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379B1 -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수분해성 생리대 - Google Patents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수분해성 생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379B1
KR102516379B1 KR1020200093012A KR20200093012A KR102516379B1 KR 102516379 B1 KR102516379 B1 KR 102516379B1 KR 1020200093012 A KR1020200093012 A KR 1020200093012A KR 20200093012 A KR20200093012 A KR 20200093012A KR 102516379 B1 KR102516379 B1 KR 102516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lp
sanitary napkin
soluble film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3730A (ko
Inventor
김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라운드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라운드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라운드바디
Priority to KR1020200093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3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66Wrapping formed fibrous webs or pads, e.g. the pads being formed by uniting pad pieces cut from fibrous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13/15252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ompostable or biodegra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17Making absorbent pads from fibres or pulverulent material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the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2Compostable, hydrosoluble or hydrodegradabl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6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 A61F2013/159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via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00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from pul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61F2013/539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with adhes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수분해성 생리대에 관한 것으로, 펄프 흡수체를 이용하여 별도의 고흡수성 수지를 포함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생리혈의 흡수 효과가 우수하고, 상기 펄프 흡수체가 흡수한 생리혈이 생리대 밖으로 투과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 후 폐기하고자 하는 생리대를 변기에 넣어 버리면, 정화조 내에서 다량의 물에 의해 분해되거나, 토양 내에서 생분해되어, 환경 오염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수분해성 생리대{Method for manufacturing hydrolyzable sanitary napkin and hydrolyzable sanitary napkin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수분해성 생리대에 관한 것으로, 생리혈의 흡수 및 방수 효과가 우수하고, 사용 후 생리대가 물에 녹아 폐기가 간단한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수분해성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리대 또는 팬티 라이너는 여성에 있어서 한달을 주기로 하여 나타나는 생리적 현상에 의한 생리혈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착용하고 있는 것이며, 또한 생리혈을 흡수하는 작용과 함께 음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생리대는 대부분 적은 부피의 패드로 많은 양의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는 효능 또는 유체 비투과성을 가지는 피복제의 두께를 더 얇게 하면서 방수 효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개선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패드는 분비물을 흡수하는 능력을 높이고자 고흡수성의 폴리머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것은 적은 부피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흡수율이 높아 분비물의 흡수효과가 큰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여성의 월경시에 분비되는 월경혈은 생리혈과 셀룰로오스성 물질 및 점액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월경혈은 생리대의 생리혈 흡수패드에 의하여 흡수되지만 흡수된 상태로 장시간 지속됨으로써 각종의 세균이 번식하기에 유리한 환경이 되어 위생적으로나 냄새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생리대의 위생 상태는 대단히 중요한 것이며, 월경혈 및 분비물의 흡수와 함께 세균번식의 방지는 생리대의 필수사항이라 할 것이다.
다음은 일반적인 생리대의 한 예를 보인 것으로, 이처럼 생리 기간에 출혈되는 생리혈을 위생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생리대를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생리대는 피부에 접촉되어 분비물을 투과시키는 투과성의 내피, 내피와 동일한 크기 및 모양으로 이루어져 내피와 융착 결합되는 불투과성의 불투과성 외피, 내피와 불투과성 외피 사이에 삽입 고정되어 내피를 투과한 생리혈 등의 분비물을 흡수하는 흡수패드, 상기 흡수패드와 내피 사이의 적절한 위치에 삽입 고정되어 흡수패드 및 불투과성 외피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내의 내면과의 접착을 통해 생리대를 고정시키는 점착패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분비물을 흡수하는 펄프 흡수체는 내피 및 불투과성 외피 사이의 적정 한 위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내피 및 방수외부의 가장자리 부분이 열융착에 의해 결합된다. 이처럼 구성된 생리대는 내피를 통해 투과된 분비물을 흡수패드를 통해 흡수하게 된다.
