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238B1 - 엘라스토머 본체 및 텐셔닝 볼트를 갖는 가압 밀봉체 - Google Patents

엘라스토머 본체 및 텐셔닝 볼트를 갖는 가압 밀봉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238B1
KR102513238B1 KR1020197014793A KR20197014793A KR102513238B1 KR 102513238 B1 KR102513238 B1 KR 102513238B1 KR 1020197014793 A KR1020197014793 A KR 1020197014793A KR 20197014793 A KR20197014793 A KR 20197014793A KR 102513238 B1 KR102513238 B1 KR 102513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ing
tensioning bolt
bolt
wedge
longitudin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0351A (ko
Inventor
랄프 쿠르즈
Original Assignee
하우프 테크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우프 테크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하우프 테크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70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2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 F16L55/128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introduced axially into the pipe or hose
    • F16L55/132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introduced axially into the pipe or hose the closure device being a plug fixed by radially deforming the p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12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expansible, e.g. infla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라스토머 본체(5) 및 텐셔닝 볼트(7)를 갖는 개구(2) 내로의 삽입 및 개구의 밀봉을 위한 압축 밀봉체(1)에 관련된 것으로, 엘라스토머 본체(5)는 텐셔닝 볼트(7)를 조임으로써 변형될 수 있고, 따라서 텐셔닝 볼트(7)의 길이방향 축(14)에 수직인 방향으로 밀봉 방식으로 가압될 수 있으며, 서로 소정 각도로 설정된 경사면(9a, 9b)을 갖는 텐셔닝 요소(8)가 엘라스토머 본체(5)의 텐셔닝 목적으로 제공되고, 텐셔닝 볼트(7)와 엘라스토머 본체(5) 사이에 끼워져 그 테이퍼 방향(11) 또는 반대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텐셔닝 상태가 되며 따라서 텐셔닝 볼트(7)가 조여지고 엘라스토머 본체(5)가 변형될 수 있다.

Description

엘라스토머 본체 및 텐셔닝 볼트를 갖는 가압 밀봉체
본 발명은 개구에 삽입되어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엘라스토머 본체 및 텐셔닝 볼트를 갖는 가압 밀봉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부터, 엘라스토머 본체 및 텐셔닝을 위한, 즉 엘라스토머 본체를 변형시키기 위한 나사 볼트를 갖는 가압 밀봉체가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엘라스토머 본체는 바이스에 배열되는 것과 유사하게, 한 방향으로 압착될 수 있고, 그래서, 예를 들어 벽 개구의 내면(soffit)에 수직한 방향으로 밀봉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요구되는 장력은 나사 볼트를 회전시킴으로써 가해지며, 볼트의 헤드는 통상적으로 볼트를 구동하기 위한 외부 또는 내부의 다중 에지 프로파일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엘라스토머 본체 및 텐셔닝 볼트를 갖는 특히 바람직한 가압 밀봉체를 제공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점은 텐셔닝 볼트를 조이기 위한 텐셔닝 요소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가압 밀봉체에 의해 해결된다. 텐셔닝 요소는 서로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이는 텐셔닝 볼트에 맞닿아 놓여지도록 텐셔닝 볼트에 배열되거나 그렇게 될 수 있다. 텐셔닝 요소를 변위시킴으로써, 경사면에서 안내되는 텐셔닝 볼트가 변위되고 조여져 엘라스토머 본체가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텐셔닝 볼트는 나사부에서 안내되는 회전 이동에 의해서가 아니라, 텐셔닝 요소가 변위될 때 텐셔닝 요소의 경사면을 통해 인가되는 힘에 의해 조여진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텐셔닝 요소는 텐셔닝 볼트와 엘라스토머 본체에 맞닿아 놓여지며, 즉, 그 경사면 중 하나가 텐셔닝 볼트에 할당된 접촉 표면에 있게 되고, 그 다른 경사면이 엘라스토머 본체에 할당된 접촉 표면에 있게 된다.
텐셔닝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쐐기 요소이고, 경사면은 외부 쐐기면이다. 이 쐐기 요소는 테이퍼 방향으로 이를 변위시킴으로써 텐셔닝 상태가 될 수 있고, 여기서 이는 접촉 표면을 서로 멀어지도록 민다(그리고 텐셔닝 볼트에 장력을 가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운동학적 반전이 마찬가지로 가능하여, 경사면이 서로를 향해 내향으로 배향되고, 텐셔닝 요소는 도브-테일 소켓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텐셔닝 요소는 테이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텐셔닝 상태가 되고, 2개의 접촉 표면(텐셔닝 볼트 및 엘라스토머 본체에 할당됨)은 서로를 향해 당겨진다.
텐셔닝 요소를 텐셔닝 상태로 변위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은 예를 들어 타격 도구, 예를 들어, 해머에 의해 가해질 수 있다. 나사 볼트에 나사 결합하는 것과 비교하여, 이는 예를 들어 조립 시간의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또한 해머는 건설 현장에서, 특히 쉘(shell) 구성 단계 동안 일반적인 도구이므로 나사 볼트의 스크류 드라이버에 맞는 특정 렌치가 가용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높은 장력이 생성되어 거대한 엘라스토머 본체의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 밀봉체는 특히 벽 또는 바닥 요소, 특히 콘크리트 구성요소의 개구가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폐쇄될 수 있는 블라인드 폐쇄체(blind closure)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용 가능한 경우, 나중에 각각의 개구에 라인이 통과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블라인드 폐쇄체가 제거되고, 라인을 통과시킨 이후, 라인 또는 동일한 가압 밀봉체를 위한 관통 개구를 갖는 또 다른 가압 밀봉체가 각각의 적응(엘라스토머 본체로부터 블라인드 플러그의 제거) 후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응용 분야는 지하수 수위가 현저히 상승할 때 지하실이 욕조처럼 부유하는 것(건설 단계 동안, 건물의 중량이 이에 관해 너무 작을 수 있음)을 방지하기 위해 특히 대형 건물의 지하실의 건설 동안 및 건설 이후에 필요할 수 있는 소위 범람 개구(flood opening)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건물 구조의 부유 및 영구적 손상의 위험보다 예를 들어 지하실의 바닥 판에 배열된 범람 개구를 통해 상승하는 지하수로 지하실을 범람시키는 것이 양호하다. 다른 한편, 지하수가 바닥 판의 레벨 위로 단지 약간 상승할 때마다 매번 지하실을 범람시킬 필요는 없다(지하수가 건물 자재에 불리할 수 있음).
