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345B1 - 착탈식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착탈식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345B1
KR102511345B1 KR1020180036788A KR20180036788A KR102511345B1 KR 102511345 B1 KR102511345 B1 KR 102511345B1 KR 1020180036788 A KR1020180036788 A KR 1020180036788A KR 20180036788 A KR20180036788 A KR 20180036788A KR 102511345 B1 KR102511345 B1 KR 102511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upport device
shaft
coupl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4296A (ko
Inventor
이정형
주지훈
권순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6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345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3/00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설치가 필요한 위치의 구조물에 쉽게 탈부착 가능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가능하여 배관과 같은 무거운 물체의 양중이 가능한 착탈식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지지장치는 자력의 가변이 가능한 자석부; 상기 자석부가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결속수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속수단의 조임을 조절하는 조임조절부 마련되는 가압모듈부; 및 상기 가압모듈부와 결합되고, 구조물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접촉부로부터 신장되어 형성되고, 외부장치의 체결될 수 있는 체결 수단이 마련되는 러그부를 구비하는 지그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탈식 지지 장치{DETACHABLE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착탈식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관 설치 가 필요한 위치의 구조물에 쉽게 탈부착 가능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가능하여 배관과 같은 무거운 물체의 양중이 가능한 착탈식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공장, 플랜트에는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배관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관들은 용도와 수명에 따라 신설되거나, 교체 또는 제거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배관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은 일반적으로 배관을 들어올리기 위한 양중공구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장치를 작업 공간 내에 가설하는 작업을 먼저 수행하게 된다.
지지장치는 무거운 배관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이송장치(인양장치또는 양중장치)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 기존에는 러그나 임의부재를 배관설치 위치의 주변 구조물에 용접이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시켜 지지장치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고정된 지지장치에 인양장치를 결합시켜 작업위치로 배관을 이송하거나, 작업위치에서 바닥으로 내리게 된다.
때문에, 기존에는 배관 이송장치를 이용하기 위한 지지장치의 설치 또는 사용 후 제거가 번거롭고 오랜시간 소요되며, 안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1489호(등록일 2016.12.2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 설치가 필요한 위치의 구조물에 쉽게 탈부착 가능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가능하여 배관과 같은 무거운 물체의 양중이 가능한 착탈식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양중장치와 용이하게 결합시켜 사용 가능한 착탈식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지지장치는 자력의 가변이 가능한 자석부; 상기 자석부가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결속수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속수단의 조임을 조절하는 조임조절부 마련되는 가압모듈부; 및 상기 가압모듈부와 결합되고, 구조물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접촉부로부터 신장되어 형성되고, 외부장치의 체결될 수 있는 체결 수단이 마련되는 러그부를 구비하는 지그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지지장치는 배관 설치가 필요한 위치의 구조물에 쉽게 탈부착 가능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가능하여 배관과 같은 무거운 물체의 양중이 가능하여, 작업 편리성이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착탈식 지지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양중장치와 용이하게 결합하여,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지지장치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각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자석부의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가압모듈부의 조임 조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예시도.
도 5는 실제 사용시 구조물과의 결합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뙤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지지장치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각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지지장치는 자력의 가변이 가능한 자석부(10),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속수단의 조임을 조절하는 가압모듈부(50) 및 가압모듈부(50)에 의해 구조물에 결합되어 양중장치를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그프레임(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석부(10)는 가압모듈부(50)와 결합되어 가압모듈부(50) 및 지그프레임(80)을 지지장치가 설치되는 구조물에 부착되도록 한다. 또한, 자석부(10)는 가압모듈부(50)에 의해 지지장치가 구조물에 결합되는 경우 보조적인 결합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자석부(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자력이 변하여 구조물에 용이하게 탈부착되도록 구성된다.
가압모듈부(50)는 결속수단(90)의 조임을 조절하여 지지장치를 구조물에 결합시켜 고정한다. 이를 위해 가압모듈부(50)는 자석부(10)와 결합되어 자석부(10)에 의해 구조물에 1차적으로 고정된다. 가압모듈부(50)는 결속수단(90)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수단이 마련되며, 결속장치(40)와 결합된 체결수단의 위치를 조절하여 결속수단(90)이 구조물을 조이도록 함으로써 지지장치가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모듈부(50)는 일측에서 자석부(10)와 결합되며, 타측에서 지그프레임(80)에 결합된다.
