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551B1 -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고투명 대전방지 점착제 - Google Patents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고투명 대전방지 점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551B1
KR102513551B1 KR1020210095639A KR20210095639A KR102513551B1 KR 102513551 B1 KR102513551 B1 KR 102513551B1 KR 1020210095639 A KR1020210095639 A KR 1020210095639A KR 20210095639 A KR20210095639 A KR 20210095639A KR 102513551 B1 KR102513551 B1 KR 102513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static
walled carbon
weight
adhesiv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4377A (ko
Inventor
조용일
박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엔지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엔지나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엔지나노텍
Priority to KR1020210095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551B1/ko
Publication of KR20230014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는 25℃에서 동점도가 50,000 내지 65,000 cSt인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25℃에서 동점도가 15 내지 35 cSt인 하이드로젠 실록산 가교제, 촉매 및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CNT) 분산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고투명 대전방지 점착제{High transparency anti-static adhesive containing single-walled carbon nano fiber}
본 발명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여 투명도 및 대전방지 특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점착제에 관한 발명이다.
LCD는 액정을 포함하고 있는 액정셀과 편광필름으로 구성되는데, 편광필름에는 액정셀과의 부착을 위하여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편광 필름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 및 박리 시에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우며, 정전기가 남은 상태에서 액정에 전압을 인가하면 액정 분자의 배향이 손실되거나 패널에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점착제 층에 각종 대전 방지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일예로 점착제 층에 계면활성제를 추가하여 대전방지 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나, 계면활성제가 편광필름 또는 액정셀에 묻어나오는 현상이 발생하여 피착제의 오염이 발생하고, 점착력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점착제 층에 탄소나노튜브를 분산하여 점착제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경우 통상적으로 멀티월 탄소나노튜브(MWCNT)를 사용함으로써 대전 방지성능이 상대적으로 낮고, 분산성 저하로 인하여 광투과도의 저하가 유발되며, 탄소나노튜브의 뭉침 현상에 의해 점착력이 저하되는 등 전체적인 물성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필름의 전도성이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481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259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점착력, 대전방지성 및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는 25℃에서 동점도가 50,000 내지 65,000 cSt인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25℃에서 동점도가 15 내지 35 cSt인 하이드로젠 실록산 가교제, 촉매 및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CNT) 분산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에서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는 평균입경이 1 내지 5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에서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아민계 화합물, 수소화된 고무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에서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3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에서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은 25 ℃에서 점도가 10,000 cp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에서 상기 대전방지 점착제는 실란계 부착성 증진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에서 상기 대전방지 점착제는 상기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100 중량부 대비 0.2 내지 1.5 중량부의 하이드로젠 실록산 가교제, 0.3 내지 2 중량부의 촉매 및 1.2 내지 5 중량부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에서 상기 대전방지 점착제는 유기용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대전방지 점착필름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필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를 경화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필름은 광투과도가 10 ㎛ 두께에서 광투과도가 87%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점착필름.
본 발명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는 25℃에서 동점도가 50,000 내지 65,000 cSt인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25℃에서 동점도가 15 내지 35 cSt인 하이드로젠 실록산 가교제, 촉매 및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CNT) 분산액을 포함함으로써 점착력, 대전방지성 및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이용되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입경분포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는 25℃에서 동점도가 50,000 내지 65,000 cSt인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25℃에서 동점도가 15 내지 35 cSt인 하이드로젠 실록산 가교제, 촉매 및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CNT) 분산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는 상술한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가교제, 촉매 및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점착력, 대전방지성 및 광투과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와 같이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하는 경우 대전방지 성능이 저하되며, 분산성 저하로 광투과도의 저하를 유발할 수 있고, 점착력 또한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여 대전방지 성능을 개선하고 광투과도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는 25℃에서 동점도가 50,000 내지 65,000 cSt인 오르가노 폴리실록산을 포함한다. 이때 오르가노 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1을 만족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84173077-pat00001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말단에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탄소수 2 내지 19의 알케닐기이며, m은 1 이상의 정수이다.
