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8317A -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 Google Patents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8317A
KR20070108317A KR1020060085532A KR20060085532A KR20070108317A KR 20070108317 A KR20070108317 A KR 20070108317A KR 1020060085532 A KR1020060085532 A KR 1020060085532A KR 20060085532 A KR20060085532 A KR 20060085532A KR 20070108317 A KR20070108317 A KR 20070108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layer
dustproof
plat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홍준
Original Assignee
정홍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홍준 filed Critical 정홍준
Priority to KR1020060116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8428A/ko
Priority to KR1020070013535A priority patent/KR100853037B1/ko
Publication of KR20070108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8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8Edge insulation strips, e.g. for floor screed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충격에너지를 매질간의 밀도 차이에 따른 반사율을 증가시키므로서 감쇠율을 높이는 다층구조의 바닥방진부재를 사용하여 바닥슬라브와 이격되는 제2바닥층을 이루고, 제2바닥층과 벽면사이에 공기층의 체적률 증가에 의한 벽면과의 이격률을 높이는 소재 또는 상기 소재와 완충성 소재가 복합적으로 구성되는 벽면방진부재를 사용하거나, 벽면과 제2바닥층을 완전히 이격시키는 제2바닥층을 이루므로서, 벽면과 바닥슬라브로 전달되어지는 충격에너지의 감쇠율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성 소재로서 하나이상의 수로 구성되어 적층되어지는 충격흡수판과, 상기 충격흡수판의 사이 또는 저면마다에 배치되어 충격에너지의 반사율을 높이는 고밀도 소재로 된 충격차단판으로 이루어지는 방진재와, 상기 방진재를 이루는 부재들의 결합에 따른 적층상태를 용이하게 유지시키는 고정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는, 바닥슬라브위에 다수로 배치되어지는 바닥방진부재의 상면에 난방배관이 설치되고 모르타르가 타설되어지는 난방층과, 상기 난방층을 지지하는 지지판층으로 이루어지는 제2바닥층을 형성하고, 제2바닥층과 벽면사이에는 공기층의 체적률 증가 및 완충에 의한 충격에너지의 감쇠율을 높이는 벽면방진부재를 설치하거나, 지지판층을 이루면서 최외측에 배치되어지는 판의 외곽테두리에 측면지지판을 결합시키거나, 벽면과 제2바닥층 사이에 모르타르로 이루어지는 난방층시공 이후 제거가 용이한 형틀부재를 사용하므로서, 제2바닥층과 벽면과의 이격률을 높이거나 완전히 이격시키므로서, 벽면 및 바닥슬라브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의 차단율을 현저히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격에너지, 바닥슬라브, 벽면, 바닥방진부재, 방진재, 고정구, 벽면방진부재, 제2바닥층, 지지판층, 난방층, 공기층

Description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The structure of duplication floor}
도1은 본 발명의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의 분해사시도 및 그 결합상태도.
도2a는 본 발명의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의 단면도.
도2b, 도3a, 도3b, 도3c는 본 발명의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에서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또는 단면도.
도3d, 도3e는 도3a,도3b,도3c에 따른 본 발명의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에서 고정구의 다른 체결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3e, 도4a, 도4b는 본 발명의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에서 고정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5, 도6a, 도6b, 도6c는 본 발명의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7a는 본 발명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7b는 본 발명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8a,8b는 본 발명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에서 벽면방진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9a는 본 발명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에서 벽면방진부재를 대신해서 벽면과 제2바닥층을 이격시키는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9b,도9c는 도9a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에서 벽면과 제2바닥층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틈의 입구를 밀봉시키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10a는 도9a의 구성에 따른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10b는 도9a의 구성에 따른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10c는 도9a의 구성에 따른 시공을 설명키 위한 단면도.
도11a, 도11b는 도9a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에서 벽면과 제2바닥층의 이격에 따른 틈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다른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12a는 본 발명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에서 벽면과 제2바닥층을 이격시키는 다른 구조와 이격에 따른 틈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12b는 도12a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에서 완성된 이중바닥을 나타낸 단면도.
