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837B1 - 통신장치, 및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장치, 및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837B1
KR102515837B1 KR1020207035586A KR20207035586A KR102515837B1 KR 102515837 B1 KR102515837 B1 KR 102515837B1 KR 1020207035586 A KR1020207035586 A KR 1020207035586A KR 20207035586 A KR20207035586 A KR 20207035586A KR 102515837 B1 KR102515837 B1 KR 102515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figuration
gnb
understand
ful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1977A (ko
Inventor
테루아키 토에다
켄지 카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210021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16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an adaptation, e.g. in response to network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4Configuration by using pre-existing information, e.g. using templates or copying from other elements
    • H04L41/0843Configuration by using pre-existing information, e.g. using templates or copying from other elements based on generic templ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76Aspects of the degree of configuration automation
    • H04L41/0886Fully automatic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a plurality of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end-to-end dat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8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different R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04W36/087Reselecting an access point between radio units of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36/28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invol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수신한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이해할 수 없는 경우에, 또는, full configuration의 실행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full configuration의 생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다른 통신장치에 통지하는 통신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통신장치, 및 통신방법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현재,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있어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및 LTE-Advanced 시스템의 후계로서, NR(New Radio Access Technology) 시스템이라 불리는 새로운 무선통신시스템의 사양 책정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NR을 5G라 칭해도 좋다.
NR 시스템에서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아키텍처로서, 하나의 집약 노드(Central Unit: CU)로부터 복수의 분산 노드(Distributed Unit: DU)를 확장하는 구성을 이용하는 것이 상정되고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D-DU 기능 분리가 이루어져 있으며, 일 예로서, CU가 PDCP 이상의 레이어의 기능을 갖고, DU가 RLC 이하의 레이어의 기능을 갖는다. CU와 DU와의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F1 인터페이스로서 표준화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또, NR 시스템에서는,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듀얼 커넥티비티(DC)와 마찬가지로, LTE 시스템의 기지국과 NR 시스템의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분할하고, 이들의 기지국에 의해 데이터를 동시 송수신하는 EN-DC(E-UTRA-NR Dual Connectivity)의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 EN-DC는 MN(Master Node)과 SN(Secondary Node)에 의해 구성된다.
비특허문헌 1: 3GPP TS 38.473 V15.1.0(2018-03)
상술한 EN-DC의 일 예로서, LTE 시스템의 기지국(eNB)에서 MN을 구성하고, NR 시스템의 기지국(gNB)에서 SN을 구성하고, CU와 DU에 의해 gNB를 구성하는 EN-DC를 상정한다.
이 EN-DC에 있어서, 예를 들면, SN을 구성하는 gNB를 S-gNB로부터 T-gNB로 변경하는 SN 변경 수순이 실행된 경우, 변경처인 T-gNB를 구성하는 CU와 DU는 S-gNB에 의해 제공되는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수신한다. 이때, 수신한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T-gNB를 구성하는 CU와 DU가 이해할 수 없는 경우에는, CU와 DU는 full configuration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CU-DU 기능 분리가 이루어져 있으며, CU와 DU가 갖는 레이어의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 대해서, CU는 이해할 수 없지만 DU는 이해할 수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 경우는 CU와 DU의 이해의 불일치를 해소할 필요가 있는데, CU는 이해할 수 없지만 DU는 이해할 수 있는 경우에 CU와 DU의 이해의 불일치를 해소할 수법은 지금까지 규정되어 있지 않았다.
또, EN-DC에 있어서, MN이 full configuration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SN에도 full configuration을 실행시킬 필요가 있다. MN이 SN에 full configuration을 실행시키는 방법으로서는, MN이 SN에 full configuration의 실행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네트워크 노드 간의 X2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full configuration의 실행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SN을 구성하는 CU가 수신한 경우의 CU의 동작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규정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수신한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 대해, CU는 이해할 수 없지만 DU는 이해할 수 있는 경우의 CU와 DU의 이해의 불일치를 해소함과 동시에, full configuration의 실행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CU가 수신한 경우의 CU의 동작을 명확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의 기술에 의하면, 수신한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이해할 수 없는 경우에, 또는, full configuration의 실행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full configuration의 실행이 필요하다는 것을 다른 통신장치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가 제공된다.
