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178B1 - 광가교형 생분해성 조직접착제 제조 - Google Patents

광가교형 생분해성 조직접착제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178B1
KR102515178B1 KR1020200142804A KR20200142804A KR102515178B1 KR 102515178 B1 KR102515178 B1 KR 102515178B1 KR 1020200142804 A KR1020200142804 A KR 1020200142804A KR 20200142804 A KR20200142804 A KR 20200142804A KR 102515178 B1 KR102515178 B1 KR 102515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hama
adhesive
hyaluronic acid
pho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5178B9 (ko
KR20210052347A (ko
Inventor
양승윤
박삼대
이혜선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스엔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스엔비아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20/01495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86081A1/ko
Publication of KR20210052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178B1/ko
Publication of KR10251517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178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3Glycosaminoglycans or mucopolysaccharides, e.g. kerat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fucoidan
    • C08B37/0072Hyaluronic acid, i.e. HA or hyaluronan; Derivatives thereof, e.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lan) or hyaluron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0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42Materials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4/08Polysaccha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가교형 생분해성 조직접착제 제조에 관한 것으로, 우수한 연신율과 피부, 점막조직에서도 우수한 접착력을 갖는 히알루론산 신규 화합물을 제공하고, HAMA와 광가교 길이가 상이한 광가교 HA을 혼합하여 접착제의 물성을 조절할 수 있어, 신체의 여러 부위에 사용할 수 있는 의료용 접착제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가교형 생분해성 조직접착제 제조{Preparation of photo-crosslinkable biodegradable tissue adhesive}
본 발명은 광가교형 생분해성 조직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조직 접착제는 상처부위의 지혈이나 접합 또는 치료부위를 보호하여 상처회복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종래 시아노아크릴레이트 (cyanoacrylate) 계열의 조직 접착제는 빠른 접착성능을 보이지만, 젖은 표면에서 접착성과 유연성이 떨어지고 분해과정에서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독성 부산물이 생성되어 생체적합성이 낮다. 또한, 형성된 접착층이 불투명하고 고르지 못하여, 안구 표면과 같이 높은 광투과성이 요구되는 표면에는 적용이 어려운 한계가 있어왔다.
또한, 체내 혈액의 응고과정을 이용한 피브린 (fibrin) 계열의 조직 접착제는 생체적합성은 높은 편이지만 점막과 젖은 조직에 접착력이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 UV와 같은 빛에 의해 즉석에서 하이드로젤을 형성하여 조직과 높은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광가교형 조직접착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수용성 고분자에 광가교 그룹을 도입하여 광가교형 고분자를 제조하고 이를 녹인 용액에 빛을 조사하여 하이드로젤을 형성함으로써 원하는 조직에 높은 접착력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인체 내 다양한 조직의 구성성분인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HA)은 상처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어 광가교 그룹의 도입에 따라 상처 봉합뿐만 아니라 조직 재생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광가교형 HA인 히알루론산 메타크릴레이트(Hyaluronic acid methacrylate; HAMA)는 유연성이 떨어지고 물성 조절이 어려워 제한적인 분야에서만 활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유연하면서도 접착제의 물성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광가교형 조직접착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63368(2017.08.01.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연신율과 피부, 점막조직에서도 우수한 접착력을 갖는 히알루론산 화합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히알루론산 화합물을 이용한 광가교 반응을 통해 형성되는 하이드로젤 또는 생분해성 조직 접착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분해성 조직 접착제의 물성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히알루론산 화합물과 광가교 길이가 상이한 히알루론산 화합물을 도입한 생분해성 조직 접착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15699030-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10,000의 정수이고, X1~X4은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OH 또는 화학식 1-1의 치환기임.
[화학식 1-1]
Figure 112020115699030-pat00002
상기 화학식 1-1에서,
p 또는 q는 각각 0 내지 10의 정수임.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며, 광가교 반응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젤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조직 접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 히알루론산 메타크릴레이트(Hyaluronic acid methacrylate; HAMA) 화합물을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며, 광가교 반응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젤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조직 접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히알루론산 부틸아크릴레이트(Hyaluronic acid butylacrylate; HABA)는 우수한 연신율과 피부, 점막조직에서도 우수한 접착력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가교형 HA인 히알루론산 메타크릴레이트(Hyaluronic acid methacrylate; HAMA)와 광가교 길이가 상이한 HA을 혼합하여 접착제의 물성을 조절할 수 있어, 신체의 여러 부위에 사용할 수 있는 의료용 접착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의료용 지혈제, 창상피복제, 유착방지제, 세포배양 지지체, 3D 프린터용 바이오 잉크(printer bioink), 바이오 코팅 재료로도 유용하게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HAMA의 NMR 이미지이다.
