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843B1 -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843B1
KR102513843B1 KR1020190060515A KR20190060515A KR102513843B1 KR 102513843 B1 KR102513843 B1 KR 102513843B1 KR 1020190060515 A KR1020190060515 A KR 1020190060515A KR 20190060515 A KR20190060515 A KR 20190060515A KR 102513843 B1 KR102513843 B1 KR 102513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eight
adhesive
optical laminat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4699A (ko
Inventor
손상하
조성인
주창환
윤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60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843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8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8Heat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Abstract

본 출원은 점착형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르면, 점착력의 빌드업 특성과 빛샘 억제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Optical laminate and display device}
본 출원은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하, 「LCD」)는, 통상적으로 2장의 투명 기판 사이에 주입된 액정 성분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과 광학 필름을 포함한다. 광학 필름으로는,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또는 휘도 향상 필름 등이 있다. 이러한 광학 필름들을 서로 적층하거나 광학 필름을 액정 패널과 같은 피착체에 부착하기 위하여 광학 필름용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각 광학 필름들을 형성하는 재료는 서로 상이한 분자구조나 조성을 갖기 때문에, 이들 광학 필름들 역시 서로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고온 및/또는 고온·고습 조건에서 일방성 분자 배열을 가진 재료를 사용한 필름들은 수축이나 팽창에 따른 치수안정성이 부족하다. 구체적으로, 편광판과 그 외 상기 광학 필름과 같은 광학 부재가 점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이들 적층체가 고온 및/또는 고온·고습 조건에 놓여지는 경우, 편광판의 수축이나 팽창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점착제가 들뜨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들뜸은 편광판에 집중된 응력에 따른 복굴절(Birefringence)과 빛샘을 가중한다. 따라서, 광학 필름에 사용되는 점착층이 점착력의 빠른 빌드업(build up) 특성을 가져 광학 필름으로부터 들뜨지 않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의 일 목적은 점착형 광학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목적은 점착력이 빠르게 빌드업될 수 있고, 점착제의 들뜸이 억제된 점착형 광학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목적은 빛샘 현상이 억제된 점착형 광학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상기 목적 및 기타 그 밖의 목적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출원에 의해 모두 해결될 수 있다.
본 출원에 관한 일례에서, 본 출원은 점착형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하기 설명되는 구성의 점착형 광학 적층체는 잔류 응력 하에서 점착제가 효과적으로 양의 복굴절을 갖기 때문에 빛샘 안정성을 가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점착력의 빌드업 특성이 빠르기 때문에 점착층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적층체는 광학필름 및 점착층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광학 필름으로는, 편광판, 편광자, 위상차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눈부심 방지 필름, 또는 광시야각 보상 필름 등이나 상기 중에서 2종 이상이 적층된 적층체가 예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편광자'와 '편광판'은 서로 구별되는 대상을 지칭한다. 즉, 편광자는 편광 기능을 나타내는 필름, 시트 또는 소자 그 자체를 지칭하고,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와 함께 다른 요소를 포함하는 광학 소자를 의미한다. 편광자와 함께 광학 소자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요소로는, 편광자 보호 필름 또는 위상차층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점착형 광학 적층체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은 편광자일 수 있다.
편광판에 포함되는 편광자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 등과 같이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일반적인 종류를 제한 없이 채용할 수 있다.
편광자는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입사되는 빛으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을 추출할 수 있는 기능성 필름이다. 이와 같은 편광자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편광자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를 겔화하여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될 수 있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에는, 비닐 아세테이트의 단독 중합체는 물론, 비닐 아세테이트 및 상기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비닐 아세테이트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예에는, 불포화 카르본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및 암모늄기를 가지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겔화도는, 통상 85몰% 내지 100몰% 정도, 바람직하게는 98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추가로 변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또는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내지 10,000 정도 또는 1,500 내지 5,000 정도일 수 있다.
편광자는 상기와 같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연신(ex. 일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고,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boric acid)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 등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이색성 색소로서는, 요오드(iodine)나 이색성의 유기염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 외에, 보호필름 및/또는 광학 기능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편광판은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된 보호필름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설명된 구성의 점착층은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보호필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필름은 유리 기재일 수 있고, 또는 고분자 성분을 포함하는 기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TAC(Triacetyl cellulose)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et))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에테르설폰계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시클로계나 노르보르넨 구조를 가지는 수지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올레핀계 필름 등의 일층 또는 이층 이상 적층 구조의 필름이 보호피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은 2 이상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편광판은 또한 반사필름, 방현필름, 위상차필름, 광시야각 보상 필름 및 휘도 향상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학 기능성 필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기능성 필름은 2 이상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편광판은 ±A필름, ±B필름 및 ±C필름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광 시야각 보상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A 필름' 이란, 필름의 굴절율이 nx ≠ny = nz 을 만족하는 필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때, nx > ny 인 경우를 +A 필름, nx < ny 인 경우를 -A 필름이라 한다. 