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942B1 - 계단식 적층 구조를 갖는 구부림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계단식 적층 구조를 갖는 구부림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942B1
KR102515942B1 KR1020170183789A KR20170183789A KR102515942B1 KR 102515942 B1 KR102515942 B1 KR 102515942B1 KR 1020170183789 A KR1020170183789 A KR 1020170183789A KR 20170183789 A KR20170183789 A KR 20170183789A KR 102515942 B1 KR102515942 B1 KR 102515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display panel
film
sides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1337A (ko
Inventor
박정범
손혜선
김민완
최석
최은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3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9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337A/ko
Priority to KR1020230039609A priority patent/KR20230047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Contain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계단식 적층 구조를 갖는 구부림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구부림 표시장치는, 지지 부재, 표시 패널, 편광 부재 및 커버 부재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지지 부재보다 작은 면적을 갖고 지지 부재 상에 위치한다. 편광 부재는, 표시 패널보다 작은 면적을 갖고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한다. 커버 부재는, 편광 부재보다 작은 면적을 갖고 편광 부재 상에 위치한다.

Description

계단식 적층 구조를 갖는 구부림 표시장치{Foldable Display Having Step Stack Structure}
본 발명의 계단식 적층 구조를 갖는 구부림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한쪽 면으로 휘어지거나 둥글게 구부리는 경우 휨 스트레스를 분산하여 결합 구조의 수명을 확보한 계단식 적층 구조를 갖는 구부림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에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장치(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등이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유기 박막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유기 박막의 특징인 유연성 및 탄성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표시장치 또는 구부림 표시장치로 응용할 수 있는 최적의 소재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Flexible AMOLED)는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이용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구부림 표시장치는 유연한 필름 부재 위에 다양한 기능을 하는 보조 필름들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서 구부림 표시장치를 구부리면, 구부리는 방향에 따라 내측면은 수축력을 크게 받고, 외측면은 인장력을 더 크게 받는다. 즉, 적층 구조에서 구부림 동작에 따라 각 필름들이 받는 스트레스의 정도와 방향이 서로 다르다. 그 결과, 접착층들에 의해 합착된 필름들이 박리되거나 가장자리 부분에서 파손 혹은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다수 개의 필름 구조가 적층되며, 구부림 동작에 따른 휨 스트레스를 분산하는 구부림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측 방향으로 구부리거나 둥글게 말았을 때, 테두리 영역에서 가중되는 휨 스트레스를 분산하는 구부림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구부림 표시장치는, 지지 부재, 표시 패널, 편광 부재 및 커버 부재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지지 부재보다 작은 면적을 갖고 지지 부재 상에 위치한다. 편광 부재는, 표시 패널보다 작은 면적을 갖고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한다. 커버 부재는, 편광 부재보다 작은 면적을 갖고 편광 부재 상에 위치한다.
일례로, 제1 변, 제1 벤딩 측변, 제2 벤딩 측변 및 구부림 단부를 더 포함한다. 제1 벤딩 측변은, 제1 변과 직교한다. 제2 벤딩 측변은, 제1 변과 직교하며, 제1 벤딩 측변과 평행하다. 구부림 단부는 제1 변과 평행하고, 제1 벤딩 측변 및 제2 벤딩 측변과 직교한다.
일례로, 지지 부재, 표시 패널, 편광 부재 및 커버 부재는, 각각의 일변은 제1 변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각각의 일 변 이외에 각각의 나머지 세 변은, 제1 벤딩 측변, 제2 벤딩 측변 및 구부림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내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일례로, 표시 패널의 나머지 세 변은, 지지 부재의 나머지 세 변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편광 부재의 나머지 세 변은, 표시 패널의 나머지 세 변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커버 부재의 나머지 세 변은, 편광 부재의 나머지 세 변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일례로, 제1 벤딩 측변과 제2 벤딩 측변을 가로지르는 구부림 축이 정의된다. 구부림 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때, 커버 부재의 상면이 마주보도록 구부러진다.
