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101B1 - 도킹방식 국 보온 배식카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킹방식 국 보온 배식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101B1
KR102512101B1 KR1020220118733A KR20220118733A KR102512101B1 KR 102512101 B1 KR102512101 B1 KR 102512101B1 KR 1020220118733 A KR1020220118733 A KR 1020220118733A KR 20220118733 A KR20220118733 A KR 20220118733A KR 102512101 B1 KR102512101 B1 KR 102512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pot
heat source
station
s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국환
Original Assignee
(주) 아시안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시안룩스 filed Critical (주) 아시안룩스
Priority to KR1020220118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4Carriers for prepared human f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47J39/02Dish-warmers; Devices to keep food h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킹방식 국 보온 배식카 시스템은 국솥이 형성되는 카트; 및 상기 카트가 도킹되어 국솥을 보온하기 위한 열원이 제공되는 스테이션;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국솥이 형성되는 카트와 열원이 제공되는 스테이션을 분리 제작함으로써, 국을 보관하거나 세척 등 잦은 물 사용을 필요로 하는 카트는 전기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국솥만을 형성하여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전기히터 등의 열원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등의 전기부품들은 물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스테이션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국솥 세척 등의 물 사용 및 관리가 편리하고, 스테이션의 전기부품 고장으로 인한 수리 도중에도 카트의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도킹방식 국 보온 배식카 시스템{DOCKING TYPE SOUP CART SYSTEM}
본 발명은 조리된 국을 담아 배식장소 이동하여 배식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국 배식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국솥이 형성되는 카트가 열원이 제공되는 스테이션에 도킹되어 국솥이 보온되도록 하는 도킹방식 국 보온 배식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병원, 군시설, 호텔 등과 같이 대량급식을 하는 식당에서는 상당한 시간 동안 음식물을 공급하여야 하며, 특히 한국과 같이 주식이 쌀인 경우에는 밥과 함께 거의 필수적으로 국이 제공된다. 그러나 한꺼번에 많은 양을 조리해서 끓이는 것은 가능하지만, 조리가 끝난 후에는 바로 식기 시작하고, 계속 가열을 하여 끓은 상태를 유지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너무 농도가 높아져서 짜게 되는 등 급식에 있어서 상당한 주의를 요하는 부식의 하나이다.
따라서 식당에서 배식을 하는 경우에도, 국은 주로 조리실에서 조리하여 이를 배식이 이루어지는 식당으로 옮겨가서 그곳에서 배식을 하게 되는데, 운반 또는 배식 동안에 국이 식지 않도록 보온 및 히팅이 가능하게 구성된 이동식 국 배식대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이동식 국 배식대는 다중 이용식당에서 조리된 국을 담아 배식장소 이동하여 배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부에 국을 담을 수 있게 구비한 국 수용부와, 상기 국 수용부를 감싸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이동할 수 있게 구비한 바퀴와, 국 수용부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한 뚜껑으로 구성된 것이다.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75521호에는 "이동식 국 배식대"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의 "이동식 국 배식대"는 국을 수용하기 위한 국 수용부가 상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세척수나 국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밸브를 구비하여 바닥에 구비되는 내부체 및 단열재 또는 단열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내부체를 감싸면서 결합되고 저면에는 이동용 바퀴들이 구비된 외부체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국 수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국 수용부의 입구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뚜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내부체의 저면에 배치되는 부품들과 간섭되지 않고 상기 국 수용부에 수용된 국이나 세척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밸브의 손잡이가 상기 외부체의 외측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국 수용부의 바닥 중심에서 어느 한쪽 벽 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거나 어느 한쪽 벽에 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가 위치한 방향의 상기 외부체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구가 위치한 상기 내부체의 저면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내부체의 저면 중앙영역을 격리시켜 상기 손잡이를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격리판이 