그러므로 블라인드 폐쇄체로 사용되는 가압 밀봉체로 범람 개구를 폐쇄하는 것이 유리하다(이는 또한 흙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음). 이와 관련하여, 본 설계의 특별한 이점은 텐셔닝 요소가 텐셔닝 상태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하게 비텐셔닝 상태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일 수 있다. 이는 해머가 없이도 달성될 수 있고, 돌 등이 타격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우의 경우, 지하수 수위가 짧은 시간에 급속히 상승하여 범람 개구를 신속하게 열어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여기에 설명된 예에서 뿐만 아니라 범람 개구에 일반적으로 관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 밀봉체의 신속하고 단순한 분리 또는 장착은 범람 개구의 경우에 특히 유리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응급 상황에서 적절한 렌치를 찾고 시간 소모적인 회전 이동으로 나사 볼트를 풀거나 조일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범람 개구의 폐쇄는 시간이 중요할 수 있음).
텐셔닝 요소를 갖는 가압 밀봉체의 분리는 또한 물이 가압 밀봉체 상에 미리 소정 유압을 가할 때 나사 볼트를 푸는 것에 비교하여 유리할 수 있다. 타격 도구를 사용하면, 장착자는 개구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구멍 옆에 위치할 수 있으며, 즉 더 큰 안전 간극을 유지할 수 있다 -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개구 밖으로 밀려나온 가압 밀봉체는 안전 위험이 될 수 있으며, 렌치를 다루는 것은 이 상황에서 위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가능한 응용과는 별도로, 텐셔닝 요소와 남아있는 가압 밀봉체는 개구에 장착할 때까지 별도의 부품으로 취급될 수 있으며, 적용 가능한 경우, 응용 분야 또는 필요한 장력에 따라 경사면 사이에 적절한 각도("기어비(gear ratio)"를 결정함)를 갖는 텐셔닝 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 이는 "배열 가능(arrangeable)"이라는 용어로 표현되며, 즉 텐셔닝 요소가 가압 밀봉체의 장착 이전이 아니라 텐셔닝 볼트에 배열될 수도 있다는 의미이다. 바람직하게는, 텐셔닝 요소는 텐셔닝 볼트에 배열되어, 나머지 가압 밀봉체를 함께, 또한 비텐셔닝 상태로 보유한다.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은 예를 들어 텐셔닝 볼트의 적어도 n-겹 또는 완전한 회전 대칭성의 축일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된 가능한 나사부 및/또는 리세스와 적어도 분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텐셔닝 볼트는 예를 들어 가압체(아래에 설명된 용어에서 "제2" 가압체)에 각각 장착되는 텐셔닝 요소를 갖는 단부에 대향하여 놓여진 단부에 나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텐셔닝 볼트는 나사부를 갖지 않는다.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이는 바람직하게는 그에 수직인 방향 각각에서 보다 적어도 5배 또는 10배 큰 연장 범위를 갖는다(상한은 예를 들어 100배 또는 50배 또는 30배일 수 있음).
텐셔닝 요소의 테이퍼 방향을 따라, 그 경사면은 수렴하지만 반드시 만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쐐기 요소는 그 좁은 단부에서 반드시 날카로운 에지를 가질 필요는 없으며; 대조적으로 예를 들어 타격 도구로 분리하는 것을 고려할 때 평탄한 좁은 단부가 선호될 수 있다. 각각의 것이 2개의 경사면 중 하나를 포함하는 2개의 경사진 평면을 참조하면, 테이퍼 방향은 2개의 경사진 평면이 교차하는 교차 선에 수직으로, 그리고, 2개의 경사면 사이의 각도를 중앙에서 2개의 동일한 반부로 분할하는 중앙 평면에 평행하게 놓인다.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과의 "각도를 형성"하는 테이퍼 방향은 일반적으로 비평행 배향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테이퍼 방향은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에 대해 적어도 45°, 60° 또는 75°로 기울어지며, 이들은 언급된 순서로 더욱 더 바람직하고, 가능한 상한은 예를 들어 85°인데, 이는 또한 하한(방향 및 축에 의해 둘러싸여진 2개의 각도로부터, 더 작은 것이 고려됨)에 독립적으로 설명되어야 한다. 테이퍼 방향(쐐기 요소의 경우) 또는 그 반대 방향(운동학적 반전의 경우)"으로"의 변위는 변위 방향이 각각의 방향에 대해 평행한 성분(테이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을 적어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평행 방향 성분이 대응하는 방향에서 더 큰 지분(> 50%)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밀봉 접촉부 내로 가압된 또는 가압될 수 있는 엘라스토머 본체는 또한 하나 또는 몇몇의 다른 엘라스토머 본체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엘라스토머 본체는 개구를 형성하는 내면에 대해 가압되며, 이 내면은 예를 들어 코어 천공의 경우에 벽 또는 바닥 요소 자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벽 또는 바닥 요소에 타설된 슬리브 또는 벽 또는 바닥 요소에 또는 벽 또는 바닥 요소 내에 장착된 프레임에 의해, 내면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즉, 개구가 한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는 벽 또는 바닥 요소의 일 측면으로부터 대향 측면으로 연장하는 관통 개구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장치, 방법 및 사용 양태 사이에 구분을 두지 않고, 종속항 및 상세한 설명에서 제공되며; 적어도 암묵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모든 청구항 범주와 관련된다. 가압 밀봉체의 특정 응용 또는 장착 세부 사항이 설명되어 있는 바에 관한 한, 이는 대응하는 용도에 관련하며 및 또한 대응하는 용도로 적응된 가압 밀봉체에도 관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텐셔닝 요소는 쐐기 요소이고 경사면은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외부 쐐기면이다. 이들은 테이퍼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방향을 향하여 놓여 있다(운동학적 반전의 경우에서와 같이 서로 대면하지 않음). 그 외부 쐐기면이 엘라스토머 본체로부터 이격 방향을 향하는 상태에서, 쐐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텐셔닝 볼트 자체에 형성되지만 일반적으로 텐셔닝 볼트에 견고하게 부착된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는 텐셔닝 볼트에 할당된 접촉 표면에 맞닿아 놓여진다(이들 세부사항에 독립적으로, 이 접촉 표면은 엘라스토머 본체를 향한다). 그 외부 쐐기면이 엘라스토머 본체를 향한 상태에서, 쐐기 요소는 엘라스토머 본체에 할당된 또 다른 접촉 표면과 접촉하고, 이 다른 접촉 표면은 엘라스토머 본체에 장력을 전달하는 부분, 특히, 가압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반적으로 엘라스토머 본체 자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세부 사항과 독립적으로, 텐셔닝 볼트는 바람직하게는 테이퍼 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으로 쐐기 요소를 변위시킴으로써 조여질 수 있다.
