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626B1 - Electrorefi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Electrorefin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626B1
KR102512626B1 KR1020200186028A KR20200186028A KR102512626B1 KR 102512626 B1 KR102512626 B1 KR 102512626B1 KR 1020200186028 A KR1020200186028 A KR 1020200186028A KR 20200186028 A KR20200186028 A KR 20200186028A KR 102512626 B1 KR102512626 B1 KR 102512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electrolyte solution
electrolytic refining
electrolytic
mix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0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95329A (en
Inventor
서영명
이기웅
성현진
안효진
임윤택
Original Assignee
성일하이메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일하이메탈(주) filed Critical 성일하이메탈(주)
Priority to KR1020200186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626B1/en
Publication of KR20220095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3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6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25C7/06Operating or servi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Abstract

전해정련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해정련 장치는 전해액을 저장하는 전해정련 셀; 전해정련 셀로부터 공급된 전해액으로부터 소정의 비중 이상의 비중을 갖는 불순물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전해액 침전조; 불순물이 침전된 전해액 침전조로부터 오버플로우된 1차 전해액을 저장하는 전해액 저장조; 전해액 저장조로부터 전해 정련 셀로 유입되는 1차 전해액로부터 미세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및 전해정련 셀로부터 전해액을 전해액 침전조 및 전해액 저장조를 거처 다시 전해정련 셀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를 포함한다.An electrolytic refining device is disclosed. An electroref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refining cell for storing an electrolyte solution; an electrolyte solution settling tank for precipitating and removing impurities having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pecific gravity from the electrolyte solution supplied from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an electrolyte storage tank for storing primary electrolyte solution overflowed from the electrolyte solution precipitation tank in which impurities are precipitated; A filter for removing fine impurities from the primary electrolyte flowing from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into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and a pump for circulating the electrolyte from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through the electrolyte settling tank and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back to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Description

전해정련 장치{ELECTROREFINING APPARATUS}Electrolytic refining device {ELECTROREF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해정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불순물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전해정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refi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refin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impurities.

일반적인 전해정련 공정에서는 전해정련 중, 전해양극에서 슬라임(Slime) 과 같은 부산물이 발생하게 되고, 이것은 전해음극으로 전착되는 전해금속에 혼입되어 전해금속의 순도를 저하시키는 불순물로 작용할 수 있다.In a general electrolytic refining process, by-products such as slime are generated at the electrolytic anode during the electrolytic refining process, which may be mixed into the electrolytic metal deposited on the electrolytic cathode and act as impurities that lower the purity of the electrolytic metal.

종래 기술의 경우, 상기 불순물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해양극에 양극포를 사용하여 전해액에 불순물 혼입을 방지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또는 전해양극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이 전해정련 동안 양극에서 박리 또는 분리되지 않도록 양극 주조시 합금성분을 조절하는 방법 등이 제안된 바가 있다.In the case of the prior ar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related to the impurities, a method of preventing impurities from being mixed into the electrolyte by using an anode cloth for the electrolytic anode is used, or by-products generated from the electrolytic anode are peeled off or separated from the anode during electrorefining. There have been proposed methods of adjusting the alloy components during casting of the anode so as not to

그러나, 상술한 방법(양극포 또는 합금조절을 이용하는 기술)을 적용하더라도 전해정련 시, 양극에서 발생되는 슬라임이 전해금속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전해정련 공정시 전해금속의 순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However, even if the above-described method (technology using anode fabric or alloy control) is applied, there is a limit to preventing slime generated from the anode from being mixed with the electrolytic metal during electrolytic refi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capable of further improving the purity of the electrolytic metal during the electrolytic refining proces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52770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5277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불순물을 저감시켜 고순도의 전해금속을 획득할 수 있는 전해정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lytic refining device capable of obtaining high-purity electrolytic metal by reducing impuriti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해액을 저장하는 전해정련 셀; 상기 전해정련 셀로부터 공급된 전해액으로부터 소정의 비중 이상의 비중을 갖는 불순물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전해액 침전조; 상기 불순물이 침전된 전해액 침전조로부터 오버플로우된 1차 전해액을 저장하는 전해액 저장조; 상기 전해액 저장조로부터 상기 전해 정련 셀로 유입되는 1차 전해액로부터 미세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및 상기 전해정련 셀로부터 전해액을 상기 전해액 침전조 및 전해액 저장조를 거처 다시 상기 전해정련 셀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전해정련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lytic refining cell for storing an electrolyte solution; an electrolyte solution settling tank for precipitating and removing impurities having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pecific gravity from the electrolyte solution supplied from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an electrolyte storage tank for storing a primary electrolyte solution overflowed from the electrolyte solution precipitation tank in which the impurities are precipitated; An electrolysis comprising a filter for removing fine impurities from the primary electrolyte flowing from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into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and a pump for circulating the electrolyte from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through the electrolyte settling tank and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and back to the electrorefining cell. A refining device is provided.

이 때, 상기 필터는 테프론 필터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lter may be a Teflon filter.

