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512B1 -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 - Google Patents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512B1
KR102091512B1 KR1020180080370A KR20180080370A KR102091512B1 KR 102091512 B1 KR102091512 B1 KR 102091512B1 KR 1020180080370 A KR1020180080370 A KR 1020180080370A KR 20180080370 A KR20180080370 A KR 20180080370A KR 102091512 B1 KR102091512 B1 KR 102091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um energy
coil
quantum
electrode
gener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8035A (ko
Inventor
김부열
Original Assignee
김부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부열 filed Critical 김부열
Publication of KR20190128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5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4Applying ionised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2005/1085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articles applied to the patient
    • A61N2005/1087Ions; Prot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양자에너지를 사용자의 치료 및 건강 관리 대상부위에 조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히드록실 이온(OH-Radical)을 사용자의 치료 및 건강 관리 대상부위에 분사하여 치료대상범위 부분의 세균을 살균을 용이하게할 수 있고, 산화질소(NO)를 사용자의 치료 및 건강 관리 대상부위에 분사하여 치료대상범위 부분의 피부를 통하여 흡수되고 혈액에 용해되어 신체 전체에 확산되어 순환기계에서는 혈관이 확장되고, 면역계에서는 항암 및 항미생물 작용을 나타내는 방어물질로, 신경계에서는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여 건강을 증진하며, 사용자의 치료 및 건강 관리 대상부위에 양자에너지를 조사하여 육체의 정보-에너지장이 활발하게 흐르게 하여 육체적인 병을 일으킨다고 한다. 각 조직 및 장기의 건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사용자의 치료 및 건강 관리 대상부위의 통증 유발점 부위에 접촉되어 축적된 양전하를 제거하여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Apparatus for emitting quantum energy for treatment and health management}
본 발명은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자에너지를 사용자의 치료 및 건강 관리 대상부위에 조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에 따른 경제발전에 의하여 인간의 생활환경 및 거주 방식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고,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실내에서 거주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실내 공기오염이란 새로운 환경문제가 나타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실내 등의 제한된 공간 내에 오염된 공기가 생성되면, 시간이 지날수록 오염물질의 순환으로 그 농도가 증가되어 각종 분진을 비롯해 감염성 세균 및 곰팡이 등의 미생물학적 유해인자에 노출되어 전신피로, 불쾌감, 두통, 호흡기계통, 피부계통 감염성질환과 과민성 질환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내공기의 오염은 고령의 환자 및 면역억제 상태의 환자에게 감염의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실내 공기질의 오염에 의한 각종 유해물질의 흡입과, 업무상 스트레스, 혈액순환장애는 환자 및 실내 거주자들의 인체 내 활성산소(ROS) 수치를 증가시켜 건강에 나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연구결과가 보도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증가된 활성산소는 호흡과정에서 몸속으로 들어간 산소가 체내에서 산화과정에 이용되면서 여러 대사과정에서 생성되어 생체 조직을 공격하고 세포를 공격하여 지질과 단백질, 핵산(DNA, RNA)을 파괴하며 여러 가지 효소기능을 저해하여 각종질병(암, 노화 등)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이 외에도 신경 전달물질인 DOPAMINE SEROTOMIN, ACETYL-CHOLINE에도 영향을 미치며 ACETYL-CHOLINE ESTERASE에도 같은 영향을 미쳐 면역기능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인체 내 활성산소 수치를 감소시키는 항산화(SOD) 작용과 혈관을 확장하여 심혈관 계통의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산화질소(NO)가 기여한다는 연구결과에 따라 1980년대부터 이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왔다. 특히, 이와 같은 산화질소의 연구는 내피 세포 유래 평활근 이완인자(EDRF)의 발견에서 비롯되는데, 혈관의 내피 세포에서 미지의 강력한 혈관 이완인자(EDRF)가 생산된다는 보고가 있었고, 이 EDRF의 실체가 산화질소(NO)라는 것이 증명되었다.산화질소(NO)는 L-아르기닌에서 일산화질소(NO) 생성요소(NITRIC-OXIDE SYNTHASE : NOS)에 의해 L-시트룰린과 같이 생산되며, 인체 내에서 작용은 혈관계에서 혈관 내피세포에서 생성되어 혈관 평활근의 구아닐산 고리화 효소를 활성화하고 고리형 GMP를 생산하여 혈관을 이완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보도된 바 있고, 그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산화질소(NO)가 심혈관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신호 전달 분자일 뿐만 아니라 그 외에도 여러 가지 다른 기능도 수행한다는 사실이 연달아 밝혀졌다. 또한, 산화질소(NO)는 현재 감염에 대항하는 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혈압조절인자, 여러 신체기관의 혈류 조절인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 졌으며, 산화질소(NO)는 거의 모든 생명체에 존재하여 서로 다른 다양한 종류의 세포에 의해 생성된다는 심층적인 연구 공로를 인정받아 1998년 로버트 F. 피치코트, 루이스 이그나로, 폐리드 뮤라드 박사 등 3명은 카롤린스카 연구소 노벨상 선정 위원회로부터 "심혈관계에서 신호전달분자로 일산화질소(NO : NITRIC OXIDE)를 발견"한 공로를 인정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양자에너지 발생장치는 Tesla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 철심이 없는 2개의 원통에 하나는 오른쪽 감기를 하고 다른 하나는 왼쪽감기를 한 다음 전류의 방향도 반대방향으로 흐르게 하면 코일 주변으로 자장이 생성되어 두 개의 자장이 중첩되어 상쇄되며 자장의 세기가 0이 되는데 이와 같이 자장이 상쇄되면서 이상한 새로운 에너지가 출현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과학자들은 이 에너지는 비헤르쯔파(Non-Hertzian Wave) 또는 양자에너지 또는 스칼라 에너지라 지칭하였고, Moebius는 Tesla Coil의 코일 감는 방법을 철심이 없는 원통에 두 개의 코일을 ∞ 방식으로 감는 방식으로 변경하고, 또한 전류도 서로 반대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방법으로 Moebius Coil이라 하였고, 기존의 Tesla Coil에서 생성된 양자에너지 장이 유입된 전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반면에 개선된 Moebius Coil은 생성된 양자에너지 장이 특정 주파수에 증폭, 상쇄, 간섭 등에 의하여 보합된 조화함수와 집합으로 생성되게 하였다.
그러나, 실내 공기질의 오염, 식생활에서의 영양소 섭취 결핍, 운동부족, 과로, 약물 복용 등 여러 가지 원인과 실내에 설치된 가전기기 등의 전자장치에서 발생되는 100Hz 이하의의 초저주파 에서도 인체에 유해하며(Punrich, 1984) 이러한 유해환경에 노출된 재실자는 각종 유해물질의 흡입과, 업무상 스트레스, 혈액순환장애는 환자 및 실내 거주자들의 인체 내 활성산소(ROS)수치를 증가시켜 건강에 악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유해환경에 노출된 재실자의 건강장애를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는 방법중의 하나는 주기적인 운동과 Moebius Coil에서 생성된 양자에너지를 공급하면 저주파 차폐막(Shield)이 형성되어 재실자를 보호한다.
그러나, 이러한 산화질소는 의해 혈관 내피 세포에서 인체 생리작용에 필요한 충분한 양을 스스로 생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여러 가지 수단에 의해 직, 간접적으로 공급을 받아야 한다.
그 일례로서, 산화질소(NO)를 생성시키는 방법으로 질산을 제조하는 방법, 즉 암모니아와 산소를 산화시켜 물에 흡수하는 과정에서 일산화질소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 방법은 암모니아 물질이 유독성 물질이어서 인체에 유해하고 악취농도를 증가시키며 화재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실용적으로 사용되지 못하였다.
이에, 한국등록특허 제10-0203721호(산화질소 가스 혼합물 생성방법 및 장치)에서는 온도 약 섭씨 300~1200도의 범위에서 산소 및 질소, 산소 및 암모니아, 산소 및 질소 암모니아를 포함한 공급가스를 VIII족 촉매제에 접촉시켜 이산화질소를 함유한 혼합물을 생성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가스의 온도를 섭씨 300 ~ 1200도까지 승온시키는 별도의 가열장치가 필요하고 이로 인한 에너지 비용이 과다하게 소비되며, 공정 중 사용되는 암모니아 가스는 인체 호흡기 계통에 영향을 주며 화재 위험이 내재되어 별도의 안전 조치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978805호(극저온 냉동 트랩을 이용한 고순도 일산화질소 제조방법의 제조장치)에서는 저순도 일산화질소 공급 탱크에서 유입된 일산화질소 기체를 저온 냉각 후 흡착제에 통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하고 저온에서 상변이를 통하여 2차 불순물을 제거 및 매우 높은 진공상태에서 일산화질소를 정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 경우 별도의 저순도 일산화질소 공급 장치가 필요하며, 구성요소로서 극저온 냉동시스템 및 반응탱크 등으로 인해 장치가 복잡하며 에너지 소비가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지금까지 개발된 산화질소 발생장치는 인체에 유해한 유독성, 가연성 물질인 암모니아가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제조 공정의 온도를 섭씨 300도에서 1200도 범위까지 승온시키는 별도의 가열 장치가 필요하며, 높은 에너지 소비량으로 인한 운전비용 및 유지 관리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별도의 산화질소 공급장치와 극저온 냉동 시스템이 필요하기 때문에 초기 투자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대형화로 인해 일반 가정이나 업무시설에서 쉽게 구매하여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양자에너지 발생장치는 Tesla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 철심이 없는 2개의 원통에 하나는 오른쪽 감기를 하고 다른 하나는 왼쪽감기를 한 다음 전류의 방향도 반대방향으로 흐르게 하면 코일 주변으로 자장이 생성되어 두 개의 자장이 중첩되어 상쇄되며 자장의 세기가 0이 되는데 이와 같이 자장이 상쇄되면서 이상한 새로운 에너지가 출현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과학자들은 이 에너지는 비헤르쯔파(Non-Hertzian Wave) 또는 양자에너지 또는 스칼라 에너지라 지칭하였고, Moebius는 Tesla Coil의 코일 감는 방법을 철심이 없는 원통에 두 개의 코일을 ∞ 방식으로 감는 방식으로 변경하고. 또한 전류도 서로 반대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방법으로 Moebius Coil이라 하였고, 기존의 Tesla Coil에서 생성된 양자에너지 장이 유입된 전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반면에 개선된 Moebius Coil은 생성된 양자에너지 장이 특정 주파수에 증폭, 상쇄, 간섭 등에 의하여 보합된 조화함수와 집합으로 생성되게 하였다.
양자에너지에 관한 연구에 대하여 먼저 양자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면, 양자(Quanta, Quantum)란 길이 에너지 운동량 퍼텐셜 등의 어떤 물리량이 부드럽게 연속값을 취하지 않고 특정 최소단위 정수배로 표현이 가능할 때 그 최소 단위의 양을 의미하며, 사실상 모든 물리량을 쪼개면 양자가 된다. 특히 복사에너지를 표기할 때 많이 사용한다.