지그프레임(80)은 구조물과 접촉하여 가압모듈부(50)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구조물 밀착하여 결합되고, 구조물에 의해 지지된다. 이 지그프레임(80)은 배관과 같은 중량물의 승하강을 위한 양중공구가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장치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자석부(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장치의 초기 설치 또는 회수시 지지장치가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도록 자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자석부(10)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이 수납되는 본체(11)와, 자력의 강도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수단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도면들에서 스위치 수단이 레버(12)인 경우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자석의 종류에 따라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본체(11)와 구조물의 간격을 조절하는 기계적 수단으로 스위치가 구성될 수 도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자석부(10)는 레버(12)의 조작에 의해 구조물과 접촉하는 접촉면(13) 방향으로 자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자석부(10)과 구조물에 붙거나 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자석부(10)는 복수의 영구자석과 자성체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자석부(10)는 가압모듈부(50)의 결합플레이트에 의해 가압모듈부(50)에 결합될 수 있다.
가압모듈부(50)는 고정플레이트(51), 조임조절부(60) 및 체결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플레이트(51)는 조임조절부(60)의 하우징(61)과 자석부(10)를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고정플레이트(51)는 제1결합홀(53)과 제2결합홀(54)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볼트나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이 제1 및 제2결합홀(53, 54)을 관통하여 하우징(61) 또는 자석부(10)에 결합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체결부(70)는 결속수단 결합되고, 조임조절부(60)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된 결속수단(90)을 잡아 당기거나 느슨해지게 한다. 이를 위해 체결부(70)는 체결블록(73)과 샤클(7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체결블록(73)은 조임조절부(60)의 샤프트(64)에 결합되어 샤프트(64)의 회전에 따라 샤프트(64)의 길이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한다. 이를 위해 체결블록(73)에 샤프트(64)가 관통하여 결합되고, 샤프트(64)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체결블록(73)에 형성된다. 이 체결블록(73)에는 플랜지(74)가 형성되고, 플랜지(74)에 형성된 결합홀에 샤클(75)이 핀(76)에 의해 탈부착 된다. 여기서, 결속수단(90)과의 결합을 샤클(75)을 이용하는 경우 결합홀이 형성되며, 다른 형태의 결속수단(90)과 결합되는 경우 샤클(75) 및 결합홀 대신 결속수단(90)에 적합한 결합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샤클(75)은 일측이 개구된 'U'자 형태로 형성되는 고리이며, 일측 개구부를 개폐하는 핀(76)이 결합된다. 이 샤클(75)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수단(90)의 고리 또는 체인의 고리와 샤클의 고리부분이 끼워진 상태에서 플랜지(64)에 핀(76)에 의해 결합된다.
조임조절부(60)는 하우징(61 : 61a 내지 61c)과 하우징(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61)은 샤프트(64)와 결합되어, 샤프트(64)가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함과 아울러, 가압모듈부(50)를 자석부(10) 및 지그프레임(80)과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하우징(61)은 제1 내지 제3하우징(61a 내지 61c)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하우징(61a 내지 61c)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 하우징(61a 내지 61c)이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3하우징(61a, 61c)는 제2하우징(61b)의 양측 종단에 결합된다. 제1하우징(61a)에는 샤프트(64)의 일측 종단이 결합되며, 샤프트(64)의 회전을 위해 제1베어링(69a)이 마련된다. 이 제1베어링(69a)은 스러스트 볼 베어링이 마련될 수 있으나, 샤프트(64)의 회전을 보장할 수 있는 수단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3하우징(61c)에도 샤프트(64)의 회전을 위한 제2베어링(69b)가 마련된다. 이 제1 및 제3하우징(61a, 61c)은 지그프레임(80)에 결합되어, 가압모듈부(50) 및 자석부(10)를 지그프레임(80)과 결합시키게 된다.
