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600B1 -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2600B1 KR102142600B1 KR1020200025245A KR20200025245A KR102142600B1 KR 102142600 B1 KR102142600 B1 KR 102142600B1 KR 1020200025245 A KR1020200025245 A KR 1020200025245A KR 20200025245 A KR20200025245 A KR 20200025245A KR 102142600 B1 KR102142600 B1 KR 1021426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laminate
- metal layer
- battery cell
- temperatur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8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9820 dry l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2987 primer (paint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9823 thermal l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840 adhesive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6223 adhesive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KRHYYFGTRYWZRS-UHFFFAOYSA-N Fluorane Chemical compound F KRHYYFGTRYWZR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51 corona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56 gravure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040 hydrogen flu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2 plasma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799 BoPET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34 composite fa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84 nylon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85 thermal hair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1M2/0287—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metho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H01M2/0275—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0—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와 수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금속층; 상기 금속층의 외면에 부착되고, 접착력을 갖는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금속층의 표면을 보호하도록 그 외면에 결합되는 보호층; 상기 금속층의 내면에 부착되고, 접착력을 갖는 제2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금속층에 부착되고, 배터리 셀과 접하여 실링재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는 기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과 상기 제2 접착층 및 상기 기재층 간의 결합은, 상기 금속층과 상기 제2 접착층 및 상기 기재층이 적층된 적층물에 대한 드라이 라미네이팅 후에,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 보다 높은 온도 조건에서 써멀 라미네이팅이 수행되어 이루어진 것인,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 예컨대 리튬이온전지는 충전에 의해 재사용할 수 있는 전지이다. 이는 수명이 길고 가벼우며 대용량화가 가능하여, PC나 노트북, 스마트폰, 비디오카메라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뿐 아니라, 전기자동차, 로봇, 위성 등과 같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이용된다.
이차전지는 양극과 음극,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로 이루어진 배터리 셀이 외장재 즉, 셀 파우치에 의해 포장된다. 셀 파우치는 다층필름을 이용하여 제작되며, 그에는 포밍 금형(forming die)을 이용하여 배터리 셀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 배터리 셀을 삽입 후 배터리 셀의 노출 부위를 덮은 다음 가장자리를 열 접착으로 밀폐하는 포밍 작업을 통해 배터리 셀을 포장을 하게 된다. 2차 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높임으로써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셀 파우치의 포밍 깊이를 높이려는 시도가 있다.
그런데, 상기 셀 파우치는 밀봉성 및 유연성을 가진 반면 숙성 기간(Aging)이 긴만큼 생산성이 낮고, 배터리 셀의 형상 및 깊이에 대응하여 포밍하는 과정에서 흰색으로 변색이 될 뿐만 아니라 모서리 부분이 터질 우려가 있다. 또한, 장시간 동안 사용되는 과정에서 온도 상승에 따른 내구성이 저하되는데다가, 층간 접착력이 약하여 층들이 서로 박리되면 셀 파우치 내부로 수분 침투율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물리, 화학적 충격에도 쉽게 손상되지 않을 내구성을 확보하게 하고, 층간 접착력을 향상시켜 배터리 셀의 품질을 높이고 수명을 증대하며, 또한 높은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의 제조방법은, (a) 금속층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금속층의 외면에 제1 접착층을 매개로 보호층을 얹어 제1 적층물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적층물을 라미네이팅하여 상기 금속층에 상기 보호층이 접착된 제1 복합물을 제작하는 단계; 및 (c) 상기 금속층의 내면에 제2 접착층을 매개로 배터리 셀과 접하게 되는 기재층을 얹어 제2 적층물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적층물을 라미네이팅하여 상기 제1 복합물에 상기 기재층이 접착된 제2 복합물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2 적층물을 드라이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및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을 거친 상기 제2 적층물을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 보다 높은 온도 조건에서 써멀 라미네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적층물을 드라이 라미네이팅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적층물이 온도가 30 내지 90℃인 한 쌍의 드라이 롤에 의해 압착됨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을 