복사에너지에서 처음 발견하여 "에너지 양자"라고 불렀으며 그것이 빛으로서 공간을 진행할 경우, 전자기력 장내의 양자일 경우 "광(양)자(Photon)"라고 한다.
미국 프린스턴 대학 물리학자인 데이비드 봄은 코펜하겐 해석을 연구하면서 코펜하겐 해석이 완전한 이론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다음과 같은 생각을 전개했다.
1) 고전적 물리량처럼 관측 가능한 물리량(위치, 운동량, 스핀 등)이 있는 반면, 양자세계처럼 관측으로 불가능한 하위-양자 차원의 물리량들도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했다. 그는 이것을 "숨은 변수(hidden variable)"라 불렀다.
2) 이렇게 도입된 "숨은 변수"의 통계적 평균치를 이용하면 양자세계의 관측 가능한 물리량의 값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즉 도입된 "숨은 변수"가 양자세계의 실제들에 대한 완전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3) 결국 "숨은 변수"를 도입함으로써 양자세계에 대해서도 고전적 기술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4) 이렇게 하여 "숨은 변수"를 도입하면 양자역학에 고전역학의 실제론 과 인과율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5) 그뿐만 아니라 "숨은 변수"를 도입하면 고전현상과 양자현상의 이분법을 피할 수 있으며, 따라서 물리계의 모든 현상을 일원론적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와 같이 "숨은 변수"를 도입하여 양자세계를 설명하고자 한 봄의 양자이론을 "숨은 변수"이론(hidden variable theory)이라 부른다. 봄은 "숨은 변수 이론"을 설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고 실험을 제시했다.
전자는 왼쪽으로 자전하는 것도 있고 오른쪽으로 자전하는 것도 있는데 실험적으로 2개의 전자를 중첩 시켜서 "싱글렛(singlet)"이라는 특수한 상태를 만들 수 있다. 이 싱글렛 상태에 있는 두 전자는 어느 한쪽의 전자가 오른쪽으로 돌면 다른 한쪽은 반드시 왼쪽으로 돌게 되어 있다. 이 싱글렛 상태에 있는 두 전자를 동과 서의 반대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킨다고 상상하자. 충분히 멀어졌을 때 동쪽에 있던 관측장치를 이용해 날아든 전자를 관측한다. 만약 그것이 "오른쪽" 회전이라고 한다면, 서쪽으로 날아간 전자는 따로 관측하지 않아도 "왼쪽" 회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서쪽만 관측했을 경우에도 역시 "동쪽" 전자의 자전 방향을 알 수 있다. 어느 한쪽의 자전을 측정하면 자동적으로 다른 한쪽의 자전축도 알 수 있게 된다. 그 이유는 전자쌍은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숨은 변수"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봄은 자신이 제시한 "숨은 변수"를 실험적으로 찾기 위해 이스라엘 물리학자 야키르 아로노프(Yakir Aharonov)와 공동으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행했다.
철심이 없는 닫힌 원통에 2개의 코일을 감는데, 하나의 코일은 시계방향으로 감고 다른 하나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감는다. 각각의 코일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면 원통 내부에는 전자기장이 존재하지만 원통 외부에는 전자기장을 제거할 수 있어 전자기장이 제로(zero)가 된다.
이와 같이 전자기장이 제로인 공간에 전자를 보내면 불가사이하게도 전자가 휘어진다는 사실을 관찰할 수 있다. 아르노프와 봄은 이러한 현상이 생기는 이유에 대해 원통 외부에 양자 포텐셜(quantum potential)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현상을 "아르노프-봄 효과(Aharonov-Bohm effect)"라고 부른다.
봄은 이와 같이 전자기장 하부구조에는 전자기장보다 더 미세한 다른 에너지장이 숨어 있다는 사실에 감명을 받았고. 여기서 힌트를 얻어 "드러난 질서와 숨겨진 질서(explicate and implicate order)"의 원리를 발표했다.
"드러난 질서와 숨겨진 질서"란 러시아의 인형 마트료시카처럼 전자기장과 같은 "미세한" 다른 에너지인 양자 포텐셜이 숨어 있고, 양자 포텐셜 내부에는 더 미세한 에너지가 숨어 있을 수 있다는 원리이다.
양자에너지 발생장치는 Tesla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 철심이 없는 2개의 원통에 하나는 오른쪽 감기를 하고, 다른 하나는 왼쪽감기를 한 다음 각각의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류의 방향도 반대방향으로 흐르게 하면 코일 주변으로 자기장이 생성되어 두 개의 자기장이 중첩되어 상쇄되며 자장의 세기가 0(zero)이 되는데 이와 같이 자기장이 상쇄되면서 이상한 새로운 에너지가 출현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과학자들은 이 에너지는 비헤르쯔파(Non-Hertzian Wave) 또는 양자에너지 또는 스칼라 에너지라 지칭하였다.
Moebius는 Tesla Coil의 코일 감는 방법을 철심이 없는 원통에 두 개의 코일을 ∞방식으로 감는 방식으로 변경하고, 또한 전류도 서로 반대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방법으로 Moebius Coil이라 하였고, 기존의 Tesla Coil에서 생성된 양자에너지 장이 유입된 전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반면에 개선된 Moebius Coil은 생성된 양자에너지 장이 특정 주파수에 증폭, 상쇄, 간섭 등에 의하여 보합된 조화함수와 집합으로 생성되게 하였다.(Tesla coil: 양자 에너지 발생장치의 효시)
Tesla 이후 Tesla coil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Tesla coil의 특징은 하나는 오른쪽 감기를 하고 다른 하나는 왼쪽 감기를 한 다음 전류의 방향도 반대 방향으로 흐르게 하면 반대 방향이 되는 자장이 만들어져 두 개의 자장은 서로 상쇄되어 자장은 제로가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같이 자장이 상쇄되면서 이상한 새로운 에너지가 출현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과학자들은 이 에너지를 "비헤르쯔파(non-Hertzian wave)"라고 불렀다.
Aharonov(1959)는 수학적으로 Tesla coil의 안쪽은 자기장이 존재하나 바깥쪽은 자기장이 소멸되어 없어지고 양자 에너지만 존재하게 된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또한 Jennison은 Tesla coil은 위상학적 특이성이 있어 고차원 에너지를 포획되는 성질이 있다고 하였다. Jennison은 수학 공식으로 계산하면 두 개의 직교하는 정상파(standing wave)가 관찰된다고 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두 개의 정상파의 상호 작용은 코일의 감는 모양에 따라 달라지고, 강(cavity) 내에 포획되는 장(場)의 분포에 따라 달라진다고 하였다. 그리고 Tesla coil은 안테나처럼 작동할 수도 있다고 하였다. 또한 Chambers(1960)는 Tesla coil에 직류를 보내어 양자 에너지를 발생시켰지만 교류를 보내어도 양자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Georges Lakhovsky는 1920년대 프랑스에서 미용 치료를 목적으로 장치를 개발하였는데 그는 Tesla coil에 안테나를 접속시켜 만들었으며 이를 다중파동 발생장치(Multi-Wave Oscillator)라고 하였다.
Seiki(1990)에 의하면 뫼비우스 코일은 벡터의 절반은 위로 향하고 절반은 아래로 향하므로 전체적인 시스템으로 고려하면 벡터의 합은 영(0)이 된다고 하였다.(전자기장은 제로이다) Seiki는 뫼비우스 코일의 저항 손실을 수학적으로 계산했을 때 허수의 전자기장이 발견된다고 하였다. 이 허수의 에너지는 Maxwell의 전자기 방정식에서 정전기 스칼라 에너지의 허수 부분과 자기장의 허수 부분에 해당 된다고 하였다. 허수의 전자기장이란 양자 에너지장을 말한다고 하였다. Bearden도 허수의 전자기장을 스칼라 에너지라고 불렀다.
Johnson(1992)에 의하면 뫼비우스 코일은 전자기장이 국소 시공간의 곡률을 유발시켜(대칭성을 파괴하여) 고차원 에너지가 3차원 세계로 들어오게 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전자기의 위상학을 연구하는 분야를 위상 전자학(topological electronics)이라고 부른다.
상기 기재된 원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양자에너지 발생장치가 만들어졌다.
양자 에너지 발생장치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Tesla coil
2. Tesla coil을 변형한 Moebius coil 혹은 Caduceus coil
3. Moebius coil에 주파수 발생장치를 결합한 장치
4. Plasma wave를 이용한 장치: Priore machine(프리오르 장치)
5. Plasma wave에 주파수 발생장치를 결합한 장치: Rife machine
즉, 양자(quantum)에너지, 초양자(superquantum)에너지, 스칼라(scalar)에너지, 비헤르쯔(non-Hertzian)에너지 등은 비슷하게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양자의학에서도 그냥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1.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1689275호(산화질소 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상화질소 발생 시스템)에서는 내부 공간에 전해질의 유체가 저장되는 본체와 본체부에 설치되며 전해질의 유체를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하는 가열부와 본체부의 상단을 통해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슬라이딩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가열부에서 가열된 유체를 아크방전시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부와 전해질 유체에 자력을 가하는 자력부와 내부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와 공급된 공기와 스팀을 접촉시켜 열분해과정을 통해 산화질소를 발생시키는 기술로 이 기술은 장치가 복잡하고 고온의 산화질소가 생산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치료 및 건강관리 대상부위에 직접 사용하기에는 불가하기 때문에 별도의 냉각장치가 필요하다.
2.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1555523호(산화질소 방출성 상처치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서는 인체에서 자발적으로 형성되는 산화질소 공여체인 S-나이트로글루타치온을 함유한 산화질소 방출성 필름이 인체에 적용할 수 있는 기계적 특성을 가질뿐만 아니라, 서서히 산화질소를 방출하며 상처 감염의 주 원인이 되는 병원균을 억제하고 상처를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는 필름으로 이 기술은 산화질소 방출 및 피부흡수에 의한 통증은 어느정도 완화할 수 있으나 사용시마다 필름이 소모되며 상처부위에 축적된 양이온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없다.
3.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1150497호(저순도 암모니아 원료로부터 고순도 일산화질소와 아산화질소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서는 공업용 저순도 암모니아를 기화시켜 순도를 높혀서 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리보일러, 컬럼, 냉각기로 구성된 증류탑을 사용하여고순도 암모니아를 제조하는 1단계 공정을 거쳐서 , 상기 제조된 고순도 암모니아를 촉매가 탑재된 촉매반응기에 투입하면서 산소를 주입하여 부분 산화시켜 일산화질소(NO), 아산화질소(N2O)를 합성하는 2단계 공정을 거치고, 촉매반응기에서 반응 후 생산된 혼합가스를 리보일러, 컬럼, 냉각기로 이루어진 증류탑을 사용하여 분리 정제하는 3단계공정으로 이루어진 고순도 일산화질소(NO), 아산화질소(N2O)의 제조방법으로 이기술은 장치가 복잡하며 투자비가 고가이며 특히 아산화질소(N2O)는 마취가스이어서 사용할 수 없다.