일례로, 구부림 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때, 표시 패널, 편광 부재, 커버 부재 및 지지 부재에서 구부림 단부에 대응하는 일측변들이 일치된다.
일례로, 제1 접착층, 제2 접착층 및 제3 접착층을 더 포함한다. 제1 접착층은, 표시 패널과 지지 부재 사이에 위치한다. 제2 접착층은, 편광 부재와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한다. 제3 접착층은, 커버 부재와 편광 부재 사이에 위치한다.
일례로, 제1 접착층의 면적은, 표시 패널의 면적과 동일하다. 제2 접착층의 면적은, 편광 부재의 면적과 동일하다. 제3 접착층의 면적은, 커버 부재의 면적과 동일하다.
일례로, 구부림 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때, 제1 접착층, 제2 접착층 및 제3 접착층에서 구부림 단부에 대응하는 일측변들이 일치된다.
일례로, 지지 부재, 표시 패널, 편광 부재 및 커버 부재의 제1 벤딩 측변 및 제2 벤딩 측변에 위치하는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례로, 밀봉 부재는, 연장되어 구부림 단부에 위치한다.
일례로, 지지 부재, 상기 표시 패널, 상기 편광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는, 적어도 세 변이 계단 형상을 갖고 하면부터 상면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계단 형상을 갖고 적층된 세 변의 측면에 밀봉 부재가 위치한다.
본 발명은, 다층 필름 소재들이 적층될 때, 하층에서 상층으로 갈수록 적층되는 필름들의 테두리가 순차적으로 내측으로 이격된 계단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은, 다층 필름 소재들을 적층하여 형성한 구부림 표시장치에서 구부림 동작에 의한 휨 스트레스가 테두리 영역에서 분산되어 필름 사이의 박리나, 테두리 부분에서의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층 필름 소재들이 적층된 구조에서 측변이 계단 형상을 가짐으로써, 측면 실재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측면 실재의 접착력이 향상된다. 그 결과, 합착된 각 필름들 사이에 합착력이 증가하며, 이물질 침투를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구부림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구부림 표시장치의 끝 단 부분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구부림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구부림 표시장치가 구부림 힘을 받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 ~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 ~ 상에', ' ~ 상부에', ' ~ 하부에', ' ~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위치할 수도 있다.
실시 예들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지만,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국한되지 않고, 무기발광 물질을 포함한 무기 발광 표시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주지하여야 한다.
전계발광장치는 발광층의 재료에 따라 무기 전계발광장치와 유기발광다이오드장치로 대별되며 스스로 발광하는 자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가진다.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전계에 의해 발광하는 유기 전계발광 화합물층과, 유기 전계발광 화합물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캐소드 전극(Cathode) 및 애노드 전극(Anode)을 포함한다. 유기 전계발광 화합물층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을 포함한다. OLED는 캐소드전극과 음극에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EML)에서 재결합할 때의 여기 과정에서 여기자(excition)가 형성되고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로 인하여 발광한다.
전계발광소자인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특징을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D)에는 패시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Pass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MOLED)와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Act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MOLED)로 대별된다. 또한, 빛이 방출되는 방향에 따라 상부 발광(Top-Emission) 방식과 하부 발광(Bottom-Emission) 방식 등이 있다.