거친 상기 제2 적층물을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 보다 높은 온도 조건에서 써멀 라미네이팅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적층물이 온도가 110 내지 250℃인 한 쌍의 써멀 롤에 의해 압착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써멀 라미네이팅을 거친 상기 제2 적층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적층물을 냉각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적층물이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 한 쌍의 냉각 롤 사이를 통과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2 적층물에 대한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시의 온도와 같거나 그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기 제1 적층물을 드라이 라미네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 단계 및 상기 (c)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복합물 또는 상기 제2 복합물을 30 내지 70℃ 온도 조건에서 1 내지 3일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2 적층물이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 및 상기 써멀 라미네이팅을 위해 이동하는 속도는 30 내지 100 m/min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은, 가스와 수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금속층; 상기 금속층의 외면에 부착되고, 접착력을 갖는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금속층의 표면을 보호하도록 그 외면에 결합되는 보호층; 상기 금속층의 내면에 부착되고, 접착력을 갖는 제2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금속층에 부착되고, 배터리 셀과 접하여 실링재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는 기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과 상기 제2 접착층 및 상기 기재층 간의 결합은, 상기 금속층과 상기 제2 접착층 및 상기 기재층이 적층된 적층물에 대한 드라이 라미네이팅 후에,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 보다 높은 온도 조건에서 써멀 라미네이팅이 수행되어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은, 상기 적층물이 온도가 30 내지 90℃인 한 쌍의 드라이 롤에 의해 압착됨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써멀 라미네이팅은, 상기 적층물이 온도가 110 내지 250℃인 한 쌍의 써멀 롤에 의해 압착됨에 의해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 및 상기 써멀 라미네이팅 중에 상기 적층물은 30 내지 100 m/min의 속도로 상기 드라이 롤 및 상기 써멀 롤을 통과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레스 중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강재; 및 상기 강재의 표면에 도포된 프라이머 코팅제에 의해 형성된 프라이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착층은, PE 또는 PU 계열의 접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착층은, PO 계열의 접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금속층에 제1 접착층을 매개로 보호층을 접착하여 제1 복합물을 만들고 그 제1 복합물에 제2 접착층을 매개로 기재층을 접착하여 제2 복합물을 만드는 중에, 제2 복합물을 위한 제2 적층물을 드라이 라미네이팅과 써멀 라미네이팅을 함께 거치게 함으로써, 층간 접착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짧은 숙성 기간만으로도 숙성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높아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100)에 대한 층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200)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의 제조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 단계(S1)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다른 일 단계(S3)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또 다른 일 단계(S5)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불화수소 저항성 시험에 따른 시편의 상태를 보인 사진이다.
도 8은 수중 침지 시험에 따른 시편의 상태를 보인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200)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의 제조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 단계(S1)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다른 일 단계(S3)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또 다른 일 단계(S5)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불화수소 저항성 시험에 따른 시편의 상태를 보인 사진이다.
도 8은 수중 침지 시험에 따른 시편의 상태를 보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을 이루는 각각의 고분자 수지는 약어로 기재하기로 한다.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olyProphlene)은 PP,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asting Polypropylene)은 CPP, 에폭시(Epoxy)는 EP, 폴리에스테르(polyester)는 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는 PET,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은 PU, 폴리올레핀(Polyolefin)은 PO 등과 같이 기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100)에 대한 층 구조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100)은, 금속층(110), 제1 접착층(120), 보호층(130), 제2 접착층(140), 그리고 기재층(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층(110)이 중앙에 배치될 때, 금속층(110)의 외면에는 제1 접착층(120)을 매개로 보호층(130)이 접착된다. 또한, 금속층(110)의 내면에는 제2 접착층(140)을 매개로 기재층(150)이 접착된다. 기재층(150)이 금속층(110)의 내면 측에 부착된다고 한 것은, 기재층(150)이 파우치의 내면을 형성하여 전해액과 접하게 되기 때문이다.
