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8252A -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건축구조물의 흡음장치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건축구조물의 흡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8252A
KR20080068252A KR1020070005738A KR20070005738A KR20080068252A KR 20080068252 A KR20080068252 A KR 20080068252A KR 1020070005738 A KR1020070005738 A KR 1020070005738A KR 20070005738 A KR20070005738 A KR 20070005738A KR 20080068252 A KR20080068252 A KR 20080068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height
guide
soun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금석
Original Assignee
우금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금석 filed Critical 우금석
Priority to KR1020070005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8252A/ko
Publication of KR20080068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 E04F15/02476Screw jacks height-adjustable from the upper side of the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04F15/225Shock absorber memb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층바닥면과 흡음판 사이에 시공되는 흡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음판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지지부재를 상,하로 안내하는 안내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재의 내부에 장착되어 충격에 의해 완충작용하는 흡음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에 장착되어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고정되면서 상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및 소음을 저감시키는 연질의 흡음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재와 흡음부재에 순차적으로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높이를 조절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높이조절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부재에 끼워지며 흡음판의 하단부에 밀착되면서 충격흡수 및 단열기능을 수행하도록 장착공이 형성된 단열재가 구비된 흡음부가 구성되는 것으로, 상층에서 전달되는 충격 및 소음을 내부가 진공상태로 형성된 흡음부재가 안정적으로 저감시키므로 조용한 주거환경을 제거함과 아울러 높이조절부재를 이용하여 흡음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므로 시공성이 향상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건축구조물의 흡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건축구조물의 흡음장치{Sound-absorbing device of height adjustable use in architecture for apartment house}
도 1은 종래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 발명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건축구조물의 바닥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흡음부 110: 안내부재
111: 안내리브 112: 결합공
120: 지지부재 121: 밀착면
122: 안착턱 123: 지지공
130: 흡음부재 131: 탄성체
132: 걸림턱 133: 체결구
140: 높이조절부재 150: 단열재
151: 장착공
본 발명은 흡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진공상태로 형성된 흡음부재가 충격흡수 및 흡음효과를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흡음부재의 높이를 높이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조절하므로서 시공성이 향상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건축구조물의 흡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사회는 도시로의 인구집중화 현상에 따라 많은 량의 주택을 건설하게 되고, 좁은 택지에 효율적인 주택을 건설하기 위해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을 많이 건설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공동주택은 그 주거공간의 쾌적성에 대한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건축구조물의 층간 바닥충격음에 대한 규제가 엄격하게 제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문제해결을 위해 "주택건설 기준 등에 관한 규정"을 마련하여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공동주택의 각 층간 소음방지기준을 설정하기 에 이르렀고, 이 규정은 2004년도 4월부터 시행되고 있다.
여기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방지기준은,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으로 구분 하고 있는데, 경량충격음(예: 작은 물건이 떨어지는 소리)은 가볍고 딱딱한 충격에 의한 충격음을 의미하고, 중량충격음(예: 어린이가 뛰는 소리)은 무겁고 부드러운 충격에 의한 충격음을 의미한다. 상기 바닥충격음의 기준은 중량충격음일 경우 50db 이하, 경량충격음은 58db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최근 이러한 공동주택과 같은 건축구조물의 층간 소음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이 다수 제안되고 있는데, 상기 공동주택과 같은 건축구조물의 시공에서 바닥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구조물의 층바닥면(11)의 상부에 단열성능의 확보와 층간소음을 차단하는 흡음판(12)을 시공하고, 상기 바닥면(11)과 흡음판(12)의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흡음부재(20)를 일정간격으로 시공하며, 상기 흡음부재(20) 사이에 기초프레임(30)이 교차되게 시공되고, 상기 흡음판(5)의 상부에 기포성 시멘트몰탈층(13)이 타설되며, 상기 기포성 시멘트몰탈층(13)의 상부에 난방배관(14)과 마감몰탈(15) 및 마감제(16)가 순차적으로 시공된다.