도 2는 HAPA의 NMR 이미지이다.
도 3은 HAMA, HABA, HAPA의 연신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HAMA와 HABA의 혼합비율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HAMA와 HAPA의 혼합비율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HAMA, HAMA와 HAPA를 혼합한 접착제의 피부 접착력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HAMA와 HAPA를 혼합한 접착제의 안점막조직 접착력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연신율 및 조직 접착력이 우수한 히알루론산 부틸아크릴레이트(Hyaluronic acid butylacrylate; HABA)의 물질을 합성하였으며, 광가교형 HA인 히알루론산 메타크릴레이트(Hyaluronic acid methacrylate; HAMA)와 상기 HABA와 같이 광가교 길이가 상이한 HA을 혼합하여 원하는 접착 특성 및 물성을 가진 조직 접착제를 제조할 수 있어, 신체의 여러 부위에 사용할 수 있는 의료용 접착제, 의료용 지혈제, 창상피복제, 유착방지제, 세포배양 지지체, 3D 프린터용 바이오 잉크, 바이오 코팅재료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15699030-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10,000의 정수이고, X1~X4은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OH 또는 화학식 1-1의 치환기임.
[화학식 1-1]
Figure 112020115699030-pat00004
상기 화학식 1-1에서,
p 또는 q는 각각 0 내지 10의 정수임.
이때, X1~X4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학식 1-1의 치환기를 포함하며, 나머지는 하이드록시기일 수 있고, 화학식 1-1의 치환기의 치환율은 1~400%가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10,000의 정수이고, X1~X4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학식 1-1의 치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화학식 1-1에서 p 또는 q는 각각 0 내지 10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화학식 1은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히알루론산 반복단위에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0115699030-pat00005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1 내지 10,000의 정수임.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한 화합물을 포함하며, 광가교 반응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젤을 제공한다.
상기 하이드로젤은 생리활성물질 또는 약물 전달체용 담체나, 조직재생 및 충진용 임플란트 소재 등으로 활용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조직 접착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화합물은 광에 의해 가교 반응이 일어나 하이드로젤(hydrogel)을 형성하여 조직과 높은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광가교형 생분해성 조직 접착제이다. 이때, 광 가교 반응은 UV에 의한 가교 반응 뿐 아니라, 흡수파장이 다른 광개시제를 사용하면 가시광선을 비롯한 다른 파장의 빛에서도 광 가교 반응에 따른 하이드로젤 형성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조직 접착제는 의료용 접착제, 의료용 지혈제, 창상피복제, 유착방지제, 의료용 지혈제, 창상피복제, 유착방지제, 세포배양 지지체, 3D 프린터용 바이오 잉크(printer bioink), 바이오 코팅 재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광가교형 히알루론산 메타크릴레이트(Hyaluronic acid methacrylate; HAMA)는 광가교시 유연성이 부족하여 제한적인 분야에 활용되어 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연신율이 우수한 히알루론산 부틸아크릴레이트(Hyaluronic acid butylacrylate; HABA) 또는 히알루론산 펜타크릴레이트(Hyaluronic acid Pentacrylate; HAPA)를 혼합하여 하이드로겔 조직접착제의 기계적 물성을 조절함으로써 움직임이 있는 부분에 사용범위를 넓힐 수 있고, 이를 통해 조직의 접착력 증대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히알루론산 메타크릴레이트(Hyaluronic acid methacrylate; HAMA) 화합물을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15699030-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10,000의 정수이고, X1~X4은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OH 또는 화학식 1-1의 치환기임.
[화학식 1-1]
Figure 112020115699030-pat00007
상기 화학식 1-1에서,
p 또는 q는 각각 0 내지 10의 정수임.
이때, X1~X4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학식 1-1의 치환기를 포함하며, 나머지는 하이드록시기일 수 있고, 화학식 1-1의 치환기의 치환율은 1~400%가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10,000의 정수이고, X1~X4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학식 1-1의 치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화학식 1-1에서 p 또는 q는 각각 0 내지 10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화학식 1은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히알루론산 반복단위에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로 표시되는 조성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0115699030-pat00008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1 내지 10,000의 정수임.
[화학식 3]
Figure 112020115699030-pat00009
상기 화학식 3에서, n은 1 내지 10,000의 정수임.
