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404B1 -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및 냉장고 - Google Patents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및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404B1
KR102511404B1 KR1020180073557A KR20180073557A KR102511404B1 KR 102511404 B1 KR102511404 B1 KR 102511404B1 KR 1020180073557 A KR1020180073557 A KR 1020180073557A KR 20180073557 A KR20180073557 A KR 20180073557A KR 102511404 B1 KR102511404 B1 KR 102511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gear
angle
driv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6025A (ko
Inventor
박진성
양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 씨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 씨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 씨디
Priority to PCT/KR2018/01031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94374A1/ko
Priority to CN201880002159.3A priority patent/CN110621948B/zh
Publication of KR20190116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Abstract

제빙기의 제빙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장치가 제공된다. 구동 장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내부 공간의 일 측에 배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 및 구동 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으로 구동되는 기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내부 공간의 타 측에 배치되고, 제빙기로부터 배출된 얼음의 양을 감지하도록 감지부를 포함한다. 감지부는, 기어 조립체의 일 측에 맞물려 제1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구동 기어, 자성체가 부착되고, 구동 기어와 접촉하여 제1 각도 범위보다 작은 제2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자성 접촉 부재, 자성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빙기로부터 배출된 얼음의 양에 따라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및 냉장고{DRIVING DEVICE, AND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본 개시는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및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각종 식품이나 음료를 냉장 보관할 수 있는 냉장실과 냉동 보관할 수 있는 냉동실을 포함한다. 냉장실과 냉동실은 격벽에 의해 각기 다른 공간으로 구획되고, 각기 다른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냉장고의 내부에는, 자동으로 얼음을 만드는 냉장고용 제빙기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냉장고용 제빙기는 이젝터의 회전 시 얼음의 이탈을 돕도록 제빙 트레이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기는 제빙기로부터 이탈된 얼음의 만빙(滿氷)을 감지하는 만빙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빙 감지부는 검빙(檢氷) 아암이 얼음 용기에 채워진 얼음에 걸려 초기 위치로 복귀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만빙 감지부가 만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모터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하여 캠 기어가 회전하면서 검빙 아암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 경우 검빙 아암이 회전하면서 얼음 용기에 잔존하는 얼음에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검빙 아암이 얼음 용기에 잔존하는 얼음에 간섭되어 만빙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만빙으로 판단하여 얼음을 제조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 접촉 부재가 구동 기어와 접촉하는 경우, 자성 접촉 부재가 회전하면서 자성 접촉 부재에 연결된 검빙 부재가 소정의 각도 범위로 회전하여 얼음 용기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만빙 감지부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제빙기가 설치된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빙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장치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내부 공간의 일 측에 배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 및 구동 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으로 구동되는 기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내부 공간의 타 측에 배치되고, 제빙기로부터 배출된 얼음의 양을 감지하도록 감지부를 포함하고, 감지부는, 기어 조립체의 일 측에 맞물려 제1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구동 기어; 자성체가 부착되고, 구동 기어와 접촉하여 제1 각도 범위보다 작은 제2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자성 접촉 부재; 자성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빙기로부터 배출된 얼음의 양에 따라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는, 배출된 얼음의 양이 만빙인 경우 제1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배출된 얼음의 양이 저빙인 경우 제2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에 수용되도록 구동부 상에 배치되고, 구동 기어와 자성 접촉 부재가 배치되는 위치 정렬부가 형성된 중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렬부의 하단은 구동 기어가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기어는, 기어 조립체의 일 측에 맞물리는 기어부; 기어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위치 정렬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로드부; 및 로드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자성 접촉 부재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 접촉 부재는, 위치 정렬부의 외주부를 둘러싸고 위치 정렬부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배치되는 링 부; 및 링 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자성체를 수용하는 자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 부는 원통벽 형상을 가지고, 원통벽의 내부에 위치 정렬부가 삽입되고, 돌출부의 회전 공간을 제공하도록 원통벽의 하단의 일부가 절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 부는 돌출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2개의 링 단부를 구비하고, 2개의 링 단부로부터 연장된 선이 이루는 각도는 75° 내지 85° 사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렬부는, 로드부가 삽입되고 제1 직경을 갖는 제1 쉘; 및 제1 쉘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여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을 갖는 제2 쉘을 포함하고, 제1 쉘의 양측 하단에는 제2 쉘과 함께 돌출부가 돌출하는 2개의 개구를 형성하도록 2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쉘은 돌출부의 이동 반경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2개의 쉘 단부를 구비하고, 2개의 쉘 단부로부터 연장된 선이 이루는 각도는 110° 내지 120° 사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각도 범위는 0° 내지 120°이고, 구동 기어는 제1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각도는 범위는 0° 내지 35°이고, 자성 접촉 부재는 제2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는 자성 접촉 부재가 구동 기어와 접촉하여 제2 각도 범위 내의 제3 각도로 회전할 때까지 제1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센서는 자성 접촉 부재가 구동 기어와 접촉하여 제3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할 때부터 제2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각도는 9°내지 11°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 측에 설치되어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에 