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615B1 - 철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철물 선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43615B1 KR100643615B1 KR1020040058835A KR20040058835A KR100643615B1 KR 100643615 B1 KR100643615 B1 KR 100643615B1 KR 1020040058835 A KR1020040058835 A KR 1020040058835A KR 20040058835 A KR20040058835 A KR 20040058835A KR 100643615 B1 KR100643615 B1 KR 1006436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yor
- electromagnet
- hardware
- package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B03C1/2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with non-movable magn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65G27/16—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of vibrators, i.e. devices for producing movements of high frequency and small amplitude
- B65G27/18—Mechanical devices
- B65G27/20—Mechanical devices rotating unbalanced m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철물 선별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운반물을 탑재하여 이송하는 컨베이어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나란하게 근접 배열되는 다수의 단위전자석들로 이루어져 금속 케이싱에 수용되며 각 단위전자석에 감긴 코일들이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전자석과, 이 전자석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컨베이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흡착된 철물들을 외부로 배출하는 철물배출벨트와,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어긋나게 배열되며, 컨베이어의 하면에 접촉하여 마찰 구동되면서 컨베이어를 부분적으로 또한 교호적으로 추켜 올려주는 복수의 편심롤러들로 이루어져서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중인 운반물을 전자석의 하부에서 파헤쳐 뒤집어주는 운반물 요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소비전력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자력이 단일코어로 이루어진 종래의 전자석에 비해 세고 넓게 분포됨과 함께, 이송중인 운반물을 적절히 뒤집어주므로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건설폐기물 등의 운반물에 포함되어 있는 철물을 확실하게 선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건설폐기물, 철물제거, 전자석, 멀티코어, 자력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철물 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도1의 평면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 철물 선별장치의 전자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와 평면도,
도4는 본 발명 철물 선별장치의 재료요동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와 단면도,
도5a 및 도5b는 도4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작동상태 단면도들,
도6은 도4의 Ⅵ-Ⅵ선 단면도,
도7은 도4의 Ⅶ-Ⅶ선 단면도,
도8a 및 도8b는 재료요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와 측면도,
도9a 및 도9b는 종래와 본 발명의 자력의 세기를 나타낸 좌표도,
도10은 종래와 본 발명의 자력의 세기를 나타낸 비교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자석 11: 단위전자석
12: 코어 13: 코일
15: 케이싱 16: 보조코어판
20: 철물배출벨트 25: 블레이드
30: 운반물 요동수단 31: 샤프트
32: 편심롤러 33: 마찰밴드
40: 배출트레이 C: 컨베이어
W: 운반물 G: 철물
본 발명은 각종 폐기물이나 재료(이하 "운반물"로 통칭함) 등으로부터 철물(鐵物)을 선별하여 분리시키기 위한 철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력의 세기가 우수하면서 넓게 분포됨과 함께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중인 운반물을 뒤집어 철물이 드러나도록 함으로써 운반물에 섞여있는 철물을 확실하게 선별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철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환경보호와 더불어 한정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폐자원 재활용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대단히 높으며, 이를 위한 여러 가지 방안들이 제안되어 시행되고 있다.
예컨대, 도시화 및 산업화의 진행과정에서 생겨난 교량이나 아파트와 같은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들은 세월이 지남에 따른 노후화와 기능저하로 인해 해체 내지는 대대적인 보수 또는 재개발이 불가피한 데, 이 과정에서 많은 건설폐기물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건설폐기물은 대부분 매립 처리되고 있었는데, 건설폐기물에는 토사, 콘크리트, 금속, 유리 및 각종 쓰레기가 포함되어 있어 그대로 매립될 경우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 등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할 뿐 아니라 매립지 확보에도 큰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유한자원인 골재는 신규건설의 증가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반해, 일방적으로 소모되는 결과가 되어 골재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음은 물론 골재채취를 위한 채석/채굴에 의한 환경파괴를 더욱 부추기는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자연환경 보호와 더불어 부족자원의 효율적인 재이용이라는 측면에서 건설폐기물을 적극 재활용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건설폐기물의 재생처리는 대체로, 수거된 폐기물로부터의 토분제거, 파쇄, 철근제거, 골재선별, 쓰레기분리 및 세척 등의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필요한 입경의 골재로의 효율적인 재생을 위해 파쇄와 철근 및 쓰레기제거, 골재선별 등의 특정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건설폐기물의 재생처리 과정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골재에 섞여 있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며, 특히 철근과 같은 철물은 폐기물의 파쇄를 저해할 뿐 아니라 파쇄기에도 손상을 야기할 우려가 높으므로 확실하게 선별 제거하지 않으면 안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54474호와 제0185296호 및 제0182620호 등에는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폐기물 등의 운반물로부터 철물을 자력에 의해 추출해내는 소위 자력선별기(magnetic separator)가 제시되어 있다.