이때, 상기 HAMA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0:0 내지 5:5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3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HAMA와 HABA 또는 HAMA와 HAPA의 각 화합물의 혼합비율에 따라 기계적 물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종래 HAMA 보다 유연성이 증가될 수 있어, 움직임이 있는 부분에 사용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HAMA와 HAPA 혼합 조성물은 단순 HAMA 보다 피부뿐만 아니라 점막조직에서도 탁월한 접착력을 지닐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며, 광가교 반응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젤을 제공한다.
상기 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펜타아크릴레이트는 광가교제로, 상기 히알루론산과 반응하여 광가교성의 하이드로젤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광가교제"는 광조사에 의해서 라디칼이 형성됨으로써 반응계 내에서 라디칼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합물을 의미하고, 통상적으로 광가교제 또는 광개시제로 사용되는 화합물은 본 발명의 광가교제로 사용될 수 있으나, 다만, 생체 내 독성이 없거나 미약한 광가교제 또는 광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드로젤은 생리활성물질 또는 약물 전달체용 담체나, 조직재생 및 충진용 임플란트 소재 등으로 활용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조직 접착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조성물은 광에 의해 가교 반응이 일어나 하이드로젤(hydrogel)을 형성하여 조직과 높은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광가교형 생분해성 조직 접착제이다. 이때, 광 가교 반응은 UV에 의한 가교 반응 뿐 아니라, 흡수파장이 다른 광개시제를 사용하면 가시광선을 비롯한 다른 파장의 빛에서도 광 가교 반응에 따른 하이드로젤 형성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조직 접착제는 의료용 접착제, 의료용 지혈제, 창상피복제, 유착방지제, 의료용 지혈제, 창상피복제, 유착방지제, 세포배양 지지체, 3D 프린터용 바이오 잉크(printer bioink), 바이오 코팅 재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인체 내 여러 조직의 구성성분이며, 투명하면서 조직재생을 촉진하는 HA에 길이가 다른 다양한 광가교 그룹을 도입하여 피부뿐만 아니라 점막조직에서도 탁월한 접착력을 지니고, 유연하면서도 투명한 조직 접착제를 개발하였다. 특히, 다른 광가교형 HA 유도체보다 HA-Butylaacrylate (HABA)는 우수한 연신율 및 접착 특성을 보였다. 또한, 유연하면서도 접착제의 물성을 손쉽게 조절하기 위해 광가교형 HA인 히알루론산 메타크릴레이트(Hyaluronic acid methacrylate; HAMA)와 광가교 길이가 상이한 HA을 혼합하여 HA 내 광가교 그룹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접착 특성 및 물성을 가진 조직 접착제를 제조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접착제의 물성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신체의 여러 부위에 사용할 수 있는 의료용 접착제의 개발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술은 의료용 지혈제, 창상피복제, 유착방지제, 세포배양 지지체, 3D 프린터 바이오잉크(printer bioink) 및 바이오코팅 재료로의 응용이 가능하나, 이에 제한 없이 생체 접착제로 사용될 수 있으면 모두 응용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합성예 1> 히알루론산 부틸아크릴레이트 ( Hyaluronic acid butylacrylate ; HABA)의 합성
[반응식 1]
Figure 112020115699030-pat00010
상기 반응식 1에서와 같이, 정제수 100 ml에 히알루론산 10 g(26 mmol)을 녹이고 0-5 ℃로 냉각을 시킨다. 여기에 3-부테노익 무수물(3-butenoic anhydride) 52 mmol과 3M NaOH 100 ml 용액을 첨가한 후 2일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물을 에탄올에 침전하여 정제하고, 진공건조하여 히알루론산 부틸아크릴레이트(Hyaluronic acid butylacrylate; HABA)를 제조하였다. 수율: 85%, 1H-NMR (300 MHz, D2O):δ(ppm)= 5.9, 5.3, 5.2 (3H, CH=CH2), 4.5-4.3 (2H, CH2), 3.8-3.0(10H, CH), 2.9(2H, CH2), 1.8(3H, CH3).
< 합성예 2> 히알루론산 메타크릴레이트 ( Hyaluronic acid methacrylate ; HAMA)의 합성
정제수 100 ml에 히알루론산 10 g(26 mmol)을 녹이고 0-5 ℃로 냉각시켰다. 여기에 메타크릴 무수물(methacrylic anhydride) 104 mmol 과 3M NaOH 100 ml 용액을 첨가한 후, 2일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물을 에탄올에 침전하여 정제하고, 진공건조하여 히알루론산 메타크릴레이트(Hyaluronic acid methacrylate; HAMA)를 제조하였다(도 1참조).
