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950B1 -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용 완충 매트 - Google Patents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용 완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950B1
KR102515950B1 KR1020220012337A KR20220012337A KR102515950B1 KR 102515950 B1 KR102515950 B1 KR 102515950B1 KR 1020220012337 A KR1020220012337 A KR 1020220012337A KR 20220012337 A KR20220012337 A KR 20220012337A KR 102515950 B1 KR102515950 B1 KR 102515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packing
mat
floors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호
Original Assignee
(주) 코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콤 filed Critical (주) 코콤
Priority to KR1020220012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용 완충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판재 형태의 매트 본체(10) 하부에 형성되는 조립 홈(11)에 패킹 캡(21)과 완충 패킹(25)으로 형성된 완충 지지수단(20)을 조립 설치하되, 상기 완충 패킹(25) 내부가 중공부로 형성되고 패킹 캡에 삽입되는 삽입부(26) 상부에 상 쿠션부(27)와 하부에 건축물 바닥에 지지되는 하 쿠션 지지부(28)를 형성하여 건축물의 바닥면 시공시 매트 본체는 물론 완충 패킹의 상 쿠션부와 하 쿠션 지지부가 다단 완충 작동하고, 불규칙한 바닥에 상관없이 완충 패킹의 내부 공기 유출로 바닥에 밀착 설치되도록 함은 물론 균등한 완충력을 갖도록 하면서 완충 패킹의 압착이나 들뜸 현상을 방지하고,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완충 효율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용 완충 매트{The buffer mat for the building floor}
본 발명은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용 완충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매트 본체 하부에 다수의 완충 지지수단을 조립 설치하여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완충 효율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용 완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방지구조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위(이하 건축물 바닥이라 함)에 스티로폼 단열층, 고무 매트층, 온수 배관층을 설치한 후 철망과 함께 콘크리트 타설층으로 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 스티로폼 단열층, 고무 매트층의 설치에도 건축물 바닥과 밀착되어 상하 충격이 바닥을 통해 전달되기 때문에 층간 소음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다.
이에 상기 고무 매트의 두께를 더 두껍게 시공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경로나 누수 등으로 인해 각종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번식하게 되고 악취를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층간 소음 방지 기능을 갖는 판넬이 다수 형태로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실용신안등록 제20-0438577호에서와 같이 판상의 본체 하부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돌출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 지지부에 탄성 부재의 상부를 삽입 설치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상하 완충 작동에 의해 상하 충격을 완충하여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특허등록 제10-1462969호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 단열 패드, 흡음재, 발포 PE시트로 구성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끼움 홈을 통해 하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면에 설치되는 방진 풋을 설치하여 상기 방진 풋의 상하 완충 작동에 의해 상하 충격을 완충하여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의 경우 상하 완충 작동을 위해 사용되는 탄성 부재, 방진 풋의 경우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통 고무 형태로 형성되어 고무 재질 등과 같은 소재 특성에 의존해서 상하 완충 작동하기 때문에 완충 효율이 떨어지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특히, 상기 설치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 방진 풋이 설치면에 의해 눌려 압착되므로 상하 탄성력을 상실하게 되거나 설치면에 닿지 않는 들틈 상태로 설치되게 상하 탄성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면서 완충 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층간 소음 저감 기능을 만족스럽게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38577호(2008년02월15일) 등록특허 제10-1462969호(2014년11월12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매트 본체 및 상기 매트 본체 하부에 조립되는 완충 지지수단의 다단 완충 작동과, 불규칙한 바닥에 상관없이 밀착 설치되도록 함은 물론 균등한 완충력을 갖도록 하면서 완충 지지수단의 압착이나 들뜸 현상을 방지하고,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완충 효율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부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조립 홈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는 판재 형태의 매트 본체와; 상기 매트 본체의 조립 홈에 조립되는 패킹 캡, 상기 패킹 캡 하부에 조립되는 완충 패킹에 의해 상하 완충 작동하면서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는 완충 지지수단으로 구성하되, 상기 완충 지지수단의 완충 패킹은 패킹 캡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상단에 내측으로 경사를 이루는 상 쿠션부와, 상기 삽입부 하부에 건축물 바닥에 지지되는 하 쿠션 지지부 및, 내부의 중공부로 형성하여 다단 완충 작동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완충 패킹의 상 쿠션부에는 상단 원주상의 등각 위치에 내,외측을 서로 연통하는 에어 유통홈을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패킹 캡은 하부 내주연에 걸림 턱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완충 패킹은 삽입부 외주연에 패킹 캡의 걸림 턱에 걸려 이탈 방지되는 걸림 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매트 본체는 양 측면에 결합 돌기, 나머지 양 측면에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 홈을 대응 형성하되, 상기 결합 홈은 결합 돌기의 