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059B1 - 폐기물 열분해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열분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059B1
KR102515059B1 KR1020200177533A KR20200177533A KR102515059B1 KR 102515059 B1 KR102515059 B1 KR 102515059B1 KR 1020200177533 A KR1020200177533 A KR 1020200177533A KR 20200177533 A KR20200177533 A KR 20200177533A KR 102515059 B1 KR102515059 B1 KR 102515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pyrolysis
combustion
material discharge
de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7131A (ko
Inventor
김도형
김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투환경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투환경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투환경기술
Priority to KR1020200177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05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33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comminuting or cru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42Waste feed arrangements
    • F23G5/444Waste feed arrangements for solid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2/00Combustion
    • F23G2202/20Combustion to temperatures melting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40Valorisation of by-products of wastewater, sewage or 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을 열분해시키는 열분해부재의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저압의 진공을 유지하도록 하여 폐기물의 열분해효율을 증가시키고, 열분해부재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내부로 유입된 폐기물의 상태에 따라 열분해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폐기물 열분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열분해장치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타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회전되면서 연소부재(600)의 연소열로 가열되어 내부로 유입된 폐기물을 열분해시키는 열분해부재(100)와, 열분해부재(100)의 일단에 체결되어 외부의 폐기물을 열분해부재(100)로 공급하는 폐기물공급부재(200)와, 열분해부재(100)의 개구된 타단에 체결되어 폐기물이 열분해된 물질을 배출하는 분해물질배출부재(300)와, 열분해부재(100)와 폐기물공급부재(200) 사이, 열분해부재(100)와 분해물질배출부재(300) 사이를 밀폐시키고 내부를 가압시켜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밀폐부재(400)와, 연소열로 열분해부재(100)의 몸체(302) 외부를 가열하는 연소부재(600)와, 열분해부재(10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7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기물 열분해장치{Sludge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폐기물을 열분해시키는 열분해부재의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저압의 진공을 유지하도록 하여 폐기물의 열분해효율을 증가시키고, 열분해부재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내부로 유입된 폐기물의 상태에 따라 열분해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폐기물 열분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은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그 폐해가 현실화되면서 그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폐기물 처리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일반적인 폐기물 열분해장치는 통상적으로 비교적 긴 회전하는 건류 챔버가 삽입되고, 이 건류 챔버는 평행한 다수의 가열관을 내부에 가지며, 이곳에서 공기 차단하에서 가열된다. 건류 챔버는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바람직하게는 종축이 수평선에 대해 약간 기울어져 있어서 고체의 건류물이 건류 챔버의 출구에 모였다가 그곳으로부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폐기물을 열분해시키는 열분해부재의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저압의 진공을 유지하도록 하여 폐기물의 열분해효율을 증가시키고, 열분해부재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내부로 유입된 폐기물의 상태에 따라 열분해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폐기물 열분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열분해장치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타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회전되면서 연소부재(600)의 연소열로 가열되어 내부로 유입된 폐기물을 열분해시키는 열분해부재(100)와, 열분해부재(100)의 일단에 체결되어 외부의 폐기물을 열분해부재(100)로 공급하는 폐기물공급부재(200)와, 열분해부재(100)의 개구된 타단에 체결되어 폐기물이 열분해된 물질을 배출하는 분해물질배출부재(300)와, 열분해부재(100)와 폐기물공급부재(200) 사이, 열분해부재(100)와 분해물질배출부재(300)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400)와, 열분해부재(100), 폐기물공급부재(200), 분해물질배출부재(30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는 진공부재(500)와, 열분해부재(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연소열로 열분해부재(100)의 몸체(302) 외부를 가열하는 연소부재(600)와, 열분해부재(10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700)와, 폐기물공급부재(200) 및/또는 분해물질배출부재(300)에 연결되어 폐기물의 열분해시에 발생된 폐가스를 제공받아 처리하는 배가스처리부재(800)를 포함하되,
