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921B1 - 업소용 대형 솥 - Google Patents

업소용 대형 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921B1
KR101642921B1 KR1020150039137A KR20150039137A KR101642921B1 KR 101642921 B1 KR101642921 B1 KR 101642921B1 KR 1020150039137 A KR1020150039137 A KR 1020150039137A KR 20150039137 A KR20150039137 A KR 20150039137A KR 101642921 B1 KR101642921 B1 KR 101642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cooker
discharge
li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석
Original Assignee
범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범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9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4Pouring-spouts, e.g. as parts separate from ves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된 국물과 건더기 등의 내용물을 배식용 국통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원하는 분량만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내용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끓고 있는 내용물이 배식용 국통의 바깥쪽으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사용 후 솥을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세척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업소용 대형 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10)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어 경첩(21)으로 연결된 한쌍의 뚜껑(20)으로 개폐되는 솥(30), 상기 뚜껑(20)을 회전개폐하도록 일단은 컨트롤박스(40)에 힌지(51)로 연결되고 타단은 뚜껑(20)에 고정된 뚜껑개폐대(50), 상기 솥(30)을 가열하는 가열부(60)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솥(3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공(31); 상기 배출공(31)을 개폐시키도록 솥(30)에 설치되어 핸들(71)과 배출부(72)를 구비하는 개폐밸브(70); 상기 개폐밸브(70)의 배출부(72)에 원터치 커플링(C)으로 회전 및 착탈가능하게 수평으로 연결되는 연결부(81)를 구비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국배출관(80); 상기 솥(3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솥(3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한쌍의 실린더(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업소용 대형 솥{Large sized soup cooker}
본 발명은 국이나 찌개, 튀김 등의 조리에 사용되는 업소용 대형 솥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조리된 국물과 건더기 등의 내용물을 배식용 국통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원하는 분량만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내용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끓고 있는 내용물이 배식용 국통의 바깥쪽으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사용 후 솥을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세척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업소용 대형 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업소용 대형 국솥은 한 번에 대량의 국이나 찌개, 튀김 등을 조리할 수 있도록 대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업소용 대형 국솥은 학교, 군부대, 공장, 회사, 식당 등 다수의 인원에 대한 급식을 준비해야하는 곳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식당 및 단체 급식소에서는 많은 량의 찌개나 국을 조리하는데 별도의 용량이 큰 국솥을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국솥은 통상 양측의 지지대 사이로 핸들에 의하여 국솥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는 뚜껑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핸들과 국솥의 사이에는 웜 및 웜휠이 개재된 국솥 고정장치가 결합되어 국이나 찌개를 끓일 때에는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국이나 찌개를 끓인 후에는 국솥을 기울여 그 내부에 남아있는 건더기 및 국물 등의 내용물을 배식용 국통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회전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식 국솥은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29044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41712호, 등록특허 제10-0822754호 등에 다양하게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회전식 국솥은 핸들에 결합된 웜 및 국솥에 결합된 웜휠에 의하여 국솥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어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되나, 웜 및 웜휠의 특성상 순간적으로 백래시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국솥의 회전 및 멈춤시 정확한 동작이 따라오지 못함으로써, 국솥이 흔들리면서 국물이나 건더기 등의 내용물이 배식용 국통의 외부로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회전식 국솥은 내용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끓고 있는 내용물이 회전하는 국솥에서 한꺼번에 많은 분량이 순식간에 배출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내용물이 배식용 국통의 바깥쪽으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어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회전식 국솥은 사용 후 솥을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세척 및 관리할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등록실용신안 제20-0429044호(등록일자 : 2006.10.11) 특허문헌 2 : 등록실용신안 제20-0341712호(등록일자 : 2004.02.02) 특허문헌 3 : 등록특허 제10-0822754호 (등록일자 : 2008,04.10)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조리된 국물과 건더기 등의 내용물을 배식용 국통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원하는 분량만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업소용 대형 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용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끓고 있는 내용물이 배식용 국통의 바깥쪽으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업소용 대형 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 후 