4.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0505212호(인체 전위조절 전기치료기)에서는 상용 교류 전원을 브리지 정류하여 소정의 직류 전원을 각 회로부에 공급되는 전원부와 전체동작이 제어되기 위한 CPU와 설정된 작동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제어부와, 기기의 동작 시종시 소리를 발하는부저부와, 출력의 세기가 조절되는 출력조절부와, 펄스발생 주파수가 조절되어 소정의 발진 주파 신호가 출력부에 입력되는 펄스발생부와, 다수개의 출력단을 갖는 출력부로 이루어지며 양극(+)과 음극(-) 또는 다극(+, -, +, -, +등)의 맥동전류를 발생하게하여 신체의 비정상 부위를 찾아 농축된 음이온과 양이온을 제거하는 기술로써 이 기술은 농축된 음이온 과 양이온을 제거할 수 있으나 산화질소(NO) 및 양자에너지 조사 기능이 없다.
5.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1585035호(전기 자극 치료기 및 그 제어방법)에서는 전기 자극에 사용할 전기신호의 기본 파형에 대응하는 전기신호 함수가 저장된 저장부와, 저장부에 저장된 전기신호 함수에대응하는 파형의전기신호를 생성하는신호 생성부와, 신호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파형의전기신호를 전기자극할 피부에부착된 전극단자에 출력하는 신호출력부와, 저장부에 저장된 전기신호 함수를 이용하여 신호생성부를 통해저장된 전기신호 함수에 대응하는 파형의 전기신호를 생성시키고, 신호출력부를 통해 생성된 파형의 전기신호를 전극단자에 출력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신체의 비정상 부위에 파형의 전기신호를 신체에 보내어 농축된 이온을 제거하는 기술로써 이 기술은 신체 특정부위에 농축된 이온을 제거할 수 있으나 산화질소(NO) 및 양자에너지 조사 기능이 없다.
6.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1004373호(레이져 조사부가 장착된 전기자극 경혈치료기)에서는 손잡이부, 손잡이부 전단부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지지대, 상기 롤러지지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부재, 상기 롤러지지대의 아랫면에 배치되는 레이져 조사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설치되는 제어부, 및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인체의 굴곡면을 따라 능동적으로 이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부에 의해 전기통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인체의 경혈부위에 미세전기자극을 가하여 전기침의 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것으로써 이기술은 신체 특정부위에 농축된 이온을 제거할 수 있으나 산화질소(NO) 및 양자에너지 조사 기능이 없다.
1.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1689275호(산화질소 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상화질소 발생 시스템) 2.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1555523호(산화질소 방출성 상처치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3.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1150497호(저순도 암모니아 원료로부터 고순도 일산화질소와 아산화질소의 제조방법 및 장치) 4.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0505212호(인체 전위조절 전기치료기) 5.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1585035호(전기 자극 치료기 및 그 제어방법) 6.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1004373호(레이져 조사부가 장착된 전기자극 경혈치료기)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양자에너지를 사용자의 치료 및 건강 관리 대상부위에 조사하는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는, 제1산화질소 공급기와 제2산화질소 공급기로 구성된 산화질소 공급기와, 제1양자에너지 발생기와 제2양자에너지 발생기로 구성된 제1양자에너지 발생장치와, 산화질소 및 히드록실이온(OH-Radical) 이온이 함유되고 양자에너지가 조사된 공기를 신체의 치료 및 건강 관리 대상부위에 분사하면서 마이너스 전기를 흘려보내어 통증 유발점 부위에 축적된 양이온을 중화시킴으로써 세포내 이온통로를 활성화시키고 통증유발요인을 제거하여 통증을 제거하는 제1미세전류 공급기와, 제3양자에너지 발생기와 제4양자에너지 발생기로 구성된 제2양자에너지 발생장치와, 사용자의 통증 유발점에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생성되는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면서 마이너스 전기를 흘려보내어 통증 유발점 부위에 축적된 양이온을 중화시킴으로써 세포내 이온통로를 활성화시키고 통증유발요인을 제거하는 제2미세전류 공급기와, 제1양자에너지 발생장치와 제2양자에너지 발생장치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제어반을 포함한다.
제1산화질소 공급기는 전처리필터, 에어FAN, 방전극, 고전압 발생기로 구성되어 에어FAN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과정에 전처리필터에서 분진을 제거하고 흡입된 외부공기를 가압하여 고전압 발생기에서 생성된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전극 사이로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방전극 사이에서 형성되는 고 전계전자에너지를 공기에 인가하여 해리, 여기, 이온화, 산화환원 반응 등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공기 구성분자인 질소분자, 산소분자, 수증기의 물분자의 공유결합을 해리하여 생성되는 산화질소, 이산화질소, 수소양성자, 히드록실이온 등의 활성기체를 생산하고 이어 흡착제를 통과시켜 아산화질소 및 이산화질소가 제거된 산화질소를 생산할 수 있다.
제2산화질소 공급기는 산화질소가 고압으로 충전된 산화질소용기와 감압장치와 유량조절밸브 및 도관으로 구성되어 산화질소용기에 가압되어 충전된 산화질소를 감압장치에서 감압하고 유량조절밸브에서 산화질소 공급량을 조절하여 사용개소에 공급할 수 있다.
제1양자에너지 발생기는 제1전극 내면에 시계방향으로 권선되는 제1코일, 제2전극 외면에 반시계방향으로 제2코일이 권선되며 제1코일과 제2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고전압 발생기 및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고전압 발생기로 구성되어 고전압 발생기에서 제1전극과 제2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서 전계장이 형성되는 유로로 산화질소 공급기에서 산화질소가 공급되어 유입되는 공기에 고전압 발생기에서 제1코일과 제2코일에 전원을 공급을 공급하면 코일에 흐르는 전류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자기장이 생성되는데 상기 제1코일과 제2코일의 권선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되어 코일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생성되는 자기장이 중첩되어 소멸되면서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생성되는 양자에너지를 유로에 유입되는 산화질소가 함유된 공기에 조사할 수 있다.
제2양자에너지 발생기는 전원공급장치, 가변형 고전압 발생기 및 정류배압회로, 고전압 방전극으로 구성되며. 전원공급장치에서 가변형 고전압 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15KV에서 50KV 범위의 고전압으로 승압 및 15KV에서 50KV 범위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부하에 대한 전류량에 비례하여 자기장을 출력하고, 정류배압회로에서 정류 및 배압을 통해 특고압의 전자장을 발생시키고 정류배압회로 구성품의 고압 스위칭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에 역전압을 걸어 PN 접합에서 미세한 전류가 흐르게하여 P형 반도체에 있는 전자가 절연 영역의 미세한 구멍을 통과해 N형 반도체 쪽으로 이동하는 양자역학적 터널 효과가 발생하게 하고, 정류배압회로 구성품의 콘덴서에서 충전 및 방전이 연속적으로 일어나게하여 양자역학적 터널 효과에 의해 양자에너지를 생성하여 제1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어 유입되는 공기에 다시 양자에너지를 조사할 수 있다.
제1미세전류 공급기는 전원공급기, 감압변압기, 정류기, 과전류방지장치, 스위칭소자, 코일, 출력도선(+, -)으로 구성되어 전원공급기에서 220v, 60Hz의 교류전원을 감압변압기에 공급하여 3 내지 12v, 60Hz의 교류전원으로 감압한 후 정류기에 공급하여 정류기 내부에 설치된 정류회로에 의해 3 내지 12v, 범위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한 후 과전류방지장치를 거쳐 스위칭소자에 공급하여 스위칭소자의 회로에 의해 0.1 내지 1초 범위로 코일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공급 및 차단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여 코일에 직류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스위칭소자 출력선의 +용 전선은 코일에 연결되고 스위칭소자 출력선의 -용 전선과 코일의 한 전선은 외부에 도출되어 사용자의 통증 유발점 부위에 접촉하게 하여 산화질소 및 히드록실이온(OH-Radical) 이온이 함유되고 양자에너지가 조사된 공기를 신체의 치료 및 건강 관리 대상부위에 분사하면서 마이너스 전기를 흘려보내어 통증 유발점 부위에 축적된 양이온을 중화시킴으로써 세포내 이온통로를 활성화시키고 통증유발요인을 제거하여 통증을 제거할 수 있다.
제3양자에너지 발생기는 제1직육면체의 제1전극 및 내부 절연판상의 표면에 시계방향으로 권선되는 제1코일, 제2직육면체의 제2전극 및 내부 절연판상의 표면에 반시계방향으로 권선되는 제2코일, 제1 및 제2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및 제1전극과 제2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직류전원 공급장치로 구성되어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직류전원 공급장치에서 직류전원을 공급하면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서 전계장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코일 입력측에 전원공급장치에서 전원을 공급하면, 제1 및 제2코일에서 전류흐름방향의 90도 각도로 자기장이 형성되는데, 제1 및 제2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이므로 방향이 서로 반대이므로 방향이 반대인 로렌츠힘과 자기장이 형성하게 되어 자기장이 서로 중첩되어 소멸되면서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생성되는 양자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4양자에너지 발생기는 밀봉된 유리관 본체 좌측면 내부에 필라멘트를 갖는 음극을 설치하고 상기 음극과 일정거리 이격시켜 우측에 로듐 등의 소재로 된 양극을 설치하며, 양극의 외부 노출면으로 베릴륨 등의 소재로 된 양자에너지 발산층을 형성하고 상기 음극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며 양극과 음극 사이에 10에서 30KV의 고전압 발생장치의 출력을 연결하여서 된 형태이며, 음극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음극에서 열전자가 생성되고, 고전압 발생장치의 양극을 향하여 출발하며, 로듐 등으로 된 양극에 도달하여 충격한 후 양극재질의 핵외전자(Extranuclear)들과 충돌하면서 일정량의 운동에너지가 감쇄작용으로 소멸되고, 잔여 에너지가 X-선 및 양자에너지를 발생하게 되며 양극을 투과한 X-선 및 양자에너지가 비방사상물질의 발산층에 입사되면서 광전자 및 양자에너지로 전환, 복사 조정현상(Radiation Moderation)으로 양자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2미세전류 공급기는 전원공급기, 감압변압기, 정류기, 과전류방지장치, 스위칭소자, 코일, 출력도선(+, -)으로 구성되어 전원공급기에서 220v, 60Hz의 교류전원을 감압변압기에 공급하여 감압변압기에서 3 내지 12v, 60Hz의 교류전원으로 감압한 후 정류기에서 3 내지 12v, 범위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한 후 과전류방지장치를 거쳐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면 스위칭소자의 회로에 의해 0.1 내지 1초 범위로 코일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공급 및 차단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여 코일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스위칭소자 출력선의 +용 전선은 코일에 연결되고 스위칭소자 출력선의 -용 전선과 코일의 한 전선은 외부로 도출되어 사용자의 통증 유발점에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생성되는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면서 마이너스 전기를 흘려보내어 통증 유발점 부위에 축적된 양이온을 중화시킴으로써 세포내 이온통로를 활성화시키고 통증유발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에 의하면, 히드록실 이온(OH-Radical)을 사용자의 치료 및 건강 관리 대상부위에 분사하여 치료대상범위 부분의 세균을 살균을 용이하게할 수 있다.