마련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이동식 국 배식대"는 내부체와 외부체 사이 또는 내부체의 저면에 상기 국 수용부에 수용된 국을 보온하거나 냉장하기 위한 가열장치 또는 냉각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체에는 상기 가열장치 또는 냉각장치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이 마련되는 것으로서, 물기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단체급식에 사용되는 이동식 국 배식대는 사용 전, 후에 필히 물로 세척해서 위생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는데, 세척과정에서 물기가 스며들어 전자기기의 고장 원인이 되거나 감전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물기 사용이 조심스러울 뿐만 아니라 전기부품의 고장으로 인한 수리기간동안에는 국 배식대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이는 국 배식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되어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7552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국솥이 형성되는 카트가 열원이 제공되는 스테이션에 도킹되어 국솥이 보온되도록 하는 도킹방식 국 보온 배식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국솥이 형성되는 카트; 및 상기 카트가 도킹되어 국솥을 보온하기 위한 열원이 제공되는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는, 외측벽이 폐쇄되고 상측이 개방된 수직방향 통로 형상의 일체형 국솥을 형성하고, 상기 국솥의 바닥부와 평행한 위치의 외측벽 일부를 개구시켜 국솥의 바닥에 접촉하도록 열원이 진입되는 열원 진입부를 형성하는 카트본체; 상기 카트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카트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캐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션은, "ㄷ"자 형상의 측벽으로 이루어진 카트 수용부를 형성하고, 개방된 일측 방향에서 카트가 카트 수용부 내로 진입하여 도킹되는 스테이션 본체; 상기 카트 수용부 내의 국솥의 바닥부와 평행한 위치에 선반 형태로 형성되어 국솥의 하부를 가열하도록 된 열원; 및 상기 카트 수용부의 내벽에 형성되어 카트의 도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락킹장치;를 포함하는 도킹방식 국 보온 배식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트는, 열원 진입부 경로 상에 설치되어 열원의 하부를 간섭하여 열원이 자중에 의해 쳐지지 않고 상측으로 들리도록 작용하는 밀착용 가이드를 더 형성하여 열원이 국솥 바닥에 밀착되도록 하되, 상기 밀착용 가이드는, 열원을 접촉하여 열원의 진행경로를 가이드하는 접촉가드; 상기 접촉가드의 하부를 탄력 지지하는 탄력지지수단; 및 상기 탄력지지수단 및 접촉가드를 설치하는 브라켓가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상기 락킹장치는, 카트 본체의 접촉시 눌려져서 진퇴 작동되어 락킹상태를 온/오프시키는 버튼; 상기 버튼의 진퇴 작동에 연동되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 작동하는 잠금링크; 및 상기 버튼을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링크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양측 단부에 버튼에 접촉되는 가압단부와 상기 가압단부의 회동에 의한 반작용으로 힌지부 반대측에서의 회동 작동으로 카트 본체를 락킹시키는 걸림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카트 수용부의 마주하는 양측 내벽에 냄새 및 열기를 배출하기 위한 후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트 수용부의 마주하는 양측 내벽에 카트 본체의 양측 외벽을 접촉하여 진입을 가이드하고 아울러 진입 후 카트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측면가드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국솥이 형성되는 카트와 열원이 제공되는 스테이션을 분리 제작함으로써, 국을 보관하거나 세척 등 잦은 물 사용을 필요로 하는 카트는 전기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국솥만을 형성하여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전기히터 등의 열원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등의 전기부품들은 물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스테이션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국솥 세척 등의 물 사용 및 관리가 편리하고, 스테이션의 전기부품 고장으로 인한 수리 도중에도 카트의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여러 대의 카트를 공용으로 사용하거나 서로 다른 크기의 국솥을 갖는 카트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방식 국 보온 배식카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를 스테이션에 도킹하는 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솥 하부에 열원이 도킹되는 예를 순착적으로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에 측면가드를 형성하여 카트를 도킹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방식 국 보온 배식카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를 스테이션에 도킹하는 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솥 하부에 열원이 도킹되는 예를 순착적으로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킹방식 국 보온 배식카 시스템은, 국솥(111)이 형성되는 카트(100) 및, 상기 카트(100)가 도킹되어 국솥(111)을 보온하기 위한 열원(220)이 제공되는 스테이션(2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테이션(200)은 이동 설치가 가능한 것으로서, 조리실에서 떨어진 배식장소 예컨대, 식당과 같이 필요한 장소로 이동하여 설치 사용할 수 있다.