있어서, 얼음이 제빙되는 제빙 트레이; 제빙 트레이에 결합되고, 제빙 트레이에서 제빙된 얼음을 분리시키는 이빙 히터; 제빙 트레이에서 제빙된 얼음을 배출시키는 이젝터; 및 이젝터에서 배출된 얼음을 수용하는 얼음 용기; 제빙 트레이가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내부 공간의 일 측에 배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 및 구동 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으로 이젝터를 회전시키는 기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내부 공간의 타 측에 배치되고, 얼음 용기에 수용된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만빙 감지부를 포함하고, 만빙 감지부는, 기어 조립체의 일 측에 맞물려서 제1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구동 기어; 구동 기어에 연결되어 구동 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얼음 용기에 수용된 얼음과 접촉 가능한 검빙 부재; 자성체가 부착되고, 구동 기어와 접촉하여 제1 각도 범위보다 작은 제2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자성 접촉 부재; 자성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얼음 용기에 수용된 얼음의 만빙 여부와 관련한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빙 부재는 이젝터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는 검빙 부재가 얼음 용기에 수용된 얼음과 접촉하는 경우 제1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는 얼음 용기에 수용된 얼음이 만빙인 경우 제1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얼음 용기에 수용된 얼음이 저빙인 경우 제2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및 본체 또는 도어의 일 측에 설치되는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제빙기는, 얼음이 제빙되는 제빙 트레이; 제빙 트레이에 결합되고, 제빙 트레이에서 제빙된 얼음을 분리시키는 이빙 히터; 제빙 트레이에서 제빙된 얼음을 배출시키는 이젝터; 및 이젝터에서 배출된 얼음을 수용하는 얼음 용기; 제빙 트레이가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내부 공간의 일 측에 배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 및 구동 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으로 이젝터를 회전시키는 기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내부 공간의 타 측에 배치되어 얼음 용기에 수용된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만빙 감지부를 포함하고, 만빙 감지부는, 기어 조립체의 일 측에 맞물려서 제1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구동 기어; 구동 기어에 연결되어 구동 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얼음 용기에 수용된 얼음과 접촉 가능한 검빙 부재; 자성체가 부착되고, 구동 기어와 접촉하여 제1 각도 범위보다 작은 제2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자성 접촉 부재; 자성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얼음 용기에 수용된 얼음의 만빙 여부와 관련한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만빙 감지부에 구비된 센서는 자성 접촉 부재가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HIGH 신호를 출력하고 소정의 각도 이하로 복귀하는 경우 LOW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센서가 저빙량 부족 감지 상태를 명확하게 출력할 수 있고, 검빙 부재의 원점 복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가 설치된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빙기의 분해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동 장치의 분해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방향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제빙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는 도 5에 도시된 자성 접촉 부재를 I-I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구동 기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위치 정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만빙 감지부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5에 도시된 만빙 감지부의 센서 출력 신호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재되는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치수와 수치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이러한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값 및 이것을 포함하는 동등한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기재된 '80°'라는 치수는 '약 80°'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자성 접촉 부재가 구동 기어에 대해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자성 접촉 부재는 달리 배향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방향지시어들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만빙"은 제빙 트레이 또는 얼음 용기에 얼음이 소정의 높이 이상으로 채워지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저빙"은 제빙 트레이 또는 얼음 용기에 얼음이 소정의 높이 미만으로 채워지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만빙"은 제빙 트레이 또는 얼음 용기에 얼음이 가득 채워진 상태를 포함하며, 이젝터(ejector) 또는 검빙 부재가 얼음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센서는 "만빙"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가 설치된 냉장고(10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냉장고(1000)는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본체(2) 및 본체(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의 저장 공간은 저장물을 얼릴 수 있는 온도로 냉각되는 냉동실과 저장물을 상온보다 낮은 온도에서 저장하기 위한 냉장실로 구분될 수 있다. 냉동실 및 냉장실은 각각 선반에 의하여 복수의 세부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빙기(1)는 얼음을 소정의 형상으로 얼린 후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빙기(1)는 액체 상태의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제조한 후에 제빙기(1)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빙기(1)는 스스로 냉각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외부의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제빙기(1)는, 예를 들어 냉장고(1000)의 냉동실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빙기(1) 냉장고의 도어(3)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빙기(1)의 분해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제빙기(1)를 제빙 트레이(20)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고, 도 3은 제빙기(1)를 구동 장치(10)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제빙기(1)는 구동 장치(10) 및 구동 장치(10)에 결합되는 제빙 트레이 (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트레이(20)로 액체 상태의 물이 공급되고, 냉각되어, 소정의 형태로 얼음이 제조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20)의 하측에는 제빙 트레이(20)로부터 배출된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 용기(40)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장치(10)는 이젝터(30) 및 검빙 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젝터(30)는 제1 방향(이하, "정방향"이라고도 지칭함)으로 회전하면서, 제빙 트레이(20)에서 제빙된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다. 검빙 부재(50)는 얼음 용기(40)에 저장된 얼음과 접촉하여 얼음 용기(40)의 저빙 또는 만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검빙 부재(50)는, 이젝터(30)가 얼음을 배출한 후 제2 방향(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서, 이하 "역방향"이라고도 지칭함)으로 회전할 때,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빙 트레이(20)로부터 배출된 얼음의 만빙을 감지할 수 있다.
