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8428A -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 Google Patents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8428A
KR20070108428A KR1020060116273A KR20060116273A KR20070108428A KR 20070108428 A KR20070108428 A KR 20070108428A KR 1020060116273 A KR1020060116273 A KR 1020060116273A KR 20060116273 A KR20060116273 A KR 20060116273A KR 20070108428 A KR20070108428 A KR 20070108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layer
plate
impact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홍준
Original Assignee
정홍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6008553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70108317A/ko
Application filed by 정홍준 filed Critical 정홍준
Priority to KR1020070013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037B1/ko
Publication of KR20070108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8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충격에너지를 매질간 밀도 차이에 따른 반사율을 증가시키므로서 감쇠율을 높이는 다층구조의 바닥방진부재를 사용하여 바닥슬라브와 이격되는 제2바닥층을 이루고, 제2바닥층과 벽면 사이에는 공기층의 체적률 증가에 의한 투과손실과, 충격에너지의 전달 경로상에서의 투과손실률을 이루면서도, 이중바닥 하부의 밀폐된 공기층으로 전파되는 충격에너지의 외부 방출이 가능한 벽면방진부재의 적용 또는 벽면과 제2바닥층을 완전히 이격시키는 이중바닥 구조를 이루므로서, 벽면과 바닥슬라브로 전달되어지는 경량 및 중량 충격음의 감쇠율을 크게 증가시키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성 소재로서 하나이상의 수로 구성되어 적층되어지는 충격흡수판과, 상기 충격흡수판의 사이 또는 저면마다에 배치되어 충격에너지의 반사율을 높이는 고밀도 소재로 된 충격차단판과, 상기 충격흡수판과 충격차단판의 적층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며, 바닥의 높이조절을 위한 레벨조절부재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는, 바닥슬라브위에 다수로 배치되어지는 바닥방진부재의 상면에 난방관이 설치되고 모르타르가 타설되어지는 난방층과, 상기 난방층을 지지하는 지지판층으로 이루어지는 제2바닥층을 형성하고, 제2바닥층과 벽면사이에는 섬유성형체 또는 개방셀의 합성수지발포체와 같이 통기성을 갖는 다공질성형체로 된 제2층과 상기 제2층으로의 수분 전가를 차단하는 방수성테이프로 된 제1층을 포함하는 벽면방진부재 또는 상기 벽면방진부재를 대신해서 지지판층을 이루면서 벽면과 접하는 최외측부 판넬의 외곽 테두리에 모르타르의 흐름을 차단하는 거푸집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벽면과 제2바닥층을 이격시키는 측면지지판을 결합하거나, 벽면과 제2바닥층 사이에 부착된후 모르타르의 양생이후 제거가 용이한 형틀부재가 적용되며, 또한 제2바닥층 하부의 밀폐되는 공기층에는 그 내부의 습기제거를 위한 고형 또는 액형의 제습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격에너지, 바닥슬라브, 벽면, 바닥방진부재, 고정수단, 레벨조절부재, 벽면방진부재, 제2바닥층, 지지판층, 난방층, 방수층, 공기층, 감쇠, 밀도

Description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The structure of duplication floor}
도1은 본 발명의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의 분해사시도 및 그 결합상태도.
도2a는 본 발명의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의 단면도.
도2b, 도3a, 도3b, 도3c는 본 발명의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에서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3d, 도3e는 본 발명의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의 고정수단을 이루는 부재에서 부재간 다른 결합수단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3f, 도3g, 도3h는 본 발명의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에서 고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4a, 도4b, 도5, 도6a, 도6b, 도7, 도8a, 도8b는 본 발명의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9a, 도9b는 본 발명의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를 이루는 레벨조절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10a, 도10b는 본 발명의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에서 레벨조절부재와 바닥방진부재간 결합법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13a는 본 발명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에서 벽면방진부재의 다른 부착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13b는 본 발명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14a,도14b,도14c는 본 발명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에서 벽면방진부재를 대신해서 벽면과 제2바닥층을 이격시키는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15a는 도14a의 구성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15b는 도14a의 구성에 따른 시공 상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15c는 도14a의 구성에 따른 시공 방법을 설명키 위한 설치단면도.
