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616B1 - 산화마그네슘함유 성토재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산화마그네슘함유 산업부산물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산화마그네슘함유 성토재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산화마그네슘함유 산업부산물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616B1
KR102511616B1 KR1020210003552A KR20210003552A KR102511616B1 KR 102511616 B1 KR102511616 B1 KR 102511616B1 KR 1020210003552 A KR1020210003552 A KR 1020210003552A KR 20210003552 A KR20210003552 A KR 20210003552A KR 102511616 B1 KR102511616 B1 KR 102511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sium oxide
industrial
lignosulfonate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1477A (ko
Inventor
이창호
추현욱
이우진
윤보영
정재우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3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616B1/ko
Publication of KR20220101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6Sulfur-containing compounds
    • C04B24/18Lignin sulf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e.g. sulfite ly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부산물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철산업의 고온 공정 작업으로 인해 생기는 내화물을 폐기하기 위해 지반에 매립시, 내화물의 주요 화학 성분인 산화마그네슘(MgO)의 수화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팽창성 지반 즉 내화물이 매립된 지반이 부풀어 파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산화마그네슘함유 성토재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산화마그네슘함유 산업부산물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화마그네슘함유 성토재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산화마그네슘함유 산업부산물처리방법{Manufacturing method and composition for magnesium oxide containing fill material, and treatment method for magnesium oxide containing industrial by-product}
본 발명은 산업부산물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철산업의 고온 공정 작업으로 인해 생기는 내화물을 폐기하기 위해 지반에 매립시, 내화물의 주요 화학 성분인 산화마그네슘(MgO)의 수화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팽창성 지반 즉 내화물이 매립된 지반이 부풀어 파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산화마그네슘함유 성토재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산화마그네슘함유 산업부산물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철강부산물과 관련 전문가들의 토론 등을 통해 철강부산물의 규제를 풀어 환경개선과 자원절감을 위한 제도 개선을 추진한 바 있다. 철강 부산물은 대부분 철스크랩과 철강 슬래그가 차지하고 있고 이들 부산물은 폐기물로 분류돼 있다. 철강산업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자체가 폐기물로 분류돼 있기 때문에 폐기물 관련 규제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부산물은 철, 탄소 및 석회석 등의 폐기물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이들을 그대로 매립해 버리는 것은 자원 및 에너지의 낭비이다.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내화물은 내화 점토(46 %)와 마그네시아 기반 내화물(26 %)이다. 내화 점토는 다양한 응용 분야와 산업에서 사용되는 반면 마그네시아(MgO) 내화물은 철강 산업에서 매우 중요하다. 내화물 생산량은 연간 약 3,500 만 ~ 4 천만 톤이며 연간 변동은 주로 전체 수요의 최대 70 %를 차지하는 철강 산업에 의해 결정된다. 사용 단계에서 내화물의 30 ~ 40 wt. %가 소비되며, 매년 최대 2800 만 톤의 폐기되어 하는 사용된 내화물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상당한 양에도 불구하고 사용된 내화물의 재활용은 저비용의 천연 원료가 풍부하고 대체로 불활성인 재료의 낮은 폐기 비용으로 인해 과거에는 거의 관심을 받지 못했다.