구동 장치(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 12) 및 하우징(11, 12)에 수용되는 내부 부품(1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 12)은 내부 부품(100)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11a)이 형성되고 일 방향으로 개방된 케이스(11), 그리고 케이스(11)를 덮는 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의 바닥에는 내부 부품(100)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들을 안착시키고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위치 정렬축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장치(10)는 내부 부품(100)을 내부 공간(11a) 내 요구되는 위치에 안착시키기 위한 중지판(13)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부품(100)은 구동부(110), 제어 회로(160), 히터(170) 및 만빙 감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160)는 내부 부품(1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빙 감지부(200)에는 검빙 부재(50)가 결합될 수 있다. 히터(170)는 제어 회로(1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빙 트레이(20)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20)는 히터(170)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제빙 트레이(20)는 열 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20)가 만빙 상태인 경우, 히터(170)가 제빙 트레이(20)를 가열하여, 제빙 트레이(20)로부터 얼음의 이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빙 트레이(20)가 가열된 상태에서는, 이젝터(30)가 낮은 토크를 작용하더라도 얼음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구동부(110)는 구동 모터(111), 기어 조립체(120), 캠 기어(140), 검빙 레버(150) 및 전달 기어(19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111)는 기어 조립체(12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동부(110)의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동 장치(10)의 분해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구동 장치(10)의 케이스(11)와 커버(12)는 복수의 볼트(17)로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11)와 커버(12) 사이에는 중지판(13)이 배치될 수 있다. 중지판(13)의 하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내부 부품(100)의 대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중지판(13)의 일 측에는 검빙 레버(150)의 이동 반경을 제한하는 토션 스프링(13a)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케이스(11)의 내부 공간(11a)에는 구동 모터(111), 기어 조립체(120), 검빙 레버(150), 캠 기어(140) 및 제어 회로(160)가 배치될 수 있다.
만빙 감지부(200)는 기어 조립체(120)의 일 측에 맞물려 제1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구동 기어(210), 자성체(223)가 부착되고 구동 기어(210)와 접촉하여 제1 각도 범위보다 작은 제2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자성 접촉 부재(220) 및 자성체(223)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신호(예를 들어, HIGH 신호 또는 LOW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센서(16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65)는 제어 회로(160)의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마찰 감지 부재(220)는 중지판(13)의 일 측에 배치되고, 구동 기어(210)는 중지판(13)의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 기어(210)는 케이스(11)의 내부 공간(11a)에 배치될 수 있다.
중지판(13)의 일 측에는 위치 정렬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위치 정렬부(130)는 예를 들어, 중공의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위치 정렬부(130)의 상측에는 자성 접촉 부재(220)가 배치될 수 있고, 위치 정렬부(130)의 하측에는 구동 기어(21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구동 장치(10)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구동 장치(10)의 다른 일부 구성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6은 커버(12)가 제거되어 있는 구성을 도시하고, 도 7은 중지판(13)이 제거되어 있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중지판(13)의 상측에는 토션 스프링(13a)이 배치될 수 있다. 검빙 레버(150)의 일 측에는 상측으로 돌출한 레버 결합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 레버 결합부(155)에는 이를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토션 스프링(13a)의 일 단은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레버 결합부(155)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중지판(13)에는 토션 스프링(13a)의 타 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결합부(139)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지판(13)에는 토션 스프링(13a)의 코일부를 안착시키는 로드(13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구동 모터(111)는 회전축 및 그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는 모터 기어(112)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조립체(120)는 복수의 감속 기어(121, 122, 123, 124)를 포함할 수 있다. 시작 감속 기어(121)는 모터 기어(112)와 맞물릴 수 있다. 모터 기어(112)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은 복수의 감속 기어(121, 122, 123, 124)를 거치면서 회전 속도는 감소되고 토크는 증가될 수 있다. 최종 감속 기어(124)는 캠 기어(140)와 맞물릴 수 있다.
캠 기어(140)는 제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캠 기어(140)의 상측에는 캠 돌기(145)가 형성될 수 있다. 캠 기어(140)의 회전 시, 제1 회전축(R1)에 연결된 이젝터(30) 또는 캠 기어(140)와 하측에서 접촉하는 트레이 만빙 감지 부재(180)가 회전할 수 있다.
트레이 만빙 감지 부재(180)의 일 측에는 자성체(181)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 회로(160)는 자성체(181)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166)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만빙 감지 부재(180)는 제빙 트레이(20)에 제빙된 얼음의 만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센서(166)는 트레이 만빙 감지 부재(18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빙 트레이(20)의 만빙 상태 또는 저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166)가 만빙 상태를 가리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어 회로(160)는 캠 기어(14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이젝터(3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제빙 트레이(20)로부터 얼음을 배출할 수 있다.