금속층(110)은 외부로부터 가스와 빛의 투과를 차단하고 기계적인 강도를 증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금속층(11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강재가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필름 형태의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이나 알루미늄, 또는 구리가 사용될 수 있다.
금속층(110)과 기재층(150) 간의 결합력이 향상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강재의 표면에는 프라이머 코팅 처리된 프라이머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상기 강재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 열풍 히터, 세라믹 히터, 플라즈마 처리, 적외선 처리, 고주파 건조 중에서 선택된 방법에 의해 건조, 그리고 롤투롤(Roll to the Roll), 히터바(Heater Bar)를 이용한 그라비아 또는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에 의해 프라이머 코팅 처리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제1 접착층(120)은 금속층(110)과 보호층(130)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력을 제공한다. 제1 접착층(120)은 PU계 수지나 PE계 수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130)은 금속층(110)의 표면을 보호하도록 금속층(110)의 외측에 적층되는 것이다. 보호층(130)으로는 내충격성, 내스크래치성, 내열성이 좋은 나일론 필름, PET 필름, 또는 이들이 합지된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보호층(130)은 기재층(150)을 향한 방향으로의 이물질의 침입이나 금속층(110) 등의 구김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접착층(140)은 금속층(110)과 기재층(150)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력을 제공한다. 제2 접착층(140)은 PO계 수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기재층(150)은 내부에 위치하는 배터리 셀과 접하는 것으로서, 배터리 셀과의 접합부에 기밀과 수밀을 유지하는 실링재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기재층(150)으로는, PP계 필름 예컨대, CPP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기재층(150)은 적용되는 배터리에 따라 두께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PP 필름으로 된 단층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PP 필름의 외측에 CPP 필름이 적층된 다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위의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100)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를 설명한다.
도 2는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200)를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및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제조 설비(200)는, 제1 공급 롤(210), 페인팅 롤(220), 오븐(230), 제2 공급 롤(240), 드라이 롤(250), 써멀 롤(260), 냉각 롤(270), 그리고 회수 롤(280)을 가질 수 있다.
제1 공급 롤(210)은 제1 소재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1 소재는, 금속층(110)의 형성을 위한 강재이거나, 금속층(110)이거나, 금속층(110)과 보호층(130)이 제1 접착층(120)을 매개로 접착된 제1 복합물일 수 있다.
페인팅 롤(220)은 제1 공급 롤(210)에서 공급된 상기 제1 소재에 접착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접착 물질로는, 상기 강재에 도포되는 프라이머 코팅제, 금속층(110)에 도포되는 제1 접착층(120), 상기 제1 복합물에 도포되는 제2 접착층(140)을 들 수 있다.
오븐(230)은 상기 접착 물질을 건조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오븐(230)은 페인팅 롤(220)의 후류에 배치될 수 있다. 오븐(230)은 50℃ 내지 200℃ 범위 내에서 상기 접착 물질의 종류에 따라 적정 온도로 작동하게 된다.
제2 공급 롤(240)은 제2 소재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2 소재는, 금속층(110)에 접착되기 위한 보호층(130)이거나, 상기 제1 복합물에 접착되기 위한 기재층(150)일 수 있다.
드라이 롤(250)은 제1 적층물과 제2 적층물을 제1 온도로 건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적층물은 제1 접착층(120)을 매개로 금속층(110)과 보호층(130)을 적층한 것이고, 상기 제2 적층물은 상기 제1 복합물에 제2 접착층(140)을 매개로 기재층(150)을 적층한 것이다. 상기 건합지를 위해서, 드라이 롤(250)은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롤로 구비될 수 있다.
써멀 롤(260)은 상기 제2 적층물을 제2 온도로 열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2 온도는 상기 제1 온도보다는 높은 온도이다. 써멀 롤(260) 역시 한 쌍으로 롤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적층물은 상기 한 쌍의 롤에 의해 압착된다.
냉각 롤(270)은 상기 열합지된 상기 제2 적층물을 제3 온도로 냉각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3 온도는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온도이다. 냉각 롤(270) 역시 한 쌍의 롤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적층물은 상기 한 쌍의 롤을 통과하면서 상온으로 냉각될 수 있다.