상기 흡음부재(20)는, 흡음판(12)의 단부에 형성된 설치공(12a)에 체결되어 높이를 조절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나사(2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나사(21)의 하단부를 수용하면서 상층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피복재(22)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나사(21)에 체결되어 흡음판(12)의 하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되는 고정프랜지(23)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시공되는 바닥구조는, 상층에서 전달되는 충격 및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흡음부재를 시공하기는 하나 흡음부재에 기초프레임이 교차되게 시공되어 효과적인 충격흡수 및 흡음효과를 기대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이 복잡함과 아울러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흡음판의 상부에 구비된 고정나사로 높이를 조절하여도 기초프레임의 높이가 서로 달라지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내부가 진공상태인 흡음부재를 안내부재에 장착하여 고정하므로 충격흡수 및 흡음효과를 극대화하였으며, 높이조절부재를 이용하여 흡음부재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므로 시공성이 용이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건축구조물의 흡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층바닥면과 흡음판 사이에 시공되는 흡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음판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지지부재를 상,하로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의 내부에 장착되어 충격에 의해 완충작용하는 흡음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에 장착되어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고정되면서 상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및 소음을 저감시키는 연질의 흡음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와 흡음부재에 순차적으로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높이를 조절하 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높이조절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에 끼워지며 흡음판의 하단부에 밀착되면서 충격흡수 및 단열기능을 수행하도록 장착공이 형성된 단열재가 구비된 흡음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건축구조물의 바닥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층바닥면(11)과 흡음판(12) 사이에 시공되는 흡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음판(12)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지지부재(120)를 상,하로 안내하는 안내부재(110)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재(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충격에 의해 완충작용하는 흡음부재(13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120)의 내측에 장착되어 높이조절부재(140)에 의해 고정되면서 상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및 소음을 저감시키는 연질의 흡음부재(130)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재(110)와 흡음부재(130)에 순차적으로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높이를 조절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높이조절부재(140)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부재(110)에 끼워지며 흡음판(12)의 하단부에 밀착되면서 충격흡수 및 단열기능을 수행하도록 장착공(151)이 형성된 단열재(150)가 구비된 흡음부(100)가 구성되는 것 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안내부재(110)는, 상기 흡음판(12)의 하단부에 지지부재(120)가 장착되어 안내되는 안내공간(111a)이 형성된 안내리브(111)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공간(111a)의 상부에 높이조절부재(140)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향성된 결합공(112)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상기 안내부재(110)의 내부에 장착되며 내측이 경사지게 형성된 밀착면(121)이 구비되고, 상기 밀착면(121)의 상단부에 흡음부재(130)의 가압에 의해 장착되도록 안착턱(122)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턱(122)의 상부에 흡음부재(130)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공(123)이 구비된다.
상기 흡음부재(130)는, 상기 지지부재(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가압하여 끼워지며 내부가 진공상태로 형성된 탄성체(131)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체(131)의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부재(12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턱(132)이 구비되며, 상기 걸림턱(132)의 상부 중앙에 높이조절부재(140)가 체결되도록 체결홈(133a)이 형성된 체결구(13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탄성체(131)는, 상층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바닥면이 만곡되어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시공과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20)의 하단부에 흡음부 재(130)의 상단부를 위치시킨 후, 흡음부재(130)를 상부로 밀어올리게 되면 흡음부재(130)의 걸림턱(132)이 지지부재(120)의 밀착면(121)을 따라 상부로 슬라이드되고, 걸림턱(132)이 밀착면(121)의 상부로 올라올수록 걸림턱(132)의 직경보다 안착턱(121)의 직경이 작아 흡음부재(130)에 더 많은 힘을 가하게 됨과 동시에 연질로 된 걸림턱(132)이 변형을 일으키면서 안착턱(121)의 상부 즉, 지지공(123)에 안착된다.