이 때, 상기 전해액 침전조 및 상기 전해액 저장조는 상기 전해액 침전조로부터 오버 플로우된 전해액이 상기 전해액 저장조로 바로 저장되도록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olyte settling tank and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electrolyte overflowing from the electrolyte settling tank is directly stored in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이 때, 상기 전해액 침전조는 상기 전해액 침전조 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된 둘 이상의 벽체를 구비하며, 상기 전해액은 상기 둘 이상의 벽체로 오버 플로우되어 순차적으로 불순물이 제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ctrolyte settling tank has two or more wall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side the electrolyte settling tank, and the electrolyte overflows into the two or more walls so that impurities can be sequentially rem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정련 장치는 전해액을 전해액 침전조 및 필터에 순차적으로 유입시키고 순환시킴으로써, 비중이 높은 불순물과 미세한 크기의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The electrolytic ref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move impurities having a high specific gravity and impurities having a fine size by sequentially introducing and circulating the electrolyte into an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and a filter.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정련 장치는 불순물이 제거된 전해액을 지속적으로 전해정련 셀로 공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보다 고순도의 전해금속을 얻을 수 있다.Through this, the electrolytic ref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inuously supply the electrolyte from which impurities are removed to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and as a result, a higher purity electrolytic metal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정련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정련 장치의 전해정련 셀 구조체 내부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해정련 셀 구조체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전해정련 셀 구조체를 YZ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X축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전해정련 셀 구조체를 XZ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Y축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정련 장치를 블록 형태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ctrolytic ref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low of fluid inside an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of an electrolytic ref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of FIG. 2 viewed from above.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ross-section of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of FIG. 2 cu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YZ plane, as viewed in the X-axis direc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ross-section of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of FIG. 2 cu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XZ plane, as viewed in the Y-axis direc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olytic refining apparatus in block 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is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본 명세서에서,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을 규정함에 있어서, X축 방향은 도 3에 도시된 좌표축을 기준으로 규정한다. 구체적으로, X축 방향은 전해정련 셀 구조체의 제 1 격벽에서 제 2 격벽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규정하고, Z축 방향은 지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규정하고, Y축 방향은 X축 및 Z축과 동시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규정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defining the X-axis directio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is defined based on the coordinate axes shown in FIG. 3 . Specifically, the X-axis direction is defined as a direction from the first diaphragm to the second diaphragm of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the Z-axis direction is defined a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Y-axis direction is defined as the X-axis and the Z-axis At the same time, it is def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정련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정련 장치의 전해정련 셀 구조체 내부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해정련 셀 구조체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전해정련 셀 구조체를 YZ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X축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전해정련 셀 구조체를 XZ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Y축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정련 장치를 블록 형태로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ctrolytic ref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low of fluid inside an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of an electrolytic ref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of FIG. 2 viewed from above.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ross-section of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of FIG. 2 cu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YZ plane, as viewed in the X-axis direc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ross-section of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of FIG. 2 cu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XZ plane, as viewed in the Y-axis direc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olytic refining apparatus in block 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정련 장치(10)는 전기화학적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전해금속을 획득하는 장치로서, 고순도의 금속이온성 액체에 금속염을 용해한 용액에 대하여 전압/전류를 가하여 금속을 환원 전착시키는 장치이다.Electrolytic refin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obtaining electrolytic metal by using an electrochemical oxidation / reduction reaction, by applying voltage / current to a solution in which a metal salt is dissolved in a high-purity metal ionic liquid. It is an apparatus for reductive electrodeposition of metal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정련 장치(10)는 전해정련 셀(20), 전해액 침전조(40), 전해액 저장조(50), 필터(60) 및 펌프(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n electrolytic refin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lytic refining cell 20, an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40, an electrolyte storage tank 50, a filter 60, and a pump 70.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해정련 셀(20)은 내부에 전해액(F1+F2)이 수용되는 전해정련 셀 구조체(21)와, 전해정련 셀 구조체(2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전해양극(25)과 전해음극(26)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20 includes an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21 in which an electrolyte solution (F1 + F2) is accommodated, and an electrolytic anod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21 (25) and an electrolytic cathode (26).

먼저, 전해정련 셀 구조체(21)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전해액(F1+F2)을 서로 혼합시키기 위한 공간(S1)을 구비하는 구조체로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21 is a structure having a space S1 for mixing electrolyte solutions F1 + F2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보다 상세히, 전해정련 셀 구조체(21)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 3을 참조하면, 전해정련 셀 구조체(21)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측면(21a) 제 2 측면(21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 제 1 측면(21a)과 제 2 측면(21b) 사이에 배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제 3 측면(21c) 및 제 4 측면(21d)을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3 when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21 is viewed from above, the electrorefining cell structure 21 may include first side surfaces 21a and second side surfaces 21b that face each other. A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ide surface 21a and the second side surface 21b, and may include a third side surface 21c and a fourth side surface 21d facing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2를 참조하면, 전해정련 셀 구조체(21)는 함체(27)와 제 1 격벽(31) 및 제 2 격벽(34)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21 includes a housing 27 , first partition walls 31 and second partition walls 34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격벽(31)과 제 2 격벽(34) 사이에 위치하는 함체(27)의 내부에는 혼합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혼합 공간(S1)은 제 1 격벽(31) 및 제 2 격벽(34)과, 제 3 측면(21c) 및 제 4 측면(21d)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ixing space S1 may be formed inside the enclosure 27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wall 31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34 . That is, the mixing space S1 may be formed in a form surrounded by the first partition wall 31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34 and the third side surface 21c and the fourth side surface 21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전해액(F1)과 제 2 전해액(F2)을 포함하는 전해액(F1+F2)이 전해정련 셀 구조체(21) 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데, 이하, 제 1 격벽(31)의 제 2 공간(S2)을 통해 유입되는 전해액을 제 1 전해액(F1)이라 규정하고, 혼합 공간(S1) 측으로 바로 유입되는 전해액을 제 2 전해액(F2)이라 규정한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e solution (F1+F2) including the first electrolyte solution (F1) and the second electrolyte solution (F2) may flow into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21 side. The electrolyte flowing in through the second space S2 of the partition 31 is defined as the first electrolyte F1, and the electrolyte flowing directly into the mixing space S1 is defined as the second electrolyte F2.

이와 관련하여, 혼합 공간(S1)을 이루는 제 3 측면(21c)에는 유입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입부(22)는 외부로부터 혼합 공간(S1) 측으로 제 1 전해액(F1)과 구분되는 제 2 전해액(F2)이 유입될 수 있는 통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In this regard, the inlet 22 may be formed on the third side surface 21c constituting the mixing space S1. Here, the inlet 22 may function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econd electrolyte F2 separated from the first electrolyte F1 flows into the mixing space S1 from the outside.

그리고, 제 3 측면(21c)과 대향하는 제 4 측면(21d)에는 유출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유출부(23)는 혼합 공간(S1)으로 유입된 제 1 전해액(F1)과 제 2 전해액(F2)이 서로 혼합된 후,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통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And, the outlet 23 may be formed on the fourth side surface 21d opposite to the third side surface 21c. The outlet 23 may function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irst electrolyte solution F1 and the second electrolyte solution F2 introduced into the mixing space S1 are mixed with each other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구체적인 일례로서, 유입부(22) 및 유출부(23)는 각각 제 3 측면(21c)과 제 4 측면(21d)을 관통하는 제 3 연통홀(22a, 22b)과 제 4 연통홀(23a, 23b)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inlet part 22 and the outlet part 23 have third communication holes 22a and 22b and fourth communication holes 23a penetrating the third side surface 21c and the fourth side surface 21d, respectively. 23b).

이 때,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 3 연통홀(22a, 22b)과 제 4 연통홀(23a, 23b)은 Z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연통홀(22a, 22b)이 제 3 측면(21c)의 상부측에 형성될 경우, 제 4 연통홀(23a, 23b)은 제 4 측면(21d)의 하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제 3 연통홀(22a, 22b)로부터 제 4 연통홀(23a, 23b)로 향하는 전해액의 Y축 방향 유동에 있어서, Z축 방향으로 상하 유동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전해정련 셀 구조체(21) 내 전해액의 유동과 관련된 설명을 통해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2 again, the third communication holes 22a and 22b and the fourth communication holes 23a and 23b may be installed at opposite positions in the Z-axis direction.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third communication holes 22a and 22b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ird side surface 21c, the fourth communication holes 23a and 23b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ourth side surface 21d. side can be formed. This is to form a vertical flow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Y-axis direction flow of the electrolyte solution from the third communication holes 22a and 22b to the fourth communication holes 23a and 23b.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a description related to the flow of the electrolyte within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21 .