회수 롤(280)은 제1 공급 롤(210), 페인팅 롤(220), 오븐(230) 등에 의한 일련의 처리를 거친 것들을 권취하는 구성이다. 회수 롤(280)에 의해 권취되는 것은, 예를 들어 금속층(110), 상기 제1 복합물, 또는 상기 제2 복합물이 된다.
이상의 제조 설비(200)를 이용한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의 제조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본 도면(및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면,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의 제조방법은, 금속층 준비(S1), 제1 복합물 제작(S3), 및 제2 복합물 제작(S5) 등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단계는 앞서 설명한 제조설비(200)를 1회씩 운전함에 의해 각각 수행되는 것이다.
금속층 준비(S1) 단계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일 단계(S1)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본 도면(및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면, 제1 공급 롤(210)을 통해서는 강재가 공급된다(S11). 상기 강재는 두께가 40~55㎛, 바람직하게는 4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강재에 대해서는 그의 건조를 위한 전처리가 수행된다(S13). 상기 건조는, 상기 강재에 대한 코로나 처리, 히터(열풍/세라믹) 가열, 플라즈마 처리, 적외선 처리, 고주파 건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여기서, 상기 건조를 위한 온도는 40~90℃가 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온도를 너무 낮게 설정 시에는 가열 건조 과정에서 균일하게 열 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후술하는 프라이머 코팅제가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는 반면, 너무 높게 설정한 경우에는 건조룸에서 가열 건조 시 건조룸 내부에 있는 설비들이 고열로 인해 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며, 더욱이 프라이머 코팅제는 수용성이므로 그라비아 코팅 과정에서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는 상태로 사전 건조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기재층과의 접착강도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온도 40~90℃에서 행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처리를 위한 디바이스는 제1 공급 롤(210)과 페인팅 롤(220) 사이에 설치된 것(미도시)일 수 있다.
전처리된 강재에 대해서는, 프라이머 코팅이 이루어진다(S15). 상기 프라이머 코팅은 페인팅 롤(220)을 이용한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에 의해, 상기 강재의 표면에 프라이머 코팅제(Primer Coating)를 도포함에 의해 달성된다.
프라이머 코팅제는 오븐(230)을 통해 건조된다(S17). 오븐에서 상기 프라이머 코팅제가 도포된 상기 강재는 80~200℃의 온도로 건조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이 표면에 형성된 상기 강재는 이제 금속층(110)으로 불려질 수 있다. 이러한 금속층(110)은 회수 롤(280)에 권취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강재를 건조 구간을 통과하자마자 프라이머 코팅제가 도포됨에 따라 프라이머 코팅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상기 강재의 표면에 프라이머 코팅제가 균일하게 도포되면서, 금속층(110)과 보호층(130), 그리고 금속층(110)과 기재층(150) 사이의 층간 접착강도가 향상된다.
이와 달리, 금속층(110)은 반드시 프라이머 코팅층을 수반해야 하는 것은 아니여서, 상기 강재 자체가 금속층(110)이 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1 복합물 제작(S3)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3의 다른 일 단계(S3)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본 도면(및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면, 제1 공급 롤(210)에서는 금속층(110)이 공급된다(S21).
페인팅 롤(220)에 의해서는, 금속층(110)의 외면 측에 제1 접착층(120)이 도포된다(S23). 제1 접착층(120)은 금속층(110)의 외측 표면에 1~6㎛의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금속층(110)에 도포된 제1 접착층(120)은 오븐(230)을 거치면서 건조된다(S25). 오븐(230)은 50℃ 내지 150℃ 범위에서 작동하게 된다.
