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211A - 이동식 국 배식대 - Google Patents

이동식 국 배식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211A
KR20190086211A KR1020180004457A KR20180004457A KR20190086211A KR 20190086211 A KR20190086211 A KR 20190086211A KR 1020180004457 A KR1020180004457 A KR 1020180004457A KR 20180004457 A KR20180004457 A KR 20180004457A KR 20190086211 A KR20190086211 A KR 20190086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receiving portion
station
station receiving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5521B1 (ko
Inventor
이향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Priority to KR1020180004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521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4Carriers for prepared human foo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the thermal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83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이동식 국 배식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국 배식대는, 국을 수용하기 위한 국 수용부가 상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세척수나 국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밸브를 구비하여 바닥에 구비되는 내부체 및 단열재 또는 단열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내부체를 감싸면서 결합되고 저면에는 이동용 바퀴들이 구비된 외부체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국 수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국 수용부의 입구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뚜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내부체의 저면에 배치되는 부품들과 간섭되지 않고 상기 국 수용부에 수용된 국이나 세척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밸브의 손잡이가 상기 외부체의 외측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국 수용부의 바닥 중심에서 어느 한쪽 벽 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거나 어느 한쪽 벽에 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가 위치한 방향의 상기 외부체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구가 위치한 상기 내부체의 저면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내부체의 저면 중앙 영역을 격리시켜 상기 손잡이를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격리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국 보관부의 바닥에 배출구가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고, 밸브 손잡이가 외부체의 외측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됨으로써 밸브 조작을 위한 구조체가 삭제되어 구조체에 의한 기타 부품들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국 수용부에 수용된 국이나 세척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밸브 손잡이가 외측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됨으로써 작업자와의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동식 국 배식대{ROVINGNESS TYPE SOUP CART}
본 발명은 이동식 국 배식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 보관부의 부분 개폐가 가능하고, 국자의 거치가 용이하며, 잔여 국물 배출용 밸브를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부품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고장율을 낮출 수 있는 이동식 국 배식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병원, 군시설, 호텔 등과 같이 대량급식을 하는 식당에서는 상당한 시간동안 음식물을 공급하여야 하며, 특히 한국과 같이 주식이 쌀인 경우에는 밥과 함께 거의 필수적으로 국이 제공된다. 그러나 한꺼번에 많은 양을 조리해서 끓이는 것은 가능하지만, 조리가 끝난 후에는 바로 식기 시작하고, 계속 가열을 하여 끓은 상태를 유지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너무 농도가 높아져서 짜게 되는 등 급식에 있어서 상당한 주의를 요하는 부식의 하나이다.
따라서 식당에서 배식을 하는 경우에도, 국은 주로 조리실에서 조리하여 이를 배식이 이루어지는 식당으로 옮겨가서 그곳에서 배식을 하게 되는데, 운반 또는 배식 동안에 국이 식지 않도록 보온 및 히팅이 가능하게 구성된 이동식 국 배식대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이동식 국 배식대는 다중 이용식당에서 조리된 국을 담아 배식장소 이동하여 배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부에 국을 담을 수 있게 구비한 국 수용부와, 상기 국 수용부를 감싸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이동할 수 있게 구비한 바퀴와, 국 수용부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한 뚜껑으로 구성된 것이다.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1705호(공고일 : 2006.11.24)에는 급식용 국 운반 서비스카가 개시되어 있다. 