상기 흡수패드는 고흡수성수지(SAP, Supersorbent polymer)라는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자기 무게보다 수십 배에서 수백 배까지 물을 흡수하는 수지로서 재료 자체가 물을 빨아들이므로 탈지면이나 무명천 같은 것보다 흡수량이 많으며 웬만한 압력에는 물을 방출하지 않아 유아용·성인용·동물용 기저귀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고흡수성수지(SAP)는 물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지만, 흡수되어 사용된 기저귀, 생리대 등의 물품은 자체적으로 생분해되지 않아 환경 오염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물에 녹을 수 있거나, 토양 속에서 생분해가 가능하여, 환경 오염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생리대의 사용 시, 흡수된 생리혈이 생리대 밖으로 투과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생리대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특허 문헌 1) 10-2016-0022024 A1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수분해성 생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펄프 흡수체를 이용하여 별도의 고흡수성 수지를 포함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생리혈의 흡수가 가능하며, 상기 펄프 흡수체의 형태를 고정시키고, 흡수한 생리혈이 생리대 밖으로 투과되지 않는 방수층을 포함하는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수분해성 생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 후 폐기하고자 하는 생리대를 변기에 넣어 버리면, 정화조 내에서 다량의 물에 의해 분해되거나, 토양 내에서 생분해되어, 환경 오염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방법은 1) 펄프를 분쇄하고, 성형하여 펄프 흡수체로 제조하는 단계; 2) 수용성 필름을 이용하여 펄프 흡수체를 감싸는 단계; 3) 상기 수용성 필름이 감싼 펄프 흡수체의 상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투과성의 내피를 접착하는 단계; 및 4) 상기 투과성의 내피가 접착된 다른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불투과성 외피를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 단계는 분쇄된 펄프를 직육면체의 형태로 성형하여 펄프 흡수체로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2) 단계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성형된 펄프 흡수체를 수용성 필름이 펄프 흡수체의 면을 감싸 펄프 흡수체의 형태를 유지하며, 상기 펄프 흡수체의 생리혈이 투과되어 흡수되는 일면은 개방된 형태로 수용성 필름이 감싸는 것이다.
상기 2) 단계의 펄프 흡수체 및 수용성 필름은 세로 방향으로 5:9 내지 8:9의 길이 비율로 접하고, 수용성 필름을 접어 펄프 흡수체를 감싸는 것이다.
상기 불투과성 외피는 일면이 수용성 필름과 접착되고, 다른 일면은 점착패드가 접착되며, 상기 수용성 필름과 접하는 일면은 발수 효과로 흡수패드가 흡수한 생리혈의 투과를 방지하며, 점착패드가 접착된 불투과성 외피의 다른 일면은 물의 흡수가 용이하여 물 속에서 분해될 수 있다.
상기 4) 단계는 불투과성 외피의 수용성 필름과 접착된 일면과 반대면에 내의 내면과의 점착을 위한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해성 생리대는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펄프 흡수체를 이용하여 별도의 고흡수성 수지를 포함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생리혈의 흡수 효과가 우수하고, 상기 펄프 흡수체가 흡수한 생리혈이 생리대 밖으로 투과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 후 폐기하고자 하는 생리대를 변기에 넣어 버리면, 정화조 내에서 다량의 물에 의해 분해되거나, 토양 내에서 생분해되어, 환경 오염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해성 생리대의 단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프 흡수체 및 수용성 필름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프 흡수체 및 수용성 필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따른 수분해성 생리대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의 흡수 효과 및 방수 효과에 대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해성의 실험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해성의 실험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의 변기 내 막힘 여부 확인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만이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상에 B가 위치한다는 의미는 A 상에 직접 맞닿게 B가 위치하거나 그 사이에 다른 층이 위치하면서 A 상에 B가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A의 표면에 맞닿게 B가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또는 “A”, “B”와 같은 용어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동일한 용어를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 표현은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문맥상 해석되는 단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본 발명의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방법은 1) 펄프를 분쇄하고, 성형하여 펄프 흡수체로 제조하는 단계; 2) 수용성 필름을 이용하여 펄프 흡수체를 감싸는 단계; 3) 상기 수용성 필름이 감싼 펄프 흡수체의 상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투과성의 내피를 접착하는 단계; 및 4) 상기 투과성의 내피가 접착된 다른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불투과성 외피를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생리대는 버려지는 양이 막대하여 환경 오염의 주범일 뿐 아니라, 발암 물질인 다이옥신 등 환경 호르몬이 발생한다는 사실로 인해 많은 문제를 발생하였다.
