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558B1 -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 Google Patents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558B1
KR102514558B1 KR1020200080962A KR20200080962A KR102514558B1 KR 102514558 B1 KR102514558 B1 KR 102514558B1 KR 1020200080962 A KR1020200080962 A KR 1020200080962A KR 20200080962 A KR20200080962 A KR 20200080962A KR 102514558 B1 KR102514558 B1 KR 102514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energy generating
quantum
quantum energy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3311A (ko
Inventor
김부열
Original Assignee
운해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운해이엔씨(주) filed Critical 운해이엔씨(주)
Priority to KR1020200080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558B1/ko
Priority to US17/083,176 priority patent/US20220001192A1/en
Priority to PCT/KR2021/008386 priority patent/WO2022005237A1/ko
Publication of KR20220003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2Magnetotherap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1Devices for producing movement of radiation source during therap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4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8Organic compounds
    • D06M10/10Macromolecular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0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dissolved or dispersed in organic solvents; Processes for the recovery of organic solv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8Texti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6Printed circuits incorporating printed electric components, e.g. printed resistor, capacitor, inductor
    • H05K1/165Printed circuits incorporating printed electric components, e.g. printed resistor, capacitor, inductor incorporating printed indu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전도성 섬유를 이용하여 인체에 착용되는 의복을 만들거나, 또는 일반 섬유원단에 전도성 섬유를 이용하여 양자코일 패턴으로 바느질하여 의복을 만들거나, 또는 양자에너지 발생코일 패턴으로 가공된 전도성 필름의 섬유원단에 바느질하여 부착하여 의복을 만들거나, 또는 금속와이어를 섬유원단에 양자에너지 발생코일 형상으로 권선하여 부착하는 방식으로 의복을 만든 후, 상의 앞면 또는 뒷면 아래 일측에 설치된 전원 공급기에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 직류전원 또는 교류전원을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에 공급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발생 및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중첩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생성되는 맥동(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양자에너지를 신체에 조사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Wearable quantum generator}
본 발명은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전도성 섬유를 이용하여 인체에 착용되는 의복을 직조(weaving), 또는 일반 섬유에 전도성 물질을 양자 에너지 발생코일 형상으로 타공된 틀에 부분 분사하거나,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형상으로 제작된 유연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섬유원단에 부착하거나, 상하 섬유원단 내부에 전도성 금속판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모형따기 기술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 형상으로 가공한 후 상하 섬유원단 사이에 삽입하여 적층한 후 재봉(sewing)하거나, 또는 베이스 섬유원단 위에 전도성 금속 재질의 와이어 또는 피복된 전선으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을 권선하고, 권선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을 베이스 섬유원단에 면접하게 설치 후 그 위에 덮개용 섬유원단을 적층하여 재봉(sewing)하는 방식으로 모자, 상의, 장갑, 바지, 양말 등의 의복을 만든 후, 상의 앞면 하부일측 또는 뒷면하부 일측에 주머니 또는 포켓을 만들고 내부에 설치된 전원 공급기에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공급하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 전류의 흐름 방향의 90도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발생 및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중첩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생성되는 맥동(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양자에너지를 신체에 조사하는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입출력, 연산,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를 신체에 극근접, 내지는 밀착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을 의도한 웨어러블 전자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웨어러블 전자 기기에는 손목시계, 안경, 이어폰과 같은 액세서리형의 외형을 갖는기기, 의복에 전자기능을 편입한 텍스타일 집적형의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가 알려져 있다. 또한, 인체에 밀착한 터치 보디형, 스킨 패치형, 더욱 인체 내에 매립하는 것을 상정한 임플란트형의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가 개발되고 있다.
양자에너지 발생장치는 Tesla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 철심이 없는 2개의 원통에 하나는 오른쪽 감기를 하고, 다른 하나는 왼쪽 감기를 한 다음 각각의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류의 흐름 방향에 90도 각도로 자기장이 발생되고, 각각의 코일의 권선 방향이 반대방향이어서 주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자기장이 생성되고 두 개의 자기장이 중첩되어 상쇄되며 자장의 세기가 0(zero)이 되는데 이와 같이 자기장이 상쇄되면서 이상한 새로운 에너지가 출현하는 것을 과학자들이 발견하였고, 과학자들은 이 에너지는 비헤르쯔파(Non-Hertzian Wave) 또는 양자에너지 또는 스칼라 에너지라 지칭하였다.
Moebius는 Tesla Coil의 코일 감는 방법을 철심이 없는 원통에 두 개의 코일을 ∞방식으로 감는 방식으로 변경하고, 또한 전류도 서로 반대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방법으로 코일을 만드는 코일을 Moebius Coil이라 하였고, 기존의 Tesla Coil에서 생성된 양자에너지 장이 유입된 전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반면에 개선된 Moebius Coil은 생성된 양자에너지 장이 특정 주파수에 증폭, 상쇄, 간섭 등에 의하여 보합된 조화함수와 집합으로 생성되게 하였다(Tesla coil: 양자 에너지 발생장치의 효시).
인체 내의 파동구조
인간을 포함한 생명체들을 구성하는 분자, 세포, 조직, 장기의 개체는 현대 양자의학의 창시자인 데이빗 봄의 양자이론에 따르면 각각 입자적 구조와 파동적 구조(양자 포텐셜(quantum potential) 또는 양자 파동장(quantum wave field))라는 이중적 구조로 되어있다.
즉, 분자, 세포, 조직, 장기의 개체는 각각의 파동장을 갖고 있다.
분자의 양자 파동장을 분자장, 세포의 양자 파동장을 세포장, 조직의 양자 파동장을 조직장, 장기의 양자 파동장을 장기장, 개체의 양자 파동장을 개체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인체를 구성하는 물분자의 양자 파동장에 대해서 이탈리아 밀라노 핵물리학의 연구소의 과학자 델 주디체(Emilio Del Giudice)는 물은 두가지 종류로 나눌수 있는데 하나는 물 분자들이 '무질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 물이고, 다른 하나의 물은 분자들이 '결맞음 영역(coherent domain)'으로 구성되어 있는 물이다.
여기서, 델 주디체(Emilio Del Giudice)는 이 '결맞음 영역(coherent domain)' 물이 양자 파동장의 특성을 갖는다고 하였다.
물이 양자 파동장을 갖게 되면 물분자들이 정전기적인 견인력을 갖게되고, 장거리에서 간섭 현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물 쌍극자 사이의 수소결합이 감소하여 질서도가 높고, 물 분자의 덩어리가 작아져 이른바 '마이크로클러스터(microcluster)' 현상을 일으키며, 질서있는 기저 상태가 영구적으로 보전된다고 했다.
델 주디체(Emilio Del Giudice)에 따르면 물에 작은 전기교란을 주어 전기 분극화(polarization)를 일으키면 물의 양자 파동장을 유도할 수 있다고 했다. 여기서, 결맞음이란 물리학적 용어인데, 멀리 떨어져 있는 2개의 전기 쌍극자가 진동을 하면서 서로 영향을 미친다는 뜻이다.
델 주디체(Emilio Del Giudice)는 인체의 세포막을 둘러싸고 있는 경계면의 물은 자기공명기술(NMR)에 의해 관찰했을 때 세포막과 거리가 먼 물에 비해 그 구조가 다르며, 세포막 경계면의 물은 '마이크로클러스터(microcluster)'로 구성된 물이라고 했다.
독일의 과학자 포프(Fritz-Albert Popp)는 DNA의 생체 광자에 대해서 다음과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DNA에서 많은 생체광자가 방사되고, 또 DNA에서 방사되는 생체광자를 많이 저장한다. DNA에서 방사되는 생체광자는 DNA의 강력한 통신 수단이며, DNA의 생체광자는 높은 결맞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포프(Fritz-Albert Popp)가 말하는 DNA의 생체 광자는 바로 DNA 양자 파동장을 의미한다.
여기서, 결맞음이란 물리학적 용어인데, 멀리 떨어져 있는 2개의 전기 쌍극자가 진동을 하면서 서로 영향을 미친다는 뜻이다.
장기의 양자 파동장
1991년 미국의 허트매스(HeartMath) 연구소의 맥그래티(Rollin McCraty)는 그의 연구에서 심장에는 이를 둘러싸고 있는 "미세한 에너지장"이 있는데 그것은 도넛 모양을 하며 신체 밖으로 뻗어 있다고 했다. 여기서 "미세한 에너지장"은 바로 양자 파동장을 말한다.
뇌의 양자 파동장
1990년에 살티스(Demetri Psaltis)는 뇌의 파동장에 대해 보고한 바가 있다. 즉, 뇌는 눈에 보이는 뇌 이외에 눈에 보이지 않는 뇌의 양자 파동장이 있으며, 뇌의 양자 파동장은 모든 부분이 비국소적으로 하나로 연결되어 있으며, 뇌의 양자 파동장은 홀로그램의 성질을 갖는다. 또한, 뇌의 양자 파동장은 비선형적이며 뇌의 양자 파동장은 결맞음이 높다.
개체의 양자 파동장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대기권 물리학자 브레넌(Barbara Brennan)은 사람은 누구나 육체 주위에 양자 파동장을 갖고 있다고 했으며 그것을 '오라(aura)'라 했다. 그의 '오라(aura)' 연구를 종합하면, 곰팡이에서 식물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개구리에서 인간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유기체 주위에서 양자 파동장이 발견 되었고, 건강한 개체와 병에 걸린 개체의 양자 파동장이 서로 다르며, 병이 발생하기 이전에 이미 그 개체의 양자 파동장 변화가 선행한다.
기에 관한 연구
기는 개체장의 일종이며. 동양의학에서는 과거부터 인체에서 특별히 정해진 경로에 따라 움직이는 양자 파동장을 기라고 불렀으며, 이 양자 파동장의 경로를 경락이라 불렀고, 경락 중에서도 치료목적으로 침을 찌르는 부위를 경혈이라고 불렀다.
상기와 같이 양자 파동장 즉 양자에너지는 인체에 밀접한 건강을 증진시키는 영향을 주며 질병 치료의 방법을 제시한다.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1435008호(발명의 명칭: 웨어러블 컴퓨터 및 상기 웨어러블 컴퓨터의 전도성 섬유와 전자모듈의 연결방법)에서는 전자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컴퓨터로서, 상기 전자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전자 모듈 측으로 원형 고리 부분을 갖는 금속선 및 상기 원형 고리의 소정 지점에서부터 상기 금속선과 나선형으로 교대로 배치되면서 꼬인 형태로 결합되는 전도성 섬유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컴퓨터로 금속선과 전도성 섬유를 안정적으로 결합시켜 연결부분의 손상을 방지하는 이 기술은 전도성 섬유를 사용하는 점 및 의류에 부착되는 전자모듈측면에서 유사성을 갖지만 양자코일을 형성해서 자기장 발생 및 자기장 중첩에 의한 양자에너지를 생성하고 인체에 조사하는 기능이 없다.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2087267호(발명의 명칭: 운동 통증 완화를 위한 앱 구동형 웨어러블 전기 치료기)에서는 배터리 전원을 전기적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전원부와 제어신호를 통해 일정주기로 선택되는 전극부에 순환하는 방식으로 상기 펄스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와 연계되어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확장커넥터와 상기 전원부 및 스위칭부와 보조패드의 연결 및 동작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동작정보를 송신하는 제1 통신부와 상기 확장커넥터(15)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펄스신호를 하측면으로 출력하는 보조전극(161)을 구비한 보조패드와 펄스신호의 강도 및 주기를 포함한 제어신호가 저장되는 제1 저장부와 상기 제1 저장부의 제어신호를 제공 및 선택받고 동작정보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신체부위 및 근육과 관절을 포함한 이미지정보와 상기 이미지정보에 대응하는 통증정보와 상기 통증정보에 대응하는 메인패드 및 보조패드의 부착위치정보가 저장된 제2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부의 이미지정보 및 통증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되 선택된 통증정보에 대응하는 부착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지원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선택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고 수신된 동작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통증 완화를 위한 앱 구동형 웨어러블 전기치료기기는 사용자의 신체 통증정보를 반영한 제어신호에 의한 펄스전원을 신체에 부착된 보조 패드 및 메인패드에 부착된 보조전극 및 전극에 펄스화된 전원을 공급하여 통증을 치료하는 이 기술은 전기적 충격에 의한 치료방법으로 양자에너지 발생기능이 없다.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2091512호(발명의 명칭: 치료 및 건강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에서는 제1산화질소 공급기와 제2산화질소 공급기로 구성된 산화질소 공급기와, 제1양자에너지 발생기와 제2양자에너지 발생기로 구성된 제1양자에너지 발생장치와, 산화질소 및 히드록실이온(OH-Radical) 이온이 함유되고 양자에너지가 조사된 공기를 신체의 치료 및 건강관리 대상부위에 분사하면서 마이너스 전기를 흘려보내어 통증 유발점 부위에 축적된 양이온을 중화시킴으로써 세포 내 이온통로를 활성화시키고 통증유발요인을 제거하여 통증을 제거하는 제1미세전류 공급기와, 제3양자에너지 발생기와 제4양자에너지 발생기로 구성된 제2양자에너지 발생장치와,사용자의 통증유발점에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생성되는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면서 마이너스 전기를 흘려보내어 통증 유발점 부위에 축적된 양이온을 중화시킴으로써 세포내 이온통로를 활성화시키고 통증유발요인을 제거하는 제2미세전류 공급기와,제1양자에너지 발생장치와 제2양자에너지 발생장치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제어반을 포함하는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의 이 기술은 통증부위에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공기 구성분자인 질소분자 및 산소분자가 해리되어 질소원자와 산소원자가 생성되고 이온결합에 의해 산화질소가 생성되고,생성된 산화질소를 환자의 통증부위에 조사하면서 동시에 통증 부위에 네가티브 이온통로를 만들어 통증부위에 축적된 양이온을 중화하여 제거하면서 제1, 제2, 제3, 제4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생성되는 양자에너지를 통증부위에 조사하여 치료하는 것으로 국소적 통증 부위에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는 것은 가능하나 신체부위별 및 전신에 양자에너지를 조사할 수 없다.