한편, 제 3 연통홀(22a, 22b)과 제 4 연통홀(23a, 23b)은 각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 plurality of the third communication holes 22a and 22b and the fourth communication holes 23a and 23b may be formed as shown in the drawing.

이 때, 복수 개의 제 3 연통홀(은 각각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연통홀(22a, 22b)이 지그재그로 배치된다는 것의 의미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의 제 3 연통홀(22a, 22b) 중에서 상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며 일렬로 배치된 제 3 연통홀(22a)의 사이에 각각 하측에 배치되는 제 3 연통홀(22b)이 끼워지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X축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제 3 연통홀(22a, 22b)의 형성 위치가 상하로 반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case, each of the plurality of third communication holes (22a, 22b) may be arranged in a zigzag shape. Here, the meaning that the third communication holes 22a and 22b are arranged in a zigzag pattern means that the plurality of third communication holes 22a and 22b are arranged in a zigzag pattern as shown in FIG. It means that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22b disposed on the lower side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communication holes 22a disposed in a row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side of the holes 22a and 22b. That is, it means that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third communication holes 22a and 22b repeats vertically as the X-axis direction progresses.

이와 함께, 제 4 연통홀(23a, 23b)도 제 3 연통홀(22a, 22b)과 동일한 방식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 3 연통홀(22a, 22b)과 제 4 연통홀(23a, 23b)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제 1 전해액(F1)과 제 2 전해액(F2)의 유입 위치와 유출 위치를 보다 다양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urth communication holes 23a and 23b may also be arranged in a zigzag pattern in the same manner as the third communication holes 22a and 22b. As the third communication holes 22a and 22b and the fourth communication holes 23a and 23b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the inflow and outflow positions of the first electrolyte solution F1 and the second electrolyte solution F2 are more diverse. can get ang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혼합 공간(S1)의 일측에는 제 1 격벽(31)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barrier rib 3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ixing space S1.

이 때, 제 1 격벽(31)은 제 1 측면(21a) 측에 설치되는 벽 구조로서, X축 방향으로 소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1 격벽(31)의 내부에는 인접한 혼합 공간(S1)과 구획되는 공간으로서, 제 1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barrier rib 31 is a wall structur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irst side surface 21a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X-axis direction. Also, a first space S2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barrier rib 31 as a space partitioned from the adjacent mixing space S1.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 1 격벽(31)의 상부면(32)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 1 전해액(F1)이 제 1 공간(S2)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 the upper surface 32 of the first partition wall 31 may be formed in an open shape, through which the first electrolyte F1 may flow into the first space S2.

이 때, 제 1 공간(S2)으로 유입된 제 1 전해액(F1)은 제 1 격벽(31)의 일측에 구비된 제 1 연통홀(33)을 통해 인접한 혼합 공간(S1)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lyte solution F1 flowing into the first space S2 may move toward the adjacent mixing space S1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33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3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연통홀(3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격벽(3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격벽(31)의 상부면(32)으로 유입된 제 1 전해액(F1)은 곧바로 혼합 공간(S1) 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아니라, Z축 방향으로 소정 높이 이동한 후, 제 1 격벽(31)의 하부에 구비된 제 1 연통홀(33)을 통해 혼합 공간(S1)으로 유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33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artition wall 31 as shown in FIG. 2 . Through this, the first electrolyte F1 introduced into the upper surface 32 of the first partition wall 31 does not flow directly to the mixing space S1, but moves to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n moves to the first partition wall ( 31) may flow into the mixing space S1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33 provided at the bottom.

이러한 제 1 연통홀(33)은 제 2 격벽(34)에 구비된 제 2 연통홀(35)이 상부에 형성되는 것과 비교하여, Z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해정련 셀 구조체(21)의 내부에서 전해액(F1+F2)의 혼합을 보다 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도 전해정련 셀 구조체(21)에 대한 설명을 마친 후에 자세히 기술하기로 한다.The first communication hole 33 may be formed at opposite positions in the Z-axis direction compar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35 provid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34 formed at the upper portion. This is to further activate the mixing of the electrolytes F1 + F2 inside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21 . This will also be described in detail after the description of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21 is finish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혼합 공간(S1)의 타측에는 제 2 격벽(34)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artition wall 34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ixing space S1.

상세하게, 제 2 격벽(34)은 혼합 공간(S1)을 기준으로 제 1 격벽(31)의 반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격벽(34)은 제 1 격벽(31)과 마찬가지로, X축 방향으로 소정 두께를 가지며, 내부에 혼합 공간(S1)과 구획되는 제 2 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second barrier rib 34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barrier rib 31 based on the mixing space S1. Like the first partition wall 31, the second partition wall 34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second space S3 partitioned from the mixing space S1 may be formed therein.

이 때, 제 2 격벽(34) 중에서 혼합 공간(S1)과 접하는 일측에는 제 2 연통홀(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연통홀(35)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격벽(31)의 제 1 연통홀(33)과 Z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통홀(33)이 제 1 격벽(31)의 하부에 형성될 경우, 제 2 연통홀(35)은 제 2 격벽(34)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second communication hole 35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34 in contact with the mixing space S1.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35 may be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33 of the first partition wall 31 in the Z-axis direction. Therefore, as shown in FIG. 3 ,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33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artition wall 31,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35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34. can

그리고, 제 2 격벽(34)의 타측에는 전해액(F1+F2)이 배출되는 제 5 연통홀(36)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연통홀(35)을 통해 제 2 격벽(34)의 제 2 공간(S3)으로 유입된 전해액(F1+F2)은 제 2 공간(S3) 내부를 자연순환한 후, 제 5 연통홀(3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lso, a fifth communication hole 36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solution F1+F2 is discharged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34 . The electrolyte solution (F1+F2) flowing into the second space (S3)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34)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35) naturally circulates inside the second space (S3), and then passes through the fifth communication hole ( 36)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한편, 도 2 및 도 4에는 제 5 연통홀(36)이 제 2 연통홀(35)과 동일하게 제 2 격벽(34)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설계 조건에 따라 제 2 격벽(34)의 타측 중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2 and 4 show that the fifth communication hole 36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34 in the same way as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35,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2 It may be formed in various positions on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3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해정련 셀 구조체(21)의 혼합 공간(S1)에는 전해양극(25)과 전해음극(26)이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lytic anode 25 and an electrolytic cathode 26 may be disposed in the mixing space S1 of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21 .