'B 필름' 이란 필름의 굴절율이 nx ≠ny ≠nz을 만족하는 필름을 의미하는 것으로, nx > ny > nz인 경우를 -B 필름, nz > nx > ny인 경우를 +B 필름이라 한다. 'C 필름'이란 필름의 굴절율이 nx = ny ≠nz 을 만족하는 필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때, ny < nz 일 경우를 +C 필름, ny > nz 인 경우를 -C 필름이라 한다. 이와 관련하여, nx는 필름 또는 플레이트의 평면 방향에 있어서, 지상축 방향의 굴절율을 의미하며, ny는 필름 또는 플레이트의 평면 방향에 있어서, 지상축에 수직한 방향의 굴절율을 의미하고, nz는 필름 또는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의 굴절율을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편광판은 위상차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차층으로는 예를 들어, 1/4 파장판(QWP: quarter wave plate)을 예로 들 수 있다. 1/4 파장판은 1/4 파장 위상 지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n 파장 위상 지연 특성은, 적어도 일부의 파장 범위 내에서, 입사 광을 그 입사 광의 파장의 n 배만큼 위상 지연시킬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한다. 1/4 파장 위상 지연 특성은, 입사된 선편광을 타원편광 또는 원편광으로 변환시키고, 반대로 입사된 타원 편광 또는 원편광을 선편광으로 변환시키는 특성일 수 있다. 상기 1/4 파장판으로는 관련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제조되고, 유통되는 1/4 파장판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축 연신된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 일축 연신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일축 연신된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또는 액정 필름 등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광학 적층체는 유리 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층은 광학 필름과 유리기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학 적층체는 편광자, 점착층, 점착층 및 유리 기재를 순차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유리 기재는 광학 필름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필름이 편광판인 경우, 상기 유리기재는 편광자를 보호하기 위한 일종의 보호필름일 수 있고, 상기 점착층은 편광자와 유리기재를 부착하는데 사용되거나 유리기재와 편광자가 접하는 유리기재 반대 일면 상에 위치하여 다른 부재를 유리기재와 접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유리 기재는 광학 필름과 별도의 구성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리기재는 액정층을 가두는 구성으로서 액정 패널의 일부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점착층은 편광판과 액정패널을 부착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광학 필름 상에 위치하는 점착층은 방향족기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점착층이 포함하는 방향족기는 고온 조건에서 편광자의 치수 변화에 따라 효과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빛샘 억제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블록 공중합체 함유 점착층은 점착력의 빌드업 특성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층 및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형 광학 적층체는 소정 시간 경과시에 점착력의 빌드업 속도가 종래 기술 대비 빠르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점착형 광학 적층체는 JIS Z 0237에 따라 0.3 m/min의 속도 및 180 °의 각도로 측정된 유리에 대한 박리력이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1>
P2 - P1 ≥ 150 (gf/25mm)
상기 관계식 1에서, P1은 상온 및 45 내지 65 % 범위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점착층을 매개로 유리에 부착된 점착형 광학 적층체 시편(S1)을 1일 보관후 측정된 박리력이고, P2는 상온 및 45 내지 65 % 범위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점착형 광학 적층체 시편(S2)을 점착층을 매개로 유리에 부착한 후 3일이 경과한 후에 측정된 박리력일 수 있다. 이때, 시편(S1)과 시편(S2)의 구성은 동일하다.
본 출원에서, 점착력의 빌드업 특성과 관련된 박리력의 측정조건 중 하나인 상온은 특별히 감온 또는 가온되지 않은 상태의 온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18 내지 33 ℃ 범위 내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관계식 1을 만족한다는 것은 점착제 부착 후 3일 경과 후의 점착력 증가가 150 gf/25mm 이상일 정도로 크다는 것, 즉 점착력의 빌드업이 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관계식 1과 같이 빌드업 특성을 가질 경우, 예를 들어 편광판과 같은 광학필름을 패널에 부착 한 후 패널이 노출되는 다양한 온도/습도 조건에서 편광판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편광판의 들뜸을 방지 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박리력 P1은 450 gf/25mm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460 gf/25mm 이상, 470 gf/25mm 이상, 480 gf/25mm 이상, 490 gf/25mm 이상, 500 gf/25mm 이상, 510 gf/25mm 이상, 520 gf/25mm 이상, 530 gf/25mm 이상, 540 gf/25mm 이상, 550 gf/25mm 이상, 560 gf/25mm 이상, 570 gf/25mm 이상, 580 gf/25mm 이상, 590 gf/25mm 이상 또는 600 gf/25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충분한 점착력과 내구성을 갖지 못할 수 있다. 상기 박리력 P1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현실적인 점착력을 고려할 때, 예를 들어, 700 gf/25mm 이하, 690 gf/25mm 이하, 680 gf/25mm 이하, 670 gf/25mm 이하, 660 gf/25mm 이하 또는 650 gf/25mm 이하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박리력 P2는 600 gf/25mm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610 gf/25mm 이상, 620 gf/25mm 이상, 630 gf/25mm 이상, 640 gf/25mm 이상, 65 gf/25mm 이상, 660 gf/25mm 이상, 670 gf/25mm 이상, 680 gf/25mm 이상, 690 gf/25mm 이상, 700 gf/25mm 이상, 710 gf/25mm 이상, 720 gf/25mm 이상, 730 gf/25mm 이상, 740 gf/25mm 이상, 750 gf/25mm 이상, 760 gf/25mm 이상, 770 gf/25mm 이상, 780 gf/25mm 이상, 790 gf/25mm 이상 또는 800 gf/25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목적하는 빌드업 특성을 구현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박리력 P2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현실적인 점착력을 고려할 때, 예를 들어, 850 gf/25mm 이하, 840 gf/25mm 이하, 830 gf/25mm 이하, 820 gf/25mm 이하, 810 gf/25mm 이하 또는 800 gf/25mm 이하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점착형 광학 적층체는 JIS Z 0237에 따라 0.3 m/min의 속도 및 180 °의 각도로 측정된 유리에 대한 박리력이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2>
P3 - P1 ≥ 300 (gf/25mm)
상기 관계식 2에서, P1은 상온 및 45 내지 65 % 범위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점착층을 매개로 유리에 부착된 점착형 광학 적층체 시편(S1)에 대하여 측정된 박리력이고, P3는 상온 및 45 내지 65 % 범위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점착형 광학 적층체 시편(S3)을 점착층을 매개로 유리에 부착한 후 7일 경과 후에 측정된 박리력일 수 있다. 이때, 시편(S1)과 시편(S3)의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관계식 2를 만족한다는 것은 점착제 부착 후 7일 경과 후의 점착력 증가가 300 gf/25mm 이상일 정도로 크다는 것, 즉 점착력의 빌드업이 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관계식 2와 같은 빌드업 특성을 가질 경우, 예를 들어 편광판과 같은 광학필름을 패널에 부착 한 후 패널이 노출되는 다양한 온도/습도 조건에서 편광판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편광판의 들뜸을 방지 할 수 있다.