도16은, 도14a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에서 벽면과 제2바닥층의 이격에 따른 틈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17a는 본 발명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에서 벽면과 제2바닥층을 이격시키는 다른 구조 및 이격에 따른 틈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17b는 도17a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에서 벽면과 제2바닥층 사이에 형성되 어는 틈의 입구를 밀봉시키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바닥방진부재 2,2a: 충격흡수판
3: 충격차단판 4,20: 지지하우징
5: 고정수단 6: 지지돌기
7,10: 중공부 8,9: 홈
11,60,G: 돌기 4a,21: 측벽
22,42,44: 나사산 23: 지지돌기
30: 덥게 31,52,54: 나사산
33,36: 관통공 32,35: 판면
34: 완충재 37,64: 걸림턱
38: 제1걸림턱 39: 제2걸림턱
132: 요홈 41,133: 연장턱
43,52a: 지지나사 50: 레벨조절부재
51: 상부지지구 52b: 받침판
53: 하부지지구 55: 보강판
56,58: 완충성소재 57,57a: 이종의소재
59: 섬유성형체 61: 완충캡
62: 돌기부 63: 돌출턱
70: 난방층 71: 난방관
80: 지지판층 80a,80b,80c: 판넬
85: 열반사층 90: 제2층
100 : 제1층 110: 벽면방진부재
120: 방수층 121: 합성수지발포체
122: 고밀도시트 125: 제습제
130: 측면지지판 131: 지지판
134: 지지부재 140: 형틀부재
141,H: 접착테이프 142: 마개
A: 제2바닥층 B: 공기층
C: 단차 F1,F2: 틈
M: 결합수단 S1: 바닥슬라브
S2: 벽면
본 발명은,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충격에너지를 매질간의 밀도 차이에 따른 반사율을 증가시키므로서 감쇠율을 높이는 다층구성의 바닥방진부재를 사용하여 바닥슬라브와 이격되는 제2바닥층을 이루되, 상기 제2바닥층으로부터 벽면으로 전달되어지는 충격에너지와, 이중바닥 하부의 밀폐된 공기층으로 전파되는 충 격에너지를 부가적으로 감쇠시키는 벽면방진부재를 적용하거나, 제2바닥층과 벽면 사이를 완전이 이격시키는 부재의 결합 또는 그 구조를 이루므로서, 벽면 및 바닥슬라브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의 차단율을 현저히 높이는 이중바닥의 구조이다. 또한 제2바닥층 하부에 밀폐되는 공기층 내부의 습기제거에 의한 주거공간 내의 위생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목재의 주요 부패 원인을 제거함으로서 경제적인 목재판의 적용성을 높이며, 열반사재로서 제2바닥층으로부터 공기층으로 방사되어지는 복사열을 차단함으로서 난방에 의한 열손실까지 효과적으로 줄이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을 차단하는 이중바닥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차단구조에서, 완충성 소재 위에 경량기포콘크리와 난방용 모르타르가 시공되어지는 일반적인구조의 경우, 상기 완충성 소재는 바닥슬라브의 전체면에 걸쳐 분포되어져 있으며, 충격에너지는 대부분 구조체를 통해 전달되어지므로, 현재의 층간소음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바닥슬라브의 두께를 증가시키던지 완충재의 두께를 늘여야 된다.
그러나, 상기 바닥슬라브 또는 완충재의 두께를 늘일경우, 공동주택 건축물의 높이 및 완충재의 두께 증가에 따라 경제성이 낮아지고, 경량기포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기간에 따른 시공기간의 지연성은 여전이 발생되어진다.
한편, 이와는 별도로 상기의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바닥슬라브위에 제2바닥층을 형성하고, 두 바닥층 사이에 다수로 배치되어지는 방진고무를 사용하므로서 층간소음을 차단하는 이중바닥의 구조가 있다.
그러나, 상기 이중바닥의 구조에서, 바닥슬라브로 전달되어지는 충격에너지 를 감쇠시키는 방진고무는, 점탄성을 갖는 고무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충격에너지의 차단성은, 고무의 경도 및 단면적이 동일한 상황에서 그 두께를 증가시키므로서 향상시킬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두께를 2배로 하더라도 충격에너지의 감쇠율 향상은 크지 않을뿐더러 경제성도 현저히 떨어진다.
또한, 방진고무의 두께 증가시, 층간소음차단을 위한 바닥구조의 높이도 함께 높아지므로, 건물내의 층고 변경이 안되는 리모델링 대상 공동 건축물에 적용키 어렵다.
또한, 제2바닥층을 통해 벽면으로 전달되어지는 충격에너지를 감쇠시키는 벽면방진부재의 경우, 매질의 밀도가 다른 발포성 합성수지재를 이중으로 구성한것이 있으나, 상기 발포성 합성수지재는 시공에 적정한 경도를 기준시 그 발포률의 한계가 따르므로, 충격 에너지의 전달이 어려우면서 그 전달면을 감소시키는 공기층이 차지하는 체적률이 제한적이면서도 충격에너지는 모든 연결구조체를 통해 쉽게 전달되므로 비개방셀을 이루면서, 전체가 일체로 연결되어진 발포체의 셀벽을 통해 충격에너지는 쉽게 전달되어진다.
또한, 벽면방진부재를 이루는 발포성 합성수지재의 비개방셀에 의해, 제2바닥층으로부터 공기층을 통해 바닥슬라브로 전달되는 공기 전파음의 외부 방출이 안되므로서, 바닥슬라브 또는 제2바닥층의 공진 발생시 그 증폭률이 증가되어 층간소음도가 높아진다.
