에 의해 상기 이물질의 배출을 돕고, 상기 이물질의 적정 위치 낙하 배출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귀차단망(450)은 이물질이 배출도중 정전기에 의하여 복귀되어 분리막(110) 또는 분리망(210)에 재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귀차단망(450)은 필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철재 이물질(2)의 자착과정에서 상기 복귀차단망(450)에 의하여 자착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자착드럼(100)에는 복귀차당망(450)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귀차단망(450)은 재료 상태, 사용과정 중 필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치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별기에는 상하방향의 길이부재로서, 하단이 상기 콘베이어 벨트(10)에 근접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반전자(反轉子, 7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전자(700)는 상기 콘베이어 벨트(10) 상면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콘베이어 벨트(10)의 이동에 따라 하단부가 골재(1)와 충돌함으로써 골재(1)의 위상을 반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전자(700)는 본 발명의 선별기에 단수개 또는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반전자(700)는 골재(1)의 위상을 반전시키기 용이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형태의 반전자(700)가 도시되어 있는데, (a)는 하단면이 평면상 콘베이어 벨트(10)의 이동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쐐기형으로 형성된 것이고, (b)는 하단에 날개가 부착되어 단일로 넓은 범위의 반전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고, (c)는 골재(1)의 진행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높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된 날개가 부착되어 골재(1)가 더 높이 튀어오르게 하여 골재(1)의 반전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2]는 자착드럼(100) 및 흡착드럼(200)의 순서로 순환골재가 연속적으로 통과할 경우 철재 이물질(2)과 경량 이물질(3)의 선별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도 2]을 통하여 본 발명의 선별기가 골재(1) 내의 철재 이물질(2) 및 경량 이물질(3)을 제거하는 과정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선별기의 자착드럼(100) 및 흡착드럼(200)은 콘베이어 벨트(10)의 진행방향을 따라 어떤 순서로 설치되어도 상관이 없다. 다만, 하중이 무거운 철재 이물질(2)을 먼저 선별할 경우 경량 이물질(3)의 선별을 더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재(1)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먼저 선별작업이 진행되는 전방에 자착드럼(100)이 배치되고, 후방에 흡착드럼(200)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순환골재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유입되는 방향을 전방, 배출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칭한다.
[도 2]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환골재가 이송될 경우, 왼쪽에 자착드럼(100)이 배치되고, 오른쪽에 흡착드럼(200)이 배치되어 자착선별을 먼저 진행한 뒤 흡착선별이 후에 진행되도록 구성된 선별기가 도시되어 있다.
자착드럼(100) 및 흡착드럼(200)의 배치 위치는 어떤것을 전방에 먼저 배치해도 관계없으나 자착드럼(100)을 전방에 배치하고, 흡착드럼(200)을 후방에 배치히는 것이 중량물인 철재 이물질을 우선 선별하여 흡착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골재가 먼저 자착드럼(100)을 통과하면서 철재 이물질(2)이 자착되어 선별되고, 철재 이물질(2)이 선별된 순환골재는 흡착드럼(200)을 통과하면서 경량 이물질(3)이 선별될 수 있다.
이때, 골재(1) 또는 철재 이물질(2)의 하단에 눌려있던 경량 이물질(3)은 골재(1) 또는 철재 이물질(2)의 하중에 의하여 흡착드럼(200)에서 전달되는 흡인력에도 흡착되지 않아 선별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반전자(700)는 본 발명 선별기 중 어느 곳에도 설치할 수 있으나 선별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자착드럼(100)의 전방과 자착드럼(100)과 흡착드럼(200)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유입되는 순환골재는 자착드럼(100)의 전방에 배치된 반전자(700)가 설치된 구간을 통과하면서 반전자(700)의 하부에 충돌하여 튀어오르거나 굴러 위상이 반전되고, 골재(1), 철재 이물질(2) 및 경량 이물질(3)이 혼합되고 비산되어 비중이 가벼운 경량 이물질(3)은 흡인력이 전달되기 용이하도록 콘베이어 벨트(10)의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그 후, 자착드럼(100)에 의하여 철재 이물질(2)이 분리된 뒤 다시 한번 반전자(700)에 의하여 남은 골재(1)의 위상을 반전하여 경량 이물질(3)은 흡인력을 받기 용이한 상태가 된다. 이후 흡착드럼(200)에 의하여 경량 이물질(3)이 선별되어 이물질의 함량이 낮은 골재(1)를 배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 측판(420)의 외주연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측판(420)에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드럼형 프레임(40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보조 휠(80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회전축(300)이 제1 측판(410)에만 결합된 상태로 공중에 이격되어 설치된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300)과 결합되지 않은 자유단(제2 측판(420) 주변부)에 휨모멘트가 강하게 작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00)과 제1 측판(410)의 결합부 반대측인 상기 제2 측판(420)의 하부에 보조 휠(800)을 설치하여 상기 드럼형 프레임(400)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보조 휠(800)은 추가적으로 상기 드럼형 프레임(400)의 하중을 지지하는 회전축(300)에 가해지는 하중의 부담도 경감시킬 수도 있다.