즉, 지금까지 개발된 웨어러블형 양자에너지 생성하여 조사하는 기술은 전술한 문제점들로 인해 효율성 측면 및 확장성 측면에서 미진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1435008호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2087267호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2091512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공급기, 제2 전원공급기, 제3 전원공급기, 제4 전원공급기, 제5 전원공급기 중에서 어느 한가지 기종의 전원 공급기를 선정하고, 선정된 전원 공급기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극성 역전 변환기로 공급하여 사전에 프로그램되어 입력된 제어회로에 의해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에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역전 시키면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을 제작은 전도성 섬유 재질의 제1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 일반 다공성 섬유에 전도성 물질을 양자에너지 발생코일 형상으로 부분 분사하여 전도성이 부여되는 제2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 베이스필름에 수지조성물을 도포한 후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형상으로 가공된 전도성 금속을 적층 및 열간 성형한 유연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의 제3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 전도성 금속판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모형따기 기술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형상으로 가공하여 상하 섬유 원단속에 삽입 적층하고 재봉하는 제4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 일정 직경을 갖는 금속와이어를 절연처리 후 또는 피복된 전선을 이용하여 양자에너지 발생코일 형상으로 권선된 코일을 베이스 섬유원단위에 면접하게 설치 후 그 위에 덮개용 섬유원단을 적층하고 재봉하여 마감하는 제5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제작품 중에서 적합한 어느 한가지 제작품을 선정하여 제작하고,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형상을 구현하는 방법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권선되는 제1 형상,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권선되는 제2 형상, 원판 모양으로 변형된 솔레노이드 코일 형상의 제3 형상, 트로이드 코일 형상의 제4 형상, 뫼비어스 코일 형상의 제5 형상, 헬름홀츠 코일 형상의 제6 형상 및 이들 형상을 조합한 제7 형상(미도시)중에 어느 한가지 형상으로 구현되는데 상기 제1 재질 내지 제5 재질 중에서 어느 한종류 이상의 재질을 선정하고, 상기 제1 형상 내지 제7 형상 중에서 어느 한가지 형상을 선정하여 인체에 착용되는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을 직조(weaving)하거나, 또는 일반 섬유에 전도성 물질을 양자 에너지 발생코일 형상으로 부분 분사하여 전도성을 갖게 하거나,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형상으로 제작된 유연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섬유원단에 부착하거나, 상하 원단 내부에 전도성 금속을 레이저를 이용한 모형따기 기술을 이용하여 양자에너지 발생코일 형상으로 가공된 전도성 금속을 삽입 및 적층한 후 재봉(sewing)하거나, 베이스 섬유원단 위에 전도성 금속 재질의 와이어 또는, 피복된 전선을 이용하여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을 권선하고, 권선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을 베이스 섬유원단에 면접하게 설치하고, 그 위에 덮개용 섬유원단을 적층하여 재봉(sewing)하는 방식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방식을 선정하여 모자, 상의, 장갑, 하의 양말의 앞면과 뒷면의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권선방향 및 양 측면의 뒷면의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권선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의복을 만든 후, 상의 앞면 하부 일측 또는 뒷면하부 일측에 주머니 또는 포켓을 만들고 내부에 설치된 전원 공급기에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공급하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 전류의 흐름 방향의 90도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발생 및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중첩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생성되는 맥동(Pulsed electromagnetic field;PEMF) 양자에너지를 신체에 조사하는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는, 배터리 셀(111), DC/DC 컨버터(112), 전압결정부(113a), 전압 및 전류 검출출센서(113b), 제어회로(113c), 전원차단스위치(113d), 및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로 구성되어 제어기능이 내장된 제어부(113)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 공급기(110);와,
감압 변압기(121), 정류회로(122), 입력모듈(123a), 연산모듈(123b), 제어모듈(123c), 및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로 구성되어 제어기능이 내장된 제어부(123), 및 전류검출센서(124)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 공급기(120);와,
제1 전극(131a), 압전물질(131b), 제2 전극(131c), 및 도선(131d)로 구성되는 교류전원 발생기(131), AC/DC변환부(132), DC/DC변환부(133), 및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로 구성되어 제어기능이 내장된 제어부(134)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제3 전원 공급기(130);와,
정류부(141), 컨버터부(142), 인버터부(143), 공진리액터(144), 펄스변압기(145),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가 내장된 제어부(146), 게이트 구동부(147), 제1 컨덴사(148a), 및 제2 컨덴사(148b)로 구성되고, 제어기능이 내장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제4 전원 공급기(140);와,
교류전원(AC) 공급부(151a) 또는 직류전원(DC:배터리) 공급부(151b)의 전원공급부(151), AC/DC변환부(152), 자동 공급전원 전환기(153)(ATS), 저주파 출력부(154), 스위칭 소자(155),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 상체, 손, 하체, 발)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가 내장되어 제어기능이 내장된 제어부(156)으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형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기종이 선정되어 사용되는 전원 공급부(100);와,
전원 공급부(100)의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기종이 선정된 전원 공급기에서 가변되는 직류 전원(전류의 가변 또는 전압의 가변)의 +극 출력 도선(201) 및 -극 출력 도선(202)를 통하여 제어되지 않는 제1 스위치(211)를 거쳐 제2 스위치(212)의 입력선(212a-1, 212d-1)을 거쳐 마이컴(220)에 의해 제어되는 제2 스위치(212)에 전원이 공급되면 마이컴(220)의 제어에 의해 제2 스위치의 접점 3(212c)은 접접 2(212b)와 접촉 및 접점 1(212a)은 접점 4(212d)와 접촉하여 +극성 및 -극성이 역전되어 즉 +극성은 -극성으로, -극성은 +극성으로 변환(역극성)되어 제2 스위치의 출력선(212b-2, 212d-2)을 통하여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극성 역전 변환기(200);와,
다공성 섬유 구조체(311), 다공성 섬유 구조체의 기공(312;pore), 기공(312;pore)에 충전되는 전도성 물질(층)(313), 전도성층의 외부를 코팅하는 수지층(314)로 구성되어 전도성 섬유로 직조(weaving)되는 양자코일의 제1 재질 구성(310);과,
삭제
다공성 섬유 구조체의 섬유원단(321)을 작업테이블(322) 위에 펼쳐놓고 그 위에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및 제1 형상(351) 내지 제 형상(356) 중에서 서로 한가지 형상이 조합된 제7 형상(357)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형상이 선정된 형상으로 타공된 틀(323)을 준비된 섬유원단과 면접되게 설치한 다음 준비된 분사기(미도시)로 전도성 형성 용액을 분사하여 다공성 섬유 구조체의 기공(321a;pore)에 전도성 물질(층)(321b)이 충전되게 한 후 코팅용 수지층(321c)를 분사한 후 건조기(미도시)에서 80 내지 120℃ 범위에서 1시간 내지 2시간 건조하여 제작되는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2 재질 구성(320);과,
베이스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331); 반응기(미도시)에 제1 수지를 투입하는단계(332a), 제2 수지를 투입하는단계(332b), 무기물 충진제 도입단계(332c), 경화제 투입단계(332d), 및 교반단계(332e)로 제조된 수지 조성물 도포단계(332); 양자코일 적층단계(333); 열간 성형단계(334); 경화단계(335)로 유연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제조 공법으로 제작되는 양자코일의 제3 재질 구성(330);과,
별도 준비된 다공성 상하 베이스 섬유원단(341) 내부에 동(CU), 스테인레스스틸(STS304, STS316L), 은(Ag), 티타늄(Ti)등에서 어느 한가지 재질이 선정된 금속 원판에 양자 에너지 발생코일의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및 이들의 조합된 제7 형상(357)(미도시) 중에 어느 한가지 형상이 선정된 형상으로 레이저를 이용한 모형따기 기술을 이용하여 가공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42)을 삽입하여 재봉(sewing)하는 방법으로 제작되는 제4 재질 구성(340);과,
베이스 옷감 (350a) 위에 외부에 절연물질로 코팅된 직경 50um내지 2mm 범위의 은, 구리, 니켈 등의 와이어 중 어느 한가지 재질을 선정하거나 또는 피복된 전선을 이용하여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및 이들 형상 중 한가지 이상의 형상이 조합된 형상의 제7형상(357)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형상이 선정되어 권선(350b)된 양자코일을 준비된 베이스 섬유원단에 면접(350c)하게 올려 놓은 후 다시 그 위에 별도 준비된 덮개용 섬유원단을 적층(350d) 후 재봉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재봉(sewing)(350e)하여 마감하는 방법으로 제작되는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360b)의 제5 재질 구성(350) 중에 어느 한가지 이상의 재질이 선정되어 제작되는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재질(310-350);과,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권선되는 제1 형상(351),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권선되는 제2 형상(352), 원판 모양으로 변형된 솔레노이드 코일 형상의 제3 형상(353), 트로이드 코일 형상의 제4 형상(354), 뫼비어스 코일 형상의 제5 형상(355), 헬름홀츠 코일 형상의 제6 형상(356) 및 이들 형상을 조합한 제7 형상(357) 중에 어느 한가지 형상으로 구현되는 양자에너지 발생코일 형상(351-357);과,
캡(Cap), 햇(Hat), 귀달이 모자 또는 헬멧 등 인체 머리(두부)를 감싸는 부분(410), 목 부분에서 허리의 고관절 부분을 감싸는 재킷(Jacket)형, 피케(Piques)형, 목둘레를 조절하는 셔츠, 정장, 잠바 등의 상의(420), 양손을 감싸는 장갑(430), 허리부분에서 발목부분까지 감싸는 내복, 바지, 치마 등의 하의(440), 발부분을 감싸는 양말등의 앞면과 뒷면의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권선방향 및 양 측면의 뒷면의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권선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의복에 직조(weaving) 또는 재봉(sewing) 또는 부착 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는, 시간과 장소에 제한받지 않고 양자에너지를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제어회로에 양자 에너지 조사 부위, 조사 시간 등을 입력할 수 있어 맞춤식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타임 설정이 가능하여 전기 사용 요금이 저렴하며 배터리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세탁이 가능하여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선정된 전원 공급기에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공급하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 전류의 흐름 방향의 90도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발생 및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중첩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생성되는 맥동(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양자에너지를 사용자 신체에 조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기능이 내장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형태의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 공급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제어기능이 내장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형태의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 공급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제어기능이 내장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형태의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제3 전원 공급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제어기능이 내장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형태의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제4 전원 공급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d는 도 1에 도시된 제어기능이 내장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형태의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제5 전원 공급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극성역전 변환기의 정극성 계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극성역전 변환기의 역전극성 계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1 재질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2 재질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3 재질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4 재질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d는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5 재질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1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은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2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b은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3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c은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4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d은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5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e은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6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 도 9a, 도 9b, 도 9c, 도 9d, 도 9e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형상 및 이들 형상이 조합된 제7 형상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이 머리보호 카바 및 모자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8, 도 9a, 도 9b, 도 9c, 도 9d, 도 9e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형상 및 이들 형상이 조합된 제7 형상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이 상의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8, 도 9a, 도 9b, 도 9c, 도 9d, 도 9e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형상 및 이들 형상이 조합된 제7 형상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이 장갑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c는 도 8, 도 9a, 도 9b, 도 9c, 도 9d, 도 9e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형상 및 이들 형상이 조합된 제7 형상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이 바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d는 도 8, 도 9a, 도 9b, 도 9c, 도 9d, 도 9e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형상 및 이들 형상이 조합된 제7 형상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이 양말 및 신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는 배터리 셀(111), DC/DC 컨버터(112), 전압결정부(113a), 전압 및 전류 검출출센서(113b), 제어회로(113c), 전원차단스위치(113d), 및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로 구성된 제어부(113)로 구성되어 제어기능이 내장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 공급기(110);와,
감압 변압기(121), 정류회로(122), 입력모듈(123a), 연산모듈(123b), 및 제어모듈(123c)로 구성된 제어부(123), 전류검출센서(124), 및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 상체, 손, 하체, 발)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로 구성되고, 제어기능이 내장되는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 공급기(120);와,
제1 전극(131a), 압전물질(131b), 제2 전극(131c), 및 도선(131d)로 구성되는 교류전원 발생기(131), AC/DC변환부(132), DC/DC변환부(133), 전류검출기(134a), 가변제어기(134b), 제1 제어기(134c), 제2 제어기(134d),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 상체, 손, 하체, 발)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로 구성된 제어기능이 내장된 제어부(134)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제3 전원 공급기(130);와,
정류부(141), 컨버터부(142), 인버터부(143), 공진리액터(144), 펄스변압기(145),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 상체, 손, 하체, 발)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이 내장된 제어부(146), 게이트 구동부(147), 제1 컨덴사(148a), 및 제2 컨덴사(148b)로 구성되고제어기능이 내장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제4 전원 공급기(140);와
교류전원(AC) 공급부(151a) 또는 직류전원(DC:배터리) 공급부(151b)의 전원공급부(151), AC/DC변환부(152), 자동 공급전원 전환기(153)(ATS), 저주파 출력부(154),스위칭 소자(155),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 상체, 손, 하체, 발)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가 내장되어 제어기능이 내장된 제어부(156)으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기종이 선정되어 사용되는 전원 공급부(100);와,
전원 공급부(100)의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선정된 전원 공급기에서 가변되는 직류 전원(전류의 가변 또는 전압의 가변)의 +극 출력 도선(201) 및 -극 출력 도선(202)를 통하여 제어되지 않는 제1 스위치(211)를 거쳐 제2 스위치(212)의 입력선(212a-1, 212d-1)을 거쳐 마이컴(220)에 의해 제어되는 제2 스위치(212)에 전원이 공급되면 마이컴(220)의 제어에 의해 제2 스위치의 접점 3은 접접 2와 접촉 및 접점 1은 접점 4와 접촉하여 +극성 및 -극성이 역전되어 즉 +극성은 -극성으로, -극성은 +극성으로 변환(역극성)되어 제2 스위치의 출력선(212b-2, 212d-2)을 통하여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극성 역전 변환기(200);와,
다공성 섬유 구조체(311), 다공성 섬유 구조체의 기공(312;pore), 기공에 충전되는 전도성 물질(층)(313), 전도성층의 외부를 코팅하는 수지층(314)으로 구성되어 전도성 섬유로 직조(weaving)되는 양자코일의 제1 재질 구성(310);과,
다공성 섬유 구조체의 섬유원단(321)을 작업테이블(322) 위에 펼쳐놓고 그 위에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및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중에서 서로 한가지 형상이 조합된 제7형상(357) 중에서 어느 한가지 형상이 선정된 형상으로 타공된 틀(323)을 준비된 섬유원단(321)과 면접되게 설치한 다음 준비된 분사기(미도시)로 전도성 형성 용액을 분사하여 다공성 섬유 구조체의 기공(321a;pore)에 전도성 물질(321b)이 충전되게 한 후 코팅용 수지층(321c)을 분사한 후 건조기(미도시)에서 80 내지 120℃ 범위에서 1시간 내지 2시간 건조(324)하여 제작되는 양자코일의 제2 재질 구성(320);과,
베이스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331); 반응기(미도시)에 제1 수지를 투입하는단계(332a), 제2 수지를 투입하는 단계(332b), 무기물 충진제 도입단계(332c), 경화제 투입단계(332d), 교반단계(332e)로 제조된 수지 조성물 도포단계(332); 사전에 제1형상 내지 제7형상(미도시)중에 어느 한가지 형상이 선정된 형상으로 제작된 필름형태의 양자코일 적층단계(333); 열간 성형단계(334); 경화단계(335)로 유연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제조 공법으로 제작되는 양자코일의 제3 재질 구성(330);과,
별도 준비된 다공성 베이스섬유원단(341) 위에 동(CU), 스테인레스스틸(STS304, STS316L), 은(Ag), 티타늄(Ti)등에서 어느 한가지 재질이 선정된 금속 원판에 양자 에너지 발생코일의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및 이들의 형상중 한가지 이상이 조합된 제7 형상(357)(미도시) 중에 어느 한가지 형상이 선정된 형상으로 레이저를 이용한 모형따기 기술을 이용하여 가공(342)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을 면접되게 설치(343) 후 그 위에 덮개용 섬유원단을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을 면접되게 설치(344)하고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을 재봉(345)(sewing)하는 방법으로 제작되는 제4 재질 구성(340);과,
베이스 섬유원단(350a)위에 외부에 절연물질로 코팅된 직경 50um 내지 2mm 범위의 은, 구리, 니켈 등의 와이어 중 어느 한가지 재질을 선정하거나 또는 피복된 전선을 이용하여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및 이들 형상 중 한가지 이상의 형상이 조합된 제7 형상(357)에서 선정되어 권선(350b)된 양자코일(360a, 360b)을 준비된 베이스 섬유원단에 면접(350a)하게 올려 적층(350c) 후 다시 그 위에 별도 준비된 덮개용 섬유원단(350d)을 올려 놓은 후 재봉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재봉(sewing)(350e)하여 마감하는 방법으로 제작되는 제5 재질 구성(350) 중에 어느 한가지 이상의 재질이 선정되어 제작되는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재질(310-350);과,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권선되는 제1 형상(351),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권선되는 제2 형상(352), 원판 모양으로 변형된 솔레노이드 코일 형상의 제3 형상(353), 트로이드 코일 형상의 제4 형상(354), 뫼비어스 코일 형상의 제5 형상(355), 헬름홀츠 코일 형상의 제6형상(356) 및 이들 형상을 조합한 제7 형상(357) 중에 어느 한가지 형상으로 구현되는 양자에너지 발생코일 형상(351-357);과
캡(Cap), 햇(Hat), 귀달이 모자 또는 헬멧 등 인체 머리(두부)를 감싸는 부분(410), 목 부분에서 허리의 고관절 부분을 감싸는 재킷(Jacket)형, 피케(Piques)형, 목둘레를 조절하는 셔츠, 정장, 잠바 등의 상의(420), 양손을 감싸는 장갑(430), 허리부분에서 발목부분까지 감싸는 내복, 바지, 치마 등의 하의(440), 발부분을 감싸는 양말등의 의복에 상기 제1형상 내지 제7 형상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형상이 선정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 형상을 갖도록 직조(weaving) 또는 의복에 전도성 물질을 부분 분사, 또는 재봉(sewing) 또는 부착 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삭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전원 공급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전원 공급기(110)는 배터리 셀(111), DC/DC 컨버터(112), 전압 결정부(113a), 전압 및 전류 검출출센서(113b),제어회로(113c), 전원차단스위치(113d), 및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로 구성된 제어부(113)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셀(111)은 출력전압 출력전압 12V의 배터리를 1개 내지 복수개를 직렬 설치하거나 병렬 설치한다.
상기 DC/DC 컨버터(112)는 배터리셀(111)에서 공급되는 전압값 및 전류값을 복수개의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의 양자에너지를 생성하는 부하에 해당하는 전압값 및 전류값이 가변되는 출력 전원(4-12v)을 극성 역전 변환기(200)에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 셀(111)에서 DC/DC 컨버터(112)의 입력단자(미도시)에 DC 전원이 공급되면 DC/DC 컨버터용 스위칭 소자(미도시)가 자동으로 온(ON)되어 출력전원이 생성되도록 하고, 출력전원의 전압이 목표치에 도달되면 상기 스위칭 소자(미도시)를 오프(OFF)시킨다. 상기 스위칭 소자(미도시)를 오프(OFF)하면 출력전원의 전압이 내려가게 되는데, 기준치 이하로 내려가면 다시 상기 상기 스위칭 소자(미도시)가 온(ON)되게 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스위칭 소자가 ON/OFF를 반복하면서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13)는 전압 결정부(113a), 전압 검출센서(113b), PWM(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lation)제어방식과 펄스 주파수 변조 PFM(pulse frequence modlation) 및 펄스 주파수(밀도) 제어(PDM), 펄스 반복율 제어(PRR) 기능이 내장된 제어회로(113c), 전원차단 스위치(113d), 및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 상체, 손, 하체, 발)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로 구성되는데, 상기 전압 결정부(113a)는 DC/DC 컨버터(112)의 출력측에 설치된 전압 검출센서(112a)에서 제어회로(113)에서 펄스폭이 변조, 펄스 주파수(밀도)펄스 반복율에 대한 제어신호에 의해 DC/DC 컨버터(112)에서 펄스의 형태, 펄스 주기, 주파수 반복율, 주파수 버스트 길이 등이 조절된 펄스 전자계(Pulsed Eectrdmagnetic Field: PEMF)의 가변 전압이 극성역전 전환기(200)에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치를 계측하여 실시간 제어부(113)의 제어회로(113c)에 전송되는 전압을 전압 결정부(113a)에 실시간 전송하면, 전압 결정부(113a)는 사전에 프로그램 되어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분석한 후 관리표준치에서의 이탈 자료를 제어회로(113c)에 전송하면 제어회로에서 관리 표준치에서 이탈된 자료를 초기 입력된 자료와 비교분석하여 수정된 자료를 DC/DC 컨버터(112)에 전송하면, DC/DC 컨버터(112)에서 표준에서 이탈된 전원이 설정된 목표값 값을 만족하도록 수정된 전원이 가변 전압을 극성 역전 전환기(200)에 공급하면 극성 역전 변환기(200)에서 사전에 설정된 시간마다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 공급하는 직류전원, 즉, +전류는 -전류로, -전류는 +전류로 변환하여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 공급한다. 그러나 배터리셀(111)이 방전되거나 충전량이 정격 충전량보다 부족하여 정격 직류전압을 DC/DC 컨버터(112)에 공급하지 못할 경우에는 전원 공급기 및 배터리셀(111) 사이에 설치된 충전 스위치(113d)를 ON 하여 배터리셀(111)의 복수개 배터리를 충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3)에는 입력부(미도시)가 별도 내장되어 있어 사용자가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 공급되는 전류값, 전압값, 펄스의 형태, 펄스 주기, 주파수 버스트 길이, 전원 공급시간 및 정지시간(타이머 기능), 스위칭 소자기능,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신체온도 조절기능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타이이머 기능에서 전원 공급시간의 입력 데이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30초 내지 3분, 30초 내지 10분, 30초 내지 20분, 30초 내지 30분 범위내 구간으로 설정된 구간 중에서 어느 한 구간을 선정하여 입력부에 입력할 수 있고, 정지시간의 입력 데이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30초 내지 3분, 30초 내지 10분, 30초 내지 20분, 30초 내지 30분 범위내 구간으로 설정된 구간 중에서 어느 한 구간을 선정하여 입력부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이 사용자의 의복((모자(410), 상의(420), 장갑(430), 하의(440), 양말(450) 또는 신발(미도시)) 설치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 발열되는 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 상체, 손, 하체, 발)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온도 검출센서(미도시)에서 실시간 측정되는 온도를 도선(미도시)을 통해 제어부(113)에 전송하고, 제어부(113)에서 전송받은 측정된 온도 테이터를 분석하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전원 공급기(110)의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 공급하는 출력측 펄스형태(PEMF)의 전원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전원 공급시간 및 휴지 시간을 입력하면 한번 충전된 배터리의 제한적인 용량으로 오랜시간 사용할 수 있고 인체에 조사되는 양자에너지 조사상태를 펄스 파형으로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한 이차전지로 니켈-카드늄(Ni-Cd), 알카라인 전지, 니켈 수소전지(Ni-MH)전지, 밀페형납산(SLA), 리튬이온(Li-ion), 리튬폴리머(Li-polymer) 등에서 어느 한가지 기종이 선정되고 정류회로와 연결되어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정류하여 공급되는 전류를 충전시킨다.