높낮이 보다 상부로 더 연장하는 것에 의해 결합 공차를 형성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매트 본체는 상부에 격자 형태의 요부와 상기 요부 사이에 공기실을 갖는 완충부를 형성하되, 상기 완충부는 하부의 조립 홈과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판재 형태의 매트 본체 하부에 형성되는 조립 홈에 패킹 캡과 완충 패킹으로 형성된 완충 지지수단을 조립 설치하되, 상기 완충 패킹은 내부가 중공부로 형성되고 패킹 캡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부에 상 쿠션부와 하부에 건축물 바닥에 지지되는 하 쿠션 지지부를 형성하여 건축물의 바닥면 시공시 매트 본체는 물론 완충 패킹의 상 쿠션부와 하 쿠션 지지부가 다단 완충 작동하고, 불규칙한 바닥에 상관없이 완충 패킹의 내부 공기 유출로 바닥에 밀착 설치되도록 함은 물론 균등한 완충력을 갖도록 하면서 완충 패킹의 압착이나 들뜸 현상을 방지하고,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완충 효율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완충 매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절단 상태를 보여주는 정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 완충 지지 수단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완충 패킹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도 7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완충 매트의 연결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 완충 매트 상부에 부가 설치 시공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용 완충 매트(100)는 도 11에서와 같이 건축물 바닥에 시공하고, 상부로 에어 시트(200), 발포 매트(300) 또는 그 밖에 소재를 적층 설치한 후 온수 배관 및 콘크리트 타설 시공하되,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완충 구조를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완충 매트(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 본체(10)와 완충 지지수단(20)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매트 본체(10)는 사각 판재 형태로 형성하되, 스티로폼과 같이 단열과 완충 기능을 갖는 소재가 바람직하나 그 밖에 단열 또는 완충 기능을 갖는 다른 소재를 채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매트 본체(10)는 하부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완충 지지수단(20)의 조립 설치를 위한 조립 홈(11)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부에 격자 형태의 요부(15)와 상기 요부 사이에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요홈 형태의 공기실(16a)에 의해 상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완충부(16)를 형성하되, 상기 완충부(16)는 하부의 조립 홈(12)과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면서 상하 충격 완충이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매트 본체(10)는 연결 시공을 위해 양 측면은 결합 돌기(12), 나머지 양 측면은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 홈(13)을 대응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결합 홈(13)은 도 10에서와 같이 결합 돌기(12)의 높낮이 보다 상부로 더 연장하는 것에 의해 결합 공차(t)를 형성하여 매트 본체의 연결 부위가 들뜸 없이 연결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완충 지지수단(20)은 매트 본체의 조립 홈(11)에 삽입되는 수지 재질의 패킹 캡(21)과 상기 패킹 캡 하부에 조립되는 고무 재질의 완충 패킹(25)에 의해 상하 완충 작동하도록 결합 구성한다.
상기 패킹 캡(21)은 하부 보다 상부의 외경이 점차 좁아지는 구배를 형성하여 매트 본체의 조립 홈(11)에 억지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완충 패킹(25)은 패킹 캡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26)와, 상기 삽입부 상단에 내측으로 경사를 이루는 상 쿠션부(27)와, 상기 삽입부 하부에 건축물 바닥에 지지되는 하 쿠션 지지부(28) 및, 내부의 중공부(29)로 형성하여 상기 상 쿠션부와 하 쿠션 지지부가 다단 완충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완충 패킹의 상 쿠션부(27)에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단 원주상의 등각 위치에 내,외측을 서로 연통하는 에어 유통홈(27a)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완충 패킹의 에어 유통홈(27a)은 건축물의 바닥이 불규칙하여 각 완충 지지수단(20)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 완충 패킹(55)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켜 완충 패킹이 바닥에 밀착 설치되도록 하면서 균등한 완충력을 갖도록 하므로 완충 패킹의 압착이나 들뜸 현상을 방지하고 완충 효율도 우수하게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완충 패킹의 에어 유통홈(27a)이 없이도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나 상기 에어 유통홈에 의해 더욱 원활하게 공기의 유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패킹 캡(21)은 하부 내주연에 걸림 턱(22)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완충 패킹(25)은 삽입부(26) 외주연에 패킹 캡의 걸림 턱(22)에 걸려 이탈 방지되는 걸림 돌기(23)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완충 패킹의 걸림 돌기(23)는 삽입부(26)의 외측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이격 틈새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완충 패킹(25) 상단으로 유출되는 공기가 패킹 캡(21)과 삽입부(26) 사이를 통해 외부로 유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미 설명 부호로서, 24는 패킹 캡의 하부 원주상에 보강을 위해 형성된 플랜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완충 매트(100)는 매트 본체(10) 하부의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조립 홈(11)에 완충 지지 수단(20)을 각각 조립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완충 지지 수단(20)은 패킹 캡(21) 하부에 완충 패킹(25) 상부의 삽입부(26)를 결합하되, 상기 패킹 캡 하부 내주연의 걸림 턱(22)에 완충 패킹의 삽입부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 턱(22)이 걸려 이탈 방지되게 조립한 후 상기 패킹 캡(21)을 완충 매트의 조립 홈(11)에 억지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완충 지지 수단(20)은 먼저 패킹 캡(21)을 매트 본체의 조립 홈(11)에 조립하고, 상기 패킹 캡에 완충 패킹(25)을 조립하는 형태로 조립 순서를 바꿔 조립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본 발명의 완충 매트(100)는 건축물의 바닥에 시공한다.