검빙 레버(150)는 캠 기어(14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검빙 레버(150)는 제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검빙 레버(150)의 외측 반경 방향 모서리에는 기어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검빙 레버(150)는 캠 기어(140)의 상측에 형성된 캠 돌기(145)와 접촉하는 레버 접촉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캠 돌기(145)가 레버 접촉부(153)와 접촉하는 경우, 검빙 레버(150)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검빙 레버(150)는 레버 결합부(155)에 연결된 토션 스프링(13a)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회전 범위가 일정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전달 기어(190)는 상측에 형성되어 기어부(152)와 맞물리는 제1 전달 기어부(191) 및 하측에 형성되어 구동 기어(210)와 맞물리는 제2 전달 기어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달 기어부(191)의 반경은, 2 전달 기어부(192)의 반경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 기어(210)는 제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 기어(210)는 전달 기어(19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검빙 레버(15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 기어(210)는 자성 접촉 부재(220)와 접촉하여, 자성 접촉 부재(220)를 구동 기어(2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자성 접촉 부재(220)는 위치 정렬부(13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자성 접촉 부재(220)는 위지 정렬부(130)의 외주면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자성 접촉 부재(220)는 위지 정렬부(130) 상에 끼워맞춤되지 않으므로, 구동 기어(210)가 접촉하여 외력을 가하는 경우, 간섭없이 회전할 수 있다.
제어 회로(160)는 회전 전달 부재(220)에 배치된 자성체(223)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16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65)는 자성체(223)가 소정의 범위에서 센서(165)와 가까운 상태인 경우 제1 신호(예를 들어, HIGH 신호)를 출력하고, 자성체(223)가 센서(165)와 멀어진 상태인 경우 제2 신호(예를 들어, LOW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방향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제빙기(1)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빙기(1)의 내부 구성을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고, 도 9는 제빙기(1)의 내부 구성을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구동 모터(111)에서 발생한 구동력은 기어 조립체(120)를 거쳐 캠 기어(14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젝터(30)는 캠 기어(14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검빙 부재(50)는 구동 기어(2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8 및 9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캠 기어(140)가 제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역방향(즉, 화살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캠 돌기(145)가 검빙 레버(150)와 접촉하여 검빙 레버(150)가 제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달 기어는 제4 회전축(R4)을 중심으로 정방향(즉, 화살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구동 기어(210)는 제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트레이 만빙 감지 부재(180)의 일 측에는 삽입 돌기(185)가 형성될 수 있다. 캠 기어(140)의 외주부(141)에는 제1 홈(142) 및 제2 홈(143)이 형성될 수 있다. 캠 기어(140)가 회전하면서, 삽입 돌기(185)는 제1 홈(142) 또는 제2 홈(143)에 삽입되거나, 외주부(141)에 접촉할 수 있다.
삽입 돌기(185)가 제1 또는 제2 홈(142, 143)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트레이 만빙 감지 부재(180)와 센서(166)가 마주보지 않게 되어, 센서(166)가 만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빙 트레이(20)가 만빙 상태인 경우, 이젝터(30)가 얼음에 걸리게 되어 캠 기어(40)가 회전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돌기(185)가 제1 홈(142) 또는 제2 홈(143)에서 빠져나오지 않으므로 트레이 만빙 감지 부재(180)가 센서(166)와 마주보지 않게 되어 센서(166)가 만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빙 트레이(20)가 저빙 상태인 경우, 이젝터(30)가 얼음에 걸리게 않게 되어 캠 기어(40)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돌기(185)가 제1 홈(142) 또는 제2 홈(143)에서 빠져나와서 외주부(141)와 접촉하므로, 트레이 만빙 감지 부재(180)가 센서(166)와 마주보게 되어 센서(166)가 저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센서(166)는 제빙 트레이(20)의 만빙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만빙 감지 부재(180)와 연결된 스프링(134)이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134)의 단부(134a)는 도 3에 도시된 케이스(11)의 바닥에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134)은 트레이 만빙 감지 부재(18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빙 감지부(200)는 얼음 용기(40)의 만빙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성 접촉 부재(220)의 자성체(223)과 센서(165)가 소정의 범위 이내로 가까운 상태에서, 센서(165)는 얼음 용기(40)의 상태를 만빙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자성 접촉 부재(220)의 자성체(223)가 센서(165)로부터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멀어진 경우, 센서(165)는 얼음 용기(40)의 상태를 저빙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구동 기어(210)가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경우, 자성 접촉 부재(220)와 접촉하여 이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 기어(210)가 회전하면서, 이에 연결된 검빙 부재(5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검빙 부재(50)가 얼음 용기(40)에 저장된 얼음과 접촉하는 경우, 검빙 부재(50)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므로, 구동 기어(210)는 자성 접촉 부재(220)를 회전시키지 못한다. 