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458A -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458A
KR20230016458A KR1020210097978A KR20210097978A KR20230016458A KR 20230016458 A KR20230016458 A KR 20230016458A KR 1020210097978 A KR1020210097978 A KR 1020210097978A KR 20210097978 A KR20210097978 A KR 20210097978A KR 20230016458 A KR20230016458 A KR 20230016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detection sensor
ice making
ice m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김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210097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6458A/ko
Publication of KR20230016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4Level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14Temperature of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제빙 본체, 상기 제빙 본체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구동모터와 제어회로가 구비되는 제어 박스, 상기 제빙 본체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어 박스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어 박스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 구동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냉장고의 외부 급수원 또는 내부 공간에 구비된 물 공급 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제빙 시키는 제빙 트레이, 상기 제빙 본체가 형성하는 제빙 공간의 온도 또는 급수를 감지하고,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 작동에 대하여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를 감싸는 절연수지재로 형성되되, 상기 감지센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빙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박리부를 포함하는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저온 저장하여 상온에서의 식품 변질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냉장고에 구비되어 식품과는 별개로 사용자에게 얼음을 제공하는 냉장고용 제빙기가 구비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용 제빙기는 물을 자동으로 공급받아 일정 크기의 얼음을 만들기 위한 다수의 제빙홈이 형성된 제빙 트레이와, 제빙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빙 모터에 의해 이빙된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 뱅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빙 트레이에 제빙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한 방식으로는 2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제빙 트레이 자체를 상술한 이빙 모터를 이용하여 트위스팅시켜 제빙된 얼음을 제빙홈으로부터 분리한 후 그 하부의 아이스 뱅크로 낙하시키는 트위스트 타입과, 금속 재질로 구비된 제빙 트레이에 이빙 히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이빙 열을 가함으로써 제빙된 얼음을 제빙홈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별도의 이빙 이젝터를 회동시키는 동작으로 얼음을 제빙 트레이의 일측으로 밀어 그 하부의 아이스 뱅크로 낙하시키는 히터 타입이 그것이다.
이와 같은 제빙 트레이에는 제빙된 얼음을 감지하여 공급된 물의 제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센서부가 구비되는데, 센서부에 의하여 제빙 완료가 감지되면, 상술한 트위스트 타입의 경우 이빙 모터를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술한 히터 타입의 경우 이빙 히터 및 이빙 이젝터를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확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제빙기는 제빙수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수위를 감지하도록 수위감지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나, 정확한 수위를 감지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37389호(2004.06.15. 공고일)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얼음이 제빙되는 제빙 공간의 온도 및 급수 센싱이 가능한 구조의 수위감지 센서를 제빙기에 밀폐적으로 장착 가능한 구조로 개선하여 제빙 용기에 공급되는 제빙수의 수량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 실시예는, 냉장고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제빙 본체;
상기 제빙 본체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구동모터와 제어회로가 구비되는 제어 박스;
상기 제빙 본체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어 박스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어 박스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 구동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냉장고의 외부 급수원 또는 내부 공간에 구비된 물 공급 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제빙 시키는 제빙 트레이;
상기 제빙 본체가 형성하는 제빙 공간의 온도 또는 급수를 감지하고,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 작동에 대하여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를 감싸는 절연수지재로 형성되되, 상기 감지센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빙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박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센서는 단면상 형상이 원형, 다각형 및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제빙 공간 중 상기 제어 박스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센서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소재가 외주면에 외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센서의 외피층에는 신호 인출선이 납땜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센서의 외피층은 제빙수의 수위를 감지하고 내부층은 제빙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센서의 내부는 에폭시 또는 우레탄 소재가 충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제빙 공간의 온도와 급수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급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인출선은,
상기 온도센서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리드선; 및
상기 급수센서에 연결되는 제2 리드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수지재는 폴리프로필렌 수지(polypropylene resin)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박리부에는 상기 감지센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 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박리부는 수평 단면상 일측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사디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얼음이 제빙되는 제빙 공간의 온도 및 급수 센싱이 가능한 구조의 수위감지 센서를 제빙기에 밀폐적으로 장착 가능한 구조로 개선하여 제빙 용기에 공급되는 제빙수의 수량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가 구비된 냉장고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가 구비된 제빙기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가 구비된 제빙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도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가 구비된 냉장고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전면이 개구된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8, 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식품을 냉장 상태로 저장하는 냉장실과, 식품을 냉동 상태로 저장하는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1)는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한 것으로서, 상기 냉장실이 상기 냉동실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어(8, 9)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8)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9)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 도어(8)는 서로 좌우로 배치된 두 개로 구비되어, 좌측 냉장실 도어(8)는 상기 냉장실의 일부인 좌측을 개폐할 수 있고, 우측 냉장실 도어(8)는 상기 냉장실의 나머지부인 우측을 개폐할 수 있다.