엘라스토머 본체를 "향하는" 또는 그로부터 "이격 방향을 향하는" 각각의 면의 배향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지는 바에 관하여, 이는 각각의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표면 법선이 방향 성분, 바람직하게는 주도적 방향 성분을 가지며, 이 방향 성분이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놓여지고, 엘라스토머 본체를 지향하거나("향하는") 또는 엘라스토머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향한다("이격 방향을 향하는)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본체를 향하는 면은 반드시 그에 정 반대쪽에 놓일 필요는 없으며, 대신, 이는 특히 별도의 텐셔닝 장치가 엘라스토머 본체 측방향 옆에 배열된 경우(아래에서 상세히 참조함)에 측방향(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에 수직)으로 변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텐셔닝 볼트에 할당된 접촉 표면은 텐셔닝 볼트 자체에 형성되고, 텐셔닝 볼트에는 쐐기 요소가 배열되는 리세스가 가로지르고 있다. 쐐기가 놓이는 접촉 표면은 엘라스토머 본체로부터 이격 방향을 향하는,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과 평행한 방향에 관한 리세스를 형성한다(리세스는 엘라스토머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텐셔닝 볼트의 단부로부터 소정 간극을 두고 텐셔닝 볼트를 가로지른다).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방향에서, 리세스는 쐐기 요소가 안내되고 리세스 내에서 변위될 수 있도록 텐셔닝 볼트를 통해 연장된다. 그 외부면이 엘라스토머 본체로부터 이격 방향을 향하는 상태에서, 쐐기 요소는 리세스를 한정하는 언급된 접촉 표면에 맞닿아 놓인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세스는 텐셔닝 볼트를 가로지르는 관통 구멍이다. 이 관통 구멍은 관통 구멍이 텐셔닝 볼트를 통해 연장되는 교차 방향에 수직인 모든 방향으로 텐셔닝 볼트 재료에 의해 둘러싸인다. 교차 방향 둘레의 원주를 참조하면, 관통 구멍은 텐셔닝 볼트 재료에 의해 전체 원주에 걸쳐 둘러싸인다. 텐셔닝 볼트와 관통 구멍 및 쐐기 요소의 조합은 기계적으로 강인하며, 이는 각각 큰 장력을 가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텐셔닝 볼트는 평판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평탄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평탄한 재료는 예를 들어 시트, 특히 시트 강철일 수 있다. 텐셔닝 볼트는 예를 들어 레이저 빔에 의해 시트 재료로부터 절단되거나 타출될 수 있다. 따라서, 텐셔닝 볼트는 예를 들어 레이저 절단 또는 타출 부품일 수 있다. 표면 방향에 수직인 그 두께 방향에서, 평탄한 재료는 예를 들어, 적어도 1㎜, 2㎜, 3㎜ 또는 4㎜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가능한 상한(역시 그에 독립적으로 설명되어야 함)은 예를 들어 15㎜, 10㎜, 8㎜ 또는 6㎜ 이하(언급된 순서로 더욱 더 바람직함)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압체 또는 가압체들(아래에서 상세히 참조)은 마찬가지로 평판체이고, 이는 평탄한 재료로 제조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압체 또는 가압체들의 평탄한 재료는 텐셔닝 볼트의 평탄한 재료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이는 가압체 또는 가압체들 및 텐셔닝 볼트가 동일한 가공 단계에서 동일한 평탄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물류의 노력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조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텐셔닝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텐셔닝 볼트의,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또한 가압체 또는 가압체들의 평탄한 재료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평탄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평탄한 재료로 제조된 텐셔닝 볼트는 예를 들어 가압 밀봉체가 설계될 때 그 치수가 비교적 쉽게 수정될 수 있으므로 유리하며, 이는 특정 요건(가해지는 장력)에 대한 특정 가압 밀봉체의 적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쐐기 요소뿐만 아니라 운동학적 반전에도 관련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텐셔닝 요소의 경사면은 적어도 2°, 4°, 6°, 8°, 10°, 12°, 14°, 16°, 18° 또는 20°의 쐐기 각도를 내포하며, 이들은 언급된 순서로 더욱 더 바람직하다. 가능한 상한은 예를 들어 45°, 42°, 40°, 38°, 36°, 34°, 32° 또는 30° 이하이며, 언급된 순서로 더욱 더 바람직하고, 상한은 또한 하한과 독립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그리고, 이에 따라 설명되어야 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언급된 간격에서, 텐셔닝 동안의 힘 전달과 텐셔닝 상태로의 텐셔닝 요소의 변위 거리가 너무 커지지 않는 것 사이의 양호한 절충이 달성될 수 있다. 후자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조임 접근법의 장점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적어도 렌치가 적용될 때 역시 고려되는 나사 볼트를 갖는 가압 밀봉체와 비교하여,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다소 콤팩트한 가압 밀봉체 설계를 허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접근성이 제한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렌치가 전체 원주에 걸쳐 회전할 수 없고 반복적으로 빼내고 적용되고 하여야 하는 코너에서 장착이 이루어질 때 장점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텐셔닝 볼트는 엘라스토머 본체 내로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엘라스토머 본체를 가로지른다(텐셔닝 요소를 갖는 전방면으로부터 대향 전방면까지). 