밀폐부재(400)는 열분해부재(100)와 폐기물공급부재(200) 사이를 밀폐시키는 전방밀폐부(402)와, 열분해부재(100)와 분해물질배출부재(300) 사이를 밀폐시키는 후방밀폐부(404)를 포함하고, 진공부재(500)는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진공팬으로 밀폐부재(400)의 전방밀폐부(402), 후방밀폐부(404)에 위치하거나 또는 분해물질배출부재(300)에 위치하며, 연소부재(600)는 열분해부재(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가 중공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연소부재(600)의 몸통(102)을 가열하는 가열부(602)와, 열원을 연소시켜 가열부(602)로 제공하는 연소부(604)와, 가열부(602)의 타측에 위치하며 연소열을 배출되는 배출구(606)가 형성되고, 회전부재(700)는 열분해부재(10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있으면서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로울러(702)와, 지지로울러(702)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7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열분해부재(100)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으며 원통형상으로 타단이 개구되어 있고 회전하면서 일단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폐기물을 타단으로 이동시키면서 가열하여 열분해시키는 몸통(102)와, 몸통(102)의 일단 중앙부분에서 원통형상으로 외부로 연장되어 폐기물공급부재(200)가 체결되는 폐기물유입부(104)가 형성되고, 몸통(102)의 내면에는 몸통(102)의 정회전시에만 일단으로 유입된 폐기물을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경사판(10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경사판(106)는 타단으로 상향 기울어진 직각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정회전시에는 폐기물을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역회전시에는 타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폐기물공급부재(200)는 원통형상으로 개구된 타단이 열분해부재(100)의 폐기물유입부(104)로 삽입되는 폐기물이송관(202)과, 폐기물이송관(202)의 외면에 위치하면서 외부의 폐기물을 폐기물이송관(202)의 내부로 공급하는 호퍼(204)와, 폐기물이송관(202)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유입된 폐기물을 열분해부재(100)의 몸통(102) 내부로 공급하는 이송스크류(206)와, 폐기물이송관(202)의 외부에 이송스크류(206)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208)와, 폐기물이송관(202)의 외면과 열분해부재(100)의 폐기물유입부(104) 내면에 사이에 위치하면서 폐기물유입부(104)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롤러(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호퍼(204)의 하단에는 폐기물을 일정량씩 연속적으로 투입하면서 공기유입이 최소화되도록 외부로 돌출된 날이 서로 맞닿도록 회전하는 2개 기어로 이루어진 폐기물 유입조절부(20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분해물질배출부재(300)는 일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개구된 일단이 열분해부재(100)의 개구된 타단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몸체(302)와, 몸체(302)의 하부면에 위치하면서 열분해된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열분해물질 배출구(304)와, 몸체(302)의 내부의 타단에서 수평하게 위치하면서 회전하는 회전축(306)과, 회전축(306)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방사형으로 병렬로 배치되도록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봉(308), 지지봉(308)의 끝단에서 위치하면서 열분해된 물질을 열분해물질 배출구(304)로 유도하는 유도판(310)과, 열분해부재(100)의 몸통(102) 외면과 몸체(302)의 내면 사이에 위치하면서 몸통(102)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롤러(312)와, 회전축(306)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3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열분해물질 배출구(304)의 하단에는 열분해물질을 일정량씩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외부로 돌출된 날이 서로 맞닿도록 회전하는 2개 기어로 이루어진 열분해물질 배출조절부(30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배가스처리부재(800)는 폐기물공급부재(200) 및/또는 분해물질배출부재(300)에 형성되어 배가스를 배출하는 폐가스배출부(802)와, 폐가스배출부(802)로부터 배출된 배가스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배가스를 연소부재로 공급하는 냉각부(8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폐기물 열분해장치는 폐기물을 열분해시키는 열분해부재의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저압의 진공을 유지하도록 하여 폐기물의 열분해효율을 증가시키고, 열분해부재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내부로 유입된 폐기물의 상태에 따라 열분해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열분해부재와 별도로 회전하지 않는 분해물질배출부재에 열분해물질 배출구를 형성하여 안정적으로 열분해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산소 진공상태에서 운전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하가스 배출통로와 원료 투입 통로를 하나로 사용함으로써 효율이 높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이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열분해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유입조절부가 구비된 호퍼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물질 배출조절부가 구비된 열분해물질 배출구의 예시도.