개시의 기술에 의하면,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수신한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 대해, CU는 이해할 수 없지만 DU는 이해할 수 있는 경우의 CU와 DU의 이해의 불일치를 해소함과 동시에, full configuration의 실행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CU가 수신한 경우의 CU의 동작을 명확하게 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도 1은 CU-DU 기능 분리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EN-DC에 있어서의 SN 변경 수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a는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 대해, CU와 DU의 이해해야 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b는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 대해, CU와 DU가 이해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4가지의 조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핸드오버 수순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a는 과제를 해결하는 제1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b는 과제를 해결하는 제1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a는 과제를 해결하는 제2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b는 과제를 해결하는 제2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과제를 해결하는 제3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CU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DU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형태는,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에서는, 기존의 3GPP 규격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를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해당 용어로 나타내어지는 대상과 동일한 대상이 다른 용어로 불려도 좋다.
(CU-DU 기능 분리)
도 1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CU-DU 기능 분리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일 예로서, CU가 PDCP 이상의 레이어의 기능을 갖고, DU가 RLC 이하의 레이어의 기능을 갖는다.
(EN-DC에 있어서의 SN 변경 수순)
도 2는, EN-DC에 있어서 SN을 변경하기 위한 SN 변경 수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를 이용하여 과제에 대해 설명한다.
EN-DC의 일 예로서, LTE 시스템의 기지국(eNB)에서 MN을 구성하고, NR 시스템의 기지국(gNB)에서 SN을 구성하고, CU와 DU에 의해 gNB를 구성하는 EN-DC를 상정한다. 이 EN-DC에 있어서, SN을 구성하는 gNB를 S-gNB로부터 T-gNB로 변경하는 SN 변경 수순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SN 변경 수순에 있어서, S-gNB을 구성하는 CU 및 DU를 각각 S-gNB-CU, S-gNB-DU라 칭하고, TgNB를 구성하는 CU 및 DU를 각각 T-gNB-CU, T-gNB-DU라 칭한다.
도 2의 SN 변경 수순에 있어서, 설정 완료 configuration(설정)이 T-gNB, 즉 T-gNB-CU, T-gNB-DU에 통지된다.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는, T-gNB-CU가 이해해야 하는 부분(CU part)과, T-gNB-DU가 이해해야 하는 부분(DU part)이 포함된다. 도 3a는,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 대해, T-gNB-CU와 T-gNB-DU의 이해해야 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도이다. CU part의 일 예로서는, 상위 레이어(예를 들면, PDCP)의 설정에 관한 radioBearerConfig를 들 수 있다. DU part의 일 예로서는, 하위 레이어(예를 들면 RLC 이하)의 설정에 관한 CellGroupConfig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 완료 configuration 중, T-gNB-CU가 이해해야 하는 부분과 T-gNB-DU가 이해해야 하는 부분은 다르다. 따라서,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 대해, T-gNB-CU 및 T-gNB-DU가 이해할 수 있는지 여부는, 서로 독립적인 관계에 있다.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 대해, T-gNB-CU 및 T-gNB-DU가 이해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4가지의 조합을 도 3b에 도시한다.
도 3b에 있어서, Case 1은,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 대해, T-gNB-CU 및 T-gNB-DU의 양방이 이해할 수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Case 2는,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 대해, T-gNB-CU는 이해할 수 있지만, T-gNB-DU는 이해할 수 없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Case 3은,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 대해, T-gNB-CU는 이해할 수 없지만, T-gNB-DU는 이해할 수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Case 4는,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 대해, T-gNB-CU 및 T-gNB-DU의 양방이 이해할 수 없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4가지의 조합 중, Case 1과 Case 4의 경우에 대해서는, T-gNB-CU와 T-gNB-DU가 이해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없는지가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Case 2의 경우에는, T-gNB-CU 및 T-gNB-DU의 양방에 있어서, full configuration이 생성됨으로써, T-gNB-CU와 T-gNB-DU의 이해의 불일치가 해소된다. 구체적으로는,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 대해 이해할 수 없었던 T-gNB-DU는, full configuration을 생성하고, full configuration을 생성한 취지를 T-gNB-CU에 통지한다. full configuration를 생성한 취지의 통지를 T-gNB-DU로부터 수신한 T-gNB-CU는, full configuration을 생성한다. T-gNB-CU와 T-gNB-DU의 양방에서 full configuration이 생성됨으로써 T-gNB-CU와 T-gNB-DU 이해의 불일치가 해소된다.