각각의 가압 밀봉체는 텐셔닝 볼트가 조여질 때 엘라스토머 본체가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압축되고 엘라스토머 본체가 결과적으로 그에 수직인 방향으로 밀봉 접촉 상태로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밀봉 접촉부 내로 가압되는 엘라스토머 본체의 부분 및 축방향으로 압축되는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단일편이며(이들은 파괴되지 않고서는 서로 분리될 수 없음),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단일체 부분(동일한 연속 재료로 형성됨)이다. 축방향으로 압축된 엘라스토머 본체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텐셔닝 볼트와 접촉하고, 이는 예를 들어 평판체 텐셔닝 볼트(위의 설명 참조)의 형상에 적응된 엘라스토머 본체 내의 관통 구멍에 의해 또는 원형 관통 개구의 경우에 엘라스토머 본체의 충분히 큰 변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텐셔닝 볼트는 또한 엘라스토머 본체에 추가로 제공된 별도의 텐셔닝 장치에 배열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텐셔닝 장치는 엘라스토머 본체(그리고 가능하게는 추가적 엘라스토머 본체)와 함께 개구 내로 삽입되고, 엘라스토머 본체 또는 본체들과 함께 개구를 채우고; 대응하는 텐셔닝 장치는 장력을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에 수직으로 전달하고, 텐셔닝 장치는 텐셔닝 볼트를 그에 수직인 방향으로 조임으로써 확장되고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에 수직으로 엘라스토머 본체 또는 본체들을 밀봉 접촉 상태로 가압한다. 이 실시예에서, 벽에 부착되거나 벽에 삽입되는, 예를 들어 합성 재료 또는 금속으로 형성된 프레임이 내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아래에서, 옵션 "그에 수직으로 밀봉 접촉 상태로 가압되는 축방향으로 압축된 엘라스토머 본체"가 더 상세히 설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1 가압체와 함께 엘라스토머 본체의 제1 전방면에 배열되는, 대응 엘라스토머 본체 및 텐셔닝 요소로서의 쐐기 요소를 갖는 가압 밀봉체에 관련한다. 엘라스토머 본체의 "제1" 전방면은 쐐기 요소가 배열된 전방면이고; "제2" 전방면은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축방향")에 대하여 그 반대쪽에 놓여 있다. 축방향에서, 제1 가압체는 텐셔닝 볼트에 대해 자유롭게 변위될 수 있다. 축방향을 참조하면, 제1 가압체는 쐐기 요소와 엘라스토머 본체 사이에 배열되고, 쐐기 요소가 테이퍼 방향으로 변위될 때 엘라스토머 본체에 대해 가압된다. "~에 대해 가압"은 직접 접촉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반드시 직접 접촉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중간 층이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쐐기 요소는 제1 가압체에 직접 접촉하고, 제1 가압체는 바람직하게는 엘라스토머 본체로부터 이격 방향을 향하는 그 전방면에 쐐기 요소를 위한 접촉 표면을 가지고, 엘라스토머 본체를 향하는 그 반대쪽 전방면과 엘라스토머 본체를 접촉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가압체는 엘라스토머 본체의 제2 전방면에 배열되고, 텐셔닝 볼트는 제2 가압체와 상호 작용하여 엘라스토머 본체를 압축한다. 텐셔닝 상태에서, 텐셔닝 볼트는 제2 가압체를 엘라스토머 본체를 향하여 당겨서 제2 가압체가 그에 대해 가압되게 한다(바람직하게는 이는 엘라스토머 본체에 직접 접촉한다). 일반적으로, 텐셔닝 볼트와 제2 가압체는 단일체 부품일 수도 있으며, 제2 가압체는 예를 들어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에 수직으로 돌출된 텐셔닝 볼트 헤드이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텐셔닝 볼트는 제2 가압체에 부착되고, 두 부품은 예를 들어 서로 용접되거나 또는 힘 및/또는 형상 끼워맞춤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여기서, 형상 끼워맞춤에만 기초한 연결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제1 가압체이든 제2 가압체이든 무관하게 가압체는 축방향보다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적어도 10배 또는 20배 더 큰 연장 범위를 갖는 가압판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재료는 타격 도구에 의해 가능한 장착을 고려하여 기계적으로 강인한 설계를 허용할 수 있는 금속이다.
일반적으로, 가압체 또는 가압체들 중 어느 쪽이 제공되는 지 또는 이들이 어떻게 설계되는 지에 관계 없이, 쐐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특히 강철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료와는 독립적으로, 기하형상의 측면에서, 외부 쐐기면 중 하나, 즉, 바람직하게는 엘라스토머 본체를 향하는 외부 쐐기면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좁은 단부 및/또는 넓은 단부를 갖는 쐐기 요소가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엘라스토머 본체를 향한 외부 쐐기면이 장착 중에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에 기본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될 수 있으므로, 넓은 측면 및/또는 좁은 측면이 기본적으로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배향되고, 이것이 타격 도구에 의한 양호한 힘 전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 넓은 단부에서 쐐기 요소는 그 좁은 단부보다 더 큰 연장 범위를 가진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소위 이중 쐐기와 같은 또 다른 쐐기 형상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이러한 세부 사항과 독립적으로, 쐐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평탄한 형상을 가지며, 즉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에 수직이고 테이퍼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두께를 가지며, 이는 각각의 외부 쐐기면의 최소 연장 범위보다 작으며, 바람직하게는 또한 좁은 측면의 연장 범위보다 작다. 절대 값에서, 두께는 예를 들어, 15㎜, 10㎜, 8㎜ 또는 6㎜ 이하일 수 있고(언급된 순서로 더욱 더 바람직함), 가능한 하한은 예를 들어 (상한과 독립적으로) 적어도 4㎜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텐셔닝 볼트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강철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금속 또는 강철로 형성된 쐐기 요소와 조합하여 높은 장력이 생성될 수 있다.