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예이고 해당 실시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열분해장치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타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회전되면서 연소부재(600)의 연소열로 가열되어 내부로 유입된 폐기물을 열분해시키는 열분해부재(100)와, 열분해부재(100)의 일단에 체결되어 외부의 폐기물을 열분해부재(100)로 공급하는 폐기물공급부재(200)와, 열분해부재(100)의 개구된 타단에 체결되어 폐기물이 열분해된 물질을 배출하는 분해물질배출부재(300)와, 열분해부재(100)와 폐기물공급부재(200) 사이, 열분해부재(100)와 분해물질배출부재(300)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400)와, 열분해부재(100), 폐기물공급부재(200), 분해물질배출부재(30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는 진공부재(500)와, 열분해부재(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연소열로 열분해부재(100)의 몸체(302) 외부를 가열하는 연소부재(600)와, 열분해부재(10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700)를 포함한다. 또한, 폐기물공급부재(200) 및/또는 분해물질배출부재(300)에 연결되어 폐기물의 열분해시에 발생된 폐가스를 제공받아 처리하는 배가스처리부재(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분해부재(100)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으며 원통형상으로 타단이 개구되어 있고 회전하면서 일단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폐기물을 타단으로 이동시키면서 가열하여 열분해시키는 몸통(102)와, 몸통(102)의 일단 중앙부분에서 원통형상으로 외부로 연장되어 폐기물공급부재(200)가 체결되는 폐기물유입부(104)가 형성되고, 몸통(102)의 내면에는 몸통(102)의 정회전시에만 일단으로 유입된 폐기물을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경사판(106)이 형성된다. 이때, 경사판(106)는 타단으로 상향 기울어진 직각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정회전시에는 폐기물을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역회전시에는 타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열분해부재(100)의 개구된 몸통(102)의 타단에는 몸통(102)의 내부에서 열분해된 물질을 배출하는 분해물질배출부재(300)가 체결된다. 이러한 열분해부재(100)는 회전하는 몸통(102)의 일단 내부로 폐기물공급부재(200)의 폐기물이 공급되면 타단으로 이동시키면서 몸통(102)의 외면을 가열하는 열에 의해서 열분해시키게 된다.
폐기물공급부재(200)는 외부로부터 폐기물을 공급받아 열분해부재(100)의 몸통(102) 내부로 공급한다. 폐기물공급부재(200)는 원통형상으로 개구된 타단이 열분해부재(100)의 폐기물유입부(104)로 삽입되는 폐기물이송관(202)과, 폐기물이송관(202)의 외면에 위치하면서 외부의 폐기물을 폐기물이송관(202)의 내부로 공급하는 호퍼(204)와, 폐기물이송관(202)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유입된 폐기물을 열분해부재(100)의 몸통(102) 내부로 공급하는 이송스크류(206)와, 폐기물이송관(202)의 외부에 이송스크류(206)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208)와, 폐기물이송관(202)의 외면과 열분해부재(100)의 폐기물유입부(104) 내면에 사이에 위치하면서 폐기물유입부(104)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롤러(210)를 포함한다.
이때, 호퍼(204)의 하단에는 폐기물을 일정량씩 연속적으로 투입하면서 공기유입이 최소화되도록 외부로 돌출된 날이 서로 맞닿도록 회전하는 2개 기어로 이루어진 폐기물 유입조절부(204-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폐기물 유입조절부(204-1)는 기어가 회전하면서 돌출된 날들이 맞닿게 되면 폐기물이 투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돌출될 날들이 벌이지게 되면 날들 사이에 위치하는 폐기물이 폐기물이송관(202)으로 공급되게 된다.
분해물질배출부재(300)는 열분해부재(100)의 몸통(102)에서 열분해된 물질을 외부로 배출한다. 분해물질배출부재(300)는 일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개구된 일단이 열분해부재(100)의 개구된 타단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몸체(302)와, 몸체(302)의 하부면에 위치하면서 열분해된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열분해물질 배출구(304)와, 몸체(302)의 내부의 타단에서 수평하게 위치하면서 회전하는 회전축(306)과, 회전축(306)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방사형으로 병렬로 배치되도록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봉(308), 지지봉(308)의 끝단에서 위치하면서 열분해된 물질을 열분해물질 배출구(304)로 유도하는 유도판(310)과, 열분해부재(100)의 몸통(102) 외면과 몸체(302)의 내면 사이에 위치하면서 몸통(102)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롤러(312)를 포함한다. 이때, 회전축(306)의 일단 외부에는 회전모터(3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해물질배출부재(300)은 회전되는 유도판(310)에 의해 열분해물질이 열분해물질 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분해물질배출부재(300)의 외부에 위치하는 열분해물질 배출구(304)에는 배출된 열분해된 물질이 저장되는 열분해물질 저장부재가 체결된다.