조리실에서 조리된 국은 카트(100)의 국솥(111)으로 옮겨 담아진 후 배식이 이루어지는 식당으로 이동하게 된다. 카트(100)는 이동 후에 식당에 비치된 스테이션(200)에 도킹되어 대기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스테이션(200)에는 열원(220)이 구비되어 있어, 국솥(111) 하부를 저온 가열시켜 내부에 수용된 국이 운반 또는 배식 도중에 식는 것을 방지하여 적정 온도로 보온 유지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 카트(100)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카트(100)의 구성을 크게 구분하면, 카트 본체(110), 손잡이(120), 캐스터(130)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트 본체(110)는 외측벽이 폐쇄되고 상측이 개방된 수직방향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일체형 국솥(11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국솥(111)은 카트 본체(110)의 내통을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국솥(1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내통을 형성할 수 있지만, 원통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국솥(111)과 카트 본체(110)는 내통과 외통으로 이루어지는 이중용기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국솥(111) 내부의 열이 카트 본체(110)로 직접 열전도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국솥(111)과 카트 본체(110) 사이에는 단열재(미도시)가 더 충진되도록 함으로써, 국솥(111)의 보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국솥(111)은 뚜껑(미도시)을 덮어서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뚜껑은 국솥(111)의 형태에 따라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맞춤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뚜껑은 단열재가 충진된 형태의 뚜껑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국솥(111)의 바닥은 카트 본체(110)의 바닥까지 형성되지 않고,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 상승된 위치까지만 형성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국솥(111)바닥과 카트 본체(110)의 바닥 사이에는 일정높이의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으로 스테이션(200)의 열원(220)이 진입하여 국솥(111)의 바닥을 가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카트 본체(110)는 국솥(111)의 바닥부와 평행한 위치의 외측벽 일부를 개구시켜 스테이션(200) 측의 열원(220)이 진입되는 열원 진입부(112)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카트 본체(110)의 일측에는 손잡이(120)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20)는 카트(100)를 밀거나 끌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카트 본체(110)의 하부에는 구름 운동되는 복수의 캐스터(13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캐스터(130)는 작업자가 밀거나 끄는 방향으로 방향이 선회되는 방향성 캐스터일 수 있다.
이하, 상기 스테이션(2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스테이션(200)의 구성을 크게 구분하면, 스테이션 본체(210), 열원(220), 락킹장치(2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테이션 본체(210)는 "ㄷ"자 형상의 측벽으로 이루어진 카트 수용부(211)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카트 수용부(211)는 개방된 일측 방향에서 카트(100)가 카트 수용부(211) 내로 진입하여 도킹이 이루어진다.
이때, 도킹(DOCKING)이라 함은 상기 카트(100)와 스테이션 본체(210) 사이가 기구적,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의미하며, 도킹된 카트(100)는 스테이션(200) 측에 마련된 열원(220)을 이용해서 국솥(111)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열원(220)은 카트 수용부(211) 내에 설치되어서 국솥(111)의 바닥을 가열하는 구성을 제공하는데, 이때, 상기 열원(220)은 국솥(111)의 바닥부와 평행한 위치에 형성되고, 외형적으로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선반의 형태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한 바와 같은 열원(220)으로는 전기를 이용한 가열장치가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인덕션, 히터, 열풍기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원(220)은 국솥(111)의 하부를 가열하는 것으로서, 열전도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솥(111) 바닥에 열원(220)이 최대한 밀착되도록 해야하는데 이를 위해서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트(100) 측에 별도의 밀착용 가이드(140)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온 중에는 카트(100)와 스테이션(200) 사이의 도킹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테이션(200) 측에 별도의 락킹장치(240)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락킹장치(240)의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카트 수용부(211)의 카트가 진입하는 방향 전면 내벽에 카트(100)의 도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락킹장치(240)가 형성된다.
상기 락킹장치(240)는 전면 내벽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카트(100)의 양측 모서리부를 락킹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락킹장치(240)의 구성은 크게 버튼(241), 잠금링크(242), 탄성부재(24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241)은 도 2내지 도 3의 확대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트 본체(110)의 접촉시 눌려져서 진퇴 작동되어 락킹상태를 온/오프시키는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튼(241)은 진퇴 작동에 의해 잠금링크(242)를 연동시키게 된다.
상기 잠금링크(242)는 힌지부(242a)를 중심으로 양측 단부에 각각 가압단부(242b)와 걸림단부(242c)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가압단부(242b)는 버튼(241)에 접촉되어 진퇴방향으로 간섭되어 힌지부(242a)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상기 가압단부(242b)와 연결된 걸림단부(242c)는 가압단부(242b)의 회동에 의한 반작용으로 힌지부(242a) 반대측에서의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단부(242c)는 카트 본체(110)의 모서리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회동방향으로 절곡된 갈고리 형상의 단부가 카트 본체(110)로 삽입되어 락킹시키게 된다.