이때, 상기 매트 본체(10)는 도 10에서와 같이 양 측방에 형성된 결합 돌기(12)를 나머지 양 측면에 형성된 결합 홈(13)에 삽입하도록 연결 시공하는데, 상기 결합 홈(12)이 결합 돌기(12)의 높낮이 보다 상부로 더 연장하는 것에 의해 결합 공차(t)를 형성하기 때문에 매트 본체(10)의 연결 부위가 들뜸 없이 간단히 연결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완충 매트(100)를 연결 시공한 후 상부에 에어 시트(200), 발포 매트(300)를 적층하고 온수 배관 설치 후 콘크리트를 타설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건축물의 바닥이 불규칙한 경우 매트 본체(10)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완충 지지수단의 완충 패킹(25)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서로 다르게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가압력이 큰 완충 패킹의 경우 상 쿠션부(27) 상단 원주상에 형성되어 있는 에어 유통홈(27a)을 통해 내부 공기를 외부로 유출하어 부피를 축소시키므로 완충 패킹의 압착이나 들뜸 현상을 방지하면서 균등한 완충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완충 매트(100)는 상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다단 완충 하면서 흡수시켜 층간 소음 저감에 월등한 효과를 갖게 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완충 매트의 매트 본체(10) 상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매트 본체 상부에 격자 형태의 요부(15) 사이에 형성된 완충부(16)공기실(16a)에서 충격을 1차 흡수한다.
그리고 상기 매트 본체(10)의 저면에 조립되는 각 완충 지지수단(20)에서 상부 충격을 2차 완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완충 지지수단의 완충 패킹(25)은 매트 본체(10)에서 전달되는 상부 충격에 의해 패킹 캡(21)이 하강하면서 완충 패킹이 전체적으로 완충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완충 패킹 상부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상 쿠션부(27)가 내측으로 가압되는 1차 완충 작동 후 완충 패킹 하부의 하 쿠션 지지부(28)가 상하 압착되면서 2차 완충 작동하는 다단 완충 작동으로 상부 충격을 더 효과적으로 완충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완충 패킹(25)은 내부 중공부(29)로 공기가 유통되면서 완충 작동을 더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매트 본체(10) 상부의 완충부(16)와 하부의 완충 지지수단(20)은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서 상하 완충 작동이 전체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서 상부 충격의 완충 효과를 더욱 배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매트 본체(10) 하부의 조립 홈(11)에 패킹 캡(21)과 완충 패킹(25)으로 형성된 완충 지지수단(20)을 조립 설치하여 건축물의 바닥 시공시 매트 본체는 물론 완충 패킹의 상 쿠션부(27)와 하 쿠션 지지부(28)가 다단 완충 작동하고, 불규칙한 바닥에 상관없이 완충 패킹의 내부 공기 유출로 바닥에 밀착 설치되도록 함은 물론 균등한 완충력을 갖도록 하면서 완충 패킹의 압착이나 들뜸 현상을 방지하고,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완충 효율을 우수하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10: 매트 본체 11: 조립 홈
12: 결합 돌기 13: 결합 홈
15: 요부 16: 완충부
20: 완충 지지수단 21: 패킹 캡
22: 걸림 턱 23: 걸림 돌기
25: 완충 패킹 26: 삽입부
27: 상 쿠션부 27a: 에어 유통홈
28: 하 쿠션 지지부 29: 중공부

Claims (5)

  1. 하부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조립 홈(11)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는 판재 형태의 매트 본체(10)와;
    상기 매트 본체의 조립 홈에 조립되는 패킹 캡(21), 상기 패킹 캡 하부에 조립되는 완충 패킹(25)에 의해 상하 완충 작동하면서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는 완충 지지수단(20)으로 구성되는 건축물 바닥용 완충 매트에 있어서,
    상기 완충 지지수단의 완충 패킹(25)은 패킹 캡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26)와, 상기 삽입부 상단에 내측으로 경사를 이루고, 상단 원주상의 등각 위치에 내,외측을 서로 연통하는 에어 유통홈(27a)을 형성한 상 쿠션부(27)와, 상기 삽입부 하부에 건축물 바닥에 지지되는 하 쿠션 지지부(28) 및, 내부의 중공부(29)로 형성하여 다단 완충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패킹 캡(21)은 하부 내주연에 걸림 턱(22)을,
    그리고 완충 패킹(25)에는 삽입부(26) 외주연에 패킹 캡의 걸림 턱(22)에 걸려 이탈 방지되는 걸림 돌기(23)를 돌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용 완충 매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본체(10)는 양 측면에 결합 돌기(12), 나머지 양 측면에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 홈(13)을 대응 형성하되,
    상기 결합 홈(13)은 결합 돌기(12)의 높낮이 보다 상부로 더 연장하는 것에 의해 결합 공차(t)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용 완충 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본체(10)는 상부에 격자 형태의 요부(15)와 상기 요부 사이에 공기실(16a)을 갖는 완충부(16)를 형성하되, 상기 완충부(16)는 하부의 조립 홈(12)과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용 완충 매트.