관계식 2와 관련하여, 박리력 P1의 범위는 전술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박리력 P3는 750 gf/25mm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760 gf/25mm 이상, 770 gf/25mm 이상, 780 gf/25mm 이상, 790 gf/25mm 이상, 800 gf/25mm 이상, 810 gf/25mm 이상, 820 gf/25mm 이상, 830 gf/25mm 이상, 840 gf/25mm 이상, 850 gf/25mm 이상, 860 gf/25mm 이상, 870 gf/25mm 이상, 880 gf/25mm 이상, 890 gf/25mm 이상 또는 900 gf/25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목적하는 빌드업 특성을 구현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박리력 P3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현실적인 점착력을 고려할 때, 예를 들어, 1,000 gf/25mm 이하, 990 gf/25mm 이하, 980 gf/25mm 이하, 970 gf/25mm 이하, 960 gf/25mm 이하 또는 950 gf/25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점착력 빌드업 특성이 우수한 점착층은 방향족기 함유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점착층이 공중합체를 포함한다는 것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점착층이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용어 「블록 공중합체」는, 서로 상이한 중합된 단량체들의 블록들(blocks of different polymerized monomers)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지칭할 수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유리 전이온도가 서로 상이한 제 1 블록 및 제 2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50 ℃ 이상인 제 1 블록; 및 유리전이온도가 -10 ℃ 이하인 제 2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블록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블록의 유리전이온도」는 해당 블록에 포함되는 단량체들만으로 형성된 중합체가 갖는 유리전이온도로서, 하기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방법에 따라 계산되는 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블록의 유리전이온도는 50 ℃ 이상, 60 ℃ 이상, 70 ℃ 이상, 75 ℃ 이상, 80 ℃ 이상 또는 85 ℃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 1 블록 유리전이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150℃이하, 140℃이하, 130℃이하, 120℃이하, 110℃이하, 100℃ 이하, 95℃ 이하 또는 90℃ 이하 정도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유리전이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 1 블록은, 블록 공중합체에서 상대적으로 딱딱한(rigid) 물성을 갖는 하드 세그먼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블록은 상온에서 유리(glass)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에 응집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2 블록의 유리전이온도는 -10 ℃ 이하, -20 ℃ 이하, -30 ℃ 이하, -35 ℃ 이하, -40 ℃ 이하, 또는 -4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2 블록 유리전이온도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80 ℃ 이상, -70 ℃ 이상, -60 ℃, -55 ℃ 이상, - 50 ℃ 이상 또는 -45 ℃ 이상 일 수 있다. 상대적으로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상기 제 2 블록은 블록 공중합체에서 소프트(soft)한 물성을 갖는 소프트 세그먼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블록은 상온에서 분자 흐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에 응력 완화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 온도 범위를 만족하는 2개의 블록을 모두 포함하는 공중합체는, 점착제 내에서 미세한 상분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온도 변화에 따라서 적절한 응집력과 응력 완화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계면 밀착성, 고온 내구 신뢰성, 빛샘 방지 특성, 및 재작업성 등 광학 필름에서 요구되는 물성이 우수하게 유지되는 점착제를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2개 블록을 포함하는 본 출원의 블록 공중합체는 디블록 공중합체 또는 트리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점착제의 계면 밀착성, 고온 내구 신뢰성, 응력 완화성 및 재작업성 등을 고려할 때, 디블록 공중합체가 유리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특정 작용기를 각각 갖는 제 1 블록과 제 2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50 ℃ 이상이고, 방향족기를 갖는 제 1 블록; 및 유리전이온도가 -10 ℃ 이하이고,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제 2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내에 포함된 관능기를 제공할 수 있는 단량체 또는 화합물의 종류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설명된 특정 관능기를 갖고, 동시에 상기 설명된 유리전이 온도를 가질 수 있다면, 그 외에 각 블록을 형성하기 위한 단량체의 종류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블록 및 제 2 블록은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유래의 중합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중합 단위」란, 하나 인상인 소정의 단량체가 중합되어 형성된 수지, 중합체 또는 중합 반응물의 주쇄나 측쇄 등에, 상기 소정의 단량체가 중합되어 포함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블록 형성에 사용되는 알킬 (메타) 아크릴레이트의 종류는 응집력, 유리전이온도 및 점착성 조절 등을 고려하여,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의 예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확보되도록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유리전이온도 조절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제 1 블록을 형성하는 단량체로는 탄소수가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블록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유래의 중합단위 및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 유래의 중합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로는 방향족기 함유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방향족기 함유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페녹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화합물 중에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방향족기를 갖는 점착층의 제 1 블록은 높은 유리 전이 온도로 인하여 고온 조건에서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다. 특히 제 1 블록 유리전이온도 보다 높은 온도 조건에서 편광판 치수 변화에 따른 응력이 점착제에 집중되는 경우, 제 1 블록의 사슬 풀림에 의해 방향족기가 효과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제 1 블록은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를 소정 함량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블록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60 내지 85 중량부 및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 15 내지 40 중량부 유래의 중합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상기 함량 범위로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가 사용되는 경우, 빛샘방지기능 뿐 아니라 점착제의 빌드업 특성이 함께 우수해진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점착력 빌드업의 측면에서 제 1 블록에 방향족기가 포함되는 경우, 예를 들어, 15 내지 40 중량부와 같이 소정 함량 방향족기 함유 유래 단량체가 포함될 경우 방향족기의 벌키(bulky)함으로 인하여 제 1 블록 자체의 고분자 얽힘(entanglement)이 약화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분자 사슬의 얽힘이 약화된다는 것을 바꾸어 말하면, 고분자 사슬이 비교적 풀려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유리전이온도가 높아 하드한(hard) 특성을 갖는 제 1 블록의 고분자 사슬이 점착층 인접 계면(예: 유리계면)에서 갖는 웨팅(wetting)성도 좋아진다는 것과 상통한다. 