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937B1 -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937B1
KR102515937B1 KR1020200112008A KR20200112008A KR102515937B1 KR 102515937 B1 KR102515937 B1 KR 102515937B1 KR 1020200112008 A KR1020200112008 A KR 1020200112008A KR 20200112008 A KR20200112008 A KR 20200112008A KR 102515937 B1 KR102515937 B1 KR 102515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i shielding
foam
resin compound
pellets
carbon nano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0529A (ko
Inventor
유종경
최광식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2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937B1/ko
Publication of KR20220030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03Foam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in sub-atmospheric pressure, in or on a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B29C44/3426Heating by introducing steam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42Mixing, kneading or conveying the foamable material
    • B29C44/3446Feeding the blowing agent
    • B29C44/3457Feeding the blowing agent in solid form to the plas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08J9/0071Nanosized fillers, i.e. having at least one dimension below 100 nanometers
    • C08J9/008Nano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22Hydrogen, oxygen, CO2, nitrogen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6Polystyr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4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solvents, e.g. supercritical solvents or ionic liq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 수지와 탄소나노튜브를 배합하여 탄소나노튜브 수지화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탄소나노튜브 수지화합물을 압출하여 펠렛을 생성하는 단계, 펠렛을 발포하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포 단계 및 발포된 펠렛을 증기성형하여 발포수지폼을 생성하는 단계를 통하여 생성되는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EMI 차폐용 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EMI 차폐용 폼 및 이의 제조 방법은 경량성을 유지하면서 EMI 차폐효과를 극대화 시키며, 성형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 및 이의 제조 방법{EMI shielding lightweight conductive foa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at}
본 발명은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기에 적용가능한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자동화 전자 시스템을 장착한 산업 및 제품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 시스템의 적용 안정화 및 발생 예상 문제들에 대한 대책을 연구하거나, 과련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전자 시스템을 적용하여 발생시킬 수 있는 가장 큰 문제는 전자 시스템 간의 간섭 또는 외부 전자기 간섭(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으로 인한 시스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현대사회의 자동 시스템 및 무선 기술은 오류로 인한 사고가 크게 발생할 우려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전자기 차폐 기술이 필요하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EMI 차폐기술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73610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EMI 차폐기술은 항공기에 적용시 경량성과 EMI 차폐성을 모두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73610호
본 발명은 종래의 EMI 차폐용 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EMI 차폐용 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발포 수지와 탄소나노튜브를 배합하여 탄소나노튜브 수지화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탄소나노튜브 수지화합물을 압출하여 펠렛을 생성하는 단계, 펠렛을 발포하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포 단계 및 발포된 펠렛을 증기성형하여 발포수지폼을 생성하는 단계를 통하여 생성되는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발포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스티렌(Polystyrene)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 수지화합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탄소나노튜브를 중량비 1 내지 10 wt%로 조성할 수 있다.
한편, 펠렛의 밀도는 900 내지 920 g/cc 이며,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포 단계는 펠렛을 발포하여 생성되는 비드는 밀도가 56 내지 70g/cc 일 수 있다.
발포수지폼을 생성하는 단계는 밀도를 60 내지 200g/cc 일 수 있다.
추가로, 발포 수지와 탄소나노튜브를 배합하여 탄소나노튜브 수지화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탄소나노튜브 수지화합물을 압출하여 펠렛을 생성하는 단계, 펠렛을 발포하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포 단계 및 발포된 펠렛을 증기성형하여 발포수지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EMI 차폐용 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EMI 차폐용 폼 및 이의 제조 방법은 경량성을 유지하면서 EMI 차폐효과를 극대화 시키며, 성형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탄소나노튜브와 발포 수지가 혼합된 수지 화합물 비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발포된 CNT 수지 화합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CNT 함량에 따른 CNT 수지 화합물 비드의 발포 배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이 나타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명칭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 수준에 비추어 보아, 당연히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로 인정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의 제조방법은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 수지화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수지화합물 펠렛을 생성하는 단계, 발포 단계 및 발포수지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 수지화합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원재료인 탄소 나노 튜브와 발포 수지를 고르게 분산시키면서 배합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탄소 나노 튜브는 전도성 첨가제 중에서 높은 전도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포수지는 발포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또는 발포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계열에서 하나 이상의 물질이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의 특성, 구체적으로 내구성, 난연, 방수, 화학 내성, 조색 등의 특성을 갖도록 다른 첨가제가 추가될 수 있다.