솥을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세척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업소용 대형 솥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어 경첩으로 연결된 한쌍의 뚜껑으로 개폐되는 솥, 상기 뚜껑을 회전개폐하도록 일단은 컨트롤박스에 힌지로 연결되고 타단은 뚜껑에 고정된 뚜껑개폐대, 상기 솥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솥의 하부 일측에 배출공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공을 개폐시키도록 솥에 핸들과 배출부가 구비된 개폐밸브를 설치하며, 상기 개폐밸브의 배출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국배출관의 연결부를 원터치 커플링으로 회전 및 착탈가능하게 수평으로 연결하고, 상기 솥의 양측에 솥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한쌍의 실린더를 각각 연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국배출관의 하부에는 고정돌기를 돌출시키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돌기고정홈이 구비된 회전방지구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솥을 가열하는 가열부는 가스버너 또는 인덕션코일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국배출관의 상부에는 배출량을 조절하는 조절캡을 나사결합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국배출관의 일측과 조절캡의 타측에는 서로 대응하는 배출공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업소용 대형 솥에 따르면, 솥의 하부에 국배출관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조리된 국물과 건더기 등의 내용물을 배식용 국통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원하는 분량만큼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국배출관을 배식용 국통의 상부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때문에, 내용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끓고 있는 내용물이 배식용 국통의 바깥쪽으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솥 청소에 사용된 세척수 및 세척시 발생한 찌꺼기 등을 국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후 솥을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세척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솥과 국배출관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의 배출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부의 인덕션코일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캡을 보인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업소용 대형 솥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어 경첩(21)으로 연결된 한쌍의 뚜껑(20)으로 개폐되는 솥(30), 상기 뚜껑(20)을 회전개폐하도록 일단은 컨트롤박스(40)에 힌지(51)로 연결되고 타단은 뚜껑(20)에 고정된 뚜껑개폐대(50), 상기 솥(30)을 가열하는 가열부(60)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솥(3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공(31); 상기 배출공(31)을 개폐시키도록 솥(30)에 설치되어 핸들(71)과 배출부(72)를 구비하는 개폐밸브(70); 상기 개폐밸브(70)의 배출부(72)에 원터치 커플링(C)으로 회전 및 착탈가능하게 수평으로 연결되는 연결부(81)를 구비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국배출관(80); 상기 솥(3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솥(3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한쌍의 실린더(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업소용 대형 솥은 한 번에 대량의 국이나 찌개, 튀김 등을 조리할 수 있도록 대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업소용 대형 솥은 프레임(10), 뚜껑(20), 솥(30), 컨트롤박스(40), 뚜껑개폐대(50), 가열부(60), 개폐밸브(70), 국배출관(80), 실린더(9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업소용 대형 국솥은 학교, 군부대, 공장, 회사, 식당 등 다수의 인원에 대한 급식을 준비하는 곳에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식당의 바닥에 지지되는 것으로, 이러한 프레임(10)은 컨트롤박스(40)와 실린더(90) 등의 부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은 적정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뚜껑(20)은 솥(30)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뚜껑(20)은 양측으로 등분된 한쌍으로 이루어져 경첩(21)을 통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뚜껑(20)은 수증기를 상하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중앙부가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만곡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뚜껑(20)에는 개폐용 손잡이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뚜껑(20)은 뚜껑개폐대(50)를 통해 이중으로 접히면서 전체가 열릴 수도 있고, 상기 경첩(21)을 중심으로 반만 열 수도 있다.
상기 솥(30)은 프레임(10)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솥(30)은 양측 한쌍의 실린더(90)를 통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솥(30)의 하부 일측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배출공(31)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31)은 도 3에서와 같이 솥(3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배출공(31)은 솥(30)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솥(30)의 하부에는 배출공(31)을 개폐시키는 개폐밸브(70)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박스(40)는 프레임(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컨트롤박스(40)는 가열부(60)와 실린더(90) 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컨트롤박스(40)는 뚜껑개폐대(5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뚜껑개폐대(50)는 뚜껑(20)을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뚜껑개폐대(50)는 뚜껑(20)을 회전개폐하도록 뚜껑개폐대(50)의 일단은 컨트롤박스(40)의 상부에 힌지(51)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뚜껑개폐대(50)의 타단은 뚜껑(20)의 일측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 가열부(60)는 솥(30)을 가열하는 것으로, 이러한 가열부(60)는 도 2에서와 같이 가스버너(61) 또는 도 5에서와 같이 인덕션코일(6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열부(60)가 도 2에서와 같이 가스버너(61)로 이루어지는 경우 가스버너(61)는 솥(3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부(60)가 도 5에서와 같이 인덕션코일(62)로 형성되는 경우 인덕션코일(62)은 솥(30)의 외면에 부착된다.