이때, 분해물질배출부재(300)의 외부로 연장된 열분해물질 배출구(304)의 하단에는 열분해물질을 일정량씩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외부로 돌출된 날이 서로 맞닿도록 회전하는 2개 기어로 이루어진 열분해물질 배출조절부(304-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분해물질 배출조절부(304-1)는 기어가 회전하면서 돌출된 날들이 맞닿게 되면 열분해물질이 투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돌출될 날들이 벌이지게 되면 날들 사이에 위치하는 열분해물질이 열분해물질 저장부재로 배출되게 된다.
밀폐부재(400)는 열분해부재(100)와 폐기물공급부재(200) 사이, 열분해부재(100)와 분해물질배출부재(300) 사이를 밀폐시킨다. 밀폐부재(400)는 열분해부재(100)와 폐기물공급부재(200) 사이를 밀폐시키는 전방밀폐부(402)와, 열분해부재(100)와 분해물질배출부재(300) 사이를 밀폐시키는 후방밀폐부(40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밀폐부재(400)는 회전되는 열분해부재(100)와 고정되어 있는 폐기물공급부재(200), 분해물질배출부재(300) 사이를 밀폐시키게 된다.
진공부재(500)는 열분해부재(100), 폐기물공급부재(200), 분해물질배출부재(30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상태를 유지시킨다. 진공부재(500)는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진공팬으로 밀폐부재(400)의 전방밀폐부(402), 후방밀폐부(404)에 위치하거나 또는 분해물질배출부재(300)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진공부재(500)에 의해서 폐기물을 진공상태로 가열하여 열분해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연소부재(600)는 열분해부재(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가 중공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연소부재(600)의 몸통(102)을 가열하는 가열부(602)와, 열원을 연소시켜 가열부(602)로 제공하는 연소부(604)와, 가열부(602)의 타측에 위치하며 연소열을 배출되는 배출구(606)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소부재(600)는 연소부(604)에서 연소된 연소열을 상부에 위치하는 열분해부재(100)의 몸통(102)을 가열하게 된다.
회전부재(700)는 열분해부재(100)의 몸통(102)을 회전시킨다. 회전부재(700)는 열분해부재(10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있으면서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로울러(702)와, 지지로울러(702)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704)를 포함한다. 회전부재(700)의 지지로울러(702)는 연소부재(600)의 외곽에 위치하면서 열분해부재(100)의 전후 몸통(102)에 각각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가스처리부재(800)는 폐기물공급부재(200) 및/또는 분해물질배출부재(300)에 연결되어 열분해부재(100)에서 발생된 폐가스를 제공받아 연소시킨다. 배가스처리부재(800)는 폐기물공급부재(200) 및/또는 분해물질배출부재(300)에 형성되어 배가스를 배출하는 폐가스배출부(802)와, 폐가스배출부(802)로부터 배출된 배가스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배가스를 연소부재(600)로 공급하는 냉각부(804)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가스처리부재(800)에 의해서 폐기물이 열분해시에 발생된 폐가스를 외부에 배출하지 않고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폐기물 열분해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폐기물 열분해장치는 수분이 함유된 외부의 폐기물을 폐기물공급부재(200)의 호퍼(204)에 공급되면 이송모터(208)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206)에 거쳐 폐기물유입부(104)를 통해서 열분해부재(100)의 몸통(102) 내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진공부재(500)의 진공팬을 작동시키면 열분해부재(100), 폐기물공급부재(200), 분해물질배출부재(300) 내부 공기가 배출되어 진공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회전모터(704)로 지지로울러(702)을 구동시켜 몸통(102)을 회전키면서 연소부재(600)의 연소부(604)에서 연소된 열소열로 열분해부재(100)의 몸통(102)을 가열한다. 이에 따라 열분해부재(100)의 몸통(102) 내부로 유입된 폐기물은 몸통(102)으로 전달된 열로 가열되면서 몸통(102)의 회전에 의해서 분해물질배출부재(3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열분해부재(100)의 몸통(102)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경사판(106)이 분해물질배출부재(300) 방향을 상향 기울어진 직각삼각형상이기 때문에 열분해되는 폐기물이 분해물질배출부재(30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시키면서 몸통(102) 내부에 머물게 되어 건조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열분해가 진행되면서 분해물질배출부재(300)로 이동된 폐기물은 열분해물질 배출구(304)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분해물질배출부재(300)로 이동된 열분해 물질은 유도판(310)에 의해서 열분해물질 배출구(304)로 안내되어 원활하게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폐기물이 열분해되면서 발생되는 악취 등의 폐가스는 폐기물공급부재(200) 및/또는 분해물질배출부재(300)에 연결되어 있는 배가스처리부재(800)의 폐가스배출부(802)를 외부의 냉각부(804)로 공급되어 냉각된 후에 연소부재의 연소부로 제공되어 열원과 함께 연소되어 분해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열분해부재 102 : 몸통