상기 제1 전원 공급기(11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상부(흉부 및 배 등)를 감싸는 상의의 앞면 하부일측 또는 뒷면 하부일측의 내부 또는 외부에 별도의 주머니(미도시)을 만들어 내부에 설치된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제2 전원 공급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 전원 공급기(120)는 감압 변압기(121), 정류회로(122), 입력모듈(123a), 연산모듈(123b), 및 PWM(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lation) 제어방식과 펄스 주파수 변조 PFM(pulse frequence modlation) 및 펄스 주파수(밀도) 제어(PDM), 펄스 반복율 제어(PRR) 기능이 내장된 제어모듈(123c)로 구성된 제어부(123), 전류검출센서(124), 및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 상체, 손, 하체, 발)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로 구성되어, 단상 220V,60Hz의 교류전원을 감압 변압기(121)에 공급하면 감압 변압기(121)에서 단상 6 내지 50V범위이고, 60Hz의 교류전원으로 감압하고 정류회로(122)에서 단상 6 내지 50V범위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한다.
상기 제어부(123)의 입력모듈(123a)은 극성 역전 변환기(200)을 거쳐 제1 및 제2 자기장 발생코일(360a, 360b)에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단계별 전압값(V), 즉, 제1 및 제2 자기장 발생코일(360a, 350b)에 흐르는 가변전류의 최소(mA) 및 최대값(A), 가변자기장의 최소값(mT) 및 최대값(T), 단계별 전원 공급시간(초 내지 분,또는 분 내지 시간)등의 공급되는 전류값, 전압값, 펄스폭, 펄스밀도 펄스 주기, 주파수 버스트 길이, 주전원 공급시간 및 정지시간(타이머 기능), 스위칭 소자기능,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의 신체온도 조절기능 등의 변수(Parameter)를 내부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사용자가 상기 입력모듈(123a)의 모니터(미도시)에 상기 각각의 변수(Parameter)를 예를 들면, 1 내지 10단계 구분된 단계 중 운전단계를 설정한 다음 선정된 단계의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연산모듈(123b)은 입력모듈(123a)에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개의 변수(Parameter)를 연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가변 양자에너지 생성용 제1 자기장 발생코일(360a) 및 제2 자기장 발생코일(360b)에서 생성될 자기장 세기에 해당하는 전류량을 연산하는데, 해당하는 데이터를 미리 생성하여 자기장 세기값과 전류값을 일대일 매칭시키는 형태로 전류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장의 세기값이 1-10 사이인 경우, 1부터 10 사이에 해당하는 전류값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자기장의 세기값이 1인 경우에는 1에 해당하는 전류값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전류제어모듈(123c)은 연산모듈(123b)로부터 전송된 전류값에 따라 제1 자기장 발생코일(360a) 및 제2 자기장 발생코일(360b)에서 생성하고자 하는 자기장의 세기에 부합하는 전류를 생성하여 극성 역전 변환기(200)을 거쳐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 공급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인입선 중 한선에 또는 각각의 선에 설치된 전류 검출센서(124)가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인입선중 한선에 또는 각각의 선에 흐르는 전류치를 검출하여 연산 모듈(123b)에 실시간 전송하면 상기 입력모듈(123a)에 사용자가 입력된 변수(Parameter)별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의 상한 및 하한값에 이탈시 연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설정값의 상한 및 하한값에 이탈을 본래 설정값에 복원될 수 있도록 수정된 변수(Parameter)별 설정값을 전류제어모듈(123c)에 전송하여 전류제어모듈(123c)에서 단계별 변수별 수정된 전류에 적합한 전원을 극성 역전 변환기(200)에 공급하면 극성 역전 변환기(200)에서 사전에 설정된 시간(예, 30초 내지 5분 범위)마다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 공급하는 직류전원, 즉, +전류는 -전류로, -전류는 +전류로 변환하여 펄스형태(PEMF)의 전원을 상기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 공급한다.
또한, 연산모듈(123b)은 상기 생성된 전류값과 상기 전류 검출센서(124)로부터 수신된 현재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서 디지털화된 수신된 전류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른 PID 제어를 통해 요구되는 전류값을 상기 전류제어모듈(123c)에 전송한다.
또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이 사용자의 의복((모자(410), 상의(420), 장갑(430), 하의(440), 양말(450) 또는 신발(미도시)) 설치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 발열되는 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 상체, 손, 하체, 발)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온도 검출센서(미도시)에서 실시간 측정되는 온도를 도선(미도시)을 통해 제어부(123)에 전송하고, 제어부(123)에서 전송받은 측정된 온도 테이터를 분석하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전원 공급기(120)의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 공급하는 출력측 전원을 제어한다.
상기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권선된 형상,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권선된 형상, 원판모양으로 변형된 솔레노이드 코일(Solenoid Coil)타입, 트로이드 코일(Toroid Coil)타입, 헬름홀츠 코일(Helmholtz Coil) 타입, 뫼비어스 코일 형상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형상이 선택되며, 변형된 솔레노이드 코일(Solenoid Coil) 타입, 트로이드 코일(Toroid Coil) 타입, 헬름홀츠 코일(Helmholtz Coil) 타입 및 이들 형상이 조합된 타입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코일을 선정하여 사용한다.
상기 제2 전원 공급기(12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상부(흉부 및 배 등)를 감싸는 상의의 앞면 하부일측 또는 뒷면 하부일측의 내부 또는 외부에 별도의 주머니(미도시)을 만들어 내부에 설치된다.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제3 전원 공급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3 전원 공급기(130)는 교류전원 발생기(131), AC/DC변환부(132), DC/DC변환부(133), 및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 상체, 손, 하체, 발)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 PWM(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lation) 제어방식과 펄스 주파수 변조 PFM(pulse frequence modlation) 및 펄스 주파수(밀도) 제어(PDM), 펄스 반복율 제어(PRR) 기능이 내장된 제어부(134)로 구성된다.
상기 교류전원 발생기(131)는 제1 전극(131a), 압전물질(131b), 제2 전극(131c), 도선(131d)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전극(131a) 및 제2 전극(131c)의 재질은 티타늄(Ti), 백금(Pt), 탄탈륨(Ta), 크롬(Cr), 이리듐(Ir), 니켈(Ni), 팔라듐(Pd), 구리(Cu), 은(Ag), 금(Au), 철(Fe)등의 재질 중에서 어느 한가지 재질 이상이 선정되어 사용되고, 압전물질(131b)은 납지르코늄티타네이트(leadZirconate Titanate;PZT), 타이타늄산 바륨(BaTiO3), 인산이수소암모늄, 타타타르산에틸렌다이아민, 수정이나 티탄산바륨을 소결한 압전 세라믹등의 물질 중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이 선정되어 제작되고, 보행자의 신발하부에 복수개가 장착된 압전소자(131a)에서 보행자가 보행시 지면을 누르는 압력(체중)으로 내부에 장착된 제1 전극(131a)과 제2 전극(131b) 사이에 적층된 압전소자(131c)에 압력이 가해져 압축력이 가해지므로 압전소자(131c)가 변형되면서 생산되는 교류전원(기전력)을 발생시켜 도선(131d)를 통해 AC/DC변환부(132)로 공급한다.
상기 AC/DC변환부(132)는 상용 교류전원을 스위칭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 하는데 상기 교류전원 발생기(131)에서 생산하여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전자기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을 제거하는 필터(미도시)에서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고, 전자기 간섭이 제거된 교류전원을 정류기(미도시)에서 정류 및 평활하고, 이어 역율보정기(미도시)에서 정류된 교류전원을 역율 보정(Power Factor Correct)하여 DC/DC변환부(133)로 공급한다.
상기 DC/DC변환부(133)은 제어부(134)에서 펄스폭의 변조, 펄스 주파수(밀도)펄스 반복율에 대한 제어신호에 의해 펄스의 형태, 펄스 주기, 주파수 반복율, 주파수 버스트 길이조절 등의 제어 신호에 의해 조절된 펄스 전자계(Pulsed Eectrdmagnetic Field: PEMF) 형태의 전원을 극성역전 변환기(200)을 거쳐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 공급하는 출력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34)는 AC/DC변환부(132)로부터 상기 극성역전 변환기(200)를 거쳐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 공급하는 출력전원의 변화에 따라 피드백 받은 상기 직류전원을 스위칭 제어하여 상기 직류전원의 전압레벨을 가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4)는 상기 극성역전 변환기(200)을 거쳐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 공급하는 출력전원의 부하 전류의 변화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기(134a)와, 전류 검출기(134a)로부터의 부하전류가 사전에 설정된 전류값을 초과하면 동작하여 제1 및 제2 신호를 제공하는 가변제어기(134b)와 가변제어기(134b)로부터의 상기 제1 신호에 따라 DC/DC변환부(133)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1 제어기(134c)와, 가변제어기(134b)로부터의 상기 제2 신호에 따라 역율보정기(미도시)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2 제어기(134d)를 포함한다.
또한, 전원 공급시간 및 정지시간(타이머 기능), 스위칭 소자기능,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의 신체온도 조절기능 등을 제어기능에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이 사용자의 의복((모자(410), 상의(420), 장갑(430), 하의(440), 양말(450) 또는 신발(미도시))에 설치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 발열되는 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 상체, 손, 하체, 발)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온도 검출센서(미도시)에서 실시간 측정되는 온도를 도선(미도시)을 통해 제어부(135)에 전송하고, 제어부(135)에서 전송받은 측정된 온도 테이터를 분석하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전원 공급기(130)의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 공급하는 출력측 전원을 제어한다.
상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한 이차전지로 니켈-카드늄(Ni-Cd), 알카라인 전지, 니켈 수소전지(Ni-MH)전지, 밀페형납산(SLA), 리튬이온(Li-ion), 리튬폴리머(Li-polymer) 중에서 어느 한가지 기종이 선정하여 복수개가 직렬 또는 병렬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3 전원 공급기(13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상부(흉부 및 배 등)를 감싸는 상의의 앞면 하부일측 또는 뒷면 하부일측의 내부 또는 외부에 별도의 주머니(미도시)을 만들어 내부에 설치된다.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제4 전원 공급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4 전원 공급기(140)는 정류부(141), 컨버터부(142), 인버터부(143), 공진리액터(144), 펄스변압기(145),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 상체, 손, 하체, 발)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 및 PWM(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lation) 제어방식과 펄스 주파수 변조 PFM(pulse frequence modlation) 및 펄스 주파수(밀도) 제어(PDM), 펄스 반복율 제어(PRR) 기능이 내장된 제어부(146), 게이트 구동부(147), 제1 컨덴사(148a), 및 제2 컨덴사(148b)로 구성된다.
상기 정류부(141)은 입력되는 단상 220V60Hz의 교류전원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컨버터부(142)는 정류부(141)에서 교류전원이 직류전원으로 변환된 직류전압을 스위칭 동작을 통해 고전압으로 승압한다.
상기 제어부(146)의 펄스폭의 변조, 펄스 주파수(밀도) 펄스 반복율에 대한 제어신호에 의해 펄스의 형태, 펄스 주기, 주파수 반복율, 주파수 버스트 길이조절등의 제어 신호에 의해 인버터부(143)는 상기 컨버터부(142)부에서 승압된 직류전압을 교류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전압으로 변조한다.
상기 공진리액터(144)는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부하를 매칭한다.
상기 펄스변압부(145)는 상기 인버터부(143)의 출력전압을 승압시킨다. 상기 펄스변압부(145)의 출력전압을 인가받는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과 상기 인버터부(143)의 스위칭 출력의 펄스 진폭 변조(PAM)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컨버터부(142)의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신호를 형성하고,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하여 양자에너지 생성량을 조절하기 위해 펄스의 진폭과는 독립적으로 펄스 주파수(밀도) 제어(PDM)가 가능한 신호를 형성하는 제어부(146) 및 상기 제어부(146)로부터 인가된 제어신호의 전압을 증폭시켜 상기 컨버터(142) 및 인버터(143)로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1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정류부(141)을 통해 정류된 전압의 리플을 저감시킴으로써 제1 콘덴서(148a) 전압을 상기 컨버터부(142)로 입력하도록 하는 제1 콘덴서(148a) 및 상기 컨버터부(142)를 통해 승압된 직류 전압의 리플을 저감시킴으로써 제2 콘덴서(148b) 상기 인버터(143)부로 입력하도록 하는 제2 콘덴서(148b)를 포함한다.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정류부(141)에서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고, 컨버터부(142)에서 직류전압을 스위칭 동작을 통해 승압한 후 인버터부(143)에서 승압된 직류전압을 교류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전압으로 변조한 다음, 펄스변압부(145)에서 인버터부(143)의 출력전압을 승압시켜서 극성 역전 변환기(200)로 인가한다.
또한, 제어부(146) 내부에는 입력부(미도시)가 별도 내장되어 있어 사용자가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 공급되는 전류값, 전압값, 주파수값, 전원 공급시간 및 정지시간(타이머 기능), 스위칭 기능,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의 신체온도 조절기능 등의 제어기능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 기능에서 전원 공급시간의 입력 데이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30초 내지 3분, 30초 내지 10분, 30초 내지 20분, 30초 내지 30분 범위내 구간으로 설정된 구간 중에서 어느 한구간을 선정하여 입력부에 입력할 수 있고, 정지시간의 입력 데이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30초 내지 3분, 30초 내지 10분, 30초 내지 20분, 30초 내지 30분 범위내 구간으로 설정된 구간 중에서 어느 한구간을 선정하여 입력부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이 사용자의 의복((모자(410), 상의(420), 장갑(430), 하의(440), 양말(450) 또는 신발(미도시))에 설치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 발열되는 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상체,손,하체,발)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온도 검출센서(미도시)에서 실시간 측정되는 온도를 도선(미도시)을 통해 제어부(146)에 전송하고, 제어부(146)에서 전송받은 측정된 온도 테이터를 분석하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전원 공급기(140)의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 공급하는 출력측 전원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전원 공급시간 및 휴지 시간을 입력하면 한번 충전된 배터리의 제한적인 용량으로 오랜시간 사용할수 있고 인체에 조사되는 양자에너지 조사상태를 펄스 파형으로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전원 공급기(14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상부(흉부 및 배 등)를 감싸는 상의의 앞면 하부일측 또는 뒷면 하부일측의 내부 또는 외부에 별도의 주머니(미도시)을 만들어 내부에 설치된다.
도 3d는 도 1에 도시된 제5 전원 공급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5 전원 공급기(150)는 교류전원(AC) 공급기(151a) 또는 직류전원(DC:배터리) 공급기(151b)로 구성된 전원공급부(151), AC/DC변환부(152), 자동 공급전원 전환기(153)(ATS), 저주파 생성 및 출력부(154), 스위칭 소자(155),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 PWM(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lation)제어방식 과 펄스 주파수 변조 PFM(pulse frequence modlation) 및 펄스 주파수(밀도) 제어(PDM), 펄스 반복율 제어(PRR)기능이 내장된 제어부(156)으로 구성된다.
전원공급부(151)의 교류전원(AC) 공급기(151a)에서 220V 6Hz의 교류 전원을 감압 변압기(미도시)에 공급하면 감압 변압기(미도시)에서 단상 6 내지 50V범위이고, 60Hz의 교류전원으로 감압하여 자동 공급전원 전환기(153)(ATS)를 경유하여 AC/DC변환기(152)에 공급하여 단상 6 내지 50V범위의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자동 공급전원 전환기(153)(ATS)를 경유하여 발진기(154a), 주파수분배부(154b), 조절부(154c), 증폭부(154d)로 구성된 저주파 또는 고주파 생성 및 출력부(154)에 공급하거나 또는 직류전원 공급기(151b)(배터리)에서 6 내지 50V범위의 직류전원을 자동 공급전원 전환기(153)(ATS)를 경유하여 발진기(154a), 주파수분배부(154b), 조절부(154c), 증폭부(154d)로 구성된 저주파 또는 고주파 생성 및 출력부(154)에 공급하면 발진기(154a)에서 사전에 설정한 데이터를 사전에 프로그램하여 제어부(156)에 입력되고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인가될 적합한 전자파를 생성하여 주파수분배부(154b)에 인가하면, 주파수분배부(154b)에서 발진기(154a)에서 생성된 전자파를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 서로 다른방향의 주파수가 중첩되어 제로자기장 상태에서 발생되는 양자에너지를 충분하게 생성될 수 있도록 저주파 신호로 변환하고, 조절부(154c)에 인가하면 조절부(154c)에서 제어부(156)의 제어에 따라 주파수분배부(154b)에서 생성된 저주파 신호의 펄스를 조절하여 저주파 또는 고주파의 강도를 조절하여 증폭부(154d)에 인가하면, 증폭부(154d)에서 조절부(154c)를 통한 저주파 펄스 신호를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 증폭하여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스위칭 소자(155)를 거쳐 극성 역전 변환기(200)에 인가한다.