결과적으로, 유리 계면과의 밀착력(계면 점착력과 이를 표현하는 빌드업 특성)이 빠르게 높아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블록은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 20 중량부 이상, 25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상 유래의 중합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블록은 예를 들어,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 35 중량부 이하 유래의 중합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 1 블록에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는 방향족기 함유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2-페녹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블록은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유래의 중합단위 및 탄소수 4 이상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유래의 중합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경우, 점착제의 고온 내구성 개선에 유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4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대비 사슬 얽힘이 더 쉽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화학적 가교를 대신할 수 있는 물리적 가교를 점착 수지에 대하여 충분히 부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고온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층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블록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50 내지 75 중량부 유래의 중합단위 및 탄소수 4 이상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10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고, 탄소수 4 이상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및 탄소수 4 이상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블록은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중합단위만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하기 설명되는 제 2 블록과 달리, 상기 제 1 블록은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 유래의 단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제 1 블록이 갖는 수평균분자량(Mn: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은 2,500 내지 150,000 범위일 수 있다. 제 1 블록의 수평균분자량은, 예를 들면, 상기 제 1 블록을 형성하고 있는 단량체만을 중합시켜 제조되는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언급하는 수평균분자량은, 예를 들면,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를 사용하여 하기 실험례에서 제시된 방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블록의 수평균분자량(Mn)은, 예를 들어, 그 하한이 10,000 이상, 20,000 이상, 30,000 이상, 40,000 이상, 또는 50,000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블록의 수평균분자량(Mn)의 하한은, 예를 들어, 55,000 이상, 6,000 이상, 65,000 이상, 70,000 이상, 75,000 이상, 80,000 이상, 85,000 이상, 90,000 이상 또는 95,000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그 상한은 145,000 이하, 140,000 이하, 135,000 이하, 130,000 이하, 125,000 이하, 120,000 이하, 115,000 이하, 110,000 이하, 105,000 이하, 100,000 이하, 95,000 이하 또는 90,000 이하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블록의 중량평균분자량(Mw)과 수평균분자량(Mn)의 비율(Mw/Mn), 즉 분자량 분포(PDI=Mw/Mn)는 1.0 내지 3.0 범위 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블록의 PDI 값 하한은 예를 들어, 1.00 이상, 1.05 이상, 1.15 이상, 1.20 이상, 1.25 이상, 1.30 이상, 1.35 이상, 1.40 이상, 1.45 이상 또는 1.50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그 상한은 예를 들어, 2.5 이하 또는 2.0 이하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1.95 이하, 1.90 이하, 1.85 이하, 1.80 이하, 1.75 이하, 1.70 이하, 1.65 이하, 1.60 이하, 1.55 이하, 또는 1.50 이하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2 블록 형성에 사용되는 화합물은, 제 1 블록에서와 마찬가지로,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 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제 2 블록은 하기 설명되는 가교제와 반응하여 점착제의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가교성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가교성 관능기를 제 2 블록에 포함시킬 경우, 온도 변화에 따라서 적절한 응집력과 응력 완화성을 나타내어서 계면 밀착성, 고온 내구 신뢰성, 빛샘 방지 특성 및 재작업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게 유지되는 점착제를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2 블록은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60 내지 99.9 중량부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성 단량체 0.1 내지 40 중량부 유래의 중합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성 단량체는 35 중량부 이하, 30 중량부 이하, 25 중량부 이하, 20 중량부 이하, 15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하 또는 5 중량부 이하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성 단량체는 5 중량부 이하, 4 중량부 이하, 3 중량부 이하 2 중량부 이하 또는 1.5 중량부 이하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2 블록 형성에 사용되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알킬 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가교성 관능기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 설폰산기 인산기, 또는 히드록시기 등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히드록시기(-OH)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블록은 히드록시기 함유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유래의 중합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 2 블록은 히드록시기 함유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유래의 중합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2 블록은, 히드록시기(-OH)를 포함하고,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공중합성 단량체 유래의 중합 단위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52882403-pat00001
단, 상기 화학식 1에서, Q는 수소 또는 알킬기이고,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렌기 또는 알킬리덴기이고, n은 0 내지 10 범위 내의 정수이다. 또한, 화학식 1에서 [-O-B-] 단위가 2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각 [-O-B-] 단위 내의 B의 탄소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킬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 분지쇄상 또는 고리상의 알킬기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알킬기는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화학식 1에서 알킬기로는,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가 예시될 수 있다.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화학식 1에서 Q가 알킬기인 경우, 상기 Q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킬렌기」 또는 「알킬리덴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 분지쇄상 또는 고리상의 알킬렌기 또는 알킬리덴기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는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화학식 1에서, 예를 들면,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의 알킬렌기일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에서 n은, 예를 들면, 0 내지 7, 0 내지 5, 0 내지 3 또는 0 내지 2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일례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히드록시 알킬 (메타) 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나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가 화학식 1의 화합물로 예시될 수 있으나, 상기 나열된 화합물들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단량체의 반응성이나 유리전이온도 조절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는 히드록시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가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설명된 제 1 블록과 달리, 상기 제 2 블록은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 유래의 중합단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2 블록은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성 단량체 유래의 중합단위만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블록은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유래의 중합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블록은 알킬 아크릴레이트 유래의 중합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제 1 블록은 유리전이온도가 높아 내구성 확보에 유리하고, 알킬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제 2 블록은 유리전이온도가 낮기 때문에 점착 성능을 구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제 1 블록 및/또는 제 2 블록은, 필요한 경우, 예를 들면, 유리전이온도의 조절 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다른 임의의 공단량체 유래의 