이들 자력선별기는 전자석과, 이 전자석의 둘레를 감싼 채 컨베이어의 상부에서 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배출벨트로 이루어져, 하부의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운반물 중의 철물을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회전하는 배출벨트에 흡착한 뒤 컨베이어의 측방으로 이송시켜 자력의 영향권에서 벗어나면 자중에 의해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철물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자력선별기는 컨베이어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에 위치한 철물이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잘 당겨지지 않고 그대로 자력선별기를 통과하여 후속 공정으로 투입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컨베이어는 대체로 많은 운반물을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아래로 볼록한 모양의 대략 용기형 단면을 가지는 바, 운반물 속에 깊숙이 위치한 철물의 경우 운반물에 눌려 밖으로 쉽게 끌려 올라오지 않는다.
한편,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자력선별기를 컨베이어에 더욱 근접시키는 방안을 강구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운반물로부터 분리되는 철물과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운반물간에 간섭이 발생되어 오히려 철물의 원활한 분리가 곤란해지므로 적절한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또한, 전자석의 세기를 크게 하는 방법도 강구할 수 있겠으나, 이 경우에는 전력소모가 지나치게 커지고 전자석의 크기가 커지는 등 시설비용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 역시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즉, 전자석의 세기는 코어의 단면적과 코일의 감은 수 및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는 바, 단일코어로 이루어진 종래 전자석의 세기를 키우기 위해서는 코어의 단면적과 코일의 감은 수 및 전류 등을 늘려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전자석의 소비전력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컨베이어 위에 작용하는 자력을 세고 넓게 분포시킴으로써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건설폐기물 등의 운반물에 포함되어 있는 철물을 확실하게 선별하여 제거할 수 있는 철물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리되는 철물과 이송중인 운반물간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철물이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양자간에 충분한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운반물 중의 철물을 확실히 분리 제거할 수 있는 철물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운반물을 적절히 뒤집어 줌으로써 그에 포함된 철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 제거할 수 있는 철물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철물 선별장치는, 운반물을 탑재하여 이송하는 컨베이어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나란하게 근접 배열되는 다수의 단위전자석들로 이루어져 금속 케이싱에 수용되며, 각 단위전자석에 감긴 코일들이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전자석; 이 전자석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컨베이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흡착된 철물들을 외부로 배출하는 철물배출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어긋나게 배열되며, 컨베이어의 하면에 접촉하여 마찰 구동되면서 컨베이어를 부분적으로 또한 교호적으로 추켜 올려주는 복수의 편심롤러들로 이루어져,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중인 운반물을 전자석의 하부에서 파헤쳐 뒤집어주는 운반물 요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각 단위전자석들의 코어 하단에 코어보다 큰 지름을 갖는 적정두께의 보조코어판이 더 부착된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은, 전자석의 소비전력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컨베이어 위에 작용하는 자력이 단일코어로 이루어진 종래의 전자석에 비해 세고 넓게 분포되어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건설폐기물 등의 운반물에 포함되어 있는 철물을 확실하게 선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리되는 철물과 이송중인 운반물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철물배 출벨트와 컨베이어의 간격을 충분히 유지시킬 수 있어 원활한 철물제거를 보장할 수 있음은 물론, 운반물 속에 깊숙이 존재하는 철물도 확실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므로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신뢰성 향상과 재생골재의 품질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철물 선별장치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1 및 도2에서, 본 발명에 의한 철물 선별장치는 건설폐기물 등의 운반물(W)을 이송하는 컨베이어(C)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전자석(10)과, 이 전자석(10)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흡착된 철물(G)을 컨베이어(C) 밖으로 배출시키는 철물배출벨트(20)와, 컨베이어(C)를 타고 이송중인 운반물(W)을 전자석(10)의 하부에서 적절히 뒤집어주는 운반물 요동수단(30)을 구비한다.