지난 20 년 동안 사용된 내화물의 재활용은 환경적 고려로 인해 더 많은 관심을 받기 시작했으며 사용된 내화물의 매립비용이 증가하면서 마그네시아 크롬 벽돌이 대체체로 대체되었다. 마그네시아 크롬 벽돌의 마그네시아 분말은 또한 콘크리트 수축/크리프를 보상하고 시멘트를 부분적으로 대체하기 위한 첨가제, 토양 복원을 위한 중금속 안정제, 저항을 개선하기 위한 토양 첨가제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내화벽돌은 반복적인 용광로 작동 후 파손될 수 있으며, 노후된 벽돌은 교체해야하는데, 용광로에서 제거된 벽돌은 종종 매립지나 바다에 버려진다. 노후된 내화벽돌의 주요 성분중 하나인 산화마그네슘은 물에 노출되면 수산화마그네슘을 형성하는 수화물이 되는데, 이로 인해 부피팽창이 일어나며 지반의 파괴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철강산업의 부산물 중 산화마그네슘을 함유하는 폐기된 내화물을 폐기하는 과정에서 그 주요성분인 산화마그네슘의 팽창을 억제함으로써 산화마그네슘 함유 내화물의 폐기비용 절감은 물론 폐기된 내화물을 재활용 할 수 있는 경제적인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국내실용신안등록번호 제10-1257448호
본 발명자들은 다수의 연구결과 철강 산업부산물 중 산화마그네슘 함유 폐내화물의 산화마그네슘으로 인한 팽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내화물에 함유된 산화마그네슘의 수화반응으로 인한 팽창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산화마그네슘의 팽창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함량의 리그노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산화마그네슘 함유 성토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화마그네슘 함유 폐내화물의 매립으로 인한 팽창성 지반을 방지하여 지반안정과 환경보호 등 경제적 이득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산화마그네슘함유 산업부산물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목적 역시 당연히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본 발명은 산화마그네슘이 포함된 산업부산물 100중량부 당 입자상 리그노설포네이트 6중량부 내지 12중량부가 포함되는 산화마그네슘 함유 성토재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그노설포네이트는 8중량부 이상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산업부산물은 제철산업의 고온 공정 작업으로 인해 생기는 내화물로서 20mm이하의 크기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그노설포네이트는 상기 산화마그네슘이 물과 접촉하면 발생하는 Mg2+, OH-, MgOH+와 화학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수산화마그네슘(Mg(OH)2)으로의 수화반응을 억제하여 부피팽창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화마그네슘이 포함된 산업부산물을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산업부산물 100중량부당 입자상 리그노설포네이트 6중량부 내지 12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화마그네슘 함유 성토재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산업부산물은 제철산업의 고온 공정 작업으로 인해 생기는 내화물이고, 20mm이하의 크기를 갖도록 분쇄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어느 하나의 산화마그네슘 함유 성토재조성물 또는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산화마그네슘 함유 성토재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준비된 성토재조성물을 매립하여 매립지반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화마그네슘함유 산업부산물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매립지반은 수직팽창압이 0.06MPa이하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매립지반은 자유팽창지수가 0%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성토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성토재조성물은 산화마그네슘의 팽창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함량의 리그노설포네이트를 포함함으로써 폐내화물에 함유된 산화마그네슘의 수화반응으로 인한 팽창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산화마그네슘함유 산업부산물처리방법에 의하면 산화마그네슘이 함유된 폐내화물의 매립으로 인한 팽창성 지반을 방지하여 지반안정과 환경보호 등 경제적 이득에 이바지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범위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 내용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 역시 당연히 포함된다.
도 1은 산화마그네슘의 입도분포곡선이다.
도 2는 리그노설포네이트의 FTIR분석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리그노설포네이트가 처리된 산화마그네슘의 FTIR분석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리그노설포네이트 함량에 따른 자유팽창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리그노설포네이트 함량에 따른 수직팽창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수화반응후의 수산화마그네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수화반응후의 리그노설포네이트 처리된 산화마그네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특히,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이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산화마그네슘의 팽창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함량의 리그노설포네이트를 포함함으로써 폐내화물에 함유된 산화마그네슘의 수화반응으로 인한 팽창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지반안정과 환경보호 등 경제적 이득에 이바지 할 있는 산화마그네슘함유 성토재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산화마그네슘함유 산업부산물처리방법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화마그네슘함유 성토재조성물은 산화마그네슘이 포함된 산업부산물 100중량부 당 리그노설포네이트 6중량부 이상이 포함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화마그네슘의 수화과정을 살펴보면, 산화마그네슘 표면은 물 용해로 인해 발생하는 H+ 이온에 의해 양성자 화되고 MgO 알칼리 산화물이 전자 공여체 역할을 하고, 음이온의 OH- 이온은 양극의 MgOH+ 표면에 정전 기적으로 끌어당긴다. 그 후, 용해 단계에서 Mg2+와 OH-는 방출된다. 최종적으로 MgO + H2O = Mg(OH)2로써 수산화마그네슘이 되어 부피팽창이 일어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산화마그네슘함유 성토재 조성물에서는 리그노설포네이트를 포함함으로써 상술된 수화과정에서 발생하는 Mg2+, OH-, MgOH+와 리그노설포네이트가 반응하여 결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Mg(OH)2가 생성되지 못해 부피팽창이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리그노설포네이트는 설파이트 펄프공정(sulfite pulping), 크라프트 펄프공정(kraft pulping)과 같이 목재를 이용하여 펄프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로서 천연고분자인 리그닌을 술폰화하여 얻어지므로 상당히 값이 저렴한 재료로서, 경제성이 우수하다. 또한 리그노설포네이트의 함량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험적으로 결정된 것으로, 특히 8중량부 이상 포함되면 본 발명의 산화마그네슘함유 성토재조성물과 물이 접촉되는 경우에도 수화반응을 통한 팽창지수가 0%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산화마그네슘 함유 성토재조성물 제조방법은 산화마그네슘이 포함된 산업부산물을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산업부산물 100중량부당 리그노설포네이트 5중량부 이상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산업부산물은 제철산업의 고온 공정 작업으로 인해 생기는 내화물이고, 20mm이하의 크기를 갖도록 분쇄되는데,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리그노설포네이트와 접촉면적이 넓어져서 수화반응 억제에 효과적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산화마그네슘함유 산업부산물처리방법은 상술된 바와 같이 산화마그네슘 함유 성토재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준비된 성토재조성물을 매립하여 매립지반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1
1. 분쇄하는 단계
산화마그네슘이 포함된 산업부산물로서 폐 내화벽돌을 준비하고, 분쇄기로 분쇄하였다. 분쇄된 폐 내화벽돌의 평균 입경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0.46mm정도였다.