쐐기 요소를 위한 리세스를 갖는 텐셔닝 볼트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텐셔닝 볼트의 리세스는 적어도 풀림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엘라스토머 본체 내로 연장된다. 쐐기 요소를 향하는 엘라스토머 본체의 전방면을 포함하는 평면은 리세스와 교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텐셔닝 볼트는 축방향으로 비교적 큰 거리에 걸쳐 이동될 수 있으며, 이는 엘라스토머 본체의 현저한 변형을 허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텐셔닝 요소는 나머지 가압 밀봉체에서, 바람직하게는 텐셔닝 볼트에서 포획되어 유지된다. 쐐기 요소가 텐셔닝 요소인 경우, 이는 예를 들어 텐셔닝 볼트의 리세스 또는 관통 개구에 배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쐐기 요소와 교차하는 안전 핀에 의해 테이퍼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활주 또는 탈락하는 것에 대해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안전 체인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며, 이는 나머지 가압 밀봉체에서, 특히 텐셔닝 볼트에서 텐셔닝 요소를 보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로킹 부재는 텐셔닝 상태의 텐셔닝 요소를 로킹하기 위해 제공되며, 이는 테이퍼 방향에 대향하는(쐐기 요소의 경우) 또는 테이퍼 방향으로의(운동학적 반전의 경우) 텐셔닝 요소의 변위를 방해 또는 차단한다. 바람직하게는, 텐셔닝 요소에는 구멍이 제공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구멍의 열(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구멍)이 제공되며, 텐셔닝 상태로부터의 변위는 로킹 핀을 구멍 또는 구멍 중 하나에 삽입함으로써 차단된다(작은 변위 후에, 로킹 핀은 텐셔닝 볼트와 접촉하여 더 이상의 변위를 방지한다). 엘라스토머 본체가 상이한 정도로 변형되는 상이한 텐셔닝 상태의 로킹을 허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구멍의 열이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엘라스토머 본체는 블라인드 폐쇄체이며, 개구를 통해 통과되는 라인을 수용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엘라스토머 본체는 나중에 라인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즉 이는 제거 가능한 또는 분리 가능한 블라인드 폐쇄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영구적 블라인드 폐쇄체로 설계되고 분리 라인 또는 미리 결정된 파단 지점을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엘라스토머 본체는 텐셔닝 볼트가 제공되는 관통 개구(또는 복수의 텐셔닝 볼트의 경우 복수의 관통 개구)와는 별도로, 중단부가 없는 연속 부품이고 이는 강인한 설계를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압 밀봉체는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라인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변형된 엘라스토머 본체는 내면에 대해 가압될 뿐만 아니라 통과되는 라인(들)에 대해서도 가압된다.
이러한 세부 사항과 독립적으로, 가압 밀봉체는 단일 텐셔닝 볼트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엘라스토머 본체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은 바람직하게는 n-겹 회전 대칭성, 특히 바람직하게는 완전한 회전 대칭성을 위한 축일 수 있다. 이는 장력의 균등 분포를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텐셔닝 볼트를 텐셔닝함으로써, 즉 텐셔닝 요소를 테이퍼 방향(쐐기 요소) 또는 그 반대 방향(운동학적 반전)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이를 개구에 삽입하고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가압 밀봉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쐐기 요소를 풀림 상태에서 텐셔닝 상태로 변위시킴으로써 쐐기 요소의 질량 중심이 바람직하게는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과 각도(위의 정의 참조)를 형성하는 직선 이동으로 변위된다. 이는 또한 각각 설계된 가압 밀봉체의 측면에서 설명되어야 하며 사용에 관해서도 위의 설명을 참조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텐셔닝 요소를 변위시키기 위한 힘은 타격, 바람직하게는 타격 도구에 의해, 특히 바람직하게는 해머에 의해 적용된다.
이러한 세부 사항과는 독립적으로, 동일한 구조 쉘에 할당된 복수의 개구, 예를 들어 적어도 10, 20 또는 30개의 개구가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쐐기 요소를 갖는 가압 밀봉체에 의해 각각 폐쇄되는 용도가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단일 타격에 의해 각각의 가압 밀봉체의 비교적 빠르고 간단한 장착이 관련될 수 있다. 응용 분야는 테이블 샤프트 또는 변전소를 들 수 있다. 기본적으로 임의의 수의 개구가 각각의 가압 밀봉체에 의해 밀봉될 수 있지만, (단일 구조 쉘 내의 개구의 수의) 가능한 상한은 예를 들어 1000, 500 또는 200 개구 이하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며, 개별 특징은 또한 독립항의 범위 내에서, 다른 조합으로, 본 발명과 관련될 수 있고, 설명은 모든 청구항 범주와 관련된다.
도 1은 풀림 상태의 쐐기 요소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 밀봉체를 도시한다.
도 2는 쐐기 요소가 텐셔닝 상태에 있는 도 1에 따른 가압 밀봉체를 도시한다.
도 1은 벽(3)의 개구(2)에 삽입되는 가압 밀봉체(1)를 도시하며, 이 예에서 벽(3)은 콘크리트로 제조된다. 개구(2)는 코어 천공으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벽(3)이 콘크리트로 타설될 때 빈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여하튼 벽(3) 자체는 개구(2)를 한정하는 내면(4)을 형성한다. 가압 밀봉체(1)는 블라인드 폐쇄체로 구성되고, 이 때문에 개구(2)를 밀폐한다.