이때, 락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카트(100)를 진입방향으로 힘을 가해 밀게 되면, 카트 본체(110)가 버튼(241)을 재차 밀게 되고, 버튼(241)은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전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241)은 탄성부재(243)의 탄력으로 튀어나오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43)의 반력으로 버튼(241)이 튀어나오면서 카트 본체(110)를 밀어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락킹장치(240)는 일 예시적 형태를 설명한 것으로서, 이와 유사한 작동과 목적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락킹장치(240)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카트 수용부(211)의 마주하는 양측 내벽에 냄새 및 열기를 배출하기 위한 후드부(26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드부(260)는 카트 수용부(211) 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이를 외부로 배기하는 것으로서, 흡 배기용 팬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드부(260)에는 공기정화를 위한 필터장치(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후드부(260)는 흡입부를 복수로 설치할 수 있는데, 국에서 나는 냄새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팬은 카트 수용부(211)의 상부 위치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고, 열원(22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팬은 카트 수용부(211)의 하부 위치의 열원(220)의 인근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솥 하부에 열원이 도킹되는 예를 순착적으로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트(100)에는 열원 진입부(112) 경로 상에 밀착용 가이드(1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밀착용 가이드(140)는 열원(220)의 하부를 간섭하여 열원(220)이 자중에 의해 쳐지지 않고 상측으로 들리도록 작용하여 열원(220)이 국솥(111) 바닥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밀착용 가이드(140)는 열원(220)이 진입하는 열원 진입부(112)의 경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진입부 경로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도록 하거나, 진입부 경로의 끝단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4내지 도 5는 진입부 경로의 끝단에 밀착용 가이드(140)를 형성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밀착용 가이드(140)는 크게 접촉가드(141), 탄력지지수단(142), 브라켓가드(143)를 형성할 수 있다.
먼저, 열원(220)을 접촉하여 열원(220)의 진행경로를 가이드하는 접촉가드(141)가 개시된다.
상기 접촉가드(141)는 카트 본체(110) 측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열원(220)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벌어진 "L"자 형태의 판체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가드(141)의 타단부를 일정폭 하부로 절곡시켜 열원(220)의 단부가 걸리지 않고 진입되도록 진입유도날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가드(141) 고유의 탄성에 의해 열원(220) 바닥을 밀어올려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가드(141)의 하부에는 탄력지지수단(142)이 설치되어 접촉가드(141)를 상부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탄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설치되는 탄력지지수단(142)은 접촉가드(141)의 물성이 변형되더라도 지속적인 가압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력지지수단(142) 및 접촉가드(141)는 브라켓가드(143)에 의해 어셈블리 형태로 조립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가드(143)는 카트 본체(110) 측에 직접 결합되거나, 국솥(111) 바닥 측에 결합되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에 측면가드를 형성하여 카트를 도킹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카트 수용부(211)의 마주하는 양측 내벽에 카트 본체(110)의 양측 외벽을 접촉하여 진입을 가이드하는 측면가드(25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가드(250)는 카트 수용부(211)의 내벽에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카트 본체(110)의 외벽과 스테이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진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측면가드(25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바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가드(250)에는 롤러를 설치하여 카트(100)의 진입충격을 감소시키거나 정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가드(250)는 진입 후의 국을 배식하는 과정에서 카트(10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정숙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측면가드(250)를 레일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측면가드에 대응하는 레일홈이 카트 본체(110)의 외벽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호 레일 결합에 의한 도킹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레일결합구조를 통해서 열원(220)이 국솥(111) 바닥에 밀착되는 경로가 가이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스테이션(200)에는 별도의 제어부(230)를 형성하여 보온 작동을 온/오프 하거나 온도를 설정하는 등의 전기적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30)는 작업자의 사용이 편리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일예로서 카트 수용부(211)의 진입측 측벽 상단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밀착용 가이드(140) 또는 락킹장치(240), 