도12c, 도12d는 도12a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에서 벽면과 제2바닥층 사이에 형성되어지는 틈의 입구를 밀봉시키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10b,10c: 충격흡수판 11,21: 중공부
12: 요홈 20a,20b: 충격차단판
41: 지지하우징 42: 지지돌기
45: 중공부 50: 지지하우징
51,61: 나사산 52: 지지돌기
52b: 완충재 60: 덮개
62: 연결대 64: 중공부
72: 지지하우징 73: 지지돌기
81: 외곽테두리판 82: 중공부
83: 걸림턱 90: 상부지지나사
91,92: 나사산 93: 하부지지나사
100: 바닥방진부재 110: 제1차단층
120: 제2차단층 121: 캡
122: 공기층 130: 벽면방진부재
200: 지지판층 300: 난방층
500: 열반사층
950: 측면지지판 951: 고정홈
952: 돌출턱 953: 돌기
960: 형틀부재 961: 접착부
962: 마개 972: 지지부재
A: 공기층 F,F1: 틈
M1: 제1걸림턱 M2: 제2걸림턱
N: 결합홈 G:돌기
PB: 보강판
S1: 바닥슬라브 S2: 제2바닥층
S3: 벽체 S4: 벽면
SS1: 방진재 SS2: 고정구
SS3: 레벨조절구
T1: 돌출리브 T2: 나사산
V1: 지지나사 V2: 나사산
본 발명은,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충격에너지를 매질간의 밀도 차이에 따른 반사율을 증가시키므로서 감쇠율을 높이는 다층구성의 바닥방진부재를 사용하여 바닥슬라브와 이격되어지는 제2바닥층을 이루되, 상기 제2바닥층의 측면과 벽면사이에 공기층의 체적비율이 큰 소재와 상기 소재와 밀도차이가 크면서도 완충성을 갖는 소재또는 제2바닥층의 측면과 벽면사이에 벽변과 이격시키는 소재를 사용하므로서, 벽면 및 바닥슬라브로 전달되어지는 충격에너지의 감쇠율을 현저히 높이고, 다수로 배치되어지는 바닥방진부재의 설치에 따라, 바닥슬라브와 제2바닥층 사이에 형성되어지는 공기층 또는 제2바닥층으로부터 공기층으로 방사되어지는 복사열 차단에 의한 단열로서 난방에 의한 열손실까지 효과적으로 줄이는 층간 바닥충격음을 차단하는 이중바닥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차단구조에서, 완충성 소재 위에 경량기포콘크리와 난방용 모르타르가 시공되어지는 일반적인구조의 경우. 상기 완충성 소재는 바닥슬라브의 전체면에 걸쳐 분포되어져 있으며, 충격에너지는 대부분 구조체를 통해 전달되어지므로, 현재의 층간소음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바닥슬라브의 두께를 증가 시키던지 완충재의 두께를 늘여야 된다.
그러나, 상기 바닥슬라브 또는 완충재의 두께를 늘일경우, 공동주택 건축물의 높이 및 완충재의 두께 증가에 따라 경제성이 떨어지면서도 경량기포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기간에 따른 시공기간의 지연성은 여전이 발생되어진다.
한편, 이와는 별도로 상기의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바닥슬라브위에 상기 바닥슬라와 별도로 형성되는 제2바닥층을 형성하고, 두 바닥층 사이에 다수로 배치되어지는 방진고무를 사용하므로서 층간소음을 차단하는 이중바닥의 구조가 있다.
그러나, 상기 이중바닥의 구조에서, 바닥슬라브로 전달되어지는 충격에너지를 감쇠시키는 방진고무는, 점탄성을 갖는 고무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충격에너지의 차단성은, 고무의 경도 및 단면적이 동일한 상황에서 그 두께를 증가시키므로서 향상시킬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두께를 2배로 하더라도 충격에너지의 감쇠율 향상은 크지 않을뿐더러 경제성도 현저히 떨어진다.
또한, 방진고무의 두께 증가시, 층간소음차단을 위한 바닥구조의 높이도 함 께 높아지므로, 건물내의 층고 변경이 안되는 리모델링 대상 공동 건축물에 적용키 어렵다.
또한, 제2바닥층을 통해 벽면으로 전달되어지는 충격에너지를 감쇠시키는 벽면방진부재의 경우, 매질의 밀도가 다른 발포성 합성수지재를 이중으로 구성한것이 있으나, 상기 발포성 합성수지재는 시공에 적정한 경도를 기준시 그 발포률의 한계가 따르므로, 충격 에너지의 전달이 어려우면서 그 전달면을 감소시키는 공기층이 차지하는 체적률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매질의 밀도 차이에 따른 투과 손실률의 향상에는 한계가 따른다.
본 발명은, 바닥방진부재의 상단에 형성되어 제2바닥층을 이루는 이중바닥의 구조에 있어서, 제2바닥층으로 부터 바닥슬라브로 전달되어지는 충격에너지를 차단하는 바닥진방진부재를 매질간의 밀도 차이에 따른 반사율을 증가시키므로서 충격에너지의 차단률을 높이는 다층구조를 이루고, 제2바닥층과 벽면사이에는 공기층의 체적비율이 큰 소재로서 벽면과의 이격률을 높이면서도, 충격 흡수력이 좋은 완충성 소재를 복합적으로 구성하거나, 벽면과 제2바닥층이 틈으로서 완전이 분리되어지는 제2바닥층을 형성하므로서, 벽면과 바닥슬라브로 전달되어지는 충격에너지의 차단률을 현저히 높이는 이중 바닥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충격에너지의 고 차단성에 따라, 제2바닥층을 구성하는 소재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그 구성 두께를 최저로 구성가능케 하여, 최소한의 높이로 구성되는 이중바닥을 이루면서도, 시공기간의 단축 및 공사비용의 절감률을 높이는 이중바닥 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바닥슬라브의 두께가 평균 135㎜를 갖는 리모델링 대상 공동건축물에 효과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으면서, 난방 에너지의 효율을 높이는 이중바닥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층간소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및 기타 산업용 바닥방진부재의 적용성을 높이는 바닥방진부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상태도이며, 도2a는 도1의 구성에 따른 바닥방진부재의 단면도로서,
바닥방진부재(100)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성소재로서 하나이상의 수로 구성되어 적층되어지는 충격흡수판(10a)(10b)(10c) 및
상기 충격흡수판(10a)(10b)(10c)의 사이 또는 저면마다에 배치되어 충격에너지의 반사율을 높이며, 고밀도 소재로 된 충격차단판(20a)(20b)으로 이루어지는 방진재(SS1)와, 상기 방진재(SS1)를 이루는 소재들의 적층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구(SS2)로 구성된다.