또한, 산화질소(NO)를 사용자의 치료 및 건강 관리 대상부위에 분사하여 치료대상범위 부분의 피부를 통하여 흡수되고 혈액에 용해되어 신체 전체에 확산되어 순환기계에서는 혈관이 확장되고, 면역계에서는 항암 및 항미생물 작용을 나타내는 방어물질로, 신경계에서는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여 건강을 증진한다.
또한, 사용자의 치료 및 건강 관리 대상부위에 양자에너지를 조사하여 육체의 정보-에너지장이 활발하게 흐르게 하여 각 조직 및 장기의 건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자의 치료 및 건강 관리 대상부위의 통증 유발점 부위에 접촉되어 축적된 양전하를 제거하여 통증을 완화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산화질소 공급기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양자에너지 발생기(210)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2양자에너지 발생기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제1미세전류 공급기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제2양자에너지 발생장치의 제3양자에너지 발생기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제2양자에너지 발생장치의 제4양자에너지 발생기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제2미세전류 공급기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양자에너지 발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이하 '양자에너지 조사장치'라 한다)는 산화질소 공급기(100), 제1양자에너지 발생장치(200), 제1미세전류 공급기(300), 제2양자에너지 발생장치(400), 제2미세전류 공급기(500) 및 제어반(600)을 포함할 수 있다.
산화질소 공급기(100)는 전처리필터(101), 에어FAN(102), 방전극(111), 고전압 발생기(112)로 구성되어 에어FAN(102)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과정에 전처리필터(101)에서 분진을 제거하고 흡입된 외부공기를 가압하여 고전압 발생기(112)에서 생성된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전극(111) 사이로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방전극(111) 사이에서 형성되는 고 전계 전자에너지를 공기에 인가하여 해리, 여기, 이온화, 산화환원 반응 등의 전기화학적 반을으로 공기 구성분자인 질소분자, 산소분자, 수증기의 물분자의 공유결합을 해리하여 생성되는 산화질소, 이산화질소, 수소양성자, 히드록실이온등의 활성기체를 생산하고 이어 흡착제를 통과시켜 이산화질소가 제거된 산화질소를 생산하는 제1산화질소 공급기(110)와 산화질소가 고압으로 충전된 산화질소용기(121)와 감압장치(122)와 유량조절밸브(123) 및 도관으로 구성되어 산화질소용기(121)에 가압되어 충전된 산화질소를 감압장치(122)에서 감압하고 유량조절밸브(123)에서 산화질소 공급량을 조절하여 사용개소에 공급하는 제2산화질소 공급기(120)로 구성된다.
제1양자에너지 발생장치(200)는 제1양자에너지 발생기(210)와 제2양자에너지 발생기(220)로 구성된다.
제1양자에너지 발생기(210)는 내통 형태의 제1전극(211), 외통 형태의 제2전극(212) 구조의 중공관 형태이며 제1전극(211) 내면에 시계방향으로 권선되는 제1코일(211a), 제2전극(212) 외면에 반시계방향으로 제2코일(212a)이 권선되며 제1 코일(211a)과 제2코일(212a)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213)과, 제1전극(211) 및 제2전극(212)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고전압 발생기(214)로 구성되어 제1전극(211)과 제2전극(212)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로 산화질소 공급기(110, 120)에서 산화질소가 공급되어 유입되는 공기에 제1전극(211) 및 제2전극(212)에 고전압 발생기(213)에서 직류전원을 공급하면 전극(211, 212) 사이에서 전기장이 생성되고, 전원공급장치(214)에서 제1코일(211a)과 제2코일(212a)에 전원을 공급을 공급하면 코일(211a, 212a)에 흐르는 전류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자기장이 생성되는데 상기 제1코일(211a)과 제2코일(212a)의 권선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되어 코일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생성되는 자기장이 중첩되어 소멸되면서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생성되는 양자에너지를 유로에 유입되는 산화질소가 함유된 공기에 조사한다.
제2양자에너지 발생기(220)는 전원공급장치(221), 가변형 고전압 발생기(222) 및 정류배압회로(223), 고전압 방전극(224)으로 구성되며. 전원공급장치(221)에서 가변형 고전압 발생기(222)에 전원을 공급하여 15KV에서 50KV 범위의 고전압으로 승압 및 15KV에서 50KV 범위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부하에 대한 전류량에 비례하여 자기장을 출력하고, 정류배압회로(223)에서 정류 및 배압을 통해 특고압의 전자장을 발생시키고 정류배압회로(223) 구성품의 고압 스위칭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에 역전압을 걸어 PN 접합에서 미세한 전류가 흐르하여 P형 반도체에 있는 전자가 절연 영역의 미세한 구멍을 통과해 N형 반도체 쪽으로 이동하는 양자역학적 터널 효과가 발생하게 하고, 정류배압회로(223) 구성품의 콘덴서에서 충전 및 방전이 연속적으로 일어나게하여 양자역학적 터널 효과에 의해 양자에너지를 생성하여 제1양자에너지 발생기(210)에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어 유입되는 공기에 다시 양자에너지를 조사한다.
제1미세전류 공급기(300)는 전원공급기(310), 감압변압기(311), 정류기(312) 과전류방지장치(313), 스위칭소자(314), 코일(315), 출력도선(+, -)으로 구성되어 전원공급기(310)에서 220v, 60Hz의 교류전원을 감압변압기(311)에 공급하여 3 내지 12v, 60Hz의 교류전원으로 감압한 후 정류기(312)에 공급하여 정류기(312) 내부에 설치된 정류회로에 의해 3 내지 12v, 범위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한 후 과전류방지장치(313)를 거쳐 스위칭소자(314)에 공급하여 스위칭소자(314)의 회로에 의해 0.1 내지 1초 범위로 코일(315)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공급 및 차단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여 코일(315)에 직류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스위칭소자(314) 출력선의 +용 전선은 코일(315)에 연결되고 스위칭소자(314) 출력선의 -용 전선과 코일(315)의 한 전선은 외부에 도출되어 사용자의 통증 유발점 부위에 접촉하게 하여 산화질소 및 히드록실이온(OH-Radical) 이온이 함유되고 양자에너지가 조사된 공기를 신체의 치료 및 건강관리 대상부위에 분사하면서 마이너스 전기를 흘려보내어 통증 유발점 부위에 축적된 양이온을 중화시킴으로써 세포내 이온통로를 활성화시키고 통증유발요인을 제거하여 통증을 제거한다.
제2양자에너지 발생장치(400)는 제3양자에너지 발생기(410)와 제4양자에너지 발생기(420)로 구성된다.
제3양자에너지 발생기(410)는 제1직육면체 형태의 제1전극(411) 및 내부 절연판상의 표면에 시계방향으로 권선되는 제1코일(412), 제2직육면체 형태의 제2전극(413) 및 내부 절연판상의 표면에 반시계방향으로 권선되는 제2코일(414), 제1 및 제2코일(412, 41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415) 및 제1전극(411) 및 제2전극(413)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415)로 구성되어 제1전극(411) 및 제2전극(413)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면 두 전극(411, 413) 사이에 전기장이 생성되고, 제1 및 제2코일(412, 414) 입력측에 전원공급장치(415)에서 전원을 공급하면, 제1 및 제2코일(412, 414)에서 전류흐름방향의 90도 각도로 자기장이 형성되는데, 제1 및 제2코일(412, 414)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이므로 방향이 반대인 로렌츠힘과 자기장이 형성하게 되어 자기장이 서로 중첩되어 소멸되면서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생성되는 양자에너지를 생성한다.
제4양자에너지 발생기(420)는 밀봉된 유리관(425) 본체 좌측면 내부에 필라멘트를 갖는 열전자 방출 음극(426)을 설치하고 상기 음극(426)과 일정거리 이격시켜 우측에 로듐 등의 소재로 된 양극(427)을 설치하며, 양극(427)의 외부 노출면으로 베릴륨 등의 소재로 된 양자에너지 발산층(428)을 형성하고 상기 음극(426)에 전원을 전원공급기(423)를 통해 공급하도록 하며 양극(427)과 음극(426) 사이에 10에서 30KV범위의 가변형 고전압 발생장치(421)의 출력을 연결하여서 된 형태이며, 음극(426)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음극(426)에서 열전자가 생성되고, 가변형 고전압 발생장치(421)의 양극을 향하여 출발하며, 로듐 등으로 된 양극(427)에 도달하여 충격한 후 양극재질의 핵외전자(Extranuclear)들과 충돌하면서 일정량의 운동에너지가 감쇄작용으로 소멸되고, 잔여 에너지가 X-선 및 양자에너지를 발생하게 되며 양극(427)을 투과한 X-선 및 양자에너지가 비방사상물질의 발산층에 입사되면서 광전자 및 양자에너지로 전환, 복사 조정현상(Radiation Moderation)으로 양자에너지를 생성한다.
제2미세전류 공급기(500)는 전원공급기(510), 감압변압기(520), 정류기(530) 과전류방지장치(540), 스위칭소자(550), 코일(560), 출력도선(+, -)으로 구성되어 전원공급기(510)에서 220v, 60Hz의 교류전원을 감압변압기(520)에 공급하여 감압변압기(520)에서 3 내지 12v, 60Hz의 교류전원으로 감압한 후 정류기(530)에서 3 내지 12v, 범위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한 후 과전류방지장치(540)를 거쳐 스위칭소자(550)에 공급되면 스위칭소자(550)의 회로에 의해 0.1 내지 1초 범위로 코일(560)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공급 및 차단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여 코일(560)에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스위칭소자(550) 출력선의 +용 전선은 코일(560)에 연결되고 스위칭소자(550) 출력선의 -용 전선과 코일(560)의 한 전선은 외부로 도출되어 사용자의 통증 유발점에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생성되는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면서 마이너스 전기를 흘려보내어 통증 유발점 부위에 축적된 양이온을 중화시킴으로써 세포내 이온통로를 활성화 시키고 통증유발요인을 제거한다.