급식용 국 운반 서비스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복수개의 바퀴가 설치되어 이루는 이동수단(2)을 가지며 외부몸체(3)가 원통체로 형성된 운반카(1)와, 운반카(1)의 내측 중앙에 일체로 고정되며 상부가 개방된 대형 용기형의 국솥(4)과, 운반카(1) 상부의 국솥(4) 외측에 링형상으로 설치되며 다수의 국그릇(8)을 수용하는 재치대(7)를 가진 선반(9)과, 국솥(4)의 하부에 설치되어 국이 식지 않도록 일정한 온도로 가열시키는 히팅장치(10)와, 국솥(4)의 하부에 설치한 배수구(11)의 밸브(12)를 개폐하는 레버장치(13)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급식용 국 운반 서비스카는, 국솥에 담긴 국을 전기적 히팅장치로 가열하여 국이 식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방에서 조리된 국을 필요한 장소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급식용 국 운반 서비스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배수구가 내부 솥의 저면 중앙에 설치되고, 배수구에 결합되는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레버장치가 외부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자와의 간섭으로 레버장치가 오작동하여 국물이 배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배수구가 국솥의 중앙에 위치함으로써 잔여 국물의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배수구와 밸브가 외부몸체의 저면에 위치함으로써, 국솥을 가열 또는 냉각시키기 위한 가열장치 및 냉각장치의 배선들과 간섭이 발생하여 잦은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레버장치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레버로드와 전선 들이 간섭되면서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넷째, 국솥을 덮는 뚜껑을 분할하여 개폐할 수 없음으로써 불필요한 개방으로 인한 이물질 유입이 발생하였고, 보온 및 냉장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는 국자를 보관할 수 없는 구조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국자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그릇을 준비하거나, 국자를 국솥에 넣은 상태에서 뚜껑을 닫음으로써 보온 또는 냉장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1705호(공고일 : 2006.11.24)
본 발명의 목적은, 국 보관부의 부분 개폐가 가능하고, 뚜껑을 덮은 상태에서 국자의 거치가 용이하며, 잔여 국물 배출용 밸브를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부품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고장율을 낮출 수 있는 이동식 국 배식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국을 수용하기 위한 국 수용부가 상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세척수나 국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밸브를 구비하여 바닥에 구비되는 내부체 및 단열재 또는 단열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내부체를 감싸면서 결합되고 저면에는 이동용 바퀴들이 구비된 외부체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국 수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국 수용부의 입구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뚜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내부체의 저면에 배치되는 부품들과 간섭되지 않고 상기 국 수용부에 수용된 국이나 세척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밸브의 손잡이가 상기 외부체의 외측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국 수용부의 바닥 중심에서 어느 한쪽 벽 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거나 어느 한쪽 벽에 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가 위치한 방향의 상기 외부체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구가 위치한 상기 내부체의 저면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내부체의 저면 중앙 영역을 격리시켜 상기 손잡이를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격리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국 배식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국 수용부의 바닥은, 상기 국 수용부에 수용된 국 또는 세척수가 상기 배출구로 모이도록 상기 배출구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의 하부에는, 상기 밸브를 통하여 배출되는 세척수나 국을 상기 배출구와는 반대 방향의 상기 내부체의 저면 중앙 영역 쪽 수평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엘보관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뚜껑부재는, 상기 국 수용부의 상부를 부분 개폐할 수 있도록 제1 뚜껑과 제2 뚜껑으로 분할되어 경첩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뚜껑 또는 제2 뚜껑의 한쪽에는 상기 제1 뚜껑 및 제2 뚜껑을 펼쳐 상기 국 수용부를 닫은 상태에서 국자의 손잡이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걸리도록 하기 위한 국자 걸림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국 수용부의 입구 각 변 가장자리에는, 상기 국 수용부의 내측 방향으로 단이진 안착단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재의 저면에 맺힌 물방울이 상기 국 수용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뚜껑부재의 저면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단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단은, 상기 뚜껑부재로부터 흘러내린 물방울을 상기 국 수용부로 유도하도록 상기 국 수용부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국 수용부의 입구에 