또한, 제어부(156)의 제어회로에 전원 공급시간 및 정지시간(타이머 기능),스위칭 소자기능 등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한 이차전지로 니켈-카드늄(Ni-Cd), 알카라인 전지, 니켈 수소전지(Ni-MH)전지, 밀페형납산(SLA), 리튬이온(Li-ion), 리튬폴리머(Li-polymer) 등에서 어느 한가지 기종이 선정되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5 전원 공급기(15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상부(흉부 및 배 등)를 감싸는 상의의 앞면 하부일측 또는 뒷면 하부일측의 내부 또는 외부에 별도의 주머니(미도시)을 만들어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전원공급기(110, 120, 130, 140, 150)의 입력부 또는 제어부에 입력하는 데이터는 양자공명분석기(quantum resonance spectrometer)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사용자를 검체판상에 올려놓고 이 검체판을 통하여 사용자의 각각의 장기 등의 분석대상의 주파수를 갖는 파동을 가하여 이에 공명하는 사용자의 미약자기에너지를 검색 분석함으로써 사용자 생체정보의 이상유무를 검사 및 판단하여 사용자 인체의 해당 장부의 공명 수치가 일정 기준 이하를 이루는 경우 건강한 상태의 공명수치 또는 자기에너지 수치와 비교하여 계량한 후에 건강한 상태로의 복원에 해당하는 자기장의 세기와 양자에너지 조사량을 산출하여 또한,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전원공급기(110, 120, 130, 140, 150)의 입력부 또는 제어부에 입력할 수 있다.
삭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극성역전 변환기의 정극성 계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극성역전 변환기의 역전극성 계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극성 역전 변환기(200)는 내부에 접점 1(211a) 및 점점 2(211b)를 포용하며, 마이컴(220)과 연결되어 제어되는 제1 스위치(211), 내부에 접점 1(212a), 점점 2(212b), 접점 3(212c), 점점 4(212d)를 포용하며, 마이컴(220)과 연결되어 제어되는 제2 스위치(212)와 제1 스위치(211)의 입력선(201, 202) 및 제2 스위치(212)의 입력선(212a-1, 212b-1, 212c-1, 212d-1) 및 출력선(212a-2, 212b-2, 212c-2, 212d-2)로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원 공급부(200)의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선정된 전원 공급기에서 가변되는 직류 전원(전류의 가변 또는 전압의 가변)의 +극 출력 도선(201) 및 -극 출력 도선(202)를 통하여 마이컴(220)에 의해 제어되는 제1 스위치(211)에 전원이 공급되면 마이컴(220)에 의해 제1 스위치(211)의 제어에 의해 극성(+ 및 -)의 변환없이(정극성) 제2 스위치(제어되지 않음)의 입력선(212a-1, 212d-1) 및 출력선(212a-2, 212d-2)을 통하여 도 10에 도시된 모자에 설치된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의 점점부(101), 도 11a에 도시된 상의에 설치된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의 점점부(101), 도 11b에 도시된 장갑에 설치된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의 점점부(101), 도 11c에 도시된 하의에 설치된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의 점점부(101), 도 11d에 도시된 양말 또는 신발(미도시)에 설치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점점부(101)를 통하여 머리부분의 모자, 신체 상부 부분의 상의, 손부분의 장갑, 신체 고관절부 및 다리부분의 하의, 신체 발부분의 양말부분 중에서 어느 한 개소 또는 어느 한 개소 이상 또는 전부에 설치된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 도선(미도시) 및 접점부(101)를 통하여 가변전원을 공급하면 전류의 흐름 방향에 90도 각도로 가변 전원공급에 의한 가변자기장이 생성되어 신체에 조사되면서 전류의 흐름 방향이 반대방향으로 설치된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생성되는 가변 자기장이 신체 중심부분에서 중첩 소멸되면서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양자에너지가 생성되어 신체에 조사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원 공급부(200)의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 5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선정된 전원 공급기에서 가변되는 직류 전원(전류의 가변 또는 전압의 가변)의 +극 출력 도선(201) 및 -극 출력 도선(202)를 통하여 제어되지 않는 제1 스위치(211)를 거쳐 제2 스위치(212)의 입력선(212a-1, 212d-1)을 거쳐 마이컴(220)에 의해 제어되는 제2 스위치(212)에 전원이 공급되면 마이컴(220)의 제어에 의해 제2 스위치의 접점 3(212c)은 접접 2(212b)와 접촉 및 접점 1(212a)은 접점 4(212d)와 접촉하여 +극성 및 -극성이 역전되어 즉 +극성은 -극성으로, -극성은 +극성으로 변환(역극성)되어 제2 스위치의 출력선(212b-2, 212d-2)을 통하여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 가변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1 스위치(211) 및 제2 스위치(212)에서의 극성의 변환 주기는 1 내지 10초 범위, 10초에서 30초 범위, 30초에서 5분범위, 5분에서 20분 범위등 사용자의 원하는 시간을 상기 마이컴에 입력하면 마이컴의 제어 회로에 의해 입력된 시간마다 도 10에 도시된 모자에 설치된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점점부(101), 도 11a에 도시된 상의에 설치된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의 점점부(101), 도 11b에 도시된 장갑에 설치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점점부(101), 도 11c에 도시된 하의에 설치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점점부(101), 도 11d에 도시된 양말 또는 신발(미도시)에 설치된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의 점점부(101)를 통하여 머리부분의 모자, 신체 상부 부분의 상의, 손부분의 장갑, 신체 고관절부 및 다리부분의 하의, 신체 발부분의 양말부분 중에서 어느 한 개소 또는 어느 한 개소 이상 또는 전부에 설치된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 가변전원을 공급하여 제1, 제2, 제3, 제4, 제5 전원 공급기(110, 120, 130, 140, 150)에서 공급되는 가변전원의 극성(+, -)을 설정된 시간마다 역전(-, +)변환시켜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 도선(미도시) 및 접점부(101)를 통하여 가변전원을 공급하면, 전류의 흐름 방향에 90도 각도로 가변 전원공급에 의한 가변자기장이 생성되어 신체에 조사되면서 전류의 흐름 방향이 반대방향으로 설치된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생성되는 가변 자기장이 신체 중심부분에서 중첩 소멸되면서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양자에너지가 생성되어 신체에 조사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1 재질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재질은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재질이어야 하며, 선택적으로 발열체 기능도 있어야 하며, 전도성과 선택적으로 발열기능이 확보되면 어떠한 재질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전도성 조건을 충족하는 제1 재질은 전도성을 갖는 섬유이며, 전도성 섬유의 구성 및 제조방법은 다공성 섬유 구조체(311), 다공성 섬유 구조체의 기공(312;pore), 기공에 충전되는 전도성 물질(층)(313), 및 전도성층의 외부를 코팅하는 수지층(314)로 구성된다.
상기 다공성 섬유 구조체의 섬유는 나일론, 폴리이미드, 폴리아라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닐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리덴 플로오라이드, 폴리비닐 부틸렌, 폴리우레탄, 폴리벤즈옥사졸,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이들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섬유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섬유 구조체의 기공(312;pore)은 상기 다공성 섬유 구조체 자체에 형성된 기공(312;pore)을 지칭한다.
상기 전도성 물질은 철(Fe),지르코늄(Zr), 베릴륨(Be), 망간(Mn), 게르마늄(Ge), 아연(Zn), 팔라듐(Pd), 구리(Cu), 로듐(Rh), 마그네슘(Mg), 주석(Sn), 은(Ag), 비스무트(Bi), 알루미늄(Al), 리튬(Li), 이리듐(Ir), 루테늄(Ru), 백금(Pt), 티타늄(Ti), 오스뮴(Os), 갈륨(Ga), 루비듐(Rb), 인듐이온(In) 등의 금속, 금속 나노 와이어(nanowire), 전도성 고분자물질중에 어느 한가지 물질이 선정된 전도성 금속의 양은 전체 전도성 물질 총량의 30% 내지 70%범위가 되게하고, 발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탄소 나노 튜브(CNT) 및 그래핀(graphene), 카본블랙(Carbon Black)의 물질 중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을 선정하여 전체 전도성 물질 총량의 30%내지 70%범위가 되게하여 혼합한다.
상기 수지층(314)은 실리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릴, 알루미늄 옥사이드,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주지, 스티렌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열가소성 엘스토머, 폴리옥시알킬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실리콘 에폭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이 선택되어 사용된다.
교반기가 부착된 반응용기(미도시)에 옥새인(oxane) 용매, 아민(amine)계 용매, 폴리올계 용매, 알칸계(Alkane)용매, 벤젠(benzene)계 용매, 에테르계(ether)용매, 알콜(Alchol)계 용매 중에 어느 한가지 이상의 물질을 선정하고 적정량을 투여하고, 선정된 용매에 카본블랙(C), 아세틸렌 블랙(C), 케첸블랙(C) 등의 도전 재료중에 어느 한가지 이상의 물질을 선정하여 적정량(30% 내지 90% 범위)을 용매에 투여하여 교반기(미도시)를 가동하여 교반하면서 상기 아연(Zn), 팔라듐(Pd), 구리(Cu), 로듐(Rh), 마그네슘(Mg) 등의 금속분을 적정량을 투입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하고, 실리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릴, 알루미늄 옥사이드 등의 수지층(304)을 형성하는 물질 중에 어느 한가지 이상의 물질을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적량투입하여 교반하고, 이어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부틸 벤질 트리아졸, 2-아미노피리미딘 또는 5,6-디메틸벤즈이미다졸, 또는 2-아미노-5-머캅토-1,3,4-티아디아졸, 2-머캅토피미딘, 2-머캅토벤즈옥사졸, 2-머캅토"픗센팁*, 알킬 디티오티아디아졸, 4-메틸프탈산, 페닐 머캅토-테트라졸, 테트라클로로프탈산 등의 부식방지제 중에 어느 한가지 물질을 적량 투입하면서 교반기(미도시)로 교반을 게속하면서, 이어 퍼플루오르알킬 카르복실레이트물질을 투입하여 혼합액의 유동성을 조절하면서, 폴리아크릴산 또는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와 같은 아크릴 수지, 에틸 셀룰로스와 같은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바인더 수지 등의 분산제를 적량 투입 및 교반하면서 이외에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등의 계면 활성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같은 습윤 분산제를 적량 투입 및 교반기로 계속 교반하여 전도성층 형성용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한 후 상기 나일론, 폴리이미드, 폴리아라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닐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리덴 플로오라이드, 폴리비닐 부틸렌, 폴리우레탄, 폴리벤즈옥사졸,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이들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다공성 섬유 구조체를 함침, 스크린 프린팅, 스프레이 코팅, 닥터 블레이드 코팅, 그라비아 커팅, 롤투롤(R2R)인쇄 방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전도성 형성층을 형성하고 오븐(미도시)에서 80℃ 내지 150℃ 범위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제조한다. 상기 다공성 섬유상에 전도성 형성층을 형성하는 방법의 일예를 설명한 것이지 반드시 이에 국한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서는 다른 어떠한 방법이라도 다공성 섬유체에 전도성 형성층을 형성하면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은 상기 다공성 섬유 구조체의 늘어짐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다공성 섬유 구조체가 신전된 상태에서 형성될 수 있다. 세로 방향으로 전도성층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다공성 섬유 구조체를 상하로 신전하여 전도성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섬유 구조체의 신전시, 상기 다공성 섬유 구조체에 일정한 장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모서리 전체를 고정하여 신전하도록 한다. 상기 다공성 섬유 구조체의 재질 특성상 신축성이 좋은 경우 지나치게 많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래 길이의 1.3배 이하가 되도록 신전한다.
상기 전도성층 형성 후 상기 다공성 섬유 구조체를 원래 상태로 복원하면 치밀한 상태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용 전선이 형성되며, 상기 다공성 섬유 구조체가 늘어나더라도 끊어짐 없이 전류를 이동시켜 전류 흐름방향의 90도 각도로 발생되는 자기장을 생성시킬 수 있고, 반대방향으로 권선된 양자코일(전선으로 권선)에서 반대방향의 자기장이 생성되어 이웃 양자코일과의 중심거리에서 자기장이 중첩 소멸되면서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양자에너지가 생성되어 착용자의 중요 혈 자리 및 신체에 조사된다.
상기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권선은 상기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권선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권선하며, 권선의 형상은 상하, 좌우 지그재그 형상, 변형된 솔레노이드 코일(Solenoid Coil) 형상, 트로이드 코일(Toroid coil) 형상, 뫼비어스 코일 형상, 헬름홀츠 코일(Helmholtz coil) 등의 형상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형상을 선택하여 다공성 섬유 구조체는 직물(fabric) 또는 부직포(non-woven fabric)상에 권선한다.
또한,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용 재질은 충격을 덜 받는 부분은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팔굼치나 무릎등의 관절부위, 자주 접히거나 충격을 많이 받는 부위는 더욱 촘촘한 패턴으로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용 전선을 권선할 수 있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2 재질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재질은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재질이어야 하며, 선택적으로 발열체 기능도 있어야 하며, 전도성과 선택적으로 발열기능이 확보되면 어떠한 재질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구성 및 제조방법은 다공성 섬유 구조체의 섬유원단(321)을 작업테이블(322) 위에 펼쳐놓은 다음 도 5의 제1,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1 형상에서 도 9e의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6 형상 및 제1 형상 내지 제6 형상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된 제7 형상(357) 중에 어느 한가지 이상의 형상이 선정되고, 선정된 형상만 타공된 틀(323)을 준비된 섬유원단과 면접되게 설치한 다음 준비된 분사기(미도시)로 도 6의 제조공법으로 제조되는 상기 섬유원단(321)의 다공성 섬유 구조체의 섬유(321a)는 나일론, 폴리이미드, 폴리아라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닐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리덴 플로오라이드, 폴리비닐 부틸렌, 폴리우레탄, 폴리벤즈옥사졸,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이들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종류의 다공성 섬유 구조체이며, 상기 다공성 섬유 구조체의 기공(321b;pore)에 충전되는 전도성 물질은 철(Fe), 지르코늄(Zr), 베릴륨(Be), 망간(Mn), 게르마늄(Ge), 아연(Zn), 팔라듐(Pd), 구리(Cu), 로듐(Rh), 마그네슘(Mg), 주석(Sn), 은(Ag), 비스무트(Bi), 알루미늄(Al), 리튬(Li), 이리듐(Ir), 루테늄(Ru), 백금(Pt), 티타늄(Ti), 오스뮴(Os), 갈륨(Ga), 루비듐(Rb), 인듐이온(In) 등의 금속, 금속 나노 와이어(nanowire), 전도성 고분자 물질 중에 어느 한가지 이상이 선정된 전도성 금속(321b)의 양은 전체 전도성 물질 총량의 30 %내지 70%범위가 되게하고, 발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탄소 나노 튜브(CNT) 및 그래핀(graphene), 카본블랙(Carbon Black)의 물질(321b)중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을 선정하여 전체 전도성 물질 총량의 30% 내지 70% 범위가 되게하여 교반기가 부착된 반응기(미도시)에 상기 선정된 전도성 금속 및 발열기능의 투입하고 일정시간 교반하면서 점도 조절 후 분사기(미도시)로 전체 의복(모자,상의,장갑,하의,양말) 중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및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중에서 서로 한가지 형상이 조합된 제7 형상(357)(미도시) 중에서 어느 한가지 형상이 선정된 형상에만 부분 분사하여 건조기(미도시)에서 80 내지 120℃ 범위에서 1시간 내지 2시간 건조 후 냉각한 섬유원단(321)을 작업테이블(322) 위에 펼쳐놓은 다음 도 5의 제1,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1 형상에서 도 9e의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6 형상 및 제1 형상 내지 제6 형상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된 제7 형상(357) 중에 어느 한가지 이상의 형상이 선정되고, 선정된 형상만 타공된 틀(323)을 준비된 섬유원단과 면접되게 설치한 다음 다시 교반기가 부착된 반응기(미도시)에 수지층(321c)을 형성하는 실리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릴, 알루미늄 옥사이드,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주지, 스티렌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열가소성 엘스토머, 폴리옥시알킬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실리콘 에폭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이 선택하고, 선택된 수지를 교반기가 부착된 반응기(미도시)에 일정량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옥새인(oxane) 용매, 아민(amine)계 용매, 폴리올계 용매, 알칸계(Alkane)용매, 벤젠(benzene)계 용매, 에테르계(ether)용매, 알콜(Alchol)계 용매 중에 어느 한가지 이상의 물질을 선정하고, 선정된 용매를 적량 투여하여 교반하면서 점도를 조절한 후 분사기(미도시)로 전체 의복(모자,상의,장갑,하의,양말) 중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및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중에서 서로 한가지 형상이 조합된 제7 형상(357)(미도시) 중에서 어느 한가지 형상이 선정된 형상에만 부분 분사하여 코팅용 수지층(321c)을 형성 후 건조기(미도시)에서 80 내지 120℃ 범위에서 1시간 내지 2시간 건조 후 냉각하여 전도성 및 발열기능을 부분적으로 갖는 섬유 원단(324)을 제조한다.
상기 다공성 섬유상에 전도성 형성층을 형성하는 방법의 일예를 설명한 것이지 반드시 이에 국한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서는 다른 어떠한 방법이라도 다공성 섬유체에 전도성 형성층을 형성 발열기능을 부여하면 된다.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3 재질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재질은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재질이어야 하며, 선택적으로 발열체 기능도 있어야 하며, 전도성과 선택적으로 발열기능이 확보되면 어떠한 재질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재질의 제3 제조방법은 유연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제조 공법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상기 유연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형태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을 제작방법은 베이스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331); 수지 조성물 도포단계(332); 양자코일 적층단계(333); 열간 성형단계(334); 경화단계(325)로 구성된다. 베이스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331)에서 준비되는 베이스 필름의 재질은 폴리이미드(polyim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DMS(polymethylsiloxane),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중의 어느 한가지 재질을 선정하여 사용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접하는 신체부위에 적합하게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다각형등 다양한 형상 중에 어느 한가지 이상의 형상을 선정하여 사용하고, 면적은 1cm2, 4cm2, 9cm2, 16cm2, 25cm2, 36cm2등 다양한 면적을 갖도록 준비한다.
상기 수지 조성물 도포단계(332)에서의 수지조성물의 제조단계는 제1수지투입단계(332a); 제2수지투입단계(332b); 무기물 충전제 투입단계(332c); 경화제 투입 단계(332d); 교반단계(332e)로 구분된다.