이 때, 전해양극(25, anode)과 전해음극(26, cathode)은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전해정련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전해정련(Electrorefining)이란,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금속 지금(地金)의 순도를 높이는 방법으로서, 전해양극(25)은 순도가 낮은 조금속의 지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해음극(26)은 적당한 금속의 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ectrolytic anode 25 and the electrolytic cathode 26 are used to perform an electrolytic refining process through a redox reaction. At this time, electrorefining is a method of increasing the purity of metal ingot using electrolysis, and the electrolytic anode 25 may be formed of low-purity metal ingot, ) may be formed of a suitable metal sheet.

예를 들면, 구리의 전해정련은 동제련에서 만들어진 조동을 양극으로 하고 종판을 음극으로 하여, 약간의 구리를 용해한 산성황산구리의 전해액에 두 전극을 침지시켜 전해할 수 있다. For example, electrolytic refining of copper can be performed by immersing the two electrodes in an acidic copper sulfate electrolyte solution in which a small amount of copper is dissolved, using blister copper as the anode and the end plate as the cathode.

한편, 전해양극(25)과 전해음극(26)에 전압/전류를 인가하면, 순도가 높은 금속이 전해음극(26) 상에 석출되며, 전해양극(25)에서는 슬라임과 같은 불순물(P)이 생성되게 된다. 이러한 불순물은 전해액(F1+F2)에 포함된 상태로 유동하게 된다. 다만, 전해정련을 통해 전해양극(25)과 전해음극(26)에서 발생되는 화학 반응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when voltage/current is applied to the electrolytic anode 25 and the electrolytic cathode 26, high-purity metal is precipitated on the electrolytic cathode 26, and impurities P such as slime are deposited in the electrolytic anode 25. will be created These impurities flow while being included in the electrolyte solution (F1+F2). However, since the chemical reaction generated in the electrolytic anode 25 and the electrolytic cathode 26 through electrolytic refining is a 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 때, 전해양극(25)과 전해음극(26)은 서로 한 쌍을 이루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교번하여 복수 개의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 개의 전해양극(25)과 전해음극(26)은 혼합 공간(S1)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단일한 지지 부재(미도시), 일례로, 봉 형태의 샤프트 또는 프레임과 같은 구조물에 고정된 상태로 혼합 공간(S1) 내부에서 전해액(F1+F2)에 잠긴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ctrolytic anode 25 and the electrolytic cathode 26 form a pair, but as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pairs may be alternately disposed. As such, the plurality of electrolytic anodes 25 and the electrolytic cathode 26 are fixed to a structure such as a single support member (not show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ixing space S1, for example, a rod-shaped shaft or frame. It may be disposed in a state submerged in the electrolyte solution (F1 + F2) inside the mixing space (S1) in a state.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해정련 셀 구조체(21) 내부의 유동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low inside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2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해정련 셀 구조체(21) 측으로 제 1 전해액(F1)과 제 2 전해액(F2)이 각각 유입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lectrolyte solution F1 and the second electrolyte solution F2 may respectively flow into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21 from the outside.

이 때, 도 3을 참조하면, 전해정련 셀 구조체(21)를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 1 전해액(F1)의 유동 방향과 제 2 전해액(F2)의 유동 방향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3 , when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21 is viewed from above, the flow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lyte solution F1 and the flow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lyte solution F2 may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보다 상세하게, 제 1 전해액(F1)은 제 1 격벽(31)의 상부면(32)을 통해 유입되어 지면 방향으로 유동한 뒤, 제 1 연통홀(33)을 통해 혼합 공간(S1)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 공간(S1)에서 제 1 전해액(F1)의 일부와, 제 3 측면(21c)에 형성된 제 3 연통홀(22a, 22b)을 통해 유입된 제 2 전해액(F2)의 일부는 서로 혼합된 후, 제 2 격벽(34)의 제 2 연통홀(35)을 통해 전해정련 셀 구조체(21)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electrolyte F1 is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surface 32 of the first partition wall 31,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and flows into the mixing space S1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33 It can be. Thereafter, as shown in FIG. 4,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lyte solution F1 in the mixing space S1 and the second electrolyte introduced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holes 22a and 22b formed on the third side surface 21c After some of the electrolyte solution F2 is mixed with each other, it may flow out of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21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35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34 .

여기서, 제 1 연통홀(33)과 제 2 연통홀(35)은 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에 배치됨에 따라, 혼합 공간(S1) 내부의 X축 방향의 유동에 대하여, Z축 방향으로 보다 폭넓은 형성할 수 있다.Here, as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3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35 are arrang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Z-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low in the X-axis direction inside the mixing space S1, the flow in the Z-axis direction is more A wide range can be formed.

마찬가지로, 제 3 측면(21c)의 제 3 연통홀(22a, 22b)을 통해 혼합 공간(S1) 측으로 바로 유입된 제 2 전해액(F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해액(F1)과 혼합된 후, 제 4 측면(21d)의 제 4 연통홀(23a, 23b)을 통해 전해정련 셀 구조체(21)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Similarly, the second electrolyte F2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mixing space S1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holes 22a and 22b of the third side surface 21c is, as shown in FIG. 5, the first electrolyte F1 After being mixed with, it may flow out of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21 through the fourth communication holes 23a and 23b of the fourth side surface 21d.