이렇게 오븐(230)을 거친 금속층(110) 및 제1 접착층(120)에 대해서는, 제2 공급 롤(240)을 통해 보호층(130)이 공급되어 제1 접착층(120) 상에 적층된다(S27). 그에 의해, 상기 제1 적층물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적층물은 드라이 롤(250)에 의해 압착되면서 드라이 라미네이팅된다(S29). 여기서, 상기 제1 온도는 30℃ 내지 80℃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적층물은 써멀 롤(260)에 의해 압착되지는 않고, 바로 회수 롤(280)로 회수된다. 회수된 상기 제1 적층물은 제1 복합물이 된다. 상기 제1 복합물은 별도의 숙성실에서, 30℃ 내지 70℃의 온도 조건에서 1 내지 3일간 숙성(aging)될 수 있다. 이는 제1 접착층(120)이 금속층(110)과 보호층(130)을 접합하는 능력을 강화시킨다. 또한, 1 내지 3일의 숙성 기간은 기존에 비해 현저히 단축된 것으로서, 파우치 필름 제작의 생산성을 크게 높이게 된다.
제2 복합물 제작(S5)을 제작하는 단계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3의 또 다른 일 단계(S5)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본 도면(및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면, 제1 공급 롤(210)을 통해서 앞서 제조된 상기 제1 복합물을 공급하게 된다(S31).
페인팅 롤(220)에 의해서는, 상기 제1 복합물 상에 제2 접착층(140)이 도포된다(S32). 제2 접착층(140)은 금속층(110)의 내측 표면에 1~6㎛의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제2 접착층(140)은 오븐(230)을 거치면서 건조된다(S33). 오븐(230)은 제2 접착층(140)에 대해서는 80℃ 내지 170℃ 범위에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복합물 및 제2 접착층(140)에는 제2 공급 롤(240)을 통해 기재층(150)에 공급된다(S34). 그에 의해, 상기 제1 복합물, 제2 접착층(140), 및 기재층(150)이 연속적으로 적층되고, 이는 상기 제2 적층물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 적층물에 대해서는, 드라이 롤(250)에 의해 드라이 라미네이팅이 이루어진다(S35). 여기서, 상기 제1 온도는 30℃ 내지 90℃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는 상기 제1 적층물에 대한 상기 제1 온도와 동일하거나 약간 높을 수 있다.
드라이 라미네이팅에 이어서, 상기 제2 적층물에는 써멀 롤(260)에 의한 써멀 라미네이팅도 이루어진다(S36). 여기서, 상기 제2 온도는 상기 제1 온도보다는 높은 온도로서, 예를 들어 110℃ 내지 250℃일 수 있다. 써멀 롤(260)이 상기 제2 적층물에 가하는 압력은 2.5 내지 7.5 kgf/㎡이다.
상기 두 단계의 라미네이팅(S35 및 S36)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그 과정에서 상기 제2 적층물은 30 내지 100 m/min 속도로 이송되면서 라미네이팅된다. 이러한 이송 속도는 드라이 라미네이팅 및 써멀 라미네이팅이 동시에 이루어져서 배터리 파우치 셀 필름의 품질이 확보됨에 의해 상기 범위와 같은 빠른 수준으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송 속도가 빠르게 설정됨에 의해, 종래에 상기 제2 적층물이 낮은 속도로 써멀 라미네이팅됨에 의해 셀 파우치 필름의 층간 접착력은 확보되면서도 기재층(150)이 열적 데미지(damage)에 의해 백화되는 문제는 막을 수 있게 된다.
써멀 라미네이팅 후에는 상기 제2 적층물에 대해, 냉각 롤(270)에 의해 냉각을 실시한다(S37). 그에 의해, 상기 제2 적층물이 열적 영향에 오래도록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내부 층들을 열적 영향으로부터 안정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온도는, 예를 들어 10℃ 내지 20℃가 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상기 제2 적층물은 회수 롤(280)에 의해 회수된다. 회수된 상기 제2 적층물은 상기 제2 복합물이 된다. 상기 제2 복합물은 별도의 숙성실에서, 30℃ 내지 70℃의 온도 조건에서 1 내지 3일간 숙성(aging)될 수 있다. 이는 제2 접착층(140)이 금속층(110)과 기재층(150)을 접합하는 능력을 강화시킨다. 또한, 1 내지 3일의 숙성 기간은 기존에 비해 현저히 단축된 것으로서, 파우치 필름 제작의 생산성을 크게 높이게 된다.