형성된 상기 안착단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뚜껑 및 제2 뚜껑이 펼쳐진 상태의 상기 뚜껑부재는, 상기 안착단을 기준으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상기 안착단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뚜껑과 제2 뚜껑의 길이방향 각 측면에는, 상기 제1 뚜껑과 상기 제2 뚜껑을 상기 경첩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동시켜 상기 국 수용부를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국자 걸림공은, 상기 국 수용부에 위치한 상기 국자의 위치 변경없이 상기 제1 뚜껑 또는 제2 뚜껑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뚜껑 또는 제2 뚜껑의 가장자리 수직단과 수평단에 연이어 형성되어 외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내부체와 외부체 사이 또는 상기 내부체의 저면에는, 상기 국 수용부에 수용된 국을 보온하거나 냉장하기 위한 가열장치 또는 냉각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체에는 상기 가열장치 또는 냉각장치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국 보관부의 바닥에 배출구가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고, 밸브 손잡이가 외부체의 외측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됨으로써 밸브 조작을 위한 구조체가 삭제되어 구조체에 의한 기타 부품들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국 수용부에 수용된 국이나 세척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밸브의 손잡이가 외측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됨으로써 작업자와의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뚜껑부재가 안착단에 안착되므로 뚜껑부재의 저면에 맺힌 물방울이 국 수용부로만 흐르도록 함으로써 결로로 인한 몸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뚜껑부재로 국 수용부를 닫은 상태에서 국자를 뚜껑부재에 보관할 수 있는 국자 걸이공이 뚜껑부재에 구비됨으로써, 음식 조리 위치에서 배식위치로 국 배식대를 이동시킬 때 또는 배식이 시작되기 전에 국자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도구가 불필요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이동식 국 배식대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국 배식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식 국 배식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동식 국 배식대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동식 국 배식대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이동식 국 배식대의 국자 걸이공에 국자를 걸어 보관하는 상태를 표현한 단면도이다.
도 7의 (a), (b), (c)는 도 2에 도시된 이동식 국 배식대에 뚜껑부재를 이용하여 몸체의 국 수용부를 개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국 배식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식 국 배식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동식 국 배식대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동식 국 배식대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이동식 국 배식대의 국자 걸이공에 국자를 걸어 보관하는 상태를 표현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국 배식대는, 국을 수용하기 위한 국 수용부(122)가 상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세척수나 국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4)가 밸브(126)를 구비하여 바닥에 구비되는 내부체(120) 및 단열재 또는 단열공간을 사이에 두고 내부체(120)를 감싸면서 결합되고 저면에는 이동용 바퀴(142)들이 구비된 외부체(140)로 이루어진 몸체(100)와, 국 수용부(122)를 개폐하도록 국 수용부(122)의 입구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뚜껑부재(200)를 포함한다.
내부체(120)는, 상향으로 개방된 구조의 국 수용부(122)를 형성하는 것으로, 바닥에는 배출구(124)가 형성된다. 이 배출구(124)는 배식 후 남은 국이나 세척시 발생하는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배출구(124)는, 내부체(120)의 저면에 배치되는 부품들과 간섭되지 않고 국 수용부(122)에 수용된 국이나 세척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밸브(126)의 손잡이(127)가 외부체(140)의 외측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국 수용부(122)의 바닥 중심에서 어느 한쪽 벽(121) 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거나 어느 한쪽 벽(121)에 접하여 형성된다. 즉, 배출구(124)는, 종래기술과 같이 국 수용부(122)의 바닥의 중심에 형성되지 않고, 어느 한쪽 벽(121)에 접하거나 벽(121) 쪽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배출구(124)는 내부체(120)의 저면 가장자리 영역(122B)에 형성되는 것이다. 