또한, 이중바닥 하부의 밀폐되는 공기층 내부에는 습기에 의한 곰팡이와 같은 세균번식률이 높으므로 위생성이 저하되고, 습기에 의한 목재판의 장기적 내구 성 보장이 안되므로, 습식온돌 시공이 되는 이중바닥의 지지판으로서 경제성이 좋은 목재판의 적용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바닥방진부재의 상단에 형성되어 제2바닥층을 이루는 이중바닥의 구조에 있어서, 제2바닥층으로 부터 바닥슬라브로 전달되어지는 충격에너지를 차단하는 바닥방진부재를 매질간 접촉 경계면에서의 밀도 차이에 따른 충격 에너지의 반사율을 증가시키므로서 투과 손실률을 높이는 다층구조를 이루고, 제2바닥층과 벽면사이에는 공기층의 체적비율이 크면서도, 제2바닥층으로부터 공기층을 통해 바닥슬라브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의 실내 방출이 가능하고, 충격 에너지의 전달 경로상에 수 많은 접촉 경계점이 형성되므로서 투과 손실을 높일 수 있는 벽면방진부재를 적용하거나, 벽면과 제2바닥층 사이를 틈으로서 완전이 이격시키는 제2바닥층을 이루므로서 경량 및 중량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이중바닥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제2바닥층을 구성하는 소재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그 구성 두께를 최저로 구성가능케 하여, 최소한의 높이로 구성되는 이중바닥을 이루면서도, 시공기간의 단축 및 공사비용의 절감률을 높이는 이중바닥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바닥슬라브의 두께가 평균 135mm를 갖는 리모델링 대상 공동건축물에 효과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으면서, 난방 에너지의 효율을 높이는 이중바닥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이중바닥 구조에 따른 밀폐되어지는 공기층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여 부패의 원인을 제거함으로서 공기층 내부의 위생성을 높이면서도 이중바닥을 지지하는 구조체에서 경제성이 높은 목재판의 사용성을 높이는 이중바닥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상태도이며, 도2a는 도1의 구성에 따른 바닥방진부재의 단면도로서,
바닥방진부재(1)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성소재로서 하나이상의 수로 구성되어 적층되어지는 충격흡수판(2)과, 상기 충격흡수판(2)의 사이 또는 저면마다에 배치되어 충격에너지의 반사율을 높이는 고밀도 소재로 된 충격차단판(3)과, 상기 충격흡수판(2)과 상기 충격차단판(3)의 적층에 따른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수단(5)을 포함한다.
충격흡수판(2)을 이루는 완충성 소재는, 탄성에 의한 충격 흡수력과, 점성에 의한 충격에너지의 열 에너지화가 좋은 35~50도 내외의 경도를 갖는 고무가 가장 바람직하며, 점성은 낮으나 충격흡수력이 양호한 코르크, 연질 PVC, 합성수지발포체의 적용도 가능하다. 또한 점탄성 모두 낮으나, 다량의 섬유들이 적층되므로서 무수히 형성되는 섬유간 접촉 경계면에서의 투과손실과, 전체 체적에서 소재가 차지하는 체적률은 평균10%정도이고 나머지의 90%는 공극상태로서 충격에너지의 전달면 감소에 의한 투과손실을 함께 얻을 수 있는 PET또는 유리섬유를 소재로 고밀도로 압착 성형된 유기질 및 무기질의 섬유성형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섬유성형체는 밀도 200~300kg/m3에서의 압축 저항력이 0.5~ 5kg/cm2 정도로서, 제2바닥층(A)으로부터 전가되는 하중에 대한 지지저항력이 따르고, 유리섬유와 같은 무기질 섬유에 비해 절단시의 유해성 분진발생이 없으면서도 섬유체 조직 내에서의 더 나은 투과손실과, 취급성이 좋은 유기질의 PET섬유체가 바람직하다.
충격흡수판(2)은 이중바닥 구조에 따른 높이를 감안시 8~15cm 내외의 두께로서 2~3개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일측부에는 충격에너지의 전달면 또는 재료의 소모량 감소를 위한, 중공부(7)와 홈(8)(9)또는 돌기(11)를 형성 할 수 있다.
충격흡수판(2)은 도6a와 같이, 완충성 소재로 이루어져 적층되는 전체의 충격흡수판(2)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에 대해, 섬유성형체 또는 완충성소재와 구분되는 소재를 포함하는 이종의 소재(57a)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6b와 같이 완충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충격흡수판(2)에 상기 완충성소재(56)와 구분되는 이종의 소재(57)가 복합 구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완충성 소재로 된 전체의 충격흡수판(2)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에 대해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1~3mm 내외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충격차단판(3)은 충격흡수판(2)을 이루는 소재와 밀도차이가 큰 고밀도 소재를 사용하므로서, 충격흡수판(2)과 충격차단판(3)이 상호 접촉되는 경계면에서의, 매질간 밀도 차이에 따른 충격에너지의 반사률을 높혀, 진동파의 주파수 대역별 진폭값을 크게 낮추므로서, 방진성을 증대시킨다.
상기 충격 차단판(3)은, 비중 11.36을 갖는 고밀도의 납판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인 납은 연질에 의한 취급시의 변형성이 크므로, 연납에 2~10% 내외의 안티몬을 첨가하므로서 연질성을 개선한 납판 또는 비중 7.86을 가지면서 경제성 및 가공성이 좋은 철판이 가장 바람직하며, 동,아연,스텐레스,알루미늄 등의 금속 또는 합금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판과, 금속분말 또는 금속분말과 합성수지가 혼합되어 성형된 금속성형판을 적용 할 수있다.
또한, 일반적인 금속판에 비해 밀도는 높지 않으나 성형이 가능한 세라믹판의 사용도 가능하며, 상기 충격차단판(3)의 소재에서 납판, 철판을 제외한 나머지의 소재중, 비중5.0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나, 비중2.0 이상의 것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함을 밝힌다.
상기 바닥방진부재(1)에서 최하부에 위치하는 충격흡수판(2)의 저면에 충격차단판(3)을 구성할 경우 그 저면에는, 도8a 및 도8b와 같이, 금속나사 또는 합성수지재의 성형나사를 더 결합하여 돌기(60)를 두므로서, 바닥슬라브(S1)와의 접촉 단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나사의 머리부에는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완충캡(61)의 결합도 가능하다.