상기 수지투입단계(332a)에서 반응기(미도시)에 투입되는 제1 수지의 재료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DMS(polymethylsiloxane),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중의 어느 한가지 재질을 선정하여 반응기에 투입하고,
상기 제2 수지투입단계(332a)에서 반응기(미도시)에 투입되는 제2 수지의 재료는 테트라히드로프탈 산무수물, 헥사히드로프탈 산무수물, 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무수물, PDMA(Pylomellitic dianhydride), BTDA(Benzophenon teyracarboxylic dianhydride), TMEG(Ethylene glycol bis-trimellitic dianhydride), TMTA(glycerol tris-trimellitic dianhydride), MCTC(5-(2,5-dioxotetrahydropryle)-3-cyclohexene-1,2-dicarboxylic anhydride), TDA(2,5-dioxotetranhydrofuran-3-y1)1,2,3,4-tetrahydronaphthalene-1,2-dicarboxyl anhydride) 등의 다관능 산무수물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물질을 선정하여 반응기(미도시)에 투입하고, 무기물 충전제 투입단계(332c)에서 반응기(미도시)에서 투입되는 무기물은 발열기능을 부여되게 투입되는 무기물의 총량의 카본블랙(C), 아세틸렌 블랙(C), 케첸블랙(C) 등의 도전 재료 중에 어느 한가지 이상의 물질을 선정하여 적정량의 30% 내지 70% 범위의 적정량과 질화물계 필러, 알루미나, 실리카 중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이 선택되어 투입되는 무기물의 총량의 30% 내지 70% 범위의 적정량 및 경화제가 투입된 후 교반기(322e)를 일정시간 가동하여 일정한 점도를 갖도록 제조한 후 고압 스프레이 건(미도시)을 이용하여 베이스 필름 준비단계(321)에서 준비된 일정 면적의 폴리이미드(polyim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DMS(polymethylsiloxane),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중에 선정된 어느 한가지 재질의 베이스 필름 표면에 일정 두께를 갖도록 수지조성물을 도포한다.
양자에너지 발생코일 적층단계(333)에서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재질은 동(Cu), 은(Ag), 금(Au) 등의 재질 중에 어느 한가지 재질을 선정한 후 양자코일의 제1 형상, 제2 형상, 제3 형상, 제4 형상, 제5 형상, 제6 형상 및 이들이 조합된 제7 형상(357)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형상을 선정하여 레이져 가공 또는 부식처리 또는 도금 등의 방법으로 형상을 가공한 후 상기 수지 조성물이 일정 두께로 도포된 베이스 필름(331)에 면접되게 열간 성형기의 하부 금형(미도시)에 적층한 후 열을 가하면서 상부금형(미도시)을 하강시켜 압축하여 일체화 시킨 후 꺼내어 냉각과정(공냉)에서 경화시켜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을 제작한다.
도 7c는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4 재질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재질은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재질이어야 하며, 선택적으로 발열체 기능도 있어야 하며, 전도성과 선택적으로 발열기능이 확보되면 어떠한 재질도 사용 가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재질의 구성 및 제 4 제조방법은 별도 준비된 다공성 베이스 섬유원단(341) 표면 상부와 면접되게 동(CU), 스테인레스스틸(STS304, STS316L), 은(Ag), 티타늄(Ti) 등에서 어느 한가지 재질이 선정된 금속 원판 또는 발열기능을 갖는 고강도로 압축 성형된 카본판재를 양자 에너지 발생코일의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및 이들의 조합된 제7 형상(357) 중에 어느 한가지 형상이 선정된 형상으로 레이저를 이용한 모형따기 기술을 이용하여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을 가공(342)하고, 가공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을 베이스 섬유원단(341) 표면 상부와 면접되게 설치(343)하고, 설치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 위에 덮개용 섬유 원단을 면접되게 설치(344)하고 재봉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을 권선하듯 재봉(345)하여 전도성과 선택적 발열기능을 갖도록 소면적을 갖는 패브릭으로 제작한다.
도 7d는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5 재질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재질은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재질이어야 하며, 선택적으로 발열체 기능도 있어야 하며, 전도성과 선택적으로 발열기능이 확보되면 어떠한 재질도 사용 가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재질의 구성 및 제 5 제조방법은 별도 준비된 베이스 섬유원단(350a)을 준비하고, 준비된 베이스 섬유원단(350a)위에 직경 50um 내지 2mm 범위의 은, 구리, 니켈 등의 와이어 및 탄소섬유, 흑연섬유, 중온 탄화섬유, 활성탄소섬유 등의 도전성 및 발열성 탄소섬유 중 어느 한가지 재질을 선정하여 외부에 절연물질로 코팅하거나 또는 피복된 발열재질(카본섬유, 니크롬선) 피복된 전선을 이용하여 제1 형상 내지 제6 형상 및 이들 형상 중에서 한가지 이상의 형상이 조합된 제7 형상(357) 중에서 어느 한가지 형상이 선정된 형상으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을 권선(350b)하고 권선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을 베이스 옷감 원단(350a) 표면에 면접하게 설치(350c) 후, 그 위에 덮개용 섬유원단을 적층(350d)하고 재봉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양자코일 형상으로 재봉(sewing)(350e)하여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을 고정한 후 재단기(미도시)로 일정 면적을 갖도록 재단하여 소면적을 갖는 복수개의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을 제작한다.
삭제
도 6의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1 재질(310), 도 7a의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2 재질(320), 도 7b의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3 재질(330), 도 7c의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4 재질(340), 도 7d의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5 재질(350)의 발열 기능에 의한 사용자 신체의 온열작용은 인체의 체온이 기준치(36.5℃)보다 상승하게 되면 인체세포, 면역력, 혈구의 활성도와 혈액순환은 상승하게 되고 42℃에서 최대가 된다.
반대로, 인체의 체온이 기준치(36.5℃)보다 낮아지게 되면 인체세포, 면역력, 혈구의 활성도와 혈액순환은 저하하여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것은 이미 학계의 많은 영구로 알려져 있다. 인체에서 질병을 야기시키는 유해균은 인체세포, 면역력, 혈구의 온열특성과는 반대로 체온이 기준치(36.5℃)보다 높아지게 되면 활성도는 점점 저하되고 인플루엔자는 39.5℃, 암세포 및 피부질환과 림프계통의 결핵균은 44℃에서 괴사된다. 또한, 전원 공급부(200)의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선정된 전원 공급기에서 가변되는 전원을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인가하면 전류의 흐름방향과 90도 각도로 발생되는 자기장이 발생되는데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의 발열 작용은 상기 자기장에 열적 에너지가 인가되어 더욱 활성화되고 인체에 앞면과 뒷면 또는 양측면에 권선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자기장이 발생되어 인체 중심부에서 중첩되어 소멸된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생성되는 양자에너지를 활성화시킨다.
삭제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1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1 형상(351)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이며 신장(늘어남)과 접힘(벤딩), 비틀림의 의한 코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세주름 형상으로 권선하여 전체형상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를 이룬다.
도 9a은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2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50a, 350b)의 제2 형상(352)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이며, 신장(늘어남)과 접힘(벤딩), 비틀림의 의한 코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세주름 형상으로 권선하여 전체형상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를 이룬다.
도 9b은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3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50a, 350b)의 제3 형상(353)은 변형된 솔레노이드 코일 형태이며, 신장(늘어남)과 접힘(벤딩), 비틀림의 의한 코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세주름 형상으로 권선하여 전체형상은 동심원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가장자리에서 중심방향 또는 중심방향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권선된 형상이다.
도 9c은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50a, 350b)의 제4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4 형상(354)은 트로이드 코일 형태이며 신장(늘어남)과 접힘(벤딩), 비틀림의 의한 코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세주름 형상으로 권선하여 전체형상은 나선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트위스트(사선)형상으로 감긴 형상이다.
도 9d은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5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5 형상(355)은 뫼비어스 코일 형상이며 신장(늘어남)과 접힘(벤딩), 비틀림에 의한 코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세주름 형상으로 권선하여 전체형상은 교차되는 이중나선(숫자 8형) 형태를 이룬다.
도 9e은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6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50a, 350b)의 제6 형상(356)은 헬름홀츠코일 형태이며 신장(늘어남)과 접힘(벤딩), 비틀림에 의한 코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세주름 형상으로 권선하여 전체형상은 이중 원 모양이다.
도 10은 도 8, 도 9a, 도 9b, 도 9c, 도 9d, 도 9e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351), 제2(352), 제3(353), 제4(354), 제5(355), 제6 형상(356), 이들 형상이 한가지 이상 조합된 제7 형상(357)의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이 머리부분(410)의 보호 카바 및 모자에 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머리부분(410)의 보호 카바 및 모자에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설치는 전도성 섬유로 직조(weaving)하거나, 또는 일반 섬유에 전도성 물질 및 발열기능을 갖는 물질을 사전에 선정된 양자 에너지 발생코일 형상에 부분 분사하여 전도성 및 발열기능을 갖게 하거나,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형상으로 제작된 유연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섬유원단에 부착하거나, 상하 원단 내부에 전도성 금속판을 레이저를 이용한 모형따기 기술을 이용하여 양자에너지 발생코일 형상으로 가공된 전도성 금속을 삽입 및 적층한 후 재봉(sewing)하거나, 베이스 섬유원단 위에 전도성 금속 재질의 와이어 또는, 피복된 전선을 이용하여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을 권선하고, 권선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을 베이스 섬유원단에 면접하게 설치하고, 그 위에 덮개용 섬유원단을 적층하여 재봉(sewing)하는 방식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방식을 선정하여 설치한다.
또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이 머리부분(410)의 보호 카바 및 모자에 설치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 발열되는 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 검출센서(미도시)를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하여 실시간 측정되는 온도를 도선(미도시)을 통해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전원 공급기가 선정된 전원 공급기의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에서 전송받은 측정된 온도 테이터를 분석하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전원 공급기가 선정된 전원 공급기의 출력측 전원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머리부분의 피복하는 카바 및 모자(410)의 전면 이마부분 및 머리 뒷면과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권선 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이 되게 하여 전원 공급부(100)의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전원 공급기가 선정된 전원 공급기에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형태의 전원을 공급하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 전류의 흐름 방향의 90도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발생 및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중첩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생성되는 맥동(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양자에너지가 발생되도록 설치한다.
도 10에 도시된 식별 번호 101은 전원 공급부(100)의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전원 공급기가 선정된 전원 공급기의 출력측에 연결된 극성 역전 변환기(200)의 출력측 도선에 연결되는 접착형 단자(101)이다.
삭제
도 11a는 도 8, 도 9a, 도 9b, 도 9c, 도 9d, 도 9e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351), 제2(352), 제3(353), 제4(354), 제5(355), 제6 형상(356) 및 제7 형상(357)이 상체부분을 피복하는 잠바 등의 상의(420)에 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상체부분을 피복하는 잠바 등의 상의(420)에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설치는 전도성 섬유로 직조(weaving)하거나, 또는 일반 섬유에 전도성 물질을 사전에 선정된 양자 에너지 발생코일 형상으로 전도성 물질을 부분 분사하여 전도성을 갖게 하거나,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형상으로 제작된 유연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섬유원단에 부착하거나, 상하 원단 내부에 전도성 금속판을 레이저를 이용한 모형따기 기술을 이용하여 양자에너지 발생코일 형상으로 가공된 전도성 금속을 삽입 및 적층한 후 재봉(sewing)하거나, 베이스 섬유원단 위에 전도성 금속 재질의 와이어 또는, 피복된 전선을 이용하여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을 권선하고, 권선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을 베이스 섬유원단에 면접하게 설치하고, 그 위에 덮개용 섬유원단을 적층하여 재봉(sewing)하는 방식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방식을 선정하여 설치한다.
또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이 잠바 등의 상의(420)에 설치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 발열되는 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 검출센서(미도시)를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하여 실시간 측정되는 온도를 도선(미도시)을 통해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전원 공급기가 선정된 전원 공급기의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에서 전송받은 측정된 온도 테이터를 분석하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전원 공급기가 선정된 전원 공급기의 출력측 전원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상체를 피복하는 상의(420) 전면 및 뒷면과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권선 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이 되게 하여 전원 공급부(100)의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전원 공급기가 선정된 전원 공급기에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공급하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 전류의 흐름 방향의 90도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발생 및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중첩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생성되는 맥동(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양자에너지가 발생되도록 설치한다.
도 11a에 도시된 식별 번호 101은 전원 공급부(100)의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전원 공급기가 선정된 전원 공급기의 출력측에 연결된 극성 역전 변환기(200)의 출력측 도선에 연결되는 접착형 단자(101)이다.
도 11b는 도 8, 도 9a, 도 9b, 도 9c, 도 9d, 도 9e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351), 제2(352), 제3(353), 제4(354), 제5(355), 제6 형상(356) 및 제7 형상(357)(미도시)이 손을 피복하는 장갑(430)에 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손을 피복하는 장갑(430)에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설치는 전도성 섬유로 직조(weaving)하거나, 또는 일반 섬유에 전도성 물질을 사전에 선정된 양자 에너지 발생코일 형상으로 전도성 물질을 부분 분사하여 전도성을 갖게 하거나,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형상으로 제작된 유연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섬유원단에 부착하거나, 상하 원단 내부에 전도성 금속판을 레이저를 이용한 모형따기 기술을 이용하여 양자에너지 발생코일 형상으로 가공된 전도성 금속을 삽입 및 적층한 후 재봉(sewing)하거나, 베이스 섬유원단 위에 전도성 금속 재질의 와이어 또는, 피복된 전선을 이용하여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을 권선하고, 권선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을 베이스 섬유원단에 면접하게 설치하고, 그 위에 덮개용 섬유원단을 적층하여 재봉(sewing)하는 방식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방식을 선정하여 설치한다.
또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이 장갑(430)에 설치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 발열되는 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 검출센서(미도시)를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하여 실시간 측정되는 온도를 도선(미도시)을 통해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전원 공급기가 선정된 전원 공급기의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에서 전송받은 측정된 온도 테이터를 분석하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전원 공급기가 선정된 전원 공급기의 출력측 전원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손을 피복하는 장갑의(430) 전면 및 뒷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권선 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이 되게 하여 전원 공급부(100)의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전원 공급기가 선정된 전원 공급기에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형태의 전원을 공급하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 전류의 흐름 방향의 90도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발생 및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중첩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생성되는 맥동(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양자에너지가 발생되도록 설치한다.
도 11b에 도시된 식별 번호 101은 전원 공급부(100)의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전원 공급기가 선정된 전원 공급기의 출력측에 연결된 극성 역전 변환기(200)의 출력측 도선에 연결되는 접착형 단자(101)이다.
도 11c는 도 8, 도 9a, 도 9b, 도 9c, 도 9d, 도 9e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351), 제2(352), 제3(353), 제4(354), 제5(355), 제6 형상(356) 및 제7 형상(미도시)이 하체를 피복하는 바지(440)에 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하체를 피복하는 바지(440)에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설치는 전도성 섬유로 직조(weaving)하거나, 또는 일반 섬유에 전도성 물질을 사전에 선정된 양자 에너지 발생코일 형상으로 전도성 물질을 부분 분사하여 전도성을 갖게 하거나,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형상으로 제작된 유연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섬유원단에 부착하거나, 상하 원단 내부에 전도성 금속판을 레이저를 이용한 모형따기 기술을 이용하여 양자에너지 발생코일 형상으로 가공된 전도성 금속을 삽입 및 적층한 후 재봉(sewing)하거나, 베이스 섬유원단 위에 전도성 금속 재질의 와이어 또는, 피복된 전선을 이용하여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을 권선하고, 권선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을 베이스 섬유원단에 면접하게 설치하고, 그 위에 덮개용 섬유원단을 적층하여 재봉(sewing)하는 방식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방식을 선정하여 설치한다.
또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이 바지(440)에 설치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 발열되는 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 검출센서(미도시)를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하여 실시간 측정되는 온도를 도선(미도시)을 통해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전원 공급기가 선정된 전원 공급기의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에서 전송받은 측정된 온도 테이터를 분석하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전원 공급기가 선정된 전원 공급기의 출력측 전원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하체를 피복하는 바지 등의 하의(440) 전면 및 뒷면과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권선 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이 되게 하여 전원 공급부(100)의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전원 공급기가 선정된 전원 공급기에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형태의 전원을 공급하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 전류의 흐름 방향의 90도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발생 및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중첩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생성되는 맥동(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양자에너지가 발생되도록 설치한다.
도 11c에 도시된 식별 번호 101은 전원 공급부(100)의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중에서 어느 한가지 전원 공급기가 선정된 전원 공급기의 출력측에 연결된 극성 역전 변환기(200)의 출력측 도선에 연결되는 접착형 단자(101)이다.
도 11d는 도 8, 도 9a, 도 9b, 도 9c, 도 9d, 도 9e에 도시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의 제1(351), 제2(352), 제3(353), 제4(354), 제5(355), 제6 형상(356) 및 제7 형상(357)(미도시)이 발을 피복하는 양말(450) 또는 신발(미도시)에 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발을 피복하는 양말(450) 또는 신발(미도시)에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설치는 전도성 섬유로 직조(weaving)하거나, 또는 일반 섬유에 전도성 물질을 사전에 선정된 양자 에너지 발생코일 형상으로 전도성 물질을 부분 분사하여 전도성을 갖게 하거나,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형상으로 제작된 유연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섬유원단에 부착하거나, 상하 원단 내부에 전도성 금속판을 레이저를 이용한 모형따기 기술을 이용하여 양자에너지 발생코일 형상으로 가공된 전도성 금속을 삽입 및 적층한 후 재봉(sewing)하거나, 베이스 섬유원단 위에 전도성 금속 재질의 와이어 또는, 피복된 전선을 이용하여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을 권선하고, 권선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을 베이스 섬유원단에 면접하게 설치하고, 그 위에 덮개용 섬유원단을 적층하여 재봉(sewing)하는 방식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방식을 선정하여 설치한다.
또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이 양말(450) 또는 신발(미도시)에 설치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 발열되는 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 검출센서(미도시)를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하여 실시간 측정되는 온도를 도선(미도시)을 통해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전원 공급기가 선정된 전원 공급기의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에서 전송받은 측정된 온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전원 공급기가 선정된 전원 공급기의 출력측 전원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발을 피복하는 양말(450) 또는 신발(미도시)의 윗면 및 바닥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권선 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이 되게 하여 전원 공급부(100)의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전원 공급기가 선정된 전원 공급기에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형태의 전원을 공급하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 전류의 흐름 방향의 90도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발생 및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중첩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생성되는 맥동(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양자에너지가 발생되도록 설치한다.