제어반(600)은 제1양자에너지 발생장치(200)와 제2양자에너지 발생장치(400)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산화질소 공급기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산화질소 공급기(110)는 독립된 하우징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 청정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로서 그 내부의 입구부에는 청정공기의 분진 제거용 전처리필터(101)가 구비되고, 상기 전처리필터(101)와 간격을 두고 청정공기를 강제로 유입시키기 위한 에어FAN(102)이 설치되고, 상기 에어FAN(102)에 의해 가압된 공기는 간격을 두고 방전챔버(109) 내부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방전전극(+전극)(111a) 및 접지전극(-전극)(111b)으로 구성된 방전극(111) 사이를 통과 하면서 고전압 발생기(112)에서 생성된 고전압을 인가받아 방전전극(+전극)(111a) 및 접지전극(-전극)(111b) 사이에서 고전압 방전이 개시되고, 방전과정에서 생성되는 전계전자에너지가 방전극을 통과하는 공기에 인가되어 해리, 이온화, 여기, 산화, 환원 반응 등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공기를 구성하는 질소분자(N2), 산소분자(O2), 수증기의 물분자(H2O)의 공유 결합을 분해하여 이온화된 산화질소(NO), 이산화질소(NO2), 수소이온(H+), 히드록실 이온(OH- Radical)을 생성하는데, 방전극(111)은 방전전극(+전극)(111a) 및 접지전극(-전극)(111b)이 조합되는 경우와 방전전극(+전극)(111a), 접지전극(-전극)(111b) 뒷면에 면접하여 네오디움 재질의 영구자석(111c)이 부착되는 조합, 방전전극(+전극)(111a), 접지전극(-전극)(111b) 뒷면에 면접하여 영구자석(111c)이 부착되고 방전극의 방전표면에 이산화티탄(TiO2) 등의 촉매물질(111d)이 코팅된 조합, 방전전극(+전극)(111a) 및 접지전극(-전극)(111b)의 사이에 석영, 고순도 알루미나, 세라믹 재질의 유전체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부착되는 조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전극(111)의 방전전극(+전극)(111a) 및 접지전극(-전극)(111b)의 재질은 텅스텐, 티타늄, 니켈 및 크롬 성분이 함유된 스테인리스 스틸(STS304, 316L, 403 등), 콘스탄틴 합금, 이규화몰리브덴, 백금, 코발트합금, 하스탈로이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며, 방전극 표면에 방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산화티탄(TiO2), 백금(Pt), 이산화망간(MnO2), 규산지르코늄(ZrSiO4), 수산화리튬(LiOH), 팔라듐(Pd), 로듐(Rh) 등의 촉매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이 선택되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전극의(111)의 형상은 평판형, 정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원형, 원뿔형, 피라미드형 등으로 구현되며 또 다른 구현 방법은 평판 위에 정사각형, 삼각형, 직사각형, 원뿔형, 피라미드형 등 다양한 형상이 조합되며, 외면에 삼각나사, 사각나사, 둥근나사 모양으로 가공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방전극(111)은 PVC, PE, MC, 베크라이트, 테프론, FRP, 세라믹 소성물 등의 절연 재질 중에서 택일된 방전챔버(109)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전의 사각 공간을 최소화하고, 방전밀도를 조밀하게 하기 위하여 방전챔버(109) 내부 공간이 가능한 최소의 공간이 되도록 원형, 이중관형, 다중관형인 경우 직경은 10cm 이상 100cm 이내로 하되 방전극(111)의 크기나 방전챔버(109)의 크기는 처리 용량에 비례하여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전압 발생기(112)는 입력전압, 주파수, 출력전압이 적정값으로 미리 설정된 고정형과 입력전압은 고정되어 있고, 출력 전압, 주파수, 정격 용량이 임의로 조절 가능한 가변형으로 구성되어지며, 이때 입력 전압은 직류(DC) 12V 이상, 교류(AC) 110V 이상이며, 2차측 출력전압은 공기 중 산소 분자(O2)의 공유결합을 분해할 수 있는 전계전자에너지(Ie, eV); 12.0857eV 이상, 질소 분자(N2)의 공유결합을 분해할 수 있는 전계전자에너지(Ie, eV); 15.58eV 이상, 물 분자(H2O)의 공유결합을 분해할 수 있는 전계전자에너지(Ie, eV); 12.621eV 이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전압 발생기(112)는 입력측 전압이 직류전류(DC) 12V 이상이고, 교류전류 전압이 110V 이상이며, 출력측 전압이 직류전압(DC), 교류전압(AC) 이 1KV ~ 300KV 범위이며, 출력측 주파수(Hz) 범위는 교류(AC)의 경우 1KHz에서 500KHz 범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고전압 발생기(112)의 출력측 전압(V)은 1KV에서 300KV 범위이고, 주파수는 1KHz에서 500KHz 버뮈 중에서 택일하여 전압 및 주파수가 설정되고, 정격용량(W, A)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적합한 용량으로 임의적으로 선정된 고정형 고전압 발생기나, 전압, 주파수, 용량이 조절 가능한 가변형 고전압 발생기가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고전압 발생기(112)에 의한 높은 전계전자 에너지를 인가받아 방전하여 유입된 실내 오염공기에 대한 전기 화학적 반응은, 전기전자 에너지를 e 로, M을 Na, K, Ca, Mg라 표기할 때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해리반응은 아래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1) e + O2 → O + O + e
2) e + N2 → N + N + e
3) e + O2 → O- + O
또한, 이온화반응은 아래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1) e + N2 → N + N+ + 2e
2) e + N2 → N2 + + 2e
3) e + O2 → O + O+ + 2e
4) e + O2 → O2 + + 2e
또한, 산화반응은 아래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1) e + O2 → O + O
2) O + NO + M → NO2 + M
3) O + H2O → OH + OH
4) OH + NO2 → HNO3
또한, 환원반응은 아래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1) e + N2 → e + N + N
2) N + NO → N2 + O
상기 산화반응에 의해 산화질소(NO), 이산화질소(NO2), 히드록실이온(OH- Radical) 이온 등 화성기체가 생성된다
전기화학적 반응과정에서 공기 중 세균을 살균하는 OH Radical 활성종 생성반응은 공기 중 수증기의 물분자를 해리하여 생성하는 아래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1) e + H2O → H+ + OH-
2) e + H2O → H + OH + e
3) O + H2O → 2OH-
상기와 같이 물분자가 해리되어 발생되는 히드록실이온(OH- Radical)이 유입되는 청정공기중의 세균 및 부유바이러스를 살균한다.
상기 과정에서 청정공기중의 세균 및 부유바이러스를 살균되고 산화질소(NO), 이산화질소(NO2)함유된 공기는 에어FAN(102)의 가압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이산화질소(NO2)제거용 흡착제가 담지된 흡착베드(113)로 유입되어 베드 내부에 충진된 친수성 흡착제, 소수성 흡착제, 중합체 흡착제, 활성탄, 탄소 분자체 흡착제, 활성알루미나, 5A제올라이트, ZSM-5 및 Lix등의 아산화질소(NO2)흡착제중 어느 한가지 이상물질이 선택되어 베드로 유입되는 아산화질소(NO2)가 흡착제에 흡착되어 제거된다.
1863년 burton은 협심증의 치료에서 Amylate nitrate의 효과를 처음 기술 하였고, 1978년 Murad들은 일산화질소가 질소를 포함하는 수많은 혼합물이 Cytosolic guanylate cyclate를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고, 1981년 Mellion들이 일산화질소가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한다고 최초로 보고하였고, 1987년 내피세포에서 생성되어 이렇게혈관 이완을 중재하는 물질은 일산화질소임이 관련학계에서 확인되는등 그동안 일산화질소에 대한 연구가활발하게 진행되면서 혈관 및 혈액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조직에서 일산화질소가 나타내는 기능이 밝혀졌고 그 기능의 중요성이 확인 되었으며 이러한 연구에 결정적인 공로가 인정되어 Murad, Ignarro 및 등이 1998년도 노벨 의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산화질소는 다수의 대사경로에 영향을 주고 , 그리고 혈관 신호전달, 뉴런신호전달, 평활근 수축, 생물에너지학, 혈소판 부착, 혈소판 응집, 면역성 및세포사멸에서 일정한 역할을 수행한다. 산화질소의 감소된 생체이용가능 수준은 다양한 질환 및잔애에 관여한다. 산화질소는 심혈관, 신경, 폐, 위장관, 신장 및 면역계의 기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일산화질소는 미생물의 감염을 막는 인체 방어기전에 내인성 물질로 알려져 있다(Bogdan, 2001). 저농도의 일산화질소는 면역세포의 성장과 활성을 촉진하는 신호전달 물질로작용하는 반면, 고농도의 일산화질소는 호중구의 호흡폭발(respriratory burst)와 같은 상황에서 DNA, 단백질 및 지질과의 공유결합을 통하여대상병원균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사멸한다.
또한 일산화질소는 피부로의 흡수 및 흡입(inhalation)으로도흡수가 가능하며, 흡입(inhalation)에 의한 폐로의 일산화질소의 투여는 전신 부작용 없이 성인 어린이, 포유동물에서 기관지 수축 폐 고혈압 폐렴등을 치료하기 위해 국소화된 평활근 이완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발명에서는 산화질소 발생기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고전압 방전과정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산화질소를 생성시켜 치료 및 건강관리 대상자의 환부에 산화질소가 함유된 공기를 분사한다.
그리고, 제2산화질소 공급기(120)는 산화질소(NO) 제조 공장에서 고순도(순도 99.9%)로 제조되어 고압용기(bombe)에 약 100kg/cm2의 압력으로 충전되어 입고되는 산화질소용기(121)에 배관을 연결하고 배관상에 설치된 감압장치(122)에 보내어 감압장치(1220) 본체 내부의 오리피스를 통과시켜 수주 300mmH2O 압력으로 감압 시킨후 유량조절밸브(123)로 보내어 사전에 프로그램되어 제어반(600)에 입력시킨 적정유량이 제1양자에너지 발생장치의 제1양자에너지 발생기(210)로 공급된다.
상기 제1양자에너지 발생장치는 제1양자에너지 발생기(210)와 제2양자에너지 발생기(220)로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양자에너지 발생기(210)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양자에너지 발생기(210)는 이중코일 방식으로 제1양자에너지 발생기(210)는 내통 형태의 제1전극(211), 외통 형태의 제2전극(212) 구조의 중공관 형태이며 제1전극(211) 및 제2전극(212) 사이에서 유로가 형성된다. 제1전극(211) 및 제2전극(212)에 고전압 발생기(214)가 연결되고, 상기 제1전극(211)속에 절연되어 시계방향으로 일정권수의 제1코일(211a)이 권선되고, 상기 제2전극(212)의 절연된 외표면에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권수의 제2코일(212a)이 권선되며 상기 제1 및 제2코일(211a, 212a)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213)로 구성된다. 제1전극(211) 내면에 설치되는 제1코일(211a)과 제2전극(212) 외면에 설치되는 제2코일(212a)의 권선 방향은 서로 반대로 하고, 제1 및제2 코일(211a, 212a)에 전원공급장치(213)에 내장된 변압기(213a)에서 가변된 전압, 주파수 변조회로(213b)에서 변조된 주파수, 가변된 전압에 비례한 가변된 전류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동일한 전압, 주파수, 전류를 공급하면, 제1 및 제2코일(211a, 212a)에서 전류흐름방향의 90도 각도로 자기장이 형성되는데, 제1 및 제2코일(211a, 212a)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이므로 방향이 반대인 로렌츠힘과 자기장이 형성하게 되어 자기장이 서로 중첩되어 소멸되면서, 전체자기장은 제로가 되나, 실제로 잠재에너지(Subtle Energy: 이하 SE 라 함)인 양자에너지가 발생한다. 이러한 잠재에너지(SE)는 양자에너지로서 스칼라 에너지 또는 비 헤르쯔(non-Hertzian) 등으로 호칭되나, 본 발명에서는 무자장 에너지(양자에너지) 발생수단으로 통칭 하기로 한다. 제1 및 제2코일(211a, 212a)에서 자기장이 중첩 소멸되면서 생성되는 양자에너지를 산화질소 공급기에서 공급되는 산화질소가 함유된 공기에 조사한다. 또한 극성변환장치(214a)가 내장된 고전압 발생기(214)에서 제1전극(211), 제2전극(212)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면 제1전극(211) 및 제2전극(212) 사이에서 전기장이 형성되고, 전기장 내에서 대전된 입자(이온:H+, O2-, NO, OH-Radlcal)의 진동이 발생한다. 대전되는 수소 양성자(H+)는 양극으로 대전되는 제1전극(211) 또는 제2전극(212) 중 양극의 어느 한 전극에서 척력으로 진동하다 마이너스 전극으로 인력이 작용하여 이동하고, 대전되는 음이온(O2-, NO, OH-Radlcal)은 음극으로 대전되는 제1전극(211) 또는 제2전극(212) 중 음극의 어느 한 전극에서 척력으로 진동하다 플러스 전극으로 인력이 작용하여 이동한다. 또한, 산화질소(NO), 반응된 수소이온(H+) 및 OH- Radical 이온 등의 활성 이온에 제1, 제2코일(211a, 212a)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류의 흐름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생성되는 자기장이 인가되면, 전기장과 자기장이 로렌츠힘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어 제1전극(211) 또는 제2전극(212)의 전기장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과 공명되어 큰 파동을 형성한다. 또한 전기장과 자기장에 의해 상기 기재된 미 반응된 수소이온(H+) 및 OH- Radical 이온 등의 활성 이온의 평균 경로를 증가시켜 세균, 부유 바이러스의 살균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2양자에너지 발생기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양자에너지 발생기(220)는 전원공급장치(221), 가변형 고전압 발생기(222) 및 정류배압회로(223), 고전압 방전극(224)으로 구성되며. 전원공급장치(221)는 가변형 고전압 발생기(222)에 220V, 60Hz에 교류전원을 공급하면 내부 규소 철심(도시하지 않음) 좌우에 감긴 코일(도시하지 않음)의 권수비에 15KV에서 50KV범위의 고전압으로 승압 및 15KV에서 50KV범위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부하에 대한 전류량에 비례하여 자기장을 출력하고, 정류배압회로(223)는 정류 및 배압을 통해 특고압의 전자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고압 고속스위칭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도시하지 않음)와 콘덴서(도시하지 않음)를 이용, 적정 배압을 선택 사용하여, 필요한 출력전압범위로 배압하도록 한다.