그리고, 바닥방진부재(1)의 구성에서, 충격흡수판(2)과 충격차단판(3)의 복합구성과 달리, 도7과 같이 바닥방진부재(1)에서 충격차단판(3)이 제외된채, 상기 섬유성형체(59)와 완충성소재(58)를 복합적으로 구성하거나, 섬유성형체(59)만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격흡수판(2)과 충격차단판(3)의 적층에 따른 결합상태를 유지 함에 있어, 양 부재의 접촉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폼테이프, 필름테이프와 같은 접착테이프를 부착하여 결합할 수도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비접착에 의한 다양한 고정수단(5)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2a에 따른 고정수단(5)의 경우, 용기형태를 갖는 수용함의 측벽(4a)에 충격흡수판(2)과 충격차단판(3)과의 접촉 단면적을 줄이면서 그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돌기(6)가 형성된 지지하우징(4)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충격흡수판(2)과 충격차단판(3)이 삽입될 경우, 그 측면 또는 하부로의 이탈 방지가 가능하면서도 지지하우징(4)의 측벽(4a)으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상기 도2a에 따른 고정수단(5)은, 도2b에 나타낸 바와같이, 충격흡수판(2)과 충격차단판(3)의 중공부(7)(10)내측면을 상기 지지돌기(6)가 지지하는 형태로도 구성 가능하다.
도3a는 고정수단(5)의 다른 예로서, 지지하우징(20)의 측벽(21)에 결합용 나사산(22)과 충격에너지의 전달면을 감소시키는 지지돌기(23)가 형성되고, 지지하우징(20)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31)이 형성된 덥게(30)의 판면(32)에는 최상단에 위치되는 충격흡수판(2)에 형성된 돌기(11)와의 간섭을 피해 홈(9)의 일정깊이까지 판면(32)이 삽입되도록 관통공(33)이 형성되며, 덥게(30)의 판면(32)이 충격흡수판의 홈(9)에 삽입되도록 한후, 지지하우징(20)과 덥게(30)를 결합수단(M)으로 체결하므로서 충격흡수판(2)과 충격차단판(3)의 이탈을 완전이 차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덥게(30)의 상면과 최상단에 위치하는 충격흡수판(2)과의 단차(C)는 변위량을 감안한 높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하우징(20)과 덥게(30)의 결 합수단(M)으로, 도3d 및 도3e와 같이, 지지하우징(20)의 측벽(21)상단부에 제1걸림턱(38)과 덥게(30)의 외곽테두리에 제2걸림턱(39)을 형성하거나, 덥게(30)의 외곽테두리에 지지하우징(20)의 측벽(21)상단부가 억지 끼움에 의해 결합되도록 요홈을 결합수단(M)으로 형성 할 수도 있다.
도3b는 도3a에 의한 고정수단(5)의 구성에서 상기 지지하우징(20)의 지지돌기(23)를 대신해 완충재(34)를 삽입하므로서, 충격흡수판(2)과 충격차단판(3)으로부터 지지하우징(20)의 측벽(21)으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의 감쇠률을 한층 더 높이는 것이며, 상기 완충재(34)는 도2a,도2b의 지지하우징(4)에 형성된 지지돌기(6)를 대신해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고정수단(5)은 도3c와 같이, 덥게(30)의 판면(35)에 최상단에 위치되는 충격흡수판(2)의 외곽 둘레면의 일정깊이까지 판면(35)이 통과되도록 관통공(36)를 형성하고, 최상단에 위치되는 충격흡수판에는 걸림턱(37)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37)이 덥게(30)의 판면(35)과 간섭되게 하므로서 목적을 이룰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수단(5)를 이루는 상기 지지하우징(4)(20)에는 도3f와 같이, 지지하우징(4)(20)의 저면 또는 어느 일측부에 나사산(42)을 갖는 연장턱(41)를 더 형성하고, 상기 연장턱(41)의 나사산(42)에 체결되는 나사산(44)이 형성된 지지나사(43)를 더 결합시키므로서 레벨조절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도3g, 도3h는 고정수단(5)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접착테이프를 이용해 충격흡수판(2)과 충격차단판(3)의 둘레면을 감싸면서 붙이거나, 철사줄, 밴드, 실, 노끈등의 줄로서 그 둘레를 묶음처리할 수도 있으며, 상황에 따라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충격흡수판(2)과 충격차단판(3)을 적층시킨 채 그대로 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바닥방진부재(1)에는 고정수단(5)을 이루는 상기 지지하우징(4)(20)에 구성될 수 있는 레벨조절기능과는 달리, 도4a 및 도4b와 같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별도의 레벨조절부재(50)를 바닥방진부재(1)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레벨조절부재(50)는 어느 일면에 나사산(52)이 형성된 상부지지구(51)와 상기 상부지지구(51)와 체결되는 나사산(54)이 형성된 하부지지구(53)로 이루어져, 바닥방진부재(1)의 상면 또는 저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도9a 및 도9b와 같은 구성외, 기존의 볼트등을 이용한 다양한 방법들의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10a,도10b는 상기 레벨조절부재(50)와 바닥방진부재(1)간 결합법의 예로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충격흡수판(2)의 돌기부(62)가 레벨조절부재(50)의 내부에 억지 끼움에 의해 삽입되도록 하거나, 충격흡수판(2)의 돌출턱(63)이 레벨조절부재(50)의 걸림턱(64)에 걸리게 할 수도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양 부재간 접촉면에 