즉, 배출구(124)는 내부체(120)의 저면 중앙 영역(122C)에서 벗어난 저면 가장자리 영역(122B)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출구(124)를 저면 가장자리 영역(122B)에 형성하는 것은, 배출구(124)가 저면 중앙 영역(122C)에 형성될 경우에 밸브(126)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개폐작동 구성품이 내부체(120)의 저면에 설치되어야 함으로써 발생되는 타 부품과의 간섭에 의한 고장 등을 방지하기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구(124)가 저면 가장자리 영역(122B)에 설치됨으로써 밸브(126)를 원거리에서 개폐 조작하기 위한 개폐작동 구성품이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배출구(124)를 저면 가장자리 영역(122B)에 형성할 때, 배출구(124)의 하단에 결합되는 밸브(126)의 손잡이(127)가 외부체(140)의 외측면(144)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즉, 손잡이(127)가 외부체(140)의 외측면(144)보다 더 돌출되는 경우에, 배식 작업자가 국 배식대를 옮기거나 배식을 하는 등의 행위를 할 때 간섭되어 오동작할 수 있으므로, 밸브(126)의 중심과 손잡이(127) 외측면과의 거리를 감안하여, 손잡이(127)가 격리판(148)에 의해 형성된 밸브 공간에 위치하도록 배출구(124)의 형성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밸브(126)의 중심과 손잡이(127) 외측면과의 거리가 10cm인 경우에, 외부체(140)의 외측면(144)와 배출구(124) 중심간의 거리가 11 - 15cm가 되도록 배출구(124)를 저면 가장자리 영역(122B)에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출구(124)는, 국 수용부(122)의 바닥(122A)에 형성되는 배출공을 직하방으로 가압하면서 내부체(120)의 저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배출공에 중공관을 결합한 후 이 중공관에 밸브(126)를 결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국 수용부(122)의 바닥(122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 수용부(122)에 수용된 국 또는 세척수가 배출구(124)로 모여 배출되도록 배출구(124) 쪽으로 소정각도(a2)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바닥(122A)이 배출구(124)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잔여 국물이나 세척수의 배출이 이용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바닥(122A)이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배출구(124)가 형성되지 않은 방향 쪽의 이동용 바퀴(142)의 높이를 높이는 등의 작업을 통하여 국물이나 세척수가 배출구(124) 쪽으로 모이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배출구(124)가 저면 가장자리 영역(122B)에 형성되므로 몸체(100)를 배출구(124) 쪽으로 기울어지게 들어 올림으로써 바닥(122A)에 고인 국물이나 세척수의 배출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내부체(120)의 국 수용부(122) 입구는 가로 가장자리와 세로 가장자리의 길이가 같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국 수용부(122)의 입구 각 변 가장자리에는, 국 수용부(122)의 내측 방향으로 단이진 안착단(122D)이 형성된다. 이 안착단(122D)에는, 뚜껑부재(200)의 저면 가장자리, 즉 제1 뚜껑(210)과 제2 뚜껑(220)의 각 가장자리에 형성된 수직단(211)이 안착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이 뚜껑부재(200)의 수직단(211)이 안착단(122D)에 안착되면, 뚜껑부재(200)의 저면에 맺힌 물방울이 외부로 흐르지 않고 국 수용부(122)로 유입된다.
이때, 안착단(122D)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재(200)의 저면에 맺쳐 흘러내린 물방울을 국 수용부(122)로 유도하도록 국 수용부(122)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각도(a1)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안착단(122D)이 국 수용부(122)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뚜껑부재(200)로부터 흘러내린 물방울이 안착단(122D)에 머무르지 않고 국 수용부(122)로 유입되므로 안착단(122D)의 오염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배출구(124)에는 손잡이(127)를 구비한 밸브(126)가 결합된다. 밸브(126)는 내부체(120)의 저면으로 돌출된 배출구(124)의 단부에 결합되어 손잡이(127)의 조작에 의해 배출구(124)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밸브(126)를 통하여 배출되는 세척수나 국을 저면 중앙 영역(122C) 쪽 수평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엘보관(300)이 결합된다. 이 엘보관(300)은, 밸브(126)를 통하여 배출되는 국물이나 세척수가 수직으로 배출됨으로써 배출되는 국물이나 세척수가 사방으로 퍼져 조리실 전체를 오염시키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이 엘보관(300)에 의해 밸브(126)를 통하여 배출되는 국물이나 세척수가 일방향, 즉 배출구(124)가 형성되지 않은 내부체(120)의 저면 중앙 영역(122C) 쪽으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고, 따라서 잔여 국물이나 세척수는 작업자가 의도한 방향 또는 작업자가 지정한 장소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엘보관(300)은 밸브(126)에 체결되어 결합되므로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엘보관(30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외부체(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도시되지 않음) 또는 단열공간을 사이에 두고 내부체(120)를 감싸면서 결합된다. 이와 같은 외부체(140)가 내부체(120)와 결합됨으로써 몸체(100)가 완성된다. 그리고 내부체(120)의 저면 공간은 외부체(140)에 의해 외부과 격리된다. 따라서 내부체(120)의 저면에 도시되지 않은 가열장치나 냉각장치 등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장치가 냉각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 외부체(140)에는 가열장치나 냉각장치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이 마련된 수 있다. 그리고, 냉각장치나 가열장치는 내부체(120)와 외부체(14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배출구(124)가 위치한 방향의 외부체(140)의 하부에는, 배출구(124)가 위치한 내부체(120)의 저면 가장자리 영역(120A)과 내부체(120)의 저면 중앙 영역(122C)을 격리시켜 손잡이(127)를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격리판(148)이 마련된다.