2. 혼합하는 단계
분쇄된 폐 내화벽돌 중량에 중량비로 정의된 입자상 리그노설포네이트 7%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산화마그네슘함유 성토재조성물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혼합하는 단계에서 분쇄된 폐 내화벽돌 중량에 중량비로 정의된 리그노설포네이트 8%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산화마그네슘함유 성토재조성물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혼합하는 단계에서 분쇄된 폐 내화벽돌 중량에 중량비로 정의된 리그노설포네이트함량 10%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산화마그네슘함유 성토재조성물3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1에서 분쇄하는 단계만 수행하여 비교예성토재조성물1을 얻었다.
비교예 2
혼합하는 단계에서 분쇄된 폐 내화벽돌 중량에 중량비로 정의된 리그노설포네이트 3%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비교예성토재조성물2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혼합하는 단계에서 분쇄된 폐 내화벽돌 중량에 중량비로 정의된 리그노설포네이트 5%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비교예성토재조성물3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제철산업에서 나오는 철강부산물 중 하나인 실시예1에서 사용된 폐 내화벽돌의 성분을 분석하여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분쇄된 폐 내화벽돌의 입도분포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화학성분 MgO Al2O3 SiO2 P2O5 SO3 K2O CaO TiO2 Cr2O3 Fe2O3 ZnOI
중량% 72.10 1.56 10.60 1.18 0.04 0.15 8.92 0.15 0.35 4.60 0.06
도 1에 도시된 입도분포곡선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1에서 분쇄된 폐 내화벽돌의 평균입경(D50)이 0.46mm정도이며 통일분류법에 따라 균등계수는 6.3 곡률계수는 0.9로 분류될 수 있다.
실험예 2
폐 내화벽돌 분말의 팽창을 알아보기 위해 자유팽창 실험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100ml의 실린더 사용하였고 상대밀도 40%로 조성한 20ml의 폐 내화벽돌 분말에 대해 리그노설포네이트 함량을 0중량%, 3중량%, 5중량%, 7중량%, 8중량% 및 10중량%로 변화시켜 얻어진 조성물 즉 비교예성토재조성물1 내지 3과 산화마그네슘함유 성토재조성물1 내지 3을 대상으로 50℃ 조건에서 120일간 팽창량을 관찰하여 자유챙창지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자유팽창지수란 수화완료후의 부피에서 수화전의 부피를 뺀 값을 수화전의 부피로 나눈 값으로 부피변화가 없다면 자유팽창지수는 0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그노설포네이트를 첨가하지 않는 비교예성토재조성물1의 경우는 자유팽창지수가 250%로써, 비교예성토재조성물1에 포함된 산화마그네슘이 수산화마그네슘이 되면서 부피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리그노설포네이트를 3중량%, 5중량%, 7중량% 포함하는 비교예성토재조성물2 및 3과 산화마그네슘 함유 성토재조성물1의 경우 각각 169, 104, 20%로 자유팽창지수가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폐 내화벽돌 분말에 리그노설포네이트가 첨가되어 얻어진 성토재조성물에서는 폐 내화벽돌 분말에 함유된 산화마그네슘의 팽창이 억제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리그노설포네이트를 8중량%이상 첨가한 산화마그네슘 함유 성토재조성물2 및 3의 경우 충분한 수화기간을 가졌지만 자유팽창지수는 0으로, 리그노설포네이트가 폐 내화벽돌 분말에 함유된 산화마그네슘의 팽창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리그노설페이트 함량에 따른 성토재조성물의 팽창압을 관측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성토재조성물1 내지 3과 산화마그네슘함유 성토재조성물1 및 3에 물을 분쇄된 폐 내화벽돌 중량의 중량비 5%로 첨가하여 페이스트를 만든 후 각각 50x50mm의 원통형몰드에 같은 다짐에너지로 조성하고, 50℃에서 56일간 양생하여 로드셀(load cell)로 팽창압을 관찰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그노설포네이트를 첨가하지 않는 비교예성토재조성물1의 경우 수직팽창압이 5.19MPa 측정되었고, 리그노설포네이트를 5중량%, 7중량%, 10중량%로 각각 포함하는 비교예성토재조성물3과 산화마그네슘함유 성토재조성물 1 및 3의 경우 각각 0.29, 0.12, 0.06MPa로 관측되어, 팽창으로 인한 수직팽창압이 급격히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리그노설포네이트를 10중량% 포함하는 산화마그네슘 함유 성토재조성물3에서 팽창압이 발생한 이유는 리그노설포네이트와의 화학적 결합중 리그노설포네이트의 친수성물질이 물을 흡수하였기 때문이다.