일반 생리대의 가장 큰 문제점은 화학약품의 사용이다. 시중에 판매되는 생리대의 경우 폴리에틸렌 필름, 흡수지, 부직포, 면상펄프, 고분자 흡수제를 주성분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그 이상은 제조 비밀로 분류,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일회용 생리대는 사용 후 ‘감염성 폐기물’로 분류돼 땅에 묻는데 이때 염소계 표백제 등의 화학물질이 땅과 강에 스며들어 환경오염을 일으킨다.
여성은 13살부터 50세까지 37년간 500번의 생리를 하며, 하루 평균 5개를 5일 동안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평생동안 약 11,000개의 생리대를 사용하게 된다.
일회용 생리대는 쉽게 쓰고 버리지만, 그 양은 엄청나서 한 해동안 20억 개의 일회용 생리대가 버려지며, 이것을 늘어놓으면 2만 km에 달한다.
또한, 11,000개의 생리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매년 여의도 만한 숲을 파괴해야만 가능하다고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회용 생리대는 환경 파괴뿐만 아니라 여성 건강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 최근 일부 제품에서 벌레가 발견되거나, 포름알데히드 검출 등의 문제되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최근 대안 생리대를 사용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으며, 크게 패드형 면 생리대를 이용하거나 삽입형 대안 생리대를 이용하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패드형 면 생리대는 생리대를 천으로 만들어, 빨아서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 생리대이다. 이러한 면 생리대는 피부 자극이 적고, 다회 사용이 가능한 친환경 제품이라고 할 것이나, 사용 후, 세척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삽입형 대안 생리대는 천연 고무로 만든 키퍼(Keeper) 및 실리콘으로 만든 문컵(Moon Cup)으로 두 가지가 판매되고 있다. 면 생리대와 같이 다회 사용이 가능하지만, 재질의 특성상 보관 시, 서늘한 곳에서 보관해야되고, 세척에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수분해성 생리대는 화학약품을 최소화하고, 사용한 생리대는 변기에 직접 버리거나, 토양에 매립 시 쉽게 생분해되어 환경 오염 문제의 발생을 최소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1) 단계는 펄프 흡수체를 제조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롤 형태로 공급된 펄프를 분쇄하고, 하나의 생리대에 포함되는 형태로 성형하여 펄프 흡수체를 제조한다.
종래 생리대의 흡수체는 생리혈의 흡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고흡수성수지(SAP, Supersorbent polymer)라는 폴리머를 포함한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생리혈의 흡수 효과가 우수하지만, 생분해가 불가하여 폐기 시 환경 오염 문제의 주범이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고흡수성 수지를 별도로 포함하지 않고, 분쇄된 펄프로 흡수체를 제조하여 생리혈의 흡수 효과를 높이고, 물에 녹거나 토양 내에서 생분해될 수 있어, 환경 오염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펄프는 시트 형태로 제공 시에는 생리혈과 접촉 면적이 작아, 흡수 능력이 떨어지지만, 이를 분쇄하면, 분쇄된 펄프는 생리혈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우수한 생리혈 흡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별도의 고흡수성 수지를 포함하지 않고, 분쇄된 펄프를 성형하여 펄프 흡수체로 제조하게 되면, 생리대로 사용 시 우수한 생리혈 흡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만, 펄프 흡수체의 경우, 생리혈 흡수 효과는 우수하지만, 고흡수성 수지에 비해 생리혈을 담지하는 성능 자체가 떨어지게 되어, 펄프 흡수체만을 이용하게 되면 생리대의 외부로 생리혈이 투과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펄프 흡수체는 분쇄한 펄프를 이용하여 성형되는 것으로 생리대의 사용 상태 및 보관 상태에 따라 쉽게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이에, 상기 2) 단계는 수용성 필름을 이용하여 펄프 흡수체를 감싸는 것으로, 구체적인 사항은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도 1 내지 4는 본 수분해성 생리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적인 도면으로, 제조 조건 및 제품의 형태에 따라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것으로, 도 1 내지 4의 도면에 권리 범위가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자명한 수준으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해성 생리대의 단면에 관한 것이다.