상기 보조 휠(80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측판(420)의 하부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드럼형 프레임(400)의 회전 중심과 양측의 보조 휠(800)을 서로 연결하였을 때 삼각형의 형태로 배치되므로, 안정적으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휠(800)은 롤러, 기어, 스프로킷 등 상기 제2 측판(420)에 맞물려 회전가능한 모든 회전구조가 적용 가능하다.
상기 보조 휠(800)은 별도의 보조 동력 전달부(310)와 결합되지 않고, 상기 드럼형 프레임(400)의 회전에 맞물려 하중을 분산하는 역할을 수행하거나 보조 동력 전달부(310)와 결합되어 상기 제2 측판(420)의 회전에 맞물려 원할하게 회전하기 위하여 회전비에 맞춰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운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막(110) 또는 분리망(210)은, 일정한 사이즈로 모듈화하여 결합할 수 있다.
[도 9]는 모듈화된 분리망(210)의 결합구조로 설치되어 탈착되는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도 9]에서는 분리망(210)을 모듈화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분리막(110)도 역시 일정한 사이즈로 모듈화 하여 결합할 수 있다.
모듈의 사이즈는 각각의 연결재(430) 사이에 형성된 구획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분리막(110) 또는 분리망(210)을 모듈화하여 드럼형 프레임(400)의 둘레에 결합할 경우, 분리막(110) 또는 분리망(210)의 일부가 파손될 경우에도 분리막(110) 또는 분리망(210)의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손상된 모듈만 교체가 가능하여, 신속한 교체가 가능하고, 인력, 수리비용 등이 절약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 : 골재 2 : 철재 이물질
3 : 경량 이물질
10 : 콘베이어 벨트
100 : 자착드럼
110 : 분리막
120 : 자력선별부
121 : 영구자석 블록 122 : 철심
200 : 흡착드럼
210 : 분리망 220 : 후드
230 : 석션팬
300 : 회전축
310 : 동력 전달부
400 : 드럼형 프레임
410 : 제1 측판 420 : 제2 측판
430 : 연결재 440 : 개방홀
450 : 복귀차단망
500 : 서포트 프레임
510 : 베어링 하우징
600 : 캔틸레버암(Cantilever Arm)
700 : 반전자(反轉子)
800 : 보조 휠

Claims (6)

  1. 콘베이어 벨트(10)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이송되는 순환골재로부터 철재 및 경량 이물질(2, 3)을 연속적으로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드럼형 프레임(400)을 분리막(110)이 둘러감아 내부에 장착된 자력선별부(120)에서 제공되는 자력에 의해 철재 이물질(2)을 선별하는 자착드럼(100);
    드럼형 프레임(400)을 분리망(210)이 둘러감아 내부 장착된 후드(220)를 통해 제공되고 상기 분리망(210)을 통과하는 흡인력에 의해 경량 이물질(3)을 선별하는 흡착드럼(200); 및
    양 단에 각각 상기 자착드럼(100)과 흡착드럼(200)이 결합되고, 외부 인가 동력에 의해 상기 자착드럼(100) 및 흡착드럼(200)을 동시에 축회전 시키는 회전축(300); 을 포함하고
    상기 자착드럼(100)은 상기 자력선별부(120)에서 제공된 자력이 상기 분리막(110)을 통해, 콘베이어 벨트(10)로 이송되는 철재 이물질(2)에 가해져, 상기 철재 이물질(2)이 상기 분리막(110)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자착드럼(100)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송되어, 상기 자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착드럼(200)은 상기 후드(220)를 통해 제공된 흡인력이 상기 분리망(210)을 통해, 콘베이어 벨트(10)로 이송되는 경량 이물질(3)에 가해져, 상기 경량 이물질(3)이 상기 분리망(210)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흡착드럼(200)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송되어, 상기 흡인력이 제공되지 않는 구간에서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자력선별부(120)는 복수개의 영구자석 블록(121)이 하방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적층블록이 폭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배치된 것으로, 상기 복수개의 적층블록은 동일한 높이에서 각각 하방으로 형성되고, 자착드럼(100)의 원형 단면형태에 대응하여 중앙부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영구자석 블록(121)의 적층수가 적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
  2. 제1항에서,
    상기 드럼형 프레임(400)은 원판형의 제1,2 측판(410, 420)과 상기 제1,2 측판(410, 420)을 연결하는 연결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하방향의 길이부재로서, 하단이 상기 콘베이어 벨트(10)에 근접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반전자(反轉子, 7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전자(700)는 상기 콘베이어 벨트(10) 상면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콘베이어 벨트(10)의 이동에 따라 하단부가 골재(1)와 충돌함으로써 골재(1)의 위상을 반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
KR1020220092974A 2022-02-04 2022-07-27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 KR102516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974A KR102516389B1 (ko) 2022-07-27 2022-07-27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