그러나, Case 3의 경우에는, T-gNB-CU와 T-gNB-DU 이해의 불일치가 해소되는 수법은 규정되어 있지 않다는 과제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의 SN 변경 수순에 있어서,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이 포함되는 메시지(도 2에 있어서의 '2. SgNB Addition Request')를 수신한 T-gNB-CU는,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이해할 수 없다. T-gNB-CU는, T-gNB-DU에 대해,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이 포함되는 메시지(도 2에 있어서의 '3. UE context setup Request')를 송신한다. T-gNB-DU는,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full configuration은 생성하지 않는다. 그리고, T-gNB-DU는, T-gNB-CU에 대해, configuration의 차분인 delta-configuration을 포함하는 메시지(도 2에 있어서의 '4. UE context setup Response')를 송신한다.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이해할 수 없는 T-gNB-CU에 대해,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하는 delta-configuration이 송신되어 버리기 때문에, T-gNB-CU와 T-gNB-DU의 이해의 불일치는 해소되지 않고, SN 변경 수순은 실패한다(도 2에 있어서의 '5. SgNB Addition Reject').
(핸드오버 수순)
동일한 과제는, 핸드오버 수순을 이용해도 설명할 수 있다.
도 4는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핸드오버 수순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에는, S-gNB-CU 및 S-gNB-DU로 구성되는 S-gNB로부터, T-gNB-CU 및 T-gNB-DU로 구성되는 T-gNB로의 핸드오버 수순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핸드오버 수순에 있어서, 설정 완료의 'configuration(설정)'이 T-gNB에 통지된다. SN 변경 수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 대해, T-gNB-CU 및 T-gNB-DU가 이해할 수 있는지 여부의 조합은 4가지이다(도 3b 참조). 핸드오버 수순에 있어서도, 도 3b에 도시된 Case 3의 경우에는, T-gNB-CU와 T-gNB-DU의 이해의 불일치가 해소되는 수법은 규정되어 있지 않다는 과제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의 핸드오버 수순에 있어서,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이 포함되는 메시지(도 4에 있어서의 '1. Handover Request')를 수신한 T-gNB-CU는,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이해할 수 없다. T-gNB-CU는, T-gNB-DU에 대해,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이 포함되는 메시지(도 4에 있어서의 '2. UE context setup Request')를 송신한다. T-gNB-DU는,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full configuration은 생성하지 않는다. 그리고, T-gNB-DU는, T-gNB-CU에 대해, configuration의 차분인 delta-configuration을 포함하는 메시지(도 4에 있어서의 '3. UE context setup Response')를 송신한다.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이해할 수 없는 T-gNB-CU에 대해,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하는 delta-configuration이 송신되어 버리기 때문에, T-gNB-CU와 T-gNB-DU의 이해의 불일치는 해소되지 않고, 핸드오버 수순은 실패한다(도 4에 있어서의 '4. Handover Preparation Filure').
(full configuration의 실행을 요구하는 메시지)
또,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EN-DC에 있어서, MN이 full configuration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SN에도 full configuration을 실행시킬 필요가 있으며, 그 때문에, full configuration의 실행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MN으로부터 SN을 구성하는 CU로 송신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full configuration의 실행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의 CU의 동작에 대해서는 규정되어 있지 않다.