상기 충격흡수판(10a)(10b)(10c)은 완충성 소재로 구성되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며, 충격차단판(20a)(20b)은 충격흡수판(10a)(10b)(10c)의 소재에 비해 고밀도 소재를 사용하므로서 매질의 밀도차이에 따른, 두 매질간 경계면에서의 반사률을 높히므로서 충격에너지의 감쇠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바닥방진부재(100)에서 충격 에너지의 감쇠율은, 충격흡수판(10a)(10b)(10c)및 충격차단판(20a)(20b)의 두께 및 적층수 증가에 따라 커지나, 이중바닥의 구조에 따른 바닥방진부재(100)의 전체높이를 감안시, 충격흡수판(10a)(10b)(10c)의 두께는 6~15㎜ 내외로서 2~4개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충격흡수판(10a)(10b)(10c)에는 요홈(12)과 중공부(11)를 형성하므로서, 충격에너지의 전달면을 감소시키면서도 재료의 소모량을 줄이며, 바닥방진부재(100)를 바닥슬라브(S1)에 직접 고정시키고, 그 수단으로 타카핀이나 못등의 고정핀을 이용할 경우, 최하부에 배치되는 충격흡수판(10c)의 가장자리 또는 그 부근에는 고정핀이 관통되어 지지된채 바닥슬라브(S1)면에 박히도록, 중공부(11)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충격흡수판(10a)(10b)(10c)의 소재는 고무가 바람직하나, 코르크, 연질 PVC와 같은 완충성소재 또는, 압착성형된 다공질의 PET섬유체 및 유리섬유체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충격차단판(20a)(20b)은 0.5㎜~ 3㎜ 내외의 두께를 가지는 알루미늄, 철, 동, 아연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고밀도성 금속판 또는 차음시트로 이루어지며, 밀도 및 두께의 증가에 따라 충격에너지의 감쇠율이 커지나 경제성을 감안시 2㎜ 내외의 철판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진재(SS1)를 이루는 충격흡수판(10a)(10b)(10c)과 충격차단판(20a)(20b)의 적층에 따른 결합상태의 유지는 고정구(SS2)에 의해서 간단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고정구(SS2)는 방진재(SS1)를 수용하므로서, 방진재(SS1)의 하부 및 측면 이탈을 방지하는 용기형태의 지지하우징(41)으로 이루어지며, 지지하우징(41)의 측벽에는 방진재(SS1)와의 접촉 단면적을 줄이므로서 충격에너지의 전달량을 감쇠시키는 지지돌기(42)가 형성되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구(SS2)의 내부에 충격흡수판(10a)(10b)(10c)과 충격차단판(20a)(20b)을 순차적으로 삽입시킬 경우, 그 적층상태는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방진재(SS1)를 통해 고정구(SS2)로 전달되어지는 충격에너지는 최소화 되므로 다층 구성에 따른 고 방진성의 효율을 최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방진재(SS1)를 이루는 소재의 결합상태 유지를 위해, 충격흡수판(10a)(10b)(10c)과 충격차단판(20a)(20b)이 접촉되어지는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양면 점착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고정구(SS2)는 도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진재(SS1)를 이루는 소재의 내부마다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중공부의 내측면을 지지하우징(72)의 측벽에 형성한 지지돌기(73)가 지지케 할 수도 있다.