냉장고(1)의 상기 저장실에는 상기 아이스 박스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박스는 제빙기(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박스는 상측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빙기(100)에서 제빙된 얼음은 제빙기(100)로부터 상기 아이스 박스로 이빙되어, 상기 아이스 박스 내에 수용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박스 내에는 오거(Auger)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거는 상기 아이스 박스에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오거의 양단은 각각 상기 아이스 박스의 양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오거의 외주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거는 회전 시 상기 나선홈을 통해 상기 아이스 박스 내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박스의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오거는 상기 아이스 박스의 일측에 설치된 오거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빙기(100)는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1)는 상기 냉장실의 좌측 상부에 제빙기(1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빙기(100)는 냉장고(1)로부터 제빙수를 공급받을 수 있고, 냉장고(1)의 냉동사이클로부터 상기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상기 제빙수를 얼음으로 변하게 하여서, 상기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제빙된 얼음을 이빙 시키는 종류에 따라 히터 타입(heater type) 및 트위스트 타입(twist type)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 중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들이 협치되어 있는 형성되는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된 제어박스(110)와, 제어박스(110)의 일측에 구비되고 다수의 제빙홈(15)을 형성시키는 제빙 트레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기(100)의 제어박스(110)에는 상기 구동부를 구동 시키는 구동모터, 기어 등을 포함하여 다수의 전장 부품들이 수용될 수 있다. 제어박스(110) 내의 구동부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제빙 트레이(2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이젝터(미도시)가 회전되면서 제빙홈(15) 내의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다.
만빙검지부(미도시)는 제어박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만빙검지부은 광발광부와 광수광부로 이루어진 광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만빙검지부가 감지한 신호는 상기 제어부로 입력될 수 있고, 이러한 제어부는 상기 만빙검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 아이스 뱅크(미도시)에 저장된 얼음의 만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스 뱅크에 저장된 얼음이 만빙 상태이면, 제빙홈(15)에 공급되는 제빙수의 공급을 중단하고, 얼음의 생산을 중단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스 뱅크에 저장된 얼음이 만빙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얼음의 생산을 다시 개시할 수 있다. 상기 광센서는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인 만빙 검빙 시에만 작동(ON)되도록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광센서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 중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술한 히터 타입의 제빙기와 동일한 상기 구동부가 수용되는 제어박스(10) 및 제어박스(10)의 일측에 구비되고 다수의 제빙홈(15)이 형성되며 기결정된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제빙 트레이(200)를 포함한다.
히터 타입의 제빙기와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는, 이빙 히터(미도시)의 유무 및 제빙 트레이(200)가 트위스트 되도록 회전 되는지 여부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히터 타입 또는 트위스트 타입인지에 따라 구동박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모터의 위치 및 상기 기어 세트의 설계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히터 타입의 제빙기의 경우에는, 제빙 트레이(200)의 제빙홈(15)에 제빙수의 제빙이 완료되면, 제빙 트레이(200)에 소정의 열을 가하는 상기 이빙 히터에 의하여 이빙된 후 다수의 이젝터 핀(미도시)이 구비된 이젝터 봉(미도시)을 구동박스(50)의 내부에 구비된 구동 모터 및 기어 세트의 연동 동작에 의하여 회동시키면서 상기 이젝터 핀을 회동시켜 이빙된 얼음을 그 하부의 얼음 저장 그릇(미도시)으로 저장하도록 구동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의 경우에는, 제빙기 트레이(200)의 제빙홈(15)에 제빙수의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면서 상기 기어 세트가 연동 구동되고, 상기 기어 세트 중 어느 하나의 기어 축과 직결된 제빙 트레이(200)가 일 방향으로 회전 되면서 일단부가 간섭되는 동작으로 트위스트 되고, 이러한 트위스팅 동작에 의하여 제빙홈(15)에 제빙된 얼음이 이빙됨과 동시에 그 하부의 상기 얼음 저장 그릇으로 얼음이 낙하되어 저장된다.