가압 밀봉체(1)는 밀봉을 위해 축방향으로 압축되어 결과적으로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내면(4)과 접촉하는 엘라스토머 본체(5)를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엘라스토머 본체(5)의 2개의 전방면 각각에 가압판으로서 형성된 각각의 가압체(6a, 6b)가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그 사이의 엘라스토머 본체(5)를 변형시키기 위해 텐셔닝 볼트(7)를 조임으로써 가압체(6a, 6b)가 서로를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대부분 회전 대칭적 설계를 크게 갖는 텐셔닝 볼트(7)가 도시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텐셔닝 볼트(7)는 평탄한 재료로 제조된 평판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9a, 9b)을 포함하는 텐셔닝 볼트(7)를 조이기 위한 텐셔닝 요소(8)가 제공된다. 이 예에서, 텐셔닝 요소(8)는 쐐기 요소이고, 경사면(9a, 9b)은 외부 쐐기면이다. 쐐기 요소는 이 예에서 관통 구멍인, 텐셔닝 볼트(7)의 리세스(10)에 배열된다(이 측면도에서, 리세스(10)는 보이지 않으며, 이 도면에서 텐셔닝 볼트(7)를 통해 수직으로 연장함).
쐐기 요소(8)의 2개의 경사면(9a, 9b)은 테이퍼 방향(11)을 따라 수렴한다. 쐐기 요소로서 형성된 텐셔닝 요소(8)는 (테이퍼 방향(11)에 평행한 주 방향 성분을 갖는) 테이퍼 방향(11)의 변위에 의해 텐셔닝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엘라스토머 본체(5)를 향한 쐐기 요소의 경사면(9b)이 접촉하는 도면의 좌측에 배열된 제1 가압체(6a)의 접촉 표면(12) 및 쐐기 요소의 다른 경사면(9a)이 접촉하는 텐셔닝 볼트(7)의 접촉 표면(13)은 서로 축방향으로 멀어지게 이동된다. 따라서, 2개의 가압체(6a, 6b)는 축방향으로, 즉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14)을 따라 서로를 향해 이동하고, 엘라스토머 본체(5)는 축방향으로 압축된다.
도 2는 텐셔닝 상태의 가압 밀봉체(1)를 도시하고, 여기서, 텐셔닝 요소(8)는 이미 변위되고 엘라스토머 본체(5)는 축방향으로 압축되고 거기에 수직으로 확장되어 있다. 이러한 텐셔닝 상태에서, 쐐기 요소는 도 2에서 텐셔닝 볼트(7)의 약간 아래에 배열된 구멍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로킹 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로킹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쐐기 요소의 경우, 넓은 측면(21) 및 좁은 측면(22)은 엘라스토머 본체(5)를 향하는 경사면(9b)에 기본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쐐기 요소를 텐셔닝 상태가 되게 하기 위해, 넓은 측면(21)이 해머 또는 다른 타격 도구에 의해 타격된다. 쐐기 요소를 도 2에 도시된 텐셔닝 상태에서 비텐셔닝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해 타격력이 좁은 측면(22)에 가해진다.
텐셔닝 볼트(7), 그리고, 또한 쐐기 요소는 강철로 제조된다. 텐셔닝 볼트(7) 및 쐐기 요소에 의해 발생된 힘은 또한 금속으로 형성된 가압체(6a, 6b)를 통해 엘라스토머 본체(5)로 전달된다. 제2 가압체(6b)에 할당된 그 단부에서, 텐셔닝 볼트(6)는 제2 가압체(6b)에 결합하여 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확장된 텐셔닝 볼트 헤드(23)를 갖는다. 제1 가압체(6a)에는 텐셔닝 볼트(7)가 가로질러 지나가고, 이는 텐셔닝 볼트(7)에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

Claims (15)

  1. 가압 밀봉체(1)의 사용 방법이며, 가압 밀봉체(1)는,
    엘라스토머 본체(5), 및
    텐셔닝 볼트(7)를 포함하고,
    엘라스토머 본체(5)는, 엘라스토머 본체(5)가 텐셔닝 볼트(7)의 길이방향 축(14)에 수직인 방향으로 밀봉 접촉 상태로 가압될 수 있도록, 텐셔닝 볼트(7)를 조임으로써 변형 가능하고,
    가압 밀봉체(1)는 서로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9a, 9b)을 갖는 텐셔닝 요소(8)를 포함하며, 텐셔닝 요소(8)는, 경사면(9a, 9b)이 그를 따라 수렴하는 텐셔닝 요소(8)의 테이퍼 방향(11)이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14)과 각도를 형성하도록, 텐셔닝 볼트(7)에 배열되거나 배열 가능하고,
    텐셔닝 요소(8)는 쐐기 요소이고, 경사면(9a, 9b)은 쐐기 요소의 외부 쐐기면이고,
    텐셔닝 요소(8)는, 테이퍼 방향(11)으로 변위시킴으로서 텐셔닝 요소(8)가 텐셔닝 상태로 되고 그에 의해 텐셔닝 볼트(7)가 조여지고 엘라스토머 본체(5)가 변형될 수 있도록, 텐셔닝 볼트(7) 및 엘라스토머 본체(5)에 맞닿아 놓여지며,
    가압 밀봉체(1)는 벽 또는 바닥 요소(3)의 개구(2) 내로 삽입되고 개구(2)를 밀봉하고,
    텐셔닝 볼트(7)는 엘라스토머 본체(5) 내로 연장되거나 엘라스토머 본체를 가로지르고, 가압 밀봉체(1)는, 엘라스토머 본체(5)가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14)의 방향으로 압축되며, 결과적으로 텐셔닝 볼트(7)가 조여질 때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14)에 수직인 방향으로 밀봉 접촉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관통 구멍 형상의 리세스(10)가 텐셔닝 볼트(7)를 가로지르고, 쐐기 요소는, 쐐기 요소가 서로를 향해 경사진 그 외부 쐐기면(9a, 9b) 중 하나(9a)로 텐셔닝 볼트(7)의 지탱 표면(13)에 맞닿아 배치되도록, 리세스(10) 내에 배열되거나 배열 가능하며, 지탱 표면(13)은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14)에 평행하게 놓이고 엘라스토머 본체(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에 