또한 도3a와 같이, 방진재(SS1)를 수용하는 지지하우징(50)의 측벽에 체결용 나사산(51)과 충격에너지의 전달면을 감소시키는 지지돌기(52)를 형성되고, 상기 지지하우징(50)의 나사산(51)과 결합되는 나사산(61)이 형성된 덥게(60)에는 최상단에 위치하는 충격흡수판(10a)과의 걸림을 방지하여 연결대(62)가 요홈(12)내부에 삽입되도록 중공부(64)를 형성한 상태에서, 덥게(60)의 연결대(62)가 충격흡수판(10a)의 요홈(12)에 삽입되도록 한후, 지지하우징(50)과 덥게(60)를 체결시키므로서 바닥방진부재(100)를 완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바닥방진부재(100)는 전,후,좌,우,상,하로 돌려도 방진재(SS2)를 이루는 소재들의 결합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지며, 시공전에 미리 완성하여 준비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3b는 상기 도3a에 의한 고정구(SS2)의 구성에서 지지하우징(50)의 지지돌기(52)를 대신해서 방진재(SS1)와 지지하우징(50)사이에 완충재(52b)를 삽입하므로서, 방진재(SS1)의 측면으로부터 지지하우징(50)으로 전가되어지는 충격에너지의 감쇠률을 더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고정구(SS2)는 도3c와 같이, 도3b에 따른 구성에서 덥게(60)의 판면에 방진재(SS1)를 이루는 부재에서 최상단에 배치되는 충격흡수판(10a)의 외곽부 둘레면의 일정깊이까지 삽입되어지도록 중공부(82)를 형성하고, 상기 충격흡수판(10a)에는 걸림턱(83)을 형성하므로서, 걸림턱(83)이 덥게(60)의 외곽테두리판(81)에 간섭되어, 방진재(SS1)를 이루는 부재들이 지지하우징(50)으로부터 이탈됨을 방지케 할 수 있다.
상기 지지하우징(50)과 덥게(60)의 체결을 위해, 도3d 및 도3e와 같이 지지하우징(50)의 측벽 상단부에 제1걸림턱(M1)과 덥게(60)의 외곽테두리에 제2걸림턱(M2)을 형성하거나, 덥게(60)의 외곽테두리에 지지하우징(50)의 측벽 상단면이 억지 끼움에 의해 결합되도록 결합홈(N)의 형성등 여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구(SS2)를 이루는 지지하우징(41)(50)(72)에는 도3e와 같이, 바닥 레벨조절을 위한 부재를 복합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지지하우징((41),(50)의 일측부에 나사산(T2)을 갖는 연장턱(T1)를 형성하고, 상기 연정턱(T1)의 나사산 (T2)에 체결되는 나사산(V2)이 형성된 지지나사(V1)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SS2)는 도4a, 도4b와 같이, 접착 또는 점착테이프로 이루어져 방진재(SS1)의 둘레면을 감싸거나, 철사줄, 밴드, 실, 노끈등의 줄로서 방진재( SS1)의 둘레를 묶음처리하여 결합상태를 유지케할 수도 있다.
상기 바닥방진부재(100)는 도5와 같이, 그 내부에 무수한 기공과 일정의 탄성및 압축저항성을 갖는 코르크판 또는 pet섬유, 유리섬유와 같이 유기질 및 무기질 섬유를 소재로 압착 성형된 섬유판 만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한 두께로 성형된 한장의 큰 판을 규격에 맞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방진재(SS1)를 이루는 소재가 압착성 섬유판일 경우, 압축 저항력은 1제곱센티미터당 0.5~ 5kg 정도로서 제2바닥층으로부터 전가되는 하중에 대한 지지저항력이 따르면서, 섬유판의 전체 체적에서 섬유층이 차지하는 체적률은 평균10% 정도이고 나머지의 90%는 공극으로서, 충격에너지의 전달면 감소와 함께, 다량의 섬유들이 적층되므로서 무수히 형성되는 섬유간 접촉 경계면에서의 투과 손실이 큰 장점을 갖는다.
상기, 압착성 섬유판 또는 코르크판으로만 이루어지는 방진재의 두께조절을 위해, 두개 이상의 판을 접착제 또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 접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되는 바닥방진부재(100)에는, 도6a 및 도6b와 같이 바닥레벨 조절을 위한 레벨조절구(SS3)를 더 구성할 수 있으며, 어느 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지지나사(90)와 상기 상부지지나사(90)와 체결되어지는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지지나사(93)로 이루어져, 방진재(SS1)의 상면에 부착시켜 제2 바닥층(S2)을 지지케하거나, 바닥슬라브(S1)면에 부착시켜 방진재(SS1)를 지지케 할 수 있다, 상기 레벨조절구(SS3)은 볼트등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바닥방진부재(100)와 제2바닥층(S2)사이에는, 도6c와 같이 제2바닥층(S2)을 지지하는 지지력향상을 위해, 목판, 석판, 철판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강판(PB)을 더 결합할 수 있다.