상술한 탄소수를 만족하는 알킬기를 포함하는 오르가노 폴리실록산을 이용함으로써 점착력 및 다른 조성과의 상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에서 상기 오르가노 폴리실록산은 25℃에서 동점도가 50,000 내지 65,000 cSt, 좋게는 52,000 내지 62,000 cSt일 수 있다. 이러한 점도를 만족하는 오르가노 폴리실록산을 이용함으로써 대전방지 점착제로 제조된 대전방지 점착필름이 우수한 광투과도를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오르가노 폴리실록산의 점도가 낮은 경우 일정 수준 이상의 점착필름 두께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오르가노 폴리실록산의 점도가 높은 경우 균일한 도포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는 하이드로젠 실록산 가교제를 포함하며, 이 하이드로젠 실록산 가교제는 25℃에서 동점도가 15 내지 35 cSt일 수 있으며, 상기 하이드로젠 실록산 가교제는 좋게는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일 수 있으며, 화학식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이드로젠 실록산 가교제는 말단에 하이드로젠기, 즉 Si와 직접 연결된 수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21084173077-pat00002
화학식 2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젠 실록산 가교제는 25℃에서 동점도가 15 내지 35 cSt, 좋게는 17 내지 30 cSt일 수 있다. 이러한 점도를 만족하는 하이드로젠 실록산 가교제를 이용함으로써 균일하고 신속한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는 상기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100 중량부 대비 0.2 내지 1.5 중량부, 좋게는 0.3 내지 1 중량부의 하이드로젠 실록산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드로젠 실록산 가교제를 소량 포함할 경우 가교속도 저하 및 완전한 가교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하이드로젠 실록산 가교제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지나치게 빠른 가교에 의한 불균일한 도막조성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는 촉매를 포함한다. 이때 촉매는 폴리실록산과 반응으로 가교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통상적의 촉매인 경우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다. 좋게는 상기 촉매는 유기 백금착물계 촉매일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상기 유기 백금착물계 촉매가 폴리실록산에 분산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유기 백금착물계 촉매가 폴리실록산에 분산된 것을 이용하는 경우, 촉매의 불균일한 혼합에 의한 실리콘의 가교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고 균일한 물성을 갖는 대전방지 점착필름의 제조가 가능하며, 가교 반응을 신속히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유기 백금착물계 촉매가 분산된 폴리실록산은 상기 유기 백금착물계 촉매를 1 내지 1.5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유기 백금착물계 촉매를 소량 포함하는 경우 가교 효율 저하가 발생할 수 있고, 유기 백금착물계 촉매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폴리실록산에 분산시킴으로써 균일한 가교를 유도하는 상용성 향상효과가 낮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기 백금착물계 촉매가 분산된 폴리실록산은 25 ℃에서 동점도가 300 내지 500 cSt, 좋게는 320 내지 460 cSt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점도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비교적 점도가 높은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및 점도가 낮은 하이드로젠 실록산 가교제와의 관계에서 양쪽 모두에 대한 상용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점도가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또는 하이드로젠 실록산 가교제와의 상용성이 낮아져 촉매효율이 저하될 위험이 있다.