이상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실시예)을 종래의 티-다이 방식에 의한 필름(비교예 1), 종래의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의한 필름(비교예 2), 및 종래의 써멀 라미네이션에 의한 필름(비교예 3)과 비교하여 품질 특성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교예 1은 티-다이(T-Die)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비교예 2를 제작함에 있어서, 제2 접착층 도포 후 오븐에서의 건조 온도는 140℃ 내지 150℃이고, 드라이 롤에서 제2 적층물의 이송 속도는 10 내지 50m/min이다. 또한, 비교예 3을 제작함에 있어서, 제2 접착층 도포 후 오븐에서의 건조 온도는 10℃ 내지 50℃이고, 써멀 롤의 온도는 130℃ 내지 200℃이며, 제2 적층물에 대한 이송 속도는 4 내지 8m/min이다.
시험 1 : 인장강도 시험
다음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인장 강도 시험에서 실시예는 평균 70.5(N/㎡)를 나타내었다. 이에 비해, 비교예 1은 66.4, 비교예 2는 65.7, 그리고 비교예 3은 58.8에 불과하다. 그 결과, 실시예는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대략 5% 내지 20% 가량 향상된 결과를 보인다.
회차 | 1 | 2 | 3 | 4 | 5 | 평균 |
실시예 | 72.1 | 69.8 | 68.7 | 70.5 | 71.2 | 70.5 |
비교예 1 | 62.9 | 62.9 | 64.8 | 65.2 | 66.4 | 66.4 |
비교예 2 | 63.6 | 65.7 | 65.7 | 66.5 | 67.2 | 65.7 |
비교예 3 | 58.6 | 59.7 | 58.4 | 59.3 | 57.9 | 58.8 |
시험 2 : 불화수소 저항성
본 시험을 위해 시편의 포밍 깊이는 6mm이며, 시편은 각 5개씩 준비되었다. 물의 함유량은 전해액 중 2.0%였고, 온도는 80℃였으며, 보관 기간은 48시간이었다. 아래의 표 2 및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는 5개의 시편 모두에서 금속층의 부식이나 기재층의 박리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3은 일부 또는 많은 시편에 있어서 금속층의 부식이나 기재층의 박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시험 3 : 수중 침지
100℃의 물에 7일 동안 침지한 상태에서, 금속층의 부식이나 핀홀 발생 여부를 살폈다. 아래 표 3 및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는 5번의 시험 횟차 모두에서 금속층의 부식이나 핀홀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3은 일부 또는 많은 경우에 있어서 금속층의 부식이나 핀홀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110: 금속층
120: 제1 접착층 130: 보호층
140: 제2 접착층 150: 기재층
200: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제조 설비 210: 제1 공급 롤
220: 페인팅 롤 230: 오븐
240: 제2 공급 롤 250: 드라이 롤
260: 써멀 롤 270: 냉각 롤
280: 회수 롤
120: 제1 접착층 130: 보호층
140: 제2 접착층 150: 기재층
200: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제조 설비 210: 제1 공급 롤
220: 페인팅 롤 230: 오븐
240: 제2 공급 롤 250: 드라이 롤
260: 써멀 롤 270: 냉각 롤
280: 회수 롤
Claims (11)
- (a) 금속층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금속층의 외면에 제1 접착층을 매개로 보호층을 얹어 제1 적층물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적층물을 라미네이팅하여 상기 금속층에 상기 보호층이 접착된 제1 복합물을 제작하는 단계; 및
(c) 상기 금속층의 내면에 제2 접착층을 매개로 배터리 셀과 접하게 되는 기재층을 얹어 제2 적층물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적층물을 라미네이팅하여 상기 제1 복합물에 상기 기재층이 접착된 제2 복합물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2 적층물을 드라이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을 거친 상기 제2 적층물을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 보다 높은 온도 조건에서 써멀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및
상기 써멀 라미네이팅을 거친 상기 제2 적층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적층물을 냉각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적층물이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 한 쌍의 냉각 롤 사이를 통과함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2 적층물이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 상기 써멀 라미네이팅, 및 상기 냉각을 위해 이동하는 속도는 30 내지 100 m/min이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2 적층물에 대한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시의 온도 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기 제1 적층물을 드라이 라미네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적층물을 드라이 라미네이팅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적층물이 온도가 30 내지 90℃인 한 쌍의 드라이 롤에 의해 압착됨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을 거친 상기 제2 적층물을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 보다 높은 온도 조건에서 써멀 라미네이팅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적층물이 온도가 110 내지 250℃인 한 쌍의 써멀 롤에 의해 압착됨에 의해 이루어지는,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및 상기 (c)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복합물 또는 상기 제2 복합물을 30 내지 70℃ 온도 조건에서 1 내지 3일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의 제조방법.