고압 스위칭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도시하지 않음)에 역전압이 걸리면 갑자기 전류가 흘러버리는 현상이 생기는데, 이러한 제너 효과는 PN 접합의 역방향으로 전압을 걸게 되면 미세한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 전압을 높여 가면 P형 반도체에 있는 전자가 절연 영역의 미세한 구멍을 통과해 N형 반도체 쪽으로 이동하는 양자역학적 터널 효과가 발생한다. 이때, 전압을 더욱 높이면 터널도 더욱 넓어지게 되어 전류는 증가하게 되나 전압은 증가하지 않는다. 정류배압회로(223)의 콘덴서(도시하지 않음)는 직류가 가해지면 전하가 충전되고, 다시 충전된 전압과 반대되는 방향의 회로가 연결되면 방전이 일어난다. 이러한 과정을 빠른 속도로 반복하게 되면 고전압 방전극(224)사이로 유입되는 파동상태의 대전된 입자(이온:H+, O2-, NO, OH-Radlcal)의 진동이 증폭되고
콘덴서(미도시)의 양쪽 끝에는 충전과 방전으로 인한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제2양자에너지 발생기(220)는 상기 기재된 과정을 거쳐 PN 반도체 터널링 효과에 의해 생성된 파동되는 양자에너지를 제1양자에너지 발생기(210)에서 이송되는 산화질소, 미 반응된 수소이온(H+) 및 OH- Radical 이온 등의 활성 이온에 조사한다.
양자의학에서 정보-에너지 의학(Information-energy Medicine)이란 인체를 구성하는 분자, 세포, 조직, 장기의 보이지 않는 부분, 즉 원자 이하의 소립자, 에너지, 파동 및 초양자장 등을 다루는 의학으로써 수학적으로는 미세 파동(Subtle Wave)을 다루는 의학이다. 따라서 정보-에너지 의학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양자의학에서는 육체의 정보-에너지장이 움직이지 않고 정체하고 있으면 육체적인 병을 일으킨다고 한다.
미국의 정신의학자 그로프(S. Grof)는 인체에는 에너지가 존재하고 이 에너지가 강물이 흐르듯이 계속 흐르면서 각 조직 및 장기의 건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어떤 부위에서이 에너지가 흐르지 않고 정체되면 첫 번째로 나타나는 현상은 그 부위의 혈액순환이 잘 안되고, 두번째로 나타나는 현상은 혈액순환 감소에 의하여 백혈구 와 항체가 부족해지며, 세번째로 나타나는 현상은 면역력의 감소에 의하여 세균이 침입하는 현상이라고 하였다. 특히 만성 기관지염, 만성 인후염, 방광염등은 이와같은 에너지 흐름의 방해 때문에 생기는 병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양자의학에서는 정보-에너지장이 움직이지 않고 정체하고 있으면육체적인 병이 생긴다고 생각한다.
독일의 의사 빌헤름라이크는 인체 내에서 에너지가 흐르지 않고 정체가 생기면 질병이 생길 수 있다고 하였다.
아사도르 로젠펠드 및 미국 대체의학 협회등은 인체 내에서 에너지의 흐름이 정체되면 만성피로 증후군, 에이즈, 비만, 당뇨병, 요로감염, 류마티스 등과 같은 질병이 생길 수 있다고 하였다.
뉴욕 대학교 간호학 교수인 크리거(Dolores Krieger)는 인체내에서 정보-에너지장이 흐르지 않고 정체가 생기면 불안, 슬픔, 우울증, 공포증, 염증, 부종, 급성 및 만성 통증, 식욕 감퇴, 소화 장애, 수면장애 편두통 등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하였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제1미세전류 공급기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미세전류 공급기(300)는 전원공급기(310), 감압변압기(311), 정류기(312), 과전류방지장치(313), 스위칭소자(314), 코일(315), 출력도선(+, -)으로 구성된다. 전원공급기(310)에서 220v, 60Hz의 교류전원이 감압변압기(311)에 공급되면 감압변압기(311) 내부에 설치된 규소철심에 권선된 각각의 코일의 권수비에 비례하여 3 내지 12v, 60Hz의 교류전원으로 감압된 후 정류기(312) 내부에 설치된 정류회로에 의해 3 내지 12v, 범위의 직류전원으로 변환된 후 과전류방지장치(313)를 거쳐 스위칭소자(314)에 공급되면 스위칭 소자(314)의 회로에 의해 0.1 내지 1초 범위로 코일(315)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공급 및 차단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여 코일(315)에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스위칭소자(314) 출력선의 +용 전선은 코일(315)에 연결되고 스위칭소자(314) 출력선의 -용 전선과 코일(315)의 한 전선은 외부에 도출되어 사용자의 통증 유발점 부위에 접속되어 신체에 마이너스 전기를 흘려보내어 통증 유발점 부위에 축적된 양이온을 중화시킴으로써 세포내 이온통로를 활성화 시키고 통증유발요인을 제거하여 통증이 없도록한다. 통증 유발점 부위에 접속되어 신체에 마이너스 전기를 흘려보내어 통증 유발점 부위에 스위칭소자(314) 및 코일(315)에 연결된 전선의 피부 접촉점에서 전류가 흐르는 과정에서 통증이 유발되므로 통증이 지속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제1미세전류 공급기(300) 내부에 스위칭소자(314)를 설치하여 내부에 스위칭소자(314)의 회로에 의해 0.1 내지 1초 범위로 코일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공급 및 차단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여 사용자의 고통을 경감시킨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제2양자에너지 발생장치의 제3양자에너지 발생기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2양자에너지 발생장치는 제3양자에너지 발생기(410)와 제4양자에너지 발생기(420)로 구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3양자에너지 발생기(410)는 하우징(도시하지 않음) 내부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제1직육면체 형태의 제1전극(411)의 내부 절연판상의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로 외부가 피복재로 피복된 일정직경의 코일이 시계 방향으로 일정권수 권선되는 제1코일(412), 간격을 두고 반대편에 설치되는 제2직육면체 형태의 제2전극(413)의 내부 절연판상의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로 외부가 피복재로 피복된 일정직경의 코일이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권수 권선되는 제2코일(414),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415) 및 제1 및 제2코일(412, 41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416)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코일(412, 414)의 권선방향은 서로 반대이며, 제1 및 제2코일(412, 414) 입력측 한 도선은 전원공급장치(415)의 출력측 플러스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한 도선은 전원공급장치(415)의 출력측 마이너스 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코일(412, 414) 출력측의 각각 도선은 제1미세전류 공급기(500)의 입력부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코일(412, 414) 입력측에 전원공급장치(415)에서 가변된 전압, 주파수 변조회로(미도시)에서 변조된 주파수, 가변된 전압에 비례한 가변된 전류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동일한 전압, 주파수, 전류를 공급하면, 제1 및 제2코일(412, 414)에서 전류흐름방향의 90도 각도로 자기장이 형성되는데, 제1 및 제2코일(412, 414)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이므로 방향이 반대인 로렌츠힘과 자기장이 형성하게 되어 자기장이 서로 중첩되어 소멸되면서, 전체자기장은 제로가 되나, 실제로 잠재에너지(Subtle Energy: 이하 SE 라 함)인 양자에너지가 발생한다.
이러한 잠재에너지(SE)는 양자에너지로서 스칼라 에너지 또는 비 헤르쯔(non-Hertzian) 등으로 호칭되나, 본 발명에서는 무자장 에너지(양자에너지) 발생수단으로 통칭 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장치(416)에서 제1전극(411) 및 제2전극(413)에 가변전압 형태의 직류전원을 공급하면 제1전극(411) 및 제2전극(413) 사이에서 전기장이 형성되어 파동되고, 또한,상기 전원공급장치(415)에서 전원이 제1코일 및 제2코일(412, 414)에 공급되어 전류의 흐름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생성되는 자기장이 인가되면, 전기장과 자기장이 로렌츠힘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고 제1전극(411) 및 제2전극(413)에 형성되는 파동을 갖는 전기장과 공명되어 큰 파동을 형성한다. 이러한 파동을 갖는 양자에너지를 간접적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하면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미세전류 공급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제2양자에너지 발생장치의 제4양자에너지 발생기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4양자에너지 발생기(420)는 밀봉된 유리관(425) 본체 좌측면 내부에 필라멘트를 갖는 열전자방출 음극(426)을 설치하고 상기 음극(426)과 일정거리 이격시켜 우측에 로듐 등의 소재로 된 양극(427)을 설치하며, 양극(427)의 외부 노출면으로 베릴륨 등의 소재로 된 양자에너지 발산층(428)을 형성하고 상기 음극(426)에 전원을 전원공급기(423)를 통해 공급하도록 하며 양극(427)과 음극(426)사이에 10에서 30KV의 고전압 발생장치(421)의 출력을 연결하여서 된 형태로 실시 할 수 있다.
