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273B1 - 리드 탭용 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리드 탭용 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273B1
KR102515273B1 KR1020200145221A KR20200145221A KR102515273B1 KR 102515273 B1 KR102515273 B1 KR 102515273B1 KR 1020200145221 A KR1020200145221 A KR 1020200145221A KR 20200145221 A KR20200145221 A KR 20200145221A KR 102515273 B1 KR102515273 B1 KR 102515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polypropylene
lead tab
tert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9712A (ko
Inventor
안동일
차선오
김원헌
이충원
Original Assignee
(주)풍산디에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풍산디에이케이 filed Critical (주)풍산디에이케이
Priority to KR1020200145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273B1/ko
Priority to PCT/KR2021/015712 priority patent/WO2022098060A1/ko
Publication of KR20220059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8Wide strips, e.g. films, we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차적으로 랜덤 폴리프로필렌층(A층), 블록 폴리프로필렌층(B층) 및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으로 이루어지며, 공압출된 3중층의 제1필름; 및 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으로 이루어진 단층의 제2필름;을 열합지하여 제조된 리드 탭용 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드 탭용 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Lead tab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드 탭용 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차전지들 중에서도 특히 높은 에너지 밀도와 방전 전압을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전지는 전해액의 형태에 따라 리튬 이온 이차전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및 리튬 폴리머 전지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나아가, 외형에 따라서는 크게 원통형 이차전지, 각형 이차전지 및 파우치(pouch)형 이차전지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이 중에서, 모바일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맞추어 두께가 얇은 각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형태의 변형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원통형이나 각형 이차전지에 비하여 경량화 및 소형화에 유리하여 전지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전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대부분의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군으로부터 인출된 리드 탭(lead tab)을 가지며, 이 리드 탭과 외장재(파우치)는 리드 탭용 필름(또는 실링 필름, sealing film)을 통해 밀봉된다. 이와 같은 리드 탭용 필름은 3층 공압출(coextrusion) 방법을 통해 외층/중간층/내층의 구조를 가진 3중층 필름으로 제조되며, 이때 내층이 리드 탭과 접착되어 파우치가 밀봉된다.
한편, 용량이 향상된 고성능 이차전지를 제공하기 위해서 리드 탭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추세이며, 이를 완벽히 밀봉하기 위해서는 리드 탭과 접착되는 내층의 두께가 더욱 두꺼워져 하나, 이를 위해서는 기존 3층 공압출 설비를 변경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3층 공압출 설비의 변경 없이 내층의 두께를 더 두껍게 하면서도, 층간박리가 발생하지 않는 리드 탭용 3중층 필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대한 유사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9415호가 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9415호 (2020.03.1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3층 공압출 설비의 변경 없이 내층의 두께를 더 두껍게 하면서도, 층간박리가 발생하지 않는 리드 탭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드 탭용 필름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상기 목적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공압출된 3중층의 제1필름; 및 단층의 제2필름;을 열합지하여 제조된 리드 탭용 필름으로, 상기 제1필름은 순차적으로 랜덤 폴리프로필렌층(A층), 블록 폴리프로필렌층(B층) 및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필름은 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필름의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과 상기 제2필름의 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이 서로 맞닿도록 열합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탭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리드 탭용 필름은 랜덤 폴리프로필렌층(A층):블록 폴리프로필렌층(B층):터폴리프로필렌층(C1층+C2층)의 두께비가 1 : 1 내지 2 : 2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터폴리프로필렌층(C1층+C2층)은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의 두께비가 1 : 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블록 폴리프로필렌(B-PP) 및 제1터폴리프로필렌(ter-PP)을 공압출하여 순차적으로 랜덤 폴리프로필렌층(A층), 블록 폴리프로필렌층(B층) 및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으로 이루어진 3중층의 제1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필름과 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으로 