한편, 탄소나노튜브는 낮은 함량으로도 높은 전도성을 구현할 수 있으나, 반데르발스 힘으로 인하여 서로 응집하는 특성이 있어 탄소 나노튜브와 발포 수지를 배합할 때 조성비를 결정하여 배합 균일도 및 발포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소 나노튜브 수지화합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탄소 나노 튜브의 중량비를 1 내지 10 wt%로 결정하여 수지화합물을 배합하게 된다.
수지화합물 펠렛을 생성하는 단계는 탄소나노튜브와 발포 수지가 배합된 수지화합물을 압출하고 펠렛의 형태로 형성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도 2는 탄소나노튜브와 발포 수지가 혼합된 수지 화합물 비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압출하여 생성된 펠렛을 확인할 수 있다. 수지화합물 펠렛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펠렛은 900 내자 920 g/cc 로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발포 단계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포 공정으로 펠렛을 발포 비드(Bead)로 전환시키는 단계에 해당한다. 본 단계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포 공정은 용량을 5L, 펠렛의 투입량은 100g, 매질(물)의 투입량은 3L, 이산화탄소 가스의 압력은 80 Bar, 내부 온도는 140 ℃, 운용시간은 최고 온도 도달 이후 10분 유지하는 조건으로 수행될 수 잇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포 공정은 전술한 조건으로 수행한 후 용기 사출을 통하여 완료될 수 있다.
도 3은 발포된 CNT 수지 화합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포 단계를 통하여 발포된 비드를 확인할 수 있다. 발포 단계에서 발포된 비드는 56 내지 70 g/cc 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CNT 함량에 따른 CNT 수지 화합물 비드의 발포 배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일 예로서, 2, 5, 7, 9 wt%(오차범위 ±1 wt%) 의 중량비를 조성하여 발포 배율을 나타내었다. 분석결과 탄소나노튜브 수지화합물에서 탄소나노튜브의 중량비 1 내지 10 wt%에서 발포 전후의 체적은 13 내지 16 배로 나타났다.
발포수지폼을 생성하는 단계는 발포 비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발포수지폼의 일 예로서 도 5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이 나타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판형으로 발포수지폼을 형성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발포주시폼은 20 내지 300g/cc 의 밀도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포수지폼은 EMI 차폐의 기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물성 및 환경특성이 일정한 수준을 나타내는 60 내지 200g/cc의 밀도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전술한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의 전자기적 특성은 최종 밀도와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의 전자기적 특성이 높을수록 전자기파의 투과가 어렵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의 전자기적 특성은 최소 비유전율 실수부가 8 이상, 허수부 8 이상이 될 수 있다.
한편,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의 전자기파 투과 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200*200*20 mm³으로 제작하여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은 측정 주파수 범위 내에서 약 - 30 dB(0.1%) 이하로 확인되었으며, 두께를 증가시키는 경우 전자파 투과량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최종 형성된 발포 수지폼은 EMI 차폐가 필요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항공기의 패널상에 설치되어 내부의 전자기 장치를 외부의 EMI로부터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MI 차폐용 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EMI 차폐용 폼 및 이의 제조 방법은 경량성을 유지하면서 EMI 차폐효과를 극대화 시키며, 성형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100: 탄소나노튜브 수지화합물 생성 단계
S200: 펠렛 생성 단계
S300: 발포 단계
S400: 발포 수지 폼 형성 단계

Claims (6)

  1.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스티렌(Polystyre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발포 수지와 탄소나노튜브를 배합하여 탄소나노튜브 수지화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탄소나노튜브 수지화합물을 압출하여 밀도가 900 내지 920 g/cc 인 펠렛을 생성하는 단계;
    80 bar의 압력 및 내부온도 140 ℃ 도달 후 10분을 유지하는 조건에서 상기 펠렛을 발포하여 밀도가 56 내지 70g/cc 인 비드를 생성하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포 단계; 및
    상기 발포된 펠렛을 증기성형하여 밀도가 60 내지 200g/cc 인 발포수지폼을 생성하는 단계를 통하여 생성되며,
    상기 탄소나노튜브 수지화합물은 상기 탄소나노튜브간 반데르발스 힘으로 인한 응집하는 특성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배합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중량비가 1 내지 10 wt%로 배합되는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스티렌(Polystyre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발포 수지와 탄소나노튜브를 배합하여 탄소나노튜브 수지화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탄소나노튜브 수지화합물을 압출하여 밀도가 900 내지 920 g/cc 인 펠렛을 생성하는 단계;
    80 bar의 압력 및 내부온도 140 ℃ 도달 후 10분을 유지하는 조건에서 상기 펠렛을 발포하여 밀도가 56 내지 70g/cc 인 비드를 생성하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포 단계; 및
    상기 발포된 펠렛을 증기성형하여 밀도가 60 내지 200g/cc 인 발포수지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탄소나노튜브 수지화합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탄소나노튜브간 반데르발스 힘으로 인한 응집하는 특성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배합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탄소나노튜브 수지화합물에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중량비가 1 내지 10 wt%로 배합되는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의 제조방법.