(제1 방법)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제1 방법으로서, 수신한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CU가 이해할 수 없는 경우에, 또는, full configuration의 실행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CU가 수신한 경우에, CU가 DU에 full configuration을 수행시키는 방법에 대해 도 5a, 도 5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a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의 S1에 있어서, CU(200)는, MN(100)으로부터,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포함하는 메시지는, 예를 들면, 도 2의 SN 변경 수순에 있어서의 '2. SgNB Addition Request', 또는, 도 4의 핸드오버 수순에 있어서의 '1. Handover Request'에 대응된다. 여기서,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 대해, CU(200)는 이해할 수 없지만 DU(300)는 이해할 수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S2에 있어서, CU(200)는,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되는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이해할 수 없다.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이해할 수 없었던 CU(200)는, S3에 있어서, DU(300)에 대해, full configuration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full configuration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는, 예를 들면, 도 2의 SN 변경 수순에 있어서의 '3. UE context setup Request', 또는, 도 4의 핸드오버 수순에 있어서의 '2. UE context setup Request'에 대응된다. UE context setup Request에는, full configuration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면, full configuration이 필요하다는 것을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F1 인터페이스의 정보 요소가 포함되어도 좋다. full configuration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한 DU(300)는, S4에 있어서, SCG full configuration을 생성한다. S5에 있어서, DU(300)는, CU(200)에 대해, full configuration을 생성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full configuration을 생성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는, 예를 들면, 도 2의 SN 변경 수순에 있어서의 '4. UE context setup Response', 도 4의 핸드오버 수순에 있어서의 '3. UE context setup Response'에 대응된다. full configuration을 생성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DU(300)로부터 수신한 CU(200)는, S6에 있어서, full configuration을 생성한다. 이상으로 인해, CU(200)와 DU(300)의 양방에 있어서 full configuration이 생성되고,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 대한 CU와 DU의 이해의 불일치가 해소된다.
다음으로, 도 5b에 대해 설명한다.
도 5b의 S11에 있어서, CU(200)는, MN(100)으로부터, full configuration의 실행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full configuration의 실행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CU(200)는, S3에 있어서, DU(300)에 대해, full configuration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5b의 S3부터 S6까지의 동작은 도 5a의 S3부터 S6까지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2 방법)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제2 방법으로서, 수신한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CU가 이해할 수 없는 경우에, 또는, full configuration의 실행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CU가 수신한 경우에, CU가,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제거하여 DU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도 6a, 도 6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a의 S1 및 S2는, 도 5a의 S1 및 S2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5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 대해, CU(200)는 이해할 수 없지만 DU(300)는 이해할 수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먼저, 도 6a에 대해 설명한다.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이해할 수 없었던 CU(200)는, S31에 있어서, DU(300)에 대해,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제거한 메시지를 송신한다.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제거한 메시지는, 예를 들면, 도 2의 SN 변경 수순에 있어서의 '3. UE context setup Request', 또는, 도 4의 핸드오버 수순에 있어서의 '2. UE context setup Request'에 대응된다.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제거한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CU(200)는, DU(300)에 대해, full configuration이 필요하다는 취지를 묵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이 제거된 메시지를 수신한 DU(300)는, S4에 있어서, full configuration을 생성한다. S5에 있어서, DU(300)는, CU(200)에 대해, full configuration을 생성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full configuration을 생성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는, 예를 들면, 도 2의 SN 변경 수순에 있어서의 '4. UE context setup Response', 또는, 도 4의 핸드오버 수순에 있어서의 '3. UE context setup Response'에 대응된다. full configuration을 생성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DU(300)로부터 수신한 CU(200)는, S6에 있어서, full configuration을 생성한다. 이상으로 인해, CU(200)와 DU(300)의 양방에 있어서 full configuration이 생성되고,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 대한 CU와 DU의 이해의 불일치가 해소된다.
다음으로, 도 6b에 대해 설명한다.
도 6b의 S11에 있어서, CU(200)는, MN(100)으로부터, full configuration의 실행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full configuration의 실행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CU(200)는, S31에 있어서, DU(300)에 대해,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제거한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6b의 S31부터 S6까지의 동작은 도 6a의 S31부터 S6까지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3 방법)
제3 방법에 대해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 방법 및 제2 방법에 있어서는, CU(200)는, DU(300)에 대해, full configuration이 필요한 취지를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통지했다.
제3 방법에 있어서는,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이해할 수 없었던 CU(200)는,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의 송신원(元; source) 노드에 대해,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이해할 수 없는 취지를 통지한다. 송신원 노드는, 예를 들면, 도 2의 SN 변경 수순에 있어서의 MN, 도 4의 핸드오버 수순에 있어서의 S-gNB-CU이다.