이 상태에서는, 자성 접촉 부재(220)의 자성체(223)가 센서(165)와 소정의 범위 이내에서 벗어나지 못하므로, 센서(165)는 얼음 용기(40)의 상태를 만빙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얼음 용기(40)가 저빙 상태이면, 검빙 부재(50)가 얼음 용기(40)에 저장된 얼음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검빙 부재(50)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기어(210)는 자성 접촉 부재(220)를 회전시켜 자성 접촉 부재(220)의 자성체(223)를 센서(165)로부터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벗어나게 할 수 있고, 센서(165)는 얼음 용기(40)의 상태를 저빙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구동 기어(210)는 전달 기어(190)에 의하여 제1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성 접촉 부재(220)는 제1 각도 범위보다 작은 제2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구동 기어(210)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 후에 자성 접촉 부재(220)와 접촉하여 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각도 및 제2 각도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0는 도 5에 도시된 자성 접촉 부재(220)를 I-I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자성 접촉 부재(220)는 도 6에 도시된 위치 정렬부(130)의 외주부를 둘러싸고 위치 정렬부(130)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배치되는 링 부(221) 및 링 부(22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자성체(223)를 수용하는 자성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223)는 예를 들어,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링 부(221)는 구동 기어(210)와 접촉하도록 일 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링 부(221)는 원통벽 형상을 가지고, 링 부(221)는 구동 기어(210)의 돌출부(213, 도 11 참조)의 회전 공간을 제공하도록 원통벽의 하단의 일부가 절단될 수 있다. 또한, 링 부(221)의 원통벽의 내부에는 위치 정렬부(130)가 삽입될 수 있다. 링 부(221)의 내주면과 중심(C-1) 사이의 반경(D1)은, 예를 들어 2 내지 4mm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반경(D1)은 3mm가 될 수 있다.
링 부(221)의 개방된 형상은 제1 및 제2 링 단부(221a, 221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링 단부(221a, 221b) 중 하나는 돌출부(213)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링 단부(221a, 221b) 로부터 연장된 선이 이루는 각도(α1)는, 예를 들어 75° 내지 85° 사이일 수 있다. 일 예로, 각도(α1)는 77°가 될 수 있다. 구동 기어(210)가 최초 상태로부터 각도(α1)만큼 회전하는 경우, 링 부(221)의 제1 단부(221a)와 접촉할 수 있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구동 기어(2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은 구동 기어(210)의 측면을 도시하고, 도 11(b)는 구동 기어(210)의 상면을 도시한다. 구동 기어(210)는, 전달 기어(190, 도 7 참조)의 일 측에 맞물리는 기어부(212), 기어부(212)의 상측에 배치되어 위치 정렬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로드부(211), 및 로드부(21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링 부(221)의 제1 또는 제2 링 단부(221a, 221b)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돌출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부(211)의 축방향 높이(H1)는 예를 들어, 11 내지 13mm 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축 방향 높이(H1)는 12mm가 될 수 있다. 로드부(211)의 직경(D2)은, 예를 들어 5 내지 7mm 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직경(D2)은 6mm가 될 수 있다. 로드부(211)는 위치 정렬부(130, 도 5 참조)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돌출부(213)의 축방향 높이(H2)는 예를 들어, 4 내지 6mm 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축 방향 높이(H2)는 5mm가 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13)의 폭(D3)은 예를 들어, 5 내지 7mm 사이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폭(D3)은 6mm가 될 수 있다. 돌출부(213)는 자성 접촉 부재(220)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측면(213a, 213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위치 정렬부(1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는 위치 정렬부(130)의 사시도이고, 도 12(b)는 위치 정렬부(130)의 상면도이고, 도 12(c)는 위치 정렬부(130)를 II-II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위치 정렬부(130)는 구동 기어(210)의 로드부(211)가 삽입되고 제1 직경(D5)을 갖는 제1 쉘(131), 제1 쉘(13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쉘(132) 및 제1 및 제2 쉘(131, 132)와 연결되는 바닥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35)는 돌출부(213)가 회전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제1 및 제2 쉘(131, 132)의 하부에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쉘(131)의 외주면의 직경(D5)은 도 10에 도시된 링 부(221)의 반경(D1)의 두 배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링 부(221)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직경(D5)은 반경(D1)의 두 배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쉘(131)의 내주면의 직경(D4)은 도 11에 도시된 로드부(211)의 직경(D2)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구동 기어(21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직경(D5)은 직경(D2)과 동일하거나 다소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쉘(132)은 예를 들어, 원호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원호기둥 형상의 외주면은 중심(C2)으로부터 반경(D6)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원호기둥 형상의 반경(D6)의 두 배인 제2 직경은 제1 쉘(131)의 제1 직경(D5)보다 클 수 있다. 제2 쉘(132)의 내주면의 반경은, 도 11에 도시된 돌출부(213)의 반경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쉘(132)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선이 이루는 각도(α3)는 예를 들어, 35° 내지 45°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각도(α3)는 39 °가 될 수 있다.