- 삭제
- 가스와 수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금속층;
상기 금속층의 외면에 부착되고, 접착력을 갖는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금속층의 표면을 보호하도록 그 외면에 결합되는 보호층;
상기 금속층의 내면에 부착되고, 접착력을 갖는 제2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금속층에 부착되고, 배터리 셀과 접하여 실링재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는 기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과 상기 제2 접착층 및 상기 기재층 간의 결합은,
상기 금속층과 상기 제2 접착층 및 상기 기재층이 적층된 적층물에 대한 드라이 라미네이팅 후에,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 보다 높은 온도 조건에서 써멀 라미네이팅이 수행되고, 또한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 보다 낮은 온도 조건에서 냉각이 수행되며, 상기 적층물이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 상기 써멀 라미네이팅, 및 상기 냉각을 위해 이동하는 속도는 30 내지 100 m/min이고, 상기 금속층과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보호층 간의 결합은, 상기 적층물에 대한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시의 온도 보다 낮은 온도에서 드라이 라미네이팅되어 이루어진 것인,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물에 대한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팅은, 상기 적층물이 온도가 30 내지 90℃인 한 쌍의 드라이 롤에 의해 압착됨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적층물에 대한 상기 써멀 라미네이팅은, 상기 적층물이 온도가 110 내지 250℃인 한 쌍의 써멀 롤에 의해 압착됨에 의해 이루어진 것인,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레스 중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강재; 및
상기 강재의 표면에 도포된 프라이머 코팅제에 의해 형성된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은,
PE 또는 PU 계열의 접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착층은,
PO 계열의 접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5245A KR102142600B1 (ko) | 2020-02-28 | 2020-02-28 |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5245A KR102142600B1 (ko) | 2020-02-28 | 2020-02-28 |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2600B1 true KR102142600B1 (ko) | 2020-08-07 |
Family
ID=72049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5245A KR102142600B1 (ko) | 2020-02-28 | 2020-02-28 |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2600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98060A1 (ko) * | 2020-11-03 | 2022-05-12 | (주)풍산디에이케이 | 리드 탭용 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KR20230028977A (ko) | 2021-08-23 | 2023-03-03 | 율촌화학 주식회사 | 셀 타입 배터리 파우치용 합지필름 제조 방법 및 장치 |
KR102520824B1 (ko) * | 2021-10-06 | 2023-04-13 | 율촌화학 주식회사 | 다중코팅방식의 셀 파우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KR102597007B1 (ko) * | 2022-12-22 | 2023-11-02 | 율촌화학 주식회사 | 셀 파우치의 제조방법 |
KR20230173341A (ko) | 2022-06-17 | 2023-12-27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실 테이프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WO2024210657A1 (ko) * | 2023-04-06 | 2024-10-10 | 율촌화학 주식회사 | 셀 파우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이에 따라 제조된 셀 파우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14470A (ko) * | 2013-02-06 | 2015-10-12 |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 전지용 포장 재료 |
JP2016164897A (ja) * | 2016-06-16 | 2016-09-08 | 凸版印刷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外装材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
KR20170021075A (ko) * | 2015-08-17 | 2017-02-27 | 노대수 |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KR101984889B1 (ko) * | 2018-06-29 | 2019-05-31 | 디아인텍 주식회사 |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2020