이와같이 이루어지는 바닥방진부재(100)를 바닥슬라브(S1)에 직접 고정시켜야 될 경우, 바닥방진부재(100)의 바닥면에 양면 점착테이프의 일면을 부착시키고 그 반대면을 깨끗이 정리된 바닥슬라브(S1)면에 부착시켜 고정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타카핀 또는 못등의 고정핀으로 고정시, 고정핀이 바닥방진부재(100)의 일부분을 관통해 바닥슬라브(S1)의 일정깊이까지 박히므로서 발생되는 충격에너지의 감쇠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해, 상기 바닥방진부재(100)와 결합되어 제2바닥층(S2)을 이루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바닥의 구조는 도7a에서와 같이,
바닥난방을 위한 난방배관(P)이 설치되고 모르타르가 타설되는 난방층(300)과, 상기 난방층(300)을 지지하는 일정 넓이의 판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판층(200)을 포함하는 제2바닥층(S2)과, 상기 제2바닥층(S2)과 바닥슬라브(S1)사이에 다수로 배치되어 제2바닥층(S2)을 지지하는 바닥방진부재(100)와, 상기 제2바닥층(S2)과 벽면(S4)사이에 설치되어 제2바닥층(S2)으로부터 벽면(S4)으로 전달되어지는 충격에너지를 차단시키는 벽면방진부재(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방진부재(100)가 지지하는 지지판층(200)은, 일정한 넓이를 가지면서도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판의 강도가 좋으면서도 휨성 및 열전도율이 낮고, 경량성과 함께 습기 저항성이 높은, 두께 8~20㎜ 내외의 일반적인 콘크리트 거푸집 합판 또는 태고합판 등의 합판이 바람직하며, 석판또는 합성수지성형판등의 다양한 판들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벽면방진부재(130)는 도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 필름의 일측면에 다수로 돌출되어 형성되어지고, 그 각각의 내부에 공기가 채워진 캡(121)과, 상기 캡(121)사이마다 공기층(122)을 갖는 에어캡으로 이루어지는 제2차단층(120)과 충격에너지를 1차적으로 저감시키는, 판형의 완충성소재로 된 제1차단층(110)으로 구성되며, 벽면방진부재(130)를 통과하는 충격에너지의 손실은, 상기 제1차단층(110)을 이루는 재료의 탄성 및 내부의 미세공기층과, 에어캡의 캡(121)내부에 밀폐되어진 공기의 탄성작용에 의한 손실이 따르며, 특히, 제2바닥층(S2)에서 공기층(A)으로 전가되어진 충격에너지가 상기 에어캡을 이루는 캡(121) 사이의 공기층(122)인 빈공간을 통해 일부분 실내공간으로 방출되므로서, 상기 공기층(A)을 통과해 바닥슬라브(S1)로 전달되어지는 충격에너지의 감쇠률을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에어캡을 벽면에 부착시, 별도의 접착제를 벽면(S4)또는 에어캡에 도포 후 부착시키거나, 양면 점착테이프를 벽면(S4)에 붙인 후, 그 상면에 에어캡을 부착시킬 수도 있으며, 벽면방진부재(130)는 도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캡(130) 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캡으로 이루어지는 벽면방진부재(130)의 시공시, 에어캡에서 캡 (120) 사이의 공기층(122)내부로 모르타르의 또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키위해, 에어캡의 높이를 난방층(300)의 상단면보다 높이 유지되도록 여분을 두어 벽면(S4)에 부착시킨 후, 모르타르의 양생이후 칼등으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므로서 마무리시키거나, 접착테이프의 일부분을 상기 에어캡의 상면에 붙인후 나머지의 접착테이프면을 벽면(S4)에 붙히므로서 몰탈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다.
도9a는 상기 벽면방진부재(130)를 대신해 측면지지판(950)으로, 벽면(S4)과 제2바닥층(S2)을 이격시키므로서, 제2바닥층(S2)을 통해 벽면(S4)으로 전달되어지는 충격에너지를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판층(200)을 이루는 판에서, 벽면(S4)과 접하는 판의 외곽테두리에 모르타르의 흐름을 차단하여 그 외곽부 형상을 유지시키면서도, 벽면(S4)과 제2바닥층(S2)을 이격시키는 측면지지판(950)에 형성된 고정홈(951)을 결합시키므로서 측면지지판(950)을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홈(951)의 내부에는 도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력과 모르타르 타설시의 누수 차단력을 복합적으로 향상시키는 돌기(G)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측면지지판(950)의 상단부에는 벽면(S4)과 측면지지판(950)사이에 10㎜ 내외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틈(F)의 내부로 충격에너지의 전달면을 증가시키는 모르르타르 또는 이물질 등의 침투를 방지키 위해, 측면지지판(950)의 상단부에서 벽면(S4)으로 연장되어지는 돌출턱(952)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952)의 끝단부와 벽면(S4)이 1~2㎜ 내외의 틈(F1)만 유지토록 시공하거나, 완전이 밀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틈(F)의 입구를 완전이 밀봉시키기위한 방법으로, 도9b와 같이 접착 또는 점착테이프(H)로 측면지지판(950)의 상단부와 벽면(S4)을 이을 수 있으며, 이 같은 경우, 측면지지판(950)의 돌출턱(952)은 도9c와 같이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층(200)의 최외측에 배치되어지는 판의 외곽테두리에 측면지지판(950)이 결합되어질 경우의 시공은 도10a, 도10b, 도10c와 같이,
최외측에 배치되면서, 측면지지판(950)이 결합된 판를 바닥방진부재(100)의 상면에 올린 상태에서, 벽면(S4)과 측면지지판(950)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정하여 지지판층(200)의 기준이 되는 판의 위치를 조정한 다음, 이웃하는 판들을 순차적으로 설치해 나간다.