제1 쉘(131)의 양측 하단에는 제2 쉘(132)과 함께 돌출부(213)가 돌출하는 2개의 개구(136a, 136b)를 형성하도록 2개의 홈(138)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쉘(131)은 돌출부(213)의 이동 반경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쉘 단부(137a, 137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쉘 단부(137a, 137b)로부터 연장된 선이 이루는 각도(α2)는 110° 내지 120° 사이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각도(α2)는 115°가 될 수 있다.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만빙 감지부(200)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5에 도시된 만빙 감지부(200)의 센서 출력 신호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참조 번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동 기어(210)는 제1 각도 범위 내에서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 사이를 반복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각도 범위는 0° 내지 120°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각도 범위는 0° 내지 110°가 될 수 있다.
자성 접촉 부재(220)는 구동 기어(210)의 돌출부(213)와 접촉하여 제2 각도 범위 내에서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 사이를 반복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각도는 범위는 0° 내지 35°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각도 범위는 0° 내지 33°가 될 수 있다.
센서(165)는 자성 접촉 부재(220)가 돌출부(213)와 접촉하여 제2 각도 범위 내의 제3 각도로 회전할 때까지 제1 신호(예를 들어, LOW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165)는 자성 접촉 부재(220)가 돌출부(213)와 접촉하여 제3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할 때부터 제2 신호(예를 들어, HIGH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각도는 9°내지 11°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3 각도는 센서(165)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제3 각도는 11°가 될 수 있다.
만빙 감지 과정은, 도 13(a) 내지 도 13(d) 또는 도 14(a) 내지 도 14(d)를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복귀 과정은, 도 13(e) 내지 도 13(h) 또는 도 14(e) 내지 도 14(h)를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3(a)를 참고하면, 각도(β1)는 링 부(221)의 제1 및 제2 단부(221a, 221b)로부터 연장된 선 사이의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3(b)를 참고하면, 각도(β2)는 구동 기어(210)가 자성 접촉 부재(220)와 접촉하기 위한 구동 기어(210)의 최소 회전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도(β2)는, 구동 기어(210)의 회전 시 돌출부(213)가 시작 위치로부터 회전하여 돌출부(213)의 제1 측면(213a)이 링 부(221)의 제1 단부(221a)와 접촉하기 시작하는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구동 기어(210)가 각도(β2)보다 작은 각도로 회전하는 경우, 돌출부(213)의 제1 측면(213a)은 링 부(221)의 제1 단부(221a)와 접촉하지 않는다. 각도(β1) 및 각도(β2)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각도(β2)는 도 10에 도시된 각도(α1)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고, 일 예로, 각도(β2)는 77°가 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고하면, 센서(165)의 출력 신호는 변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제1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센서(165)는 자성체(223)가 센서(165)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시작 위치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3(c) 및 도 14(c)를 참고하면, 구동 기어(210)가 각도(β3)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일 예로, 각도(β3)는 88°가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자성 접촉 부재(220)가 각도(β3)와 각도(β2)의 차이만큼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 접촉 부재(220)는 초기 상태에서 11° 만큼 회전할 수 있다.
도 14(c)를 참고하면, 센서(165)에서 출력하는 신호가 제1 신호에서 제2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센서(165)의 출력 신호가 제2 신호인 경우, 검빙 부재(50)가 얼음과 접촉하지 않아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이므로, 얼음 용기(40)가 저빙 상태인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제어 회로(160)는 센서(165)에서 출력된 신호가 제2 신호인 경우, 이젝터(3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얼음을 제빙 트레이(20)로부터 배출하게 할 수 있다.
도 13(d) 및 도 14(d)를 참고하면, 구동 기어(210)가 최대로 회전하여 회전이 종료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구동 기어(210)가 회전한 각도(β4)는 예를 들어, 110°가 될 수 있다. 자성 접촉 부재(220)가 각도(β4)와 각도(β2)의 차이만큼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 접촉 부재(220)는 초기 상태에서 33° 만큼 회전할 수 있다. 도 12(b)를 참고하면, 돌출부(213)의 제1 측면(213a)은 제2 쉘 단부(137b)와 접촉하면서, 회전이 종료되고, 자성 접촉 부재(220)를 더 이상 회전시키지 못할 수 있다. 도 14(d)를 참고하면, 센서(165)는 HIGH 신호의 출력을 변화시키지 않고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자성 접촉 부재(220)에는 스프링과 같은 원위치 복귀를 위한 구성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경우, 자성 접촉 부재(220)는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만빙 감지 과정이 진행되고, 이후, 곧바로 복귀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도 13(e) 및 도 14(e)는 복귀 과정이 시작하는 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3(d) 및 도 14(d)는 구동 기어(2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후 정지된 상태이고, 도 13(e) 및 도 14(e)는 구동 기어(2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는 상태이다. 구동 기어(210)는 도 13(f) 및 도 14(f)에 도달하기 전까지, 자성 접촉 부재(220)를 회전시키지 못한다.
도 13(f) 및 도 14(f)는, 구동 기어(2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측면(221b)이 링 부(221)의 제2 링 단부(221b)와 접촉한 구성을 도시한다. 이 상태 이후로, 자성 접촉 부재(220)는 돌출부(2213)와 접촉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3(f) 및 도 14(f)는 구동 기어(210)가 도 13(e) 및 14(e)에 도시된 이전 상태에서 77° 만큼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초기 상태로부터 돌출부(213)가 회전된 각도(β5)는 예를 들어, 33°가 될 수 있다.