이루어진 단층의 제2필름을 열합지하여 리드 탭용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필름의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과 상기 제2필름의 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이 서로 맞닿도록 열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탭용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다른 일 양태에 있어, 상기 리드 탭용 필름은 랜덤 폴리프로필렌층(A층):블록 폴리프로필렌층(B층):터폴리프로필렌층(C1층+C2층)의 두께비가 1 : 1 내지 2 : 2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다른 일 양태에 있어, 상기 터폴리프로필렌층(C1층+C2층)은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의 두께비가 1 : 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다른 일 양태에 있어, 상기 리드 탭용 필름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을 9 내지 21 N으로 제어하고, 상기 제2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을 3 내지 13 N으로 제어하여 열합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다른 일 양태에 있어, 상기 리드 탭용 필름의 제조 방법은 하기 관계식 1 또는 관계식 2를 만족하도록 각 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관계식 1]
8 ≤ T1 ≤ 11
[관계식 2]
3 ≤ T2 ≤ 11
(상기 관계식 1에서 T1은 제1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이 9 내지 18 N 미만으로 제어될 때 제2필름에 가해지는 장력(N)이며,
상기 관계식 2에서 T2는 제1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이 18 내지 21 N으로 제어될 때 제2필름에 가해지는 장력(N)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전술한 리드 탭용 필름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이때 이차전지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일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일 양태에 있어, 상기 리드 탭용 필름은 이차전지의 리드 탭과 열 접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탭용 필름은 공압출된 3중층의 제1필름과 단층의 제2필름을 열 합지하여 내층인 터폴리프로필렌층(C층, C1+C2)을 형성함에 따라, 기존 공압출 설비를 변경하지 않아도 내층의 두께를 원하는 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공압출 설비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음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동일한 재료인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과 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이 서로 맞닿도록 열합지되어 제조된 것임에 따라 열 합지 후에도 층간박리가 쉽게 발생하지 않아 리드 탭을 보다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리드 탭용 필름의 제조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탭용 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탭용 필름은 외층인 랜덤 폴리프로필렌층(A층), 중간층인 블록 폴리프로필렌층(B층) 및 내층인 터폴리프로필렌층(C층)으로 구성되며, 이때 내층이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과 접착되어 파우치를 밀봉시키는 층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리드 탭용 필름은 공압출된 3중층의 제1필름; 및 단층의 제2필름;을 열합지하여 제조된 리드 탭용 필름으로, 상기 제1필름은 순차적으로 랜덤 폴리프로필렌층(A층), 블록 폴리프로필렌층(B층) 및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필름은 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필름의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과 상기 제2필름의 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이 서로 맞닿도록 열합지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탭용 필름은 공압출된 3중층의 제1필름과 단층의 제2필름을 열 합지하여 내층인 터폴리프로필렌층(C층, C1+C2)을 형성함에 따라, 기존 공압출 설비를 변경하지 않아도 내층의 두께를 원하는 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공압출 설비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음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동일한 재료인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과 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이 서로 맞닿도록 열합지되어 제조된 것임에 따라 열 합지 후에도 층간박리가 쉽게 발생하지 않아 리드 탭을 보다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리드 탭용 필름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외층인 랜덤 폴리프로필렌층(A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상기 랜덤 폴리프로필렌층은 프로필렌 단량체와 다른 올레핀 단량체의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층으로, 예를 들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층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장강도 향상 측면에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층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시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는 분자량 분포도(Mw/Mn)가 4.0~15.0인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보다 좋게는 4.5~9.0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는 용융지수(MI, 230℃, 2.16kg 하중)가 3 내지 10 g/10min인 것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용융지수(MI, 230℃, 2.16kg 하중)가 4 내지 7 g/10min인 