< 합성예 3> 히알루론산 펜타크릴레이트 ( Hyaluronic acid Pentacrylate ; HAPA)의 합성
정제수 100 ml에 히알루론산 10 g(26 mmol)을 녹이고 0-5 ℃로 냉각시켰다. 여기에 4-펜테노익 무수물(4-pentenoic anhydride) 156 mmol 과 3M NaOH 100 ml 용액을 첨가한 후 2일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물을 에탄올에 침전하여 정제하고, 진공건조하여 히알루론산 펜타크릴레이트(Hyaluronic acid Pentacrylate; HAPA)를 제조하였다(도 2참조).
< 실시예 1> HAMA , HABA , HAPA 의 물성 측정
상기 합성예 1 내지 3을 통해 합성된 HAMA, HABA, HAPA의 연신율(Elongation)을 인장실험을 통해 측정하였다.
인장실험은 AND사의 만능재료시험기 (Universal testing machine)를 사용하여 ASTM 방법에 따라 도그본(Dogbone) 형태로 성형된 시험편을 1 mm/min의 속도로 인장실험을 진행하였다. 연신율은 시편 파단점에서의 변형율을 측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와 같이 광가교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연신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HABA는 인장 전 7.5 mm에서 인장 후 25.5 mm까지 3배 이상 늘어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HAMA와 비교하여 HABA, HAPA는 우수한 연신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2> HABA를 이용한 히알루론산 메타크릴레이트 ( Hyaluronic acid methacrylate; HAMA )의 물성 조절
Figure 112020115699030-pat00011
상기 합성예 1, 2을 통해 합성된 HAMA와 HABA의 혼합비율을 10:0, 7:3 및 5:5로 달리하여 혼합한 후,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인장실험은 AND사의 만능재료시험기 (Universal testing machine)를 사용하여 ASTM 방법에 따라 도그본(Dogbone) 형태로 성형된 시험편을 1 mm/min의 속도로 측정하였으며, 응력-변형도 선도(Strain-stress curve)에서 최대 응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와 같이, HAMA와 HABA의 혼합비율에 따라 기계적 강도가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3> 히알루론산 펜타크릴레이트 ( Hyaluronic acid pentacrylate ; HAPA)를 이용한 히알루론산 메타크릴레이트 ( Hyaluronic acid methacrylate ; HAMA )의 물성 조절
Figure 112020115699030-pat00012
상기 합성예 1, 3을 통해 합성된 HAMA와 HAPA의 혼합비율을 10:0, 9:1, 8:2, 7:3, 6:4 및 5:5로 달리하여 혼합한 후,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인장실험은 AND사의 만능재료시험기 (Universal testing machine)를 사용하여 ASTM 방법에 따라 도그본(Dogbone) 형태로 성형된 시험편을 1 mm/min의 속도로 측정하였으며, 응력-변형도 선도(Strain-stress curve)에서 최대 응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와 같이, HAMA와 HAPA의 혼합비율에 따라 기계적 강도가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동적환경에서 HAMA와 HAPA가 혼합된 접착제의 접착력 테스트
HAMA와 HAPA를 혼합한 접착제의 접착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HAMA, HAMA와 HAPA를 7:3으로 혼합한 접착제의 피부 접착력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돼지피부의 표면에 HAMA 또는 HAMA와 HAPA를 7:3으로 혼합하고, 광개시제인 리튬 페닐-2,4,6-트리에틸벤조일 포스피네이트(Lithium phenyl-2,4,6-trimethylbenzoyl phosphinate; LAP)를 0.1 wt% 첨가한 접착제 용액을 도포한 후, UV를 5초 동안 조사하고, 구부려 동적 환경에서의 부착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과 같이, HAMA 단일 접착제는 90°이상 피부를 접었을 때(bending test), 유연성이 낮아 탈착이 되었으나, HAMA와 HAPA 혼합접착제는 유연성의 증가로 인해 90°정도의 구부림에도 부착을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점막조직에서 HAMA와 HAPA가 혼합된 접착제의 접착력 및 조직 회복력 테스트
습윤한 환경에서의 조직접착 유지력과 회복력을 확인하기 위해, HAMA와 HAPA를 7:3으로 혼합한 접착제의 안점막조직 접착력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토끼의 안점막에 수술용 나이프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절개하여 HAMA와 HAPA를 7:3으로 혼합하고, 광개시제인 리튬 페닐-2,4,6-트리에틸벤조일 포스피네이트(Lithium phenyl-2,4,6-trimethylbenzoyl phosphinate; LAP)를 0.1 wt% 첨가한 접착제 용액을 도포한 후, UV를 5초 동안 조사하고, 육안으로 부착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7과 같이, HAMA와 HAPA가 7:3으로 혼합된 접착제를 적용한 경우, 상처회복동안 점막에 부착을 유지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절개부가 안정적으로 수복되어짐을 확인하였다. 그에 반해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그룹은 절개부가 노출되어 균일하지 못한 조직의 회복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하기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히알루론산 메타크릴레이트(Hyaluronic acid methacrylate; HAMA) 화합물을 더 혼합하고,
    상기 HAMA와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5 내지 10):(0초과 내지 5)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22104635872-pat00027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1 내지 10,000의 정수임.