도3a 및 도3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10)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서로 나란하게 근접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전자석(11)들로 이루어진다. 각 단위전자석(11)들은 코어(core:12)의 지름과 보빈(bobbin:14)에 감겨지는 코일(coil:13)의 지름 및 감김 횟수가 모두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 단위전자석(11)들의 코일(13)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전자석처럼 전류가 순차적으로 흐르며, 자극(磁極)의 배치도 동일하다.
이러한 전자석(10)은 금속제의 케이싱(casing:15) 내부에 기밀상태로 수용되 어 케이싱(15)이 도시하지 않는 프레임에 설치됨으로써 컨베이어(C)의 상부에 위치된다. 케이싱(15)의 내부는 오일탱크(oil tank: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코일(13)에서 발생되는 고열에 의한 코일(13)의 저항증대 등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유가 순환된다.
각 단위전자석(11)은 그 상단이 케이싱(15)의 상판에 밀착 고정되어 각각의 코어(12)가 서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전자석(10)은 케이싱(15)과 더불어서 전체적으로는 마치 말굽자석과 유사한 단면형태를 취한다. 이는 막대자석에 비해 말굽자석의 자력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큰 것에 기초한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본 발명 멀티코어(multi-core)형 전자석(10)의 자력증대를 살펴보기 위해, 단일코어로 된 종래 전자석과, 본 발명의 전자석을 아래의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조건으로 구성하여 도9a 및 도9b와 같은 방사상 좌표지점에서 각각의 자력의 세기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표1>
측정조건 | 싱글코어형(종래) | 멀티코어형(본 발명) |
측정거리 | 150㎜ | 150㎜ |
코어 단면적 | 90φ=6361.725124㎟ | 30φ=706.8583471×9개=6361.725124㎟ |
코일지름 | 2.0㎜ | 2.0㎜ |
코일저항 | 25℃=0.702Ω | 25℃=0.706Ω |
코일중량 | 3.508㎏ | 0.39㎏×9개=3.510㎏ |
인가전압 및 전류 | 26.0(V), 26.6(A) | 27.8(V), 25.0(A) |
인가전력 | 691(W) | 695(W) |
<표2>
구분 | 자력의 세기(Gauss) | ||||||||||
측정점 | X축 | XD | XC | XB | XA | O | X1 | X2 | X3 | X4 | 평균값 |
Y축 | YD | YC | YB | YA | O | Y1 | Y2 | Y3 | Y4 | ||
종래 | X축 | 64 | 79 | 90 | 95 | 96 | 93 | 85 | 73 | 60 | 1367 |
Y축 | 62 | 77 | 89 | 96 | 96 | 94 | 85 | 72 | 57 | ||
본발명 | X축 | 78 | 95 | 108 | 114 | 117 | 109 | 100 | 87 | 70 | 1633 |
Y축 | 68 | 85 | 101 | 111 | 117 | 115 | 109 | 93 | 73 | ||
상승률 (%) | X축 | 21.9 | 20.3 | 20.0 | 20.0 | 21.9 | 17.2 | 17.6 | 19.2 | 16.7 | 19.4587 |
Y축 | 9.68 | 10.4 | 13.5 | 15.6 | 21.9 | 22.3 | 28.2 | 29.2 | 28.1 |
여기서, 코일(13)의 경우 코어(12)의 지름이 작아지면 그에 따라 작은 지름의 코일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나, 양자의 용이한 비교를 위해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지름의 코일(13)을 사용하였고, 코일(13)의 감은 횟수는 편의상 종래의 전자석에 사용된 코일무게와 본 발명의 각 단위전자석(11)에 사용된 코일(13)의 전체무게를 이용하여 조정하였다.