KR1020220012337A 2022-01-27 2022-01-27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용 완충 매트 KR102515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337A KR102515950B1 (ko) 2022-01-27 2022-01-27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용 완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337A KR102515950B1 (ko) 2022-01-27 2022-01-27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용 완충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950B1 true KR102515950B1 (ko) 2023-03-30

Family

ID=85985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337A KR102515950B1 (ko) 2022-01-27 2022-01-27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용 완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95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065Y1 (ko) * 2005-11-08 2006-02-07 김석규 건축용 차음설비의 흡음판
KR200438577Y1 (ko) 2006-09-11 2008-02-27 주식회사 파나텍 층간 소음방지 기능을 가지는 조립식 난방용 판넬
KR20080068252A (ko) * 2007-01-18 2008-07-23 우금석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건축구조물의 흡음장치
KR20090013486A (ko) * 2007-08-02 2009-02-05 벽산건설 주식회사 층간 차음재
JP2012047036A (ja) * 2010-08-27 2012-03-08 Barlinek Sa 相互結合用かみ合い手段を備えた建材パネル
KR101462969B1 (ko) 2014-03-05 2014-11-19 주식회사 연우이엔씨 층간 충격소음 저감을 위한 중공 이중 뜬 바닥 구조
KR101460239B1 (ko) * 2014-06-26 2014-11-20 이종번 층간 소음방지용 매트
KR101528779B1 (ko) * 2014-03-17 2015-06-15 이윤근 다기능 층간소음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065Y1 (ko) * 2005-11-08 2006-02-07 김석규 건축용 차음설비의 흡음판
KR200438577Y1 (ko) 2006-09-11 2008-02-27 주식회사 파나텍 층간 소음방지 기능을 가지는 조립식 난방용 판넬
KR20080068252A (ko) * 2007-01-18 2008-07-23 우금석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건축구조물의 흡음장치
KR20090013486A (ko) * 2007-08-02 2009-02-05 벽산건설 주식회사 층간 차음재
JP2012047036A (ja) * 2010-08-27 2012-03-08 Barlinek Sa 相互結合用かみ合い手段を備えた建材パネル
KR101462969B1 (ko) 2014-03-05 2014-11-19 주식회사 연우이엔씨 층간 충격소음 저감을 위한 중공 이중 뜬 바닥 구조
KR101528779B1 (ko) * 2014-03-17 2015-06-15 이윤근 다기능 층간소음 저감장치
KR101460239B1 (ko) * 2014-06-26 2014-11-20 이종번 층간 소음방지용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7348B1 (ko) 반 건식 층간 소음 완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301550B1 (ko) 층간 소음방지용 바닥패널
KR20200113757A (ko) 층간소음 차단구조의 시공방법 및 그 층간소음 차단구조
KR20190034713A (ko) 층간 소음방지 바닥구조
KR100684686B1 (ko) 층간차음재
KR102515950B1 (ko)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용 완충 매트
KR101649722B1 (ko) 바닥용 방진조립체
KR100718698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385010Y1 (ko) 층간차음재
KR100698410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완전건식구조
KR101866229B1 (ko)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200437324Y1 (ko) 발포성형의 단열바닥판을 이용한 이중바닥구조
KR102331143B1 (ko)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재
KR102059055B1 (ko) 들뜸 현상을 방지하는 층간 소음 방지 패널
KR200399606Y1 (ko) 건축구조물의 층간 차음장치
KR20070108317A (ko)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KR101448010B1 (ko) 바닥 시공재
KR100718700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0660096B1 (ko) 다층바닥시스템
KR200423540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100040983A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에어백 내장형 뜬바닥구조
CN210663020U (zh) 一种双层地暖模块
KR101428760B1 (ko) 층간소음 바닥재
KR20130008316A (ko) 층간 소음방지용 바닥패널
KR102139130B1 (ko) 바닥충격음 저감 건식바닥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