도 11d에 도시된 식별 번호 101은 전원 공급부(100)의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전원 공급기가 선정된 전원 공급기의 출력측에 연결된 극성 역전 변환기(200)의 출력측 도선에 연결되는 접착형 단자(101)이다.
전원공급기의 제어기능이 내장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 공급기(110), 제어기능이 내장되는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 공급기(120), 제어기능이 내장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제3 전원 공급기(130), 제어기능이 내장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제4 전원 공급기(140), 제어기능이 내장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기종이 선정되어 사용자가 제어회로의 입력부에 양자공명분석기(quantum resonance spectrometer)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사용자를 검체판상에 올려놓고 이 검체판을 통하여 사용자의 각각의 장기 등의 분석대상의 주파수를 갖는 파동을 가하여 이에 공명하는 사용자의 미약자기에너지를 검색 분석함으로써 사용자 생체정보의 이상유무를 검사 및 판단하여 사용자 인체의 해당 장부의 공명 수치가 일정 기준 이하를 이루는 경우 건강한 상태의 공명수치 또는 자기에너지 수치와 비교하여 계량한 후에 건강한 상태로의 복원에 해당하는 자기장의 세기와 양자에너지 조사량이 산출된 테이터를 입력하고, 입력된 테이터에 상응하는 제1 및 제2 자기장 발생코일(360a, 360b)에 공급되는 가변전압, 가변전류, 가변주파수, 자기장의 세기, 통전시간 등의 변수를 충족하는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 전원을 극성 역전 변환부(200)에 공급하면, 사전에 프로그램되어 제어회로에 입력된 자료에 의해 주기적으로 역전 변환기(200)의 출력측 극성을 변환하여 접촉형 단자(101)을 거쳐 인체의 머리부분을 감싸는 모자(410) 또는 상체를 감싸는 상의(420) 또는 손을 감싸는 장갑(430) 또는 하체를 감싸는 하의(440) 또는 발을 감싸는 양말 또는 신발(미도시)내부(450)에 설치된 제1 형상 내지 제7 형상 중에 어느 한가지 형상이 선정되어 설치되고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로 권선된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 각각 공급하거나 또는 전부 공급하면 전류의 흐름 방향의 90도 각도로 선정된 전원 공급기에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공급하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 전류의 흐름 방향의 90도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발생 및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중첩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생성되는 맥동(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양자에너지가 신체의 앞부분에 설치된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에서는 척추 방향으로 조사되고, 신체의 뒷부분에 설치된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서는 신체의 앞 방향으로 조사되어 신체 내부 중심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발생 및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중첩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생성되는 맥동(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양자에너지가 신체 내부를 조사하여 사용자의 신체(머리, 상체, 손, 하체, 발)를 구성하는 분자, 세포, 조직, 장기의 개체에 조사하여서 해당 장부의 공명 수치가 일정 기준 이하를 이루는 분자, 세포, 조직, 장기의 개체의 공명수치를 건강한 상태의 공명수치로 복원하고, 또한, 자기장이 조사되는 신체 개소에 물분자들이 정전기적인 견인력을 갖게되고, 장거리에서 간섭 현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물 쌍극자 사이의 수소결합이 감소하여 질서도가 높고, 물 분자의 덩어리가 작아져 이른바 '마이크로클러스터(microcluster)' 현상을 일으키며, 질서있는 기저 상태가 영구적으로 보전되고,또한 신체 내부의 물에 작은 전기교란을 주어 전기 분극화(polarization)를 일으켜 질병등 건강 장애에 의한 왜곡된 물의 양자 파동장을 유도하여 정상화하고,또한 신체(머리, 상체, 손, 하체, 발) 중심부에서 선정된 전원 공급기에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공급하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서 전류의 흐름 방향의 90도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발생 및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중첩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생성되는 맥동(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양자에너지가 생성되어 상기 분자, 세포, 조직, 장기의 개체에 조사하여서 나트륨이나 칼슘이온들의 미네랄을 활성시키고, 나선 구조의 세포막, 콜라겐, DNA, 차크라 들의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소용돌이(vortex) 운동을 유도 또는 에너지를 엄청나게 증폭시켜 건강을 증진하며, 또한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발열 기능에 의한 사용자 신체의 온열작용은 인체의 체온이 기준치(36.5℃)보다 상승하게 하여 인체세포, 면역력, 혈구의 활성도와 혈액순환은 상승하게 하여 더욱 건강을 증진시킨다.
삭제
삭제
인체 양자 파동장의 기능
미국의 정형외과 의사 베커(Robert Becker)는 동양의학에서 말하는 경혈과 경락에 관한 연구논문에서 경혈에 해당되는 피부는 인접한 피부에 비해 전기적 임피던스(impedance: 전기회로에 교류전원을 흘렸을 경우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가 약하다고 발표했으며, 결론적으로 동양의학에서 말하는 기는 '미세 에너지(양자 파동장)'이며 그것은 정보전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했다.
또한, 경혈에 가느다란 광선빔을 주사하면 주사한 지점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피부의 표면에서 광선빔이 방사되어 나온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에서 기는 '미세 에너지(양자 파동장)'이며 그것은 경락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고 했다.
인체의 세포와 세포사이의 공간을 메우고 있는 매트릭스(matrix)라는 조직은 이중 혹은 삼중의 나선 모양을 하고 있는 콜라겐(collagen)으로 이루어져 있어 압전성(piezoelectric)이 뛰어나다. 이뿐만 아니라 DNA를 포함하여 인체에서 나선형 구조를 하고 있는 수많은 단백질도 압전성을 보이는데 이들 압전성을 보이는 조직은 양자 파동장을 지니고 있으며 또한 정보 전달자 역할을 한다고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모든 세포는 양자 파동장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양자 파동장 방사도 하기 때문에 만약 어떤 세포가 병이 들면 그 병든 세포는 질병의 정보를 가진 양자 파동장을 다른 세포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세포가 그로 인해서 병이 들 수 있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 이것은 양자 파동장의 역기능이다.
이와 같이 양자 파동장에는 정보전달 기능이 있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인체에서 정보를 전파하는 방식에도 신경 점화에 의한 전달방식과 호르몬을 생성하여 전달하는 방식, 그리고 양자 파동장을 통해 정보를 전달한다.
삭제
삭제
반송파 기능
독일 과학자 포프는 생체광자(biophoton)의 기능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보를 운반하는 반송파(carrier wave)로서의 역할이라고 했다. 고주파의 진폭과 주파수를 변조하여 생체에서 분자 간, 세포 간, 조직 간, 장기 간에 정보를 전달하고자 할 때는 반드시 반송파가 있어야 하는데 그 역할을 하는 것이 생체광자이며, 생체 광자가 없으면 정보를 전달할 수 없어 세포, 조직, 장기는 살아남을 수 없다. 다시 말하면 생체광자에 의한 정보가 선행되지 않으면 어떤 화학 반응도 일어나지 않는다.
외부의 양자 파동장 인식기능
인체 내의 양자 파동장에는 인체 외부의 양자 파동장을 인식하는 기능이 있는데 그 내용을 알아보면 인체에서 방사되는 것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양자 파동장을 여러 조직에 조사하면 주파수 대역에 따라서 어떤 주파수는 생체에 유익하게 작용하고 또 다른 주파수는 생체를 해롭게 작용하는데, 이러한 효과는 분자, 세포, 개체수준에서 관찰할 수 있는데, 이것은 분자, 세포, 조직의 수준에 따라 외부의 양자 파동장을 인식하는 능력이 다르다는 것을 뜻한다.
생체가 외부의 양자 파동장에 노출되면 생체 내부의 조화 진동자(harmonic oscillator)가 작동하여 이를 인식한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 여기서 조화 진동자란 2개의 주파수가 동일한 주파수가 아니더라도 주파수의 정수배의 주파수는 서로 공명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다시 말하면 주파수 2Hz와 주파수 12Hz는 동일한 주파수는 아니지만 서로 공명할 수 있는데 그것은 주파수 12Hz가 주파수 2Hz의 정수배이기 때문이다. 생체 내부에는 원자도 분자도 고유의 양자 파동장을 지니고 있는데 이들의 주파수가 다르더라도 조화진동자 이론에 의해 공명함으로써 외부의 양자 파동장을 인식한다는 의미이다.
인체가 외부의 양자 파동장에 노출되면 인체 내부의 나트륨이나 칼슘이온들이 지닌 양자 파동장에 의해 인식된 다음 이 양자 파동장이 인체 내부에서 증폭과정을 거쳐서 강한 에너지로 변환된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 즉 나트륨이나 칼슘이온들이 외부의 양자 파동장을 인식한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잠깐 생체 내에서의 양자 파동장의 증폭과정을 살펴보면 인체에는 세포막, 콜라겐, DNA, 차크라 등과 같이 나선 구조로 되어 있는 것들이 많으며, 이들 나선 구조는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소용돌이(vortex)운동을 유도하기 때문에 에너지를 엄청나게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치 이온가속기(cyclotron)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공간의 영점장 에너지 흡수 기능
인체 내의 양자 파동장은 공간에 존재하는 영점장 에너지를 흡수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에 관해 연구된 내용들을 살펴보자.
○ 생체 내부의 이온들은 고유의 양자 파동장을 지니고 있으며 이 양자 파동장이 공간의 영점장 에너지를 생체 내부의 3차원 공간으로 직각으로 회전하면서 들어오게 해준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영점장 에너지는 3차원 공간을 무작위로 지나가고 있지만 우리들에게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공간의 구조가 90도 꺾이는 특별한 조건이 주어지면 영점장 에너지가 우리들의 3차원 공간 속으로 들어올 수 있다고 했다. 다시 말하면 생체 내부에 존재하는 이온들이 가진 양자 파동장이 공간의 구조를 90도 꺾어서 공간의 영점장 에너지를 생체 내부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 세포는 자신이 지니고 있는 양자 파동장이 부족하게 되면 우주 공간으로부터 영점장 에너지를 흡수해 세포의 양자 에너지를 안정시키는 기능을 한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이 때 공간으로부터 영점장 에너지를 흡수하는 현상을 '대칭성 파괴'라고 부르며 공간의 영점장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은 세포의 양자 파동장이 스스로 결정한다고 했다. 여기서 '대칭성 파괴'란 종파처럼 흐르는 4차원의 영점장 에너지가 90도로 꺾이면서 3차원의 전자기장으로 변환되어 횡파처럼 흐르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즉 차원이 서로 다른 에너지장으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 생체조직에는 수많은 액정 구조가 있는데 이 액정구조들은 공간의 영점장 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이뿐만 아니라 액정구조는 공간의 영점장 에너지를 흡수한 후에는 영점장 에너지를 전자기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역할도 한다고 했다. 다시 말하면, 공간에서 주어지는 영점장 에너지를 '정보 에너지'이기 때문에 이것이 생체 내부에서 생리적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힘을 발휘하는 에너지'인 전자기 에너지로 변화되어야 하는데, 이 때 영점장 에너지를 전자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구조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했으며 바로 그런 역할을 하는 것이 뇌 및 신체의 많은 부위에서 발견되는 액정 구조라고 했다.
○ 생체 내에서 칼슘 이온들이 세포막을 통과할 때는 특정한 이온 채널을 통과한다. 이 때 세포막의 이온 채널은 나선형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온들이 이 채널을 통과하면서 나선 운동을 하며 이 칼슘의 나선 운동에서 발생하는 공진 주파수를 정확히 계산하면 칼슘 이온이 마치 이온가속기를 통과하는 것과 같은 값을 얻을 수 있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그래서 이 칼슘 이온이 나선 운동을 할 때 공간의 영점장 에너지를 흡수한다고 했다.
○ 생체 내에서는 물 속에 잠긴 화학물질이 물 분자와 화학물질 사이에 형성된 양자 파동장이 공간의 영점장 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 DNA 및 RNA는 생체 내부에서는 결정 상태로 존재하며 그래서 DNA 및 RNA의 결정체가 양자 파동장을 형성하면서 공간의 영점장 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그래서 DNA 및 RNA를 생명 결정체(Life Crystal)라고 부른다.
자기조직화 기능
양자 파동장은 자기조직화(Self-Organization)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이 분야에 대해 가장 많은 연구를 한 사람은 1977년 노벨상을 수상한 벨기에의 화학물리학자 프리고진(Ilya Prigogine)이다. 프리고진이 밝혀낸 자기 조직화 기능에 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프리고진은 눈으로 보기에는 무질서한 분자에 대해 외부에서 서서히 에너지를 공급하면 분자들이 지속적으로 여기되고 평형에서 거리가 멀어지면서 임계점에 도달하게 되면 질서가 잡힌 새로운 구조가 창발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와 같이 새롭게 나타나는 질서를 산일구조(Dis-Sipative Structure)라고 불렀고 이 산일구조에서 자기조직화하는 기능이 생기는 것이라고 했다.
이러한 산일구조의 특징은 외부에서 물질이나 에너지를 공급받는 열린 계(Open System)이며, 비선형(Non-Linear) 반응을 하고, 평형과는 거리가 멀며, 음의 되먹임(Feedback) 뿐만 아니라 양의 되먹임 기능까지도 가능하고, 또한 무질서에서 질서를 만드는 구조라고 했다.
프리고진은 자기조직화 현상은 자연현상에서 흔히 관찰되는 자연의 본래 모습이라 했으며 다음과 같은 사례들을 제시했다.
○ 네온사인과 같은 발광관의 양쪽 끝에 거울을 설치하고 전압을 걸면 발광관 안에 있는 기체 원자들의 에너지 준위가 높은 상태로 여기되었다가 떨어지면서 발광을 한다. 이 때 여러 파장대의 빛이 나오는데 이 빛들이 거울 사이를 왔다 갔다 하면서 다른 기체 원자들을 계속 여기시켰다가 떨어지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거울 간의 거리와 공명하는 파장대의 빛만 남고 나머지는 서로 상쇄된다. 이렇게 하여 파장이 일정하고 결맞는(Coherent) 빛이 자발적으로 나오게 되는데 이것이 레이저광선이다. 이러한 현상은 광자의 양자 파동장이 강화되면서 나타나는 자기조직화 현상이다.
○ 15가지 종류의 효소들을 한곳에 모으고 여기에 충분한 시간과 지속적인 에너지를 서서히 가해 여기시키면 평형과 먼 시스템으로 유도할 수 있다. 그결과, 효소들이 효소를 스스로 생성하는 특이한 현상이 일어난다. 우리가 잘 아는 바와 같이 효소란 다른 화학물질의 반응속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뿐인데 효소가 효소를 생성한다는 사실은 너무나 특이한 일이다. 이와 같은 효소들의 특이한 행동은 효소들의 양자 파동장이 강화되면서 나타나는 자기조직화 현상이다.
○ 화학 분야에 '베나르 세포(Benard-cell)'라는 현상이 있다. 밑바닥이 평평한 커다란 냄비에 물을 붓고 냄비를 밑에서 낮은 온도로 서서히 열을 가하면 처음에는 열 전도에 의해 바닥의 물은 위로 올라가고, 위의 물은 아래로 내려오는데 바닥과 꼭대기의 온도 차가 일정한 임계치에 도달하면 열의 흐름이 갑자기 대류로 대체되면서 엄청난 숫자의 분자들이 일관된 운동에 의해 전달되면서 냄비 밑바닥에 '6각형 모양'의 벌집 같은 새로운 분자 질서가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이 베나르 세포는 분자들의 양자 파동장이 강화되면서 나타나는 자기조직화 현상이다.
○ 화학 분야에 벨로조프-자보틴스키 반응(Belousov-Zhabotinsky reaction)이라는 현상이 있다. 황산세륨, 말로닌산, 브롬화칼륨 등을 황산용액 속에 넣어 화학반응을 확인하면서 서서히 온도를 높인다. 액체에 공급하는 온도가 낮은 초기에, 즉 평형 상태에 가까울 때 액체는 특징없는 정상 상태를 유지한다. 서서히 온도가 증가하면 액체는 평형과 거리가 멀어지면서 임계값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갑자기 극적인 현상이 일어나는데, 자기촉매에 의해 어떤 혼합물질이 더 많이 생성되느냐에 따라 액체가 청색 → 보라색 → 붉은색의 순서로 바뀐 후에 다시 청색으로 돌아가는 순환과정을 반복한다. 이러한 현상을 비유해서 말하면, 100만 개의 흰 탁구공과 100만 개의 검은 탁구공을 유리 창문이 달린 탱크 속에 넣고 흔들면서 창문을 통해 그 들여다보면 탁구공들이 무작위로 섞여 혼란스럽게 부딪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갑자기 탁구공들의 모습이 모두 흰색으로 그리고 그 다음에는 검은색으로, 또 다시 흰색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색깔이 완전히 바뀌는 것과 같다. 이것이 벨로조프-자보틴스키 반응이다. 이러한 현상은 양자 파동장이 강화되면서 나타나는 자기조직화 현상이다.
정보의 저장과 기억 기능
양자 파동장은 정보를 저장하고 기억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은 이 분야에서 밝혀진 내용들이다.
○ 물에 특수한 용질 분자를 첨가하면 물 분자가 용질 분자를 에워싸게 되는데 이것을 물의 수화작용(hydration)이라 한다. 이러한 수화작용은 물의 양자 파동장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물에 기억 능력이 생긴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 양자 파동장이 강화된 물을 이용해 박테리아 용해 효소의 일종인 리소자임(Lysozyme)을 물로 희석하고 또 희석한 다음 이 효소의 생리적 작용을 관찰하면, 아무리 희석해도 물이 효소를 기억하고 있어 효소의 생리적 작용이 나타난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 물의 양자 파동장을 강화시킨 다음, 외부에서 물에 전자기장을 조사하면 물은 전자기장의 정보를 저장한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 유리병에 물을 담고 이 유리병을 솔레노이드 코일에서 방출되는 전자기장에 1분 이하 노출시키면 물의 양자 파동장이 강화되어 물의 기억력이 증가된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 물의 양자 파동장을 강화시킨 다음, 이 물에 특별한 주파수의 전자기장을 저장시키면 여러 방면에 응용할 수 있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예를들면, 양자 파동장이 강화된 물에 500Hz 이하 및 기가 헤르츠 범위의 특정 주파수로 충전된 물은 산업용 보일러의 물때를 벗기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특정 주파수를 물에 기억시키면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반대로 정전기장, 직류 전자기장, 초음파 등을 기억시킨 물은 식물의 성장을 억제할 수도 있다. 이것은 마치 디스켓에 정보를 저장하려면 먼저 포맷을 해야 하는 것과 같이 물도 정보를 잘 저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자기장으로 포맷한 다음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것과 같다.