도 7의 S1 및 S2는, 도 5a, 도 6a의 S1 및 S2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5a, 도 6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 대해, CU(200)는 이해할 수 없지만 DU(300)는 이해할 수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이해할 수 없었던 CU(200)는, S32에 있어서,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의 송신원 노드에 대해, CU(200)가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이해할 수 없었던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송신원 노드는, 도 7의 예에서는, MN(100)이다. CU(200)가 설정 완료 configuration를 이해할 수 없었던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한 MN(100)은, S33에 있어서,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이 제거된 메시지를 CU(200)에 대해 송신한다.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이 제거된 메시지는, 예를 들면,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이 제거된 SgNB Addition Request이다.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이 제거된 메시지를 수신한 CU(200)는, S34에 있어서,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이 제거된 메시지를 DU(300)에 대해 송신한다.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이 제거된 메시지를 수신한 DU(300)는, S4에 있어서, full configuration을 생성한다. S5에 있어서, DU(300)는, CU(200)에 대해, full configuration를 생성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full configuration을 생성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DU(300)로부터 수신한 CU(200)는, S6에 있어서, full configuration을 생성한다. 이상으로 인해, CU(200)와 DU(300)의 양방에 있어서 full configuration이 생성되고,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 대한 CU와 DU의 이해의 불일치가 해소된다.
(그 외의 방법)
상기 제3 방법에 있어서, MN(100)은, S33에 있어서,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이 제거된 메시지를 CU(200)에 대해 송신하는 대신에,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이 제거된 메시지를 직접 DU(300)에 대해 송신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MN(100)과 DU(300)와의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CU-DU 사이에서 full configuration과 delta configuration의 혼재를 허용하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 대한 CU와 DU의 이해의 불일치 자체가 과제가 되지 않게 된다.
(장치 구성)
〈CU(200)〉
도 8은, CU(200)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U(200)는, FH 통신부(201)와, CN 통신부(202)와, 통신 제어부(203)를 갖는다. 또, FH 통신부(201)와, CN 통신부(202)를 포함하는 구성은 통신부(204)라 칭한다. 도 8에 도시하는 기능 구성은 일 예로 불과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기능 구분 및 기능부의 명칭은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FH 통신부(201)는, DU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한다. CN 통신부(202)는, 코어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제어부(203)는,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1 방법, 제2 방법, 제3 방법에 따른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203)의 기능이 통신부(204)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CU는, 제1 통신장치(예: CU)와 제2 통신장치(예: DU)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통신장치로서 사용되는 통신장치이다. 예를 들면, 통신 제어부(203)는, 수신한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이해할 수 없었던 경우에: (1) DU(300)에 대해, full configuration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2) DU(300)에 대해,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제거한 UE context setup Request를 송신한다; 또는 (3)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의 송신원 노드에 대해, 설정 완료 configuration를 이해할 수 없었던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 통신 제어부(203)는, full configuration의 실행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1) DU(300)에 대해, full configuration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는 (2) DU(300)에 대해,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제거한 UE context setup Request를 송신한다.
〈DU(300)〉
도 9는, DU(300)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U(300)는, 무선 통신부(301)와, FH(프론트홀) 통신부(302)와, 통신 제어부(303)를 갖는다. 또, 무선 통신부(301)와, FH 통신부(302)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신부(304)라 칭한다. 도 8에 도시하는 기능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기능 구분 및 기능부의 명칭은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무선 통신부(301)는, 유저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FH 통신부(302)는, CU(20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제어부(303)는, CU(200)로부터, full configuration이 필요하다는 것을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UE context setup Request를 수신한 경우, full configuration을 실행하고, full configuration을 실행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CU(200)로 송신한다. 또, 통신 제어부(303)는, CU(200)로부터,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제거한 UE context setup Request를 수신한 경우도, full configuration을 실행하고, full configuration을 실행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CU(200)로 송신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303)의 기능이 통신부(304)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DU는, 통신장치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통신부(304)는, 다른 통신장치로부터, full configuration이 필요하다는 나타내는 UE context setup Request를 수신한 경우, full configuration을 실행하고, full configuration을 실행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다른 통신장치로 송신한다.