한편, 상기 인덕션코일(62)은 유도가열방식으로 동작되는 원리로서, 예컨대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가열하고자 하는 금속에 와전류가 발생하고 금속의 저항에 의해 발생된 줄열이 온도를 높이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인덕션코일(62)을 사용할 경우 솥(30)은 재질이 금속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히터의 열을 단시간에 최대로 흡수하여 열전달을 높이도록 인덕션코일(62)과 접하며 자성을 띠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스틸 판재와, 그 사이에 개재된 알루미늄 강판이 3중 합지된 구조로 솥(30)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인덕션코일(62)은 열전도가 빨라 시간을 단축하고, 불꽃열이 없어 안전하고 덮지 않은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산소를 연소하지 않으므로 청정한 공기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70)는 배출공(31)을 개폐시키도록 솥(3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개폐밸브(70)에는 핸들(71)과 배출부(7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개폐밸브(70)는 솥(30)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개폐밸브(70)의 배출부(72)에는 국배출관(80)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국배출관(80)은 개폐밸브(70)의 배출부(7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평상시와 조리시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국배출관(80)의 하부에는 개폐밸브(70)의 배출부(72)에 원터치 커플링(C)으로 회전 및 착탈가능하게 수평으로 연결되는 연결부(81)가 수평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때, 국 등의 조리시 상기 국배출관(80)을 수직으로 세우면 솥(30)의 내용물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한편 조리 후 상기 솥(30)을 상부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국배출관(80)을 앞으로 회전시키면 솥(30)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밸브(70)의 배출부(72)와 국배출관(80)의 연결부(81)는 원터치 커플링(C)으로 회전 및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청소 등의 필요에 따라 배출부(72)와 연결부(81)를 원터치 커플링(C)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90)는 솥(3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한쌍의 실린더(90)는 솥(30)의 내용물을 배식용 국통(300)으로 배출시킬 때 솥(30)을 배식용 국통(300)의 높이 만큼 상부로 상승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솥(30)의 양측에는 한쌍의 브래킷(30a)이 구비되고, 상기 양측 한쌍의 실린더(90)는 프레임(10)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상기 양측 한쌍의 실린더(90)의 로드(91)는 양측 한쌍의 브래킷(30a)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핀(P)으로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국배출관(80)의 하부에는 고정돌기(82)가 돌출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는 고정돌기(82)가 끼워지는 돌기고정홈(110)이 구비된 회전방지구(1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국배출관(80)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고정돌기(82)가 회전방지구(100)의 돌기고정홈(110)에 끼워지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방지구(100)에 의해 국배출관(80)은 임의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회전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국배출관(80)의 상부에는 배출량을 조절하는 조절캡(200)이 나사결합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국배출관(80)의 일측과 조절캡(200)의 타측에는 서로 대응하는 배출공(80a)(200a)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공(80a)과 배출공(200a)이 서로 통하지 않도록 조절캡(200)을 회전시키면 국배출관(80)의 배출공(80a)은 폐쇄되고, 상기 배출공(80a)과 배출공(200a)이 서로 통하도록 조절캡(200)을 회전시키면 국배출관(80)의 배출공(80a)은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공(200a)으로 배출공(80a)의 개방되는 출수구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절캡(200)으로 내용물의 배출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솥(30)에 내용물을 넣고 국이나 찌개 등을 조리할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양측 실린더(90)로 솥(30)을 하부로 하강시킨 상태에서 국배출관(80)을 수직으로 세우고, 개폐밸브(70)의 핸들(71)을 닫히는 방향으로 돌려 솥(30)의 배출공(31)을 차단하며, 국배출관(80)의 고정돌기(82)가 회전방지구(100)의 돌기고정홈(110)에 끼워지도록 회전을 방지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조리한다. 이때, 상기 뚜껑(20)은 열거나 또는 닫은 상태에서 조리할 수 있다.