상기와 같이 흡음부재(130)가 지지부재(1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120)를 안내부재(110)의 안내공간(111a)으로 슬라이드시킨 후, 높이조절부재(140)를 안내부재(110)의 결합공(112)에 회전시켜 먼저 체결하고, 상기 결합공(112)에 체결되는 높이조절부재(140)를 계속 회전시키게 되면 높이조절부재(140)의 하단부가 흡음부재(130)의 체결홈(133a)에 체결되어 흡음부재(130)가 안내부재(110)의 하단부로 이탈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흡음부재(130)가 고정된 안내부재(110)의 하단부에 단열재(150)를 위치시키고, 단열재(150)의 장착공(151)을 안내리브(111)의 외주면에 장착하면서 흡음판(12)의 하단부에 밀착되게 하여 흡음부(100)를 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흡음판(12)에 시공된 흡음부(100)를 층바닥면(11)에 위치시키고, 층바닥면(11)이 고르지 못할 경우, 높이조절부재(140)를 회전시켜 흡음부재(130)의 높이를 편평하게 조절한다.
또한, 상기 흡음판(12)이 층바닥면(11)에 시공된 상태에서, 상기 흡음판(12)의 상부에 시멘트몰탈층(13)을 타설하고, 상기 시멘트몰탈층(13)의 표면에 난방배 관(14)을 배치한 후, 마감몰탈(15)을 타설하며, 상기 마감몰탈의 상부에 마감재(16)를 순차적으로 시공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층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흡음부재(130)로 전달되면, 내부가 진공상태로 형성된 흡음부재(130)가 변형을 일으키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흡음부재(130)는 층바닥면(11)과 밀착되는 하단부가 만곡되게 형성되어 상층에서 전달되는 충격의 흡수를 극대화하는 것이다.
또한, 흡음판(12)의 하단부에 밀착되어 고정된 단열재는(150) 상층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함과 동시에 단열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처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내부가 진공상태로 형성된 흡음부재가 완충작용을 하면서 상층에서 전달되는 충격 및 소음을 안정적으로 저감시키므로 조용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결합공과 흡음부재에 체결된 높이조절부재를 회전하여 흡음부재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때문에 층바닥면이 고르지 못하더라도 흡음판의 수평상 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건축구조물의 층바닥면(11)과 흡음판(12) 사이에 시공되는 흡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음판(12)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지지부재(120)를 상,하로 안내하는 안내부재(110)와;
    상기 안내부재(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충격에 의해 완충작용하는 흡음부재(13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0)와;
    상기 지지부재(120)의 내측에 장착되어 높이조절부재(140)에 의해 고정되면서 상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및 소음을 저감시키는 연질의 흡음부재(130)와;
    상기 안내부재(110)와 흡음부재(130)에 순차적으로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높이를 조절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높이조절부재(140)와;
    상기 안내부재(110)에 끼워지며 흡음판(12)의 하단부에 밀착되면서 충격흡수 및 단열기능을 수행하도록 장착공(151)이 형성된 단열재(150)가 구비된 흡음부(1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건축구조물의 흡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110)는,
    상기 흡음판(12)의 하단부에 지지부재(120)가 장착되어 안내되는 안내공 간(111a)이 형성된 안내리브(111)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공간(111a)의 상부에 높이조절부재(140)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향성된 결합공(11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건축구조물의 흡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20)는,
    상기 안내부재(110)의 내부에 장착되며 내측이 경사지게 형성된 밀착면(121)이 구비되고, 상기 밀착면(121)의 상단부에 흡음부재(130)의 가압에 의해 장착되도록 안착턱(122)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턱(122)의 상부에 흡음부재(130)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공(12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건축구조물의 흡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130)는,
    상기 지지부재(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가압하여 끼워지며 내부가 진공상태로 형성된 탄성체(131)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체(131)의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부재(12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턱(132)이 구비되며, 상기 걸림턱(132)의 상부 중앙에 높이조절부재(140)가 체결되도록 체결홈(133a)이 형성된 체결구(13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건축구조물의 흡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31)는,
    상층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바닥면이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건축구조물의 흡음장치.