앞서 2) 단계 이후, 3) 상기 수용성 필름이 감싼 펄프 흡수체의 상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투과성의 내피를 접착하는 단계; 및 4) 상기 투과성의 내피가 접착된 다른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불투과성 외피를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 단계의 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된 수분해성 생리대는, 도 1과 같이, 피부에 직접 닿는 부분을 우선하여, 투과성의 내피(300); 제1 접착층(510); 수용성 필름(200)이 감싼 펄프 흡수체(100); 제2 접착층(520) 및 불투과성 외피(400)의 순으로 적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펄프 흡수체(100) 및 수용성 필름(200)에 대한 부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2는 위쪽에서 바라본 정면도에 관한 것이며, 도 3은 펄프 흡수체(100) 및 수용성 필름(200)에 관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성 필름(200)은 펄프 흡수체(100)를 감싼 형태이나, 생리혈이 흡수되기 위한 일면은 개방된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1) 단계에서 직육면체의 형태로 성형된 펄프 흡수체(100)는 수용성 필름(200)이 펄프 흡수체(100)의 면을 감싸 펄프 흡수체(100)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펄프 흡수체(100)의 생리혈이 투과되어 흡수되는 일면은 개방된 형태로 수용성 필름(200)이 감싸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형태로 감싸기 위해 펄프 흡수체(100) 및 수용성 필름(200)은 세로 방향으로 5:9 내지 8:9의 길이 비율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9 또는 7:9이지만, 상기와 같이 펄프 흡수체(100)가 생리혈을 흡수하는 면을 제외하고, 펄프 흡수체(10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형태로 수용성 필름(200)이 감쌀 수 있다면 길이 비율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펄프 흡수체(100)를 완전히 감싸도록 수용성 필름(200)을 이용하여 가공한 이후, 생리혈이 흡수되는 면만 절단하여 이용할 수도 있고, 본 발명에서와 같이 성형된 펄프 흡수체(100)의 일면에 수용성 필름(200)을 접한 이후, 양면을 접는 방식으로 펄프 흡수체(100)를 감싸는 방법도 이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펄프 흡수체(100)의 단면에 대해, 생리혈이 흡수되는 면을 제외한 다른 3면이 모두 수용성 필름(200)에 의해 감싸는 형태로 제조되는 것은 제한 없이 모두 선택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성 필름(200)은 펄프 흡수체(100)의 생리혈이 흡수되는 면의 일부 면에 대해서도 감싼 형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따라서, 펄프 흡수체(100)의 가로 방향(x 방향) 및 세로 방향(y 방향)에 대해서, x 방향으로는 펄프 흡수체(100)와 수용성 필름(200)이 동일한 길이로 포함되고, y 방향에 대해서는 펄프 흡수체(100) 대비 수용성 필름(200)의 길이가 5:9 내지 8:9의 비율이며, 세로 길이가 펄프 흡수체(100)에 긴 수용성 필름(200)의 중심부와 펄프 흡수체의 중심부가 서로 일치되도록 맞닿은 후, 수용성 필름(200)의 양 끝단을 펄프 흡수체(100)를 감싸도록 접어주면, 펄프 흡수체(100)의 생리혈이 흡수되는 면에 양 끝단까지 수용성 필름(200)이 감싸게 된다.