이하,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구부림 표시장치의 구조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여기서는, 편의상 표시 패널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구부림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구부림 표시장치의 끝 단 부분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구부림 표시장치는, 배면 필름(또는 지지 부재)(BF), 표시 필름(FL), 편광 필름(POL) 및 커버 필름(CF)을 포함한다. 표시 필름(FL)은 표시 소자들이 형성되어 표시 기능을 갖는 필름층이다. 예를 들어, 표시 필름(FL)은 구동 소자와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필름(FL)의 하면에는 제1 접착층(PSA1)을 매개로 배면 필름(BF)이 합착되어 있다. 배면 필름(BF)은 표시 필름(FL)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표시 필름(또는 표시 패널)(FL) 상부면에는 제2 접착층(PSA2)을 매개로 하여 편광 필름(POL)이 합착되어 있다. 표시 필름(FL)에서 출광하는 빛을 관측하여 영상 정보를 관측할 때, 주변광이 반사되어 영상 정보를 정상적으로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편광 필름(POL)은 외부광의 반사율을 낮춤으로써, 표시 화면의 관측 시감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편광 필름(또는 편광 부재)(POL)의 상부 면에는 제3 접착층(PSA2)을 매개로 하여 커버 필름(CF)이 면 합착되어 있다. 커버 필름(CF)은 외부의 충격을 방지하고,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외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긁힘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구부림 표시장치는 한쪽 방향으로 구부린 곡면 표시장치이거나, 한쪽 방향으로 둥글게 말아서 보관하였다가 다시 펴서 표시장치로 사용하는 롤러블(rollable) 표시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구부림 표시장치는 중앙부에 구부림 축(Bending Axis)가 설정될 수 있다. 구부림 축(Bending Axis)이 지나가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두 변을 구부림 측변(Bending Side)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부림 측변은 제1 구부림 측변(BS1)과 제2 구부림 측변(BS2)를 포함한다. 제1 구부림 측변(BS1)과 제2 구부림 측변(BS2)은 서로 평행하다.
구부림 축(Bending Axis)을 따라 표시장치가 구부러질 때, 구부러져 올라가는 끝 변을 구부림 단부(BE)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구부림 표시장치가 구부러질 때 구부러지는 안쪽의 면을 내측 면(Innder Side)으로 바깥쪽 면을 외측면(Outer Side)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부림 표시장치는, 구부림 축(Bending Axis)를 중심으로 구부러질 때 가해지는 구부림 스트레스(Bending Stress)를 완화하기 위해 다음과 계단형 적층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배면 필름(BF)위에 적층되는 표시 필름(FL)은 배면 필름(BF)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 필름(BF)은 장방형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필름(FL)은 배면 필름(BF)보다 작은 크기의 장방형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필름(FL)은 배면 필름(BF)의 제1 변(FS)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되, 나머지 세 변은 배면 필름(BF)의 세 변으로부터 각각 일정 거리 이격하도록 배치된다.
표시 필름(FL) 위에는 표시 필름(FL)보다 작은 크기의 장방형 모양을 갖는 편광 필름(POL)이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편광 필름(POL)은 표시 필름(FL)의 제1 변(FS)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되, 나머지 세 변을 표시 필름(FL)의 세 변으로부터 각각 일정 거리 이격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표시 필름(FL)과 편광 필름(POL)이 서로 일치하는 제1 변(FS)은 배면 필름(BF)과 일치하는 제1 변(FS)과 동일하다.
편광 필름(POL) 위에는 편광 필름(POL)보다 작은 크기의 장방형 모양을 갖는 커버 필름(CF)이 배치된다. 역시, 커버 필름(CF)은 편광 필름(POL)의 제1 변(FS)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되, 나머지 세 변을 편광 필름(POL)의 세 변으로부터 각각 일정 거리 이격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편광 필름(POL)과 커버 필름(CF)이 서로 일치하는 제1 변(FS)은 표시 필름(FL) 및 배면 필름(BF)과 일치하는 제1 변(FS)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의한 구부림 표시장치는 제1 변(FS)에서는 그 구성 필름들이 일치하여 배치되고, 나머지 세 변에서는 순차적으로 크기가 줄어들어 계단 형상을 갖고 배치된다. 즉, 장방형을 이루는 구부림 표시장치는, 단면이 수직면을 이루는 제1 변(FS), 그리고 단면이 계단 형상을 이루는 두 개의 구부림 측변(BS1, BS2)과 하나의 구부림 단부(BE)를 포함한다.