것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중간층인 블록 폴리프로필렌층(B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상기 블록 폴리프로필렌층은 프로필렌 단량체와 다른 올레핀 단량체의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층으로, 예를 들면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1-부텐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층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장강도 향상 측면에서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층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시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는 분자량 분포도(Mw/Mn)가 4.0~8.0인 것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4.5~7.5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는 용융지수(MI, 230℃, 2.16kg 하중)가 1 내지 10 g/10min인 것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용융지수(MI, 230℃, 2.16kg 하중)가 1 내지 5 g/10min인 것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내층인 터폴리프로필렌층(C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터폴리프로필렌층(C층)은 상기 제1필름의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과 상기 제2필름의 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이 열합지 공정을 통해 하나로 합지된 층으로, 상기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과 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은 동일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시로, 상기 터폴리프로필렌층(C층)은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랜덤 삼중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층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일 예시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랜덤 삼중 공중합체는 분자량 분포도(Mw/Mn)가 2.0~9.5인 것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2.5~9.0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랜덤 삼중 공중합체는 용융지수(MI, 230℃, 2.16kg 하중)가 3 내지 10 g/10min인 것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용융지수(MI, 230℃, 2.16kg 하중)가 4 내지 7 g/10min인 것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량이 향상된 고성능 이차전지를 제공하기 위해서 리드 탭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추세이며, 이를 완벽히 밀봉하기 위해서는 리드 탭과 접착되는 내층의 두께가 더욱 두꺼워져 한다. 그러나, 3층 공압출만으로 내층의 두께를 보다 두껍게 하기 위해서는 기존 3층 공압출 설비를 변경해야함에 따라 과도한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 설비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내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거듭 연구한 끝에, 랜덤 폴리프로필렌층(A층), 블록 폴리프로필렌층(B층) 및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으로 이루어진 공압출된 3중층의 제1필름을 준비하고, 이 제1필름과 단층의 제2필름(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을 열합지 공정을 통해 합지시킴으로써 내층인 터폴리프로필렌층(C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서도 층간박리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 리드 탭용 필름을 개발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드 탭용 필름은 필름 총 두께가 80 내지 150 ㎛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90 내지 130 ㎛, 더욱 좋게는 95 내지 110 ㎛일 수 있다. 상기 두께 조건에서, 각 층의 두께비를 적절하게 제어하여 주는 것이 특히 중요한데, 필름 전체 두께 중 내층의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 리드 탭의 말단 영역과 리드 탭용 필름 간 빈틈의 면적이 넓어질 수 있어 좋지 않으며, 내층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질 경우 필름 자체의 인장강도 등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어 리드 탭을 충분히 보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예시로, 상기 리드 탭용 필름은 랜덤 폴리프로필렌층(A층):블록 폴리프로필렌층(B층):터폴리프로필렌층(C1층+C2층)의 두께비가 1 : 1 내지 2 : 2 내지 3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1 : 1.2 내지 1.8 : 2.2 내지 2.8, 가장 좋게는 1 : 1.4 내지 1.6 : 2.4 내지 2.6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내층의 두께가 충분히 두꺼워 기존 대비 보다 두꺼워진 리드 탭을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폴리프로필렌층(C1층+C2층)은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의 두께비가 1 : 1 내지 10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1 : 2 내지 8, 더욱 좋게는 1: 3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기존 설비 변경 없이 내층의 두께를 목표하는 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열합지 공정 시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과 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이 효과적으로 잘 합지되어 쉽게 층간박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드 탭용 필름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공압출된 3중층의 제1필름과 단층의 제2필름을 열합지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리드 