특히, 제1하우징(61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플레이트(83)의 일면(83b)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지지장치가 구조물에 결합되는 경우 제1하우징(61a)은 보조플레이트(83)를 사이에 두고 구조물과 대를 이루도록 지그 프레임(80)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가압모듈부(50)가 결속수단(90)을 잡아당겨 가압하는 경우 제1하우징(61a)이 보조플레이트(83)를 가압하여, 지그프레임(80)이 견고하게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제2하우징(61b)는 제1하우징(61a)와 제3하우징(61c)에 결합되고, 제1면에 결합플레이트(51)가 고정된다. 아울러, 제2하우징(61b)은 샤프트(64)의 회전식 체결블록(73)이 샤프트(6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체결블록(73)의 회전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샤프트(6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하우징(61a)과 제3하우징(61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샤프트(64)는 체결블록(73)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 샤프트(64)의 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블록(73)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된다. 이를 통해 샤프트(64)가 회전하는 경우 제2하우징(61b)에 의해 회전이 저지되는 체결블록(73)은 샤프트(6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샤프트(64)의 일측 종단은 제1하우징(61a)의 제1베어링(69a)에 결합된다. 그리고, 샤프트(64)의 타측 종단에는 사용자가 샤프트(64)를 회전 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가 소지하는 공구에 치합되는 샤프트캡(66)이 마련된다. 사용자는 이 샤프트캡(66)에 렌치, 스패너, 플라이어와 같은 수공구를 결합시켜 샤프트(64)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지그프레임(80)은 자석부(10)와 가압모듈부(50)에 의해 구조물에 거치 및 고정되고, 중량물의 승하강을 위한 양중 공구와 결합되어, 양중공구 및 중량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그프레임(80)은 접촉부(81, 83)와 러그부(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촉부(81, 83)는 착탈식 지지장치가 구조물에 결합되는 경우, 구조물과 접촉하여 러글부(8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접촉부(81, 83)는 구조물과의 접촉 면적이 커지도록 판상으로 형성되는 보조플레이트(83) 및 패드부(8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조플레이트(83)는 판상의 금속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러그부(820가 결합된다. 이러한 보조플레이트(83)에 의해 러그부(82)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이 구조패드부(81)는 보조플레이트(83)의 다른 면에 결합되고, 보조플레이트(83)와 구조물 간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패드부(81)는 고무와 같은 천연수지, 합성수지 또는 이들을 혼합한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보조플레이트(83)나 구조물에 비해 연질의 금속을 이용하여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러그부(82)는 보조플레이트(83)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신장되어 형성된다. 이러그부(82)는 보조플레이트(83)와 용접과 같은 방법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보조플레이트(8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러그부(82)는 중량물의 승하강 방향을 고려하여, 승하강 방향의 연장선에 발생되는 하중을 적절히 지지하기 위해 단면 형상이 "I", 또는 "H"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러그부(82)는 보조플레이트(83)와 같은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러그부(82)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중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리프팅러그(85)가 마련된다. 이러한 리프팅 러그(85)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팅 러그(85)의 형태는 반드시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레버블록, 체인블록의 경우 고리 형태의 리프팅 러그(85)에 체결이 용이하지만, 윈치와 같이 다른 종류의 양중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리프팅 러그(85)의 형태와 크기기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팅 러그(85)는 복수개가 임의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러그부(82)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양중장치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체결위치를 다르게하여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러그부(82)와 보조플레이트(83)에 결합되어 러그부(82)에 발생되는 굽힘 모멘트를 저감하기 위한 브라켓(8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86)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양측 종단이 각각 러그부(82)와 보조플레이트(83)에 용접과 같은 방법에 의해 결합된다. 이를 통해, 브라켓(86)은 러그부(82)에 가해지는 하중이 보조플레이트(83)에 전달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하중의 분산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결속수단(90)은 가압모듈부(80)의 체결블록(73)에 결합된다. 