두 개의 구부림 측변(BS1, BS2)과 하나의 구부림 단부(BE)에는 측면 실재(또는 밀봉 부재)(SS)를 도포하여 측변에서 이물질 침입과 박리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측면 실재(SS)는 탄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측면 실재(SS)는, 제1 및 제3 접착층(PSA1, PSA2, PSA3)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실재(SS)가 도포되는 면이 계단 형상을 갖는 경사진 면이다. 따라서, 측면 실재(SS)와 각 필름들이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측면 실재(SS)의 밀봉력 및 합착력을 향상할 수 있다. 그 결과, 측면에서 이물질이 필름들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구부림 표시장치의 평면도 상에서 구부림 스트레스(Bending Stress)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구부림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구부림 표시장치는, 제1 변(FS), 제1 구부림 측변(BS1), 제2 구부림 측변(BS2) 및 구부림 단부(BE)를 포함하는 네 개의 변으로 이루어진 장방형의 모양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구부림 표시장치는, 배면 필름(BF), 표시 필름(FL), 편광 필름(POL) 및 커버 필름(CF)을 포함한다. 배면 필름(BF), 표시 필름(FL), 편광 필름(POL) 및 커버 필름(CF)들은 제1 변(FS)에서는 일치하는 수직면에 적층되도록 배치된다. 제1 변(FS)에는 구동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변(FS)은 구부림 동작의 '고정축변'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배면 필름(BF), 표시 필름(FL), 편광 필름(POL) 및 커버 필름(CF)들은 제1 구부림 측변(BS1), 제2 구부림 측변(BS2) 및 구부림 단부(BE)에서는 계단 형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즉, 표시 필름(FL)은 제1 구부림 측변(BS1), 제2 구부림 측변(BS2) 및 구부림 단부(BE)에서 배면 필름(BF)보다 내측으로 배치된 세 변을 갖는다. 편광 필름(POL)은 제1 구부림 측변(BS1), 제2 구부림 측변(BS2) 및 구부림 단부(BE)에서 표시 필름(FL)보다 내측으로 배치된 세 변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커버 필름(CF)은 제1 구부림 측변(BS1), 제2 구부림 측변(BS2) 및 구부림 단부(BE)에서 편광 필름(POL)보다 내측으로 배치된 세 변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도 3의 원형으로 확대한 부분과 같이, 커버 필름(CF)의 테두리(100)는 가장 내측에 배치되고, 편광 필름(POL)의 테두리(200)는 커버 필름(CF)의 테두리(100) 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배면 필름(BF)의 테두리(400)는 가장 외측에 배치되고, 표시 필름(FL)의 테두리(300)는 배면 필름(BF)의 테두리(400)와 편광 필름(POL)의 테두리(200) 사이에 배치된다.
구부림 표시장치가 구부러질 때, 구부림 스트레스는 각 필름들의 내측 영역보다는 테두리에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제1 구부림 측변(BS1)에서 배면 필름(BF), 표시 필름(FL), 편광 필름(POL) 및 커버 필름(CF)들의 테두리들(400, 300, 200, 100)이 모두 동일한 선상에 적층되어 있을 경우, 각 필름들에서 발생하는 구부림 스트레스가 적층된 동일 선상에 가중된다. 이 가중된 스트레스로 인해 접착 구조가 쉽게 파손될 수 있다.