중합단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임의의 공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 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 등과 같은 질소 함유 단량체; 알콕시 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알콕시 디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알콕시 트리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알콕시 테트라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알콕시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페녹시 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페녹시 디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페녹시 트리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페녹시 테트라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페녹시 폴리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등과 같은 알킬렌옥시드기 함유 단량체; 스티렌 또는 메틸 스티렌과 같은 스티렌계 단량체;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글리시딜기 함유 단량체;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카르복실산 비닐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공단량체들은, 예를 들어, 각 블록 내에서 블록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부 이하, 15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하, 5 중량부 이하 또는 1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공단량체가 사용되는 경우 그 함량의 하한은 예를 들어 0.1 중량부 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50,000 내지 300,000 범위의 수평균분자량(Mn)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블록 공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Mn) 하한은, 예를 들어, 110,000 이상, 115,000 이상, 120,000 이상, 125,000 이상, 130,000 이상, 135,000 이상, 140,000 이상, 145,000 이상, 150,000 이상, 155,000 이상, 160,000 이상, 165,000 이상, 170,000 이상, 175,000 이상, 180,000 이상, 185,000 이상, 190,000 이상, 195,000 이상, 200,000 이상, 210,000 이상, 215,000 이상, 220,000 이상, 225,000 이상 또는 230,000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그 상한은, 예를 들어, 295,000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290,000 이하, 285,000 이하, 280,000 이하, 275,000 이하, 270,000 이하, 265,000 이하, 260,000 이하, 255,000 이하, 250,000 이하, 245,000 이하 또는 240,000 이하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PDI=Mw/Mn)는 1.5 내지 4.0 범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 하한은, 예를 들어, 2.0 이상 또는 2.5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한은 2.55 이상, 2.60 이상, 2.65 이상, 2.70 이상, 2.75 이상, 2.80 이상, 2.85 이상, 2.90 이상, 2.95 이상, 3.00 이상, 3.05 이상, 3.10 이상, 3.15 이상, 3.20 이상, 3.25 이상 또는 3.30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그 상한은 예를 들어, 3.45 이하, 3.40 이하, 3.35 이하, 3.30 이하, 3.25 이하, 3.20 이하, 3.15 이하 또는 3.10 이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 특성을 조절할 경우, 계면 밀착성, 고온 내구 신뢰성, 빛샘 방지 특성 및 재작업성 등 광학 필름에서의 요구되는 물성이 우수하게 유지되는 점착제를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블록 중합체는 상기 제 1 블록 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및 상기 제 2 블록 75 중량부 내지 9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상기 제 1 블록 10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및 상기 제 2 블록 80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RP(Living Radical Polymerization) 방식으로 상기 블록 중합체를 중합할 있다. 구체적으로, 유기 희토류 금속 복합체를 중합 개시제로 사용하거나, 유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중합 개시제로 사용하여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의 염 등의 무기산염의 존재 하에 합성하는 음이온 중합법, 유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중합 개시제로 사용하여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의 존재 하에 합성하는 음이온 중합법, 중합 제어제로서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제를 이용하는 원자이동 라디칼 중합법(ATRP), 중합 제어제로서 원자이동 라디칼 중합제를 이용하되 전자를 발생시키는 유기 또는 무기 환원제 하에서 중합을 수행하는 ARGET(Activators Regenerated by Electron Transfer) 원자이동 라디칼 중합법(ATRP), ICAR(Initiators for continuous activator regeneration) 원자이동 라디칼 중합법(ATRP), 무기 환원제 가역 부가-개열 연쇄 이동제를 이용하는 가역 부가-개열 연쇄 이동에 의한 중합법(RAFT), 또는 유기 텔루륨 화합물을 개시제로서 이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 중에서 적절한 방법이 선택되어 상기 블록 공중합체가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점착층은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점착층은 블록 공중합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용어 「경화」는, 예를 들면, 전자기파의 조사 및/또는 가열 등에 의하여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적어도 2종의 성분이 서로 화학적으로 반응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용어 「전자기파」의 범위에는, 마이크로파(microwaves), 적외선(IR), 자외선(UV), X선 및 감마선은 물론, 알파-입자선(alpha-particle beam), 프로톤빔(proton beam), 뉴트론빔(neutron beam) 및 전자선(electron beam)과 같은 입자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가교제는 블록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가교성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적어도 2 개 이상 가진 화합물, 즉 다관능성 가교제일 수 있다. 이러한 가교제로는 열의 인가에 의해 가교 반응이 진행될 수 있는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 에폭시 가교제, 아지리딘 가교제 또는 금속 킬레이트 가교제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블록 공중합체에 도입되는 가교성 관능기가 히드록시기인 경우, 상기 가교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로는, 예를 들면, 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보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나, 또는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폴리올과 반응시킨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 폴리올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롤 프로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가교제는,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01 중량부 이상의 함량으로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의 함량은, 예를 들어, 0.01 이상, 0.02 이상, 0.03 이상, 0.04 이상 또는 0.05 이상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0.10 이상, 0.15 이상, 0.20 이상, 0.25 이상, 0.30 이상, 0.35 이상, 0.40 이상, 0.45 이상 또는 0.5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의 함량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10 중량부 이하 또는 5 중량부 이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4 중량부 이하, 3 중량부 이하, 2 중량부 이하 또는 1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범위에서 점착제의 겔 분율, 응집력, 점착력 및 내구성 등이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점착층은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점착층은 블록 공중합체, 가교제,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에폭시기, 티올기, 아미노기, 비닐기, 에폭시기, 베타-시아노아세틸기, 아세토아세틸기 또는 할로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실란 커플링제가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베타-시아노기를 갖는 화합물 이거나 아세토아세틸기를 갖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베타-시아노기를 갖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B으로 표시되는 아세토아세틸기를 갖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화학식 A]
(R1)nSi(R2)(4-n)
[화학식 B]
(R3)nSi(R2)(4-n)
상기 화학식 A 또는 B에서, R1는 베타-시아노아세틸기 또는 베타-시아노아세틸알킬기이고, R3은 아세토아세틸기 또는 아세토아세틸알킬기이며, R2는 알콕시기이고, n은 1 내지 3의 수이다.