측면가드(250)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이용해 열원(220)의 작동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로 이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밀착용 가이드(140) 또는 락킹장치(240), 측면가드(250)는 스테이션(200)과 카트(100)가 물리적으로 결합하거나 분리되는 구성부로서, 결합시점 및 분리시점을 이용해 전기적 온/오프 스위치 작동이 연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스테이션(200) 측에 카트(100)가 도킹되는 순간 자동적으로 열원(220)이 켜지고, 카트(100)가 분리되는 순간 열원(220)이 오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카트(100)의 분리중에도 열원(220)이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국솥이 형성되는 카트와 열원이 제공되는 스테이션을 분리 제작함으로써, 국을 보관하거나 세척 등 잦은 물 사용을 필요로 하는 카트는 전기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국솥만을 형성하여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히터 등의 열원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등의 전기부품들은 물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스테이션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국솥 세척 등의 물 사용 및 관리가 편리하고, 스테이션의 전기부품 고장으로 인한 수리 도중에도 카트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여러 대의 카트를 공용으로 사용하거나 서로 다른 크기의 국솥을 갖는 카트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카트 110: 카트 본체
111: 국솥 112: 열원 진입부
120: 손잡이 130: 캐스터
140: 밀착용 가이드 141: 접촉가드
142: 탄력지지수단 143: 브라켓가드
200: 스테이션 210: 스테이션 본체
211: 카트 수용부 212: 다리받침
220: 열원 230: 제어부
240: 락킹장치 241: 버튼
242: 잠금링크 242a: 힌지부
242b: 가압단부 242c: 걸림단부
243: 탄성부재 250: 측면가드
260: 후드부

Claims (5)

  1. 삭제
  2. 국솥이 형성되는 카트; 및 상기 카트가 도킹되어 국솥을 보온하기 위한 열원이 제공되는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는, 외측벽이 폐쇄되고 상측이 개방된 수직방향 통로 형상의 일체형 국솥을 형성하고, 상기 국솥의 바닥부와 평행한 위치의 외측벽 일부를 개구시켜 국솥의 바닥에 접촉하도록 열원이 진입되는 열원 진입부를 형성하는 카트본체; 상기 카트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카트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캐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션은, "ㄷ"자 형상의 측벽으로 이루어진 카트 수용부를 형성하고, 개방된 일측 방향에서 카트가 카트 수용부 내로 진입하여 도킹되는 스테이션 본체; 상기 카트 수용부 내의 국솥의 바닥부와 평행한 위치에 선반 형태로 형성되어 국솥의 하부를 가열하도록 된 열원; 및 상기 카트 수용부의 내벽에 형성되어 카트의 도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락킹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카트는, 열원 진입부 경로 상에 설치되어 열원의 하부를 간섭하여 열원이 자중에 의해 쳐지지 않고 상측으로 들리도록 작용하는 밀착용 가이드를 더 형성하여 열원이 국솥 바닥에 밀착되도록 하되, 상기 밀착용 가이드는, 열원을 접촉하여 열원의 진행경로를 가이드하는 접촉가드; 상기 접촉가드의 하부를 탄력 지지하는 탄력지지수단; 및 상기 탄력지지수단 및 접촉가드를 설치하는 브라켓가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방식 국 보온 배식카 시스템.
  3. 국솥이 형성되는 카트; 및 상기 카트가 도킹되어 국솥을 보온하기 위한 열원이 제공되는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는, 외측벽이 폐쇄되고 상측이 개방된 수직방향 통로 형상의 일체형 국솥을 형성하고, 상기 국솥의 바닥부와 평행한 위치의 외측벽 일부를 개구시켜 국솥의 바닥에 접촉하도록 열원이 진입되는 열원 진입부를 형성하는 카트본체; 상기 카트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카트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캐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션은, "ㄷ"자 형상의 측벽으로 이루어진 카트 수용부를 형성하고, 개방된 일측 방향에서 카트가 카트 수용부 내로 진입하여 도킹되는 스테이션 본체; 상기 카트 수용부 내의 국솥의 바닥부와 평행한 위치에 선반 형태로 형성되어 국솥의 하부를 가열하도록 된 열원; 및 상기 카트 수용부의 내벽에 형성되어 카트의 도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락킹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락킹장치는, 카트 본체의 접촉시 눌려져서 진퇴 작동되어 락킹상태를 온/오프시키는 버튼;
    상기 버튼의 진퇴 작동에 연동되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 작동하는 잠금링크; 및
    상기 버튼을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링크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양측 단부에 버튼에 접촉되는 가압단부와 상기 가압단부의 회동에 의한 반작용으로 힌지부 반대측에서의 회동 작동으로 카트 본체를 락킹시키는 걸림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방식 국 보온 배식카 시스템.
  4. 국솥이 형성되는 카트; 및 상기 카트가 도킹되어 국솥을 보온하기 위한 열원이 제공되는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는, 외측벽이 폐쇄되고 상측이 개방된 수직방향 통로 형상의 일체형 국솥을 형성하고, 상기 국솥의 바닥부와 평행한 위치의 외측벽 일부를 개구시켜 국솥의 바닥에 접촉하도록 열원이 진입되는 열원 진입부를 형성하는 카트본체; 상기 카트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카트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캐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션은, "ㄷ"자 형상의 측벽으로 이루어진 카트 수용부를 형성하고, 개방된 일측 방향에서 카트가 카트 수용부 내로 진입하여 도킹되는 스테이션 본체; 상기 카트 수용부 내의 국솥의 바닥부와 평행한 위치에 선반 형태로 형성되어 국솥의 하부를 가열하도록 된 열원; 및 상기 카트 수용부의 내벽에 형성되어 카트의 도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락킹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카트 수용부의 마주하는 양측 내벽에 냄새 및 열기를 배출하기 위한 후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방식 국 보온 배식카 시스템.