탭용 필름의 제조 방법은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블록 폴리프로필렌(B-PP) 및 제1터폴리프로필렌(ter-PP)을 공압출하여 순차적으로 랜덤 폴리프로필렌층(A층), 블록 폴리프로필렌층(B층) 및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으로 이루어진 3중층의 제1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필름과 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으로 이루어진 단층의 제2필름을 열합지하여 리드 탭용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필름의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과 상기 제2필름의 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이 서로 맞닿도록 열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 공압출 설비를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원하는 두께를 가진, 즉 보다 두꺼워진 내층을 가진 리드 탭용 필름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블록 폴리프로필렌(B-PP) 및 제1터폴리프로필렌(ter-PP)을 공압출하여 순차적으로 랜덤 폴리프로필렌층(A층), 블록 폴리프로필렌층(B층) 및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으로 이루어진 3중층의 제1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각 층에 사용되는 고분자 소재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함에 따라 중복 설명은 생략하며, 이들의 공압출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필름과 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으로 이루어진 단층의 제2필름을 열합지하여 리드 탭용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수 있으며, 이때 제2필름은 터폴리프로필렌 소재를 단일 압출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부롤에 감겨있는 제1필름과 하부롤에 감겨있는 제2필름을 권출부에서 서로 적층시킨 후 가열부로 보내어 열 합지를 수행하고, 이를 냉각부에서 냉각, 권취부에서 권취시켜 리드 탭용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권출부에서 상부롤에 감겨있는 제1필름과 하부롤에 감겨있는 제2필름을 서로 적층시켜 가열부로 보낼 시 각 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주는 것이 우수한 품질을 가진 리드 탭용 필름을 제조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일 예시로, 상기 제1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을 9 내지 21 N으로 제어하고, 상기 제2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을 3 내지 13 N으로 제어하여 열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변색이 없고, 주름이 최소화되며, 두께가 거의 감소되지 않은 리드 탭용 필름을 제조할 수 있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리드 탭용 필름의 제조 방법은 하기 관계식 1 또는 관계식 2를 만족하도록 각 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
[관계식 1]
8 ≤ T1 ≤ 11
[관계식 2]
3 ≤ T2 ≤ 11
(상기 관계식 1에서 T1은 제1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이 9 내지 18 N 미만으로 제어될 때 제2필름에 가해지는 장력(N)이며,
상기 관계식 2에서 T2는 제1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이 18 내지 21 N으로 제어될 때 제2필름에 가해지는 장력(N)이다.)
즉, 제1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이 9 내지 18 N 미만으로 상대적으로 작을 때는 제2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을 8 내지 11 N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이 18 내지 21 N으로 상대적으로 높을 때는 제2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을 3 내지 11 N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가장 우수한 품질을 가진 리드 탭용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합지 공정 시 온도는 100 내지 150℃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105 내지 130℃, 가장 좋게는 110 내지 120℃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제1필름과 제2필름이 효과적으로 합지되어 쉽게 층간박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냉각부에서 열합지된 리드 탭용 필름이 냉각될 수 있으며, 냉각은 열합지된 리드 탭용 필름을 상온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끝으로, 냉각된 리드 탭용 필름을 권취부에서 다시 롤에 감을 수 있으며, 이때 리드 탭용 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은 20 내지 30 N일 수 있다. 리드 탭용 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이 20 N 미만일 시 롤에 리드 탭용 필름이 권취되지 않을 수 있으며, 리드 탭용 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이 30 N 초과일 시 캠버(camber) 현상이 심해질 수 있어 좋지 않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전술한 리드 탭용 필름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이때 이차전지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구성은 당업자라면 알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한 생략한다. 상기 리드 탭용 필름은 이차전지의 리드 탭과 열 접착되어 이차전지의 리드 탭 및 파우치를 완전히 밀봉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탭용 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은 첨가물의 단위는 중량%일 수 있다.
[실시예 1]
랜덤 폴리프로필렌(A, 롯데케미칼, sfc550), 블록 폴리프로필렌(B, 롯데케미칼, fc330) 및 제1터폴리프로필렌(C1, 롯데케미칼, bp402)을 순차적으로 145℃, 163℃, 145℃의 온도 조건에서 공압출하여 A/B/C1 3중층 구조의 제1필름(A/B/C1의 두께=20/30/10 ㎛)을 제조하였다.