대해 리세스(10)를 한정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텐셔닝 볼트(7)는 평판체이거나 평탄한 재료로 제조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서로를 향해 경사진 텐셔닝 요소(8)의 경사면(9a, 9b)은 서로 2° 이상 45° 이하의 각도를 형성하는,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쐐기 요소는 가압 밀봉체(1)의 제1 가압체(6a)와 함께 엘라스토머 본체(5)의 제1 전방면에 배열되고, 제1 가압체(6a)는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14)과 평행한 방향에 대해 쐐기 요소와 엘라스토머 본체(5) 사이에 배열되며, 제1 가압체(6a)는 쐐기 요소가 테이퍼 방향(11)으로 변위될 때 쐐기 요소에 의해 엘라스토머 본체(5)에 대해 가압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쐐기 요소는 엘라스토머 본체(5)와 대면하는 서로에 대해 경사진 그 외부 쐐기면 중 하나로 제1 가압체(1)의 접촉 표면(12)과 직접 접촉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쐐기 요소가 배열되는 엘라스토머 본체(5)의 제1 전방면 반대쪽에 놓인, 엘라스토머 본체(5)의 제2 전방면에 제2 가압체(6b)가 배열되고, 텐셔닝 볼트(7)는 엘라스토머 본체(5)를 압축하기 위해 제2 가압체(6b)와 상호 작용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텐셔닝 볼트(7)의 리세스(10)는 적어도 텐셔닝 볼트(7)의 풀림 상태에서 텐셔닝 볼트 길이방향 축(14)에 평행한 방향으로 엘라스토머 본체(5) 내로 연장하는,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텐셔닝 요소(8)는 텐셔닝 볼트(7)에 포획되어 보유되는,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로킹 부재를 가지며, 텐셔닝 요소(8)는 로킹 부재에 의해, 또는 텐셔닝 요소(8)의 구멍과 조합한 로킹 핀에 의해, 텐셔닝 상태에서 로킹될 수 있으며, 로킹 핀을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텐셔닝 요소(8)의 변위성이 로킹될 수 있는, 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엘라스토머 본체(5)는 블라인드 폐쇄체로서 구성되는, 방법.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개구(2)는, 텐셔닝 볼트(7)에 배열된 텐셔닝 요소(8)를 테이퍼 방향(11)으로 변위시킴으로써 텐셔닝 볼트(7)를 조이는 것에 의해, 가압 밀봉체(1)로 밀봉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텐셔닝 요소(8)는 타격에 의해, 또는 타격 도구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텐셔닝 상태로 변위되는, 방법.
  15. 삭제
KR1020197014793A 2016-10-28 2017-10-27 엘라스토머 본체 및 텐셔닝 볼트를 갖는 가압 밀봉체 KR102513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020424.4 2016-10-28
EP16020424.4A EP3315844B1 (de) 2016-10-28 2016-10-28 Verwendung einer pressdichtung mit elastomerkörper und spannbolzen
PCT/EP2017/025320 WO2018077480A1 (de) 2016-10-28 2017-10-27 Pressdichtung mit elastomerkörper und spannbolz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351A KR20190070351A (ko) 2019-06-20
KR102513238B1 true KR102513238B1 (ko) 2023-03-24

Family

ID=57218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793A KR102513238B1 (ko) 2016-10-28 2017-10-27 엘라스토머 본체 및 텐셔닝 볼트를 갖는 가압 밀봉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90301656A1 (ko)
EP (1) EP3315844B1 (ko)
JP (1) JP7009470B2 (ko)
KR (1) KR102513238B1 (ko)
CN (1) CN109891142A (ko)
AU (1) AU2017348942B2 (ko)
PL (1) PL3315844T3 (ko)
WO (1) WO20180774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4242A (zh) * 2019-12-02 2021-06-18 湖南诚路管业科技有限公司 一种带可调密封接头的塑料管材
CN112619763A (zh) * 2020-11-30 2021-04-09 重庆盛勋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高速细碎对辊机
CZ309908B6 (cs) * 2022-11-14 2024-01-24 FASTRA, s.r.o Zařízení pro uzavírání potrubí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70690A (fr) * 1953-02-09 1954-08-05 Chaudronnerie De L Est Goujon d'assemblage amovible et rapide pour éléments chaudronnerie, charpente ou mécanique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095A (en) * 1892-02-16 Ferdinand schmidt
US1194080A (en) * 1916-08-08 Aethur h
US733541A (en) * 1902-10-16 1903-07-14 James F Clegg Bolt-locking device.
US800593A (en) * 1905-01-26 1905-09-26 Elizabeth R Harrison Rail-joint.
US1266334A (en) * 1916-02-15 1918-05-14 Diaphone Signal Company Ltd Key-bolt.