101: 접착형 단자
110: 제1 전원 공급기 111: 배터리셀
112: DC/DC커버터 113: 제어부
113a: 전압결정부 113b: 전압 및 전류검출센서
113c: 제어회로
120: 제2 전원 공급기 121: 감압 변압기
122: 정류회로 123: 제어부
123a: 입력모듈 123b: 연산모듈
123c: 제어모듈 144: 전류 검출 센서
130: 제3 전원 공급기 131: 교류 전원 발생기
131a: 제1 전극 131b: 압전물질
131c: 제2 전극 131d: 도선
132: AC/DC 변환부 133: DC/DC 변환부
134: 제어모듈 134a: 전류 검출기
134b: 가변제어기 134c: 제1 제어기
134d: 제2 제어기
140: 제4 전원 공급기 141: 정류부
142: 컨버터부 143: 인버터부
144: 공진 리액터 145: 펄스 변압기
146: 제어부 147: 게이트 구동부
148a: 제1 컨덴사 148b: 제2 컨덴사
150: 제5 전원 공급기 151: 전원 공급기
151a: 교류전원 공급기 151b: 직류전원 공급기
152: AC/DC변환부 153: 자동공급전원 전환기
154: 저주파 생성 및 출력부 154a: 발진기
154b: 주파수 분배부 154c: 조절부
154d: 증폭부 155: 스위칭 소자부
156: 제어부
200: 극성 역전 변환기 201: +극 도선
202: -극 도선 211: 제1 스위치
211a: 접점 1 211b: 접점 2
212: 제2 스위치 212a: 접점 1
212b: 접점 2 212c: 접점 3
212d: 접점 4 212a-1: 입력선 1
212b-1: 입력선 2 212c-1: 입력선 3
212d-1: 입력선 4
212a-2: 출력선 1 212b-2: 출력선 2
212c-2: 출력선 3 212d-2: 츨력선 4
311: 다공성 섬유체 312: 다공성 섬유체의 기공
313: 전도성 물질 층 314: 수지층
321: 섬유원단 322: 작업 테이블
323: 틀 324: 분사기
331: 베이스 필름 332: 수지 조성물
332a: 제1 수지 332b: 제2 수지
332c: 무기물 332d: 경화제
341: 섬유원단 342: 금속 와이어
343: 양자코일과 섬유원단의 적층 344: 양자코일과 섬유원단의 재봉
351: 하부 베이스섬유원단 352: 금속 와이어 또는 피복된 전선
353: 상부 베이스섬유원단 354: 양자코일과 섬유원단의 적층
355: 양자코일을 권선하듯 섬유원단을 재봉
360a: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
360b: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
351: 제1 및 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1 형상
352: 제1 및 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2 형상
353: 제1 및 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3 형상
354: 제1 및 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4 형상
355: 제1 및 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5 형상
356: 제1 및 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6 형상
410: 모자부문
420: 상의 부문
430: 손 부문
440: 바지부문
450: 양말 및 신발부문

Claims (20)

  1. 배터리 셀(111), DC/DC 컨버터(112), 전압결정부(113a), 전압 및 전류 검출출센서(113b), 제어회로(113c), 전원차단스위치(113d), 및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가 내장된 제어부(113)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 공급기(110);와,
    감압 변압기(121), 정류회로(122), 입력모듈(123a), 연산모듈(123b), 및 제어모듈(123c),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가 내장된 제어부(123), 및 전류검출센서(124)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 공급기(120);와,
    제1 전극(131a), 압전물질(131b), 제2 전극(131c), 및 도선(131d)로 구성되는 교류전원 발생기(131), AC/DC변환부(132), DC/DC변환부(133) 및 전류검출기(134a), 가변제어기(134b), 제1 제어기(134c), 제2 제어기(134d),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가 내장된 제어부(134)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제3 전원 공급기(130);와,
    정류부(141), 컨버터부(142), 인버터부(143), 공진리액터(144), 펄스변압기(145),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 상체, 손, 하체, 발)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이 내장된 제어부(146), 게이트 구동부(147), 제1 컨덴사(148a), 및 제2 컨덴사(148b)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제4 전원 공급기(140);와
    교류전원(AC) 공급부(151a) 또는 직류전원(DC:배터리) 공급부(151b)의 전원공급부(151), AC/DC변환부(152), 자동 공급전원 전환기(153)(ATS), 발진기(154a), 주파수분배부(154b), 조절부(154c), 증폭부(154d)로 구성된 저주파 생성 및 출력부(154), 스위칭 소자(155),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가 내장된 제어부(156)으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기종이 선정되어 사용되는 전원 공급부(100);와,
    전원 공급부(100)의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제5 전원 공급기(150) 중에서 선정된 전원 공급기에서 가변되는 직류 전원(전류의 가변 또는 전압의 가변)의 +극 출력 도선(201) 및 -극 출력 도선(202)를 통하여 제어되지 않는 제1 스위치(211)를 거쳐 제2 스위치(212)의 입력선(212a-1, 212d-1)을 거쳐 마이컴(220)에 의해 제어되는 제2 스위치(212)에 전원이 공급되면 마이컴(220)의 제어에 의해 제2 스위치의 접점 3(212c)은 접접 2(212b)와 접촉 및 접점 1(212a)은 접점 4(212d)와 접촉하여 +극성 및 -극성이 역전변환(역극성)되어 제2 스위치의 출력선(212b-2, 212d-2)을 통하여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극성 역전 변환기(200);와,
    다공성 섬유 구조체(311), 다공성 섬유 구조체의 기공(312;pore), 기공에 충전되는 전도성 물질(층)(313), 전도성층의 외부를 코팅하는 수지층(314)으로 구성되어 전도성 섬유로 직조(weaving)되는 양자코일의 제1 재질 구성(310);과,
    다공성 섬유 구조체의 섬유원단(321)을 작업테이블(322) 위에 펼쳐놓고 그 위에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및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중에서 서로 한가지 형상이 조합된 제7 형상(357)(미도시) 중에서 어느 한가지 형상이 선정된 형상으로 타공된 틀(323)을 준비된 섬유원단(321)과 면접되게 설치한 다음 준비된 분사기(미도시)로 전도성 형성 용액을 분사하여 다공성 섬유 구조체의 기공(321a;pore)에 전도성 물질(층)(321b)이 충전되게 한 후 코팅용 수지(321c)를 분사(324)한 후 건조기(미도시)에서 80 내지 120℃ 범위에서 1시간 내지 2시간 건조하여 제작되는 양자코일의 제2 재질 구성(320);과,
    베이스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331); 반응기(미도시)에 제1 수지를 투입하는단계(332a), 제2 수지를 투입하는단계(332b), 무기물 충진제 도입단계(332c), 경화제 투입단계(332d), 교반단계(332e)로 제조된 수지 조성물 도포단계(332); 사전에 제1 형상 내지 제7 형상(미도시) 중에 어느 한가지 형상이 선정된 형상으로 제작된 필름형태의 양자코일 적층단계(333); 열간 성형단계(334); 경화단계(335)로 유연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제조 공법으로 제작되는 양자코일의 제3 재질 구성(330);과,
    별도 준비된 다공성 베이스 섬유원단(341)내부에 동(CU), 스테인레스스틸(STS304, STS316L), 은(Ag), 티타늄(Ti) 등에서 어느 한가지 재질이 선정된 금속 원판에 양자 에너지 발생코일의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및 이들의 조합된 제7 형상(357) 중에 어느 한가지 형상이 선정된 형상으로 레이저를 이용한 모형따기 기술을 이용하여 가공(342)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360b)을 베이스 섬유원단(341)위에 면접되게 설치(343)하고 그 위에 덮개용 섬유 원단을 면접되게 설치(344)하고 재봉(sewing)(345)하는 방법으로 제작되는 제4 재질 구성(340);과,
    베이스 섬유원단(350a)위에 외부에 절연물질로 코팅된 직경 50um 내지 2mm 범위의 은, 구리 또는 니켈의 와이어 또는 피복된 전선 중 어느 한가지 재질을 선정하거나 또는 피복된 전선(350b)을 이용하여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및 이들 형상 중 한가지 이상의 형상이 조합된 제7 형상(357)에서 어느 한가지의 형상을 선정하여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을 권선(350b)하고, 권선된 양자코일(360a, 360b)을 준비된 베이스 섬유원단에 면접(350c)하게 올려 적층한 후 다시 그 위에 별도 준비된 덮개용 섬유원단(350d)을 적층한 후 재봉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재봉(sewing)(350e)하여 마감하는 방법으로 제작되는 제5 재질 구성(350) 중에 어느 한가지 이상의 재질이 선정되어 제작되는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재질(310-350);과,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권선되는 제1 형상(351),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권선되는 제2 형상(352), 원판 모양으로 변형된 솔레노이드 코일 형상의 제3 형상(353), 트로이드 코일 형상의 제4 형상(354), 뫼비어스 코일 형상의 제5 형상(355), 헬름홀츠 코일 형상의 제6형상(356) 및 이들 형상을 조합한 제7 형상(357)(미도시) 중에 어느 한가지 형상으로 구현되는 양자에너지 발생코일 형상(351-357);과
    캡(Cap), 햇(Hat), 귀달이 모자 또는 헬멧의 인체 머리(두부)를 감싸는 부분(410), 목 부분에서 허리의 고관절 부분을 감싸는 재킷(Jacket)형, 피케(Piques)형, 목둘레를 조절하는 셔츠, 정장, 잠바 등의 상의(420), 양손을 감싸는 장갑(430), 허리부분에서 발목부분까지 감싸는 내복, 바지, 치마 등의 하의(440), 발부분을 감싸는 양말의 의복이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 형상을 갖도록 직조(weaving) 또는 의복에 전도성 물질을 부분 분사, 또는 재봉(sewing) 또는 부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2. 제1항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100)의 제1 전원 공급기(110)는
    배터리 셀(111), DC/DC 컨버터(112), 전압결정부(113a), 전압 및 전류 검출출센서(113b), 제어회로(113c), 및 전원차단스위치(113d), 제어기능이 내장된 제어부(113)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3. 제1항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100)의 제2 전원 공급기(120)는
    감압 변압기(121), 정류회로(122), 입력모듈(123a), 연산모듈(123b), 및 제어모듈(123c)로 구성되어 제어기능이 내장된 제어부(123), 및 전류검출센서(124),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 상체, 손, 하체, 발)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4. 제1항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100)의 제3 전원 공급기(130)는
    제1 전극(131a), 압전물질(131b), 제2 전극(131c), 및 도선(131d)로 구성되는 교류전원 발생기(131), AC/DC변환부(132), DC/DC변환부(133), 전류검출기(134a), 가변제어기(134b), 제1 제어기(134c), 제2 제어기(134d),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 상체, 손, 하체, 발)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로 구성된 제어기능이 내장된 제어부(134)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5. 제1항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100)의 제4 전원 공급기(140)는
    정류부(141), 컨버터부(142), 인버터부(143), 공진리액터(144), 펄스변압기(145),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 상체, 손, 하체, 발)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이 내장된 제어부(146), 게이트 구동부(147), 제1 컨덴사(148a), 및 제2 컨덴사(148b)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6. 제1항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100)의 제5 전원 공급기(150)는
    교류전원(AC) 공급부(151a) 또는 직류전원(DC:배터리) 공급부(151b)의 전원공급부(151), AC/DC변환부(152), 자동 공급전원 전환기(153)(ATS), 발진기(154a), 주파수분배부(154b), 조절부(154c), 증폭부(154d)로 구성된 저주파 생성 및 출력부(154), 스위칭 소자(155),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 표면온도 및 사용자의 착용부위(머리, 상체, 손, 하체, 발)의 신체온도 검출센서(미도시)가 내장되어 제어기능이 내장된 제어부(156)으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7. 제1항에서,
    상기 극성 역전 변환기(200)는
    전원 공급부(100)의 제1 전원 공급기(110), 제2 전원 공급기(120), 제3 전원 공급기(130), 제4 전원 공급기(140) 중에서 선정된 전원 공급기에서 가변되는 직류 전원(전류의 가변 또는 전압의 가변)의 +극 출력 도선(201) 및 -극 출력 도선(202)를 통하여 제어되지 않는 제1 스위치(211)를 거쳐 제2 스위치(212)의 입력선(212a-1, 212d-1)을 거쳐 마이컴(220)에 의해 제어되는 제2 스위치(212)에 전원이 공급되면 마이컴(220)의 제어에 의해 제2 스위치의 접점 3(212c)은 접접 2(212b)와 접촉 및 접점 1(212a)은 접점 4(212d)와 접촉하여 +극성 및 -극성이 역전변환(역극성)되어 제2 스위치의 출력선(212b-2, 212d-2)을 통하여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b)에 가변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8. 제1항에서,
    상기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1 재질의 제조방법은
    다공성 섬유 구조체(311), 다공성 섬유 구조체의 기공(312;pore), 기공에 충전되는 전도성 물질(층)(313), 전도성층의 외부를 코팅하는 수지층(314)으로 구성되어
    나일론, 폴리이미드, 폴리아라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닐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리덴 플로오라이드, 폴리비닐 부틸렌, 폴리우레탄, 폴리벤즈옥사졸,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이들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다공성 섬유 구조체(311)가 선정되고,
    선정된 다공성 섬유 구조체(311)의 기공(312;pore)에 철(Fe), 지르코늄(Zr), 베릴륨(Be), 망간(Mn), 게르마늄(Ge), 아연(Zn), 팔라듐(Pd), 구리(Cu), 로듐(Rh), 마그네슘(Mg), 주석(Sn), 은(Ag), 비스무트(Bi), 알루미늄(Al), 리튬(Li), 이리듐(Ir), 루테늄(Ru), 백금(Pt), 티타늄(Ti), 오스뮴(Os), 갈륨(Ga), 루비듐(Rb), 인듐이온(In)의 금속, 금속 나노 와이어(nanowire)의 물질 중에 어느 한가지 물질을 선정된 전도성 금속의 양은 전체 전도성 물질 총량의 30% 내지 70% 범위가 되게하고, 발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탄소 나노 튜브(CNT) 및 그래핀(graphene), 카본블랙(Carbon Black)의 물질 중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을 선정하여 전체 전도성 물질 총량의 30% 내지 70% 범위가 되게 하여 혼합한 후 점도 조절한 후 분사하여 형성된 충진층(312) 위에 섬유원단(321)을 작업테이블(322) 위에 펼쳐놓은 다음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1 형상 내지 제6 형상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된 제7 형상(357) 중에 어느 한가지 이상의 형상이 선정되고, 선정된 형상만 타공된 틀(323)을 준비된 섬유원단과 면접되게 설치한 다음 다시 교반기가 부착된 반응기(미도시)에 수지층(321c)을 형성하는 실리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릴, 알루미늄 옥사이드,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주지, 스티렌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열가소성 엘스토머, 폴리옥시알킬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실리콘 에폭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이 선택하고, 선택된 수지를 교반기가 부착된 반응기(미도시)에 일정량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옥새인(oxane) 용매, 아민(amine)계 용매, 폴리올계 용매, 알칸계(Alkane) 용매, 벤젠(benzene)계 용매, 에테르계(ether) 용매, 알콜(Alchol)계 용매 중에 어느 한가지 이상의 물질을 선정하고, 선정된 용매를 적량 투여하여 교반하면서 점도를 조절한 후 분사기(미도시)로 전체 의복(모자, 상의, 장갑, 하의, 양말) 중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및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중에서 서로 한가지 형상이 조합된 제7 형상(357)(미도시) 중에서 어느 한가지 형상이 선정된 형상에만 부분 분사하여 코팅용 수지층(321c)을 형성 후 건조기(미도시)에서 80 내지 120℃ 범위에서 1시간 내지 2시간 건조 후 냉각하여 전도성 및 발열 기능을 부분적으로 갖는 섬유 원단(324)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9. 제1항에서,
    상기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2 재질의 제조방법은
    다공성 섬유 구조체의 섬유원단(321)을 작업테이블(322) 위에 펼쳐놓고 그 위에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및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중에서 한가지 이상의 형상이 조합된 제7 형상(357)(미도시) 중에서 어느 한가지 형상이 선정된 형상으로 타공된 틀(323)을 준비된 섬유원단(321)과 면접되게 설치한 다음 준비된 분사기(미도시)로 다공성 섬유 구조체의 기공(321a;pore)에 철(Fe), 지르코늄(Zr), 베릴륨(Be), 망간(Mn), 게르마늄(Ge), 아연(Zn), 팔라듐(Pd), 구리(Cu), 로듐(Rh), 마그네슘(Mg), 주석(Sn), 은(Ag), 비스무트(Bi), 알루미늄(Al), 리튬(Li), 이리듐(Ir), 루테늄(Ru), 백금(Pt), 티타늄(Ti), 오스뮴(Os), 갈륨(Ga), 루비듐(Rb), 인듐이온(In)의 금속, 금속 나노 와이어(nanowire)의 물질 중에 어느 한가지 물질을 선정된 전도성 금속의 양은 전체 전도성 물질(321b) 총량의 30% 내지 70% 범위가 되게 하고, 발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탄소 나노 튜브(CNT) 및 그래핀(graphene), 카본블랙(Carbon Black)의 물질(321b) 중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을 선정하여 전체 전도성 물질 총량의 30% 내지 70% 범위가 되게 하여 반응기(미도시)에서 혼합한 후 점도 조절한 후 분사하여 충진층(321b)을 형성하고, 형성된 충진층(321b) 위에 실리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릴, 알루미늄 옥사이드,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주지, 스티렌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열가소성 엘스토머, 폴리옥시알킬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실리콘 에폭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이 선정하고, 선정된 수지의 점도를 조절한 후 점도가 조절된 수지용액을 전체 의복(모자, 상의, 장갑, 하의, 양말) 중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및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중에서 서로 한가지 형상이 조합된 제7 형상(357)(미도시) 중에서 어느 한가지 형상이 선정된 형상에만 부분 분사하여 코팅용 수지층(321c)을 형성 후 건조기(미도시)에서 80 내지 120℃ 범위에서 1시간 내지 2시간 건조하여 제작되는 전도성과 발열기능을 갖는 섬유(3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10. 제1항에서,
    상기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제3 재질의 제조방법은
    베이스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331); 수지 조성물 도포단계(332); 양자코일 적층단계(333); 열간 성형단계(334); 경화단계(325)로 제조 방법은 폴리이미드(polyim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DMS(polymethylsiloxane),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중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을 선정하여 베이스 필름을 준비(331)하고, 준비된 베이스 필름을 준비(331) 위에 테트라히드로프탈 산무수물, 헥사히드로프탈 산무수물, 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무수물, PDMA(Pylomellitic dianhydride), BTDA(Benzophenon teyracarboxylic dianhydride), TMEG(Ethylene glycol bis-trimellitic dianhydride), TMTA(glycerol tris-trimellitic dianhydride), MCTC(5-(2,5-dioxotetrahydropryle)-3-cyclohexene-1,2-dicarboxylic anhydride), TDA(2,5-dioxotetranhydrofuran-3-y1)1,2,3,4-tetrahydronaphthalene-1,2-dicarbox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수지를 선정하여 반응기(미도시)에 투입하고, 무기물 충전제 투입단계(332c)에서 반응기(미도시)에 투입되는 무기물은 발열기능을 부여하도록 투입되는 무기물의 총량의 카본블랙(C), 아세틸렌 블랙(C), 케첸블랙(C)의 도전 재료 중에 어느 한가지 이상의 물질을 선정하여 적정량의 30% 내지 70% 범위의 적정량과 질화물계 필러, 알루미나, 실리카 중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이 선택되어 투입되는 무기물의 총량의 30% 내지 70% 범위의 적정량을 반응기(미도시)에 투입 및 경화제가 투입된 후 교반기(322e)를 일정시간 가동하여 일정한 점도를 갖도록 제조한 수지 조성물을 분사기(미도시)를 이용하여 베이스 필름위에 도포(332)하고, 도포된 수지층 위에 동(Cu), 은(Ag), 금(Au)의 재질 중에 어느 한가지 재질을 선정하고, 선정된 금속 재질을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및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중에서 서로 한가지 형상이 조합된 제7 형상(357)(미도시) 중에서 어느 한가지 형상이 선정된 형상으로 가공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360b)을 적층(333)한 후 열간성형기(미도시)에서 압축 및 가열하여 성형(334)한 후 경화(335)하여 전도성과 발열기능을 갖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11. 제1항에서,