이 격리판(148)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24)의 하부와 밸브(126) 및 손잡이(127)는 외부로 노출시키고 내부체(120)의 저면 공간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밸브(126)의 조작과 기타 부품의 간섭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내부체(120)의 저면에는 이 격리판(148)에 의해 밸브(126)가 위치하는 밸브 공간과 기타 부품들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으로 구분되므로, 밸브(126)만 외부로 노출되고,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각종 장치 및 부품들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뚜껑부재(200)는, 국 수용부(122)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국 수용부(122)의 상부를 부분 개폐할 수 있도록 제1 뚜껑(210)과 제2 뚜껑(220)으로 분할되어 경첩(또는 회전축)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제1 뚜껑(210) 또는 제2 뚜껑(220)는 수평단(213)의 사방 가장자리를 수직으로 각각 절곡하여 가장자리에 수직단(211)을 형성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1 뚜껑(210) 또는 제2 뚜껑(220)의 한쪽에는 제1 뚜껑(210) 및 제2 뚜껑(220)을 펼쳐 국 수용부(122)를 닫은 상태에서 국자(400)의 손잡이(41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걸리도록 하기 위한 국자 걸림공(212)이 형성된다.
국자 걸림공(212)은, 국 수용부(122)에 위치한 국자(400)의 위치 변경없이 제1 뚜껑(210) 또는 제2 뚜껑(220)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제1 뚜껑(210) 또는 제2 뚜껑(220)의 가장자리 수직단(211)과 수평단(213)에 연이어 형성되어 외측으로 개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뚜껑(210)에 국자 걸림공(212)이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국자 걸림공(212)이 수직단(211)과 수평단(213)에 외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국자 걸림공(212)에 국자(400)가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뚜껑(210) 또는 제2 뚜껑(220)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즉, 국자 걸림공(212)에 국자(400)의 손잡이(410)가 걸린 상태에서, 손잡이(410)를 국자 걸림공(212)의 입구 쪽에 위치시킨 후 제1 뚜껑(210)을 경첩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국자(400)의 손잡이(410)가 국자 걸림공(212)을 통하여 회피되므로 제1 뚜껑(210)의 열림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물론, 이와는 반대로 제1 뚜껑(210)을 닫을 때에도 손잡이(410)가 국자 걸림공(212)의 입구에 위치하도록 한 후 제1 뚜껑(210)을 하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손잡이(410)와 제1 뚜껑(210)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국자 걸림공(212)의 한쪽이 개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국자(400)와의 간섭없이 제1 뚜껑(210)의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1 뚜껑(210)과 제2 뚜껑(220)의 길이방향 각 측면에는, 제1 뚜껑(210)과 제2 뚜껑(220)을 경첩(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동시켜 국 수용부(122)를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216,226)가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뚜껑부재(200)의 제1 뚜껑(210)에 구비된 손잡이(216) 또는 제2 뚜껑(220)에 구비된 손잡이(226)를 이용하여 국 수용부(122)의 일부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뚜껑(210) 및 제2 뚜껑(220)이 펼쳐진 상태의 뚜껑부재(200)는, 안착단(122D)을 기준으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안착단(122D)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펼쳐진 상태의 뚜껑부재(200)는 가로 및 세로 길이가 같도록 형성되어 국 수용부(122)의 입구와 같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뚜껑부재(200)의 크기는 수직단(211)이 안착단(122D)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면, 안착단(122D)의 폭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펼쳐진 상태의 뚜껑부재(200) 크기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안착단(122D)과 뚜껑부재(200)가 정사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뚜껑부재(200)를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손잡이를 기준으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방향을 바꿔서 안착단(122D)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배식자(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뚜껑부재(200)를 이용하여 국 수용부(122)를 부분 개폐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뚜껑부재(200)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뚜껑(210) 또는 제2 뚜껑(220)을 접은 후 안착단(122D)에서 들어올려 몸체(100)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뚜껑부재(200)를 몸체(100)로부터 분리하면 국 수용부(122)를 완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뚜껑부재(200)가 분할 구성됨으로써, 국 수용부(122)를 부분 개폐하거나 전부 개폐가 가능하게 되고, 뚜껑부재(200)가 안착단(122D)에 안착됨으로써, 음식물에 의해 뚜껑부재(200)의 저면에 맺힌 물방울이 몸체(100)의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고 국 수용부(122)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국 수용부(122)의 바닥(122A) 한쪽에 배출구(124)가 형성됨으로써, 잔여 