지지판층(200)을 이루는 판의 시공방향과 대향되어지는 곳에 위치하면서 최후에 설치되어지는 최외측부의 판(200a)은, 시공전 시공바닥의 실척을 근거로한 시공도를 기준으로 미리 재단해 놓거나, 시공오차 까지를 감안하여 현장에서 직접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최후에 설치되어지는 최외측부의 판(200a)에 측면지지판(950)을 결합시킨 후, 설치를 완료하므로서 지지판층(200)의 시공이 마무리와 함께 모르타르의 흐름을 차단하는 거푸집 형틀이 완성된다.
이후, 지지판층(200)위에 난방배관, 균열방지망 등을 설치하고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벽면(S4)과 제2바닥층(S2)사이가 이격되어지는 이중바닥을 완성시킨다.
상기 측면지지판(950)과 벽면(S4)사이를 이격시키는 틈(F)의 간격을 조절키 위한 다른 방법으로, 도11a, 도11b와 같이 측면지지판(950)의 일측부에서 벽면(S4)으로 돌출되어지는 돌기(953)를 더하여 형성하거나, 벽면(S4)과 측면지지판(950) 사이에 지지부재(972)를 배치 할 수 있다.
도12a는 벽면(S4)과 제2바닥층(S2)사이를 이격시키는 틈(F)을 형성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제2바닥층(S2)과 접하는 벽면(S4)에 경사면을 갖는 형틀부재(960)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제2바닥층(S2)의 시공을 완성한 이후 상기 형틀부재(960)를 들어올려 제거함으로서 틈(F)을 형성시킨다.
상기 난방층(300)의 시공이후 형틀부재(960)의 용이한 이탈을 위해 벽면(S4)과 접착되어지는 형틀부재(960)의 접착부(961)는 상기 형틀부재(960)의 상단부에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12b는 상기 형틀부재(960)를 제거한 상태 그대로 유지할 경우, 벽면(S4)과 제2바닥층(S2)이 틈(F)으로 완전히 분리되는 이중바닥의 구조이며, 상기 틈(F)의 입구면을 밀봉시킬 경우, 도12c 및 12d와 같이 합성수지 성형판 또는 완충성 소재로 된 마개(962)또는, 경우에 따라 접착테이프를 사용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바닥층(S2)과 벽면(S4)사이를 이격시켜 틈(F)을 형성할 경우, 일반적으로 제2바닥층(S2)을 통해 벽면(S4)으로 전달되어지는 비율이 30~45%를 차지하는 100HZ 이하의 저주파 대역의 충격에너지와, 45~60%를 차지하는 100HZ 이상의 중, 고주파 대역의 충격에너지의 대부분을 차단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이중바닥의 구조에서, 난방열에 대한 단열은 0~ 40도씨에서의 열전도율이 0.021 ~ 0.023 kcal/mh°C 로서, 다공질의 단열재보다도 뛰어난 단열성을 가지는 공기층(A)으로 이루어지며, 바닥슬라브(S1)의 상면에는 도7b와 같이, 알루미늄 증착필름 또는 알루미늄 호일재로 이루어진 열반사층(500)을 두므 로서, 제2바닥층(S2)을 이루는 지지판층(200)의 외표면으로부터 공기층(A)으로 방사되는 복사열까지 차단하므로서 난방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바닥층(S2)을 이루는 난방층(300)과 지지판층(200)사이에는, 난방층(300)으로부터 지지판층(200)으로 전가되는, 습기 차단율의 향상을 위해, 발포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재 또는 합성수지 필름재등으로 이루어지는 습기 차단층을 더 구성할 수도 있으며, 난방층(300)은 모르타르 타설로 이루어지는 습식온돌시공뿐 아니라 전기온돌판넬, 온수온돌판넬, 난방필름등의 건식소재로 시공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는, 제2바닥층으로부터 바닥슬라브로 전달되어지는 충격에너지를 매질의 밀도차이에 따른 충격에너지의 감쇠량이 큰 다층구조 또는 방진방진부재를 이루는 심재가 차지하는 체적률 감소에 따른 내부공극 및 투과손실의 극대화를 가지는 바닥방진부재로서 차단하고, 제2바닥층과 벽면과의 이격률을 높이거나 완전이 이격시키므로서 층간 소음의 고차단성을 이루면서도, 공기층에 의한 단열과 함께 공기층으로 방사되는 복사열까지 차단한다.
따라서, 쾌적한 주거생활의 제공과 함께 난방 에너지의 효율성을 높인다.
또한, 바닥슬라브 두께를 최소화시키거나, 이중바닥을 최저의 높이로 구성하므로서, 공사비용의 절감과 함께 시공기간의 단축으로 경제성을 높이며, 바닥슬라브의 두께가 낮으면서 층고의 변경이 안되는 리모델링 대상 공동건축물에 적용이 쉽다.