양면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로서 결합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바닥방진부재(1)를 설치시 그 위치 고정의 예로서, 바닥방진부재(1)의 바닥면에 양면 접착테이프의 일면을 부착시키고 그 반대면을 깨끗이 정리된 바닥슬라브(S1)면에 부착하므로서 고정할 수 있으며, 바닥방진부재(1)의 상면에는 도5와 같이, 제2바닥층(A)의 지지력 향상 또는 지지판층(80)을 이루는 판넬과의 결합을 위한, 목판, 석판, 철판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강판(55)을 더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해, 상기 바닥방진부재(1)와 결합되어 제2 바닥층(A)을 이루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바닥의 구조는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부에 바닥마감재가 시공되어지며, 난방관(71)관이 설치된 후 모르타르가 타설되는 난방층(70)과, 상기 난방층(70)을 지지키 위한 일정한 강도와 형상을 갖는 판넬로 이루어지는 지지판층(80)과, 상기 지지판층(80)을 지지하며, 바닥슬라브(S1) 위에 다수로 설치되어지는 바닥방진부재(1)와, 상기 제2바닥층(A)과 벽면(S2)사이에 결합되어 벽면(S2)으로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를 차단하는 벽면방진부재(110)와, 상기 바닥슬라브(S1)와 제2바닥층(A)의 밀폐되는 공기층(B)에 배치되는 제습제(12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방진부재(1)에 지지되는 지지판층(80)은, 일정한 두께와 넓이를 가지는 판넬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판넬의 강도가 좋으면서도 휨성 및 열전도율이 낮고, 경량성과 함께 습기 저항성이 높은, 두께 8~20mm 내외의 일반적인 콘크리트 거푸집 합판 또는 태고합판 등이 바람직하며, 방수성이 양호한 고밀도의 파티클보드,MDF 외 석판 또는 합성수지성형판 등의 다양한 판넬들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벽면방진부재(110)는 통기성을 갖는 다공질 조직내의 미세 기공들에 의해, 제2바닥층(A)으로부터 공기층(B)을 통해 바닥슬라브(S1)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의 실내 방출에 따른 투과손실과, 다량의 섬유적층에 의한 섬유간 접촉 경제면에서의 투과손실을 함께 얻을 수 있으며, 두께 10mm 내외로서 100~300kg/m3의 밀도를 가지는 압착 성형된 섬유성형체 또는 오픈셀을 갖는 합성수지발포체와 같이 통기성 다공질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제2층(90)과 모르타르 타설시 상기 통기성 다공질성형체로 침투되는 수분을 차단키 위한, 필름테이프, 폼 테이프, 자기점착성을 갖는 고 점성테이프등의 방수성테이프로 이루어지는 제1층(1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벽면방진부재(110)는 제2바닥층(A)의 시공전에 바닥슬라브(S1)의 상면으로부터 1cm 내외의 높이지점에 위치토록 조정하여 벽면(S1)에 부착하거나, 도13과 같이 지지판층(80)의 시공이 완료된 후 지지판층(80)을 이루는 판넬의 상단에 올린 상태에서 벽면(S2)에 부착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제2층(90)을 이루는 방수성 테이프를 부착시, 제1층(100)의 상단부를 덮도록 연장하여 부착 할 수도 있다.
도14a는 상기 벽면방진부재(110)를 대신해 측면지지판(130)으로서, 벽면(S2)과 제2바닥층(A)을 이격시키는 것으로, 상기 측면지지판(130)은 모르타르의 흐름을 차단하는 지지판(131)과 그 하부에 요홈(132)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요홈(132)의 내부에는 도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력과 모르타르 타설시의 누수 차단력을 복합적으로 향상시키는 다수의 돌기(G)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측면지지판(130)은 지지판층(80)을 이루는 판넬에서, 벽면(S2)과 접하는 판넬의 외측부 외곽테두리에 측면지지판(130)의 요홈(132)을 결합시켜 고정케하므로서, 모르타르의 흐름을 차단하는 거푸집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벽면(S2)과 제2바닥층(A)을 이격시킨다.
상기 측면지지판(130)의 상단부에는 지지판(131)과 벽면(S2)사이를, 완전이 이격시키는 5~10mm내외의 거리 유지에 따라, 발생되는 틈(F1)의 내부로 침투되는 이물질 차단을 위해, 상기 틈(F1)의 폭을 최소화시키는 연장턱(133)을 형성할 수 있으며, 지지판층의 시공시 연장턱(133)의 끝단부와 벽면(S2)사이의 틈(F2)은 1~2mm 내외를 유지토록 조정한다.
한편, 상기 틈(F)의 입구를 완전이 밀봉시킬 경우, 도14b와 같이 접착테이프(H)로서 측면지지판(130)의 상단부와 벽면(S2)을 이을 수 있으며, 이 같은 경우, 측면지지판(130)의 연장턱(133)은 도14c와 같이 생략 가능하다.
상기 벽면방진부재(110)를 대신해서 측면지지판(950)이 결합되어질 경우의 시공은 도15a, 도15b, 도15c와 같이,
벽면(S2)과 접하면서, 지지판층(80)의 시공 기준이 되는 판넬(80a)의 외곽테두리에, 측면지지판(13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바닥레벨 작업이 완료된 바닥방진부재(1)의 상면에 올린후, 벽면(S2)과 측면지지판(130)사이를 5~10mm내외의 틈(F)을 유지하도록 판넬(80a)을 조정한 다음, 이웃하는 판넬(80b)들을 순차적으로 설치해 나간다.
여기서, 상기 측면지지판(130)과 벽면(S2)을 이격시키는 틈(F)의 간격을 조절키 위한 다른 방법으로, 도16과 같이 측면지지판(130)의 지지판(131)에 폼 테이프와 같은 완충성소재로 된 지지부재(134)를 부착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134)가 부착된 상태에서 판넬(80a)을 벽면(S2)으로 밀어붙히면 지지부재(134)두께 만큼의 간격유지가 될 것이다.