이때 결속수단(90)은 파이프와 같은 구조물을 감는 형태로 양단이 체결블록(73)에 결합되거나, 체결블록(73)과 구조물에 형성되는 결합부(예를 들어, 고리)를 연결하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결속수단(90)은 가압에 의해 지지장치를 구조물에 안정적으로 결합 및 고정하고, 중량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며, 구조물의 외부에 밀착할 수 있도록 금속 체인, 벨트, 끈과 같이 유연하면서도 기계적 강도가 강한 재료로 마련된다. 벨트나 끈으로 결속수단(90)이 구성되는 경우 벨트나 끈의 종단에 샤클(75)과의 결합을 위한 고리가 구성될 수도 있고, 샤클(75)을 대신하여 다른 종류의 결합수단이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자석부의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석부(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모듈부(50)의 가압 전에 가압모듈부(50)와 지그 프레임(80)을 구조물에 가결합 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가압모듈부(50)에 의해 지그 프레임(80)에 구조물에 견고하게 결합된 후에는 지속적으로 구조물과 결합되어 보조적인 결합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자석부(10)가 구조물에 자력에 의해 붙은 후, 지그 프레임(80)을 가압모듈부(50)에 의해 고정하게 된다. 이때, 가압모듈부(50)이 결속수단(90)을 당겨서 조임을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지지프레임(80)의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프레임과 가압모듈부(50)의 위치변화로 인해 자석부(10)에 전단력이 발생하게 되고, 전단력으로 인해 자석부(10)가 구조물로 부터 분리되어 낙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장치의 결합시 자석부(1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자석부(10)는 가압모듈부(50)에 유격을 가지고 유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결합플레이트(51)에는 제1결합홀(53)이 마련되고, 제1결합홀(53)에 제1결합부재(55)가 관통하여 자석부(10)에 결합됨으로써, 결합플레이트(51)와 자석부(10)가 결합하게 된다. 제1결합부재(55)는 리벳 또는 볼트 또는 이와 유사한 결합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결합홀(53)은 일방향으로 긴 홀로 형성되고, 제1결합부재(55)의 헤드가 안착되는 안착부(53a)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결합부재(55)는 자석부(10)와의 결합정도를 제한하여, 자석부(10)가 제1결합부재(55)에 의해 안착부(53a)를 따라 제한된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결합부재(55)가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로 구성되는 경우, 나사산을 부분적으로만 형성하고, 자석부(10)에 마련되는 결합홀의 깊이를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제1결합부재(55)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결합 플레이트(51)가 자석부(10)에 결합은 되지만 제1결합부재(55)에 의해 가압되어 결합되는 일 없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결합부재(55)에 형성되는 헤드가 안착부(53a)에 안착되고, 제1결합홀(53)의 길이만큼의 유격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결합플레이트(51)가 가압모듈부(50)에 유격없이 고정되더라도, 결합플레이트(51)와 자석부(10) 사이에 유격을 가질 수 있어, 결속수단(90)의 조임시 전단력이 자석부(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결합홀(53)과 제1결합부재(55)의 결합방법은 결합플레이트(51)와 제2하우징(61b)를 결합하는 제2결합홀(54)과 제2결합부재(56)에도 적용 가능한 것으로, 제1결합홀(53)과 제1결합부재(55)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가압모듈부의 조임 조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예시도이고, 도 5는 실제 사용시 구조물과의 결합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지장치는 체인과 같은 결속수단(90)을 구조물의 둘레에 설치 및 가압하여 지지장치를 고정한다. 그리고, 지지장치에 양중장치를 결합하여 파이프와 같은 중량물을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석부(10)에 의해 지지장치가 구조물(99)에 가결합된다. 여기서, 도 5에서는 구조물(99)이 파이프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시된 바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10)는 자석부(10)에 마련되는 레버(12)와 같은 스위치 수단을 조절하여 자력을 조절함으로써 자석부(10)를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자석부(10)와 결합된 가압모듈부(50)와 지그프레임(80)이 자석부(10)에 의해 구조물에 1차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후, 작업자는 샤클(75) 중 어느 하나를 체결블록(73)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결속수단(90)이 구조물(99)의 둘레를 따라 두르고, 일측 종단을 분리된 샤클(75)과 결합한 뒤 체결블록(73)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체결블록(73)은 제1하우징(61)에 인접한 위치로 후퇴된 상태에서 샤클(75)과 체결된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렌치와 같은 공구를 샤프트캡(66)에 결합하여 샤프트캡(66)을 회전시키게 된다.
샤프트캠(66)이 회전하면,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체결블록(73)이 이동하게 되고, 결속수단(90)이 당겨지게 되어 조여지게 된다. 이를 통해 지지장치가 구조물(99)을 가압하여 고정된다. 이때, 조임에 대한 반작용은 샤프트(64)를 통해 제1하우징(61a)에 전달되고, 제1하우징(61a)을 통해 보조플레이트(83)에 전달된다. 즉, 결속수단(90)이 구조물(99)을 조임과 동시에 가압모듈부(50)에 의해 지그프레임(80)의 보조플레이트(83)가 구조물(99)을 가압하게 되며, 이를 통해 지지장치가 구조물(99)에 결합하게 된다.
지지장치가 구조물(99)에 견고하게 고정되면, 사용자는 양중장치를 지그프레임(80)의 러그(85)에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양중장치를 이용하여 자재를 승강 또는 하강 시키게 된다.