다음, 조리가 완료된 후 솥(30)의 내용물을 배식용 국통(300)으로 배출시킬 경우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뚜껑개폐대(50)에 지지된 뚜껑(20)을 이중으로 접어서 회전시켜 완전히 열고, 이 상태에서 양측 실린더(90)로 솥(30)을 배식용 국통(300)의 높이 만큼 상부로 상승시킨다.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솥(30)을 상부로 상승시키면 국배출관(80)이 동시에 상부로 상승하고, 이에 의해 국배출관(80)의 고정돌기(82)는 회전방지구(100)의 돌기고정홈(110)에서 빠져나오기 때문에, 국배출관(80)은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린더(90)로 솥(30)을 상부로 상승시킨 후에는 도 4에서와 같이, 국배출관(80)을 앞으로 회전시켜 배식용 국통(3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개폐밸브(70)의 핸들(71)을 열리는 방향으로 돌려 배출공(31)을 개방시키면 솥(30)의 내용물은 배출부(72)를 통해 국배출관(80)으로 유입되고, 또한 이 상태에서 국배출관(80)을 통해 솥(30)의 내용물은 배식용 국통(300)의 내부로 안전하게 배출된다. 이때, 도 6에서와 같이 국배출관(80)의 상부에 조절캡(200)을 설치한 상태에서, 배출시 조절캡(200)을 이용하면 내용물의 배출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솥(30)의 하부에 국배출관(8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조리된 국물과 건더기 등의 내용물을 배식용 국통(300)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원하는 분량만큼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국배출관(80)을 배식용 국통(300)의 상부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때문에, 내용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끓고 있는 내용물이 배식용 국통(300)의 바깥쪽으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은 솥(30) 청소에 사용된 세척수 및 세척시 발생한 찌꺼기 등을 국배출관(8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또한 세척시 국배출관(80)을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후 솥(30)을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세척 및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프레임 20 : 뚜껑
21 : 경첩 30 : 솥
31 : 배출공 40 : 컨트롤박스
50 : 뚜껑개폐대 51 : 힌지
60 : 가열부 61 : 가스버너
62 : 인덕션코일 70 : 개폐밸브
71 : 핸들 72 : 배출부
80 : 국배출관 80a : 배출공
81 : 연결부 82 : 고정돌기
90 : 실린더 100 : 회전방지구
110 : 돌기고정홈 200 : 조절캡
200a : 배출공

Claims (4)

  1. 프레임(10)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어 경첩(21)으로 연결된 한쌍의 뚜껑(20)으로 개폐되는 솥(30), 상기 뚜껑(20)을 회전개폐하도록 일단은 컨트롤박스(40)에 힌지(51)로 연결되고 타단은 뚜껑(20)에 고정된 뚜껑개폐대(50), 상기 솥(30)을 가열하는 가스버너(61) 또는 인덕션코일(62)로 이루어지는 가열부(60), 상기 솥(30)에 형성되는 배출공(31), 상기 배출공(31)을 개폐시키는 개폐밸브(70), 상기 개폐밸브(70)에 연결되는 국배출관(80)을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31)은 솥(3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밸브(70)는 배출공(31)을 개폐시키도록 솥(30)에 설치되어 핸들(71)과 배출부(72)를 구비하며, 상기 국배출관(80)은 개폐밸브(70)의 배출부(72)에 원터치 커플링(C)으로 회전 및 착탈가능하게 수평으로 연결되는 연결부(81)를 구비하여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솥(30)의 양측에는 솥(3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한쌍의 실린더(90)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국배출관(80)의 하부에는 고정돌기(82)가 돌출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는 고정돌기(82)가 끼워지는 돌기고정홈(110)이 구비된 회전방지구(1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대형 솥.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국배출관(80)의 상부에는 배출량을 조절하는 조절캡(200)이 나사결합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국배출관(80)의 일측과 조절캡(200)의 타측에는 서로 대응하는 배출공(80a)(200a)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대형 솥.