상기 수용성 필름(200)은 펄프 흡수체(100)가 흡수한 생리혈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고, 펄프 흡수체(100)에 흡수된 후 투과되는 일부의 생리혈을 흡수할 수 있다.
종래 생리대는 고분자 필름을 이용하여 물의 투과를 방지하였다면, 본 발명의 경우, 수용성 필름(200)을 사용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펄프 흡수체(100)의 형태를 유지할 뿐 아니라, 생리혈을 흡수하고, 이를 담지함으로써 외부로의 생리혈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용성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으로, 수용성의 특성을 나타내어, 펄프 흡수체(100)를 투과하는 일부의 생리혈을 흡수할 수 있으며, 4시간 내지 8시간 정도 생리혈을 담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필름은 1 내지 2mm의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생리대의 착용감을 낮추는 문제를 방지하고, 변기에 넣고 버렸을 때, 수압에 의해 쉽게 분해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PVA 필름에 국한되지 않고, 수용성 필름의 소재에 의해 다수의 물에서 쉽게 분해가 가능하다면,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당업자가 생리대에 적용할 수 있는 두께의 수용성 필름(200)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투과성의 내피(300)는 생리대의 사용 시, 인체의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면으로, 피부 자극을 방지하고, 생리혈이 쉽게 투과되어, 펄프 흡수체(100)로 전달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내피(300)는 펄프 소재로 구성되며, 30 내지 40g/m2의 밀도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투과성이 우수하고, 피부 자극을 방지하도록 접촉면이 부드럽도록 가공된 펄프 소재로 구성된다.
이때, 투과성을 높이기 위해, 30g/m2의 미만의 밀도를 가지는 펄프 소재를 사용하게 되면, 내구성이 약해, 생리대를 착용하고 의자에 앉거나 과격한 운동 등을 하는 경우, 내피가 외력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30 내지 40g/m2의 밀도를 가지는 펄프 소재를 사용하여, 내구성의 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피부 자극을 낮추며, 펄프 흡수체(100)로 쉽게 생리혈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는, 내피(300)와 동일한 크기 및 모양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성 필름(200)과 접착되는 불투과성 외피(400)를 포함하며, 상기 불투과성 외피(400)는 일면이 수용성 필름(200)과 접촉하며, 다른 일면은 점착층(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성 필름(200)과 접촉하는 불투과성 외피(400)의 일면은 발수 효과로 펄프 흡수체(100)가 흡수한 생리혈의 투과를 최종적으로 방지하며, 점착층이 형성된 불투과성 외피(400)의 다른 일면은 물의 흡수가 용이하여 물 속에서 풀어질 수 있다.
즉, 수용성 필름(200)과 접촉하는 일면의 경우에는 발수 효과로 인해, 펄프 흡수체(100)를 통과한 생리혈이 수용성 필름(200)을 투과하여 생리대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종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불투과성 외피는 콜라겐 코팅층에 의한 소수성 성질의 부여 이외에, 펄프 자체의 소수성의 부과를 위해, AKD(alkylketen dimer) 또는 ASA(alkenyl succinic anhydride)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KD 또는 ASA는 펄프 100 중량부에 대해, 0.3 내지 0.7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단독으로 포함될 수도 있고, 혼합하여 포함될 수도 있다. 혼합 시, 중량비는 1: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KD 또는 ASA는 펄프에 소수성을 부과하기 위해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함량 범위 미만으로 사용 시 소수성이 떨어지게 되고, 초과하여 포함 시에는, 거품이 많이 발생하게 되어 환경 오염과 비용 상승(용수 사용 과다), 제조 후에 종이 절단과 컬링(종이가 말리는)현상이 발생되어 제조 공정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미도시)은 내의와 점착하기 위한 것으로, 하이드로카본 레진(Hydrocarbon resin)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레진 이외에 점착이 가능한 소재는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3) 단계 및 4) 단계는 수용성 필름(200)이 감싼 펄프 흡수체(100)에 내피(300) 및 외피(400)를 접착하는 단계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하는 것이다.