상기 화학식 A 또는 B에서,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일 수 있고, 이러한 알킬기는 직쇄상, 분지쇄상 또는 고리상일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 또는 2에서, 알콕시기는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일 수 있고, 이러한 알콕시기는 직쇄상, 분지쇄상 또는 고리상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A 또는 B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는, 아세토아세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아세토아세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베타 시아노아세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또는 베타시아노아세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실란 커플링제를 5 중량부 이하 또는 3 중량부 이하로, 구체적으로는 1 중량부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은 0.5 중량부 이하, 0.4 중량부 이하, 0.3 중량부 이하, 0.2 중량부 이하 또는 0.1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그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0.01 중량부 또는 0.02 중량부 일 수 있다. 본 출원 점착층의 경우, 실란 커플링제를 적은 함량 포함하더라도, 점착력의 빌드업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점착층과 인접하는 기재(예: 유리)에 대한 부착력이 뛰어나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35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30 ㎛ 이하, 25 ㎛ 이하, 20 ㎛ 이하 또는 15 ㎛ 이하일 수 있다.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점착층 두께의 하한은 예를 들어, 10 ㎛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 ㎛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한 빌드업 특성이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점착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은 경우에는 내구성이 충분치 않고, 두께가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가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각 점착층은, 필요에 따라서, 점착성 부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착성 부여제로는 예를 들면, 히드로카본 수지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로진 수지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로진 에스테르 수지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테르펜 수지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테르펜 페놀 수지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중합 로진 수지 또는 중합 로진 에스테르 수지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이 혼합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착성 부여제는,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각 점착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구성의 각 점착층을 광학 필름 위에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러페이터(이형필름) 상에 제조된 점착층을 광학 필름 상에 코팅하고, 이후 별도의 세퍼레이터 상에 제조된 점착층을 광학 필름의 점착층 상에 순차로 합지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층을 형성하는 구체적인 방법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점착 조성물을 편광판 등의 기재 상에 직접 코팅하고, 경화시켜서 가교 구조를 구현하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혹은 이형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상기 점착 조성물을 코팅 및 경화시켜서 가교 구조를 형성시킨 후에, 이를 전사하는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 조성물을 코팅할 시에는, 예를 들면, 바 코터(bar coater) 등과 같은 통상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코팅 과정에서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가교제는 작용기의 가교 반응이 진행되지 않도록 제어되는 것이 균일한 코팅 공정의 수행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가교제가 코팅 작업 후의 경화 및 숙성 과정에서 가교 구조를 형성하여 점착제의 응집력을 향상시키고, 점착 물성 및 절단성(cuttability)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팅 과정은 또한, 점착제 조성물 내부의 휘발 성분 또는 반응 잔류물과 같은 기포 유발 성분을 충분히 제거한 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점착제의 가교 밀도 또는 분자량 등이 지나치게 낮아 탄성률이 떨어지고, 고온 상태에서 유리판 및 점착층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들이 커져 내부에서 산란체를 형성하는 문제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코팅 후, 점착 조성물을 경화시켜 가교 구조를 구현하는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코팅층 내에 포함된 블록 공중합체와 가교제의 가교 반응이 유발될 수 있도록, 상기 코팅층을 적정한 온도에서 유지하는 방식 등으로 수행할 수 있다.
코팅 후, 코팅된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가교 구조를 구현하는 방법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코팅층 내에 포함된 블록 공중합체와 가교제의 가교 반응이 유발될 수 있도록 상기 코팅층을 적정 온도에서 유지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출원에 따르면, 점착층의 편면에 방향족기를 집중시켜 고온에서 편광판 치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복굴절을 효과적으로 보상하고, 빛샘 억제에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고온 및 고온·고습 내구 신뢰성이 우수하고, 특히 유리 기판에서의 들뜸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출원에 관한 다른 일례에서, 본 출원은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LCD인 경우, 상기 장치는, 액정 패널 및 상기 액정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된 상기 편광판 또는 광학 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 또는 광학 적층체는 상기 기술한 점착제에 의해 액정 패널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액정 패널은, 예를 들면,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1 기판, 화소 전극, 제1 배향막, 액정층, 제2 배향막, 공통 전극 및 제2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유리 기재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편광판 또는 광학 적층체는 상기 기술한 점착제층을 매개로 상기 유리 기재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액정 패널의 시인 측 반대 측면에 광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광원측의 제1 기판에는, 예를 들면, 투명 화소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동 소자로서 TFT(Thin Film Transistor)와 배선 등을 포함하는 액티브형 구동 회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화소 전극은,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 등을 포함하고, 화소별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배향막은,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등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장치에서 액정 패널로는, 예를 들면, TN(twisted nematic)형, STN(super twisted nematic)형, F(ferroelectic)형 또는 PD(polymer dispersed)형과 같은 수동 행렬 방식의 패널; 2단자형(two terminal) 또는 3단자형(threeterminal)과 같은 능동행렬 방식의 패널; 횡전계형(IPS; In Plane Switching) 패널 및 수직배향형(VA; Vertical Alignment) 패널 등의 공지의 패널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구성,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에서의 컬러 필터 기판 또는 어레이 기판과 같은 상하부 기판 등의 종류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구성이 제한 없이 채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 관한 다른 일례에서, 본 출원은 상기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는 가교성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블록 공중합체, 가교제 및 그 외 성분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출원의 일례에 따르면, 점착력의 빌드업 특성과 빛샘 억제 특성이 우수한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한느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의 보호범위가 하기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 또는 평가 항목>
1. 분자량 특성 평가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Mn) 및 분자량 분포(PDI)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GPC의 측정 조건은 하기와 같다. 검량선의 제작에는 표준 폴리스티렌(Agilent system(제))을 사용하여 측정 결과를 환산하였다.
<GPC 측정 조건>
측정기: Agilent GPC (Agilent 1200 series, U.S.)
컬럼: PL Mixed B 2개 연결
컬럼 온도: 40℃
용리액: THF(Tetrahydrofuran)
유속: 1.0mL/min
농도: ~1mg/mL (100μL injection)
2. 유리전이온도
블록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의 각 블록의 유리전이 온도(Tg)는 하기 수식 A에 따라서 산출하였다.
<수식 A>
1/Tg=∑Wn/Tn
수식 A에서 Wn은 블록 공중합체 또는 상기 공중합체의 각 블록에 적용된 단량체의 중량 분율이고, Tn은 각 해당 단량체가 단독 중합체를 형성하였을 경우의 유리전이온도를 나타낸다. 즉, 수식 A에서 우변은 사용된 단량체의 중량 분율을 그 단량체가 단독 중합체를 형성하였을 경우에 나타내는 유리전이온도로 나눈 수치(Wn/Tn)를 단량체별로 모두 계산한 후에 계산된 수치를 합산한 결과이다.