KR1020220177123A KR20240016157A (ko) 2022-07-27 2022-12-16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
US18/105,216 US11865584B2 (en) 2022-02-04 2023-02-02 Drum-type foreign substance suctional attaching and screening device
JP2023014360A JP7498320B2 (ja) 2022-02-04 2023-02-02 ドラム型異物吸着選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974A KR102516389B1 (ko) 2022-07-27 2022-07-27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123A Division KR20240016157A (ko) 2022-07-27 2022-12-16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389B1 true KR102516389B1 (ko) 2023-04-04

Family

ID=859291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974A KR102516389B1 (ko) 2022-02-04 2022-07-27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
KR1020220177123A KR20240016157A (ko) 2022-07-27 2022-12-16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123A KR20240016157A (ko) 2022-07-27 2022-12-16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1638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420B1 (ko) 2007-01-25 2007-09-07 태성개발(주) 건설폐기물에서 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759932B1 (ko) 2007-01-04 2007-09-18 서봉리사이클링(주)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20140010564A (ko) * 2012-07-13 2014-01-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자력 선별장치와 자력 선별장치용 마그네틱 드럼
KR101880712B1 (ko) * 2017-04-14 2018-07-20 (주)참코청하 전복 선별기용 전복 개별 공급장치
KR102029736B1 (ko) 2019-01-29 2019-10-10 주식회사 초계산업 골재 내 이물질의 진동-흡입 선별 장치
KR102049250B1 (ko) 2019-05-23 2019-11-28 박진영 골재 내 이물질의 진동-자착-흡입 선별 장치
KR20220034063A (ko) * 2022-02-04 2022-03-17 박진영 드럼형 이물질 흡착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932B1 (ko) 2007-01-04 2007-09-18 서봉리사이클링(주)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756420B1 (ko) 2007-01-25 2007-09-07 태성개발(주) 건설폐기물에서 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10564A (ko) * 2012-07-13 2014-01-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자력 선별장치와 자력 선별장치용 마그네틱 드럼
KR101880712B1 (ko) * 2017-04-14 2018-07-20 (주)참코청하 전복 선별기용 전복 개별 공급장치
KR102029736B1 (ko) 2019-01-29 2019-10-10 주식회사 초계산업 골재 내 이물질의 진동-흡입 선별 장치
KR102049250B1 (ko) 2019-05-23 2019-11-28 박진영 골재 내 이물질의 진동-자착-흡입 선별 장치
KR20220034063A (ko) * 2022-02-04 2022-03-17 박진영 드럼형 이물질 흡착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157A (ko)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0780B2 (ja) がれき類処理装置
KR102468248B1 (ko) 멀티 드럼형 이물질 흡착 선별장치
KR100759932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102121456B1 (ko) 와전류 드럼을 이용한 폐자원 선별기
KR102468246B1 (ko) 드럼형 이물질 흡착 선별장치
CN110090712B (zh) 处理建筑垃圾用的分拣装置及建筑垃圾再利用系统及方法
KR101320976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KR100863605B1 (ko) 다단 각도변화를 갖는 순환골재 선별용 스크린을 이용하여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파분쇄된 건설폐기물로부터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KR102516389B1 (ko)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
JP2013091006A (ja) 分別破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分別破砕方法
JP3342851B2 (ja) 混合廃棄物の分別処理システム
KR102526489B1 (ko) 단일, 듀얼 드럼형 자력선별 장치
KR100641400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선별장치
JP7498320B2 (ja) ドラム型異物吸着選別装置
KR101205280B1 (ko) 풍량 선별기 및 그를 이용한 선별방법
JP2023114448A (ja) ドラム型異物吸着選別装置
CN213409414U (zh) 一种组合式垃圾分选装置
KR200370561Y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선별장치
JP3173073B2 (ja) ごみ分離装置
KR100643615B1 (ko) 철물 선별장치
KR20220168644A (ko) 흡입력 제어형 공기 흡입구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분리망 흡착 선별기
KR100488241B1 (ko) 파분쇄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CN201552057U (zh) 一种磁选干选机
JP3831552B2 (ja) 廃石膏ボ−ド破砕分別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