제2터폴리프로필렌(C2, 롯데케미칼, bp402)을 압출하여 C2 단층의 제2필름(C2의 두께=40 ㎛)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롤에는 제1필름을, 하부롤에는 제2필름을 롤링한 후 상부롤의 제1필름에 가해지는 장력과 하부롤의 제2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어하여 열합지 공정을 수행하였으며, 이때 열 합지 온도는 115℃로 제어하였다. 이때, 하기 표 1의 세로는 상부롤의 제1필름에 가해지는 장력(0~22 N)이며, 가로는 하부롤의 제2필름에 가해지는 장력(0~14 N)이다.
이로부터 A/B/C 구조의 3중층 리드 탭용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각 층의 두께는 A/B/C = 20/30/50 ㎛이었다.
이후 제조된 필름의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두께 감소 및 주름 형성이 없는 경우 ◎, 2 ㎛ 이하의 두께 감소 또는 약한 주름이 형성된 경우 ○, 육안 상 명확한 주름이 형성된 경우 △, 2 ㎛ 초과로 두께가 감소한 경우 ▲, 변색이 발생한 경우 ◆로 평가하였다.
[표 1]
Figure 112020117185627-pat00001
상기 표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수한 품질을 가진 3중층 리드 탭용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열 합지 시 각 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제1필름(A/B/C1의 두께=20/30/10 ㎛)과 제2필름(C2의 두께=40 ㎛)을 열 합지하여 A/B/C = 20/30/50 ㎛인 3중층 리드 탭용 필름을 제조할 시, 상부롤의 제1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이 9 내지 17 N일 경우 하부롤의 제2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을 8 내지 11로 제어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품질의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 아울러, 상부롤의 제1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이 18 내지 21 N으로 다소 커진 경우에는 하부롤의 제2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을 3 내지 11 N으로 제어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품질의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상부롤 120: 하부롤
200: 권출부 300: 가열부
400: 냉각부 500: 권취부

Claims (10)

  1. 공압출된 3중층의 제1필름; 및 단층의 제2필름;을 열합지하여 제조된 리드 탭용 필름으로,
    상기 제1필름은 순차적으로 랜덤 폴리프로필렌층(A층), 블록 폴리프로필렌층(B층) 및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필름은 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드 탭용 필름은 랜덤 폴리프로필렌층(A층):블록 폴리프로필렌층(B층):터폴리프로필렌층(C1층+C2층)의 두께비가 1 : 1 내지 2 : 2 내지 3이고,
    상기 터폴리프로필렌층(C1층+C2층)은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의 두께비가 1 : 1 내지 10이며,
    상기 제1필름의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과 상기 제2필름의 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이 서로 맞닿도록 열합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탭용 필름.
  2. 삭제
  3. 삭제
  4.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블록 폴리프로필렌(B-PP) 및 제1터폴리프로필렌(ter-PP)을 공압출하여 순차적으로 랜덤 폴리프로필렌층(A층), 블록 폴리프로필렌층(B층) 및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으로 이루어진 3중층의 제1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필름과 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으로 이루어진 단층의 제2필름을 열합지하여 리드 탭용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리드 탭용 필름은 랜덤 폴리프로필렌층(A층):블록 폴리프로필렌층(B층):터폴리프로필렌층(C1층+C2층)의 두께비가 1 : 1 내지 2 : 2 내지 3이고,
    상기 터폴리프로필렌층(C1층+C2층)은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의 두께비가 1 : 1 내지 10이며,
    상기 제1필름의 제1터폴리프로필렌층(C1층)과 상기 제2필름의 제2터폴리프로필렌층(C2층)이 서로 맞닿도록 열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탭용 필름의 제조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탭용 필름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을 9 내지 21 N으로 제어하고, 상기 제2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을 3 내지 13 N으로 제어하여 열합지하는 것인, 리드 탭용 필름의 제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탭용 필름의 제조 방법은 하기 관계식 1 또는 관계식 2를 만족하도록 각 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을 제어하는 것인, 리드 탭용 필름의 제조 방법.