    [화학식 3]
    Figure 112022104635872-pat00028

    상기 화학식 3에서, n은 1 내지 10,000의 정수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HAMA와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5 내지 7):(3 내지 5)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광개시제인 리튬 페닐-2,4,6-트리에틸벤조일 포스피네이트(Lithium phenyl-2,4,6-trimethylbenzoyl phosphinate; LAP)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며, 광가교 반응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젤.
  11.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조직 접착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광에 의해 가교 반응이 일어나 하이드로젤(hydrogel)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조직 접착제.
KR1020200142804A 2019-10-31 2020-10-30 광가교형 생분해성 조직접착제 제조 KR102515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4955 WO2021086081A1 (ko) 2019-10-31 2020-10-31 광가교형 생분해성 조직접착제 제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37871 2019-10-31
KR1020190137871 2019-10-31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347A KR20210052347A (ko) 2021-05-10
KR102515178B1 true KR102515178B1 (ko) 2023-03-29
KR102515178B9 KR102515178B9 (ko) 2024-03-13

Family

ID=7591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804A KR102515178B1 (ko) 2019-10-31 2020-10-30 광가교형 생분해성 조직접착제 제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1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1474A1 (en) * 2010-11-18 2013-09-05 Universite Joseph Fourier - Grenoble 1 Polysaccharide derivatives including an alkene unit and thiol-click chemical coupling reaction
CN103724455A (zh) * 2013-12-11 2014-04-16 四川大学 一种透明质酸衍生物及其水凝胶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368B1 (ko) 2016-02-04 2017-08-01 태경하이텍(주)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실리콘 점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1474A1 (en) * 2010-11-18 2013-09-05 Universite Joseph Fourier - Grenoble 1 Polysaccharide derivatives including an alkene unit and thiol-click chemical coupling reaction
CN103724455A (zh) * 2013-12-11 2014-04-16 四川大学 一种透明质酸衍生物及其水凝胶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178B9 (ko) 2024-03-13
KR20210052347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in et al. Dual-crosslinked methylcellulose hydrogels for 3D bioprinting applications
US9750841B2 (en) Biodegradable medical adhesive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US20150315434A1 (en) New Photoactive Bioadhesive Compositions
CN103282368B (zh) 含有氨基的磷酰胆碱化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294451B1 (ko) 셀룰로오스 유도체
HU224697B1 (en) Photocured cross-linked-hyaluronic acid gel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EP3400972A1 (en) Gel material for ophthalmic treatment use
EA026886B1 (ru) Способ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замещения и сшивки полисахарида по его гидроксильным функциональным группам
KR102319171B1 (ko) 광가교형 히알루론산 스펀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15178B1 (ko) 광가교형 생분해성 조직접착제 제조
CN114907580A (zh) 一种可降解的双组份水凝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415181B1 (ko) 공중합체를 이용한 광가교형 생분해성 조직접착제 제조
EP4053164A1 (en) Manufacture of photo-crosslinkable biodegradable tissue adhesive using copolymer
WO2001008603A1 (en) Biomedical compositions
US6890998B2 (en) Thiol activation of polyurethan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759218B1 (ko) 온도 감응성 및 가교성 포스파젠계 하이드로젤, 그의 제조방법 및 용도
WO2021086081A1 (ko) 광가교형 생분해성 조직접착제 제조
KR102595422B1 (ko) 광경화성 지혈제 조성물
KR102640102B1 (ko) 수화겔 형성용 조성물, 이를 광가교시켜 형성된 수화겔 및 그 수화겔 제조방법
KR102577913B1 (ko) 광가교형 공중합 히알루론산 스펀지 및 이의 제조방법
CN117447717A (zh) 一种强力湿面组织粘附水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7281949A (zh) 敷料及其组合物、制备方法、在创伤修复材料中的应用
Xiao et al. Optimized preparation of thiolated hyaluronic acid hydrogel with controllable degree of substitution
AU780010C (en) Biomedical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