〈하드웨어 구성〉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블록도(도 8∼도 9)는,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기능 블록(구성부)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또, 각 기능 블록의 실현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기능 블록은,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복수 요소가 결합한 하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으며,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2개 이상의 장치를 직접적 및/또는 간접적(예를 들면,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접속하고, 이들 복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CU(200), DU(300)는 모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터로서 기능해도 좋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CU(200), DU(3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술한 CU(200), DU(300)는 각각, 물리적으로는,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스토리지(1003), 통신장치(1004), 입력장치(1005), 출력장치(1006), 버스(1007)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치'라는 문언은, 회로, 디바이스, 유닛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CU(200), DU(30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1001∼1006으로 도시되는 각 장치를 하나 또는 복수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으며, 일부의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되어도 좋다.
CU(200), DU(300))에 있어서의 각 기능은,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하드웨어 상에 소정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읽어들임으로써, 프로세서(1001)가 연산을 수행하고, 통신장치(1004)에 의한 통신, 메모리(1002) 및 스토리지(1003)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독출 및/또는 쓰기를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세서(1001)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동작시켜 컴퓨터 전체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001)는,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는,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데이터를, 스토리지(1003) 및/또는 통신장치(1004)로부터 메모리(1002)에 독출하고, 이들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그램으로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CU(200), DU(300)의 각각의 기능은, 메모리(10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01)에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상술한 각종 처리는, 하나의 프로세서(1001)에서 실행되는 취지를 설명했으나, 2개 이상의 프로세서(1001)에 의해 동시 또는 축차적으로 실행되어도 좋다. 프로세서(1001)는, 하나 이상의 칩으로 실장되어도 좋다. 또한, 프로그램은,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레지스터, 캐시, 메인 메모리(주기억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메모리(100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003)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c ROM) 등의 광 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플렉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디스크,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Blu-ray(등록 상표) 디스크), 스마트카드, 플래시 메모리(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스토리지(1003)는, 보조기억장치라 불려도 좋다. 상술한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1002) 및/또는 스토리지(1003)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매체여도 좋다.
통신장치(1004)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송수신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컨트롤러, 네트워크 카드, 통신 모듈 등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각 장치의 통신부는, 통신장치(1004)로 실현되어도 좋다.
입력장치(1005)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스위치, 버튼, 센서 등)이다. 출력장치(1006)는, 외부로의 출력을 실시하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 램프 등)이다. 또한, 입력장치(1005) 및 출력장치(1006)는, 일체로 된 구성(예를 들면, 터치패널)이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 및 메모리(1002) 등의 각 장치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버스(1007)로 접속된다. 버스(1007)는, 단일의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으며, 장치 간에 다른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CU(200), DU(300)는 각각,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고,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이들의 하드웨어의 적어도 하나로 실장되어도 좋다.
(실시형태의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해, 수신한 설정 완료 configuration을 이해할 수 없는 경우에, 또는, full configuration의 실행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full configuration의 실행이 필요하다는 것을 다른 통신장치(DU)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CU)가 제공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인해,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수신한 설정 완료 configuration에 대해, CU는 이해할 수 없지만 DU는 이해할 수 있는 경우에, CU와 DU의 이해의 불일치를 해소함과 동시에, full configuration의 실행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CU가 수신한 경우의 CU의 동작을 명확하게 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실시형태의 보충)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개시되는 발명은 그와 같은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지만,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불과하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의 항목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인 것이 아니며, 2 이상의 항목에 기재된 사항이 필요에 따라서 조합해서 사용되어도 좋으며, 어느 항목에 기재된 사항이, 다른 항목에 기재된 사항에(모순되지 않은 한) 적용되어도 좋다. 기능 블록도에 있어서의 기능부 또는 처리부의 경계는 반드시 물리적인 부품의 경계에 대응된다고는 할 수 없다. 복수의 기능부의 동작이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부품으로 수행되어도 좋으며, 혹은 하나의 기능부의 동작이 물리적으로는 복수의 부품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실시형태에서 서술한 처리 수순에 대해서는, 모순이 없는 한 처리의 순서를 바꿔도 좋다. 처리 설명의 편의 상, CU(200), DU(300)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지만,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각 장치가 갖는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ROM), EPROM, EEP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HDD), 리무버블 디스크, CD-ROM,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어떠한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도 좋다.