제 3 연통홀(22a, 22b)과 제 4 연통홀(23a, 23b) 역시 Z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상부와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Y축 방향 유동에 대하여, 혼합 공간(S1) 내부 유동 스펙트럼을 Z축 방향으로 보다 입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third communication holes 22a and 22b and the fourth communication holes 23a and 23b are also arranged above and below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Z-axis direction, so that the flow spectrum inside the mixing space S1 can be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flow in the Y-axis direction. It can be formed more three-dimensionally in the Z-axis direction.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정련 장치(10)는 전해액을 각각 제 1 전해액(F1)과 제 2 전해액(F2)으로 분리하여 서로 수직 방향으로 유입시킨 후, 혼합 공간(S1) 내부에서 서로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전해정련 셀 구조체(21)의 XY 평면 전체 영역에 대하여, 전해액 성분 및 조성을 보다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As such, the electrolytic refin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electrolyte into the first electrolyte F1 and the second electrolyte F2 and introduces them in a vertical direction to each other, and then in the mixing space S1. By mixing with each other, the components and composi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can be maintained more uniformly over the entire area of the XY plane of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21.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정련 장치(10)는 Z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 1 연통홀(33) 및 제 2 연통홀(35)과, 제 3 연통홀(22a, 22b) 및 제 4 연통홀(23a, 23b)을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시킴으로써, 혼합 공간(S1)의 상부와 하부에 대하여 제 1 전해액(F1)과 제 2 전해액(F2)이 골고루 혼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lytic refin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communication hole 33, a second communication hole 35, and a third communication hole 22a, 22b based on the Z-axis direction. ) and the fourth through-holes 23a and 23b in opposite directions to induce uniform mixing of the first electrolyte solution F1 and the second electrolyte solution F2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ixing space S1. ca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정련 장치(10)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제 3 연통홀(22a, 22b)과 제 4 연통홀(23a, 23b)을 통해 전해액의 유출입 위치를 보다 다양화함으로써, 혼합 공간(S1) 내 유로를 보다 입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lectrolytic refin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low and outflow positions of the electrolyte are more diverse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holes 22a and 22b and the fourth communication holes 23a and 23b arranged in a zigzag shape. As a result, the passage in the mixing space S1 can be formed more three-dimensional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정련 장치(10)는 상술한 전해정련 셀(20)로부터 공급된 전해액(F1+F2)이 수용되는 전해액 침전조(40)를 포함한다.The electrolytic refin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lyte settling tank 40 in which the electrolyte solution (F1+F2) supplied from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20 described above is accommod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해액 침전조(40)는 전해정련 공정 중 생산되어 상기 전해액(F1+F2)에 포함된 불순물을 침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통해 소정 비중 이상의 비중을 갖는 불순물을 1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e settling tank 40 is produced during the electrolytic refining process to precipitat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F1 + F2), through which impurities having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pecific gravity are primarily can be removed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전해액 침전조(40)는 전해액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전해액(F1+F2)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 통로(41)를 구비한다. 이를 통해 전해정련 셀(20)의 제 4 연통홀(23a, 23b)과, 제 5 연통홀(36)로부터 유출된 전해액(F1+F2)은 하나로 혼합된 후, 유입 통로(41)를 통해 전해액 침전조(40)로 이동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 , the electrolyte settling tank 40 has a space therein to accommodate the electrolyte, and has an inlet passage 41 into which the electrolyte (F1+F2) can flow into one side. Through this, the fourth communication holes 23a and 23b of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20 and the electrolyte solution (F1+F2) flowing out from the fifth communication hole 36 are mixed into one, and then the electrolyte solution is passed through the inflow passage 41. It can be moved to the settling tank 40.

한편, 도면에서는 간략한 도시를 위하여 선으로 도시되었으나, 전해정련 셀(20)과, 전해액 침전조(40) 사이는 적어도 하나의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연통홀(23a, 23b)로부터 연장된 배관과, 제 5 연통홀(36)로부터 연장된 배관이 서로 만나 하나의 배관으로 통합된 후 전해액 침전조(40)와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shown as a line in the drawings for simplicity,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20 and the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40 may be connected by at least one pipe.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after the pipes extending from the fourth communication holes 23a and 23b and the pipes extending from the fifth communication holes 36 meet each other and are integrated into one pipe, the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40 and can be conn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해액 침전조(40)는 내부에 복수 개의 벽체(42)를 구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40 may have a plurality of walls 42 inside.

이 때, 벽체(4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액 침전조(40)의 내부에서 지면에 수직하도록(Z축 방향) 배치되되, 전해액 침전조(40)의 높이 보다 낮은 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 the wall 42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n the Z-axis direction) inside the electrolyte sedimentation tank 40, but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electrolyte sedimentation tank 40 there is.

이와 같이, 벽체(42)의 높이가 전해액 침전조(40) 보다 낮게 설계됨으로써, 전해액 침전조(40) 내에서 전해액(F1+F2)이 벽체(42)의 상측 공간을 통해서 오버 플로우(Over flow)될 수 있다. 이처럼 오버 플로우된 전해액(F1+F2)의 일부는 Y축 방향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height of the wall 42 is designed to be lower than the electrolyte settling tank 40, the electrolyte solution (F1 + F2) in the electrolyte settling tank 40 overflows through the upper space of the wall 42. can A portion of the overflowed electrolyte (F1+F2) may flow along the Y-axis direction.

한편, 전해액(F1+F2)이 Y축 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과정 중 소정 비중 이상의 비중을 갖는 불순물들은 전해액 침전조(40)의 바닥면에 침전될 수 있다. 침전된 불순물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벽체(42)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침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해액(F1+F2)에 포함된 불순물이 1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Meanwhile, while the electrolyte solution F1+F2 flows along the Y-axis direction, impurities having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pecific gravity may be precipit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lyte settling tank 40 . As shown in FIG. 1 , the movement of the precipitated impurities is restricted by the wall 42 so as to maintain a precipitated state. Through this, impurities included in the electrolyte solution F1+F2 may be primarily rem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해액 침전조(4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벽체(42)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벽체(42)는 전해액(F1+F2)의 유동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한 상태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해액(F1+F2)이 복수 개의 벽체(42)를 오버 플로우 함에 따라 불순물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제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walls 42 may be disposed inside the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40 .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walls 4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electrolyte (F1+F2). Through this, as the electrolyte solution (F1+F2) overflows the plurality of walls 42, impurities can also be sequentially and repeatedly rem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해액 침전조(40)의 일측에는 벽체(42)를 따라 이동된 전해액(F1+F2)이 인접한 전해액 저장조(50) 측으로 유출될 수 있는 유출 통로(43)를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electrolyte settling tank 40 is provided with an outflow passage 43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solution (F1+F2) moved along the wall 42 can flow out to the side of the adjacent electrolyte storage tank 50. can

이 때, 유출 통로(43)는 유입 통로(41)와의 사이에 벽체(42)가 배치된 상태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벽체(42)를 따라 오버 플로우되는 과정 중에 1차적으로 불순물이 제거된 1차 전해액이 전해액 저장조(50) 측으로 유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let passage 43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wall 42 disposed between the inlet passage 41 . Through this, the primary electrolyte from which impurities are primarily removed during the process of overflowing along the wall 42 may flow out toward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50.