정리하면,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하이드로젠 실록산 가교제 및 유기 백금착물계 촉매가 분산된 폴리실록산의 점도는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1]
Vop<Vc<VH
관계식 1에서 Vop는 오르가노 폴리실록산의 동점도, Vc는 유기 백금착물계 촉매가 분산된 폴리실록산의 동점도, VH는 하이드로젠 실록산 가교제의 동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는 상기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100 중량부 대비 0.3 내지 2 중량부, 좋게는 0.7 내지 1.8 중량부의 촉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촉매는 폴리실록산에 분산된 이후 중량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가 촉매를 소량 포함하는 경우 가교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가교속도가 지나치게 느려질 수 있으며, 촉매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대전방지 성능의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아민계 화합물, 수소화된 고무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이 상술한 조성을 만족함으로써 단일벽 탄소나노튜브가 우수한 분산성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대전방지 점착제 전체에 단일벽 탄소나노튜브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에 포함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평균입경은 1 내지 5 ㎛, 좋게는 1.5 내지 4 ㎛일 수 있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평균입경이 작은 경우 미세한 입자크기에 의한 탄소나노튜브간 응집이 발생할 수 있으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평균입경이 큰 경우 광투과도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3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소량 포함하는 경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첨가에 의한 효율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분산액 내에서 균일한 분산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은 수소화된 고무를 포함하며, 좋게는 상기 수소화된 고무는 수소화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일 수 있다.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60 중량부, 좋게는 10 내지 40 중량부의 수소화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소화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는 용매에 분산된 형태일 수 있으나, 수소화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의 첨가량은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이 수소화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를 소량 포함하는 경우 분산 효과가 낮은 한계가 있으며, 수소화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분산성 향상효과는 크게 높아지지 않으나 전체 분산액 중 탄소나노튜브의 비율이 낮아져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의 첨가효율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에 포함된 아민계 화합물은 메틸아민, 에틸아민, 프로필아민, 부틸아민, 헥실아민, 헵틸아민, 옥틸아민, 디옥틸아민, 트리옥틸아민, Tert-옥틸아민, 아미노에탄올, 아미노프로판올, 아미노부탄올, 아미노펜탄올, 아미노헥산올, 도데실아민, 옥타데실아민, 트리프로필아민, N,N-디메틸벤질아민, 2-메톡시에틸아민 및 올리일아민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좋게는 아미노에탄올, 아미노프로판올 및 아미노부탄올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의 급격한 점도 상승을 억제하고 다른 조성과 상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30 중량부, 좋게는 2 내지 25 중량부의 아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아민을 소량포함하는 경우 점도가 지나치게 상승하고 분산성이 낮아질 수 있으며, 아민을 다량 첨가하는 경우 분산성의 향상효과는 미미한 반면 탄소나노튜브 첨가에 의한 효과를 저해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100 중량부 대비 1500 내지 1700 중량부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은 점도가 10,000 cP이하, 좋게는 3,000 내지 7,000 cP일 수 있다. 이러한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오르가노 폴리실록산과의 상용성을 확보하여 점착필름 내에 탄소나노튜브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는 상기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100 중량부 대비 1.2 내지 5 중량부, 좋게는 2 내지 4.5 중량부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포함할 수 있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소량 포함하는 경우 대전방지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다량 포함하는 경우 점착력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는 실란계 부착성 증진제를 더 포함한다. 부착성 증진제로 실란계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실리콘과의 뛰어난 상용성으로 균일한 부착성 증진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란계 부착성 증진제는 좋게는 반응성 실란일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반응성 실란은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 및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반응 생성물일 수 있으며, 이러한 반응성 실란을 이용함으로써 대전방지특성 및 내구도의 저하 없이 우수한 부착력을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는 상기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100 중량부 대비 0.2 내지 1.5 중량부, 좋게는 0.3 내지 15 중량부의 부착성 증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부착성 증진제를 소량 포함할 경우 부착성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고, 부착성 증진제를 다량 포함할 경우 피착제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는 지방산 아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지방산 아마이드를 더 포함함으로써 접촉면을 매끄럽고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방산 아마이드는 스테아르아마이드, 올레아마이드 및 팔미트아마이드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지방산 아마이드를 이용함으로써 점착제의 다른 조성과 상용성을 확보하면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는 상기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100 중량부 대비 0.05 내지 0.7 중량부, 좋게는 0.1 내지 0.4 중량부의 지방산 아마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방산 아마이드를 