도 13(g) 및 도 14(g)는, 구동 기어(210)가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초기 상태로부터 돌출부(213)가 회전된 각도(β6)는 예를 들어, 11°가 될 수 있다. 도 14(g)를 참고하면, 자성체(223)가 센서(165)와 가까워지게 되므로, 센서(165)가 출력하는 신호는 HIGH 제2 신호에서 제1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h) 및 도 14(h)를 참고하면, 구동 기어(210)가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도 13(a)와 동일한 초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자성 접촉 부재(220)도 초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귀 과정이 종료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만빙 감지부는, 복수의 자성체 및 복수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얼음 용기의 만빙 및 저빙 상태를 각각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검빙 부재가 저빙 상태로 회전 시에만 제2 신호를 출력하고 원점 위치로 복귀시 제1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므로, 저방 감지를 명확하게 출력하고 원점 복귀 여부를 명확하게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신호가 LOW 신호이고, 제2 신호가 HIGH 신호인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신호는 제2 신호와 구별되는 임의의 적절한 신호일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제빙기, 10: 구동 장치, 13: 중지판, 130: 위치 정렬부, 20: 제빙 트레이, 30: 이젝터, 40: 얼음 용기, 50: 검빙 부재, 110: 구동부, 140: 캠 기어, 150: 검빙 레버, 160: 제어 회로, 170: 히터, 180: 트레이 감지 부재, 200: 만빙 감지부, 210: 구동 기어, 220: 자성 접촉 부재, 1000: 냉장고

Claims (19)

  1. 제빙기의 제빙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장치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의 일 측에 배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으로 구동되는 기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내부 공간의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빙기로부터 배출된 얼음의 양을 감지하도록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기어 조립체의 일 측에 맞물려 제1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구동 기어;
    자성체가 부착되고, 상기 구동 기어와 접촉하여 상기 제1 각도 범위보다 작은 제2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자성 접촉 부재;
    상기 자성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제빙기로부터 배출된 얼음의 양에 따라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자성 접촉 부재가 상기 구동 기어와 접촉하여 상기 제2 각도 범위 내의 제3 각도로 회전할 때까지 상기 배출된 얼음의 양이 만빙인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자성 접촉 부재가 상기 구동 기어와 접촉하여 상기 제3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할 때부터 상기 배출된 얼음의 양이 저빙인 경우 상기 제2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도록 상기 구동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자성 접촉 부재가 배치되는 위치 정렬부가 형성된 중지판을 더 포함하는,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부의 하단은 상기 구동 기어가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개방된 형상을 갖는,
    구동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는,
    상기 기어 조립체의 일 측에 맞물리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위치 정렬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로드부; 및
    상기 로드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자성 접촉 부재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접촉 부재는,
    상기 위치 정렬부의 외주부를 둘러싸고 상기 위치 정렬부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배치되는 링 부; 및
    상기 링 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자성체를 수용하는 자성부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는 원통벽 형상을 가지고,
    상기 원통벽의 내부에 상기 위치 정렬부가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의 회전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원통벽의 하단의 일부가 절단된,
    구동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는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2개의 링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링 단부로부터 연장된 선이 이루는 각도는 75° 내지 85° 사이인,
    구동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부는,
    상기 로드부가 삽입되고 제1 직경을 갖는 제1 쉘; 및
    상기 제1 쉘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을 갖는 제2 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쉘의 양측 하단에는 상기 제2 쉘과 함께 상기 돌출부가 돌출하는 2개의 개구를 형성하도록 2개의 홈이 형성된,
    구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쉘은 상기 돌출부의 이동 반경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2개의 쉘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쉘 단부로부터 연장된 선이 이루는 각도는 110° 내지 120° 사이인,
    구동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 범위는 0° 내지 120°이고,
    상기 구동 기어는 상기 제1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구동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각도는 범위는 0° 내지 35°이고,
    상기 자성 접촉 부재는 상기 제2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구동 장치.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각도는 9°내지 11°인,
    구동 장치.
  15. 냉장고의 일 측에 설치되어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얼음이 제빙되는 제빙 트레이;
    상기 제빙 트레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빙 트레이에서 제빙된 얼음을 분리시키는 이빙 히터;
    상기 제빙 트레이에서 제빙된 얼음을 배출시키는 이젝터; 및
    상기 이젝터에서 배출된 얼음을 수용하는 얼음 용기;
    상기 제빙 트레이가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의 일 측에 배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으로 상기 이젝터를 회전시키는 기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내부 공간의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얼음 용기에 수용된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만빙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만빙 감지부는,
    상기 기어 조립체의 일 측에 맞물려서 제1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얼음 용기에 수용된 얼음과 접촉 가능한 검빙 부재;
    자성체가 부착되고, 상기 구동 기어와 접촉하여 제1 각도 범위보다 작은 제2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자성 접촉 부재;
    상기 자성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얼음 용기에 수용된 얼음의 만빙 여부와 관련한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자성 접촉 부재가 상기 구동 기어와 접촉하여 상기 제2 각도 범위 내의 제3 각도로 회전할 때까지 상기 얼음 용기에 수용된 양이 만빙인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자성 접촉 부재가 상기 구동 기어와 접촉하여 상기 제3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할 때부터 상기 얼음 용기에 수용된 얼음의 양이 저빙인 경우 상기 제2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제빙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빙 부재는 상기 이젝터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빙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검빙 부재가 상기 얼음 용기에 수용된 얼음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빙기.