구체적인 일례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액 침전조(40)와 전해액 저장조(50)는 서로 면접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출 통로(43)는 전해액 저장조(50)와 접하는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40 and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50 may be disposed in an interview state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outflow passage 43 may be disposed on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5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정련 장치(10)는 전해액 침전조(40) 측으로부터 이동된 상기 1차 전해액을 저장하는 전해액 저장조(50)를 포함한다. 이 때, 전해액 저장조(50)는 전해액 침전조(40)와 마찬가지로 전해액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도록 함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lytic refin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lyte storage tank 50 for storing the primary electrolyte transferred from the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40 side. At this time,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50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to have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electrolyte, similarly to the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40 .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해액 저장조(50)는 전해액 침전조(40)와 필터(60) 사이에 배치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전해액 침전조(40)를 통해 1차적으로 불순물이 제거된 전해액이 곧바로 필터(60) 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전해액 저장조(50)에 머무르며 필터(60)의 여과 성능에 맞춰 대기할 수 있다.1 and 6,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50 is disposed between the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40 and the filter 60,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from which impurities are primarily removed through the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40 is immediately It does not flow into the filter 60, but stays in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50 and can stand by according to the filtration performance of the filter 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해액 저장조(50)는 전해액 침전조(40)로부터 오버 플로우된 전해액이 전해액 저장조(50)로 바로 저장되도록 전해액 침전조(40)와 서로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50 may be disposed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40 so that the electrolyte overflowing from the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40 is directly stored in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50.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액 침전조(40)와 전해액 저장조(50)의 일측면이 서로 면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전해액 저장조(50)에도 전해액 침전조(40)의 유출 통로(43)에 대응되는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전해액 침전조(40)의 유출 통로(43)를 통해 유출된 전해액이 바로 전해액 저장조(5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전해액 침전조(40)와 전해액 저장조(50)를 공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전해액의 유동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전해정련 장치(10) 전체에 대하여 전해액의 순환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in a state where one side of the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40 and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50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50 also has an outflow passage of the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40 ( By forming a passage corresponding to 43), the electrolyte flowing out through the outflow passage 43 of the electrolyte settling tank 40 can directly flow in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50. Through this, the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40 and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50 can be space-efficiently arranged, and the circula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can be rapidly progressed with respect to the entire electrolytic refining device 10 by minimizing the flow distance of the electrolyte solu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정련 장치(10)는 전해액 저장조(50)로부터 유입된 1차 전해액으로부터 미세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60)를 포함한다.The electrolytic refin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60 for removing fine impurities from the primary electrolyte introduced from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50 .

보다 상세하게,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필터(60)는 전해액 저장조(50)와 전해정련 셀(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해액 저장조(50)로부터 유입된 1차 전해액으로부터 미세 불순물까지 제거된 청정한 전해액을 전해정련 셀(20)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In more detail, referring back to FIG. 1 , the filter 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50 and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20 . Through this, a clean electrolyte solution from which even fine impurities are removed from the primary electrolyte solution introduced from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50 can be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20 side.

한편, 도면에서는 간략한 도시를 위하여 선으로 도시되었으나, 전해정련 셀(20)과, 필터(60) 사이는 적어도 하나의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60)로부터 하나의 배관이 연장된 후, 제 4 연통홀(23a, 23b)과 연장된 배관과, 제 5 연통홀(36)과 연결된 배관으로 각각 분기되어 전해정련 셀(20)과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shown as a line in the drawings for simplicity,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20 and the filter 60 may be connected by at least one pipe.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drawing, after one pipe extends from the filter 60, it branches into a pipe extending from the fourth communication holes 23a and 23b and a pipe connected to the fifth communication hole 36, respectively. It can be connected to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20.

이 때, 필터(60)는 테프론(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필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금속성 불순물을 포함하는 전해액의 여과시 문제될 수 있는 필터(60)의 내부식성 및 내마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필터(60) 측으로 유입되는 전해액에 작용되는 마찰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전해정련 장치(10)의 전체 전해액(F1+F2) 순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정련 장치의 필터(60)가 테프론 필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필터가 채용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filter 60 may be formed of a Teflon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filter. Through this, corrosion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of the filter 60, which may be problematic when filtering an electrolyte solution containing metallic impurities, may be secured. In addition, by minimizing the frictional force applied to the electrolyte flowing into the filter 60, circulation of the entire electrolyte (F1+F2) of the electrolytic refining device 10 can be facilitated. However, the filter 60 of the electrolytic ref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flon filter, and various known filters may be employ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정련 장치(10)는 전해액(F1+F2)을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70)를 포함한다.The electrolytic refin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mp 70 for circulating the electrolyte solution (F1+F2).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해액(F1+F2)은 전해정련 셀(20) - 전해액 침전조(40) - 전해액 저장조(50) - 필터(60) - 전해정련 셀(20) 순으로 순환되며, 이를 통해 전해정련 셀(20) 내의 전해정련 공정이 소정 시간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펌프(70)는 상기와 같은 전해액(F1+F2)의 순환을 유지하기 위해 전해액(F1+F2)에 대하여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공지의 다양한 펌프(70)가 이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e (F1 + F2) is an electrolytic refining cell 20 - an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40 - an electrolyte storage tank 50 - a filter 60 - an electrolytic refining cell 20 ), and through this, the electrolytic refining process in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20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ump 70 is for providing pressure to the electrolyte solution (F1+F2) in order to maintain the circula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F1+F2) a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known pumps 70 may be used.

한편, 도 6에는 펌프(70)가 전해액 저장조(50)와 필터(6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펌프(70)는 효율적인 전해액 순환을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pump 70 is shown in FIG. 6 as being disposed between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50 and the filter 60,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ump 70 generates efficient electrolyte circulation. Note that it can be installed in a variety of possible locations.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정련 장치(10)에서 전해정련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불순물이 제거되는 과정을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전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a process of removing impurities generated according to an electrolytic refining process in the electrolytic refin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ener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6 .

먼저, 전해정련 셀(20) 내부에서 전해양극(25)과 전해음극(26)에 전압/전류를 인가함에 따라 전해음극(26)에는 전해금속이 전착되며, 전해금속의 전착이 진행됨에 따라 전해양극(25)으로부터 불순물이 분리되어 전해액(F1+F2)에 포함되게 된다.First, as voltage/current is applied to the electrolytic anode 25 and the electrolytic cathode 26 inside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20, the electrolytic metal is electrodeposited on the electrolytic cathode 26, and as the electrodeposition of the electrolytic metal progresses, electrolysis Impurities are separated from the anode 25 and included in the electrolyte solution F1+F2.

그 후, 불순물이 포함된 전해액(F1+F2)은 펌프(70)에 의한 압력에 의해 전해액 침전조(40)로 이동되게 된다. 여기서, 전해액(F1+F2)은 전해정련 셀(20)의 제 4 연통홀(23a, 23b)과 제 5 연통홀(36)로부터 각각 유출되며, 전해액 침전조(40)로 유입되기 전에 단일한 유로로 통합된 후 전해액 침전조(40)의 유입 통로(41)를 통해 유입된다.Thereafter, the electrolyte solution (F1+F2) containing impurities is moved to the electrolyte solution precipitation tank 40 by the pressure of the pump 70. Here, the electrolyte solution (F1+F2) flows out from the fourth communication hole (23a, 23b) and the fifth communication hole (36) of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20), respectively, and enters a single flow path before being introduced into the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40). After being integrated into the electrolyte solution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assage 41 of the precipitation tank 40.