실험예 4
리그노설포네이트를 첨가하지 않는 비교예성토재조성물1과 리그노설페이트가 10중량% 포함된 산화마그네슘함유성토재조성물3을 각각 물과 접촉시킨 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SEM)으로 관찰하고 그 결과 사진을 각각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그노설포네이트를 첨가하지 않는 비교예성토재조성물1은 물과 접촉되면 폐 내화벽돌에 함유된 산화마그네슘이 수화반응을 일으켜 수산화마그네슘이 되면서 표면적이 넓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그노설페이트가 10중량% 포함된 산화마그네슘함유성토재조성물3은 리그닌이 산화마그네슘 표면에 달라붙어 패킹을 하면서 수화반응을 방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산화마그네슘함유 성토재조성물은 리그노설포네이트를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폐 내화물에 포함된 산화마그네슘이 수화과정을 통해 수산화마그네슘이 되면서 생기는 폐 내화물의 부피팽창의 단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철강산업에서 다량 발생하는 산화마그네슘 함유 폐 내화물을 재활용할 뿐만 아니라 폐 내화물이 폐기되어 매립된 지반의 팽창을 방지하여 경제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산화마그네슘이 포함된 산업부산물 100중량부 당 입자상 리그노설포네이트 6중량부 내지 12중량부가 포함되고,
    상기 산업부산물은 제철산업의 고온 공정 작업으로 인해 생기는 내화물로서 20mm이하의 크기를 갖는 것이며,
    상기 리그노설포네이트는 상기 산화마그네슘이 물과 접촉하면 발생하는 Mg2+, OH-, MgOH+와 화학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수산화마그네슘(Mg(OH)2)으로의 수화반응을 억제하여 부피팽창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마그네슘 함유 성토재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그노설포네이트는 8중량부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마그네슘 함유 성토재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산화마그네슘이 포함된 산업부산물을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산업부산물 100중량부당 입자상 리그노설포네이트 6중량부 내지 12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산업부산물은 제철산업의 고온 공정 작업으로 인해 생기는 내화물이고, 20mm이하의 크기를 갖도록 분쇄된 것이며,
    상기 리그노설포네이트는 상기 산화마그네슘이 물과 접촉하면 발생하는 Mg2+, OH-, MgOH+와 화학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수산화마그네슘(Mg(OH)2)으로의 수화반응을 억제하여 부피팽창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마그네슘 함유 성토재조성물 제조방법.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산화마그네슘 함유 성토재조성물 또는 제 5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산화마그네슘 함유 성토재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준비된 성토재조성물을 매립하여 매립지반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화마그네슘함유 산업부산물처리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지반은 수직팽창압이 0.06MPa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마그네슘 함유 산업부산물처리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지반은 자유팽창지수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마그네슘 함유 산업부산물처리방법.