  18. 삭제
  19.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및 상기 본체 또는 도어의 일 측에 설치되는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얼음이 제빙되는 제빙 트레이;
    상기 제빙 트레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빙 트레이에서 제빙된 얼음을 분리시키는 이빙 히터;
    상기 제빙 트레이에서 제빙된 얼음을 배출시키는 이젝터; 및
    상기 이젝터에서 배출된 얼음을 수용하는 얼음 용기;
    상기 제빙 트레이가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의 일 측에 배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으로 상기 이젝터를 회전시키는 기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내부 공간의 타 측에 배치되어 상기 얼음 용기에 수용된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만빙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만빙 감지부는,
    상기 기어 조립체의 일 측에 맞물려서 제1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얼음 용기에 수용된 얼음과 접촉 가능한 검빙 부재;
    자성체가 부착되고, 상기 구동 기어와 접촉하여 제1 각도 범위보다 작은 제2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자성 접촉 부재;
    상기 자성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얼음 용기에 수용된 얼음의 만빙 여부와 관련한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자성 접촉 부재가 상기 구동 기어와 접촉하여 상기 제2 각도 범위 내의 제3 각도로 회전할 때까지 상기 얼음 용기에 수용된 양이 만빙인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자성 접촉 부재가 상기 구동 기어와 접촉하여 상기 제3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할 때부터 상기 얼음 용기에 수용된 얼음의 양이 저빙인 경우 상기 제2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KR1020180073557A 2018-04-03 2018-06-26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및 냉장고 KR102511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0319 WO2019194374A1 (ko) 2018-04-03 2018-09-04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및 냉장고
CN201880002159.3A CN110621948B (zh) 2018-04-03 2018-09-04 驱动装置及包含该驱动装置的制冰机与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38889 2018-04-03
KR1020180038889 2018-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025A KR20190116025A (ko) 2019-10-14
KR102511404B1 true KR102511404B1 (ko) 2023-03-17

Family

ID=68171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557A KR102511404B1 (ko) 2018-04-03 2018-06-26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및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1404B1 (ko)
CN (1) CN110621948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2644A (ja) * 2005-11-10 2007-05-31 Lg Electronics Inc 満氷感知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599B2 (ja) * 1993-02-26 2000-07-31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製氷皿の駆動装置
US6637217B2 (en) * 2000-12-30 2003-10-28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231737C (zh) * 2002-01-31 2005-12-1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冰箱制冰机满冰感测装置
KR100565381B1 (ko) * 2005-11-30 2006-03-30 대림정밀공업(주) 무접촉 방식의 자동제빙기용 구동장치
KR101275550B1 (ko) * 2006-03-27 201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CN104272043B (zh) * 2012-05-10 2016-07-06 株式会社Scd 冰箱用制冰机驱动装置及方法
KR101678310B1 (ko) * 2015-07-27 2016-11-21 주식회사 에스 씨디 제빙기 구동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2644A (ja) * 2005-11-10 2007-05-31 Lg Electronics Inc 満氷感知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冷蔵庫
KR100748971B1 (ko) 2005-11-10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만빙 감지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21948B (zh) 2021-07-06
KR20190116025A (ko) 2019-10-14
CN110621948A (zh) 201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3892B2 (en) Ice maker for a refrigerator
JP5529933B2 (ja) アイスメーカ
KR101962139B1 (ko) 아이스메이커 및 그 제어방법
KR0182736B1 (ko) 냉장고용 자동제빙기
EP2674702B1 (en) Refrigerator
US8539779B2 (en) Ice maker,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ice making method thereof
KR101480549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564134B1 (en) Ice maker with rotating ice mold and counter-rotating ejection assembly
US9423166B2 (en) Refrigerator
US20130327081A1 (en) Refrigerator
US20170292752A1 (en) Ice bin and refrigerator provided with the ice bin
KR100814686B1 (ko) 제빙기
KR20190032898A (ko) 아이스메이커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511404B1 (ko)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및 냉장고
AU201130654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icemaker for a refrigerator
US8365548B2 (en) Ice dispensing technology
KR20050026635A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US20090077993A1 (en) Ice bank of refrigerator
KR20200036455A (ko) 냉장고 및 제빙 어셈블리
KR20150022960A (ko) 제빙 장치
KR102627200B1 (ko) 센서용 패킹,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및 냉장고
KR20230016458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WO2021223149A1 (en) Ice bucket agitator and refrigerator appliance
KR20190032899A (ko) 아이스메이커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40067434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