104 : 폐기물유입부 106 : 경사판
200 : 폐기물공급부재 202 : 폐기물이송관
204 : 호퍼 206 : 이송스크류
208 : 이송모터 210 : 지지롤러
212 : 악취배출구 300 : 분해물질배출부재
302 : 몸체 304 : 열분해물질 배출구
306 : 회전축 308 : 지지봉
310 : 유도판 312 : 지지롤러
314 : 회전모터 400 : 밀폐부재
402 : 전방밀폐부 404 : 후방밀폐부
500 : 진공부재 600 : 연소부재
602 : 가열부 604 : 연소부
606 : 배출구 700 : 회전부재
702 : 지지로울러 704 : 회전모터
800 : 배가스처리부재 802 : 폐가스배출부

Claims (8)

  1.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타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회전되면서 연소부재(600)의 연소열로 가열되어 내부로 유입된 폐기물을 열분해시키는 열분해부재(100)와, 열분해부재(100)의 일단에 체결되어 외부의 폐기물을 열분해부재(100)로 공급하는 폐기물공급부재(200)와, 열분해부재(100)의 개구된 타단에 체결되어 폐기물이 열분해된 물질을 배출하는 분해물질배출부재(300)와, 열분해부재(100)와 폐기물공급부재(200) 사이, 열분해부재(100)와 분해물질배출부재(300)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400)와, 열분해부재(100), 폐기물공급부재(200), 분해물질배출부재(30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는 진공부재(500)와, 열분해부재(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연소열로 열분해부재(100)의 몸체(302) 외부를 가열하는 연소부재(600)와, 열분해부재(10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700)와, 폐기물공급부재(200) 및/또는 분해물질배출부재(300)에 연결되어 폐기물의 열분해시에 발생된 폐가스를 제공받아 처리하는 배가스처리부재(800)를 포함하되,
    분해물질배출부재(300)는 일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개구된 일단이 열분해부재(100)의 개구된 타단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몸체(302)와, 몸체(302)의 하부면에 위치하면서 열분해된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열분해물질 배출구(304)와, 몸체(302)의 내부의 타단에서 수평하게 위치하면서 회전하는 회전축(306)과, 회전축(306)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방사형으로 병렬로 배치되도록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봉(308), 지지봉(308)의 끝단에서 위치하면서 열분해된 물질을 열분해물질 배출구(304)로 유도하는 유도판(310)과, 열분해부재(100)의 몸통(102) 외면과 몸체(302)의 내면 사이에 위치하면서 몸통(102)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롤러(312)와, 회전축(306)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314)를 포함하고,
    밀폐부재(400)는 열분해부재(100)와 폐기물공급부재(200) 사이를 밀폐시키는 전방밀폐부(402)와, 열분해부재(100)와 분해물질배출부재(300) 사이를 밀폐시키는 후방밀폐부(404)를 포함하고,
    진공부재(500)는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진공팬으로 밀폐부재(400)의 전방밀폐부(402), 후방밀폐부(404)에 위치하거나 또는 분해물질배출부재(300)에 위치하며,
    연소부재(600)는 열분해부재(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가 중공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연소부재(600)의 몸통(102)을 가열하는 가열부(602)와, 열원을 연소시켜 가열부(602)로 제공하는 연소부(604)와, 가열부(602)의 타측에 위치하며 연소열을 배출되는 배출구(606)가 형성되고,
    회전부재(700)는 열분해부재(10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있으면서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로울러(702)와, 지지로울러(702)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7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열분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열분해부재(100)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으며 원통형상으로 타단이 개구되어 있고 회전하면서 일단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폐기물을 타단으로 이동시키면서 가열하여 열분해시키는 몸통(102)와, 몸통(102)의 일단 중앙부분에서 원통형상으로 외부로 연장되어 폐기물공급부재(200)가 체결되는 폐기물유입부(104)가 형성되고, 몸통(102)의 내면에는 몸통(102)의 정회전시에만 일단으로 유입된 폐기물을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경사판(10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열분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경사판(106)는 타단으로 상향 기울어진 직각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정회전시에는 폐기물을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역회전시에는 타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열분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폐기물공급부재(200)는 원통형상으로 개구된 타단이 열분해부재(100)의 