3. 광투과 균일성( 빛샘 )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점착제 조성물이 편면에 부착된 편광판을 200mm 정도의 폭과 200mm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재단하고, 250mm의 폭과 250mm의 길이를 가지는 소다라임(sodalime) 글라스의 양면에 90°로 교차하여 부착하였다. 그 후, 편광판이 부착된 유리 기판을 오토클레이브(50℃, 5기압)에서 약 20분 동안 보관하여 샘플을 제조한다. 제조한 샘플을 80℃의 오븐에서 72시간 보관 후 상온에서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위에 거치하고 광투과성의 균일성을 관찰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광투과 균일성 평가 기준>
A: 광투과성의 불균일현상이 육안으로 판단하기 어려움
B: 광투과성의 불균일현상이 약간 있음
C: 광투과성의 불균일현상이 다소 있음
D: 광투과성의 불균일현상이 다량 있음
4. 내구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판을 180 mm 정도의 폭과 320 mm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재단하고, 19인치의 시판되는 액정 패널에 부착한다. 그 후,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 패널을 오토클레이브(50℃, 5기압)에서 약 20분 동안 보관하여 샘플을 제조한다. 제조된 샘플의 내습열 내구성은 샘플을 60℃ 및 90% 상대 습도 조건에서 500 시간 방치한 후에 점착 계면에서의 기포 및 박리의 발생을 관찰하여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고, 내열 내구성은 상기 샘플을 80℃에서 각각 500 시간 동안 유지한 후에 기포 및 박리의 발생을 관찰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내열 및 내습열 평가 기준>
A: 기포 및 박리 발생 없음
B: 기포 및/또는 박리 약간 발생
C: 기포 및/또는 박리 다량 발생
5. 유리에 대한 점착력과 점착력 빌드업의 평가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 편광판을 25 mm 폭, 및 100mm의 길이가 되도록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한다. 이어서, 점착제층에 부착된 이형 PET 필름을 박리하고, JIS Z 0237의 규정에 따라 2 kg의 롤러를 사용하여 점착 편광판을 유리(soda lime glass)에 부착한다. 편광판이 부착된 유리를 오토클레이브(50°C, 5기압)에서 약 20분 동안 압착 처리하고, 항온 항습 조건(23°C, 50% 상대습도)에서 24 시간 동안 보관하여 샘플을 제조한다. 그 후, TA 장비(Texture Analyzer, 영국 스테이블 마이크로 시스템사제)를 사용하여, 상기 편광판을 유리로부터 0.3 m/min의 박리 속도 및 180°의 박리 각도로 박리하면서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항온 항습 조건에 방치된 시간(3일 및 7일)에 따라 유리에 부착된 점착 편광판 샘플을 꺼내어 점착력을 측정하여 점착력의 빌드업 정도를 확인하였다.
< 제조예 >
제조예 1. 블록 공중합체(A1)의 제조
EBiB(ethyl 2-bromoisobutyrate) 0.032g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9.0g, 부틸 메타크릴레이트(BMA) 2.6g 및 2-페녹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PEMA) 2.9g을 에틸 아세테이트(EAc) 9.8g 에 혼합하였다. 혼합물이 담긴 반응기를 밀봉하고, 약 25℃에서 약 30분 동안 질소 퍼징 및 교반을 하고, 버블링을 통해 용존 산소를 제거하였다. 그 후, CuBr2 0.002g, TPMA(tris(2-pyridylmethyl)amine) 0.006g 및 V-65 (2,2'-azobis(2,4-dimethyl valeronitrile)) 0.003g을 산소가 제거된 상기 혼합물에 투입하고, 약 67℃의 반응조에서 반응을 개시시켰다(제1블록의 중합).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전환율이 약 70% 정도인 시점에서 미리 질소로 버블링하여 둔 부틸 아크릴레이트(BA) 121.0g, 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HBA) 1.5g 및 에틸 아세테이트(EAc) 250g의 혼합물을 질소의 존재 하에서 투입하였다. 그 후, 반응기에 CuBr2 0.004g, TPMA 0.01g 및 V-65 0.01g을 넣고, 사슬연장 반응(chain extension reaction)을 수행하였다(제2블록의 중합). 단량체(BA)의 전환율이 80% 이상에 도달하면 상기 반응 혼합물을 산소에 노출시키고, 적절한 용매에 희석하여 반응을 종결시킴으로써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상기 과정에서 V-65는 그 반감기를 고려하여 반응 종료 시점까지 적절하게 분할하여 투입하였다.
제조예 2 내지 3. 블록 공중합체(A2 내지 A4)의 제조
제 1 블록 및 제 2 블록의 중합 시에 사용된 원료를 하기 표 1과 같은 비율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19052882403-pat00002
제조예 3. 랜덤 공중합체(B1)의 제조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반응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acrylate, BA) 99중량부, 히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4-hydroxybutyl acrylate, HBA) 1중량부로 구성되는 단량체들의 혼합물을 투입하였다. 그리고, 용제로서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EAc) 200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 가스를 60분간 퍼징(purging)한 후, 온도는 60℃로 유지하고, 반응 개시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azobisisobutyronitrile: AIBN) 0.05중량부를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켜 랜덤 공중합체(B1)를 제조하였다. 공중합체(B1)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31만, 분자량 분포는 5.7이었다.
제조예 4. 랜덤 공중합체(B2)의 제조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L 반응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acrylate: BA) 93.5중량부, 히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4-hydroxybutyl acrylate, HBA) 1중량부,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2-phenoxyethyl acrylate, PEA) 5.5중량부로 구성되는 단량체들의 혼합물을 투입하였다. 그리고, 용제로서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EAc) 200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 가스를 60분간 퍼징(purging)한 후, 온도는 60℃로 유지하고, 반응 개시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azobisisobutyronitrile: AIBN) 0.06중량부를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켜 랜덤 공중합체(B2)를 제조하였다. 공중합체(B2)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21만, 분자량 분포는 6.1이었다.