<표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코어형 전자석(10)은 대등한 전류하에서 종래의 싱글코어형 전자석에 비해 모든 측정지점에서 높은 자력세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9a 및 도9b에서 자세히 알 수 있듯이 X, Y축에서 뿐 아니라 그들 사이의 대각선축 상에서도 마찬가지로 높은 자력세기를 나타내고 있어 전체적으로 향상된 자력세기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석(10)은 자력이 종래에 비해 넓고 깊게(멀리) 분포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아마도 전자석(10)이 다수의 단위전자석(11)들로 이루어져 서로 같은 자극배열을 가지므로 인접한 단위전자석(11)들의 자력간에 척력(斥力)이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종래 전자석과 본 발명 전자석(10)의 자력차이는 도10에 나타낸 양자 의 비교그래프에서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주변부의 자력세기가 증가하게 되므로 컨베이어(C)의 중앙부 깊숙이 위치하는 철물(G)은 물론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철물(G)까지 확실하게 선별 제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바람직하기로는 각 단위전자석(11)의 하단에 그 코어(12)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적정두께의 보조코어판(16)이 더 부착된다. 본 발명자의 실험에 따르면, 보조코어판(16)을 부착했을 때 부착하지 않은 경우보다 자력의 세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보조코어판(16)이 단위전자석(11)의 코어지름이 커지는 효과를 가져와 전자석의 세기가 코어(12)의 지름에 비례하는 것에 비추어 각 단위전자석(11)의 세기를 증가시켜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철물배출벨트(20)는 컨베이어(C)의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전자석(10)의 양측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프레임에 지지되는 두 롤러(21)에 걸쳐짐으로써 전자석(10)을 에워싸면서 컨베이어(C)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순환된다. 두 롤러(21) 중 하나가 모터(22)에 전동벨트(23)로 연결되어 구동됨으로써 철물배출벨트(20)를 순환시키며, 전자석(10)의 케이싱(15) 상면 양측에 가이드롤러(24)를 구비하여 철물배출벨트(20)의 원활한 순환을 도모한다.
철물배출벨트(20)의 외면에는 흡착된 철물(G)이 전자석(10)의 자력영역을 벗어나 낙하될 때, 컨베이어(C)의 일측에 구비된 배출트레이(discharge tray:40) 상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blade:25)가 일정간격으로 부착된다.
운반물 요동수단(30)은 컨베이어벨트(B)를 가로질러 컨베이어(C)의 사이드프 레임(F)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shaft:31)와, 이 샤프트(31)에 고정되어 컨베이어벨트(B)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상방으로 들어올려 줌으로써 운반물(W)을 뒤집어주는 복수의 편심롤러(32)로 이루어진다.
샤프트(31)는 별도의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편심롤러(32)의 주면이 컨베이어벨트(B)의 상측 하면에 접촉하여 컨베이어벨트(B)의 순환에 따른 양자간의 마찰력으로 구동된다. 컨베이어벨트(B) 상에는 운반물(W)이 탑재되어 비교적 큰 하중이 작용하므로 마찰력만으로도 충분한 회전이 보장되는데, 보다 안정된 회전을 위해서는 각 편심롤러(32)의 외주에 연질의 고무 또는 우레탄 등의 마찰밴드(3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운반물 요동수단(30)은 샤프트(31)가 1개만 구비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기로는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샤프트(31)가 컨베이어(C)의 순환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이때, 각 샤프트(31)에 구비된 편심롤러(32)들은 서로간에 어긋나도록 교호적으로 배치되면서 편심방향도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B)의 서로 다른 부분을 교번적으로 연속해서 들어올려 줌으로써 이송중인 운반물(W)을 골고루 파헤쳐 준다.
이 경우, 각 샤프트(31)는 그 일단에 풀리(pulley:34)를 구비하여 전동벨트(35)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연동되어 각 편심롤러(32)의 어긋난 편심방향을 유지시켜준다.
한편, 도8a 및 도8b에는 본 발명 운반물 요동수단(3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 내었다. 이것은 두 샤프트(31)에 예를 들어 3개씩의 편심롤러(32)가 서로 대응하도록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각 샤프트(31)에 구비된 3개의 편심롤러(32)들은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형태를 이루도록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각기 서로 다른 편심방향을 갖는다.
또한, 각 샤프트(31)의 편심롤러(32)들은 어느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가면서 한 샤프트(31a)의 편심롤러(32a)(32b)(32c)와 다른 샤프트(31b)의 바로 후위에 위치하는 편심롤러(32b)(32c)(32a)가 연속해서 동일한 편심방향을 갖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는 컨베이어벨트(B)의 전후좌우로 어긋난 서로 다른 두 부위를 방향성을 가지고 동시에 순차적으로 밀어 올려준다. 즉, 제1샤프트(31a)의 첫번째 편심롤러(32a)와 제2샤프트(31b)의 두번째 편심롤러(32b), 제1샤프트(31a)의 두번째 편심롤러(32b)와 제2샤프트(31b)의 세번째 편심롤러(32c) 및 제1샤프트(31a)의 세번째 편심롤러(32c)와 제2샤프트(31b)의 첫번째 편심롤러(32a)들이 순차적으로 컨베이어벨트(B)의 각기 다른 두 부위를 부분적으로 쳐올려 주는 것이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철물 선별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전공정에서 적절히 파쇄된 건설폐기물 등의 운반물(W)은 컨베이어(C)를 타고 후속공정으로 이송되는데, 이러한 운반물(W)에는 여러 가지 이물질이 섞여 있다. 그중 철근과 같은 철물(G)은 컨베이어(C)를 타고 이송되는 도중에 본 발명에 의한 철물 선별장치에 의해 제거된다.