한편, 전해액 침전조(40) 내부에 유입된 전해액(F1+F2)이 벽체(42)를 따라 오버 플로우 되면서, 소정 비중 이상의 불순물이 전해액 침전조(40)의 바닥에 침전되게 된다. 이러한 불순물은 이미 살펴본 바와 같이 벽체(42)에 의해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전해액 침전조(40) 내부에 머무르게 된다.Meanwhile, as the electrolyte solution (F1+F2) introduced into the electrolyte settling tank 40 overflows along the wall 42, impurities having a predetermined specific gravity or more are precipitated on the bottom of the electrolyte settling tank 40. As described above, the movement of these impurities is limited by the wall 42, so that they stay inside the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40.

불순물이 1차적으로 제거된 1차 전해액은 전해액 저장조(50) 측으로 이동하여 필터(60)에 유입 전에 일시적으로 대기한 뒤, 필터(6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primary electrolyte from which impurities are primarily removed moves 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50, waits temporarily before flowing into the filter 60, and then moves to the filter 60 side.

다음으로, 필터(60)로 유입된 1차 전해액은 필터(60)를 경유하면서, 전해액 침전조(40)로부터 제거되지 않은 미세한 불순물이 2차적으로 걸러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불순물(P)의 함량을 보다 낮추어 청정한 상태의 전해액을 전해정련 셀(20)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Next, while the primary electrolyte introduced into the filter 60 passes through the filter 60, fine impurities not removed from the electrolyte precipitation bath 40 may be filtered out secondarily. Through this, the electrolyte solution in a clean state by lowering the content of impurities (P) can be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20 side.

이 때, 필터(60)로부터 유출된 전해액은 다시 제 1 전해액(F1)과 제 2 전해액(F2)으로 분기되어 각각 전해정련 셀(20)의 혼합 공간(S1)과 제 1 격벽(31)으로 유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ctrolyte solution flowing out from the filter 60 is branched again into the first electrolyte solution F1 and the second electrolyte solution F2, and flows to the mixing space S1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31 of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20, respectively. can be infiltrated.

이와 같은 흐름은 펌프(70)에 의해서 계속적으로 순환됨으로써, 전해정련 공정과 불순물 제거 공정이 반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This flow is continuously circulated by the pump 70, so that the electrolytic refining process and the impurity removal process are repeatedly performed.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정련 장치(10)는 전해액(F1+F2)을 전해액 침전조(40) 및 필터(60)에 순차적으로 유입시키고 순환시킴으로써, 비중이 높은 불순물과 미세한 크기의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해정련 장치(10)는 불순물이 제거된 전해액을 지속적으로 전해정련 셀(20)로 공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해금속으로의 불순물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고순도의 전해금속을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lytic refin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introduces and circulates the electrolyte (F1 + F2) into the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40 and the filter 60, thereby removing impurities with high specific gravity and fine particles. Large-sized impurities can be effectively removed. Through this, the electrolytic refining device 10 can continuously supply the electrolyte solution from which impurities are removed to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20, and thus, the inflow of impurities into the electrolytic metal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s a result, a higher purity electrolytic metal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정련 장치(10)는 전해정련 셀 구조체(21)의 구조를 혼합 공간(S1)과 벽체(42)로 구획함과 동시에 전해정련 셀 구조체(21) 측으로 유입되는 전해액(F1+F2)을 각각 제 1 전해액(F1)과 제 2 전해액(F2)으로 분리하여 유입시킴으로써 혼합 공간(S1) 내부의 전해액의 조성을 보다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전해음극(26) 상에 전착되는 전해금속의 순도 및 표면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lectrolytic refin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21 is partitioned into a mixing space S1 and a wall 42, and at the same time, toward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structure 21. The composi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inside the mixing space S1 can be maintained more uniformly by introducing the introduced electrolyte solution F1+F2 into the first electrolyte solution F1 and the second electrolyte solution F2, respectively. Through this, the purity and surface of the electrolytic metal electrodeposited on the electrolytic cathode 26 can be uniformly form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However, other embodiments can be easily proposed by means of changes, deletions, additions, etc., but these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전해정련 장치 20 전해정련 셀
21 함체 22 제 3 연통홀
23 제 4 연통홀 25 전해양극
26 전해음극 27 함체
30 격벽 31 제 1 격벽
32 제 1 격벽의 상부면 33 제 1 연통홀
34 제 2 격벽 35 제 2 연통홀
36 제 5 연통홀 40 전해액 침전조
41 유입 통로 42 벽체
43 유출 통로 50 전해액 저장조
60 필터 70 펌프
F1 제 1 전해액 F2 제 2 전해액
P 불순물
10 electrorefining unit 20 electrorefining cell
21 enclosure 22 third communication hole
23 4th communication hole 25 Electrolytic anode
26 Electrolytic cathode 27 Housing
30 bulkhead 31 first bulkhead
32 Upper surface of the first bulkhead 33 First communication hole
34 2nd bulkhead 35 2nd communication hole
36 Fifth communication hole 40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41 inlet passage 42 wall
43 outflow passage 50 electrolyte reservoir
60 filter 70 pump
F1 1st electrolyte solution F2 2nd electrolyte solution
P impurity

Claims (4)