< 실시예 비교예 >
실시예 1
코팅액(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블록 공중합체(A1)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Coronate L, 일본 NPU제) 0.15 중량부, DBTDL(Dibutyltin dilaurate) 0.01 중량부, 실란커플링제(M812, LG화학제) 0.1 중량부를 혼합하고, 용제로서 에틸 아세테이트를 배합하여 코팅 고형분이 약 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여 코팅액(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점착 편광판의 제조
제조된 코팅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약 23μm 정도가 되도록 이형 처리된 두께 38μm의 이형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MRF-38, 미쯔비시제)의 이형 처리면에 코팅하고, 95℃의 오븐에서 약 3분 동안 유지하였다. 건조 후에 편광판(COP/PVA/COP의 적층 구조: COP=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 PVA=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 필름)의 편면에 이형 PET 상에 형성된 코팅층을 라미네이트하여 점착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
점착제 조성물(코팅액)의 제조 시에 각 성분 및 비율을 하기 표 2와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제 조성물(코팅액) 및 점착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표 2]
Figure 112019052882403-pat00003
[표 3]
Figure 112019052882403-pat00004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상대적으로 소량인 PEMA 혹은 BzMA를 사용하였지만, 우수한 빛샘 억제 능력을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는 점착력 빌드업 측면에서도 비교예 대비 우수한 특성을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제 2 블록에 PEA를 넣은 비교예 2는, 조성물 전체(또는 블록 공중합체 전체) 내에서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의 함량이 실시예 1 대비 약 2 배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빛샘 억제 능력이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방향족기가 제 1블록에 위치할 때, 방향족 고리의 배열이 더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고, 그에 따라 광학 보상에 보다 유리하게 된 결과로 생각된다.
또한, 비교예 4는 비교예 2와 유사한 양의 PEA를 함유하지만, 분자량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방향족 고리의 배열이 비교적 용이하지 않아 빛샘 억제 능력이 더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Claims (16)

  1. 광학필름; 및 유리전이온도가 50 ℃ 이상이고, 방향족기를 갖는 제 1 블록; 및 유리전이온도가 -10 ℃ 이하이고,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제 2 블록을 포함하는블록 공중합체를 갖는 점착층을 포함하고,
    JIS Z 0237에 따라 0.3 m/min의 속도 및 180 °의 각도로 측정된 유리에 대한 박리력이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점착형 광학 적층체:
    <관계식 1>
    P2 - P1 ≥ 150 (gf/25mm)
    (단, 상기 관계식 1에서, P1은 상온 및 45 내지 65 % 범위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점착층을 매개로 유리에 부착된 점착형 광학 적층체 시편(S1)을 1일 보관후 측정한 박리력이고, P2는 상온 및 45 내지 65 % 범위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점착형 광학 적층체 시편(S2)을 점착층을 매개로 유리에 부착한 후 3일 경과 후에 측정한 박리력이고, 이때, 시편(S1)과 시편(S2)의 구성은 동일하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점착형 광학 적층체:
    <관계식 2>
    P3 - P1 ≥ 300 (gf/25mm)
    (단, 상기 관계식 2에서, P1은 상온 및 45 내지 65 % 범위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점착층을 매개로 유리에 부착된 점착형 광학 적층체 시편(S1)을 1일 보관후 측정한 박리력이고, P3는 상온 및 45 내지 65 % 범위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점착형 광학 적층체 시편(S3)을 점착층을 매개로 유리에 부착한 후 7일 경과 후에 측정한 박리력이고, 이때, 시편(S1)과 시편(S3)의 구성은 동일하다.)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록 및 제 2 블록은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유래의 중합단위를 갖는 점착형 광학 적층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록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60 내지 85 중량부 및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 15 내지 40 중량부 유래의 중합단위를 포함하는 점착형 광학 적층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록은 수평균 분자량이 2,500 내지 150,000 범위인 점착형 광학 적층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은 50,000 내지 300,000 범위이고,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중량평균 분자량(Mw)/수평균 분자량(Mn)]는 1.0 내지 4.0 범위인 점착형 광학 적층체.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블록은 알킬 아크릴레이트 유래의 중합단위 60 내지 99.9 중량부 및 가교성 관능기를 함유 공중합성 단량체 0.1 내지 40 중량부 유래의 중합단위를 포함하는 점착형 광학 적층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블록은 방향족기를 갖지 않는 점착형 광학 적층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제 1 블록 및 제 2 블록을 갖는 디블록 공중합체인 점착형 광학 적층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상기 제 1 블록 5 내지 25 중량부 및 상기 제 2 블록 75 중량부 내지 9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점착형 광학 적층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01 내지 10 중량부 범위로 가교제를 더 포함하는 점착형 광학 적층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실란 커플링제 0.2 중량부 이하로 포함하는 점착형 광학 적층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35 ㎛ 이하인 점착형 광학 적층체.
  15. 제 1 항에 있어서, 광학 필름은 편광자인 점착형 광학 적층체.
  16. 액정 패널; 및 제 1 항에 따른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060515A 2019-05-23 2019-05-23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13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515A KR102513843B1 (ko) 2019-05-23 2019-05-23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515A KR102513843B1 (ko) 2019-05-23 2019-05-23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699A KR20200134699A (ko) 2020-12-02
KR102513843B1 true KR102513843B1 (ko) 2023-03-24

Family

ID=73791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515A KR102513843B1 (ko) 2019-05-23 2019-05-23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84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2667B2 (ja) * 2011-10-19 2016-03-09 日東電工株式会社 水分散型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6311173B2 (ja) * 2013-06-19 2018-04-1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粘着剤組成物
KR102211418B1 (ko) * 2017-08-11 2021-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형 광학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699A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5717B2 (ja) 粘着剤組成物
KR101640996B1 (ko) 점착제 조성물
US10239981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102079138B1 (ko) 점착 편광판
KR20130135157A (ko) 점착제 조성물
US20150125632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102166466B1 (ko) 점착 조성물
US9976062B2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102513843B1 (ko)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48606B1 (ko)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8634B1 (ko)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28749A (ko) 가교성 조성물
KR102211418B1 (ko) 점착형 광학 부재
KR102477377B1 (ko) 점착제 조성물, 광학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04150B1 (ko) 점착제 조성물, 보호 필름, 광학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71136A (ko) 점착제 조성물
KR102427060B1 (ko) 점착제 조성물, 보호 필름, 광학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18374B1 (ko) 가교성 조성물
CN112424305B (zh) 压敏粘合剂组合物
KR102191603B1 (ko) 점착 조성물
KR102497341B1 (ko) 점착형 편광판
KR102211419B1 (ko) 점착형 광학 부재
KR102372452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물품
KR20200025044A (ko) 점착제 조성물, 광학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79139B1 (ko) 점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