즉, 본 발명 철물 선별장치의 전자석(10)은 컨베이어(C)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 전자석(10)의 직하부와 컨베이어(C) 사이에는 전자석(10)에 의한 강한 자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운반물(W)이 전자석(10) 직하부의 자력영역을 지나게 되면 운반물(W)에 포함되어 있던 철물(G)이 자력에 의해 빨려 올라가 전자석(10)의 둘레를 순환하는 철물배출벨트(20)의 하면에 부착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전자석(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코어방식의 복수의 단위전자석(11) 다발로 이루어져 있어 종래의 싱글코어 전자석에 비해 자력의 세기가 훨씬 크므로 운반물(W)중의 철물(G)이 확실하게 분리되어 빨려 올라오게 되며, 특히 넓게 분포되는 자력의 주변부 세기도 상당히 커 컨베이어(C)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철물(G)까지 확실하게 빨려와 부착되게 된다.
더욱이, 이와 동시에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반물 요동수단(30)의 편심롤러(32)들이 컨베이어벨트(B)의 하부에서 컨베이어벨트(B)의 순환에 따른 마찰력으로 회전되면서 컨베이어벨트(B)의 여러 부위를 올록볼록하게 부분적으로 연속해서 쳐올려 줌으로써 운반물(W)을 뒤집어주게 되는 바, 운반물(W) 속에 깊숙이 위치하던 철물(G)도 표면으로 쉽게 노출되면서 운반물(W)의 하중까지 분산되어 운반물(W)에 섞여 있는 철물(G)들을 확실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운반물(W)로부터 분리되어 철물배출벨트(20)의 하면에 부착된 철물(G)은 철물배출벨트(20)를 컨베이어(C)의 한쪽 측방으로 이송되고, 이어서 전자석(10)과 컨베이어(C)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자력영역을 벗어나면 철물(G)이 자중에 의해 철물배출벨트(20)로부터 떨어져 배출트레이(40) 상으로 낙하된다.
이때, 철물배출벨트(20)로부터 떨어지는 철물(G)은 블레이드(25)에 의해 배출트레이(40)로 안전하게 유도되며, 배출트레이(40)로 낙하된 철물(G)은 도시하지 않은 철물수거함 등으로 안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철물 선별장치에 의하면, 전자석의 소비전력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자력이 단일코어로 이루어진 종래의 전자석에 비해 세고 넓게 분포되어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건설폐기물 등의 운반물에 포함되어 있는 철물을 확실하게 선별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리되는 철물과 이송중인 운반물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철물배출벨트와 컨베이어의 간격을 충분히 유지시킬 수 있어 원활한 철물제거를 보장할 수 있음은 물론, 이송중인 운반물을 적절히 뒤집어주므로 운반물 속에 깊숙이 존재하는 철물까지 확실하게 선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철물 선별장치의 신뢰성과 효율 향상 뿐 아니라, 이를 채용하는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 등의 신뢰성과 재생골재의 품질 향상 등에도 크게 기여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건설폐기물 등의 운반물에 포함되어 있는 철물을 분리 제거하기 위한 철물 선별장치로서,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나란하게 근접 배열되는 다수의 단위전자석들 뭉치로 이루어져 금속 케이싱에 수용되며, 각 단위전자석에 감긴 코일들이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전자석;상기 전자석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흡착된 철물들을 외부로 배출하는 철물배출벨트;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어긋나게 배열되며, 컨베이어의 하면에 접촉하여 마찰 구동되면서 컨베이어를 부분적으로 또한 교호적으로 추켜올려주는 복수의 편심롤러들로 이루어져,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중인 상기 운반물을 상기 전자석의 하부에서 파헤쳐 뒤집어주는 운반물 요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 선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전자석의 코어 하단에 코어보다 큰 지름을 갖는 보조코어판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 선별장치.