제빙 트레이(100)는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어군(30: 31, 32)의 회전에 의해서 트위스트 되었다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다.
모터부(40)가 브러시 모터일 경우에는, 카본(carbon)으로 형성된 브러시의 수명이 제한적이고, 카본 브러시에서 발생되는 카본 분진에 의해 모터 주변이 오염된다. 또한, 브러시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크고, 브러시모터의 운전시에는 소비되는 전류가 높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브러시 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온도가 크게 상승되어 에너지 소모가 클 수 있다. 그에 반해, 스테핑 모터는 운전에 의해 소모되는 전류가 낮고, 작동시의 소음 및 진동이 작다. 또한, 스테핑 모터의 운전시에 발생되는 열이 낮아서 에너지 효율이 높다. 또한, 카본 브러시가 없기 때문에 카본 가루에 의해 발생되는 오염이 없고 마모가 되지 않음으로, 수명이 반영구적일 수 있다. 또한, 스테핑 모터는 최신 냉장고에 사용되는 친환경 냉매 적용시에 발화에 의한 폭발 등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빙기(10)는 모터부(40)에 의한 제빙 트레이(10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센서(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위치는 제빙 트레이(100)의 각 양단의 위치가 될 수 있다.
기어군(30)은 모터부(40)에서 발생되는 회전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고 토크(torque)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고 토크를 저하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기어군(30)은 만빙감지레버(미도시)와도 연결되어서, 제빙 트레이(100)를 트위스트시킬 뿐만 아니라 제빙기(10)에서 생성되어 얼음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는 얼음의 양을 측정하는 동작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박스(10)의 기어군(3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제빙 트레이(100)가 트위스트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0)가 트위스트되기 위해서, 제빙 트레이(100)의 일측은 기 결정된 회전거리만큼 회전된 상태에서 정지하고, 제빙 트레이(100)의 타측은 기 결정된 회전거리보다 더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빙 트레이(100)의 양측이 회전하는 회전 거리가 서로 다름으로써, 제빙 트레이(100)가 트위스트될 수 있다.
모터부(40)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 제어부(미도시됨)는 제빙기(10) 내에 위치하거나 냉장고에 위치할 수 있다. 모터 제어부가 제빙기(10)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모터부(40)의 일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모터부(40)는 스테핑 모터이기 때문에 모터 제어부는 제어 파형을 공급받음으로써 모터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터부(40)의 구동파형에 의한 위치 신호가 모터 제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모터 제어부는 모터부(40)의 회전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제어부는 모터부(40)를 구동하기 위한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드라이버 또는 마이컴일 수 있다.
모터부(40)인 스테핑 모터는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부(40) 만으로 제빙 트레이(100)를 트위스트 시켰다가 원위치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빙 트레이(100)를 트위스트 시키는 것은 모터부(40)에 의하고, 제빙 트레이(100)를 다시 원위치 시키는 것은 제빙 트레이(100)의 일측에 장착되는 탄성 부재(미도시됨)에 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박스(10)와 제빙 트레이(200) 사이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박리부(300)를 포함하는 감지센서(500)가 제빙 트레이(200)의 회전 작동에 대하여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100)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가 구비된 제빙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는, 내부에 기어군(30)와 모터부(40)가 구비된 제어박스(10), 제어박스(10)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기어군(30)의 구동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얼음이 제빙되는 제빙홈(15)이 형성되는 제빙 트레이(200), 제빙 공간의 온도 및 급수를 감지하고 제빙 트레이(200)의 회전 동작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감지센서(500) 및 일부가 상기 제빙 공간으로 노출되는 감지센서(500)을 감싸는 절연수지재로 형성되는 박리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박리부(300)는 제어박스(10)에 형성된 사디리꼴 형상의 홈(미도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박리부(300)는 상기 제빙 공간 방향으로 단면상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빙 공간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박리부(300)의 상기 절연수지재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수지(polypropylene resin)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지센서(500)는 제어박스(10)와 제빙 트레이(20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감지센서(500)는 제어박스(10)의 상기 홈(미도시)에 결합된 박리부(300)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상기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센서(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 사다리꼴 및 원형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센서(500)의 외피층(미도시)은 금속소재, 하나의 예에서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는 에폭시 또는 우레탄이 충진될 수 있다. 이때, 감지센서(500)에는 상기 제빙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노출면(50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빙 공간으로 노출된 감지센서(500)의 노출면(501)을 통하여 정확한 온도 및 수위를 감지할 수 있고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박리부(300)를 통하여 감지센서(500)의 주변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예에서, 감지센서(500)의 상기 외피층은 제빙수의 급수를 감지하고, 내부는 상기 제빙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기능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감지센서(500)는 사디리꼴 및 원형 구조를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하나는 온도센서 및 다른 하나는 급수센서로 제공될 수 있다.