국물이나 세척수의 배출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밸브(126)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개폐작동 구성품이 불필요하게 되고, 따라서 개폐작동 구성품과 기타 부품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고장율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밸브(126)의 하부에 엘보관(300)가 구비됨으로써, 배출구(124)로 배출되는 국물이나 세척수를 수평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서 수직으로 배출되는 국물 등에 의해 작업자의 발이 젖는 등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밸브(126)의 손잡이(127)가 외부체(140)의 외측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됨으로써 작업자와의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몸체 120 : 내부체
122 : 국 수용부 124 : 배출구
126 : 밸브 140 : 외부체
200 : 뚜껑부재 210 : 제1 뚜껑
212 : 국자 걸림공 220 : 제2 뚜껑
300 : 엘보관

Claims (10)

  1. 국을 수용하기 위한 국 수용부가 상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세척수나 국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밸브를 구비하여 바닥에 구비되는 내부체 및 단열재 또는 단열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내부체를 감싸면서 결합되고 저면에는 이동용 바퀴들이 구비된 외부체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국 수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국 수용부의 입구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뚜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내부체의 저면에 배치되는 부품들과 간섭되지 않고 상기 국 수용부에 수용된 국이나 세척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밸브의 손잡이가 상기 외부체의 외측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국 수용부의 바닥 중심에서 어느 한쪽 벽 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거나 어느 한쪽 벽에 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가 위치한 방향의 상기 외부체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구가 위치한 상기 내부체의 저면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내부체의 저면 중앙 영역을 격리시켜 상기 손잡이를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격리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국 배식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 수용부의 바닥은,
    상기 국 수용부에 수용된 국 또는 세척수가 상기 배출구로 모이도록 상기 배출구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국 배식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하부에는,
    상기 밸브를 통하여 배출되는 세척수나 국을 상기 배출구와는 반대 방향의 상기 내부체의 저면 중앙 영역 쪽 수평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엘보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국 배식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는,
    상기 국 수용부의 상부를 부분 개폐할 수 있도록 제1 뚜껑과 제2 뚜껑으로 분할되어 경첩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뚜껑 또는 제2 뚜껑의 한쪽에는 상기 제1 뚜껑 및 제2 뚜껑을 펼쳐 상기 국 수용부를 닫은 상태에서 국자의 손잡이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걸리도록 하기 위한 국자 걸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국 배식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국 수용부의 입구 각 변 가장자리에는,
    상기 국 수용부의 내측 방향으로 단이진 안착단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재의 저면에 맺힌 물방울이 상기 국 수용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뚜껑부재의 저면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단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국 배식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단은,
    상기 뚜껑부재로부터 흘러내린 물방울을 상기 국 수용부로 유도하도록 상기 국 수용부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국 배식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국 수용부의 입구에 형성된 상기 안착단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뚜껑 및 제2 뚜껑이 펼쳐진 상태의 상기 뚜껑부재는, 상기 안착단을 기준으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상기 안착단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국 배식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뚜껑과 제2 뚜껑의 길이방향 각 측면에는,
    상기 제1 뚜껑과 상기 제2 뚜껑을 상기 경첩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동시켜 상기 국 수용부를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국 배식대.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국자 걸림공은,
    상기 제1 뚜껑 또는 제2 뚜껑의 가장자리 수직단과 수평단에 연이어 형성되어 외측으로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국 배식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체와 외부체 사이 또는 상기 내부체의 저면에는,
    상기 국 수용부에 수용된 국을 보온하거나 냉장하기 위한 가열장치 또는 냉각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체에는 상기 가열장치 또는 냉각장치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국 배식대.