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롤러가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을 따라 복수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 선별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편심롤러 열들이 서로 연동하도록 전동수단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 선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롤러의 외주에 마찰력이 우수한 연질의 고무나 우레탄 등의 마찰밴드가 씌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 선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물배출벨트의 외주에 다수의 블레이드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 선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8835A KR100643615B1 (ko) | 2004-07-27 | 2004-07-27 | 철물 선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8835A KR100643615B1 (ko) | 2004-07-27 | 2004-07-27 | 철물 선별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1448U Division KR200365692Y1 (ko) | 2004-07-27 | 2004-07-27 | 철물 선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0211A KR20060010211A (ko) | 2006-02-02 |
KR100643615B1 true KR100643615B1 (ko) | 2006-11-10 |
Family
ID=3712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58835A KR100643615B1 (ko) | 2004-07-27 | 2004-07-27 | 철물 선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4361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9250B1 (ko) | 2019-05-23 | 2019-11-28 | 박진영 | 골재 내 이물질의 진동-자착-흡입 선별 장치 |
RU228138U1 (ru) * | 2024-03-04 | 2024-08-16 | Дмитрий Анатольевич Трегубов | Железоотделитель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3614B1 (ko) | 2006-10-17 | 2007-06-28 | 인선지에스 주식회사 | 순환골재의 금속 이물 제거장치 |
KR101290241B1 (ko) * | 2011-07-28 | 2013-07-30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철분 회수 장치 |
CN109174447B (zh) * | 2018-08-14 | 2020-08-21 | 中国神华能源股份有限公司 | 用于胶带输送机的除铁器 |
CN111701885B (zh) * | 2020-07-09 | 2024-04-05 | 安徽欧亚德光电技术有限公司 | 用于矿石物料的x射线分选装置 |
-
2004
- 2004-07-27 KR KR1020040058835A patent/KR10064361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9250B1 (ko) | 2019-05-23 | 2019-11-28 | 박진영 | 골재 내 이물질의 진동-자착-흡입 선별 장치 |
RU228138U1 (ru) * | 2024-03-04 | 2024-08-16 | Дмитрий Анатольевич Трегубов | Железоотделител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0211A (ko) | 2006-0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2054B1 (ko) | 건설 폐기물에서의 스텐레스 스틸 선별장비 | |
KR100643615B1 (ko) | 철물 선별장치 | |
CN110090712B (zh) | 处理建筑垃圾用的分拣装置及建筑垃圾再利用系统及方法 | |
KR101196306B1 (ko) | 폐합성수지 및 토사선별을 위한 회전디스크 선별장치 | |
KR200365692Y1 (ko) | 철물 선별장치 | |
KR102033626B1 (ko) | 우드칩용 알루미늄 자력선별장치 | |
JP3342851B2 (ja) | 混合廃棄物の分別処理システム | |
CN101930822B (zh) | 输送带多极磁辊异步消磁装置 | |
KR20200023026A (ko) |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 |
KR200195222Y1 (ko) | 폐전주쇄석철스크랩선별콘베어장치 | |
KR100641400B1 (ko) | 건설폐기물의 파쇄선별장치 | |
KR20070052104A (ko) | 고효율 순환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 |
CN208131129U (zh) | 一种建筑垃圾处理成回填土的无害化系统 | |
KR102691944B1 (ko) | 듀얼 드럼형 골재 내 이물질 자착-흡착 선별기 | |
KR200370561Y1 (ko) | 건설폐기물의 파쇄선별장치 | |
KR20090044275A (ko) | 산업폐기물 처리를 위한 이송장치 | |
KR100517222B1 (ko) |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 |
KR102513153B1 (ko) | 철편 선별기 | |
CN218637604U (zh) | 一种碎石料中筛选磁性金属杂物的磁选装置 | |
KR100509830B1 (ko) | 건설폐기물의 골재선별 세척장치 | |
CN219559936U (zh) | 移动式建筑垃圾破碎筛分设备 | |
CN219400328U (zh) | 一种建筑垃圾处理破碎机 | |
CN211275384U (zh) | 废料分离设备 | |
KR20150072836A (ko) | 컨베이어벨트를 활용한 철질 폐기물 선별장치 | |
CN210753193U (zh) | 分拣式回收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029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