그리고, 지지판층(80)을 이루는 판넬의 시공방향과 대향되는 곳에 위치하면서 최후에 설치되는 최외측부의 판넬(80c)들은, 건물의 평면도 또는 작업현장의 실척을 근거로 공장에서 미리 재단하여 준비하거나, 시공오차 까지를 감안하여 현장에서 직접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판넬(80c)에 측면지지판(130)을 결합시켜 설치를 완료하므로서, 지지판층(80)의 시공 마무리와 함께 모르타르의 흐름을 차단하는 거푸집 형틀이 준비되어진다.
이후, 지지판층(80)위에 난방배관, 균열방지망 등을 설치하고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므로서, 벽면(S2)과 제2바닥층(A)을 이격시키는 이중바닥을 완성시킨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지지판층(80)을 이루는 판넬의 설치시 그 위치 고정의 예로, 판넬이 목재판일 경우, 하부에 배치된 바박방진부재(1)의 상면에 점착테이프를 사전에 붙이고, 판넬과 접착되도록 하거나, 타카핀 또는 고정못등이 판넬을 관통하여 바닥방진부재(1)의 상면에 부착된 목재질의 보강판(55)에 박히도록 하거나, 판넬들이 상호 접촉되어지는 경계면 위에, 두께 2.7mm, 폭 30~100mm 내외로서 절단된 합판체의 덧판을 올리고, 타카핀이 양쪽 판넬에 각각 박히게 할 수도 있다.
상기 판넬의 고정은, 판넬의 소재와 형태, 판넬과 접촉되는 바닥방진부재(1)의 상단면 구조등 여러 조건에 따라 다양한 방법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며, 경우에 따라 별도의 고정없이도 시공가능 할 것이다.
도17a는, 벽면(S2)과 제2바닥층(A)사이를 이격시키는 다른 방법으로서, 제2바닥층(A)과 접하는 벽면(S2)에 경사면을 갖는 형틀부재(140)를 부착시킨 다음, 모르타르의 양생 이후에, 형틀부재(140)를 들어올려 제거함으로서 이격시키며, 벽면(S2)에 형틀부재(140)를 부착시, 일시적 접착력을 갖는 스프레이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141)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형틀부재(140)를 제거하므로서 벽면(S2)과 제2바닥층(A)사이에 형성되는 틈(F)의 입구면을 밀봉시킬 경우, 도17b와 같이, 틈(F1)의 입구면보다 큰 완충재로 된 마개(142)를 밀어넣어 끼울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바닥층(A)과 벽면(S2)사이를 완전이 이격시키거나, 이격률을 높일 경우, 제2바닥층(A)을 통해 벽면(S2)으로 전달되어지는 비율이 30~45%인 100HZ 이하의 저주파 대역과, 45~60%를 차지하는 100HZ 이상의 중, 고주파 대역에 대한 충격에너지의 차단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습제(125)는 이중바닥의 시공 이후에, 공기층(B) 내부에 갇히거나, 미건조에 의한 바닥슬라브(S1)의 습기, 벽면방진부재(110)의 미세틈이나, 이중바닥의 틈 사이로 침투될 수 있는 습기를, 흡착 또는 흡습하므로서, 밀폐되는 공간 내부의 위생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목재의 주요 부패 원인을 제거하여 지지판층(80)의 소재를 파티클보드, MDF, 일반합판과 같은 경제성이 높은 목재판의 적용성을 높이는 것으로, 입자 또는 분말 상태의 고형 내지 액형물질을 포함하며, 실리카겔, 염화칼슘, 수산화나트륨, 알루미나, 생석회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습제는 흡착 또는 흡습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습기의 역방출성이 없는 물질이 바람직하며, 적정량의 제습제가 담겨진 수용함을 바닥슬라브(S1)에 배치하면된다.
그리고, 상기 난방층(70)과 지지판층(80)사이에는, 도12에 나타낸 바와같이, 모르타르 타설시 지지판층(80)으로 전가되는 수분 또는 습기차단을 위한 방수층(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층(120)은 합성수지발포체, 방수필름 또는 두께 5~10mm 내외를 갖 는 합성수지발포체(121)의 상면에 1mm 내외의 두께를 가지면서 1~5배 내외의 저발포율을 갖거나, 비발포 상태의 연질성 고밀도시트(122)가 일체로 접합된 방수시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수시트에서 고밀도시트(122)층의 경우, 30~70배의 고발포율을 갖는 일반적인 PE 또는 PP,EVA 발포체에 비해 수분차단성이 높으므로, 모르타르 타설시 소재의 내부로 침투된 습기의 역방출에 의해, 난방층(70)과 바닥마감재 사이의 습기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 두께가 일반적인 방수필름에 비해 두꺼우면서도 연질성을 갖추므로, 시공또는 시공이후 작업자의 보행이나 시공자재들의 낙하충격에도 쉽게 뚫리지 않으므로서, 시공이후의 하자 발생률까지 낮출 수 있다. 그리고, 고밀도시트(122)층 하부의 합성수지발포체(121)층은 고밀도시트(122)층을 통과한 일부의 습기에 대한 2차적 차단성과 완충성을 복합적으로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바닥의 구조에서, 난방열에 대한 단열은 0~ 40도씨에서의 열전도율이 0.021 ~ 0.023 kcal/mh°C 로서, 다공질의 단열재보다도 뛰어난 단열성을 가지는 공기층(B)으로 이룰 수 있으며, 바닥슬라브(S1)에는 도13b와 같이, 알루미늄 증착필름 또는 알루미늄 호일재로 이루어진 열반사층(85)을 두므로서, 제2바닥층(A)의 지지판층(80)을 이루는 소재의 외표면으로부터 공기층(B)으로 방사되어 바닥슬라브(S1)로 전달되는 복사열을 차단하여 난방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상기 난방층(70)에는 벽면방진부재(110)를 포함하거나 제외된 채, 조립식 온수온돌판넬, 전기온돌판넬, 난방필름등의 건식난방 소재가 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상기 