    [관계식 1]
    8 ≤ T1 ≤ 11
    [관계식 2]
    3 ≤ T2 ≤ 11
    (상기 관계식 1에서 T1은 제1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이 9 내지 18 N 미만으로 제어될 때 제2필름에 가해지는 장력(N)이며,
    상기 관계식 2에서 T2는 제1필름에 가해지는 장력이 18 내지 21 N으로 제어될 때 제2필름에 가해지는 장력(N)이다.)
  9. 제 1항의 리드 탭용 필름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탭용 필름은 이차전지의 리드 탭과 열 접착된 것인, 이차전지.
KR1020200145221A 2020-11-03 2020-11-03 리드 탭용 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515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221A KR102515273B1 (ko) 2020-11-03 2020-11-03 리드 탭용 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PCT/KR2021/015712 WO2022098060A1 (ko) 2020-11-03 2021-11-02 리드 탭용 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221A KR102515273B1 (ko) 2020-11-03 2020-11-03 리드 탭용 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712A KR20220059712A (ko) 2022-05-10
KR102515273B1 true KR102515273B1 (ko) 2023-03-29

Family

ID=8145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221A KR102515273B1 (ko) 2020-11-03 2020-11-03 리드 탭용 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5273B1 (ko)
WO (1) WO202209806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547B1 (ko) * 2013-12-05 2015-04-14 주식회사 신화아이티 이차전지 리드탭의 필름 열융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481B1 (ko) * 2016-01-25 2018-01-30 주식회사 폴 이차전지의 리드탭용 실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97667B1 (ko) * 2016-01-25 2018-09-12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이차전지 파우치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894449B1 (ko) * 2016-12-01 2018-09-03 율촌화학 주식회사 셀 파우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7296884B2 (ja) * 2017-10-17 2023-06-23 大倉工業株式会社 タブリード用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タブリード
KR102089415B1 (ko) 2018-07-24 2020-03-17 율촌화학 주식회사 이차 전지 리드탭용 실링 필름
KR102142600B1 (ko) * 2020-02-28 2020-08-07 노대수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547B1 (ko) * 2013-12-05 2015-04-14 주식회사 신화아이티 이차전지 리드탭의 필름 열융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712A (ko) 2022-05-10
WO2022098060A1 (ko)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4711B2 (ja)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蓄電デバイス用セパレータフィルム、および蓄電デバイス
US7041380B2 (en) Packaging material for battery
KR101378176B1 (ko) 편평형 전기화학 셀용 포장 재료
KR100554637B1 (ko) 다중층 전지 격리판
KR102603804B1 (ko) 개선된 마이크로층 멤브레인, 개선된 배터리 세퍼레이터 및 이와 관련된 방법
JP5532841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包装材
JP3011309B2 (ja) 電池用セパレ−タ及びその製法
WO2016204274A1 (ja)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蓄電デバイス用セパレータフィルム、および蓄電デバイス
JPWO2012020721A1 (ja) 端子接着用テープの製造方法、および端子接着用テープ
KR20200017133A (ko) 중대형 이차전지용 알루미늄 파우치 필름 제조방법
JP2012014915A (ja) 薄型リチウム二次電池
JP5254663B2 (ja) 電池ケース用包材の製造方法
KR102515273B1 (ko) 리드 탭용 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US20230318154A1 (en) Terminal resin film and power storage device using same
KR101910222B1 (ko) 이차 전지용 고내열성 다층 분리막
KR102645030B1 (ko) 이차전지 리드탭용 필름
CN110936681A (zh) 堆叠膜层
JP2002245981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包装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14481B1 (ko) 이차전지의 리드탭용 실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20204A (ko)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5361363B2 (ja) 積層微多孔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79020A (ko) 이차전지 패키지용 라미네이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이차전지
KR20190094728A (ko) 이차전지용 다층복합분리막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15279B1 (ko) 리드 탭용 다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537683B1 (ko) 복수개의 금속층을 갖는 셀 타입 전지 파우치용 적층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