소량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효과 도모가 어려울 수 있고, 지방산 아마이드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점착력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는 유기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기용매를 포함함으로써 점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용매는 유기용매인 경우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좋게는 벤젠, 톨루엔 및 자일렌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는 상기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100 중량부 대비 200 내지 300 중량부, 좋게는 210 내지 290 중량부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용매를 소량 포함하는 경우 점도 상승에 의해 도포가 어려울 수 있고, 용매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점착필름의 두께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대전방지 점착필름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필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제를 경화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 점착필름은 상기 대전방지 점착제를 10 ㎛ 도포하여 경화한 필름을 기준으로 광투과도가 87% 이상, 좋게는 87.2 내지 89%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1.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의 제조
평균입경이 2.7 ㎛인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20 g, 아미노에탄올 6g,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약 34 중량% 이며, 분자량이 약 10만인 수소화 니트릴 고무 50 g, N-메틸 피롤리돈 용매 324 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2. 대전방지 점착제의 제조
25℃에서 동점도가 56600 cSt이며, 불휘발분을 99% 포함하는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100 g에 240 g의 톨루엔을 추가한 뒤 1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에 25℃에서 동점도가 22 cSt인 하이드로젠 실록산 가교제 0.5g을 추가한 후 30분 동안 교반하고, 부착성 증진제로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 및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반응 생성물인 반응성 실란 0.5 g, 스테아르 아마이드 0.2 g, 점도가 400 cSt이며, 폴리실록산에 분산된 유기백금착물 촉매 1.2 g 및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3 g을 첨가한 뒤 균일하게 혼합하여 대전방지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내지 11]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하기 표 1에 따라 점착제의 조성을 달리하여 각각 대전방지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1]
제조예 1과 같은 함량으로 제조하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대신 평균입경이 1.4 ㎛인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동량 첨가하여 대전방지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가교제 부착성
증진제
스테아르아마이드 용매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제조예 1 100 0.5 0.5 0.2 240 3
제조예 2 100 0.4 0.5 0.18 250 2.8
제조예 3 100 0.5 0.4 0.25 230 3.3
제조예 4 100 0.15 0.5 0.2 240 3
제조예 5 100 1.9 0.5 0.2 240 3
제조예 6 100 0.5 0.17 0.2 240 3
제조예 7 100 0.5 2.2 0.2 240 3
제조예 8 100 0.5 0.5 - 240 3
제조예 9 100 0.5 0.5 0.02 240 3
제조예 10 100 0.5 0.5 1 240 3
제조예 11 100 0.5 0.5 0.2 240 7.5
대전방지 점착제의 물성 확인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서 제조된 대전방지 점착제를 코로나 처리된 PET 기판 위에 최종 코팅 두께가 10 ㎛가 되도록 바코터로 코팅 후 120 ℃에서 1분간 경화하여 대전방지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점착필름에 대하여 각각 점착력, 가시광선 범위의 광투과도 및 면저항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로 나타내었다.
점착력(gf/inch) 광투과도(%) 면저항(Ω/□)
제조예 1 2.3 88.0 10^8
제조예 2 2.2 87.5 10^8
제조예 3 2.3 87.8 10^7
제조예 4 1.4 88.1 10^8
제조예 5 1.6 87.5 10^8
제조예 6 1.3 87.6 10^8
제조예 7 1.9 85.1 10^8
제조예 8 1.6 83.0 10^8
제조예 9 1.8 86.7 10^8
제조예 10 1.3 85.8 10^8
제조예 11 1.4 81.5 10^7
비교 제조예 1 2.1 85.4 10^10
표 2를 참고하면 제조예 1 내지 3의 열경화성 대전방지 점착필름이 2.2 gf/inch 이상의 점착력 및 87%, 좋게는 87.5% 이상의 광투과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25℃에서 동점도가 50,000 내지 65,000 cSt인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25℃에서 동점도가 15 내지 35 cSt인 하이드로젠 실록산 가교제, 촉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CNT) 분산액 및 지방산 아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방산 아마이드는 스테아르아마이드, 올레아마이드 및 팔미트아마이드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100 중량부 대비 0.2 내지 1.5 중량부의 하이드로젠 실록산 가교제, 0.3 내지 2 중량부의 촉매, 1.2 내지 5 중량부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및 0.1 내지 0.4 중량부의 지방산 아마이드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점착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아민계 화합물, 수소화된 고무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점착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3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점착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은 25 ℃에서 점도가 10,000 cp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점착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가노 폴리실록산은 말단에 이중결합이 형성된 알케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점착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 점착제는 실란계 부착성 증진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점착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 점착제는 유기용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점착제.
  10.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7항, 제 9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대전방지 점착제를 열경화하여 형성된 대전방지 점착필름.