또한, 양극(427)과 음극(426)에 인가되는 전압을 고전압 발생장치(421)에서 10에서 30KV범위에서 가변된 전압을 공급하면 양자에너지 발산층(428)에서 발산되는 양자에너지는 파동을 갖게 된다.
이러한 제4양자에너지 발생기(420)의 실시예에 의하면 음극(426)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서 음극(426)에서 열전자가 생성되고 이는 고전압 발생장치(421)의 양극을 향하여 출발하며, 로듐 등으로 된 양극(427)에 도달하여 충격한 후 양극재질의 핵외전자(Extranuclear)들과 충돌하면서 일정량의 운동에너지가 감쇄작용으로 소멸되고, 잔여 에너지가 파동을 갖는 X-선 및 양자에너지를 발생하게 되며 양극을 투과한 X-선 및 양자에너지가 비방사상물질의 발산층에 입사되면서 파동을 갖는 광전자 및 양자에너지로 전환, 복사 조정현상(Radiation Moderation)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통증 유발점 부위에 접속되어 신체에 마이너스 전기를 흘려보낼 때 양자에너지가 사용자의 통증 유발점 부위에 조사되면서 통증 유발점 부위에 축적된 양이온을 중화시킴으로써 세포내 이온통로를 활성화 시키고 통증유발요인을 제거하여 통증이 없도록한다.
양자의학에서 정보-에너지 의학(Information-energy Medicine)이란 인체를 구성하는 분자, 세포, 조직, 장기의 보이지 않는 부분, 즉 원자 이하의 소립자, 에너지, 파동 및 초양자장 등을 다루는의학으로써 수학적으로는 미세 파동(Subtle Wave)을 다루는 의학이다. 따라서 정보-에너지 의학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양자의학에서는 육체의 정보-에너지장이 움직이지 않고 정체하고 있으면 육체적인 병을 일으킨다고 한다.
미국의 정신의학자 그로프(S. Grof)는 인체에는 에너지가 존재하고 이 에너지가 강물이 흐르듯이 계속 흐르면서 각 조직 및 장기의 건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어떤 부위에서이 에너지가 흐르지 않고 정체되면 첫 번째로 나타나는 현상은 그 부위의 혈액순환이 잘 안되고, 두번째로 나타나는 현상은 혈액순환 감소에 의하여 백혈구 와 항체가 부족해지며, 세번째로 나타나는 현상은 면역력의 감소에 의하여 세균이 침입하는 현상이라고 하였다. 특히 만성 기관지염, 만성 인후염, 방광염등은 이와같은 에너지 흐름의 방해 때문에 생기는 병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양자의학에서는 정보-에너지장이 움직이지 않고 정체하고 있으면육체적인 병이 생긴다고 생각한다.
독일의 의사 빌헤름라이크는 인체 내에서 에너지가 흐르지 않고 정체가 생기면 질병이 생길 수 있다고 하였다.
아사도르 로젠펠드 및 미국 대체의학 협회등은 인체 내에서 에너지의 흐름이 정체되면 만성피로 증후군, 에이즈, 비만, 당뇨병, 요로감염, 류마티스 등과 같은 잘병이 생길 수 있다고 하였다.
뉴욕 대학교 간호학 교수인 크리거(Dolores Krieger)는 인체내에서 정보-에너지장이 흐르지 않고 정체가 생기면 불안, 슬픔, 우울증, 공포증, 염증, 부종, 급성 및 만성 통증, 식욕 감퇴, 소화 장애, 수면장애 편두통 등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하였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제2미세전류 공급기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미세전류 공급기(500)는 감압변압기(510), 정류기(520), 과전류방지장치(530), 스위칭소자(540), 코일(550), 출력도선(+, -)으로 구성된다. 전원공급기(415)에서 220v, 60Hz의 교류전원이 제1코일 및 제2코일(412, 414)을 거쳐 감압변압기(510)에 공급되면 감압변압기(510) 내부에 설치된 규소철심에 권선된 가각의 코일의 권수비에 비례하여 3 내지 12v, 60Hz의 교류전원으로 감압된 후 정류기(520)내부에 설치된 정류회로에 의해 3 내지 12v, 범위의 직류전원 변환된 후 과전류방지장치(530)를 거쳐 스위칭소자(540)에 공급되면 스위칭소자의 회로에 의해 0.1 내지 1초 범위로 코일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공급 및 차단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여 코일(550)에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스위칭소자(540) 출력선의 +용 전선은 코일(550)에 연결되고 스위칭소자(540) 출력선의 -용 전선과 코일(550)의 한 전선은 외부에 도출되어 사용자의 통증 유발점 부위에 접속되어 신체에 마이너스 전기를 흘려보내어 통증 유발점 부위에 축적된 양이온을 중화시킴으로써 세포내 이온통로를 활성화 시키고 통증유발요인을 제거하여 통증이 없도록한다.
통증 유발점 부위에 접속되어 신체에 마이너스 전기를 흘려보내어 통증 유발점 부위에 스위칭소자(540) 및 코일(550)에 연결된 전선의 피부 접촉점에서 전류가 흐르는 과정에서 통증이 유발되므로 통증이 지속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제2미세전류 공급기(500) 내부에 스위칭소자(540)를 설치하여 내부에 스위칭 소자의 회로에 의해 0.1 내지 1초 범위로 코일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공급 및 차단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여 사용자의 고통을 경감시킨다.
전기치료란, 직류전류, 교류전류, 맥동전류 등과 같은 전기를 이용하여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과학의 한분야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전기치료의 종류로는 의용평류(medical galvanism)치료, 이온도입법(iontoporesis), 전기자극치료(electrical stimulation theraphy, EST), 경피신경전기자극(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기능적 전기자극치료(FES), 간섭전류(interferential current theraphy, ICT)치료, 단파심부투열(shortwave diathermy, SWD), 극초단파심부투열(microwave shortwave diathermy, MWD)치료, 초음파(ultrasound)치료 등이 있다.
이러한, 전기치료는 근골격계 손상, 및 질환, 신경계 손상, 및 질환, 순환계 질환, 피부질환, 만성염증질환, 등의 치료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기치료 요법은 사용주파수에 따른 구분으로 고주파 치료요법과 저주파 치료요법이 적용되고 있다.
고주파 치료요법은 고주파 신호를 생성하여 인체의 환부에 인가함으로 인체의 피부 내부에서 심부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세포분열을 활발하게 만들어 혈액순환 개선 및 손상된 조직의 재생등에 의한 통증완화의 효과가 있다.
한편, 저주파 치료요법은 낮은 저주파 신호를 생성하여 인체의 환부에 인가하는 것으로, 전기자극에 의한 근육의 수축 및 이완으로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반(600)은 제1산화질소 공급기(110), 제1양자에너지 발생기(210) 및 제2양자에너지 발생기(220)로 구성되는 제1양자에너지 발생장치(200)와, 제1미세전류 공급기(300)와, 변형된 뫼비어스 코일 형식의 제3양자에너지 발생기(410) 및 제동복사방식의 제4양자에너지 발생기(420)로 구성되는 제2양자에너지 발생장치(400)와, 제2미세전류 공급기(500)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제어활동을 수반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산화질소 공급기
101: 전처리필터, 102: 에어FAN
109: 방전챔버,
110: 제1산화질소 공급기, 111: 방전극
111a: 방전전극, 111b: 접지전극
112: 고전압 발생기,
120: 제2산화질소 공급기, 121: 산화질소용기(bombe)
122: 감압장치, 123: 유량조절밸브
200: 제1양자에너지 발생장치
210: 제1양자에너지 발생기, 211: 제1전극
211a: 제1코일, 212: 제2전극
212a: 제2코일, 213: 전원 발생기
214: 고전압 발생기,
213a: 변압기, 213b: 주파수 변조회로
220: 제2양자에너지 발생기, 221: 전원공급장치
222: 고전압 발생기, 223: 정류배압회로
224: 고전압 방전극,
300: 제1미세전류 공급기
310: 전원공급기, 311: 감압변압기
312: 정류기, 313: 과전류방지장치
314: 스위칭소자, 315: 코일
400: 제2양자에너지 발생장치
410: 제3양자에너지 발생기, 411: 제1전극
412: 제1코일, 413: 제2전극
414: 제2코일, 415: 전원공급장치
416: 전원공급장치,
420: 제4양자에너지 발생기, 421: 고전압 발생장치
423: 전원공급기, 425: 밀봉된 유리관
426: 음극, 427: 양극
428: 양자에너지 발산층
500: 제2미세전류 공급기
510: 감압변압기, 520: 정류기
530: 과전류방지장치, 540: 스위칭소자
550: 코일
600: 제어반

Claims (9)

  1. 제1산화질소 공급기와 제2산화질소 공급기로 구성된 산화질소 공급기와,
    제1양자에너지 발생기와 제2양자에너지 발생기로 구성된 제1양자에너지 발생장치와,
    산화질소 및 히드록실이온(OH-Radical) 이온이 함유되고 양자에너지가 조사된 공기를 신체의 치료 및 건강 관리 대상부위에 분사하면서 마이너스 전기를 흘려보내어 통증 유발점 부위에 축적된 양이온을 중화시킴으로써 세포내 이온통로를 활성화시키고 통증유발요인을 제거하여 통증을 제거하는 제1미세전류 공급기와,
    제3양자에너지 발생기와 제4양자에너지 발생기로 구성된 제2양자에너지 발생장치와,
    사용자의 통증 유발점에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생성되는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면서 마이너스 전기를 흘려보내어 통증 유발점 부위에 축적된 양이온을 중화시킴으로써 세포내 이온통로를 활성화시키고 통증유발요인을 제거하는 제2미세전류 공급기와,
    제1양자에너지 발생장치와 제2양자에너지 발생장치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제어반
    을 포함하는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산화질소 공급기는 전처리필터, 에어FAN, 방전극, 고전압 발생기로 구성되어 에어FAN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과정에 전처리필터에서 분진을 제거하고 흡입된 외부공기를 가압하여 고전압 발생기에서 생성된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전극 사이로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방전극 사이에서 형성되는 고 전계전자에너지를 공기에 인가하여 해리, 여기, 이온화, 산화환원 반응 등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공기 구성분자인 질소분자, 산소분자, 수증기의 물분자의 공유결합을 해리하여 생성되는 산화질소, 이산화질소, 수소양성자, 히드록실이온 등의 활성기체를 생산하고 이어 흡착제를 통과시켜 아산화질소 및 이산화질소가 제거된 산화질소를 생산하는,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2산화질소 공급기는 산화질소가 고압으로 충전된 산화질소용기와 감압장치와 유량조절밸브 및 도관으로 구성되어 산화질소용기에 가압되어 충전된 산화질소를 감압장치에서 감압하고 유량조절밸브에서 산화질소 공급량을 조절하여 사용개소에 공급하는,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1양자에너지 발생기는 제1전극 내면에 시계방향으로 권선되는 제1코일, 제2전극 외면에 반시계방향으로 제2코일이 권선되며 제1코일과 제2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고전압 발생기 및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고전압 발생기로 구성되어 고전압 발생기에서 제1전극과 제2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서 전계장이 형성되는 유로로 산화질소 공급기에서 산화질소가 공급되어 유입되는 공기에 고전압 발생기에서 제1코일과 제2코일에 전원을 공급을 공급하면 코일에 흐르는 전류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자기장이 생성되는데 상기 제1코일과 제2코일의 권선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되어 코일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생성되는 자기장이 중첩되어 소멸되면서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생성되는 양자에너지를 유로에 유입되는 산화질소가 함유된 공기에 조사하는,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2양자에너지 발생기는 전원공급장치, 가변형 고전압 발생기 및 정류배압회로, 고전압 방전극으로 구성되며. 