US1446080A (en) * 1922-03-24 1923-02-20 Zilliox John Method of making key bolts
US1808912A (en) * 1928-07-07 1931-06-09 Willard John Melville Art of and means for molding concrete structures
US1815098A (en) * 1931-01-03 1931-07-21 Albert C Earhart Bolt substitute
US2026799A (en) * 1935-02-26 1936-01-07 Pure Carbonic Company Of Ameri Converter
US2245887A (en) * 1940-05-14 1941-06-17 Gustavus A Wikander Stopper for laundry tubs, washbasins, and other receptacles
US2257962A (en) * 1940-06-21 1941-10-07 Merle E Kemper Bolt and wedge assembly
FR1064565A (fr) * 1952-10-21 1954-05-14 Dispositif pour boucher les bouteilles
US2993616A (en) * 1959-06-04 1961-07-25 Columbus Bolt & Forging Compan Expansible closure
FR1344865A (fr) * 1961-05-23 1963-12-06 Nouveau dispositif pour fixer une pièce quelconque sur une paroi d'épaisseur quelconque dont une face est inaccessible
GB1155127A (en) * 1967-04-26 1969-06-18 Agroman Const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amping Bolts
DE2214308A1 (de) * 1972-03-24 1973-10-04 Hohenadel Kg Wolfgang Vorrichtung zur loesbaren befestigung von teilen an betondecken und/oder betonwaenden
GB1434720A (en) * 1972-09-08 1976-05-05 Jones W F Pipeline pigs
US4016696A (en) * 1975-04-04 1977-04-12 The Dayton Sure-Grip & Shore Co. Tie rod hole plug in combination with a wall hole
US4240322A (en) * 1977-12-31 1980-12-23 Lothar Teske Wedge-pin fastener
US4239173A (en) * 1978-04-13 1980-12-16 Sawyer Robert D Concrete construction form and tie rod
JPS615354Y2 (ko) * 1980-12-12 1986-02-18
JPS57100694U (ko) * 1980-12-12 1982-06-21
GB2190950B (en) * 1986-05-29 1990-01-04 Mabey & Johnson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lattice panel bridges
US4759462A (en) * 1987-11-16 1988-07-26 Neglio Thomas P Closure for a threaded opening
US5201109A (en) * 1990-11-23 1993-04-13 Shinte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achably joining two members
KR930003994Y1 (ko) * 1991-02-04 1993-06-25 주수영 파이프단부 폐쇄장치
US5269114A (en) * 1992-09-25 1993-12-14 Albers James A Cover retainer for concrete block wall opening
JPH09126385A (ja) * 1995-10-31 1997-05-13 Tokai Rubber Ind Ltd シールテスト用の継手部材封止治具
US5927000A (en) * 1996-12-10 1999-07-27 Bordes, Jr.; Edgar S. Tamper resistant bait cover and bait access system
US6283439B1 (en) * 1998-01-16 2001-09-04 Feather Lite Innovations, Inc. Wall form pan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453603B1 (en) * 1999-09-03 2002-09-24 Jerry G. Baker Tamper resistant non-corrosive bore hole cover assembly
US6662490B1 (en) * 2002-08-22 2003-12-16 Harold W. Aesch, Jr. Core hole plug assembly
US7311120B2 (en) * 2003-03-20 2007-12-25 Advanced Sewer Products Limited Expandable pipe stopper
JP3978459B1 (ja) * 2006-07-27 2007-09-19 株式会社京都知財倶楽部 汎用養生蓋ユニット
US20090025328A1 (en) * 2007-02-01 2009-01-29 Elite Products, Llc Mechanical plug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080314902A1 (en) * 2007-05-16 2008-12-25 Dayton Douglas C Plug for concrete floor penetrations
US8572913B2 (en) * 2008-06-09 2013-11-05 Chris Stubblefield System and method for plugging core holes
US8313275B2 (en) * 2010-08-13 2012-11-20 Ohio Valley Precision, Inc. Wedge fastener
US8418423B1 (en) * 2010-09-11 2013-04-16 Keith Thomas Potts Plug assembly and a method for sealing a hole
ES2574329B1 (es) * 2014-12-16 2017-06-13 20 Emma 20 S.L. Tapón de estanqueidad para cerramiento de orificios en paredes y similares
US10094128B2 (en) * 2016-02-02 2018-10-09 Michael Hartman Adjustable hole cov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70690A (fr) * 1953-02-09 1954-08-05 Chaudronnerie De L Est Goujon d'assemblage amovible et rapide pour éléments chaudronnerie, charpente ou mécan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315844T3 (pl) 2019-12-31
EP3315844B1 (de) 2019-07-03
AU2017348942B2 (en) 2023-05-11
CN109891142A (zh) 2019-06-14
EP3315844A1 (de) 2018-05-02
WO2018077480A1 (de) 2018-05-03
US20190301656A1 (en) 2019-10-03
KR20190070351A (ko) 2019-06-20
US20210071800A1 (en) 2021-03-11
AU2017348942A1 (en) 2019-06-13
JP2019535969A (ja) 2019-12-12
JP7009470B2 (ja) 2022-01-25
NZ753751A (en) 2021-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71800A1 (en) Press seal with an elastomer body and a tensioning bolt
AU2013201398B2 (en) Wooden member joint structure
JP2006219912A (ja) Pc鋼より線とソケットとの固着構造及びpc鋼より線とウエッジとのソケットへの圧入固着装置
US9759617B2 (en) Tool with over pressure indicator and lockout
KR101851987B1 (ko) 풀림방지 볼트 제조용 다이스
JP2012076164A (ja) 衝撃動工具における通しボルトの締付け装置
KR20180043692A (ko) 풀림 방지 체결구
EP2551423A2 (de) Mauerstopfen
KR200460066Y1 (ko) 풀림 방지용 볼트 장치
KR20110096273A (ko) 콘크리트 철근용 연결기
NZ753751B2 (en) Press seal with an elastomer body and a tensioning bolt
CH700315B1 (de) Spannsystem mit einem Spannelement und einem Schlüssel zum Anziehen des Spannelements.
JP4687040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ための接続装置
EP3648930B1 (de) Setzwerkzeug, set für ein setzwerkzeugsystem und setzwerkzeugsystem
KR100842414B1 (ko) 앵커볼트를 이용한 고정구조
US10112291B2 (en) Tie rod connection for a hydraulic hammer
DE202016006685U1 (de) Pressdichtung mit Elastomerkörper und Spannbolzen
JP3771131B2 (ja) コンクリート棒状構造体の補強器具および補強方法
WO2017125587A1 (de) Befestigungsvorrichtung
WO2016019412A1 (en) Rigging components and locking pins therefor
KR20160093941A (ko) 앵커볼트 시공용 공구
JP2015137690A (ja) 多角形座金を有する親子フィラー
KR200376946Y1 (ko) 미끄럼방지용 스패너
JP2017066717A (ja) 外壁パネルフレーム交換方法および外壁パネルフレーム交換部構造
DE102016101174A1 (de) Befestigungsvor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