전해액을 저장하는 전해정련 셀;
상기 전해정련 셀로부터 공급된 전해액으로부터 소정의 비중 이상의 비중을 갖는 불순물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전해액 침전조;
상기 불순물이 침전된 전해액 침전조로부터 오버플로우된 1차 전해액을 저장하는 전해액 저장조;
상기 전해액 저장조로부터 상기 전해 정련 셀로 유입되는 1차 전해액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및
상기 전해정련 셀로부터 전해액을 상기 전해액 침전조 및 전해액 저장조를 거처 다시 상기 전해정련 셀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전해정련 셀은,
제 1 전해액 및 제 2 전해액이 유입되어 혼합되는 혼합 공간을 구비한 함체;
상기 함체 내부 제 1 측면 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 1 전해액이 공급되는 제1 공간을 상기 혼합 공간과 구획하고,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상기 혼합공간으로 상기 제 1 전해액이 유동하는 제 1 연통홀을 구비한 제 1 격벽;
상기 함체 내부의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제 2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 공간과 구획되는 제 1 배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1 전해액과 상기 제 2 전해액이 혼합된 제 3 전해액 중 일부가 유입되는 제 2 연통홀을 구비한 제 2 격벽;
상기 함체의 제 1 측면 또는 제 2 측면에 대하여 직각인 제 3 측면 측에 설치되되, 상기 혼합 공간으로 상기 제 2 전해액을 유입시키는 제 3 연통홀이 형성된 유입부: 및
상기 함체의 제 3 측면에 대향하는 제 4 측면 측에 설치되되, 상기 혼합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1 전해액과 상기 제 2 전해액이 혼합된 제 3 전해액 중 나머지 일부가 유출되는 제 4 연통홀이 형성된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해액은 제 1 격벽으로부터 혼합 공간으로 공급되어 제 2 전해액과 혼합된 다음 제 2 격벽을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제 2 전해액은 상기 유입부를 통하여 혼합 공간으로 공급되어 제 1 전해액과 혼합된 다음 상기 유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전해 정련 장치.
an electrolytic refining cell that stores an electrolyte solution;
an electrolyte solution settling tank for precipitating and removing impurities having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pecific gravity from the electrolyte solution supplied from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an electrolyte storage tank for storing a primary electrolyte solution overflowed from the electrolyte solution precipitation tank in which the impurities are precipitated;
A filter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the primary electrolyte flowing into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from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and
A pump for circulating the electrolyte from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through the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and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and back to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The electrolytic refining cell,
An enclosure having a mixing space in which the first electrolyte and the second electrolyte are introduced and mixed;
A first communication hole installed on a first side surface of the enclosure, partitioning a first space supplied with the first electrolyte solution from the mixing space, and allowing the first electrolyte to flow from the first space to the mixing space. a first barrier rib provided;
It is installed on a second side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ide surface inside the enclosure to form a first discharge space partitioned from the mixing space, and in a third electrolyte solution in which the first electrolyte solution and the second electrolyte solution are mixed from the mixing space. a second barrier rib having a second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a part of the wall is introduced;
An inlet portion installed on a third side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first side surface or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enclosure and having a third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electrolyte is introduced into the mixing space; and
An outlet portion installed on a side of a fourth side surface opposite to the third side surface of the enclosure and having a fourth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the remaining part of the third electrolyte solution in which the first electrolyte solution and the second electrolyte solution are mixed flows out from the mixing space. include,
The first electrolyte solution is supplied from the first partition wall to the mixing space, mixed with the second electrolyte solution,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partition wall. The second electrolyte solution is supplied to the mixing space through the inlet and mixed with the first electrolyte solution.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the electrolytic refin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테프론 필터인, 전해 정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lytic refining apparatus, wherein the filter is a Teflon fil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침전조 및 상기 전해액 저장조는 상기 전해액 침전조로부터 오버 플로우된 전해액이 상기 전해액 저장조로 바로 저장되도록 연결되어 배치되는 전해 정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lytic refining apparatus of claim 1 , wherein the electrolyte settling tank and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electrolyte overflowed from the electrolyte settling tank is directly stored in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침전조는 상기 전해액 침전조 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된 둘 이상의 벽체를 구비하며, 상기 전해액은 상기 둘 이상의 벽체로 오버 플로우되어 순차적으로 불순물이 제거되는 전해 정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lytic refining apparatus of claim 1 , wherein the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has two or more wall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side the electrolyte precipitation tank, and the electrolyte overflows into the two or more walls to sequentially remove impurities.
KR1020200186028A 2020-12-29 2020-12-29 Electrorefining apparatus KR1025126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028A KR102512626B1 (en) 2020-12-29 2020-12-29 Electrorefi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028A KR102512626B1 (en) 2020-12-29 2020-12-29 Electrorefin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329A KR20220095329A (en) 2022-07-07
KR102512626B1 true KR102512626B1 (en) 2023-03-23

Family

ID=8239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028A KR102512626B1 (en) 2020-12-29 2020-12-29 Electrorefin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62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4474A (en) * 1998-10-30 2000-05-26 Dowa Mining Co Ltd Method for electrolytic refining gallium and device therefor
JP2013071040A (en) * 2011-09-27 2013-04-22 Fujifilm Corp Liquid imparting apparatus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KR101570795B1 (en) * 2014-12-23 2015-11-23 인천화학 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of pure nickel from fluorine containing nickel slime
KR101587204B1 (en) * 2014-09-17 2016-01-20 김광영 Eco-friendly copper powder recovery device using the ammonium chloride and method of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770B1 (en) 2013-11-29 2015-09-1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ocess for electrorefining of magnesium by non-aqueous electrolysi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4474A (en) * 1998-10-30 2000-05-26 Dowa Mining Co Ltd Method for electrolytic refining gallium and device therefor
JP2013071040A (en) * 2011-09-27 2013-04-22 Fujifilm Corp Liquid imparting apparatus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KR101587204B1 (en) * 2014-09-17 2016-01-20 김광영 Eco-friendly copper powder recovery device using the ammonium chloride and method of the same
KR101570795B1 (en) * 2014-12-23 2015-11-23 인천화학 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of pure nickel from fluorine containing nickel sl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329A (en)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86254A (en) Divided electrochemical cell with electrode of circulating particles
US7585398B2 (en) Chambers,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chemically processing microfeature workpieces
US3977951A (en) Electrolytic cells and process for treating dilute waste solutions
JP2015030919A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ph in nickel electroplating baths
JP2014510842A5 (en)
CA1140495A (en) Apparatus for the electrolytic recovery of metal
US689980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regul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metal ions in an electrolyte and use thereof
EP2479316A1 (en) Electrolytic bath for recovering valuable metals, with increased contact specific surface area
JP2014118578A5 (en)
CN104093889B (en) Sn alloys electrolytic plating method and Sn alloy electrolytic plating apparatus
JP6065706B2 (en) Electrolytic purification method of metal, electrolytic purification equipment
KR102512626B1 (en) Electrorefining apparatus
KR102512627B1 (en) Electrorefining cell structure
EP1481114A4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electrochemical processing of microelectronic workpieces
US4379031A (en) Evaporation driven counterflow rinse system and method
CN100406619C (en) Electrolytic recycling device
JP7275629B2 (en) Method for producing sulfuric acid solution
KR101133372B1 (en) Plating device and plating method
WO2020204003A1 (en) Electrolysis apparatus and electrolysis method
EP3647469A1 (en) Electroforming system and method
JP7188239B2 (en) Method for producing electrolytic cell and acid solution
JP2001515142A (en) Separation member for separating the bottom of the tank from other parts of the tank
JP4342522B2 (en) Method for homogenizing electrolyte concentration and electrolytic cell
US20240060202A1 (en) Optimized method and device for insoluble anode acid sulfate copper electroplating process
CN219861639U (en) Electroplating system with increased metal ion concent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