바닥방진부재(1)를 이루는 충격차단판(2)의 소재는, 합판, 파티클보드,MDF 등의 목재판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판, 플라스틱판, 시멘트판, 무기질성형판 또는 연성의 금속이 제외되는 금속판을 모두 포함하는 소재, 즉, 특정 외력에 의해 그 형태의 변형이 잘 안되거나 어려운 경질성소재 또는 강체와는 분명히 구분되어지는, 비중에 따른 밀도를 기준으로 하는 고밀도의 금속성 소재임을 밝힌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는, 완충성소재의 탄성 또는 점성에 의한 충격 에너지의 감쇠율을 얻으면서도 완충성소재와 고밀도 소재와의 밀도차이에 따른 고 감쇠율을 이루는 다층구조의 바닥방진부재와, 충격에너지의 전달 경로상에서의 투과손실률을 높이면서도, 이중바닥 하부의 공기층으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의 외부 방출로서 공진발생시의 그 증폭률을 감쇠시키는 벽면방진부재 또는, 제2바닥층과 벽면을 완전이 이격시키는 이중바닥의 구조로서, 경량 및 중량충격음의 차단율을 크게 증가시켜 공동주택에서의 소음분쟁을 해결하고 쾌적한 주거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바닥슬라브의 두께를 최소화 시키거나, 제2바닥층을 구성하는 소재의 수 또는 그 두께를 낮추므로서, 주택건설 공기의 단축과 함께 원가절감률을 향상시킨다.
또한, 바닥슬라브의 두께가 낮으면서 층고의 변경이 안되는 리모델링 대상 공동건축물에의 적용성을 높인다.
또한, 제2바닥층을 지지하는 바닥방진부재에서 고차음성이 확보되므로, 모르타르 타설식의 습식난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차음성이 낮은 조립식 온수온돌판넬의 적용성을 높혀, 15%~30%의 난방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한다.
또한, 이중바닥 하부의 밀폐되는 공기층 내부의 습기 제거에 의한, 주거공간내의 위생성을 높이는 동시에, 목재판의 주요 부패 원인 제거에 의한, 장기적인 내구성을 보장하므로서, 제2바닥층을 지지하는 판넬의 소재로 경제성이 좋은 목재판의 적용성을 높인다.

Claims (18)

  1.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해, 바닥슬라브(S1)위에 상기 바닥슬라브(S1)와 이격되어 형성되어지는 제2바닥층(A)을 지지하는 바닥방진부재(1)로서,
    상기 바닥방진부재(1)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완충성 소재로서 하나이상의 수로 구성되어 적층되어지는 충격흡수판(2)과
    상기 충격흡수판(2)의 사이 또는 저면마다에 배치되어 충격에너지의 반사율을 높이는 고밀도 소재로 된 충격차단판(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충격흡수판(2)과 충격차단판(3)의 적층에 따른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수단(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용 바닥방진부재.
  2.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해, 바닥슬라브위(S1)에 상기 바닥슬라브(S1)와 이격되어 형성되어지는 제2바닥층(A)을 지지하는 바닥방진부재(1)로서,
    상기 바닥방진부재(1)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완충성 소재로서 하나이상의 수로 구성되어 적층되어지는 충격흡수판(2)과
    상기 충격흡수판(2)의 사이 또는 저면마다에 배치되어 충격에너지의 반사율을 높이는 고밀도 소재로 된 충격차단판(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용 바닥방진부재.
  3.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해, 바닥슬라브(S1)위에 상기 바닥슬라브(S1)와 이격되어 형성되어지는 제2바닥층(A)을 지지하는 바닥방진부재(1)로서,
    상기 바닥방진부재(1)는 유기질 및 무기질 섬유를 소재로 압착성형된 섬유성형체와 완충성소재가 적층되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용 바닥방진부재.
  4.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해, 바닥슬라브(S1)위에 상기 바닥슬라브(S1)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바닥층(A)을 지지하는 바닥방진부재(1)로서,
    상기 바닥방진부재는 유기질 및 무기질 섬유를 소재로 압착성형된 섬유성형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용 바닥방진부재.
  5. 제1항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판(3)은 고무, 코르크, 연질 PVC, 합성수지발포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용 바닥방진부재.
  6. 제1항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차단판(3)은 금속판, 금속분말이 첨가된 금속성형판, 세라믹판 중 비중2.0 이상을 갖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용 바닥방진부재.
  7. 제1항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판(3)중 어느 하나 이상은 완충성소재와 구분되는 이종의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용 바닥방진부재.
  8. 제1항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판(3)중 어느 하나 이상은 완충성소재와 상기 완충성소재와 구분되는 이종의 소재가 복합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용 바닥방진부재.