KR1020070005738A 2007-01-18 2007-01-18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건축구조물의 흡음장치 KR20080068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738A KR20080068252A (ko) 2007-01-18 2007-01-18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건축구조물의 흡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738A KR20080068252A (ko) 2007-01-18 2007-01-18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건축구조물의 흡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252A true KR20080068252A (ko) 2008-07-23

Family

ID=3982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738A KR20080068252A (ko) 2007-01-18 2007-01-18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건축구조물의 흡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825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922B1 (ko) * 2010-03-24 2010-09-13 김효겸 차음 방진용 고무패드 및 이를 이용한 차음 방진용 마루바닥의 설치공법
KR20200041555A (ko) 2018-10-12 2020-04-22 (주)마이크로엔엑스 치과용 핸드피스의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79285B1 (ko) * 2021-01-31 2021-07-21 (주)엔지엠컴퍼니 층간소음 방지재
KR102311960B1 (ko) * 2020-12-16 2021-10-13 (주)뉴마이하우스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102319558B1 (ko) * 2021-01-31 2021-11-01 (주)엔지엠컴퍼니 펜타월 방진구조를 갖는 층간소음 방지재
KR102515950B1 (ko) * 2022-01-27 2023-03-30 (주) 코콤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용 완충 매트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922B1 (ko) * 2010-03-24 2010-09-13 김효겸 차음 방진용 고무패드 및 이를 이용한 차음 방진용 마루바닥의 설치공법
CN102791938A (zh) * 2010-03-24 2012-11-21 金孝兼 隔音和减震橡胶垫以及用其安装隔音和减震地板的方法
KR20200041555A (ko) 2018-10-12 2020-04-22 (주)마이크로엔엑스 치과용 핸드피스의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11960B1 (ko) * 2020-12-16 2021-10-13 (주)뉴마이하우스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102279285B1 (ko) * 2021-01-31 2021-07-21 (주)엔지엠컴퍼니 층간소음 방지재
KR102283621B1 (ko) * 2021-01-31 2021-07-29 (주)엔지엠컴퍼니 층간소음 방지재
KR102319558B1 (ko) * 2021-01-31 2021-11-01 (주)엔지엠컴퍼니 펜타월 방진구조를 갖는 층간소음 방지재
WO2022164252A1 (ko) * 2021-01-31 2022-08-04 (주)엔지엠컴퍼니 펜타월 방진구조를 갖는 층간소음 방지재
KR102515950B1 (ko) * 2022-01-27 2023-03-30 (주) 코콤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 바닥용 완충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8252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건축구조물의 흡음장치
KR101566776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2064550B1 (ko) 층간 소음 저감용 바닥패널 지지장치
KR101712986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1006837B1 (ko) 레벨링이 용이한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KR101782399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CN107002404B (zh) 建筑材料
KR20170087146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100899113B1 (ko) 층간소음완충재에 사용되는 지지대
KR20180083194A (ko)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에서 들뜬 구조의 층간소음방지재
KR100744973B1 (ko) 건축물 조립식 바닥패널
KR101322735B1 (ko) 공용주택 층간 소음 방지 재 및 그 시공방법
KR102023091B1 (ko) 바닥패널 고정구
KR101431989B1 (ko) 가변높이조절기에 의해 시공성과 기능성이 향상된 주택의 바닥구조
KR20130031967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20070054854A (ko) 건물의 층간 소음 저감용 난방 배관 패널 및 이를 이용한건물의 바닥 난방 구조
KR101518026B1 (ko) 복층 건물의 방진 및 단열기능을 갖는 바닥 시공구조
KR100874427B1 (ko) 건축물 내부 바닥구조
KR100834500B1 (ko) 공동주택용 건축구조물의 흡음장치
KR20150085240A (ko) 층간소음 방음 패널
KR101650428B1 (ko) 층간소음 방지용 분리형 온돌 슬래브
KR100745471B1 (ko) 공동주택용 거실 층간 소음방지구조
KR102457861B1 (ko) 건식난방패널의 마감구조
KR100705845B1 (ko) 건물의 이중 슬라브 구조
KR20080003310U (ko)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