중량물의 작업이 종료된 후에는 설치 방법의 역순으로 양중장치와 지지장치를 철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장치는 작업이 장소에 기설치된 구조물(99)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기존과 같이 양중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임의부재를 설치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양중장치를 설치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임의부재의 경우 용접이나 복잡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이를 철거하는 경우에도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에 의해 진행됐으나, 본 발명의 지지장치는 설치와 철거가 용이하다. 때문에, 중량물의 설치나 철수가 필요한 경우 짧은 시간 안에 설치하여 이용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려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자석부 11 : 본체
12 : 레버 13 : 접촉면
51 : 결합플레이트 53 : 제1결합홀
55 : 제1결합부재 54 : 제2결합홀
56 : 제2결합부재 60 : 조임조절부
61 : 하우징 64 : 샤프트
66 : 샤프트 캡 69 : 베어링
70 : 체결부 73 : 체결블록
74 ; 플랜지 75 : 샤클
76 : 샤클핀 50 : 가압모듈부
80 : 지그프레임 81 : 패드
83 : 보조플레이트 82 : 러그부
85 : 러그 86 : 브라켓
90 : 결속수단 99 : 구조물

Claims (7)

  1. 자력의 가변이 가능한 자석부;
    상기 자석부가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결속수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속수단의 조임을 조절하는 조임조절부 마련되는 가압모듈부; 및
    상기 가압모듈부와 결합되고, 구조물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접촉부로부터 신장되어 형성되고, 외부장치의 체결될 수 있는 체결 수단이 마련되는 러그부를 구비하는 지그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는 자력의 가변을 위한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지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모듈부는
    상기 조임조절부 또는 상기 지그프레임과 상기 자석부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지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모듈부는
    상기 결속수단과 결합되는 체결블록;
    회전에 상기 체결블록을 이동시켜 상기 체결블록에 결합된 상기 결속수단의 조임을 조절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종단에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위해 조절용 공구가 결합되는 샤프트 캡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모듈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지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상기 체결블록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지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판상의 보조플레이트와
    상기 보조플레이트의 제1면에 형성되는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지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프레임은
    상기 접촉부의 보조플레이트와 상기 러그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지지장치.
KR1020180036788A 2018-03-29 2018-03-29 착탈식 지지 장치 KR102511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788A KR102511345B1 (ko) 2018-03-29 2018-03-29 착탈식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788A KR102511345B1 (ko) 2018-03-29 2018-03-29 착탈식 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296A KR20190114296A (ko) 2019-10-10
KR102511345B1 true KR102511345B1 (ko) 2023-03-17

Family

ID=68206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788A KR102511345B1 (ko) 2018-03-29 2018-03-29 착탈식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3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8291B (zh) * 2021-08-20 2024-02-09 中煤科工集团西安研究院有限公司 煤矿井下双向旋转螺旋钻杆、卸扣装置和装卸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2339A (ja) 2006-01-27 2007-08-0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柱装吊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8776Y2 (ja) * 1992-07-23 1999-01-13 藤井電工株式会社 トランスホイスト
JPH116514A (ja) * 1998-02-10 1999-01-12 Honda Motor Co Ltd ナット仮止め構造
KR200449443Y1 (ko) * 2008-01-30 2010-07-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보텀 플러그 부착용 지그장치
KR101691489B1 (ko) 2015-06-23 2016-12-30 삼성물산 주식회사 배관모듈 및 배관모듈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2339A (ja) 2006-01-27 2007-08-0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柱装吊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296A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7118B (zh) 压紧系统
US20110237373A1 (en) Automatic belt tensioning system
KR102511345B1 (ko) 착탈식 지지 장치
JP2013046535A (ja) 送電用がいし装置のがいし等取換器
US10322478B2 (en) Tensioning device for a screw connection, method for tightening a screw connection, and threaded nut
US6799751B1 (en) Quick adjusting choke winch
JP4564007B2 (ja) バックアップロールの軸受ユニットを装着および引出しするための装置
US20140076113A1 (en) Head Bolt Tightening Tool for a Cone Crusher Head Assembly
JP6456324B2 (ja) 引張手段張力調節装置、引張手段張力調節装置を備える振動溶着装置、並びに引張手段張力調節装置の製造方法
KR20150003675U (ko) 배관용 지그
WO2012122218A2 (en) Strap tensioning system
SE532751C2 (sv) Anordning vid vinsch
CN110424553B (zh) 一种钢结构连接件
US10443634B2 (en) Tool coupler for a clamping system, in particular for clamping a welding saddle to a plastic pipe, and a clamping system and a method for clamping
US20130180044A1 (en) Securement device for a tap
KR200434091Y1 (ko) 베어링 이송용 지그
CN107263075B (zh) 在架空组装和拆卸期间定位用于螺纹连接的保持设备的设备
US20100281659A1 (en) Belt clamp
KR200480634Y1 (ko) 긴급복구용 윈치의 고정장치
US20130199382A1 (en) Band Tensioning Tool
JP5215713B2 (ja) レストバーの固定装置
KR200245469Y1 (ko) 벨트 교환 및 장력조정 장치
KR102603007B1 (ko) 기어 분해장치
EP3629702A1 (en) Arrangement for replacing a saw chain on a motor saw
CN220094499U (zh) 一种法兰收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