KR1020180004457A 2018-01-12 2018-01-12 이동식 국 배식대 KR102075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457A KR102075521B1 (ko) 2018-01-12 2018-01-12 이동식 국 배식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457A KR102075521B1 (ko) 2018-01-12 2018-01-12 이동식 국 배식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211A true KR20190086211A (ko) 2019-07-22
KR102075521B1 KR102075521B1 (ko) 2020-02-10

Family

ID=6746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457A KR102075521B1 (ko) 2018-01-12 2018-01-12 이동식 국 배식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5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101B1 (ko) 2022-09-20 2023-03-20 (주) 아시안룩스 도킹방식 국 보온 배식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737U (ja) * 1991-11-27 1993-06-22 三洋電機株式会社 液体貯溜装置
KR200385125Y1 (ko) * 2005-02-28 2005-05-24 씨제이 푸드 시스템 주식회사 국운반차
KR200431705Y1 (ko) 2006-08-09 2006-11-24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급식용 국 운반 서비스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737U (ja) * 1991-11-27 1993-06-22 三洋電機株式会社 液体貯溜装置
KR200385125Y1 (ko) * 2005-02-28 2005-05-24 씨제이 푸드 시스템 주식회사 국운반차
KR200431705Y1 (ko) 2006-08-09 2006-11-24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급식용 국 운반 서비스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521B1 (ko) 202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0829B2 (ja) 液体加熱用のベッセルおよび電気製品
KR102643769B1 (ko) 노즐 외부 세정을 가진 음료 브루잉 장치
US10470609B2 (en) Steaming accessory comprising a receptacle for collecting condensates designed to rest on a mixing bowl of a household appliance
US6571686B1 (en) Brew basket with overflow channel
US20080028944A1 (en) Multiple beverage brewer
US6619507B2 (en) Beverage dispenser with drip tray assembly and method
US5964143A (en) Brewing appliance having a tower with a water reservoir and brewing basket and an adjacently positioned pitcher receptacle
US20190110636A1 (en) Multiple compartment decanter for brewer having a rinsing system and versatile pivot
KR20190086211A (ko) 이동식 국 배식대
KR20170095476A (ko) 음료의 출렁임 방지를 위한 컵 뚜껑
US3354810A (en) Simplified coffeemaking machine
US4245680A (en) Food service beverage dispenser
US8616121B1 (en) Cooktop drain
US4749107A (en) Beverage reservoir with overflow passageway in the handle
US4458829A (en) Small beverage dispenser for commercial use
US20080101155A1 (en) Spindle mixer with interlock assembly
JP2007183869A (ja) 飲料ディスペンサの制御装置
JP2004008469A (ja) 全自動炊飯方法とその全自動炊飯装置
KR101867860B1 (ko) 자동 취사장치
US6884452B1 (en) Method of serving freshly brewed beverage from a dispenser
US11752224B2 (en) Refrigerator appliance and sanitizer assembly
KR102512101B1 (ko) 도킹방식 국 보온 배식카 시스템
JP3796739B2 (ja) 給茶装置
CN220308903U (zh) 一种便于装卸的中央厨房蒸煮设备
JP3473551B2 (ja) 電気炊飯器の蒸気排出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