KR1020210095639A 2021-07-21 2021-07-21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고투명 대전방지 점착제 KR102513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639A KR102513551B1 (ko) 2021-07-21 2021-07-21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고투명 대전방지 점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639A KR102513551B1 (ko) 2021-07-21 2021-07-21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고투명 대전방지 점착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377A KR20230014377A (ko) 2023-01-30
KR102513551B1 true KR102513551B1 (ko) 2023-03-23

Family

ID=85106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639A KR102513551B1 (ko) 2021-07-21 2021-07-21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고투명 대전방지 점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5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041A (ja) 1998-09-01 2000-03-07 Ge Toshiba Silicones Co Ltd 接着性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
JP2015214703A (ja) 2013-10-04 2015-12-03 モメンティブ・パフォーマンス・マテリアルズ・ジャパン合同会社 硬化性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の硬化物、硬化性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を用いた接着体、硬化性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を用いた接着体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使用
KR101831562B1 (ko) * 2017-09-29 2018-02-22 주식회사 나노신소재 탄소나노튜브 슬러리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253B1 (ko) 2010-02-18 2012-05-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2595A (ko) 2011-08-25 2013-03-07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고전류 구동용 발광 소자
EP2935429B1 (en) * 2012-12-20 2018-11-07 Dow Silicones Corporation Curable silicone compositions, electrically conductive silicone adhesives,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and electrical devices containing same
KR101949420B1 (ko) * 2017-07-11 2019-02-18 그레이스 콘티넨탈 코리아 주식회사 대전방지 점착 조성물
KR20200047181A (ko) * 2018-10-26 2020-05-07 주식회사 케이씨씨 대전방지 실리콘 감압 점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041A (ja) 1998-09-01 2000-03-07 Ge Toshiba Silicones Co Ltd 接着性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
JP2015214703A (ja) 2013-10-04 2015-12-03 モメンティブ・パフォーマンス・マテリアルズ・ジャパン合同会社 硬化性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の硬化物、硬化性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を用いた接着体、硬化性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を用いた接着体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使用
KR101831562B1 (ko) * 2017-09-29 2018-02-22 주식회사 나노신소재 탄소나노튜브 슬러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377A (ko) 202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3106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transparent conductive film containing carbon nanotubes and binder, an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manufactured thereby
US7060241B2 (en) Coatings comprising carbon nanotubes and methods for forming same
US20130148303A1 (en) Adhesive, thermally conductive, electrical insulators
US20130040124A1 (en) Method for preparing transparent antistatic films using graphene and transparent antistatic films prepared by the same
JP5761111B2 (ja) 絶縁放熱シート及び窒化ホウ素の造粒方法
KR101927851B1 (ko) 점착제용 이형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제조방법
KR101381864B1 (ko) 탄소나노튜브 코팅막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 코팅막을 형성하는 탄소나노튜브 용액 조성물
CN109957347A (zh) 抗静电硅胶保护膜的制备方法
JP2019512723A (ja) 偏光板およびこれを含む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513551B1 (ko)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고투명 대전방지 점착제
CN109563395B (zh) 用于可折叠显示器的压敏粘合剂组合物
JP6748999B2 (ja) 接着剤組成物
JP2017117632A (ja) Ito導電膜及びこのito導電膜を形成するための塗料
KR20200047181A (ko) 대전방지 실리콘 감압 점착제 조성물
KR102631434B1 (ko)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이형 코팅제 및 이로부터 형성된 대전방지 이형필름
JP6690968B2 (ja) 透明導電性基板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機能内蔵型横電界方式液晶表示パネル
US20120010339A1 (en) Windshield Wipers and Methods for Producing Windshield Wiper Materials
JP6364660B2 (ja) 吸着フィルム
JP2015124372A (ja) 粘着剤組成物、及び導電性粘着シート
KR102259301B1 (ko) 이형층용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이형필름
KR102562265B1 (ko) 전처리된 단일벽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대전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6119305A (ja) 組成物、当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導電体
KR20180035570A (ko)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KR102512223B1 (ko) 실리콘 이형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 필름
KR102512239B1 (ko) 실리콘 점착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