하지만, 도 3과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한 구부림 표시장치는 각 필름들의 테두리들(100, 200, 300, 400)은 서로 중첩하지 않고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다. 그 결과, 각 필름들에서 발생하는 구부림 스트레스가 분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배면 필름(BF)의 테두리(400)에서 발생하는 구부림 스트레스는, 표시 필름(FL)의 테두리(300)에서 발생하는 구부림 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편광 필름(POL)의 테두리(200)에서 발생하는 구부림 스트레스와 커버 필름(CF)의 테두리(100)에서 발생하는 구부림 스트레스들도 서로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구부림 표시장치가 구부림 축을 중심으로 구부러질 때 고정축에 해당하는 제1 변(FS)의 반대변인 구부림 단부(BE)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구부림 표시장치가 구부림 힘을 받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구부림 표시장치가 구부림 축(Bending Axis)을 중심으로 구부러지면, 구부림 단부(BE)에서는 적층된 필름들의 적층 위치에 따라 구부림 반경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커버 필름(CF)이 구부린 상태의 내측면(Inner Side)에 해당하고, 배면 필름(BF)이 구부린 상태의 외측면(Outer Side)에 해당하도록 구부림 방향이 정해질 수 있다. 이 경우, 내측면(Inner Side)에 해당하는 커버 필름(CF)의 구부림 반경이 가장 작다. 반면에 외측면(Outer Side)에 해당하는 배면 필름(BF)의 구부림 반경이 가장 크다.
이러한 구부림 반경의 차이로 인해 구부림 단부(BE)에서 계단 형상이 일자면 형상으로 변경되는 힘을 받는다. 따라서, 측면 실재(SS)가 탄성과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측면 실재(SS)가 탄성이 없는 물질로 이루어진 경우, 구부림 반경 차이로 인한 휨 스트레스로 인해 각 필름들 사이에 합착력이 파손될 수 있다. 탄성이 우수한 측면 실재(SS)로 인해, 구부림 동작에 따라 구부림 단부(BE)의 단면 형상은 계단 형상과 일자면 형상 사이에서 변동되면서 휨 스트레스를 흡수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구부림 표시장치는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각 필름들이 계단 형상을 갖도록 적층되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구부림 동작에 의한 휨 스트레스가 동일 테두리 상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계단 형상의 측변에 탄성이 우수한 측면 실재(SS)로 적층된 필름들의 측면을 합착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구부림 동작에 의한 휨 스트레스를 측면 실재(SS)가 흡수함으로써 필름들 사이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BF: 배면 필름 FL: 표시 필름
POL: 편광 필름 CF: 커버 필름
PSA1: 제1 접착층 PSA2: 제2 접착층
PSA3: 제3 접착층 SS: 측면 실재
FS: 제1 변(고정축변) BS1: 제1 구부림 측변
BS2: 제2 구부림 측변 BE: 구부림 단부
100: 커버 필름의 테두리 200: 편광 필름의 테두리
300: 표시 필름의 테두리 400: 배면 필름의 테두리

Claims (13)

  1.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보다 작은 평면상 면적을 갖고 상기 지지 부재 상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보다 작은 평면상 면적을 갖고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편광 부재; 및
    상기 편광 부재보다 작은 평면상 면적을 갖고 상기 편광 부재 상에 위치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구부림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변;
    상기 제1 변과 직교하는 제1 벤딩 측변;
    상기 제1 변과 직교하며 상기 제1 벤딩 측변과 평행한 제2 벤딩 측변; 그리고
    상기 제1 변과 평행하게 대향하고 상기 제1 벤딩 측변 및 상기 제2 벤딩 측변과 직교하는 구부림 단부를 더 포함하는 구부림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상기 표시 패널, 상기 편광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는,
    각각의 일 변은 상기 제1 변과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일 변 이외에 각각의 나머지 세 변은, 상기 제1 벤딩 측변, 상기 제2 벤딩 측변 및 상기 구부림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내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구부림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나머지 세 변은,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나머지 세 변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편광 부재의 상기 나머지 세 변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나머지 세 변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나머지 세 변은, 상기 편광 부재의 상기 나머지 세 변보다 내측에 배치된 구부림 표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 측변과 상기 제2 벤딩 측변을 가로지르는 구부림 축이 정의되고;
    상기 구부림 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때, 상기 커버 부재의 상면이 마주보도록 구부러지는 구부림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림 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때, 상기 표시 패널, 상기 편광 부재, 상기 커버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서 상기 구부림 단부에 대응하는 일측변들이 일치되는 구부림 표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접착층;
    상기 편광 부재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접착층;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편광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구부림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의 평면상 면적은, 상기 표시 패널의 평면상 면적과 동일하고,
    상기 제2 접착층의 평면상 면적은, 상기 편광 부재의 평면상 면적과 동일하며,
    상기 제3 접착층의 평면상 면적은, 상기 커버 부재의 평면상 면적과 동일한 구부림 표시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림 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때, 상기 제1 접착층, 상기 제2 접착층 및 상기 제3 접착층에서 상기 구부림 단부에 대응하는 일측변들이 일치되는 구부림 표시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상기 표시 패널, 상기 편광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1 벤딩 측변 및 상기 제2 벤딩 측변에 위치하는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하는 구부림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연장되어 상기 구부림 단부에 위치하는 구부림 표시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상기 표시 패널, 상기 편광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는,
    적어도 세 변이 계단 형상으로 하면부터 상면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계단 형상을 갖고 적층된 상기 세 변의 측면에 밀봉 부재가 위치하는 구부림 표시장치.