  9. 제1항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방진부재(1)의 일측부에는 상,하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레벨조절부재(5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용 바닥방진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5)은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충격흡수판(2)과 충격차단판(3)의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용 바닥방진부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5)은, 용기형태를 갖는 수용함의 측벽(4a)(21)에 완충재(34)가 결합된 지지하우징(4)(20)과, 소재의 판면(35)에 최상단에 위치하는 충격흡수판(2)의 외곽 둘레면의 일정깊이까지 상기 판면(35)이 통과되도록 관통공(36)이 형성된 덥게(30)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하우징(4)(20)의 내부에 충격흡수판(2)과 충격차단판(3)이 삽입된 후, 덥게(30)와 지지하우징(4)(20)이 결합수단(M)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용 바닥방진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하우징(4)(20)의 저면 또는 어느 일측부에는 상,하 높이 조절을 위한 나사산(42)을 갖는 연장턱(4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연장턱(41)에는 나사산(44)이 형성된 지지나사(43)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용 바닥방진부재.
  13.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해, 바닥슬라브(S1)와 이격되어 제2바닥층(A)을 이루는 이중바닥의 구조로서,
    그 상부에 바닥마감재가 시공되어지며, 난방관(71)관이 설치된 후 모르타르가 타설되는 난방층(70)과,
    상기 난방층(70)을 지지키 위한 일정한 강도와 형상을 갖는 판넬로 이루어지는 지지판층(80)과,
    상기 지지판층(80)을 지지하며, 바닥슬라브(S1)위에 다수로 설치되어지는 제1항 내지 제4항의 바닥방진부재(1)와,
    상기 제2바닥층(A)과 벽면(S2)사이에 결합되어 제2바닥층(A)으로 부터 벽면(S2)으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차단하는 벽면방진부재(110)를 포함하고, 상기 벽면방진부재(110)는 통기성 다공질성형체로 된 제2층(90)과 상기 제2층(90)으로의 수분 전달을 차단하는 방수성테이프로 된 제1층(1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방진부재(110)를 대신해서 지지판(131)의 하부에 요홈(132)이 형성된 측면지지판(130)을 상기 지지판층(80)을 이루는 판넬에서, 벽면(S2)과 접하는 판넬의 외측부 외곽테두리에 결합시키되, 상기 요홈(132)과 결합시켜 판넬에 고정케 하므로서, 모르타르의 흐름을 차단하는 거푸집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벽면(S2)과 제2바닥층(A)을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방진부재(110)을 대신해서 제2바닥층(A)과 접하는 벽면(S2)에 경사면을 갖는 형틀부재(140)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모르타르의 양생 이후, 상기 형틀부재(140)를 들어올려 제거함으로서 벽면(S2)자 제2바닥층(A)을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층(80)과 난방층(70)사이에 난방층으로 부터의 수분차단을 위한 방수층(12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방수층(120)은 합성수지발포체(121)의 상면에 두께 1mm 내외의 연질성 고밀도시트(122)가 일체로 접합된 방수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슬라브(S1)와 제2바닥층(A)사이의 공기층(B)내부에는 습기제거를 위한 고형 또는 액형의 제습제(12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층(80)에는 조립식 온수온돌판넬, 전기온돌판넬, 난방필름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건식난방 소재가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KR1020060116273A 2006-02-07 2006-11-21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KR20070108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535A KR100853037B1 (ko) 2006-02-07 2007-02-07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와 그 시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2422 2006-02-07
KR1020060012422 2006-02-07
KR20060022064 2006-03-07
KR1020060022064 2006-03-07
KR1020060085532 2006-09-04
KR1020060085532A KR20070108317A (ko) 2006-02-07 2006-09-04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428A true KR20070108428A (ko) 2007-11-12

Family

ID=39063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273A KR20070108428A (ko) 2006-02-07 2006-11-21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84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839A (ko) 2017-07-11 2019-01-21 신혜연 층간 소음 저감용 바닥패널 지지장치
KR20190024234A (ko) 2017-08-31 2019-03-08 신혜연 바닥패널 고정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839A (ko) 2017-07-11 2019-01-21 신혜연 층간 소음 저감용 바닥패널 지지장치
KR20190024234A (ko) 2017-08-31 2019-03-08 신혜연 바닥패널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US10889979B2 (en) Habitation block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mal insulation
KR200378667Y1 (ko) 공동주택의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바닥구조
KR20070108317A (ko)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KR100853037B1 (ko)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와 그 시공법
KR20090029862A (ko) 공동주택의 층간단열차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KR100718698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390291Y1 (ko) 방진고무 마운트가 부착된 방진패드를 이용한 중량충격음저감 바닥구조
KR20070108428A (ko)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CN204876263U (zh) 一种建筑楼板隔声减振吊顶结构
SK6079Y1 (sk) External bearing wall of low-energy building
KR100730700B1 (ko) 다층건물의 바닥충격소음 감쇄구조
KR200342586Y1 (ko) 뜬 구조의 충격흡수용 차음재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
KR102319581B1 (ko)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는 바닥 시공방법
KR200423540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0718700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0831998B1 (ko) 고단열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층간충격음 저감 바닥 구조
KR200413533Y1 (ko) 마그네슘보드를 이용한 층간 차음 바닥구조
KR101373091B1 (ko) 바닥 충격음 저감용 층간 차음재
CN207686212U (zh) 一种隔音地板
KR200455544Y1 (ko) 공동주택용 층간차음재
KR20090016266A (ko) 팽창질석을 이용한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구조
KR200401924Y1 (ko) 건축물용 층간소음 저감패널
KR200378944Y1 (ko) 댐핑시트를 구비한 건축물 층간소음저감재
KR100705845B1 (ko) 건물의 이중 슬라브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