또한, 고차단성을 갖는 다층적층 방식의 바닥방진부재에 있어 바닥방진부재를 이루는 부재들의 적층에 따른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므로, 신축 공동건축물에 적용성을 높이는 이중바닥구조용 바닥방진부재 및 기타 산업용 방진부재로서의 활용성까지 높이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17)

  1. 층간 바닥충격음의 차단을 위해, 바닥슬라브(S1)위에 상기 바닥슬라브(S1)와 이격되어 형성되어지는 제2바닥층(S2)을 지지하는 바닥방진부재(100)로서,
    상기 바닥방진부재(100)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완충성 소재로서 하나이상의 수로 구성되어 적층되어지는 충격흡수판(10a)(10b)(10c)과
    상기 충격흡수판(10a)(10b)(10c)의 사이 또는 저면마다에 배치되어 충격에너지의 반사율을 높이는 고밀도 소재로 된 충격차단판(20a)(20b)으로 이루어지는 방진재(SS1)와
    상기 방진재(SS1)를 구성하는 소재들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구(SS2)를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용 바닥방진부재.
  2. 층간 바닥충격음의 차단을 위해, 바닥슬라브(S1)위에 상기 바닥슬라브(S1)와 이격되어 형성되어지는 제2바닥층(S2)을 지지하는 바닥방진부재(100)로서,
    상기 바닥방진부재(100)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완충성 소재로서 하나이상의 수로 구성되어 적층되어지는 충격흡수판(10a)(10b)(10c)과
    상기 충격흡수판(10a)(10b)(10c)의 사이 또는 저면마다에 배치되어 충격에너지의 반사율을 높이는, 고밀도 소재로 된 충격차단판(20a)(20b)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충격흡수판(10a)(10b)(10c)과 충격차단판(20a)(20b)의 사이에는 점착테이프가 부착되거나 접착제가 도포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용 바닥방진부재.
  3. 층간 바닥충격음의 차단을 위해, 바닥슬라브(S1)위에 상기 바닥슬라브(S1)와 이격되어 형성되어지는 제2바닥층(S2)을 지지하는 바닥방진부재(100)로서,
    상기 바닥방진부재(100)는 코르크판 또는 유기질 및 무기질 섬유를 소재로 압착 성형된 섬유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용 바닥방진부재.
  4. 제1항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방진부재(100)의 일측부에는 바닥레벨조절을 위한 레벨조절구(SS3)가 더하여 결합되며, 상기 레벨조절구(SS3)는 어느 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지지나사(90)와, 상기 상부지지나사(90)와 체결되어지는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지지나사(9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용
  5. 제1항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방진부재(100)와 제2바닥층(S2)사이에 보강판(PB)이 더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용 바닥방진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SS2)는, 용기 형태를 갖는 수용함의 측벽에 지 지돌기(52)가 형성된 지지하우징(50)과, 캡 형태를 갖는 부재의 상판면에 중공부(82)를 갖는 덥게(60)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하우징(50)의 내부에 방진재(SS1)를 삽입후 덥게(60)를 지지하우징(50)과 체결하므로서 방진재(SS1)를 구성하는 부재들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용 바닥방진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하우징(50)의 측벽에 형성된 지지돌기(52)를 대신해서 완충재(52b)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용 바닥방진부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하우징(50)의 일측부에 바닥레벨 조절을 위한 나사산(T2)을 갖는 연장턱(T1)이 더하여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T2)에 체결되는 나사산(V2)이 형성된 지지나사(V1)가 연장턱(T1)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용 바닥방진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SS2)는, 접착테이프 또는 점착성 테이프로 이루어져 방진재(SS1)를 이루는 부재들을 적층시킨 상태에서, 그 둘레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용 바닥방진부재.