폐기물유입부(104)로 삽입되는 폐기물이송관(202)과, 폐기물이송관(202)의 외면에 위치하면서 외부의 폐기물을 폐기물이송관(202)의 내부로 공급하는 호퍼(204)와, 폐기물이송관(202)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유입된 폐기물을 열분해부재(100)의 몸통(102) 내부로 공급하는 이송스크류(206)와, 폐기물이송관(202)의 외부에 이송스크류(206)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208)와, 폐기물이송관(202)의 외면과 열분해부재(100)의 폐기물유입부(104) 내면에 사이에 위치하면서 폐기물유입부(104)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롤러(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열분해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호퍼(204)의 하단에는 폐기물을 일정량씩 연속적으로 투입하면서 공기유입이 최소화되도록 외부로 돌출된 날이 서로 맞닿도록 회전하는 2개 기어로 이루어진 폐기물 유입조절부(20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열분해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열분해물질 배출구(304)의 하단에는 열분해물질을 일정량씩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외부로 돌출된 날이 서로 맞닿도록 회전하는 2개 기어로 이루어진 열분해물질 배출조절부(30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열분해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배가스처리부재(800)는 폐기물공급부재(200) 및/또는 분해물질배출부재(300)에 형성되어 배가스를 배출하는 폐가스배출부(802)와, 폐가스배출부(802)로부터 배출된 배가스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배가스를 연소부재로 공급하는 냉각부(8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열분해장치.
KR1020200177533A 2020-12-17 2020-12-17 폐기물 열분해장치 KR102515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533A KR102515059B1 (ko) 2020-12-17 2020-12-17 폐기물 열분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533A KR102515059B1 (ko) 2020-12-17 2020-12-17 폐기물 열분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131A KR20220087131A (ko) 2022-06-24
KR102515059B1 true KR102515059B1 (ko) 2023-03-29

Family

ID=82215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533A KR102515059B1 (ko) 2020-12-17 2020-12-17 폐기물 열분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0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393B1 (ko) * 2023-01-18 2023-09-13 (주)현대에스엔티 회전 기능을 구비한 무해화 처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4760A (ja) * 2007-03-19 2007-08-16 Toshiba Corp 熱分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7795A (ja) * 1995-08-09 1997-02-18 Kubota Corp 有機性廃棄物炭化再生装置
KR100306368B1 (ko) * 1999-02-19 2001-09-24 구재완 액상 및 고상의 폐기물 열분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4760A (ja) * 2007-03-19 2007-08-16 Toshiba Corp 熱分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131A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01912A1 (en) Carboniz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activated carbon
KR100557676B1 (ko) 유기성 폐기물 탄화방법 및 그 장치
JP2006274201A (ja) 連続減圧乾燥/炭化装置
KR101916958B1 (ko) 슬러지용 열분해 탄화장치 및 방법
JP3602504B2 (ja) 過熱蒸気を用いた熱処理設備
JP7176720B2 (ja) 熱分解装置
KR20180054939A (ko) 슬러지용 열분해 탄화장치 및 방법
KR102515059B1 (ko) 폐기물 열분해장치
KR102077097B1 (ko) 유전발열체를 이용한 탄화장치
CA3136407C (en) Heat treatment apparatus
JP4633216B2 (ja) スクリュー式炭化炉による炭化方法
JP3435568B2 (ja) 連続炭化装置および連続炭化方法
KR102262101B1 (ko)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
JP2005274017A (ja) 含水原料の乾燥処理方法とそのシステム及び施設
JP2009138089A (ja) 多段スクリュー炭化装置
KR101463229B1 (ko) 폐기물 탄화 처리장치
JPH10330760A (ja) 有機性廃棄物の連続炭化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0005918A (ko) 폐타이어 열분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상 건조대상물건조장치
JP2011063743A (ja) 連続式炭化装置
JP3618280B2 (ja) 廃棄物の炭化・還元装置
JP4147218B2 (ja) 炭化処理装置
JP7190641B1 (ja) 連続炭化装置
JP7200703B2 (ja) 炭化炉
CN1605797A (zh) 连续碳化装置和碳化方法
KR200208949Y1 (ko) 폐타이어 열분해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상 건조대상물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