KR1020150039137A 2015-03-20 2015-03-20 업소용 대형 솥 KR101642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137A KR101642921B1 (ko) 2015-03-20 2015-03-20 업소용 대형 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137A KR101642921B1 (ko) 2015-03-20 2015-03-20 업소용 대형 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921B1 true KR101642921B1 (ko) 2016-07-26

Family

ID=56681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137A KR101642921B1 (ko) 2015-03-20 2015-03-20 업소용 대형 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120B1 (ko) 2016-11-04 2018-06-25 정찬원 넘침방지용 조리기구 뚜껑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1622U (ko) * 1985-10-03 1987-04-16
JP2001287787A (ja) * 2000-04-05 2001-10-16 Nagata Jozo Kikai Kk 回動容器の気液管接続装置
KR200341712Y1 (ko) 2003-11-25 2004-02-14 주식회사 대성종합주방 국솥용 뚜껑
KR200379407Y1 (ko) * 2004-12-22 2005-03-17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주방용 대형 조리용기
KR200429044Y1 (ko) 2006-07-19 2006-10-17 주식회사 금호조리기 업소용 대형 국솥
KR100822754B1 (ko) 2006-12-29 2008-04-17 억조종합기계(주) 전동회전식 솥
KR20120052004A (ko) * 2010-11-15 2012-05-23 삼주이엔지 주식회사 전자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회전형 국솥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1622U (ko) * 1985-10-03 1987-04-16
JP2001287787A (ja) * 2000-04-05 2001-10-16 Nagata Jozo Kikai Kk 回動容器の気液管接続装置
KR200341712Y1 (ko) 2003-11-25 2004-02-14 주식회사 대성종합주방 국솥용 뚜껑
KR200379407Y1 (ko) * 2004-12-22 2005-03-17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주방용 대형 조리용기
KR200429044Y1 (ko) 2006-07-19 2006-10-17 주식회사 금호조리기 업소용 대형 국솥
KR100822754B1 (ko) 2006-12-29 2008-04-17 억조종합기계(주) 전동회전식 솥
KR20120052004A (ko) * 2010-11-15 2012-05-23 삼주이엔지 주식회사 전자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회전형 국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120B1 (ko) 2016-11-04 2018-06-25 정찬원 넘침방지용 조리기구 뚜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9509B2 (en) Outdoor cooking machine
US8122815B2 (en) Device for stirring and cooking food
KR101826787B1 (ko) 다용도 복합 조리기
US10274202B2 (en) Gas burner assembly for an appliance
CA2437449A1 (en) Cooking appliance having concealed cooking feature
KR20170085398A (ko) 인덕션 회전식 국솥
US8485091B2 (en) Cooking grill
KR200482959Y1 (ko) 화덕용 열기 및 바람 차단기구
KR101998519B1 (ko)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KR101642921B1 (ko) 업소용 대형 솥
US2024259A (en) Steam cooker and food warming device
US20130213242A1 (en) Infrared charcoal grill
US7997188B2 (en) Portable multipurpose cooking utensil
CN216702350U (zh) 一种新型多功能电烤箱
US20220304507A1 (en) Griddle
KR20150135162A (ko) 오븐의 기능이 구비된 장작구이기
CN209360443U (zh) 一种迷你烤箱
JPS6226032Y2 (ko)
CN206543039U (zh) 一种多功能餐桌
KR102425196B1 (ko) 사용이 편리한 인덕션 요리장치
CN213850186U (zh) 一种灯桶一体式烤炉
CN211355072U (zh) 一种新型的折叠式烤箱结构
KR102665619B1 (ko) 전기가열방식을 이용한 다기능 조리솥
KR101617886B1 (ko) 조리기기
CN207666431U (zh) 一种针对小家庭使用的新型多功能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