  10.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해, 바닥슬라브(S1)와 이격되어 제2바닥층(S2)을 이루는 이중바닥의 구조로서,
    상부에 최종 마감재가 시공되어지며 난방배관(P)관이 설치된 후 모르타르가 타설되어지는 난방층(300)과, 상기 난방층(300)을 지지하며 일정한 강도를 지닌 판형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지지판층(200)을 포함하는 제2바닥층(S2)과,
    바닥슬라브(S1) 위에 다수로 설치되어 제2바닥층(S2)을 지지하는 제1항 내지 제5항의 바닥방진부재(100)와
    상기 제2바닥층(S2)과 벽면(S4)사이에 설치되어지는 벽면방진부재(130)를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11.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해, 바닥슬라브(S1)와 이격되어 제2바닥층(S2)을 이루는 이중바닥의 구조로서,
    상부에 최종 마감재가 시공되어지며 난방배관(P)관이 설치된 후 모르타르가 타설되어지는 난방층(300)과, 상기 난방층(300)을 지지하며 일정한 강도를 지닌 판형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지지판층(200)을 포함하는 제2바닥층(S2)과,
    바닥슬라브(S1)위에 다수로 설치되어 제2바닥층(S2)을 지지하는 제1항 내지 제5항의 바닥방진부재(100)와
    바닥슬라브(S1)위에 설치되어 제2바닥층(S2)으로부터 방사되어지는 복사열을 차단하는 알루미늄 증착필름 또는 알루미늄 호일재로 이루어지는 열반사층(500)과,
    상기 제2바닥층(S2)과 벽면(S4)사이에 설치되어지는 벽면방진부재(130)를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층(300)에는 전기온돌판넬 또는 온수온돌판넬등의 건식 난방형 소재가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방진부재(130)는 에어캡으로 이루어지는 제2차단층(120)과 판형의 완충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차단층(110)을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방진부재(130)는 에어캡(1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15.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방진부재(130)을 대신해서 상기 지지판층(200)을 이루는 판에서, 벽면(S4)과 접하는 판의 외곽테두리에 모르타르의 흐름을 차단하여 그 외곽부 형상을 유지시키면서도, 벽면(S4)과 제2바닥층(S2)을 이격시키는 측면지지판(950)을 결합시키되, 상기 측면지지판(950)은 그 하부에 고정홈(951)이 형성되어, 상기 판의 외곽테두리 끝단부와 결합되어 고정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
  16.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방진부재(130)을 대신해서 제2바닥 층(S2)과 접하는 벽면(S4)에 경사면을 갖는 형틀부재(960)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제2바닥층(S2)의 시공을 완성한 이후, 상기 형틀부재(960)를 들어올려 제거함으로서 벽면(S4)과 제2바닥층(S2)을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17.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층(130)과 난방층(300)사이에 합성수지필름재 또는 합성수지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습기차단층이 더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KR1020060085532A 2006-02-07 2006-09-04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KR20070108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273A KR20070108428A (ko) 2006-02-07 2006-11-21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KR1020070013535A KR100853037B1 (ko) 2006-02-07 2007-02-07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와 그 시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2422 2006-02-07
KR1020060012422 2006-0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317A true KR20070108317A (ko) 2007-11-09

Family

ID=3906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532A KR20070108317A (ko) 2006-02-07 2006-09-04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831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573B1 (ko) * 2008-08-29 2009-04-17 한국지역난방기술 (주) 건축물의 습식형 층간 바닥구조
KR100954827B1 (ko) * 2007-06-11 2010-04-27 안승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1226132B1 (ko) * 2010-01-21 2013-01-25 김재경 소음 및 진동 저감용 받침구
KR20220031828A (ko) 2020-09-04 2022-03-14 (주)유창이앤씨 층간 소음 저감형 건식 난방 바닥 구조
KR20230000295A (ko) 2021-06-24 2023-01-02 신윤민 친환경 층간 소음 방지용 패널 및 층간 소음 방지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827B1 (ko) * 2007-06-11 2010-04-27 안승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0893573B1 (ko) * 2008-08-29 2009-04-17 한국지역난방기술 (주) 건축물의 습식형 층간 바닥구조
KR101226132B1 (ko) * 2010-01-21 2013-01-25 김재경 소음 및 진동 저감용 받침구
KR20220031828A (ko) 2020-09-04 2022-03-14 (주)유창이앤씨 층간 소음 저감형 건식 난방 바닥 구조
KR20230000295A (ko) 2021-06-24 2023-01-02 신윤민 친환경 층간 소음 방지용 패널 및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20230007278A (ko) 2021-06-24 2023-01-12 신윤민 친환경 층간 소음 방지용 패널 및 층간 소음 방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2061573B1 (ko) 건물의 층간흡음장치
KR20070108317A (ko)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KR102253266B1 (ko) 거주 블록 및 단열부 제조 방법
KR100762925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재
KR100718698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390291Y1 (ko) 방진고무 마운트가 부착된 방진패드를 이용한 중량충격음저감 바닥구조
KR100853037B1 (ko)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와 그 시공법
KR100718700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423540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0491188B1 (ko) 공동주택용 온돌 바닥의 차음방법 및 그 장치
KR102361502B1 (ko) 층간 차음용 단독 패널
KR101207288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357988Y1 (ko) 공동주택용 온돌 바닥의 층간 소음방지패널
KR20060078348A (ko) 건축물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 다중패널
KR101564207B1 (ko)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패널
KR101761242B1 (ko) 층간소음 저감용 반 건식난방패널
KR200453109Y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KR20070108428A (ko)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KR101854878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200416055Y1 (ko) 공동주택의 뜬바닥구조 시스템
KR100705845B1 (ko) 건물의 이중 슬라브 구조
KR100709390B1 (ko) 차음 기능을 갖는 바닥 시스템
KR200378945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저감재
KR102528587B1 (ko) 벽체와 마감모르타르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마감모르타르를 차단하는 공법 및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