또, 정보의 통지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형태/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수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보의 통지는,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정보(MIB(Master Information Block), SIB(System Information Block)), 그 외의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또, RRC 시그널링은, RRC 메시지라 불려도 좋고, 예를 들면, RRC 접속 셋업(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 등이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SUPER 3G, IMT-Advanced, 4G, 5G, FRA(Future Radio Access), W-CDMA(등록 상표), GSM(등록 상표), CDMA2000,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UWB(Ultra-WideBand), Bluetooth(등록 상표), 그 외의 적절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또는 이들에 기초하여 확장된 차세대 시스템에 적용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의 처리 수순, 시퀀스, 흐름도 등은, 모순이 없는 한, 순서를 바꿔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에 대해서는, 예시적인 순서로 다양한 단계의 요소를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한 특정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지국(eNB)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도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지국(eNB)에 의해 수행된 특정 동작이 기지국(gNB)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기지국(eNB)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유저장치(UE)와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은, 기지국(eNB) 및/또는 기지국(eNB)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MME 또는 S-GW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에 있어서 기지국(eNB)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가 하나인 경우를 예시했으나, 복수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의 조합(예를 들면, MME 및 S-GW)이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으며,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으며, 실행에 따라 전환하여 이용해도 좋다.
유저장치(UE)는, 당업자에 따라,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와이어리스 유닛, 리모트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통신 디바이스, 리모트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와이어리스 단말, 리모트 단말, 핸드셋, 유저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eNB)은, 당업자에 따라, NB(NodeB),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판단(determining)', '결정(determining)'이라는 용어는, 다종다양한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판단', '결정'은, 예를 들면, 판정(judging), 계산(calculating), 산출(computing), 처리(processing), 도출(deriving), 조사(investigating), 탐색(looking up)(예를 들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탐색), 확인(ascertaining)한 것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판단', '결정'은, 수신(receiving)(예를 들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송신(transmitting)(예를 들면, 정보를 송신하는 것), 입력(input), 출력(output), 액세스(accessing)(예를 들면, 메모리 안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한 것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판단', '결정'은, 해결(resolving), 선택(selecting), 선정(choosing), 확립(establishing), 비교(comparing) 등을 한 것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판단', '결정'은, 어떠한 동작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각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에만 기초하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에만 기초하여'와 '에 적어도 기초하여'의 양방을 의미한다.
'포함하는(include)', 포함하고 있는(including)' 및 이들의 변형이, 본 명세서 혹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 이들 용어는, 용어 '구비하는(comprising)'과 마찬가지로, 포괄적인 것이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 혹은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 '또는(or)'은, 배타적 논리합이 아닌 것이 의도된다.
본 개시의 전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영어로의 a, an 및 the와 같이, 번역으로 인해 관사가 추가된 경우, 이들의 관사는, 문맥에서 명백하게 그렇지 않은 것이 나타내어져 있지 않으면,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안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 인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100 MN
200 CU
300 DU
201 FH 통신부
202 CN 통신부
203 통신 제어 장치
204 통신부
301 무선 통신부
302 FH 통신부
303 통신 제어부
304 통신부
1001 프로세서
1002 메모리
1003 스토리지
1004 통신장치
1005 입력장치
1006 출력장치

Claims (6)

  1. 세컨더리 셀의 변경 수순 시의, 소스 셀 그룹의 configuration을 포함하는 Secondary gNodeB(SgNB) Addition Request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소스 셀 그룹의 configuration을 포함하지 않는 user equipment(UE) context setup Request를 다른 통신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full configuration을 적용한 것을 나타내는 UE context setup RESPONSE message를 수신하는, 통신장치.
  2. 다른 통신장치로부터, 세컨더리 셀의 변경 수순 시의, 소스 셀 그룹의 configuration을 포함하지 않는 user equipment(UE) context setup Request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소스 셀 그룹의 configuration을 포함하지 않는 UE context setup Request를 수신한 경우에, full configuration을 적용하고, 상기 full configuration을 적용한 것을 나타내는 UE context setup RESPONSE message를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장치.