전원공급장치에서 가변형 고전압 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15KV에서 50KV 범위의 고전압으로 승압 및 15KV에서 50KV 범위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부하에 대한 전류량에 비례하여 자기장을 출력하고, 정류배압회로에서 정류 및 배압을 통해 특고압의 전자장을 발생시키고 정류배압회로 구성품의 고압 스위칭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에 역전압을 걸어 PN 접합에서 미세한 전류가 흐르게하여 P형 반도체에 있는 전자가 절연 영역의 미세한 구멍을 통과해 N형 반도체 쪽으로 이동하는 양자역학적 터널 효과가 발생하게 하고, 정류배압회로 구성품의 콘덴서에서 충전 및 방전이 연속적으로 일어나게하여 양자역학적 터널 효과에 의해 양자에너지를 생성하여 제1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어 유입되는 공기에 다시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는,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1미세전류 공급기는 전원공급기, 감압변압기, 정류기, 과전류방지장치, 스위칭소자, 코일, 출력도선(+, -)으로 구성되어 전원공급기에서 220v, 60Hz의 교류전원을 감압변압기에 공급하여 3 내지 12v, 60Hz의 교류전원으로 감압한 후 정류기에 공급하여 정류기 내부에 설치된 정류회로에 의해 3 내지 12v, 범위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한 후 과전류방지장치를 거쳐 스위칭소자에 공급하여 스위칭소자의 회로에 의해 0.1 내지 1초 범위로 코일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공급 및 차단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여 코일에 직류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스위칭소자 출력선의 +용 전선은 코일에 연결되고 스위칭소자 출력선의 -용 전선과 코일의 한 전선은 외부에 도출되어 사용자의 통증 유발점 부위에 접촉하게 하여 산화질소 및 히드록실이온(OH-Radical) 이온이 함유되고 양자에너지가 조사된 공기를 신체의 치료 및 건강 관리 대상부위에 분사하면서 마이너스 전기를 흘려보내어 통증 유발점 부위에 축적된 양이온을 중화시킴으로써 세포내 이온통로를 활성화시키고 통증유발요인을 제거하여 통증을 제거하는,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제3양자에너지 발생기는 제1직육면체의 제1전극 및 내부 절연판상의 표면에 시계방향으로 권선되는 제1코일, 제2직육면체의 제2전극 및 내부 절연판상의 표면에 반시계방향으로 권선되는 제2코일, 제1 및 제2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및 제1전극과 제2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직류전원 공급장치로 구성되어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직류전원 공급장치에서 직류전원을 공급하면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서 전계장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코일 입력측에 전원공급장치에서 전원을 공급하면, 제1 및 제2코일에서 전류흐름방향의 90도 각도로 자기장이 형성되는데, 제1 및 제2코일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이므로 방향이 서로 반대이므로 방향이 반대인 로렌츠힘과 자기장이 형성하게 되어 자기장이 서로 중첩되어 소멸되면서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생성되는 양자에너지를 생성하는,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제4양자에너지 발생기는 밀봉된 유리관 본체 좌측면 내부에 필라멘트를 갖는 음극을 설치하고 상기 음극과 일정거리 이격시켜 우측에 로듐 등의 소재로 된 양극을 설치하며, 양극의 외부 노출면으로 베릴륨 등의 소재로 된 양자에너지 발산층을 형성하고 상기 음극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며 양극과 음극 사이에 10에서 30KV의 고전압 발생장치의 출력을 연결하여서 된 형태이며, 음극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음극에서 열전자가 생성되고, 고전압 발생장치의 양극을 향하여 출발하며, 로듐 등으로 된 양극에 도달하여 충격한 후 양극재질의 핵외전자(Extranuclear)들과 충돌하면서 일정량의 운동에너지가 감쇄작용으로 소멸되고, 잔여 에너지가 X-선 및 양자에너지를 발생하게 되며 양극을 투과한 X-선 및 양자에너지가 비방사상물질의 발산층에 입사되면서 광전자 및 양자에너지로 전환, 복사 조정현상(Radiation Moderation)으로 양자에너지를 생성하는,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제2미세전류 공급기는 전원공급기, 감압변압기, 정류기, 과전류방지장치, 스위칭소자, 코일, 출력도선(+, -)으로 구성되어 전원공급기에서 220v, 60Hz의 교류전원을 감압변압기에 공급하여 감압변압기에서 3 내지 12v, 60Hz의 교류전원으로 감압한 후 정류기에서 3 내지 12v, 범위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한 후 과전류방지장치를 거쳐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면 스위칭소자의 회로에 의해 0.1 내지 1초 범위로 코일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공급 및 차단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여 코일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스위칭소자 출력선의 +용 전선은 코일에 연결되고 스위칭소자 출력선의 -용 전선과 코일의 한 전선은 외부로 도출되어 사용자의 통증 유발점에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생성되는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면서 마이너스 전기를 흘려보내어 통증 유발점 부위에 축적된 양이온을 중화시킴으로써 세포내 이온통로를 활성화시키고 통증유발요인을 제거하는,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
KR1020180080370A 2018-05-03 2018-07-11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 Active KR102091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51412 2018-05-03
KR1020180051412 2018-05-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035A KR20190128035A (ko) 2019-11-14
KR102091512B1 true KR102091512B1 (ko) 2020-03-23

Family

ID=6857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370A Active KR102091512B1 (ko) 2018-05-03 2018-07-11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5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5237A1 (ko) * 2020-07-01 2022-01-06 운해이엔씨(주) 웨어러블형 양자 치료기
KR20220151236A (ko) 2021-05-04 2022-11-15 김부열 이온화된 수소 및 산소이온을 기체상,액체상,고체상 물질과 혼합하고 이들 혼합물에 양자에너지를 전사하는 장치
US20230058177A1 (en) * 2021-08-23 2023-02-23 Teledyne Dalsa B.V. Spectral x-ray imaging using variable high voltage x-ray source
KR200498184Y1 (ko) * 2024-04-15 2024-07-22 박수민 공동주택 설치용 음압 산소방
KR102833710B1 (ko) 2023-06-02 2025-07-14 (주)코리아 싸인 조명 및 영상 표출 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양자 필드 발생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871A1 (ko) 2014-06-19 2015-12-23 김부열 풍력발전 기능이 내장된 살균, 탈취 및 산화질소, 양자에너지 발생장치
KR101781972B1 (ko) * 2015-12-31 2017-09-27 운해이엔씨(주) 양자에너지 발생기가 내장된 산화질소 생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212B1 (ko) 2002-11-29 2005-08-03 한학자 인체 전위조절 전기치료기
KR101004373B1 (ko) 2009-12-31 2010-12-28 오우메드 주식회사 레이저 조사부가 장착된 전기자극 경혈치료기
KR101150497B1 (ko) 2010-03-30 2012-06-01 코아텍주식회사 저순도 암모니아 원료로부터 고순도 일산화질소와 아산화질소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555523B1 (ko) 2014-02-28 2015-09-2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질소 방출성 상처치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03723B1 (ko) * 2014-04-11 2016-03-15 김춘기 미세전류 침대
KR101585035B1 (ko) 2015-08-28 2016-01-1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 자극 치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19406B1 (ko) * 2016-01-22 2018-11-19 운해이엔씨(주) 양자에너지 발생기가 내장된 산화질소 함유 수분 발생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KR101689275B1 (ko) 2016-07-08 2017-01-03 최길운 산화질소 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산화질소 발생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871A1 (ko) 2014-06-19 2015-12-23 김부열 풍력발전 기능이 내장된 살균, 탈취 및 산화질소, 양자에너지 발생장치
KR101781972B1 (ko) * 2015-12-31 2017-09-27 운해이엔씨(주) 양자에너지 발생기가 내장된 산화질소 생성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5237A1 (ko) * 2020-07-01 2022-01-06 운해이엔씨(주) 웨어러블형 양자 치료기
KR20220003311A (ko) 2020-07-01 2022-01-10 운해이엔씨(주) 웨어러블형 양자 치료기
KR20220151236A (ko) 2021-05-04 2022-11-15 김부열 이온화된 수소 및 산소이온을 기체상,액체상,고체상 물질과 혼합하고 이들 혼합물에 양자에너지를 전사하는 장치
US20230058177A1 (en) * 2021-08-23 2023-02-23 Teledyne Dalsa B.V. Spectral x-ray imaging using variable high voltage x-ray source
US12303311B2 (en) * 2021-08-23 2025-05-20 Teledyne Dalsa B.V. Spectral X-ray imaging using variable high voltage X-ray source
KR102833710B1 (ko) 2023-06-02 2025-07-14 (주)코리아 싸인 조명 및 영상 표출 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양자 필드 발생 장치
KR200498184Y1 (ko) * 2024-04-15 2024-07-22 박수민 공동주택 설치용 음압 산소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035A (ko) 2019-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512B1 (ko) 치료 및 건강 관리용 양자에너지 조사장치
Lee et al. Modelling of atmospheric pressure plasma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EP2756514B1 (en) Cold plasma treatment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US20160193373A1 (en) Tubular Floating Electrod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For Applications In Sterilization and Tissue Bonding
CN206024220U (zh) 一种低温等离子体射流装置
US20110171188A1 (en) Non-thermal plasma for wound treatment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
KR102168065B1 (ko) 수증기 이온화장치가 내장된 양자에너지 조사장치
KR101781972B1 (ko) 양자에너지 발생기가 내장된 산화질소 생성장치
CN105963749A (zh) 扩散式等离子体处理和材料加工
US20250205656A1 (en) Apparatus for mixing ionized hydrogen and oxygen ions with gas-phase, liquid-phase, and solid-phase substances and transferring quantum energy to mixtures
RU270903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зинфекции
WO2015110784A2 (en) Plasma device
CN201052281Y (zh) 一种人体表面杀菌装置
Hnatiuc et al. A review over the cold plasma reactors and their applications
CN113175721A (zh) 等离子加湿器
KR100518387B1 (ko) 교류용 음이온 및 은이온 발생기
KR20170088468A (ko) 양자에너지 발생기가 내장된 산화질소 함유 수분 발생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JPH11265780A (ja) イオン発生装置
WO2014136063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collecting reactive species
TWI375004B (en) High field plasma generator and refrigerator equipped the high field plasma generator
KR102591319B1 (ko) 극초단파 기기
KR102490581B1 (ko) 기체,액체,유체 처리용 방전기능이 내장된 양자에너지 발생장치
KR100570342B1 (ko) 음이온 발생 장치
KR200393391Y1 (ko) 음이온 발생 장치
CN118843246B (zh) 一种用于增强消杀的等离子体装置及调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