상기 접착 방식은 종래 생리대의 제조 시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경우, 접착제의 사용을 통상적인 생리대 제조 방식과 비교하여 1/2 이하로 사용하여, 접착제의 사용량을 최소화하였다.
구체적으로 종래 생리대는 내피 및 외피의 접착을 위해 접착제 0.28g 사용하여 제조하였다면 본 발명은 접착제를 0.14g 이하로 사용할 수 있다. 외피 및 내피를 접착하기 위해, 접착제를 종래 생리대 제조 방식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물에 넣고 분해 시, 접착제에 의해 펄프의 풀어짐이 방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생리대에 사용되는 접착제도 화학 성분으로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최소한의 접착제 사용으로, 사용자의 건강뿐 아니라, 수분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방법은 4) 단계에서 내피(300) 및 외피(400)가 접착층(510, 520)에 의해 수용성 필름으로 감싸진 펄프 흡수체와 접착하게 된 이후, 도 4와 같은 형태로 성형되어 생리대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생리대의 형태는 도 4에 국한되지 않고 통상적인 생리대의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의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방법은, 앞선 4) 단계 이후, 펄프지 또는 수용성 필름으로 포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는, 생리대 자체의 수분해 또는 생분해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포장지 또한 수분해 또는 생분해가 가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생리대의 사용을 위해 벗겨낸 포장지도 변기에 버리는 등의 방식을 통해 쉽게 해결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제조예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생리대의 제조 장치 내에 80 내지 120g/m2의 밀도를 가지는 롤 타입의 펄프를 제공하며, 상기 롤 타입의 펄프는 분쇄되어 펄프 흡수체로 성형하였다. 상기 펄프 흡수체의 일면에 PVA 필름을 맞닿은 후, PVA 필름의 양 끝단을 접어, PVA 필름이 펄프 흡수체를 감싸도록 하였다.
상기 펄프 흡수체의 PVA 필름이 감싸지 않은 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내피를 접착하였다. 이후, PVA 필름의 내피가 접착되지 않은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불투과성 외피를 접착하였다.
상기 불투과성 외피는 50 내지 60g/m2의 밀도를 갖고 AKD가 펄프 100 중량부 대비 0.5 중량부로 포함하는 펄프 시트를 사용하였다. 상기 내피는 30 내지 40g/m2의 밀도를 가지는 펄프 시트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상기 펄프 흡수체는 PVA 필름으로 감싼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와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불투과성 외피를 제조 시, AKD를 혼합하지 않은 50 내지 60g/m2의 밀도의 펄프 시트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와 동일하게 생리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접착제 도포량을 일반적인 생리대 제조 방식과 동일하도록 양을 늘려 접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생리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생리혈 흡수 효과 및 방수 효과
생리혈의 흡수 및 방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빨간색 잉크를 희석시킨 물을 50ml 정도 준비하였다. 평균적인 여성의 1회 생리 기간에 나오는 생리혈의 양은 80ml로, 많으면 100ml 내지 150ml이다.
생리대의 사용 상태를 고려하여, 교체 시기 내 생리혈의 양을 30ml 정도라고 예측하였으며, 해당 양보다 많은 양의 물의 흡수 가능 여부와, 방수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5와 같이 생리대에 물을 뿌려주고, 충분히 흡수되었는지 여부와 반대측면에서 유출여부를 확인하였다.
도 5와 같이 모두 잘 흡수하는 경우, 흡수를 O로 표시하고, 흡수되지 않는 경우를 X로 표시하였다.
또한, 반대면에서 붉은색 물이 확인되는 경우는 방수에서 ○로 표시하고, 도 2와 같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경우는 X로 표시하였다.
특히, 방수의 경우, 실험 1시간 경과 후 및 4시간 경과 후로 구분하여 외부 유출 여부를 확인하였다.