KR1020210003552A 2021-01-11 2021-01-11 산화마그네슘함유 성토재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산화마그네슘함유 산업부산물처리방법 KR102511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552A KR102511616B1 (ko) 2021-01-11 2021-01-11 산화마그네슘함유 성토재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산화마그네슘함유 산업부산물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552A KR102511616B1 (ko) 2021-01-11 2021-01-11 산화마그네슘함유 성토재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산화마그네슘함유 산업부산물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477A KR20220101477A (ko) 2022-07-19
KR102511616B1 true KR102511616B1 (ko) 2023-03-21

Family

ID=82607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552A KR102511616B1 (ko) 2021-01-11 2021-01-11 산화마그네슘함유 성토재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산화마그네슘함유 산업부산물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6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448B1 (ko) 2013-01-25 2013-04-23 김경호 폐자원의 고화에 의한 인공토양의 제조방법
JP2016094782A (ja) * 2014-11-17 2016-05-26 Jfeミネラル株式会社 地盤改良方法
KR101852957B1 (ko) 2017-11-08 2018-04-27 명보산업(주) 토사, 폐기물, 해사, 및 사막모래 경화용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경화체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9282A (ja) * 1995-03-20 1996-10-08 Kawasaki Steel Corp 製鋼スラグの安定化処理方法
KR100384641B1 (ko) * 1998-12-12 2003-07-16 주식회사 포스코 입상화용 점결제 및 이를 이용한 토양개량제의 입상화 방법
KR101758526B1 (ko) * 2015-12-23 2017-07-14 주식회사 포스코 팽창성 매립지반의 잔류 팽창율 측정방법
DE102017121452B9 (de) * 2017-09-15 2024-04-04 Refratechnik Holding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orösen Sintermagnesia, Versatz zur Herstellung eines grobkeramischen feuerfesten Erzeugnisses mit einer Körnung aus der Sintermagnesia, Verwendung des Versatzes zur Herstellung des Erzeugnisses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Erzeugniss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448B1 (ko) 2013-01-25 2013-04-23 김경호 폐자원의 고화에 의한 인공토양의 제조방법
JP2016094782A (ja) * 2014-11-17 2016-05-26 Jfeミネラル株式会社 地盤改良方法
KR101852957B1 (ko) 2017-11-08 2018-04-27 명보산업(주) 토사, 폐기물, 해사, 및 사막모래 경화용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경화체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36권 11호 (2020.11.), pp.97~1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477A (ko)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25633B (zh) C30级全固废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1402877B1 (ko) 고로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에코 채움재 제조방법
KR101525035B1 (ko) 탈황공정 부산물을 이용한 결합재 조성물
CN108298940B (zh) 一种提钛尾渣建筑装饰板及其生产方法
KR20180017837A (ko) 순환 유동층 보일러 버텀애시를 자극제로 이용한 결합재 조성물
KR20160047101A (ko) 순환자원을 자극제로 이용한 결합재 조성물
KR20170123159A (ko) 용융슬래그를 이용한 지오폴리머 제조 방법
CN105503051A (zh) 利用垃圾焚烧的炉渣制作的透水砖及其制备方法
KR102511616B1 (ko) 산화마그네슘함유 성토재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산화마그네슘함유 산업부산물처리방법
CN100453190C (zh) 废弃物的处理方法
CN106892601B (zh) 一种非烧结垃圾尾矿砖及其制备工艺
KR101999297B1 (ko) 순환유동층 보일러 애시를 이용한 토사터널용 그라우트재
KR102544159B1 (ko) 지중열교환기용 뒷채움재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지중열교환기
Onaizi et al. Towards increased adoption of furnace bottom ash as sustainable building materials: Characterization, standardization, and applications
KR101772937B1 (ko) 보크사이트부산물과 하이브리드섬유를 이용하는 친환경 보강토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316421B (zh) 一种回收利用水泥厂废镁砖料制备的高效节能镁质捣打料及制备工艺
KR102535232B1 (ko) 고강도 결합재 조성물 및 이를 구비하는 증기양생 콘크리트 조성물
KR101705232B1 (ko) 폐내화물을 재활용하는 전로 출강구용 플러그 내화조성물
KR102156654B1 (ko) 칼슘알루미네이트 화합물을 첨가한 미분탄 석탄회를 이용한 폐광산의 중금속 고화용 안정화재 조성물
CN110937834B (zh) 一种热焖钢渣的大宗量应用方法
KR101917820B1 (ko) 6가 크롬 용출이 없는 시멘트 대체용 결합재 조성물
Hu et al. Lowered temperature resource recycling of paper sludge using a co-melting technology
KR100852215B1 (ko) 연탄재의 지오폴리머 반응을 이용한 친환경 에코벽돌 제조방법
KR20100127540A (ko) 알카리성 분진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토재 제조방법
KR20170104701A (ko) 연약지반 개량용 결합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