    상기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4 재질의 제조방법은
    별도 준비된 다공성 베이스 섬유원단(341) 표면 상부와 면접되게 동(CU), 스테인레스스틸(STS304, STS316L), 은(Ag), 티타늄(Ti)에서 어느 한가지 재질이 선정된 금속 원판 또는 발열기능을 갖는 고강도로 압축 성형된 카본판재를 양자 에너지 발생코일의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및 이들의 조합된 제7 형상(357) 중에 어느 한가지 형상이 선정된 형상으로 레이저를 이용한 모형따기 기술을 이용하여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을 가공(342)하고, 가공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을 베이스 섬유원단(341)표면 상부와 면접되게 설치(343)하고, 설치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 위에 덮개용 섬유 원단을 면접되게 설치(344)하고 재봉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을 권선하듯 재봉(345)하여 전도성과 선택적 발열기능을 갖도록 소면적을 갖는 패브릭으로 제작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12. 제1항에서,
    상기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5 재질의 제조방법은
    별도 준비된 일정 면적을 갖는 베이스 옷감 원단(350a)을 준비한 후, 준비된 베이스 섬유원단(350a) 위에 직경 50um 내지 2mm 범위의 양자코일 형상의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및 이들 형상 중 어느 한가지 이상의 형상이 조합된 제7 형상(357) 중에 어느 한가지 형상을 선정하고, 직경 50um 내지 2mm 범위의 은, 구리, 니켈, 카본섬유, 니크롬선 및 탄소섬유, 흑연섬유, 중온 탄화섬유, 활성탄소섬유의 도전성 및 발열성 탄소섬유 중 어느 한가지 재질을 선정하여 외부에 절연물질로 코팅하거나 또는 피복된 발열재질(카본섬유, 니크롬선)의 전선을 이용하여 제1 형상 내지 제6 형상 및 이들 형상 중에서 한가지 이상의 형상이 조합된 제7 형상(357) 중에서 어느 한가지 형상이 선정된 형상으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을 권선(350b)하고 권선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을 베이스 옷감 원단(350a) 표면에 면접하게 설치(350c) 후, 그 위에 덮개용 섬유원단을 적층(350d)하고 재봉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양자코일 형상으로 재봉(sewing)(350e)하여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을 고정한 후 재단기(미도시)로 일정 면적을 갖도록 재단하여 소면적을 갖도록 제작한 후 머리부분, 상의, 하의 긴발내부 또는 양말의 옷감에 다시 재봉(345)하여 부착하는 방법으로 제작되어 전도성과 발열기능을 갖는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13. 제1항에서,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형상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이며 신장(늘어남)과 접힘(벤딩), 비틀림의 의한 코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세주름 형상으로 권선하여 전체형상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는 제1 형상(351),
    좌우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이며, 신장(늘어남)과 접힘(벤딩), 비틀림에 의한 코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세주름 형상으로 권선하여 전체형상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는 제2 형상(352),
    변형된 솔레노이드 코일 형태이며, 신장(늘어남)과 접힘(벤딩), 비틀림에 의한 코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세주름 형상으로 권선하여 전체형상은 동심원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가장자리에서 중심방향 또는 중심방향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권선된 형상의 제3 형상(353),
    트로이드 코일 형태이며 신장(늘어남)과 접힘(벤딩), 비틀림의 의한 코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세주름 형상으로 권선하여 전체형상은 나선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트위스트(사선)형상으로 감긴 형상의 제4 형상(354),
    뫼비어스 코일 형상이며 신장(늘어남)과 접힘(벤딩), 비틀림의 의한 코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세주름 형상으로 권선하여 전체형상은 교차되는 이중나선(숫자 8형) 형태를 이루는 제5 형상(355),
    헬름홀츠코일 형태이며 신장(늘어남)과 접힘(벤딩), 비틀림에 의한 코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세주름 형상으로 권선하여 전체형상은 이중 원형태를 이루는 제6 형상(356), 및 제1 형상 내지 제6 형상 중에서 어느 한가지 형상이 조합된 제7 형상(357) 중에서 어느 한가지 형상이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14. 제1항에서,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제작 및 부착하는 방법은
    제1 형상 내지 제7 형상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형상이 선정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 형상을 갖도록 전도성 및 발열성을 갖는 다공성 섬유로 섬유원단을 직조(weaving)하는 방법(310),
    또는 다공성 섬유 구조체의 섬유원단(321)의 일반 다공성 섬유재질에 전도성 물질 및 발열성 물질을 제1 형상 내지 제7 형상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형상이 선정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 형상을 갖도록 부분 분사하는 방법(320),
    또는 제1 형상 내지 제7 형상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형상이 선정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 형상을 전도성 및 발열 기능을 갖는 유연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형태(340)로 제작되어 의복에 재봉(sewing) 또는 부착하는 방법(330),
    상하 베이스 및 덮개용 섬유원단 사이에 전도성 금속판 또는 전도성 및 발열기능의 고강도로 압축 성형된 카본판재를 레이저를 이용한 모형따기 기술로 제1 형상 내지 제7 형상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형상이 선정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 형상으로 가공된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50a, 350b)을 적층하여 재봉(sewing)하는 방법(340),
    또는 상하 베이스 및 덮개용 섬유원단(350a,350d) 사이에 사전에 외부에 절연물질로 코팅된 직경 50um 내지 2mm 범위의 은, 구리, 니켈의 와이어 또는 피복된 발열재질(카본섬유, 니크롬선)의 전선을 이용하여 제1 형상(351) 내지 제6 형상(356) 및 이들 형상 중 한가지 이상의 형상이 조합된 제7 형상(357) 중에서 어느 한가지의 형상을 선정하여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을 권선(350b)하고, 권선된 양자코일(360a, 360b)을 적층 후 재봉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재봉(sewing)(350e)하는 방법(350)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방법이 선정되어 모자, 상의, 장갑, 하의, 양말 및 신발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15. 제1항에서,
    상기 웨어러블은 머리부분, 양팔을 포함한 상의부문, 양손 부문, 양다리를 포함하고 둔부를 포함한 하의 부문, 양발에 착용되는 양발부문 및 신발 내부부문 으로 분리되고 각 부문의 하부 또는 하부일측 및 상부 일측에 제1 전원공급기(110), 제2 전원공급기(120), 제3 전원공급기(130), 제4 전원공급기(140), 제5 전원공급기(150) 중에 어느 한가지 기종의 전원 공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극성 역전 변환기(200)의 출력측의(+, -)의 전원을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공급하는 접착형 단자(101)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16. 제1항에서,
    모자, 상의, 장갑, 하의, 양말 및 신발의 웨어러블에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의 설치 방법은 전도성 및 발열성을 갖는 다공성 섬유로 직접 직조(310)하는 방법, 또는 일반 다공성 섬유 원단에 전도성 및 발열성을 갖는 물질을 부분분사(320)하는 방법, 또는 전도성 및 발열성을 갖는 유연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형태로 제작(330)되어 재봉하거나 부착하는 방법,
    또는 상하 섬유원단(341, 344) 사이에 전도성 및 발열기능을 갖는 금속판을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을 적층하여 재봉(sewing)(340)하는 방법,
    또는 베이스 섬유 원단(350a) 표면 상부에 전도성 및 발열기능을 갖는 외부가 절연재질로 코팅된 금속와이어 또는 피복된 발열재질(카본섬유, 니크롬선)로 권선된 양자코일(350b)을 베이스 섬유 원단(350a) 표면 상부에 면접하게 설치(350c)후, 덮개용 옷감 원단을 적층(350d))하여 재봉(350e)하는 방법 중에 어느 한가지 이상의 방법이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17. 제12항에서,
    모자, 상의, 장갑, 하의, 양말 및 신발의 웨어러블의 앞면(신체 앞면)에 설치되는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또는 제2 양자 에너지 발생코일(360b)의 권선 방향과 웨어러블의 뒷면(신체 뒷면)에 설치되는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또는 제1 양자 에너지 발생코일(360b)의 권선 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되어 전원공급부(100)의 제1, 제2, 제3, 제4 전원 공급기, 제5 전원 공급기(110, 120, 130, 140, 150)에서 어느 한 전원 공급기가 선정되어 제어회로에 의해 출력측에서 전압의 가변, 또는 전류가 가변되는 전원을 극성 역전 변환기(200)를 거쳐 코일의 권선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인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공급되어 전류의 흐름각도와 90도 각도이며, 서로 반대방향을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발생 및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중첩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생성되는 맥동(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양자에너지가 신체에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18. 제1항에서,
    전원공급부(100)의 제1, 제2, 제3, 제4, 제5 전원 공급기(110, 120, 130, 140, 150)는 내장된 입력 모듈 및 제어부에 양자공명분석기(quantum resonance spectrometer)을 이용하여 분석된 사용자 생체정보의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체의 해당 장부의 공명 수치가 일정 기준 이하를 이루는 경우 건강한 상태의 공명수치 또는 자기에너지 수치와 비교하여 계량한 후에 건강한 상태로의 복원에 해당하는 자기장의 세기와 양자에너지 조사량이 산출된 테이터를 입력하고, 입력된 데이터 상응하는 가변전압, 가변전류, 가변주파수, 자기장의 세기, 통전시간의 변수를 충족하는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 전원을 제1 및 제2 자기장 발생코일(360a, 360b)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19. 삭제
  20. 제12항에서,
    웨어러블의 각부문에 설치되는 제1 양자코일과 제2 양자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00)의 제1, 제2, 제3, 제4, 제5 전원 공급기(110, 120, 130, 140, 150)에 내장된 입력 모듈에 내장된 타이머 기능과 스위칭 소자 기능에 의하여 전기 사용량을 줄여 배터리 사용시간을 연장하고 스위칭 소자 기능에 의해 웨어러블은 머리부분, 양팔을 포함한 상의부문, 양손 부문, 양다리를 포함하고 둔부를 포함한 하의 부문, 양발에 착용되는 양발부문 및 신발 내부부문에 복수개가 설치되는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360a, 360b)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독립적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공급 및 차단하여 두드림 효과가 발생되게 하면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발생 및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가변 자기장이 중첩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생성되는 맥동(Pulsed electromagnetic field;PEMF) 양자에너지를 발생 및 신체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KR1020200080962A 2020-07-01 2020-07-01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KR102514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962A KR102514558B1 (ko) 2020-07-01 2020-07-01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US17/083,176 US20220001192A1 (en) 2020-07-01 2020-10-28 Wearable quantum treatment device
PCT/KR2021/008386 WO2022005237A1 (ko) 2020-07-01 2021-07-01 웨어러블형 양자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962A KR102514558B1 (ko) 2020-07-01 2020-07-01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311A KR20220003311A (ko) 2022-01-10
KR102514558B1 true KR102514558B1 (ko) 2023-03-27

Family

ID=79167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962A KR102514558B1 (ko) 2020-07-01 2020-07-01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01192A1 (ko)
KR (1) KR102514558B1 (ko)
WO (1) WO20220052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58323A1 (en) * 2021-11-01 2023-05-25 Regenesis Biomedical, Inc. Wearable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sens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261B1 (ko) 2009-07-21 2009-11-05 이종두 양자 에너지 발생물질을 이용한 합성수지 마스터 배치 및 섬유재 제조 방법
JP2013022115A (ja) 2011-07-19 2013-02-04 Takemoriko Hayashi 健康・美容増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8490B2 (en) * 2005-09-10 2010-07-20 Ivivi Health Sciences, Llc Integrated coil apparatus for therapeutically treating human and animal cells, tissues and organs with electromagnetic fields and method for using same
US7422555B2 (en) * 2003-12-30 2008-09-09 Jacob Zabara Systems and methods for therapeutically treating neuro-psychiatric disorders and other illnesses
DE102004047650B3 (de) * 2004-09-30 2006-04-13 W.L. Gore & Associates Gmbh Kleidungsstück mit induktivem Koppler und induktive Bekleidungsstückschnittstelle
US20140082970A1 (en) * 2012-09-26 2014-03-27 Alice Chang Footwear with charcoal systems
KR101435008B1 (ko) 2012-12-06 2014-08-2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컴퓨터 및 상기 웨어러블 컴퓨터의 전도성 섬유와 전자 모듈의 연결 방법
US8791656B1 (en) * 2013-05-31 2014-07-29 Mevion Medical Systems, Inc. Active return system
JP2017209323A (ja) * 2016-05-26 2017-11-30 新エネルギー産業株式会社 量子波治療器
US20180169371A1 (en) * 2016-12-15 2018-06-21 Jack Y. Dea Wearable Non-Contact Qi Emitter
KR102087267B1 (ko) 2017-12-22 2020-03-10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 통증 완화를 위한 앱 구동형 웨어러블 전기치료기기
KR102091512B1 (ko) * 2018-05-03 2020-03-23 김부열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
EP3965882A4 (en) * 2019-05-06 2023-01-18 Kamran Ansari THERAPEUTIC ARRAYS OF PLANAR COILS DESIGNED TO GENERATE PULSED ELECTROMAGNETIC FIELDS AND EMBEDDED IN CLOTHING
CN116209498A (zh) * 2020-09-23 2023-06-02 斯蒂米特股份公司 用于刺激神经的刺激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261B1 (ko) 2009-07-21 2009-11-05 이종두 양자 에너지 발생물질을 이용한 합성수지 마스터 배치 및 섬유재 제조 방법
JP2013022115A (ja) 2011-07-19 2013-02-04 Takemoriko Hayashi 健康・美容増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05237A1 (ko) 2022-01-06
US20220001192A1 (en) 2022-01-06
KR20220003311A (ko)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12157B (zh) 用以對患者的身體部位提供磁性治療和射頻治療的治療裝置
KR100866378B1 (ko) 뇌파를 주요치료정보로 사용하는 저주파 자기물리치료장치
US6520903B1 (en) Multiple mode photonic stimulation device
RU2403923C2 (ru) Переносной аппликатор для стимуляции образования коллагена
US8460167B2 (en) Thermally assisted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for treatment of osteoarthritis
US11369511B2 (en) Therapeutic device capable of interactively cross-outputting low frequencies or ultrasound and heat
JP2006519680A (ja) 電磁治療器具および方法
CN106540375A (zh) 一种对人体美容、除皱的磁力装置及其美容方法
KR20100120129A (ko) 가요성의 다공질로 된 대면적의 가열용 전극
JP7186347B2 (ja) 平面コイル構造付き磁気刺激装置
CN102335482A (zh) 混沌多维电刺激系统
KR102514558B1 (ko) 웨어러블형 양자 발생기
KR100924984B1 (ko) 광대역 저주파 전자기장을 이용한 치료장치
CN109260591A (zh) 经颅刺激方法和装置
US11383094B2 (en) Cancer treatment apparatus
KR101289441B1 (ko) 비대칭 면적 전극패드를 구비한 간섭전류형 저주파 자극기
Ho et al. Optimization of array magnetic coil design for functional magnetic stimulation based on improved genetic algorithm
CN109966651A (zh) 一种智能场效应按摩仪
JP2009279149A (ja) エネルギ検知装置
CN204723603U (zh) 中低频量子磁波仪
RU18478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рапии электрическим полем
TWM511871U (zh) 具波動能量治療功能之手足穿著器具
KR101174312B1 (ko)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전기 자극용 피복품
JP3200432U (ja) 電位変動型量子治療器
US20240041513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esthetic treatment of biological structures by radiofrequency and magnetic ener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