제조예 대조예 1 대조예 2 비교예 3
흡수
방수 1시간 후 X X X
4시간 후 X X
상기 실험 결과, PVA 필름의 포함 여부에 의해 방수 효과의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PVA 필름을 포함하지 않은 대조예 1은 1시간 경과 후, 외부로 붉은색의 잉크과 투과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대조예 2의 경우에는 4시간 경과 후, 미세하게 붉은 색 잉크과 투과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제조예 및 비교예 3의 경우에는 방수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물 풀어짐 현상 확인
생리대의 물 풀어짐 현상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물 풀어짐 정도는 변기 내 수압을 감안하여, 물에 넣고 교반하지 않았을 때 풀어짐 현상 발생 여부, 스푼으로 교반한 경우에 풀어짐 현상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사용 상태를 고려하여, 변기에 넣고 물을 내렸을 때, 변기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도 확인하였다.
도 6 물 속에서 풀어짐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 대한 예시이며, 도 7은 물 속에서 풀어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대한 예시이다.
도 8은 변기에 본 발명의 생리대를 넣고 물을 내리는 경우, 변기 막힘 현상이 발생한지에 대한 실험 동영상을 캡쳐한 사진이다.
제조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물 속 방치
물에 넣고 교반 X
변기 막힘 여부 X X X X
상기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접착제를 다량으로 사용한 비교예 3의 경우에는 접착제에 의해 펄프 시트간의 접착으로 인해 물 속에서 풀어짐 현상이 쉽게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생리대가 모두 풀어짐 현상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다만, 펄프 흡수체의 경우, 도 7과 같이 단순 물속에서만 방치시킨 경우에는 완전히 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스푼으로 가볍게 교반하면 풀림 현상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관능 평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리대에 대해 20대 여성 12명을 대상으로 3명씩 1군으로 설정하여 4개 군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대조군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생리대를 제공하고, 생리 기간 시 번갈아 사용을 요청한 후, 시중에 판매되는 생리대와 비교하여 착용감 및 흡수 정도에 대한 상대적인 평가를 요청하였다. 점수는 1 내지 5점으로 평가를 요청하였으며, 평가 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한 평가를 나타낸다.
제조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착용감 5 1 3.5 5
흡수 정도 4.5 2 2 5
편리성 5 3 4 1
상기 관능 평가 결과에 비추어, 비교예는 사용 시 흡수체가 분리됨에 따라 착용감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다수 존재하였으며, 이에 따른 흡수력에서 시중 생리대에 비해 매우 떨어진다는 평이 다수 존재하였다. 또한, 변기에 바로 버릴 수 있는 점에서 편리성은 우수하나, 착용감 및 흡수 정도에 의해 편리성도 낮은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2의 경우에도 낮 시간 착용 시에는 시중 생리대에 큰 차이가 없다는 평가가 주로 나타났으나, 자는 중에 사용 시에는 흡수력이 떨어지는 부분에서 불편한 평가가 주로 나타났다.
비교예 3의 경우에는 변기에 직접 버리지 못하는 점에서 시중 생리대와 편리성에 차이가 없다고 평가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제조예에 의한 생리대의 경우 기존 생리대에 비교하여 관능 평가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펄프 흡수체
200: 수용성 필름
300: 내피
400: 불투과성 외피
510: 제1 접착층
520: 제2 접착층

Claims (7)

1) 펄프를 분쇄하고, 성형하여 펄프 흡수체로 제조하는 단계;
2) 수용성 필름을 이용하여 펄프 흡수체를 감싸는 단계;
3) 상기 수용성 필름이 감싼 펄프 흡수체의 상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투과성의 내피를 접착하는 단계; 및
4) 상기 투과성의 내피가 접착된 다른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불투과성 외피를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1) 단계는 분쇄된 펄프를 직육면체의 형태로 성형하여 펄프 흡수체로 제조하는 것이며,
상기 2) 단계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성형된 펄프 흡수체를 수용성 필름이 펄프 흡수체의 면을 감싸 펄프 흡수체의 형태를 유지하며,
상기 펄프 흡수체의 생리혈이 투과되어 흡수되는 일면은 개방된 형태로 수용성 필름이 감싸는 것인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방법.