KR1020200112008A 2020-09-03 2020-09-03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15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008A KR102515937B1 (ko) 2020-09-03 2020-09-03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008A KR102515937B1 (ko) 2020-09-03 2020-09-03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529A KR20220030529A (ko) 2022-03-11
KR102515937B1 true KR102515937B1 (ko) 2023-03-30

Family

ID=80814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008A KR102515937B1 (ko) 2020-09-03 2020-09-03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9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8959A (ja) * 2011-07-07 2013-01-31 Lifoam Industries Llc 発泡性ビーズの二次発泡を可能に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610A (ko) 2000-01-19 2001-08-01 리우, 치-치 이엠아이(emi)차폐막 제조 방법
KR101594494B1 (ko) * 2009-06-18 2016-02-16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복합탄소소재를 포함하는 전도성 발포수지조성물
KR102115751B1 (ko) * 2018-04-10 2020-05-27 (주)씨엔티솔루션 탄소나노튜브가 고르게 분산된 폼 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265547B1 (ko) * 2018-11-30 2021-06-16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반전도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방법 및 발포 성형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8959A (ja) * 2011-07-07 2013-01-31 Lifoam Industries Llc 発泡性ビーズの二次発泡を可能にする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acromol. Chem. Phys. Vol.216, p.1302-1312 (2015.05.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529A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iff et al. Effect of foaming temperature and rubber grades on properties of natural rubber foams
Gama et al. Insights in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biobased polyurethane/expanded graphite composite foams
JP5254103B2 (ja) カーボン含有改質ポリスチレン系樹脂発泡粒子とその製造方法、カーボン含有改質ポリスチレン系樹脂発泡成形体とその製造方法
Kuhnigk et al.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bead foams–A review
CN107226922B (zh) 发泡颗粒成型体
CN104387608A (zh) 一种自阻燃型改性三聚氰胺甲醛泡沫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05056653A1 (de) Partikelschaumstoffformteile aus expandierbaren, füllstoff enthaltenden polymergranulaten
JP2005507017A (ja) アスファルトが充填された高分子フォーム
US20230138169A1 (en) Graphene-modified polymeric foam and articles made thereof
EP2796489A1 (en) Polypropylene-based resin foamed particles having excellent flame retardancy and conductivity and polypropylene-based resin in-mold foamed molded product
CN104861302A (zh) 一种高阻燃聚丙烯发泡片材及其制备方法
KR101482749B1 (ko) 초임계 탈가교 반응으로부터 수득되는 폐가교 폴리올레핀수지를 이용한 발포 성형물 제조 방법 및 발포 성형물
Saiz‐Arroyo et al.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s of medium‐density polypropylene foams
KR102515937B1 (ko) Emi 차폐용 경량 전도성 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250392B (zh) 用于吸音材料的聚氨酯泡沫组合物
JP2016180089A (ja) スチレン系樹脂発泡性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発泡粒子、発泡成形体並びにその用途
Shahbazi et al. Fabricating bimodal microcellular structure in polystyrene/carbon nanotube/glass‐fiber hybrid nanocomposite foam by microwave‐assisted heating: a proof‐of‐concept study
MX2014008973A (es) Proceso para la produccion de espumas de pet y espumas de pet obtenidas por el proceso.
Muñoz‐Pascual et al. Effect on the Impact Properties of Adding Long‐Chain Branched Polypropylene in Polypropylene‐Polyolefin Elastomer Cellular Polymers Produced by Core‐Back Injection Molding
Bayat et al. Effect of coupling agent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rubber/silica composites foams
Lu et al. Effect of blowing agent concentration of ultra‐low density NBR/PVC composite foams on compressive behavior and energy‐absorption characteristics
KR20130071268A (ko) 단열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형성된 발포체
WO2004086563A8 (ja) ルーネベルグ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Uchio et al. Effect of viscoelastic properties of the base polymer on extrusion foaming with thermally expandable microcapsules
Wang et al. Radar cross sectio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stealth aircraft using the Weibull‐generalized gamma mixture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