  13.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 상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측면은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보다 돌출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은 상기 커버 부재의 측면보다 돌출되는 구부림 표시장치.
KR1020170183789A 2017-12-29 2017-12-29 계단식 적층 구조를 갖는 구부림 표시장치 KR102515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789A KR102515942B1 (ko) 2017-12-29 2017-12-29 계단식 적층 구조를 갖는 구부림 표시장치
KR1020230039609A KR20230047979A (ko) 2017-12-29 2023-03-27 계단식 적층 구조를 갖는 구부림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789A KR102515942B1 (ko) 2017-12-29 2017-12-29 계단식 적층 구조를 갖는 구부림 표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9609A Division KR20230047979A (ko) 2017-12-29 2023-03-27 계단식 적층 구조를 갖는 구부림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337A KR20190081337A (ko) 2019-07-09
KR102515942B1 true KR102515942B1 (ko) 2023-03-31

Family

ID=672612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789A KR102515942B1 (ko) 2017-12-29 2017-12-29 계단식 적층 구조를 갖는 구부림 표시장치
KR1020230039609A KR20230047979A (ko) 2017-12-29 2023-03-27 계단식 적층 구조를 갖는 구부림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9609A KR20230047979A (ko) 2017-12-29 2023-03-27 계단식 적층 구조를 갖는 구부림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159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519A (ko) * 2019-08-08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11261046B (zh) * 2020-01-22 2021-08-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贴合方法以及贴合装置
CN111445799B (zh) * 2020-04-14 2022-05-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4482A1 (ja) 2016-03-07 2017-09-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封止構造及び発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5049A (ko) * 2010-12-10 2012-06-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23852A (ko) * 2013-04-15 2014-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칩 온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89011B1 (ko) * 2014-09-23 2020-1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표시장치
KR20170085420A (ko) * 2016-01-14 2017-07-24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비산방지필름이 합지된 슬림유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533171B1 (ko) * 2016-03-11 2023-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4482A1 (ja) 2016-03-07 2017-09-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封止構造及び発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979A (ko) 2023-04-10
KR20190081337A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7632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30047979A (ko) 계단식 적층 구조를 갖는 구부림 표시장치
JP5791673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及び有機発光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968562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9275561B2 (en) Optical adhesive film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387282B2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20120061486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20267660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20060125392A1 (en) Sealing member, self-emitting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lf-emitting panel
JP2004281085A (ja) フレキシブル有機elデバイスおよびフレキシブル有機elディスプレイ
US9205626B2 (en) Display device
KR102600186B1 (ko)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곡면 표시장치
JP2001100668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102573442B1 (ko) 공냉 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446338B1 (ko)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358393B1 (ko) 애드-온 방식으로 터치 패널을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70126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633413B1 (ko)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085321B1 (ko)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WO2014041616A1 (ja) 有機el装置
KR100619626B1 (ko) 평판 표시장치
KR102538503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220133828A (ko)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WO2014041615A1 (ja) 有機el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