삭제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의 펄프 흡수체 및 수용성 필름은 세로 방향으로 5:9 내지 8:9의 길이 비율로 접하고,
수용성 필름을 접어 펄프 흡수체를 감싸는 것인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과성 외피는 일면이 수용성 필름과 접착되고,
다른 일면은 점착패드가 접착되며,
상기 수용성 필름과 접하는 일면은 발수 효과로 흡수패드가 흡수한 생리혈의 투과를 방지하며,
점착패드가 접착된 불투과성 외피의 다른 일면은 물의 흡수가 용이하여 물 속에서 분해되는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는 불투과성 외피의 수용성 필름과 접착된 일면과 반대면에 내의 내면과의 점착을 위한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방법.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분해성 생리대.
KR1020200093012A 2020-07-27 2020-07-27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수분해성 생리대 KR102516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012A KR102516379B1 (ko) 2020-07-27 2020-07-27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수분해성 생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012A KR102516379B1 (ko) 2020-07-27 2020-07-27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수분해성 생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730A KR20220013730A (ko) 2022-02-04
KR102516379B1 true KR102516379B1 (ko) 2023-03-31

Family

ID=80268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012A KR102516379B1 (ko) 2020-07-27 2020-07-27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수분해성 생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3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126Y1 (ko) 2005-09-21 2006-03-07 유영철 숯과 약쑥 성분이 포함된 위생커버
KR102085567B1 (ko) * 2018-12-26 2020-03-06 김지연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1002280B (el) * 1991-09-27 1996-05-02 Mcneil-Ppc Inc. Απορροφητικον αντικειμενο το οποιο εχει παραθυρο προσβολης.
JP3470122B2 (ja) * 1993-02-26 2003-11-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水崩壊性衛生材料
BR0113151A (pt) * 2000-09-01 2003-07-08 Kimberly Clark Co Produtos de cuidado pessoal altamente conformáveis
KR101609357B1 (ko) 2014-08-19 2016-04-05 (주) 스리에스엠코리아 티트리, 명반, 맥반석 및 제올라이트 조성물과 고흡수성수지(sap)가 함유된 생리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126Y1 (ko) 2005-09-21 2006-03-07 유영철 숯과 약쑥 성분이 포함된 위생커버
KR102085567B1 (ko) * 2018-12-26 2020-03-06 김지연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730A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8615B1 (en) Absorbent article
KR101728913B1 (ko) 흡수성 물품
CA2441038C (en) Absorbent article having hydrophobic leak protection zones
US20030093045A1 (en) Absorbing article having zoned areas of hydrophilicity
KR20010070520A (ko) 흡수력 높은 실금(失禁) 패드
JPH05507865A (ja) 吸収物品の容量表示材
JP4746833B2 (ja) 女性用失禁パッド
JP5711491B2 (ja) 吸収性物品
KR102516379B1 (ko) 수분해성 생리대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수분해성 생리대
JP4729198B2 (ja) 挿入式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4833131B2 (ja) 紙おむつ
KR20220053742A (ko) 친환경 흡수 패드
JP4154830B2 (ja) 使いすておむつ
JP4939056B2 (ja) 陰唇間パッド
JP2021083694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4953346B2 (ja) 吸収性物品
JP4094721B2 (ja) 使いすておむつ
JP2005087655A (ja) 女性用失禁パッド
JP7372889B2 (ja) 吸収性物品
JP2001112815A (ja) 吸収性物品
EP2858616B1 (en) Absorbent article
JP3387210B2 (ja) 水崩壊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衛生材料
JP2000197656A (ja) 軽度失禁者用パッド
KR101723811B1 (ko) 일회용 흡수제품
JP6631732B1 (ja) 吸収体及びそれを備える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