또, 감지센서(500)의 상기 외피층에는 신호 인출선(미도시)이 납땜(soldering) 방식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신호 인출선은, 구체적인 예에서 감지센서(500)의 온도센싱을 위해 한 쌍의 리드선이 연결되고, 급수센싱을 위한 리드선이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박리부(500)의 하부에는 인출홀(미도시)가 형성되고, 감지센서(5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빙기(100)의 제어박스(10)에는 박리부(50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어박스(10)의 박리부(500) 하부에는 이탈 방지홈(11)이 형성되고, 감지센서(300)가 이탈 방지홈(1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다. 감지센서(300)에는 일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0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감지센서(300)를 이탈 방지홈(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빙 공간에서 상기 제빙수의 접촉에 의한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마찬가지로 전술한 박리부(500)의 일측에 이탈 방지홈(11)이 추가로 형성되고, 이탈 방지홈(11)이 평단면상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감지센서(500)가 밀착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삽입 및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냉장고 8, 9: 도어
10: 제어박스 11: 이탈 방지홈
15: 제빙홈 100: 제빙기
200: 제빙 트레이 300: 박리부
500: 감지센서 501: 노출면
502: 돌출부 510: 감지센서 외피
520: 감지센서 내부

Claims (12)

  1. 냉장고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제빙 본체;
    상기 제빙 본체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구동모터와 제어회로가 구비되는 제어 박스;
    상기 제빙 본체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어 박스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어 박스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 구동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냉장고의 외부 급수원 또는 내부 공간에 구비된 물 공급 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제빙 시키는 제빙 트레이;
    상기 제빙 본체가 형성하는 제빙 공간의 온도 또는 급수를 감지하고,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 작동에 대하여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를 감싸는 절연수지재로 형성되되, 상기 감지센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빙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박리부;를 포함하는 제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단면상 형상이 원형, 다각형 및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제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제빙 공간 중 상기 제어 박스의 일측에 구비된 제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소재가 외주면에 외피층으로 형성되는 제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의 외피층에는 신호 인출선이 납땜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빙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의 외피층은 제빙수의 수위를 감지하고 내부층은 제빙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제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의 내부는 에폭시 또는 우레탄 소재가 충진되어 있는 제빙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제빙 공간의 온도와 급수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급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인출선은,
    상기 온도센서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리드선; 및
    상기 급수센서에 연결되는 제2 리드선;을 포함하는 제빙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수지재는 폴리프로필렌 수지(polypropylene resin)를 포함하는 제빙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부에는 상기 감지센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 방지홈이 형성되는 제빙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부는 수평 단면상 일측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사디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빙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10097978A 2021-07-26 2021-07-26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30016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978A KR20230016458A (ko) 2021-07-26 2021-07-26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978A KR20230016458A (ko) 2021-07-26 2021-07-26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458A true KR20230016458A (ko) 2023-02-02

Family

ID=8522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978A KR20230016458A (ko) 2021-07-26 2021-07-26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64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389B1 (ko) 2001-08-14 2004-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제빙기의 온도센서 장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389B1 (ko) 2001-08-14 2004-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제빙기의 온도센서 장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0725B1 (en) Icemaker for a refrigerator
KR0182736B1 (ko) 냉장고용 자동제빙기
EP1916489B1 (en) Ice making apparatus
EP1772688B1 (en) Detector for determining a complete filling of ice-cubes
KR100814686B1 (ko) 제빙기
KR20140088693A (ko) 아이스메이커 및 그 제어방법
AU201130654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icemaker for a refrigerator
EP2096385B1 (en)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30016458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0756994B1 (ko) 냉장고용 제빙기
KR20230159340A (ko) 제빙기,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26635A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20180013700A (ko) 트위스트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30018578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42457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40067434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40071889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524830B1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0346401B1 (ko) 냉장고의 얼음저장량 조절구조 및 조절방법
KR100577193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2511404B1 (ko)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및 냉장고
KR20220053077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40070800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20155003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30018575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