- 2020-02-28 KR KR1020200025245A patent/KR10214260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14470A (ko) * | 2013-02-06 | 2015-10-12 |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 전지용 포장 재료 |
KR20170021075A (ko) * | 2015-08-17 | 2017-02-27 | 노대수 |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JP2016164897A (ja) * | 2016-06-16 | 2016-09-08 | 凸版印刷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外装材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
KR101984889B1 (ko) * | 2018-06-29 | 2019-05-31 | 디아인텍 주식회사 |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한국정밀공학회지 제 33 권 제 2 호 PP. 149-155* *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98060A1 (ko) * | 2020-11-03 | 2022-05-12 | (주)풍산디에이케이 | 리드 탭용 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KR20230028977A (ko) | 2021-08-23 | 2023-03-03 | 율촌화학 주식회사 | 셀 타입 배터리 파우치용 합지필름 제조 방법 및 장치 |
KR102675764B1 (ko) * | 2021-08-23 | 2024-06-17 | 율촌화학 주식회사 | 셀 타입 배터리 파우치용 합지필름 제조 방법 및 장치 |
KR102520824B1 (ko) * | 2021-10-06 | 2023-04-13 | 율촌화학 주식회사 | 다중코팅방식의 셀 파우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KR20230173341A (ko) | 2022-06-17 | 2023-12-27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실 테이프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KR102597007B1 (ko) * | 2022-12-22 | 2023-11-02 | 율촌화학 주식회사 | 셀 파우치의 제조방법 |
WO2024210657A1 (ko) * | 2023-04-06 | 2024-10-10 | 율촌화학 주식회사 | 셀 파우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이에 따라 제조된 셀 파우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2600B1 (ko) |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109554B1 (ko) | 중대형 이차전지용 알루미늄 파우치 필름 제조방법 | |
JP5349076B2 (ja) | 蓄電デバイス容器用樹脂被覆ステンレス鋼箔 | |
CN113871764A (zh) | 二次电池用外装构件 | |
CN107768553B (zh) | 蓄电装置用外包装材料及蓄电装置 | |
KR102109550B1 (ko) | 소형 이차전지용 알루미늄 파우치 필름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파우치 필름 | |
WO2006046615A1 (ja) | 積層体及び二次電池 | |
KR20130081445A (ko) | 이차전지용 알루미늄 파우치 필름,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KR101984889B1 (ko) | 배터리 셀 파우치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US11532848B2 (en) | Exterior material for electricity storage device | |
KR101897667B1 (ko) | 이차전지 파우치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CN113574712A (zh) | 全固体电池用外包装材料、全固体电池及其制造方法 | |
CN109075268B (zh) | 电池用包装材料、其制造方法、电池用包装材料的成型时的不良判定方法、铝合金箔 | |
CN110998895A (zh) | 蓄电装置用外包装材料 | |
KR100874384B1 (ko) | 전지케이스용 라미네이트 시트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리튬이차전지 | |
KR20220048102A (ko) |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파우치 필름의 제조방법 | |
KR20170120502A (ko) |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및 축전 디바이스 | |
CN114698403B (zh) | 金属端子用粘接性膜及制造方法、带有该膜的金属端子、使用了该膜的蓄电器件及制造方法 | |
KR20200076282A (ko) | 고온 안정성이 향상된 셀 파우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
KR20090092108A (ko) | 이차전지 패키지용 라미네이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이차전지 | |
CN106848111B (zh) | 堆栈膜层与其制作方法 | |
KR101833913B1 (ko) | 알루미늄 파우치 필름 제조용 슬롯 다이 코터 | |
KR20130081446A (ko) | 이차전지용 알루미늄 파우치 필름의 제조방법 | |
WO2018066645A1 (ja) | セル外装体用積層シート | |
KR20160049851A (ko) | 압출코팅법을 이용한 이차전지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분리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