  3. 세컨더리 셀의 변경 수순 시의, 소스 셀 그룹의 configuration을 포함하는 Secondary gNodeB(SgNB) Addition Request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스 셀 그룹의 configuration을 포함하지 않는 user equipment(UE) context setup Request를 다른 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full configuration을 적용한 것을 나타내는 UE context setup RESPONSE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통신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7035586A 2018-06-21 2018-06-21 통신장치, 및 통신방법 KR102515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23709 WO2019244317A1 (ja) 2018-06-21 2018-06-21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977A KR20210021977A (ko) 2021-03-02
KR102515837B1 true KR102515837B1 (ko) 2023-03-30

Family

ID=6898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586A KR102515837B1 (ko) 2018-06-21 2018-06-21 통신장치, 및 통신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16081B2 (ko)
EP (1) EP3813433B1 (ko)
JP (1) JP7046177B2 (ko)
KR (1) KR102515837B1 (ko)
CN (1) CN112335286A (ko)
WO (1) WO20192443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4898A (en) * 2018-06-22 2019-12-25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WO2020166819A1 (en) * 2019-02-14 2020-08-20 Lg Electronics Inc. Fast cell setup for dual connectivity
WO2022082688A1 (zh) * 2020-10-22 2022-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2962A (ja) 2009-06-17 2011-01-06 Canon Inc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72683B1 (en) * 2012-06-06 2014-10-01 BlackBerry Limite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s
JP5859394B2 (ja) * 2012-07-20 2016-02-10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方法
JP6177845B2 (ja) * 2015-08-13 2017-08-09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管理装置及び接続方法
JP2018056857A (ja) * 2016-09-29 2018-04-05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コアネットワーク
TWI679869B (zh) * 2016-11-01 2019-12-1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在無線通訊系統中識別上行鏈路時序前移的方法與裝置
WO2019074429A1 (en) * 2017-10-09 2019-04-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ASTER NODE, SECONDARY NODE AND METHODS IMPLEMENTED THEREBY
CN109995553B (zh) * 2017-12-29 2022-03-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设备及其系统
WO2019160743A1 (en) * 2018-02-14 2019-08-22 Google Llc Full and delta configuration in a central unit-distributed unit architecture
US10856356B2 (en) * 2018-03-11 2020-12-01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a secondary node configur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2962A (ja) 2009-06-17 2011-01-06 Canon Inc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oogle, "Supporting EN-DC delta configuration in CU-DU architecture", 3GPP TSG-RAN WG3 #99bis, R3-182085, 2018.04.06*
Google, "TP for 38.401 in supporting full configuration", 3GPP TSG-RAN WG3 #99bis, R3-182340, 2018.04.25*
R3_180353
R3_1821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46177B2 (ja) 2022-04-01
US20210258218A1 (en) 2021-08-19
EP3813433A1 (en) 2021-04-28
JPWO2019244317A1 (ja) 2021-06-10
KR20210021977A (ko) 2021-03-02
US11516081B2 (en) 2022-11-29
WO2019244317A1 (ja) 2019-12-26
EP3813433B1 (en) 2024-05-15
CN112335286A (zh) 2021-02-05
EP3813433A4 (en)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6751B2 (ja) 端末及び基地局
KR102515837B1 (ko) 통신장치, 및 통신방법
EP3911022B1 (en) Network node, and user device
WO2018203417A1 (ja) 基地局装置、ユーザ装置及び通信方法
JP7203849B2 (ja) 端末及び測定方法
US20210298089A1 (en) User device and base station apparatus
KR102437582B1 (ko) 유저장치
JP2019036869A (ja) ユーザ装置及びアクセス制御方法
US10674564B2 (en) Base st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connection method
JP7049966B2 (ja) 通信制御装置
US11277787B2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O2022034676A1 (ja) 端末、位置登録方法、及び通信ネットワーク
US12075274B2 (en) User equipment and measurement method
JP2020194990A (ja) ノード群及びマイグレーション方法
WO2021024333A1 (ja) 端末及び通信方法
KR102411093B1 (ko) 유저장치
JP6611354B2 (ja) 通信制御装置
US20220124848A1 (en) User equipment
WO2021029076A1 (ja) 端末及び通信方法
JP2018029310A (ja) 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