  5. 국솥이 형성되는 카트; 및 상기 카트가 도킹되어 국솥을 보온하기 위한 열원이 제공되는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는, 외측벽이 폐쇄되고 상측이 개방된 수직방향 통로 형상의 일체형 국솥을 형성하고, 상기 국솥의 바닥부와 평행한 위치의 외측벽 일부를 개구시켜 국솥의 바닥에 접촉하도록 열원이 진입되는 열원 진입부를 형성하는 카트본체; 상기 카트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카트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캐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션은, "ㄷ"자 형상의 측벽으로 이루어진 카트 수용부를 형성하고, 개방된 일측 방향에서 카트가 카트 수용부 내로 진입하여 도킹되는 스테이션 본체; 상기 카트 수용부 내의 국솥의 바닥부와 평행한 위치에 선반 형태로 형성되어 국솥의 하부를 가열하도록 된 열원; 및 상기 카트 수용부의 내벽에 형성되어 카트의 도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락킹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카트 수용부의 마주하는 양측 내벽에 카트 본체의 양측 외벽을 접촉하여 진입을 가이드하고 아울러 진입 후 카트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측면가드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방식 국 보온 배식카 시스템.
KR1020220118733A 2022-09-20 2022-09-20 도킹방식 국 보온 배식카 시스템 KR102512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733A KR102512101B1 (ko) 2022-09-20 2022-09-20 도킹방식 국 보온 배식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733A KR102512101B1 (ko) 2022-09-20 2022-09-20 도킹방식 국 보온 배식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101B1 true KR102512101B1 (ko) 2023-03-20

Family

ID=85796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733A KR102512101B1 (ko) 2022-09-20 2022-09-20 도킹방식 국 보온 배식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1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211A (ko) * 1999-03-18 2002-01-10 존 알. 노리스 재열중성화/냉각 음식 분배 시스템
KR20120005777U (ko) * 2011-02-07 2012-08-17 박대우 배식대
KR20140070913A (ko) * 2012-11-30 2014-06-1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전동식 캐리어 이송대차
KR102075521B1 (ko) 2018-01-12 2020-02-10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이동식 국 배식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211A (ko) * 1999-03-18 2002-01-10 존 알. 노리스 재열중성화/냉각 음식 분배 시스템
KR20120005777U (ko) * 2011-02-07 2012-08-17 박대우 배식대
KR20140070913A (ko) * 2012-11-30 2014-06-1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전동식 캐리어 이송대차
KR102075521B1 (ko) 2018-01-12 2020-02-10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이동식 국 배식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2438A (en) Food service apparatus and process
CA2759917C (en) Home appliance with improved rack system
US20080173185A1 (en) Toaster with mini cooker
US2290572A (en) Stove utility drawer
KR101553198B1 (ko) 슬라이드 로스터
US9574778B2 (en) Oven with door having a convex shaped surface
WO1989004132A1 (en) Semiautomatic frying machine and air filter apparatus therefor
CN214595581U (zh) 能定位在支撑表面上的烹饪系统
KR102512101B1 (ko) 도킹방식 국 보온 배식카 시스템
KR101998519B1 (ko)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JP2020533105A (ja) 浄水機能を有する多機能食品調理器
US2850613A (en) Domestic appliance
CN215190852U (zh) 一种流动厨房装置
CN112869546A (zh) 烹饪器具和烹饪器具的控制方法
WO2022265785A1 (en) Multifunction toaster oven
US20040079353A1 (en) Roaster with cover
KR101019226B1 (ko) 전기양면쿠커
US20180146810A1 (en) Cooking machine
EP2392863A1 (en) Kitchen appliance
KR101642921B1 (ko) 업소용 대형 솥
JP6395545B2 (ja) 加熱調理器及びシステムキッチン
JPS6142442Y2 (ko)
JP7523283B2 (ja) 調理容器及び加熱調理器
JPS60256729A (ja) 複合レンジ
KR20190086211A (ko) 이동식 국 배식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